KR100979776B1 - 롤 연삭기 - Google Patents

롤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776B1
KR100979776B1 KR1020030036918A KR20030036918A KR100979776B1 KR 100979776 B1 KR100979776 B1 KR 100979776B1 KR 1020030036918 A KR1020030036918 A KR 1020030036918A KR 20030036918 A KR20030036918 A KR 20030036918A KR 100979776 B1 KR100979776 B1 KR 100979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grinding machine
frame
seated
lev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887A (ko
Inventor
곽상구
장인
이성호
선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36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776B1/ko
Publication of KR20040105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urfaces of revolution on work, including those which also grind adjacent plane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5/3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 B24B5/37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grinding rolls, e.g. barrel-shaped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대략 중앙부에 레벨링 실린더(206)가 수직 상방을 향해 설치되고, 그 좌우 양측에는 대략 'ㄷ'자의 내측 단면형을 갖는 좌우측 프레임(208,209)이 각각 대향 설치된 하부 프레임(207); 대략 'ㄴ'자형의 상부 측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좌우측 프레임(208,209) 사이에 설치되어 그 상하 이동이 가이드 되며, 밑면 중앙부에는 상기 레벨링 실린더(206)의 실린더 로드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이동력을 제공받으며, 일측 상부는 대략 사각형의 돌출부로 연장 형성되어 돌출부의 상부면에는 쵸크(102)의 외주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면이 형성된 레벨링 프레임(201); 상기 레벨링 프레임(201)의 돌출부 반대측 상부에 안착되고, 레벨링 프레임(201)의 측면부에 고정 설치된 전후진 실린더(204)에 의해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반대측 쵸크(102)의 외주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또다른 요홈면이 상부측에 형성된 이동 프레임(202); 연삭기(107)의 구동 회전부 내에 설치되며, 안착되는 롤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구동축의 단부에 웜(304)이 설치된 회전모터(301); 안착되는 롤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연삭기(107)의 구동 회전부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11)의 구동 기어(320)와 맞물려 회전력을 받도록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된 회전 프레임(306); 회전 프레임(306) 내부에 2개가 대향 설치되며,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연결봉(317)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대향 이동하여 연삭 작업시 내부에 위치한 롤넥크를 홀딩하는 가이드 판(314); 중앙부에 상기 웜(304)과 맞물리는 웜 기어(315a)가 형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각 가이드 판(314)에 관통 나합하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모터(301)의 회전시 그 구동력을 받아 양측 가이드 판(314)의 대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루(31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롤과 조립된 쵸크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설비와의 충돌 위험 및 상하차시의 전도 및 추돌의 위험을 저감시키며, 롤과 쵸크의 분해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설비트러블을 방지한다.
롤, 연삭기

Description

롤 연삭기{ROLL GRINDING MACHINE}
도 1은 종래의 롤 연삭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하부 프레임부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롤넥크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롤넥크 고정부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에 롤이 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롤넥크 고정부가 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7: 연삭기 201: 레벨링 프레임
202: 이동 프레임 204: 전후진 실린더
206: 레벨링 실린더 207: 하부 프레임
208: 좌측 프레임 209: 우측 프레임
301: 회전모터 302: 연결베어링
303: 지지판 304: 웜
306: 회전 프레임 311: 구동모터
314: 가이드 판 315: 스크루
315a: 웜 기어 317: 연결봉
320: 구동 기어
본 발명은 롤 연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연삭 작업시 롤과 조립되어 있는 쵸크를 분해하지 않고 직접 리모터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연삭기에 롤을 안착하여 연삭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롤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롤을 안착하기 전에 롤 사이즈별 길이를 인식하여 연삭기의 트레버스를 맞추고 난 다음 롤을 안착시키며, 연삭기의 회전부와 정확하게 레벨링이 되게 센터링을 유지한 다음, 연삭기 구동 회전부가 롤넥크를 고정하고 롤을 회전시킴으로써, 롤을 자동으로 연삭하기 위한 롤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롤 연삭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로서, 종래의 롤 연삭 작업중 특히 롤 이송 및 고정작업을 나타낸다.
