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190B1 -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190B1
KR100978190B1 KR1020100058702A KR20100058702A KR100978190B1 KR 100978190 B1 KR100978190 B1 KR 100978190B1 KR 1020100058702 A KR1020100058702 A KR 1020100058702A KR 20100058702 A KR20100058702 A KR 20100058702A KR 100978190 B1 KR100978190 B1 KR 100978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injection
aluminosilicate
nozzle
inorganic b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명
장영두
Original Assignee
서울메트로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메트로, 주식회사 리폼시스템 filed Critical 서울메트로
Priority to KR102010005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2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alkyl, ammonium or metal silicates; containing silica 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17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663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as filling material for cavitie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0Grouts, e.g. injection mixtures for cables for prestressed 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10Production of cement, e.g. improving or optimising the production methods; Cement grin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균열주입재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친환경 바인더를 포함하도록 하여, 균열폭에 관계없이 구조물에 발생되는 모든 균열에 적용되며, 주입압의 손실을 감소에 따른 침투력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내열성능과 내화학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CO2 가스의 배출이 없도록 한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바인더 10∼50wt%, CSA계 팽창제 0.5∼3wt%, C12A7 급결재 0.5∼3wt%, 보수재 0.2∼0.4wt%, CaCO3 20∼38wt%, 고유동화제 0.1∼0.2wt%, 옥석계 광물분말 10∼55wt%, 고로슬래그 시멘트 5∼40wt% 를 포함하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생성하는 균열주입재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균열주입재를 주입장치의 주입부에 충전시키는 충전단계;
상기 주입장치의 노즐부를 균열부위에 수직 위치시키고 주입장치의 노즐부 후단에 주입부를 결합시킨 후, 주입부내에 충전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주입노즐을 통해 균열부위로 주입하는 보수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Nature-friendly injecting materials comprising alumino silicate-based inorganic binders and its repairing method for cracks in concrete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균열폭에 관계없이 구조물에 발생하는 모든 균열에 적용가능하며, 내열성능과 내화학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CO2 가스의 배출이 없는 친환경 무기질 바인더 및 기능성 분말을 포함하는 균열주입재를 균열부위에 정확하게 주입할 수 있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우수한 내구성으로 인해 반영구적 구조물의 건설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부동침하, 블리딩 또는 응력의 과다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크고 작은 균열이 발생한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해양 환경에 오랜 기간 노출될 경우 해수의 작용에 의하여 콘크리트가 침식되고 철근이 부식을 일으키며 체적 팽창에 의해 콘크리트가 균열 및 박리를 일으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겨울철에는 콘크리트가 동결 및 융해 작용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파손이 발생하기도 하고, 자동차의 배기가스에 오랜기간 노출될 경우 중성화 현상으로 인해 내부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가 균열 또는 탈락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균열은 그 균열이 발생한 위치와 균열의 폭 및 깊이에 따라 구조물의 구조적인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철근 부식 등을 통한 열화의 원인이 되거나, 내구성을 저하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원인들 외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성화, 알칼리골재반응, 동결/융해/염해/화학적 침식, 공장 폐수 및 생활하수 등에 의해서도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가 손상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원인들에 의해 내부 철근이 부식되고 콘크리트가 균열 또는 탈락된 경우 그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내구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그것을 복원시켜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균열주입재가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폭이 미세한 균열을 보수하기 위한 재료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합성수지계인 에폭시이다. 에폭시는 압축강도와 인장강도가 높고, 다양한 점도로 제작할 수 있으며, 강도가 조기에 발현되고 접착력이 우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 및 보강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폭시는 시공 초기에는 큰 접착강도를 나타내지만, 건조에 의한 수축 및 열팽창 등에서 콘크리트와 이질적인 특성을 갖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접착 성능이 저하되어 신/구 콘크리트 접착면에서 탈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취급이 다소 복잡하고 적절한 온도관리가 필요하며, 화재시 내화성능에 문제가 있고, 습윤면에서는 경화가 잘 되지 않아 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와 에폭시의 건조 수축율, 탄성계수, 열팽창계수 및 강도 등의 물성 차이로 인해서 부가적인 응력이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단가가 비싸고 특정 에폭시의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성을 줄 수도 있어 취급이 매우 까다로운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계를 균열주입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는 최대 입경이 0.1 정도로 큰 편이기 때문에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여 보수할 수 있는 균열에는 한계가 있다.
