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490B1 - 마늘 착즙기 - Google Patents

마늘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490B1
KR100979490B1 KR1020070104544A KR20070104544A KR100979490B1 KR 100979490 B1 KR100979490 B1 KR 100979490B1 KR 1020070104544 A KR1020070104544 A KR 1020070104544A KR 20070104544 A KR20070104544 A KR 20070104544A KR 100979490 B1 KR100979490 B1 KR 10097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garlic
juice
support plate
upp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099A (ko
Inventor
백도웅
이한수
Original Assignee
백도웅
이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도웅, 이한수 filed Critical 백도웅
Priority to KR1020070104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4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착판과 지지판 사이에 거름망 역할을 하는 상부벨트를 형성함으로써, 착즙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마늘을 다량으로 동시에 효과적으로 착즙할 수 있는 마늘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늘 착즙기는, 직물로 제작된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상기 상부벨트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벨트를 지지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상부벨트의 상면에 마늘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상부벨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벨트에 공급된 마늘을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서 착즙하는 압착판; 및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착즙된 마늘즙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 직물벨트, 지지판, 공급부, 압착판, 수거부, 분사노즐

Description

마늘 착즙기 {Juicer for garlic}
본 발명은 마늘 또는 다진 마늘에서 마늘즙을 추출하는 마늘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 압착판과 지지판 사이에 거름망 역할을 하는 상부벨트를 형성함으로써, 착즙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마늘을 다량으로 동시에 효과적으로 착즙할 수 있는 마늘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즙기는 각종 야채 및 과일 등을 분쇄한 다음 압착하여 야채즙이나 과일 쥬스 등을 만들기 위한 장치이다.
예전에는 먹거리가 충분하지 못하여 단백질 등의 3대 영양소의 부족이 질병의 원인이었으나 근래에는 기름진 음식의 과다한 섭취로 인해 생식품에 함유된 여러 가지 영양소의 부족으로 체내 독성물질이 누적되어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웰빙 열풍과 함께 생식품(과일, 녹색 채소, 잎, 칡뿌리 등)으로부터 생즙을 추출하여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각광을 받게 되었으며, 최근에는 마늘 이 혈압을 낮추고 혈전 생성을 억제하며 나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위암을 예방하며 면역 기능을 강화시키고 뛰어난 독소 배출 효능을 갖는 것으로 잘 알려지면서 각종 양념이나 육류에 곁들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육류에 곁들이거나 양념으로 사용할 경우에 마늘을 압착하여 으깨거나 잘 다지는 과정이 요구되고, 마늘을 다지기 위해서는 마늘을 도마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칼로 잘게 분쇄하거나 칼자루로 찧어야 하고, 소형 절구통에 마늘을 넣고 절구로 찧어야 하는 과정 등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마늘을 으깨거나 다질 경우 절구를 이용하더라도 힘이 너무 많이 들어 번거롭고, 칼을 이용할 경우에는 조리사가 손을 다치는 부상을 입을 수 있으며, 마늘이 튀어나가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하여 통상적으로 압착 스크류를 사용하는 착즙기를 이용하여 마늘즙을 제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상기와 같은 착즙기는 신선초, 당근, 케일 등 수분 함유량이 보통인 야채만을 효과적으로 착즙하기 위한 구조로서 수분이 아주 적거나 아주 많은 경우에는 착즙의 상태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많은 음식물에 양념으로 사용되고 그 약리효과도 과학적으로 입증된 마늘의 경우 수분 함유량이 적어 상기와 같은 압착 스크류를 이용한 착즙기로는 착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거의 마늘즙(마늘액)이 생성되지 않을 뿐 아니라 대부분의 착즙기가 소형이어서 다량의 마늘즙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착판과 지지판 사이에 거름망 역할을 하는 상부벨트를 형성함으로써, 착즙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마늘을 다량으로 동시에 효과적으로 착즙할 수 있는 마늘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부벨트에 공급되는 마늘이 압착시에 전후좌우로 충분히 퍼질 수 있어 착즙 효율이 향상되고, 하부벨트에서 마늘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반복적으로 마늘즙(마늘액)을 생산할 수 있는 사이클이 구성되는 마늘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마늘 착즙기는, 직물로 제작된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상기 상부벨트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벨트를 지지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상부벨트의 상면에 마늘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상부벨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벨트에 공급된 마늘을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서 착즙하는 압착판; 및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착즙된 마늘즙을 수거하는 수거부를 포함한다.
