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656B1 - 필름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필름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656B1
KR100978656B1 KR1020080051808A KR20080051808A KR100978656B1 KR 100978656 B1 KR100978656 B1 KR 100978656B1 KR 1020080051808 A KR1020080051808 A KR 1020080051808A KR 20080051808 A KR20080051808 A KR 20080051808A KR 100978656 B1 KR100978656 B1 KR 100978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rum
winding
drums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5612A (ko
Inventor
장훈근
나기룡
신원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656B1/ko
Publication of KR20090125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5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6Securing handled material to another material
    • B65H2301/5162Coating, applying liquid or layer of any material to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7Dry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는, 필름이 감기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필름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드럼; 감겨있는 상기 필름을 풀어서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며, 상기 드럼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상기 필름이 나선방향으로 감기도록 하는 권출부;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필름을 감으며, 상기 드럼에 감긴 필름의 나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권취부; 및 상기 각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이송 장치{APPARATUS FOR FILM TRANSFERRING}
본 발명은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 투 롤 (Roll to Roll) 방식에 의해 필름에 소정의 전도체/유전체 패턴 막을 형성시키고 그 필름을 이송시키는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투 롤 (Roll to Roll) 방식에 의한 필름 이송 방법은 박막 제조 (인쇄, 코팅, 증착, 압착 등) 공정에 있어서 산업 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롤 투 롤 방식의 이송장치의 경우 권출(Unwinding), 전공정(Pre-Process), 공정(Process), 후공정(Post-Process) 및 권취(Winding)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롤 투 롤 공정의 경우 일측에서 프로세스를 수행하고 다른 쪽에서 후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막 형성에 사용되는 잉크 등의 건조 특성 및 물성에 따라 막이 형성된 부분이 롤러에 접촉되어서는 안되는 경우에는 필름을 구부릴 수 없기 때문에 후공정을 위하여 필름을 직선으로 이송하도록 소정의 장치들을 배치할 수밖에 없어 전체 설비의 크기를 증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소정의 막이 형성된 필름을 이송함에 있어서 필름의 곡률 변화를 최소화하고 필름의 이송구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필름의 건조에 필요한 충분한 거리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프로세스의 길이를 대폭 축소시켜 전체 설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필름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는, 필름이 감기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필름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드럼; 감겨있는 상기 필름을 풀어서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며, 상기 드럼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상기 필름이 나선방향으로 감기도록 하는 권출부;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필름을 감으며, 상기 드럼에 감긴 필름의 나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권취부; 및 상기 각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드럼이 직렬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드럼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드럼이 병렬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드럼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출부는, 감겨있는 상기 필름을 풀어서 상기 복수개의 드럼 중 첫번째 드럼에 공급하는 권출롤러와, 상기 권출롤러와 상기 첫번째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에 소정의 패턴 막을 형성시키는 막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취부는, 상기 복수개의 드럼 중 마지막 드럼으로부터 나선방향으로 진행하는 상기 필름을 감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권취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롤러와 상기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에 또 다른 패턴막을 형성시키는 또 다른 막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드럼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막형성부에서 막이 형성된 필름을 각각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출부의 필름 이송방향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축의 법선이 이루는 각 (θ1)은 실질적으로 0˚ < θ1 < 90˚의 범위를 만족시키며,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축의 법선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360˚ - θ1의 각도로 상기 필름을 제공받아 나선방향으로 감으면서 이송하여 다음 드럼으로 실질적으로 θ1과 동일한 각도로 상기 필름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권출부의 필름 이송방향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축의 법선이 이루는 각 (θ1)은 실질적으로 0˚ < θ1 < 90˚의 범위를 만족시키며,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축의 법선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θ1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필름을 제공받아 나선방향으로 감으면서 이송하여 다음 드럼으로 실질적으로 360˚ - θ1의 각도로 상기 필름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는 소정의 막이 형성된 필름을 이송함에 있어서 필름의 곡률 변화를 최소화하고 필름의 이송구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필름의 건조에 필요한 충분한 거리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여 전체 프로세스의 길이를 대폭 축소시켜 전체 설비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드럼을 직렬 및/또는 병 렬로 자유자재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어 설비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는 드럼(30), 권출부(10), 권취부(20), 그리고 건조부(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권출부(10)는 감겨있는 필름(1)을 풀어서 드럼(30) 쪽으로 공급하는 권출롤러(11)와, 상기 권출롤러(11)로부터 공급되는 필름(1)에 소정의 패턴 막을 형성시키는 막형성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막형성부(12)는 필름(1)에 전도체/유전체 패턴 막을 인쇄나 코팅, 증착 또는 압착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드럼(30)은 상기 권출롤러(11)로부터 공급되어 막형성부(12)에서 소정의 막이 형성되어 이송되어 온 필름(2)을 귄취부(20)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필름(2)이 드럼(30)의 횡방향으로 복수회 감길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구비된다.