즉, 암반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보수에 있어서, 균열폭과 주입가능한 주입재의 최대 입경 사이의 관계를 J. K. Michel은 주입재의 최대 입경이 균열폭의 이하가 되어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할 경우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를 이용해서 보수 가능한 균열의 최소 폭은 0.3 정도가 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보수를 필요로 하는 균열은 내구성 측면에서는 0.3 이상, 방수 측면에서는 0.01 이상의 경우가 일반적임을 고려할 경우, 종래의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계 균열주입재는 내구성 측면에서는 만족하지 모르지만 방수측면에서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균열부위에 대한 그라우트재 등의 균열주입재를 주입할 시, 주입노즐을 균열부위에 밀착시킨 후, 이를 이용하여 균열주입재를 주입하고 있으나, 종래의 주입노즐은 균열부위에 대한 밀착력 향상과 균열주입재의 외부 누출을 방지 및 작업자의 손잡이 기능을 구비하기 위하여, 균열부위에 접촉되는 부분이 플레이트 형상을 구비하고, 주입부와 연결되는 부분이 돌출되는 'T'자 형상을 구비하고 있어, 주입노즐을 균열이 발생된 부위에 밀착시킬 경우, 주입노즐의 접촉되는 부분에 의해 균열부위가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숙련된 작업자의 직감에 의존하여 보수작업을 진행하는 등 균열부위에 균열주입재를 정확하게 주입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제 0497619 호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되 이관통공의 중간에 내측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관통공 선단 둘레에 외향플랜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크랙 포인트 주입기구에 있어서, 주입기구의 관통공 선단에는 관통공 내부로 인입이 가능한 돌출관이 설치되도록 한 주입기구도 있으나,
상기와 같은 주입기구는 관통공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돌출관이 인입되도록 되어 있어, 탄성부재의 설치에 따른 설계가 어렵고, 균열주입재의 주입시 균열보주재에 탄성부재가 노출되어 탄성력 저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돌출관에 돌기를 형성한 후, 이를 주입기구에 끼움결합하도록 한 것도 있으나, 안착공이 형성된 단턱에 돌출관 결합을 위한 별도의 구멍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주입노즐의 구조가 복잡하고, 성형작업이 매우 어려워 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돌출관을 구비한 주입노즐 역시 주입노즐 전체 크기를 고려하여, 돌출정도가 미약하므로, 작업자의 시야확보(균열부위와 주입노즐의 일치작업을 위한 시야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작업환경이 좋지 못한 터널 및 지하구조물의 경우, 종래의 주입노즐을 이용해서는 정확한 균열부위로의 균열주입재 주입을 정확하게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균열주입재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친환경 바인더를 포함하도록 하여, 균열폭에 관계없이 구조물에 발생되는 모든 균열에 적용되며, 주입압의 손실을 감소에 따른 침투력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내열성능과 내화학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CO2 가스의 배출이 없도록 한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균열폭에 관계없이 구조물에 발생되는 모든 균열에 적용되며, 주입압의 손실을 감소에 따른 침투력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균열부위의 정확한 주입을 통해, 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며, 균열부위에 대한 주입반경을 넓힐 수 있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신·구 콘크리트의 접착력이 증대되고, 균열 보수, 보강에 따른 내구성을 증진하며, 재하자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복원할 수 있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바인더 10∼55wt%, CSA계 팽창제 0.5∼3wt%, C12A7 급결재 0.5∼3wt%, 보수재 0.2∼0.4wt%, CaCO3 20∼38wt%, 고유동화제 0.1∼0.2wt%, 옥석계 광물분말 10∼55wt%, 고로슬래그 시멘트 5∼50wt% 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바인더 10∼50wt%, CSA계 팽창제 0.5∼3wt%, C12A7 급결재 0.5∼3wt%, 보수재 0.2∼0.4wt%, CaCO3 35∼38wt%, 고유동화제 0.1∼0.2wt%, 옥석계 광물분말 10∼45wt%, 고로슬래그 시멘트 5∼40wt% 를 포함하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생성하는 균열주입재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균열주입재를 주입장치의 주입부에 충전시키는 충전단계;