롤(101) 연삭 작업을 하기 위하여 먼저 지지대(106)와 디쵸킹머신(104) 상에 조립상태의 롤(101)과 쵸크(102)를 이송하는데, 이를 분해하기 위해 먼저 리모터 크레인 와이어(103)로 타이머(105)를 취외한다.(도 1의 A)
이후 디쵸킹머신(104)으로 롤(101)에 조립되어 있는 쵸크(102)를 분리하며, 다시 크레인을 이용하여 지지대(106)에 놓여진 롤(101)을 연삭기(107)로 이동한다.(도 1의 B)
롤(101)을 연삭기(107)에 안착하기 전에 롤(101)을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회전용 고정도그(108)를 작업자들이 들어서 롤넥크에 취부한다.(도 1의 C)
이후 롤(101) 사이즈의 길이에 맞게 수동으로 연삭기(107) 트레버스를 세팅하며, 롤(101)을 연삭기(107)에 안착시켜 연삭을 하게 된다.(도 1의 D)
그런데, 이러한 작업과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롤(101)과 쵸크(102)를 분해하기 위해 지지대(106)와 디쵸킹머신(104)이 있는 정비장으로 크레인을 이용하여 롤(101)과 조립된 쵸크(102)를 들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리모터 크레인의 운전 미스로 인한 설비와의 충돌 위험이 있었고, 상하차시 정확한 센터링이 되지 않아 전도 및 추돌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지지대(106)에 안착된 롤(101)과 쵸크(102)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롤(101)과 쵸크(102)의 밀림으로 설비트러블이 초래되었다.
또한, 분해작업이 끝나면 다시 크레인을 이용하여 롤(101)을 연삭기(107)로 이동시켜야 하며, 롤(101)을 연삭기(107)에 안착하기 전에 롤넥크에 무거운 회전용 고정도그(108)를 취부할 때에 회전용 고정도그(108)와 롤넥크가 잘 맞지 않아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롤(101) 사이즈별 길이에 맞게 연삭기(107)의 트레버스를 작업자가 치구를 이용하여 임의의 기준수치에 세팅한 후, 롤(101)을 연삭기(107)에 안착하여 연삭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수작업에 의해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소요되었다.
한편, 이와 같은 일련의 작업을 통해 롤(101)과 조립되어 있는 회전용 고정도그(108)가 맞물려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떨림과 미세한 웨이브에 의해 롤(101) 연삭시 롤(101)의 진원도와 원통도의 형상을 정확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롤(101)연삭 후 롤(101) 표면에 챠탈링 현상이 발생되어 롤(101)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연삭기(107)의 트레버스를 정확하게 세팅하지 못하게 되므로, 롤(101)이 회전하면서 연삭기(107)와 미세한 마찰이 발생하여 설비 트러블을 야기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 연삭 작업시 롤과 조립되어 있는 쵸크를 분해하지 않고 직접 리모터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연삭기에 롤을 안착하여 연삭할 수 있도록 구성된 롤 연삭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롤을 안착하기 전에 롤 사이즈별 길이를 인식하여 연삭기의 트레버스를 맞추고 난 다음 롤을 안착시키며, 연삭기의 회전부와 정확하게 레벨링이 되게 센터링을 유지한 다음, 연삭기 구동 회전부가 롤넥크를 고정하고 롤을 회 전시킴으로써, 롤을 자동으로 연삭하기 위한 롤 연삭기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략 중앙부에 레벨링 실린더(206)가 수직 상방을 향해 설치되고, 그 좌우 양측에는 대략 'ㄷ'자의 내측 단면형을 갖는 좌우측 프레임(208,209)이 각각 대향 설치된 하부 프레임(207); 대략 'ㄴ'자형의 상부 측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좌우측 프레임(208,209) 사이에 설치되어 그 상하 이동이 가이드 되며, 밑면 중앙부에는 상기 레벨링 실린더(206)의 실린더 로드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이동력을 제공받으며, 일측 상부는 대략 사각형의 돌출부로 연장 형성되어 돌출부의 상부면에는 쵸크(102)의 외주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면이 형성된 레벨링 프레임(201); 상기 레벨링 프레임(201)의 돌출부 반대측 상부에 안착되고, 레벨링 프레임(201)의 측면부에 고정 설치된 전후진 실린더(204)에 의해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반대측 쵸크(102)의 외주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또다른 요홈면이 상부측에 형성된 이동 프레임(202); 