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327B1 -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 Google Patents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327B1
KR100978327B1 KR1020077026483A KR20077026483A KR100978327B1 KR 100978327 B1 KR100978327 B1 KR 100978327B1 KR 1020077026483 A KR1020077026483 A KR 1020077026483A KR 20077026483 A KR20077026483 A KR 20077026483A KR 100978327 B1 KR100978327 B1 KR 100978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station
transmission block
transmission
transmiss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961A (ko
Inventor
마사후미 우스다
아닐 우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8000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 H04W52/26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transmission rate or quality of service QoS [Quality of Service] taking into account the quality of service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을 검출할 수 없는 상황이 되는 것을 방지해서, 더욱 안정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은, 이동국(UE)이, 무선 기지국(Node B)에 대하여 송신할 정보가 없는 경우에,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이동국(UE)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의해 통지된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송신 블록을 무선 기지국(Node B)에 대해서 송신하는 단계; 무선 기지국(Node B)이 송신 타이밍에 따라 송신 블록을 수신하는 단계; 및 무선 기지국(Node B)이 송신 블록의 수신 품질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MOBILE STATION,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NETWORK CONTROL STATION}
본 발명은, 업링크를 통해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이, 이동국(UE)으로부터 무선 기지국(NodeB)으로 향하는 업링크에서, 무선 기지국(NodeB)의 무선 리소스, 업링크에서의 간섭량, 이동국(UE)의 송신 전력, 이동국(UE)의 송신 처리 성능, 상위의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전송 속도 등을 감안하여, 개별 채널의 전송 속도를 결정하고, 결정한 개별 채널의 전송 속도를 계층-3(Radio Resource Control Layer)의 메시지에 의해, 이동국(UE) 및 무선 기지국(NodeB)의 각각에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무선 기지국(NodeB)의 상위에 위치하며, 무선 기지국(NodeB)이나 이동국(UE)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은, 음성 통신이나 TV 통신에 비해, 트래픽이 버스 트(burst)하게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채널의 전송 속도를 고속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많은 무선 기지국(NodeB)을 총괄하여 제어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처리 부하나 처리 지연 등의 이유에 의해, 채널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고속(예컨대, 1~10O ms 정도)으로 행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채널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할 수 있다고 해도, 장치의 실장 비용이나 네트워크의 운용 비용이 크게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수백 밀리 초 내지 수 초 정도로 채널의 전송 속도의 변경 제어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가 버스트적으로 송신되는 경우,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 높은 지연 및 낮은 전송 효율을 허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도 11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 통신용의 무선 리소스를 확보하여, 이용가능한 상태의 무선 대역 리소스나 무선 기지국(NodeB)에서의 하드웨어 리소스가 낭비되는 것을 허용해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다만, 도 11에서, 세로축의 무선 리소스에는, 전술한 무선 대역 리소스 및 하드웨어 리소스의 양쪽을 적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국제 표준화 단체인 "3GPP" 및 "3GPP2"에서, 무선 리소스를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 무선 기지국(NodeB)과 이동국(UE) 사이의 계층-1 및 MAC 하위 계층(계층-2)에서의 고속의 무선 리소스 제어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 이하, 이러한 검토 또는 검토된 기능을 총칭해 "인핸스드 업링크(EUL: Enhanced Uplink)"라고 한다.
도 12를 참조하여, 인핸스드 업링크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간단히 나타내기 위해, 도 12의 예에서는, RF부나 안테나부 등과 같이 설명의 필요가 없는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첫 번째로, 인핸스드 업링크에서의 "이너 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101에서, 이동국(UE)의 송신부는, 업링크를 통하여, 무선 기지국(Node B)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여기서, 이동국(UE)의 송신부는, 파일럿이나 TPC 커맨드 등의 계층-1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을 항상 송신하고, 데이터의 유무나 송신 할당의 유무 등에 따라, 사용자 데이터나 계층-2 이상의 제어 정보가 매핑되는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 Dedicated Physical Data Chaneel) 또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Enhanced Dedicated Physica1 Data Channel)을 송신한다.
단계 S102에서, 무선 기지국(NodeB)의 SIR 계산부는, 수신한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신호대 간섭 전력비(수신 SIR)를 계산해서, 설정되어 있는 목표 SIR 과 비교한다.