상기 주입장치의 노즐부를 균열부위에 수직 위치시키고 주입장치의 노즐부 후단에 주입부를 결합시킨 후, 주입부내에 충전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주입노즐을 통해 균열부위로 주입하는 보수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바인더를 포함하도록 하여, 균열폭에 관계없이 구조물에 발생되는 모든 균열에 적용되며, 주입압의 손실을 감소에 따른 침투력 향상을 꾀할 수 있는 내열성능과 내화학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CO2 가스의 배출이 없는 친환경 무기질바인더를 포함하도록 하여, 균열폭에 관계없이 구조물에 발생되는 모든 균열에 적용되며, 주입압의 손실을 감소에 따른 침투력 향상을 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균열주입재가 우수한 침투성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어, 미세한 균열에도 용이하게 침투되고, 이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보다 용이하게 보수, 보강할 수 있으며, 기존의 에폭시 수지 주입 공법에 비해 원가가 저렴하여 원가절감에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균열주입재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 바인더에 친환경소재인 옥석계 광물분말이 함유되어 있어, 균열주입재 자체에서 원적외선과 음이온, 미네랄산 등이 다량 방출되어 인체에 유익한 영향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균열주입재가 콘크리트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물성을 구비하므로, 건조수축이나 열팽창에 의한 부가적인 응력이나 균열의 발생이 없어 내구성이 증진되고, 콘크리트 구조물과의 접착력 향상 및 그 접착성능을 오랜 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발생 시, 내화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열성능과 내화학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CO2 가스의 배출이 없는 친환경 무기질바인더의 우수한 보수/보강 효과를 구비하므로, 손상된 교량, 터널, 복개구조물 및 기타 토목건축용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균열에 대한 보수, 보강시 주입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입노즐의 노즐부가 지지부에 대하여 돌출되도록 되어 있어, 균열부위에 대한 작업자의 시야확보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노즐부를 균열부위에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의 가압시 돌출된 노즐부 선단이 지지부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지지부가 구조물에 밀착접촉되므로, 정확한 위치로 균열주입재를 주입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 은 도 2 의 주입장치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도 2 의 주입장치 설치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결과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바인더 10∼50wt%, CSA계 팽창제 0.5∼3wt%, C12A7 급결재 0.5∼3wt%, 보수재 0.2∼0.4wt%, CaCO3 20∼38wt%, 고유동화제 0.1∼0.2wt%, 옥석계 광물분말 10∼55wt%, 고로슬래그 시멘트 5∼40wt% 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 바인더는 친환경기능성 무기질 용액으로, 콘크리트구조물과 토양이나 지하수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실리카계 무공해 용액이며, 아래의 [표1]과 같은 성분특성을 구비한다. 또한, 분말도가 높아 수화조직이 치밀해지므로 강도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의 1.5배 이상 높은 특징을 구비한다.
[표1]
Figure 112010039773958-pat00001
상기 [표1]에서와 같이, 상기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 바인더는 기존의 포틀랜드 시멘트의 경화메카니즘과는 상이하게 CSH의 형성에 의한 경화가 아닌 강알카리 조건에서 Al과 Si의 중합에 의해 경화되며 이와 같이 화학 성분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 바인더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에 비해서 유동성이 월등히 좋고 장기강도와 초기강도가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열성능과 내화학성능이 우수하며 또한 CO2 가스의 배출이 없어 균열폭에 관계없이 구조물에 발생되는 모든 균열따라서 균열 보수재로 균열 내부에 주입될 경우 주입성이 양호하고 고강도가 발휘되며 내구성도 향상되는 특성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바인더는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다 입도가 훨씬 미세하고 구상화율이 커서 균열 보수재에 함유되어 사용할 경우 전단저항력이 작아지기 때문에 주입압의 손실을 줄일 수 있어 침투력이 향상되고 주입 반경을 넓힐 수 있다.