연삭기(107)의 구동 회전부 내에 설치되며, 안착되는 롤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구동축의 단부에 웜(304)이 설치된 회전모터(301); 안착되는 롤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연삭기(107)의 구동 회전부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11)의 구동 기어(320)와 맞물려 회전력을 받도록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된 회전 프레임(306); 회전 프레임(306) 내부에 2개가 대향 설치되며,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연결봉(317)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대향 이동하여 연 삭 작업시 내부에 위치한 롤넥크를 홀딩하는 가이드 판(314); 중앙부에 상기 웜(304)과 맞물리는 웜 기어(315a)가 형성되고, 이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각 가이드 판(314)에 관통 나합하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모터(301)의 회전시 그 구동력을 받아 양측 가이드 판(314)의 대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루(3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벨링 프레임(201)의 상부면은 대략 반 타원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중앙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연삭 작업시 생성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배출구멍(201b)이 관통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 프레임(306)의 일측 내부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봉 형상을 갖는 지지판(303)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303)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모터(301)의 구동축을 관통 지지하는 연결베어링(302)이 설치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하부 프레임부의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롤넥크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롤넥크 고정부의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면의 도시 상태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의 롤 연삭기는 크게 레벨링부와 회전부로 구성된다.
레벨링부는 롤(101) 사이즈별로 연삭하게 될 조립된 롤(101) 길이를 인식하여 트레버스를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이와 함께 안착된 롤(101)을 연삭기 회전부와 레벨링하는 기능을 한다.
회전부는 롤(101)을 회전시키기 위해 롤넥크 위치를 감별하여 롤넥크를 잡아 주어 회전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먼저, 레벨링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연삭기(107)에 안착된 롤의 하부를 지지하는 레벨링 실린더(206)가 대략 사각형의 하부 프레임(207) 가운데에 수직 상방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레벨링 실린더(206)는 안착된 롤(101)의 레벨링을 맞추어 센터링이 유지되게 업 다운 동작을 하게 된다.
레벨링 실린더(206)의 좌우 양측에는 대략 'ㄷ'자의 단면형을 갖는 좌우측 프레임(208,209)이 각각 대향 설치된다.
좌측 프레임(208)은 'ㄷ'자 단면형의 양측부 내면에 각각 슬라이딩 홈(208a)이 형성된다.
우측 프레임(209)은 좌측 프레임(208)과 대략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내측에 연삭기(107) 트레버스를 맞추도록 작동하는 전후진 실린더(204)가 상하 이동가능한 상태로 관통 설치될 수 있도록 장방형 홈(209b)이 형성된다.
좌우측 프레임(208,209) 사이에는 레벨링 프레임(201)이 설치된다.
레벨링 프레임(201)은 측면 형상이 대략 'ㄴ'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밑면 형상은 좌우측보다 중앙부가 하측으로 다소 돌출된 형태로 경사 형성되어 밑면 중앙 부에 레벨링 실린더(206)의 실린더 로드가 고정 결합된다.
레벨링 프레임(201)에는 4개의 수직형 가이드바(20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각 수직형 가이드바(201a)는 좌우측 프레임(208,209)에 형성된 각각의 슬라이딩 홈(208a,209a)에 삽설된다.