삭제
압착판과 지지판 사이에 거름망 역할을 하는 직물벨트를 형성함으로써, 착즙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마늘을 다량으로 동시에 효과적으로 착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벨트에 공급되는 마늘은 압착시에 전후좌우로 충분히 퍼질 수 있어 착즙 효율이 향상되고, 하부벨트에서 마늘찌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반복적으로 마늘즙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늘 착즙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0), 지지판(20), 공급부(30), 압착판(40), 및 수거부(50)를 포함한다.
벨트 컨베이어(10)는 구동롤러(13)와 종속롤러(14); 구동롤러(13)와 종속롤러(14)의 사이에 형성된 상부벨트(11)와 하부벨트(12); 및 구동롤러(13)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5)를 포함한다. 이때, 상부벨트(11)와 하부벨트(12) 사이의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종속롤러(14)를 추가적으로 더 설치할 수 있고, 상부벨트(11) 및 하부벨트(12)는 메쉬가 형성되도록 직물로 제작된 직물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며, 마늘즙의 상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메쉬의 직물벨트가 사용될 수 있고, 메쉬가 커짐에 따라 마늘즙은 알갱이가 거의 없는 액체와 같게 되며, 직물벨트는 100∼2000 메쉬(mesh)인 것이 바람직하다. 1 메쉬는 일반적으로 1 inch에 형성되는 격자 공간의 개수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100 메쉬는 단위 길이(25.4㎜)에 0.254㎜의 격자 공간이 100개 형성되는 것을 말하며, 요구되는 메쉬가 형성되고 벨트 컨베이어로 구동될 수 있을 정도의 강성을 지닌 벨트라면, 직물벨트를 대신하여 다양한 재질의 벨트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직물벨트가 구동롤러(13) 및 종속롤러(14) 상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을 크게 하기 위하여 구동롤러(13) 및 종속롤러(14)의 표면은 고무 또는 우레탄 등의 재질로 처리될 수 있고, 구동롤러(13) 및 종속롤러(14)는 녹이 슬지않는 스테인리스 등으로 제작되거나 마찰과 강도가 큰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도 있다.
벨트 컨베이어(10)의 상부벨트(11)의 상면에는 마늘을 공급하는 공급부(30)가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공급부(30)는 상부벨트(11)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여 마늘을 공급하는 호퍼 또는 다양한 형태의 컨베이어일 수 있으며, 공급되는 마늘이 다진 마늘(어느 정도 분쇄된 마늘)일 경우에는 피스톤 또는 분사구 등이 연결된 공급관이나, 컨베이어가 공급부(30)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분사구에는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와,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와, 공기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될 수 있고, 공급관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다진 마늘을 공급하게 된다.
공급부(30)에 의해 상부벨트(11)의 상면에 마늘이 공급되는 동안 벨트 컨베이어(10)는 구동하게 되고, 상부벨트(11)의 상면에 마늘이 균일하게 공급된 후에 공급부(30)는 마늘의 공급을 중지하게 되며, 벨트 컨베이어(10)도 구동을 멈추게 되고, 공급된 마늘의 착즙이 시작된다.