상기 드럼(30)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필름(2)을 권출부(10)로부터 권취부(20)로 이송한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20)는 상기 드럼(30)에 의해 이송되어 온 필름(2)을 감도록 구비되는 권취롤러(21)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30)에는 건조부(50)가 구비되어 막형성부(12)에서 형성된 막이 필름(2)에서 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출부(10)와 권취부(20)가 드럼(30)에 대하여 소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구비되고, 필름(2)이 드럼(30)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나선방향으로 복수회 감겨서 이송되는 것이 특징이다.
권출부(10)가 기울어진 각도, 즉 드럼(30)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축의 법선과 상기 권출부(10)의 필름이송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1이다.
상기 θ1은 0˚ 보다는 크고 90˚ 보다는 더 작은 각도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권출부(10)가 드럼(30)에 대해 비스듬하게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권출부(10)가 비스듬하게 구비되면 상기 권출부(10)로부터 공급되는 필름(1)도 θ1의 각도로 드럼(30)에 감기게 되고, 필름(2)은 드럼(30)에서 나선 방향으로 감기게 된다.
드럼(30)에서 나선방향으로 복수회 감기는 필름(2)은 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이 드럼(30)에 접촉되도록 감기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한편, 권취부(20)가 기울어진 각도, 즉 드럼(30)의 회전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축의 법선과 상기 권취부(20)의 필름이송방향이 이루는 각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θ2이다.
상기 θ2는 360˚- θ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권출부(10)와 권취부(20)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기울어져 있는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럼(30)을 나선방향으로 진행하는 필름(2)이 그 진행각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권취부(20)에 감길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의 구성에 의해 필름(2)은 드럼(30)에 한 번만 감기는 것이 아니라 여러 번 감길 수 있어 필름 이송 구간의 길이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다.
즉 필름(2)이 일직선으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장치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의하면 필름(2)이 나선방향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필름 이송 구간이 대폭 축소된다.
그리고 드럼(30)에 나선방향으로 여러 번 감긴 필름(2)을 한꺼번에 건조 부(50)에서 건조할 수 있으므로 건조부(50)의 크기를 작게할 수 있다.
즉 필름(2)이 일직선으로 이송되는 경우에는 필름의 건조를 위해 건조기의 길이도 그에 따라 길게 할 수밖에 없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서는 건조부(50)의 크기를 작게 하여도 충분한 길이의 필름을 충분히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드럼과 안내롤러가 직렬로 배치된 것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는 복수개의 드럼과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드럼이 3개 구비되고 안내롤러가 2개 구비된 경우에 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드럼이 2개 이상인 경우, 그리고 안내롤러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가능하다.
도 3에서 안내롤러(61, 62)는 이송되는 필름의 방향을 전화시켜 복수개의 드럼(31, 32, 33)이 직렬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안내롤러(61, 62)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개의 드럼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때에는 반드시 직렬로 배치되지는 않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는 제1 드럼(31), 제2 드럼(32), 그리고 제3 드럼(33)을 포함하고, 제1 드럼(31)과 제2 드럼(32) 사이에 제 1 안내롤러(61)가 구비되고, 제2 드럼(32)과 제3 드럼(33) 사이에 제2 안내롤러(62)가 구비된다.