단계 S103에서, 비교의 결과, "수신 SIR > 목표 SIR"인 경우, SIR 계산부는, "Down"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송신부에 통지하고, "수신 SIR < 목표 SIR"인 경우, "UP" 커맨드를 송신하도록 송신부에 통지한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을 "이너 루프 송신 전력 제어"라고 한다.
두 번째로, 인핸스드 업링크에서의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계 S201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의 수신부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또는,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도 가능]의 수신 품질을 측정한다.
단계 S202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의 제어부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목표 SIR을 설정해서 무선 기지국(NodeB)에 대해서 통지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의 제어부는,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국(UE)에 의해 송신되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과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진폭비(이하, "이득 계수"라고 함)를 결정해서, 이동국(UE)에 통지한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을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라고 한다.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는, 이동국(UE)이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로 된 경우나, 이동국(UE)의 이동 속도가 바뀐 경우, 건물에 의해 전파가 차단되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무선 환경의 변동에 적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핸스드 전용 물 리 데이터 채널(E-DPDCH)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의 송신이 없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래서, 예를 들면, 이동국(UE)이, MAC 계층 제어 정보나 비어 있는 정보 등에 더미 데이터를 넣어(즉, 패딩을 행하여), 최소의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생성해서, 소정의 송신 주기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 및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을 사용하여 송신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참조문헌 1 참조).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이동국(UE)에서 송신할 데이터가 없는 경우라도,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이,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의 수신 품질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데이터가 중단되는 것에 의한 무선 품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이, 전술한 송신 블록의 송신 타이밍(즉, 어느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송신되는 것인지)에 대하여 미리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을 검출할 수 없고,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참조문헌 1: 3GPP TSC-RAN R2-05937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 및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을 검출할 수 없는 상황이 되는 것을 방지해서, 더욱 안정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업링크를 통하여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이동국이, 무선 기지국에 송신할 정보가 없는 경우에,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이동국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의해 통지된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송신 블록을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는 단계; 무선 기지국이, 상기 프레임 번호에 해당하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송신 블록을 추출하는 단계; 및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송신 블록의 수신 품질에 따라, 송신 전력에 대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송신 블록은, 이동국의 상태를 포함하는 MAC 계층 제어 정보에 대해서 패딩을 행하여 생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에서, 송신 블록은, 비어 있는 정보에 대해서 패딩을 행하여 생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이동국으로서, 무선 기지국에 대해서 송신할 정보가 없는 경우에,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생성하는 송신 블록 생성부;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송신 타이밍,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의해 통지된 송신 타이밍에서, 송신 블록을 무선 기지국에 송신하는 송신 블록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업링크를 통하여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으로서, 이동국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의해 통지된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추출하는 추출부와, 추출한 송신 블록의 수신 품질을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업링크를 통하여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서, 이동국이 무선 기지국에 송신할 정보가 없는 경우에,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송신하는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에 통지하는 통지부와,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의 수신 품질에 따라, 송신 전력에 대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의 기저 대역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의 MAC-e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에서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에서의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용 구성)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기지국의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에서의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용 구성)의 MAC-e 기능부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1의 (a)~(c)는,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버스트하게 송신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종래의 이동 통신 시스템의 인핸스드 업링크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무선 기지국(NodeB #1~#5)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다운링크에서 "HSDPA"가 사용되고 있으며, 업링크에서 "EUL(인핸스드 업링크)"가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HSDPA" 및 "EUL"에서, HARQ에 의한 재송신 제어(N 프로세스 스톱 앤드 웨이트)가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업링크에서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및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로 구성되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채널(E-DPCH)과,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 Dedicated Physica1 Data Channel) 및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로 구성되는 전용 물리 채널(DPCH)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은, E-DPDCH의 송신 포맷(송신 블록 사이즈 등)을 규정하는 위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재송신 횟수 등), 스케줄링 관련 정보[이동국(UE)에서의 송신 전력이나 버퍼 체류량 등] 등의 EUL용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은,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에 매핑되고,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로 송신되는 EUL용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국(UE)용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은 레이크(RAKE) 합성이나 SIR 측정 등에 사용되는 파일럿 심볼, 업링크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의 송신 포맷을 식별하기 위한 TFCI(Transport Format Combination Indicator), 다운링크에서의 송신 전력 제어 비트 등의 제어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은,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매핑되고, 해당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로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국(UE)용의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한다. 다만, 이동국(UE)에서 송신할 사용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DPDCH)은 송신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업링크에서는, HSPDA가 적용되는 경우에 필요한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 High Speed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이나, 랜덤 액세스 채널(RACH)도 사용되고 있다.