또한, 상부벨트(11)의 하면에는 상부벨트(11)를 지지하는 지지판(20)이 형성되고, 지지판(20)에는 다수의 배출공(21)이 형성되어 있어 착즙된 마늘즙이 통과할 수 있으며, 배출공(21)은 원형, 다각형 또는 지지판(20)의 폭 방향으로 길쭉한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고, 배출공(21)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의 형상인 것이 마늘즙의 원활한 배출에 도움이 된다. 이때, 지지판(20)에 열선을 형성하여 지지판(20)을 일정 온도로 가열하고 온도 상승으로 인해 마늘즙의 점성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지지판(20)은 마늘 착즙시에는 후술하는 압착판(40)의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고, 벨트 컨베이어(10)의 구동시에는 직물벨트가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아이들러(idl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마늘의 착즙을 위하여 상부벨트(11)의 상부에는 압착판(40)이 형성되고, 압 착판(40)은 상하로 이동하여 상부벨트(11)에 공급된 마늘을 지지판(20)과의 사이에서 착즙하게 된다. 압착판(4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유압실린더(41)가 사용되고, 압착 압력은 요구되는 마늘즙의 상태 또는 직물벨트의 메쉬 등에 의하여 적당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100∼800 kgf/㎠의 압착 압력을 나타내는 다양한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판(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거부(50)는 지지판(20)과 압착판(40)의 사이에서 착즙된 마늘즙을 수거하여 저장탱크(미도시)에 모으게 된다. 이때, 수거부(50)는 지지판(20)과 하부벨트(12) 사이에 형성되므로 수거부(50)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하여 종속롤러(14)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부벨트(11)와 하부벨트(12)가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착즙이 완료되면 벨트 컨베이어(10)는 다시 구동하게 되며, 착즙시의 상부벨트(11)가 회전하여 하부벨트(12)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착즙시의 하부벨트(12)도 회전하여 상부벨트(11)에 위치하게 되며, 상부벨트(11)에는 다시 마늘이 공급되는 것이다.
상부벨트(11)가 회전하여 하부벨트(12)에 위치하더라도 착즙시에 직물벨트에 부착된 마늘찌꺼기는 중력에 의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므로 마늘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제1분사노즐(61)이 형성된다. 이때, 제1분사노즐(61)은 하부벨트(12)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벨트(12)에 부착된 마늘찌꺼기를 제거하게 되고, 제1분사노즐(61)을 대신하여 긁개(scraper)를 하부벨트(12)와 접촉하도록 형성하여 회전하는 하부벨트(12)에서 마늘찌꺼기를 긁어내게 할 수도 있다.
또한, 하부벨트(12)에 부착된 마늘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물을 분사하는 제2분사노즐(62)을 하부벨트(12)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설치할 수 있고, 하부벨트(12)에 물이 분사되면 하부벨트(12)의 메쉬에 형성된 미세한 마늘찌꺼기까지 거의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분사노즐(61)과 제2분사노즐(62)을 전후로 설치하여 하부벨트(12)의 표면에 부착된 덩어리 마늘찌꺼기는 제1분사노즐(61)로 제거하고, 하부벨트(12)의 메쉬에 형성된 미세한 마늘찌꺼기는 제2분사노즐(62)로 제거하여 직물벨트에 부착된 마늘찌꺼기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제1분사노즐(61)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와 압축공기의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제2분사노즐(62)은 물을 공급하는 펌프와 물의 분사 여부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고압의 물을 분사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직물벨트에 부착된 마늘찌꺼기를 제거하지 않으면 직물벨트의 메쉬가 막혀 다음 단계에서는 착즙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분사노즐(62)이 사용되면, 젖은 직물벨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64)가 요구되고, 제2분사노즐(62)의 후방에 위치하는 건조부(64)는 직물벨트에 열풍을 분사하여 하부벨트(12)를 건조시키거나, 직물벨트 부근의 공기를 흡입하여 직물벨트의 물기를 동시에 흡입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이때, 열풍을 분사하는 건조 부(64)는 하부벨트(12)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공기를 흡입하는 건조부(64)는 하부벨트(12)의 하부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분사노즐(62)과 건조부(64) 사이에 하부벨트(12)를 압착하는 탈수롤러(63)를 형성하여 건조부(64) 통과 전에 물기를 1차적으로 제거시켜주는 것이 하부벨트(12)의 건조에 