상기 C12A7 급결재는 시멘트의 응결시간을 빠르게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의 일종으로써 알루민산칼슘 (mCaO-nAl2O3)계 급결제이다.
상기 보수재는 콘크리트 구조물이 균열 등에 의하여 손상되어 성능이 저하된 경우, 이를 회복시키기 위한 것으로, 셀룰로오즈 유도체 등과 같은 수용성 폴리 사카라이드계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고유동화제는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켜 사용수량의 감소를 가능하게 하여, 강도를 증가시키고 경화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폴리카르복시계, 리그노설페이트계가 사용된다.
상기 옥석계 광물분말은 친환경적인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으로, 10wt%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본 발명이 의도하는 친환경 및 고로슬래그 유해성분 차단등의 기능성을 부여할 수 없으며, 55wt%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강도가 저하되고, 다른 첨가성분들의 양이 상대적으로 불충분하게 되어, 전체적인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옥석계 광물은 분말도가 8000㎠/g, 최대 입경이 0.01㎜정도이기 때문에 Michel의 주입비에 의하면 균열 폭이 0.03㎜인 균열까지 주입이 가능하므로, 현실적으로 구조물에 발생하는 거의 모든 균열에 주입이 가능하며 내구성 및 방수 측면 모두에서 적합하다.
상기 고로슬래그는 잠재수경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지반 및 건축구조물의 콘크리트화를 통해 보강 및 경량화를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반응성이 높은 분말도 8,000㎠/g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고로슬래그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 바인더와 혼합되어 균열부위에 대한 침투력을 향상시키고, 주입 반경을 넓히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바인더를 포함하도록 균열주입재가 조성되고, 상기 균열주입재를 주입장치의 주입부내에 저장시킨 후, 이를 작업시야 확보가 용이한 균열보수장치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부위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주입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대한 균열보수공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바인더 10∼50wt%, CSA계 팽창제 0.5∼3wt%, C12A7 급결재 0.5∼3wt%, 보수재 0.2∼0.4wt%, CaCO3 20∼38wt%, 고유동화제 0.1∼0.2wt%, 옥석계 광물분말 10∼55wt%, 고로슬래그 시멘트 5∼40wt% 를 포함하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생성하는 균열주입재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균열주입재를 주입장치의 주입부에 충전시키는 충전단계;
상기 주입장치의 노즐부를 균열부위에 수직 위치시키고 주입장치의 노즐부 후단에 주입부를 결합시킨 후, 주입부내에 충전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주입노즐을 통해 균열부위로 주입하는 보수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균열보수공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주입장치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주입장치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3 은 도 2 의 주입장치 내부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 는 도 2 의 주입장치 설치과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2 에 도시된 주입장치는 균열주입재(10)가 충전되는 주입부(20)와, 상기 주입부(20)에 연결되어 구조물(200)의 균열부위(210)로 균열주입재(10)를 가이드하는 주입노즐(30)을 포함하되,
상기 주입노즐(30)은 주입부(20)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측단이 균열부위(210)에 접촉되는 노즐부(40)와, 노즐부(40)가 삽입결합되는 삽입홀(51)이 중앙에 형성되고 균열부위(210)에 플랜지의 일측면이 접촉되어 노즐부(40)를 지지하는 지지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노즐부(40)는 지지부의 삽입홀(51)에 가결합되어 노즐선단(41)이 지지부(50)에서 돌출되고, 균열부위에 대한 플랜지 일측면이 접촉시 노즐선단(41)이 지지부(50)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바인더 10∼50wt%, CSA계 팽창제 0.5∼3wt%, C12A7 급결재 0.5∼3wt%, 보수재 0.2∼0.4wt%, CaCO3 20∼38wt%, 고유동화제 0.1∼0.2wt%, 옥석계 광물분말 10∼55wt%, 고로슬래그 시멘트 5∼40wt% 를 포함하는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생성하는 균열주입재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균열주입재를 주입장치의 주입부에 충전시키는 충전단계;