고속 전용 물리 제어 채널(HS-DPCCH)은, 다운링크 품질 식별자(CQI: Channel Qua1ity Indicator)나, 고속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용 송달 확인 신호(Ack 또는 Nack)를 송신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이동국(UE)은, 버스 인터페이 스(31), 호 처리부(32),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 RF부(34), 및 송수신 안테나(35)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기능은, 하드웨어로서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일체화하고 있어도 되며,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버스 인터페이스(31)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데이터를 다른 기능부(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기능부)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버스 인터페이스(31)는, 다른 기능부(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기능부)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를 호 처리부(32)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 처리부(32)는,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호 제어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RF부(3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또는 FEC 복호 처리를 포함하는 계층-1 처리와, MAC-e 처리나 MAC-d 처리를 포함하는 MAC 처리와, RLC 처리를 수행하여 취득한 사용자 데이터를 호 처리부(3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 RLC 처리, MAC 처리, 또는 계층-1 처리를 행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해서 RF부(3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F부(34)는, 송수신 안테나(35)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에 대하여, 검파 처리, 필터링 처리, 및 양자화 처리 등을 수행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해서,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RF부(34)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33)는, RLC 처리부(33a), MAC-d 처리부(33b), MAC-e 처리부(33c), 및 계층-1 처리부(33d)를 구비하고 있다.
RLC 처리부(33a)는, 호 처리부(32)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 계층-2의 상위 계층에서의 처리(RLC 처리)를 행하여, MAC-d 처리부(33b)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d 처리부(33b)는, 채널 식별자 헤더를 부여하고, 업링크에서의 송신 전력의 한도에 기초하여, 업링크에서의 송신 포맷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e 처리부(33c)는, E-TFC 선택부(33c1)와 HARQ 처리부(33c2)를 구비하고 있다.
E-TFC 선택부(33c1)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된 스케줄링 신호에 기초하여,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및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의 송신 포맷(E-TFC)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E-TFC 선택부(33c1)는, 결정한 송신 포맷에 대한 송신 포맷 정보[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나,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과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송신 전력비 등]을 계층-1 처리부(33d)에 송신하는 동시에, 결정한 송신 포맷 정보를, HARQ 처리부(33c2)에 송신한다.
이러한 스케줄링 신호는, 이동국(UE)이 재권(在圈)하고 있는 셀에서 통보되어 있는 정보이며, 해당 셀에 재권하고 있는 모든 이동국 또는 해당 셀에 재권하고 있는 특정 그룹의 이동국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HARQ 처리부(33c2)는, "N 프로세스 스톱 앤드 웨이트"의 프로세스 관리를 행하고,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수신되는 송달 확인 신호(업링크 데이터용의 Ack/Nack)에 기초하여, 업링크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HARQ 처리부(33c2)는, 계층-1 처리부(33d)로부터 입력된 CRC 결과에 기초하여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처리가 성공했는지 아닌지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그리고, HARQ 처리부(33c2)는, 이와 같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달 확인 신호(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용의 Ack 또는 Nack)를 생성해서, 계층-1 처리부(33d)에 송신한다. 또한, HARQ 처리부(33c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OK(성공)인 경우에는, 계층-1 처리부(33d)로부터 입력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MAC-d 처리부(33b)에 송신한다.
여기서, HARQ 처리부(33c2)는, 이동국의 상태(송신 전력의 이용가능한 상태나 송신 버퍼 상태 등)를 포함하는 MAC 계층 제어 정보 또는 비어 있는 정보에 대해서, 더미 데이터나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사용한 패딩을 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송신 블록을 생성해도 된다.