효과적일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늘 착즙기의 기능 및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압착판(40)과 지지판(20) 사이에서 마늘을 착즙하여 다량의 마늘즙(마늘액)을 동시에 생산할 수 있으며, 압착판(40)과 지지판(20) 사이에 위치하는 직물벨트가 착즙된 마늘찌꺼기를 모두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직물벨트에 부착된 마늘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하부벨트(12)에 공기 및/또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 또는 긁개(미도시)를 배치하고, 직물벨트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롤러(63) 및/또는 건조부(64)를 후방에 배치하여 다음 착즙 공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벨트 컨베이어(10)가 구동하는 동안 공급부(30)에 의해 상부벨트(11)의 일측 상면에 마늘이 공급되고, 상부벨트(11)의 타측 상면까지 마늘이 공급되면 공급부(30)와 벨트 컨베이어(10)는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부벨트(11)의 상면 전체에 마늘이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착즙시에 마늘이 밀려나는 것을 감안하여 상부벨트(11)의 전후좌우 끝단으로부터 어느 정도 여유 공간을 확보하고, 동시에 압착 판(40)의 크기보다 작은 면적의 상부벨트(11)에 마늘이 공급된다.
또한, 벨트 컨베이어(10)가 구동하는 동안 하부벨트(12)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위치한 제1분사노즐(61)은 공기를 분사하여 하부벨트(12)에 부착된 덩어리 마늘찌꺼기를 먼저 제거하고, 제2분사노즐(62)에 의해 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하부벨트(12)의 메쉬에 형성된 미세한 마늘찌꺼기를 완전하게 제거하며, 하부벨트(12)에서 제거된 마늘찌꺼기는 배출부(미도시)에 모이게 되고, 젖은 하부벨트(12)는 하부벨트(12)를 압착하는 탈수롤러(63)를 통과한 후에 열풍이 분사되는 건조부(64)을 통과하여 건조된다.
착즙하는 동안 벨트 컨베이어(10)와 공급부(30)는 정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유압실린더(41)에 의해 압착판(40)이 하부로 이동하여 압착판(40)과 지지판(20) 사이에서 공급된 마늘이 착즙되며, 착즙된 마늘즙은 상부벨트(11)의 메쉬로 여과되어 지지판(20)의 배출공(21)을 통과하여 수거부(50)에 모이게 된다. 이때, 상부벨트(11)에서 압착되는 마늘은 압착판(40)과 지지판(20)의 사이에서 전후좌우로 충분히 퍼질 수 있으므로 완전히 밀폐된 공간에서 압착되는 경우보다 착즙 효율이 향상된다.
착즙이 완료되면 벨트 컨베이어(10)는 다시 구동하게 되고, 공급부(30), 제1분사노즐(61), 제2분사노즐(62), 탈수롤러(63) 및 건조부(64)도 동시에 작동되며, 착즙시의 상부벨트(11)는 회전하여 하부벨트(12)에 위치하게 되고, 착즙시의 하부벨트(12)는 마늘찌꺼기가 완전히 제거되면서 회전하여 상부벨트(11)에 위치하게 되며, 상부벨트(11)에는 공급부(30)에 의해 다시 마늘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10) 구동 중에 상부벨트(11)에 마늘이 공급되는 과정과 하부벨트(12)에서 마늘찌꺼기가 제거되는 과정이 동시에 진행되고, 벨트 컨베이어(10) 정지 중에 상부벨트(11)를 거름망으로 활용하여 압착판(40)과 지지판(20) 사이의 착즙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마늘 착즙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량의 즙 또는 액이 요구되는 다양한 채소 또는 과일 등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고, 어느 정도 분쇄된 채소 또는 과일이 공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삭제
삭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착즙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착즙기의 작동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늘 착즙기의 지지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벨트 컨베이어 11: 상부벨트
12: 하부벨트 20: 지지판
21: 배출공 30: 공급부
40: 압착판 41: 유압실린더
50: 수거부 61: 제1분사노즐
62: 제2분사노즐 63: 탈수롤러
64: 건조부

Claims (6)

  1. 직물로 제작된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상기 상부벨트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벨트를 지지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상부벨트의 상면에 마늘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상부벨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벨트에 공급된 마늘을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서 착즙하는 압착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착즙된 마늘즙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기 하부벨트에 부착된 마늘찌꺼기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제거하는 제1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착즙기.