상기 주입장치의 노즐부를 균열부위에 수직 위치시키고 주입장치의 노즐부 후단에 주입부를 결합시킨 후, 주입부내에 충전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주입노즐을 통해 균열부위로 주입하는 보수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보수단계는 노즐부의 노즐선단이 주입조건에 따라 요철이 될 수 있도록 균열 주입지점에 국부지점 되도록 노즐부를 지지부의 하여 삽입결합하여 주입노즐을 가조립하는 가조립단계;
가조립된 주입노즐을 구조물에 대하여 소정의 요철 도는 삽입 가거치하도록한 후, 돌출된 노즐부의 노즐선단을 균열부위에 위치시키는 위치설정단계;
균열부위에 위치한 노즐선단을 중심으로 구조물에 대하여 주입노즐을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지지부를 구조물 방향으로 밀어 지지부의 일측면을 구조물에 밀착시키는 주입노즐 밀착단계;
노즐부의 노즐후단에 주입부를 결합하고 주입부내의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주입노즐을 통해 균열부위로 주입하는 주입단계를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조립단계는 노즐부(40)와 지지부(50)를 가결합상태로 결합하는 단계로, 노즐부의 노즐선단(41)과 제1삽입홀(52)의 일부가 결합되도록 또한, 노즐중단(42)과 제2삽입홀(53)의 일부가 결합되도록 노즐부(40)를 지지부의 삽입홀(51)내로 삽입하여, 주입노즐(30)을 가조립상태로 결합한다. 이때, 상기 주입노즐(30)은 가조립상태를 유지하더라도 노즐부(40)와 지지부(50)가 일체화되게 된다.
상기 위치설정단계는 구조물의 균열부위(210)에 노즐부(40)를 위치시키는 단계로, 도 4 의 (a)에서와 같이, 주입노즐(30)을 소정의 경사각(θ) 만큼 기울인 상태에서 균열부위(210)에 노즐선단(41)이 오도록 주입노즐을 위치시킨다. 이때, 구조물에 대하여 주입노즐을 경사각으로 기울이게 되면, 지지부(50)로부터 주입노즐의 노즐선단(41)에 대한 작업자의 시야확보가 가능하게 되므로, 균열부위(210)에 주입노즐의 노즐선단(41)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각은 10~5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위치설정단계는 노즐선단(41)이 위치하는 구조물 균열부위(210)에 접착제(220)를 도포 한 후, 균열부위(210)에 노즐선단(41)을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주입노즐 밀착단계는 구조물(200)에 지지부(50)를 밀착 고정시켜 주입노즐(30)의 위치를 고정하는 단계로, 도 4 의 (b) 및 (c) 에서와 같이, 기울어진 주입노즐(30)을 구조물(200)에 수직으로 위치시킨 다음, 지지부(50)를 접착제가 도포된 구조물 표면에 밀착시킨다. 이때, 노즐부(40)는 노즐후단(43)이 지지부(5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노즐선단(41)이 제1삽입홀(52)내로, 또한 노즐중단(42)이 제2삽입홀(53)내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와 같이 지지부(50)가 구조물 표면에 밀착되면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지지부(50)가 구조물 표면에 부착되므로, 주입노즐(30) 전체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접촉제는 주입노즐의 완전고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균열주입재의 주입하기 위해 주입노즐을 일시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주입단계는 도 4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노즐 밀착단계에 의해 지지부(5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노즐후단(43)에 주입부(20)의 결합부(21)를 나사결합하고, 주입부(20)내에 저장되어 있는 균열주입재(10)를 노즐부의 주입홀(44)을 통해 균열부위(210)로 주입한다. 상기 균열주입재의 주입은 종래의 기술방법과 동일하게 시행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균열주입재의 주입을 위한, 콘크리트 표면처리, 주입구 설치, 중비구 제거, 주입구 밀봉 및 표면처리 등의 단계를 모두 구비하나, 이와 같은 단계는 널리 공지 또는 주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폭 0.3㎜, 길이 1.5m의 횡방향 균열부위를 구비한 구조물에 대하여, 약 20㎝간격으로 균열주입재를 주입 충진하였으며, 경화 및 양생후 직경 5㎝의 코어를 채취하여 충전정도 및 역학적 특성을 검사하였다. 그 결과는 도 5 및 [표2]와 같다.