'ㄴ'자형 레벨링 프레임(201)의 상부면은 대략 반 타원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중앙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연삭 작업시 연삭유와 칩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배출구멍(201b)이 관통 형성된다.
배출구멍(201b)의 외측으로는 연삭유와 칩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205)이 연결 설치된다.
'ㄴ'자형 레벨링 프레임(201)의 좌측 상부는 사각형의 돌출부로 연장 형성되며, 돌출부의 상부면에는 쵸크(102)의 외주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요홈면이 형성된다.
레벨링 프레임(201)의 우측 상부에는 반대측 쵸크(102)의 외주 저면이 안착되며, 롤의 길이에 따라 레벨링 프레임(201)의 상부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한 이동 프레임(202)이 구비된다.
이를 위하여 레벨링 프레임(201)의 우측면에는 연결캡(203)을 개재하여 전후진 실린더(204)가 설치되며, 전후진 실린더(204)의 실린더 로드는 이동 프레임(201)의 우측면에 고정 결합된다.
레벨링 프레임(201)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프레임(202)의 저면은 레벨링 프레임(201)의 상부면과 대략 일치하는 단면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동 프레임(202)의 상부면에도 반대측 쵸크(102)의 외주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로 경사진 또다른 요홈면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회전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회전부는 롤(101)을 회전시키기 위해 롤넥크 위치를 감별하여 롤넥크를 잡아주며 회전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PLC기능을 가진 회전모터(301)가 지지부재를 통해 연삭기(107)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모터(301) 축에는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연결베어링(302)이 설치된다.
대략 직사각형의 봉 형상을 갖는 지지판(303)이 구비된다. 지지판(303)의 양단부는 소정의 곡률로 라운딩 처리되어 있으며, 양단면에는 볼트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볼트 홀이 형성된다.
지지판(303)의 중앙부에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연결베어링(302)이 설치되며, 연결베어링(302)에 의해 회전이 간섭받지 않는 상태에서 회전모터(301)의 구동축은 지지판(303)을 관통하며, 구동축의 단부에는 웜(304)이 설치된다.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연삭기(107)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11)의 구동 기어(320)와 맞물려 회전력을 받도록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된 회전 프레임(306)이 구비된다.
회전 프레임(306)의 상부에는 구동모터(311)의 회전시 롤넥크의 고정포지션을 인식하는 위치감별센서(309)가 대략 'ㄷ'자 형상의 상부지지대(310)를 개재하여 설치된다.
회전 프레임(306)의 양측에는 회전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베어링(305)이 각각 설치되며, 또한 좌측 단부의 원주면을 따라 지지판(303)을 볼트로 고정 결합하기 위한 볼트 홀이 각각 대향 형성된다.
회전 프레임(306)의 측면에는 고정부재(307)와 고정볼트(308)에 의해 스크루(315)와 연결봉(317)이 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 홀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회전 프레임(306) 내부에는 롤넥크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2개의 가이드 판(314)이 대향 설치된다.
각 가이드 판(314)은 대향하는 내부면으로 롤넥크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내부면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면은 회전 프레임(306)의 내부면에 일치하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가이드 판(314)의 대략 중앙부에는 양측 가이드 판(314)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대향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하는 연결봉(317)이 고정볼트(308)를 통해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 홀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연결봉(317)의 좌측으로는 양측 가이드 판(314)의 대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루(315)가 설치된다.
스크루(315)는 중앙부의 웜 기어(315a)를 중심으로 양측에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가이드 판(314)에는 이러한 각 나사선과 나합하는 너트부가 형성된다.
스크루(315) 중앙부의 웜 기어(315a)는 회전모터(301)의 구동축에 설치된 웜(304)과 맞물리며, 회전모터(301)에 의한 웜(304)의 회전시 그 구동력을 받아 스 크루(315)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모터(301)의 회전시 양측 가이드 판(314)은 서로 간격을 좁히거나 넓히는 상태로 위치 조절이 이뤄지게 된다.