  2. 직물로 제작된 상부벨트와 하부벨트를 포함하는 벨트 컨베이어;
    상기 상부벨트의 하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벨트를 지지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상부벨트의 상면에 마늘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상부벨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벨트에 공급된 마늘을 상기 지지판과의 사이에서 착즙하는 압착판;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착즙된 마늘즙을 수거하는 수거부; 및
    상기 하부벨트에 부착된 마늘찌꺼기에 물을 분사하여 제거하는 제2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착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사노즐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벨트를 압착하는 탈수롤러; 및
    상기 탈수롤러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벨트를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착즙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원형, 다각형 또는 상기 지지판의 폭 방향으로 길쭉한 직사각형이고,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착즙기.
  5. 삭제
  6. 삭제
KR1020070104544A 2007-10-17 2007-10-17 마늘 착즙기 KR10097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544A KR100979490B1 (ko) 2007-10-17 2007-10-17 마늘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544A KR100979490B1 (ko) 2007-10-17 2007-10-17 마늘 착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099A KR20090039099A (ko) 2009-04-22
KR100979490B1 true KR100979490B1 (ko) 2010-09-02

Family

ID=40763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544A KR100979490B1 (ko) 2007-10-17 2007-10-17 마늘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4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6670B (zh) * 2019-09-04 2021-09-07 徐州工程学院 一种食品加工机渣汁分离装置
CN113287760A (zh) * 2021-06-21 2021-08-24 合肥工业大学 一种草莓连续化去蒂榨汁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70A (ko) * 1993-06-09 1995-01-03 이문현 컨베이어형 착즙기
KR200257533Y1 (ko) * 2001-09-27 2001-12-29 김희주 과즙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070A (ko) * 1993-06-09 1995-01-03 이문현 컨베이어형 착즙기
KR200257533Y1 (ko) * 2001-09-27 2001-12-29 김희주 과즙 추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099A (ko) 200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9361C1 (ru) Соковыжималка
TWM483748U (zh) 網格筒以及包含此網格筒的榨汁機
KR102210248B1 (ko) 벨트 프레스식 착즙장치
CN112279395B (zh) 一种可降低污泥排放的污水处理装置
CN113502188A (zh) 一种油茶一体化加工装置
KR200901145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79490B1 (ko) 마늘 착즙기
CN111034775B (zh) 一种鱼冻加工中鱼处理装置
US4467715A (en) Moisture reducing ram press
KR101019343B1 (ko) 마늘액 제조방법
KR20070038082A (ko) 음식물 쓰레기 탈수방법 및 탈수장치
CN208807596U (zh) 一种全自动剁辣椒生产加工设备
CN112106913A (zh) 一种鲍鱼汁液的提取设备及其工艺
CN108935612B (zh) 一种腌制鲢鱼用切块处理机构
CN209332727U (zh) 一种高效中药饮片炮制装置
CN114424816A (zh) 一种基于肉类深加工的加工工艺
KR101528218B1 (ko) 양파즙 추출장치
RU24109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жима сока
CN209123431U (zh) 一种沼渣分离专用机
CN112156830A (zh) 一种豆类饲料生产加工设备
CN213856281U (zh) 一种便于分类处理的厨余垃圾处理器
CN103431179A (zh) 一种利用橙制备生物饲料的方法及设备
CN218096979U (zh) 一种食品加工用高压脱水装置
KR20200021692A (ko) 해삼 가공장치 및 방법
CN215360017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餐厨垃圾压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