또한, 앞서 설명한 송신 타이밍은, CFN(Connection Frame Number)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CFN mod N = 0"이 되는 프레임 번호에 해당하는 프레임으로 해도 된다(여기서, N은 송신 주기를 나타내는 값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기지국(Node B)은, HWY 인터페이스(11),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 호 제어부(13),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송수신부(14),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증폭부(15), 및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송수신 안테나(16)를 구비한다.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구체적으로,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다운링크를 통하여 이동국(UE)에 송신할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으로부터, 무선 기지국(Node B)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호 제어부(13)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11)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업링크를 통하여 이동국(UE)으로부터 수신한 업링크 신호에 포함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취득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HWY 인터페이스(11)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대한 제어 데이터를 호 제어부(13)로부터 취득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HWY 인터페이스(11)로부터 취득한 사용자 데이터에 대해서, RLC 처리, MAC 처리(MAC-d 처리나 MAC-e 처리), 또는 계층-1 처리를 수행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해서, 송수신부(14)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다운링크에서의 MAC 처리에는, HARQ 처리, 스케줄링 처리, 또는 전 송 속도 제어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다운링크에서의 계층-1 처리에는, 사용자 데이터의 채널 부호화 처리나 확산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송수신부(14)로부터 취득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계층-1 처리, MAC 처리(MAC-e 처리나 MAC-d 처리), 또는 RLC 처리를 수행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해서, HWY 인터페이스(1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업링크에서의 MAC 처리에는, HARQ 처리, 스케줄링 처리, 전송 속도 제어 처리, 또는 헤더 폐기 처리 등이 포함된다. 또한, 업링크에서의 계층-1 처리에는,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또는 에러 정정 복호 처리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호 제어부(13)는, HWY 인터페이스(11)로부터 취득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호 제어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송수신부(14)는,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로부터 취득한 기저대역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다운링크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증폭부(1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부(14)는, 증폭부(15)로부터 취득한 무선 주파수대의 신호(업링크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를 수행하여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폭부(15)는, 송수신부(14)로부터 취득한 다운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16)를 통하여 이동국(U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증폭 부(15)는, 송수신 안테나(16)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부(1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는, RLC 처리부(121), MAC-d 처리부(122),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를 구비하고 있다.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는, 송수신부(14)로부터 취득한 기저대역 신호에 대하여, 역확산 처리, 레이크(RAKE) 합성 처리, 에러 정정 복호 처리, 또는 HARQ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d 처리부(122)는, MAC-e 및 계층-1 처리부(123)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헤더의 폐기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RLC 처리부(121)는, MAC-d 처리부(122)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RLC 계층에서의 재송신 제어 처리나 RLC-SDU의 재구축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이들 기능은, 하드웨어로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MAC-e 및 계층-1 처리부(업링크용 구성)(123)는, DPCCH 레이크(RAKE)부(123a), DPDCH 레이크(RAKE)부(123b), E-DPCCH 레이크(RAKE)부(123c), E-DPDCH 레이크(RAKE)부(123d), HS-DPCCH 레이크(RAKE)부(123e), RACH 처리부(123f), TFCI 디코더부(123g), 버퍼(123h, 123m), 재-역확산부(123i, 123n), FEC 디코더부(123j, 123p), E-DPCCH 디코더부(123k), MAC-e 기능부(123l), HARQ 버퍼(123o), MAC-hs 기능부(123q), SIR 측정부(123r), 및 SIR 비교부(123s)를 구비하 고 있다.
E-DPCCH 레이크(RAKE)부(123c)는, 송수신부(1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 내의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에 대해서, 역확산 처리와,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럿 심볼을 사용한 레이크(RAKE) 합성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DPCCH 디코더부(123k)는, E-DPCCH 레이크(RAKE)부(123c)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에 대해서 복호 처리를 수행하여,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 또는 스케줄링 관련 정보 등을 취득하여, MAC-e 기능부(123l)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E-DPDCH 레이크(RAKE)부(123d)는, 송수신부(14)로부터 송신된 기저대역 신호 내의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에 대해서,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코드수)를 사용한 역확산 처리와,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럿 심볼을 사용한 레이크(RAKE) 합성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버퍼(123m)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심볼수)에 기초하여, E-DPDCH 레이크(RAKE)부(123d)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을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재-역확산부(123n)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확산율)에 기초하여, 버퍼(123m)에 축적되어 있는 E-DPDCH 레이크(RAKE)부(123d)의 레이크(RAKE) 합성 출력에 대해서, 역확산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ARQ 버퍼(123o)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에 기초하여, 재-역확산부(123n)의 역확산 처리 출력을 축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FEC 디코더부(123p)는, MAC-e 기능부(123l)로부터 송신된 송신 포맷 정보(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에 기초하여,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재-역확산부(123n)의 역확산 처리 출력에 대해서, 에러 정정 복호 처리(FEC 복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SIR 측정부(123r)는, DPCCH 레이크(RAKE)부(123a)에 의해 출력된 전용 물리 제어 채널(DPCCH)의 파일럿 부분을 사용하여 수신 SIR을 측정한다.