권출부(10)는 제1 드럼(31) 쪽에 구비되고 권취부(20)는 제3 드럼(33) 쪽에 구비되고, 제1 드럼(31)이 이송하는 필름(2)에 소정의 막을 형성시키도록 제1 막형성부(12)가 구비되고, 제 2 드럼(32)이 이송하는 필름(3)에 소정의 막을 형성시키도록 제2 막형성부(13)가 구비되며, 제3 드럼(33)이 이송하는 필름(4)에 소정의 막을 형성시키도록 제3 막형성부(14)가 구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드럼(31)에 의해 이송되는 필름(2)에 또 다른 패턴 막을 제2 막형성부(13)가 형성시키고, 그 또 다른 막이 형성된 필름(3)을 제2 드럼(32)이 이송시키며, 그 필름(3)에 또 다른 패턴 막을 제3 막형성부(14)가 형성시켜 제3 드럼(33)이 이송시킨다.
그리고 제1 드럼(31)에는 필름(2)을 건조시키도록 제1 건조부(51)가 구비되고, 제2 드럼(32)에는 또 다른 막이 형성된 필름(3)을 건조시키도록 제2 건조부(52)가 구비되며, 제3 드럼(33)에는 또 다른 막이 형성된 필름(4)을 건조시키도록 제3 건조부(53)가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드럼(31, 32, 33)에서 필름(2, 3, 4)의 이송 방향은 나선 방향이며 그 이송 방향의 각도는 권출부(10)와 권취부(20)의 기울어진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권출부(10)와 권취부(20)의 기울어진 각도에 관하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드럼을 직렬로 배치하여 설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드럼과 안내롤러가 병렬로 배치된 것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와 같이 복수개의 드럼과 안내롤러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드럼이 직렬로 배치되는 반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드럼이 병렬로 배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드럼(31)과 제2 드럼(32) 사이에 제1 병렬 안내롤러(63)가 구비되고, 제2 드럼(32)과 제3 드럼(33) 사이에 제2 병렬 안내롤러(64)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병렬 안내롤러(63)와 제2 병렬 안내롤러(64)는 상기 각 드럼(31, 32, 33)에 대해 대략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구비되어 필름의 이송 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병렬 안내롤러(63)와 제2 병렬 안내롤러(64)에 의해 필름의 이송 방향이 전화되어 복수개의 드럼(31, 32, 33)이 병렬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 이외에 권출부(10)와 권취부(20)에 관한 사항, 각 필름의 이송 방향 및 각도 등에 관한 사항, 그리고 건조부(51, 52, 53) 등에 관한 사항 등은 모두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면상으로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도 3에 도시된 안내롤러(61, 62)와 도 4에 도시된 안내롤러(63, 64)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복수개의 드럼이 직렬 및 병렬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드럼을 직렬 및/또는 병렬로 자유자재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설비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이송 장치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4)

  1. 필름이 감기며 회전에 의해 상기 필름을 이송하는 복수개의 드럼;
    감겨있는 상기 필름을 풀어서 상기 드럼으로 공급하며, 상기 드럼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를 이루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상기 필름이 나선방향으로 감기도록 하는 권출부;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필름을 감으며, 상기 드럼에 감긴 필름의 나선방향에 대응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지게 구비되는 권취부; 및
    상기 각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의 이송방향을 조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롤러;를 포함하는 필름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드럼이 직렬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드럼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드럼이 병렬로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각 드럼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권출부는,
    감겨있는 상기 필름을 풀어서 상기 복수개의 드럼 중 첫번째 드럼에 공급하는 권출롤러와,
    상기 권출롤러와 상기 첫번째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에 소정의 패턴 막을 형성시키는 막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복수개의 드럼 중 마지막 드럼으로부터 나선방향으로 진행하는 상기 필름을 감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권취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롤러와 상기 드럼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름에 또 다른 패턴막을 형성시키는 또 다른 막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드럼에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막형성부에서 막이 형성된 필름을 각각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 장치.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권출부의 필름 이송방향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축의 법선이 이루는 각 (θ1)은 실질적으로 0˚ < θ1 < 90˚의 범위를 만족시키며,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축의 법선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360˚ - θ1의 각도로 상기 필름을 제공받아 나선방향으로 감으면서 이송하여 다음 드럼으로 실질적으로 θ1과 동일한 각도로 상기 필름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 장치.