가이드 판(314)의 양단부에는 외부로 확장 형성(일측은 볼트 조립형으로 이뤄짐)된 확장판(314a)이 구비되어, 회전 프레임(306)과의 조립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각 모터 및 실린더의 작동은 롤 연삭기상에 설치된 제어판넬(도면 미도시)을 통해 이뤄질 수 있으며, 적절한 센서의 부착 사용을 통해 그 작동이 자동으로 이뤄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작동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에 롤이 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롤 연삭기의 롤넥크 고정부가 세팅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
압연스탠드 내에서 압연작업을 마치고 롤(101)이 외부로 이송된 후 다음과 같은 순서를 통해 연삭 작업이 이뤄지게 된다.
<1> 도 5의 A 동작(롤 안착작업)
크레인 후크에 매달린 와이어(103)로 줄걸이를 한 후, 조립된 롤(101)과 쵸크(102)를 리모콘으로 권상 운전을 실시하여 연삭기(107)가 있는 곳으로 이동하며, 연삭기(107)와 일직선이 되도록 리모터로 크레인 센터링 작업을 한다.
<2> 도 5의 B 동작(연삭기 트레버스 세팅작업)
연삭기(107)와 센터링이 완료된 롤(101)과 쵸크(102)의 리모터 작업이 끝나면, 매달린 롤(101) 사이즈별 길이에 따라 연삭기(107)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 프레임(202)이 전후진 실린더(204)에 의해 레벨링 프레임(201)을 따라 이동되어 각각의 포지션으로 세팅된다.
<3> 도 5의 C 동작(롤 레벨링 작업)
연삭기(107) 홈포지션과 이동 프레임(202) 세팅 동작이 완료되면, 리모터로 조립된 롤(101)과 쵸크(102)가 다운되어 연삭기(107)의 하부 프레임(207)에 설치된 레벨링 프레임(201)상에 안착된다.
<4> 도 5의 D 동작(롤넥크 고정작업)
레벨링 프레임(201)에 안착된 롤(101)과 쵸크(102)는 레벨링 실린더(206)의 작동에 의해 승강되어 높이가 조절되어, 연삭기(107) 구동 회전부와 정확하게 세팅이 이뤄진다.
이후, 연삭기(107)의 구동 회전부가 작동하여 롤넥크를 잡아준 후 연삭 작업이 이뤄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보면, 롤넥크가 가이드 판(314)의 고정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해 있으면 롤넥크를 바로 홀딩하여 연삭 작업이 이뤄진다.
그러나, 롤넥크의 위치가 가이드 판(314)이 잡아주지 못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구동모터(311)가 작동하고 회전 프레임(306)이 회전하여 가이드 판(314)이 롤넥크를 고정할 수 있는 범위까지 회전 동작을 해주고, 내부의 회전모터(301)가 작 동하여 가이드 판(314)을 내측으로 움직여 롤넥크를 완전하게 고정한 다음 연삭이 이루어진다.
상기 과정 <4> 중에서 롤넥크의 위치가 가이드 판(314)이 잡아주지 못하는 위치에 있을 때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4-a> 도 6의 A 동작
조립된 롤넥크가 회전 프레임(306) 내부의 가이드 판(314) 위치에 들어오면 회전모터(301)가 작동되며, 회전모터(301)와 연결된 웜(304)과 스크루(315)에 형성된 웜기어(315a)가 맞물려 가이드 판(314)을 내측으로 대향 동작시키게 된다.
정상 위치인 상태에서는 가이드 판(314)이 롤넥크를 정확하게 고정하여 롤(101)을 회전시켜 연삭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롤넥크가 홀딩이 되지 않는 부위인 즉 직선면이 안닌 타원형부와 가이드 판(314)의 내측면이 만나게 된다.