SIR 비교부(123s)는, 측정된 수신 SIR과 목표 SIR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UP" 커맨드 또는 "Down" 커맨드를 다운링크를 통하여 송신하도록,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다운링크용 구성에 지시한다.
MAC-e 기능부(123l)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취득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 또는 스케줄링 관련 정보 등에 기초하여, 송신 포맷 정보(코드수, 심볼, 확산율, 또는 송신 데이터 블록 사이즈 등)를 산출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MAC-e 기능부(123l)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처리 명령부(123l1), HARQ 관리부(123l2), 스케줄링부(123l3), 및 품질 측정 보고부(123l4)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송신 포맷 번호, HARQ 관련 정보, 또는 스케줄링 관련 정보를, HARQ 관리부(123l2)에 송신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스케줄링 관련 정보를 스케줄링부(123l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E-DPCCH 디코더부(123k)로부터 입력된 송신 포맷 번호에 대응하는 송신 포맷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ARQ 관리부(123l2)는, FEC 디코더부(123p)로부터 입력된 CRC 결과에 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처리가 성공했는지 아닌지 여부에 대하여 판정한다. 그리고, HARQ 관리부(123l2)는, 이와 같은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송달 확인 신호(Ack 또는 Nack)를 생성해서, 기저대역 신호 처리부(12)의 다운링크용 구성에 송신한다. 또한,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OK(성공)인 경우에는, FEC 디코더부(123p)로부터 입력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송신한다.
또한,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OK(성공)인 경우에는,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소프트 판정(soft decision) 정보를 클리어한다. 한편,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가 NG(실패)인 경우에는, HARQ 버퍼(123o)에,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축적한다.
또한, HARQ 관리부(123l2)는, 전술한 판정 결과를 수신 처리 명령부(123l1)에 전송하고,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수신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 TTI에 구비하여야 하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E-DPDCH 레이크(RAKE)부(123d) 및 버퍼(123m)에 통지하고, HARQ 버퍼(123o)에서의 리소스 확보를 위한 통지를 행한다.
또한, 수신 처리 명령부(123l1)는, 버퍼(123m) 및 FEC 디코더부(123p)에 대해서 TTI마다, 버퍼(123m)에 축적되어 있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HARQ 버퍼(123o)에 축적되어 있는 TTI에 해당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와 새롭게 수신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가산한 후에, FEC 복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HARQ 버퍼(123o) 및 FEC 디코더부(123p)에 지시한다.
스케줄링부(123l3)는, 다운링크용 구성을 통하여, 스케줄링 신호[절대 속도 제어 채널(AGCH) 또는 상대 속도 제어 채널(RGCH) 등]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품질 측정 보고부(123l4)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또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의 수신 품질의 측정을 행하고, 일정 주기, 또는 수신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HWY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대해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의 수신 품질(에러 횟수나 에러 비율 등)을 통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품질 측정 보고부(123l4)는, 이동국(UE)에 의해 송신된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 또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 내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의해 통지된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추출하고, 추출한 송신 블록의 수신 품질(에러 횟수나 에러 비율 등)을 측정한다.
예를 들면, 품질 측정 보고부(123l4)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 DPDCH) 또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 중에 포함되는 수신 시퀀스 번호(RSN: Received sequence number)를 감시하고, RSN가 누락되어 있는 경우에,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
또한, 품질 측정 보고부(123l4)는, 전술한 송신 블록의 수신 품질을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무선 기지국(NodeB)의 상위에 위치하는 장치이며, 무선 기지국(NodeB)과 이동국(UE) 사이의 무선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교환국 인터페이스(51), LLC 계층 처리부(52), MAC 계층 처리부(53), 미디어 신호 처리부(54), 기지국 인터페이스(55), 호 제어부(56), 및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부(57)를 구비하고 있다.