  14.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권출부의 필름 이송방향과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축의 법선이 이루는 각 (θ1)은 실질적으로 0˚ < θ1 < 90˚의 범위를 만족시키며,
    상기 안내롤러는 상기 드럼의 회전중심축의 법선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θ1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필름을 제공받아 나선방향으로 감으면서 이송하여 다음 드럼으로 실질적으로 360˚ - θ1의 각도로 상기 필름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이송 장치.
KR1020080051808A 2008-06-02 2008-06-02 필름 이송 장치 KR100978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808A KR100978656B1 (ko) 2008-06-02 2008-06-02 필름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808A KR100978656B1 (ko) 2008-06-02 2008-06-02 필름 이송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3639A Division KR20100053498A (ko) 2010-05-10 2010-05-10 필름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612A KR20090125612A (ko) 2009-12-07
KR100978656B1 true KR100978656B1 (ko) 2010-08-30

Family

ID=4168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808A KR100978656B1 (ko) 2008-06-02 2008-06-02 필름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6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228A (ja) * 1995-10-05 1997-04-15 Chodendo Hatsuden Kanren Kiki Zairyo Gijutsu Kenkyu Kumiai 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KR20080033513A (ko) * 2003-02-20 2008-04-16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 실장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의 반송장치 및반송방법
KR20080082265A (ko) * 2007-03-08 2008-09-11 한국과학기술원 초전도 테이프 선재의 연속 제조장치
KR20090102708A (ko) * 2008-03-25 2009-09-3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지지 롤러, 웹 반송 방법, 용액 캐스팅 방법 및 용액 캐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228A (ja) * 1995-10-05 1997-04-15 Chodendo Hatsuden Kanren Kiki Zairyo Gijutsu Kenkyu Kumiai 酸化物超電導線材の製造方法
KR20080033513A (ko) * 2003-02-20 2008-04-16 미쓰이 긴조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자부품 실장용 필름 캐리어 테이프의 반송장치 및반송방법
KR20080082265A (ko) * 2007-03-08 2008-09-11 한국과학기술원 초전도 테이프 선재의 연속 제조장치
KR20090102708A (ko) * 2008-03-25 2009-09-30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지지 롤러, 웹 반송 방법, 용액 캐스팅 방법 및 용액 캐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5612A (ko) 2009-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88311A (ja) 薄型ウエブにおいて皺を防止する方法と装置
JP6093244B2 (ja) 両面塗工システム
KR20150048809A (ko) 유리 필름 반송 장치
JP5109301B2 (ja) 成膜装置および成膜方法
US8900365B2 (en) Apparatus for depositing material on elongate substrate
WO2005095241A1 (ja) サクション装置及び積層シートの搬送方法
US10172383B2 (en) Drying device and cigarette wrapping paper manufacturing machine using the drying device
KR100928222B1 (ko) 가이드 롤러가 구비된 장선 증착 장치
KR20150010615A (ko) 스퍼터 장치
KR100978656B1 (ko) 필름 이송 장치
CN108118306B (zh) 卷到卷基底沉积设备
KR20100053498A (ko) 필름 이송 장치
JP2004123247A (ja) 多層逐次塗布装置のウエブ搬送制御方法
JP4143520B2 (ja) 無接触搬送装置
KR20120090057A (ko) 스트립형 재료를 이송하기 위한 장치
JP2004352427A (ja) 搬送装置
KR20180138400A (ko) 롤투롤 공정 기반의 비접촉 반송 및 제어 장치
JP3328738B2 (ja) ロール搬送装置
KR101066219B1 (ko) 산업용 롤러
JP2009101555A (ja) 板体の搬送方法及びその装置
EP2279973A1 (en) Device for processing a foil substrate
JP2007223682A (ja) ローラー式搬送装置
JP2003181858A5 (ko)
CN100581963C (zh) 片材放置输送器、设置该输送器的打印机及片材放置方法
JP4224814B2 (ja) 逐次塗布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