<4-b> 도 6의 B 동작
연삭기(107) 내부의 회전모터(301)가 작동하면, 회전모터(301)와 연결 설치된 웜(304)과 스크루(315)의 웜기어(315a)가 맞물려 작동되어 가이드 판(314)을 움직여 롤넥크의 타원형부에 맞닿게 된다.
<4-c> 도 6의 C 동작
연삭기(107) 내부의 구동모터(311)가 작동되며, 구동모터(311)와 맞물린 회 전 프레임(306)이 회전되어 가이드 판(314)이 동시에 회전되며, 이에 따라 롤넥크를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는 위치로 회전 프레임(306)과 가이드 판(314)이 회전 작동된다.
<4-d> 도 6의 D 동작
연삭기(107) 내부의 회전모터(301)가 다시 작동하여 가이드 판(314)을 동작시키며, 롤넥크의 평평한 측면부가 가이드 판(314)의 내측면과 일치된 상태로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후 구동모터(311)에 의해 롤(101)을 회전시키면서 연삭 작업을 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롤과 쵸크를 분해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롤과 조립된 쵸크의 이동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설비와의 충돌 위험 및 상하차시의 전도 및 추돌의 위험을 저감시키며, 롤과 쵸크의 분해 과정에서 발생되었던 설비트러블을 방지한다.
또한, 별도의 분해작업 및 회전용 고정도그의 취부작업, 수작업에 의한 트레버스 세팅이 불필요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한편, 롤에 별도의 회전용 고정도그를 취부할 필요가 없으므로, 롤 연삭시 떨림, 웨이브, 챠탈링 현상이 방지되어 롤 진원도 및 원통도의 형상 제어가 원활하게 이뤄지게 됨으로써, 롤 품질 향상과 설비 파손 예방 등의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중앙부에 레벨링 실린더(206)가 수직 상방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206)의 좌우 양측에는 'ㄷ'자의 내측 단면형을 갖는 좌우측 프레임(208,209)이 각각 대향 설치된 하부 프레임(207);
    'ㄴ'자형의 상부 측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좌우측 프레임(208,209) 사이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이 가이드 되며, 밑면 중앙부에는 상기 레벨링 실린더(206)의 실린더 로드가 고정 결합되어 상하 이동력을 제공받으며, 일측 상부는 사각형의 돌출부로 연장 형성되어 돌출부의 상부면에는 쵸크(102)의 외주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요홈면이 형성된 레벨링 프레임(201);
    상기 레벨링 프레임(201)의 돌출부 반대측 상부에 안착되고, 레벨링 프레임(201)의 측면부에 고정 설치된 전후진 실린더(204)에 의해 전후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며, 반대측 쵸크(102)의 외주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또다른 요홈면이 상부측에 형성된 이동 프레임(202);
    연삭기(107)의 구동 회전부 내에 설치되며, 안착되는 롤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구동축의 단부에 웜(304)이 설치된 회전모터(301);
    안착되는 롤과 동일한 방향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연삭기(107)의 구동 회전부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311)의 구동 기어(320)와 맞물려 회전력을 받도록 외주면을 따라 기어부가 형성된 회전 프레임(306);
    회전 프레임(306) 내부에 2개가 대향 설치되며, 중앙부에 설치된 연결봉(317)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대향 이동하여 연삭 작업시 내부에 위치한 롤넥크를 홀딩하는 가이드 판(314);
    중앙부에 상기 웜(304)과 맞물리는 웜 기어(315a)가 형성되고, 상기 웜 기어(315a)를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각 가이드 판(314)에 관통 나합하는 서로 반대 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모터(301)의 회전시 상기 회전모터(301)의 구동력을 받아 양측 가이드 판(314)의 대향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크루(315);를 포함하여 구성된 롤 연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링 프레임(201)의 상부면은 반 타원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중앙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연삭 작업시 생성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 배출구멍(201b)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연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306)의 일측 내부에는 직사각형의 봉 형상을 갖는 지지판(303)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판(303)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모터(301)의 구동축을 관통 지지하는 연결베어링(30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연삭기.