교환국 인터페이스(51)는 교환국(1)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교환국 인터페이스(51)는, 교환국(1)으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LLC 계층 처리부(52)에 전송하고, LLC 계층 처리부(52)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교환국(1)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LLC 계층 처리부(52)는, 시퀀스 번호 등의 헤더 또는 트레일러(trailer)의 합성 처리 등의 LLC(논리 링크 제어: Logical Link Control) 하위 계층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LLC 계층 처리부(52)는, LLC 하위 계층 처리를 수행한 후, 업링크 신호를 교환국 인터페이스(51)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MAC 계층 처리부(53)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 계층 처리부(53)는, 우선 제어 처리나 헤더 부여 처리 등의 MAC 계층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MAC 계층 처리부(53)는, MAC 계층 처리를 수행한 후, 업링크 신호를 LLC 계층 처리부(52)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기지국 인터페이스(55)[또는, 미디어 신호 처리부(54)]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디어 신호 처리부(54)는, 음성 신호나 실시간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미디어 신호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미디어 신호 처리부(54)는, 미디어 신호 처리를 수행한 후, 업링크 신호를 MAC 계층 처리부(53)에 송신하고, 다운링크 신호를 기지국 인터페이스(55)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 인터페이스(55)는 무선 기지국(Node B)과의 인터페이스이다. 기지국 인터페이스(55)는, 무선 기지국(Node B)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MAC 계층 처리부(53)[또는, 미디어 신호 처리부(54)]에 전송하고, MAC 계층 처리부(53)[또는, 미디어 신호 처리부(54)]로부터 송신된 다운링크 신호를 무선 기지국(Node B)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호 제어부(56)는, 무선 리소스 관리 처리나, 계층-3 시그널링에 의한 채널의 설정 및 개방 처리 등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무선 리소스 관리에는, 호 허가 제어나 핸드오버 제어 등이 포함된다.
또한, 호 제어부(56)는, 이동국(UE)이 무선 기지국(NodeB)에 대해서 송신해야 할 정보가 없는 경우에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송신할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이동국(UE) 및 무선 기지국(NodeB)에 통지한다.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부(57)는, 무선 기지국(NodeB)으로부터 수신하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에 대한 CRC 결과나 재송신 횟수 등에 기초하여,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여, 목표 SIR 또는 이득 계수를 결정한다.
즉, CRC 결과가 NG(실패)이고 또한 재송신 횟수가 큰 경우에,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부(57)는, 목표 SIR을 높게 설정하도록 무선 기지국(NodeB)에 지시하고, 또는 이득 계수를 높게 설정하도록 무선 기지국(NodeB) 및 이동국(UE)에 지시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UE)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국(UE)은, 단계 S1001에서, 소정 시간 동안 데이터의 송신을 행하지 않는 것을 검출하면, 단계 S1002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의해 통지되어 있는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용 데이터(전술한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를 송신한다.
무선 기지국(NodeB)은, 단계 S1003에서, 전술한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에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을 검출할 수 없던 경우, 단계 S1004에서, NACK를 송신함으로써, 이동국(UE)에 대해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용 데이터의 재송신을 촉구한다.
무선 기지국(NodeB)은, 단계 S1005에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용 데이 터를 수신하면, 단계 S1006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에 대해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 또는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의 에러 비율이나 재송신 횟수 등의 수신 품질[구체적으로,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이나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을 통하여 소정의 프레임 번호로 송신된 프레임 내의 송신 블록(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용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통지한다.
단계 S1007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RNC)은, 인핸스드 전용 물리 데이터 채널(E-DPDCH)의 수신 품질에 따라, 목표 SIR이나 이득 계수를 결정하여, 무선 기지국(NodeB)이나 이동국(UE)에 통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핸스드 전용 물리 제어 채널(E-DPCCH)을 검출할 수 없는 상황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더욱 안정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할 수 있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업링크를 통하여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에 대하여 송신할 정보가 없는 경우에,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국이,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의해 통지된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상기 송신 블록을 상기 무선 기지국에 대해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상기 송신 블록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이, 상기 송신 블록의 수신 품질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블록은, 상기 이동국의 상태를 포함하는 MAC 계층 제어 정보에 대해서 패딩을 행함으로써 생성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블록은, 비어 있는 정보에 대해서 패딩을 행함으로써 생성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
  4. 무선 기지국에 대해서 송신할 정보가 없는 경우에,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생성하는 송신 블록 생성부; 및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의해 통지된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으로, 상기 송신 블록을 상기 무선 기지국에 대해서 송신하는 송신 블록 송신부
    를 포함하는 이동국.