KR1020030036918A 2003-06-09 2003-06-09 롤 연삭기 KR100979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918A KR100979776B1 (ko) 2003-06-09 2003-06-09 롤 연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6918A KR100979776B1 (ko) 2003-06-09 2003-06-09 롤 연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887A KR20040105887A (ko) 2004-12-17
KR100979776B1 true KR100979776B1 (ko) 2010-09-02

Family

ID=37380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918A KR100979776B1 (ko) 2003-06-09 2003-06-09 롤 연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156B1 (ko) * 2001-11-30 2008-03-1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롤 연마공정의 쵸크 회전방지 장치
CN105666317A (zh) * 2016-02-18 2016-06-15 江苏豪林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木门生产自动抛光装置
CN111300200B (zh) * 2020-03-20 2021-02-26 陈思涵 一种机械配件的自动化磨毛边装置
CN114192893A (zh) * 2021-12-06 2022-03-18 江苏锦航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轧辊表面处理设备及其处理方法
CN116765841B (zh) * 2023-07-20 2024-01-12 浙江仙都缝制设备有限公司 一种缝纫机主轴成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408U (ko) 1984-12-07 1986-06-25
JPS6353653U (ko) 1986-09-26 1988-04-11
KR19980038724U (ko) * 1996-12-19 1998-09-15 김종진 롤 넥크 자동 세척장치
JP2000227423A (ja) 1999-02-05 2000-08-15 Nippon Steel Corp 圧延ロール表面加工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9408U (ko) 1984-12-07 1986-06-25
JPS6353653U (ko) 1986-09-26 1988-04-11
KR19980038724U (ko) * 1996-12-19 1998-09-15 김종진 롤 넥크 자동 세척장치
JP2000227423A (ja) 1999-02-05 2000-08-15 Nippon Steel Corp 圧延ロール表面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887A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1827A2 (en) Tire uniformity inspecting machine
KR100979776B1 (ko) 롤 연삭기
WO2022037082A1 (zh) 一种竖向支撑结构的拆除清运方法
JPH07100163B2 (ja) 圧下可能な水平ロールユニットと鉛直ロールユニットとを備えたユニバーサルロールスタンド
KR102333577B1 (ko) 컴팩트 타입 가공물 반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반전 방법
CN111997410A (zh) 一种竖向支撑结构的拆除清运装置
CN109093206B (zh) 一种工程机械齿轮抛光设备
KR101568524B1 (ko) 감속기용 구동커플링 커버 지지장치
JPH0724845B2 (ja) 自動ロール研削装置
CN108639924B (zh) 一种应用于立式球磨煤机中的检修工字钢自动吊装装置
CN113732897B (zh) 一种机器人打磨、抛光工作站和工作方法
CN104942681A (zh) 打磨设备和打磨系统
JP5613637B2 (ja) 外面突起付き鋼管の突起切削装置
KR101258520B1 (ko) 선반 방진구 쉘 교체장치
KR102080121B1 (ko) 회전구조를 갖는 곡면대상물용 웰드작업장치
KR101797479B1 (ko) 더블 터닝링부를 구비한 선박용 프로펠러 턴 오버 장치
KR20120007511U (ko) 보도블럭 가공장치
CN205817572U (zh) 一种芯轴的自动研磨装置
CN218320480U (zh) 一种用于养护室的混凝土试块搬运装置
KR100782682B1 (ko) 압연롤 회전장치
CN111015413B (zh) 一种圆锯片自动去毛刺装置
CN217860335U (zh) 一种柔性打磨装置
CN214877778U (zh) 一种建筑工程用物料运输施工一体机
CN216465380U (zh) 一种立式砂浆搅拌机的清洗装置
CN214685962U (zh) 一种抛光产品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