  5. 업링크를 통하여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에 대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에 의해 송신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는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의해 통지된 프레임 번호의 프레임에 포함되는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추출하는 추출부; 및
    추출한 상기 송신 블록의 수신 품질을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에 통지하는 통지부
    를 포함하는 무선 기지국.
  6. 업링크를 통하여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에 대해서 송신되는 데이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송신 전력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으로서,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기지국에 대해서 송신할 정보가 없는 경우에,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송신 블록을 송신하는 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상기 이동국 및 상기 무선 기지국에 대해서 통지하는 통지부; 및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상기 소정의 최소 송신 블록 사이즈를 갖는 상기 송신 블록의 수신 품질에 따라, 상기 송신 전력에 대한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를 행하는 아우터 루프 송신 전력 제어부
    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20077026483A 2005-05-02 2006-05-02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KR100978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4506 2005-05-02
JPJP-P-2005-134506 2005-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961A KR20080002961A (ko) 2008-01-04
KR100978327B1 true KR100978327B1 (ko) 2010-08-26

Family

ID=3730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483A KR100978327B1 (ko) 2005-05-02 2006-05-02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94845B2 (ko)
EP (1) EP1890400A4 (ko)
JP (1) JP4762233B2 (ko)
KR (1) KR100978327B1 (ko)
CN (1) CN101171772B (ko)
WO (1) WO2006118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39367A (en) 2006-06-20 2007-12-27 Nec Corp Separate ACK/NACK channel from a control channel
US20090081973A1 (en) * 2007-09-26 2009-03-26 Analog Devices, Inc. Multi-slot power control for wireless transmission
JP4937155B2 (ja) * 2008-02-08 2012-05-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JP5199930B2 (ja) * 2009-03-23 2013-05-1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受信装置
US8588839B2 (en) * 2009-12-16 2013-11-1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loop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CN102088758B (zh) * 2010-07-01 2013-04-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功率控制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438488B1 (ko) * 2013-04-30 2014-09-12 (주)아이앤씨테크놀로지 무선 랜 송신기의 송신전력 제어방법
US11979920B2 (en) * 2020-10-22 2024-05-07 Ofinno, Llc Random access type selection for small data transmis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0531A (ja) 2002-08-20 2004-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ウターループ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20040185892A1 (en) 2002-12-20 2004-09-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by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in a mobile network
JP2005005762A (ja) 2003-06-09 2005-01-06 Fujitsu Ltd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5502262A (ja) 2001-08-29 2005-01-2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出力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と技術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8553B2 (ja) * 2000-06-22 2006-02-22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専用物理制御チャンネルの断続伝送のための装置
CA2371556C (en) * 2001-02-19 2005-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pch multiplex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uter loop power control in a w-cdma communication system
KR101011166B1 (ko) * 2002-01-08 2011-01-26 아이피알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역방향 링크에서 유지 채널을 유지하는방법 및 시스템
US7664519B2 (en) * 2003-12-30 2010-02-16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for multiple transport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02262A (ja) 2001-08-29 2005-01-20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出力制御のためのシステムと技術
JP2004080531A (ja) 2002-08-20 2004-03-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ウターループ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US20040185892A1 (en) 2002-12-20 2004-09-23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cheduling data transmission by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 in a mobile network
JP2005005762A (ja) 2003-06-09 2005-01-06 Fujitsu Ltd 送信電力制御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94845B2 (en) 2011-02-22
JP4762233B2 (ja) 2011-08-31
US20080214227A1 (en) 2008-09-04
EP1890400A1 (en) 2008-02-20
KR20080002961A (ko) 2008-01-04
EP1890400A4 (en) 2012-12-05
CN101171772B (zh) 2011-10-19
CN101171772A (zh) 2008-04-30
JPWO2006118301A1 (ja) 2008-12-18
WO2006118301A1 (ja) 200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5824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무선 기지국 및 무선 네트워크제어국
KR100702643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787514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KR100937370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814804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788856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788860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20070117668A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788028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100978327B1 (ko) 송신 전력 제어 방법, 이동국, 무선 기지국 및 무선네트워크 제어국
KR100913516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953582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0951603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937371B1 (ko)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무선 기지국 및 이동국
KR100739521B1 (ko) 무선 리소스 관리 방법,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및 무선기지국
KR101044031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100945823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기지국
KR101085412B1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및 이동국
KR20070110913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KR20060095524A (ko) 전송 속도 제어 방법, 이동국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