이때, 상기 균열주입재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바인더 22wt%, CSA계 팽창제 0.5wt%, C12A7 급결재 0.5wt%, 보수재 0.3wt%, CaCO3 20wt%, 고유동화제 0.1wt%, 옥석계 광물분말 51.6wt%, 고로슬래그 시멘트 5wt%로 이루어져 있다.
도 5 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결과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균열주입재의 충전정도는 코어를 채취하여 육안으로 주입상태를 확인한 결과,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주입재의 주입이 밀실하게 균열끝부분까지 충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2]
Figure 112010039773958-pat00002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 균열주입재 (20) : 주입부
(21) : 결합부 (30) : 주입노즐
(40) : 노즐부 (41) : 노즐선단
(42) : 노즐중단 (43) : 노즐후단
(44) : 주입홀 (45) : 단차턱
(50) : 지지부 (51) : 삽입홀
(52) : 제1삽입홀 (53) : 제2삽입홀
(54) : 걸림턱 (100) : 균열보수장치
(200) : 구조물 (210) : 균열부위
(220) : 접착제

Claims (5)

  1.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대한 충진되는 균열보수재에 있어서;
    상기 균열보수재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바인더 10∼50wt%, CSA계 팽창제 0.5∼3wt%, C12A7 급결재 0.5∼3wt%, 보수재 0.2∼0.4wt%, CaCO3 20∼38wt%, 고유동화제 0.1∼0.2wt%, 옥석계 광물분말 10∼55wt%, 고로슬래그 시멘트 5∼40w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친환경 무기질 바인더는 아래의 [표1]의 특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
    [표1]
    Figure 112010039773958-pat00003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C12A7 급결재는 알루민산칼슘 (mCaO-nAl2O3)계 급결제이고,
    상기 보수재는 수용성 폴리 사카라이드계이며,
    상기 고유동화제는 멜라민계, 나프탈렌계, 폴리카르복시계, 리그노설페이트계 중 선택된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옥석계 광물분말은 분말도 8000㎠/g, 최대 입경 0.01㎜ 이고,
    상기 고로슬래그는 분말도 8,000㎠/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
  5. 구조물의 균열부위에 대한 균열보수공법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생성하는 균열주입재 생성단계;
    상기 생성된 균열주입재를 주입장치의 주입부에 충전시키는 충전단계;
    상기 주입장치의 노즐부를 균열부위에 수직 위치시키고 주입장치의 노즐부 후단에 주입부를 결합시킨 후, 주입부내에 충전된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주입노즐을 통해 균열부위로 주입하는 보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를 이용한 균열보수공법.
KR1020100058702A 2010-06-21 2010-06-21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 KR10097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702A KR100978190B1 (ko) 2010-06-21 2010-06-21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8702A KR100978190B1 (ko) 2010-06-21 2010-06-21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190B1 true KR100978190B1 (ko) 2010-08-25

Family

ID=4276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8702A KR100978190B1 (ko) 2010-06-21 2010-06-21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1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407A (ko) 2018-12-05 2020-06-15 엘림피엔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파손 또는 균열 보수보강 방법
CN112459526A (zh) * 2020-12-03 2021-03-09 安徽墨砂工程修缮技术有限公司 一种外墙保温空鼓脱落修缮方法
CN112707694A (zh) * 2019-12-24 2021-04-27 科之杰新材料集团福建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用钢筋套筒灌浆料及其制备方法
CN112707683A (zh) * 2019-12-24 2021-04-27 科之杰新材料集团福建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用套筒灌浆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9648A (ja) * 1990-06-27 1992-02-26 Tsutsunaka Plast Ind Co Ltd 無機成形体用組成物
KR100559150B1 (ko) 2004-09-25 2006-03-10 백종명 나노 합성 무기질 폴리머를 함유하는 콘크리트 및건축구조물의 균열보수 · 보강재 조성물
KR100707519B1 (ko) 2006-10-31 2007-04-1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콘크리트용 내화 보드 접착제 조성물
KR100944221B1 (ko) 2009-09-18 2010-02-24 주식회사 인트켐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접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9648A (ja) * 1990-06-27 1992-02-26 Tsutsunaka Plast Ind Co Ltd 無機成形体用組成物
KR100559150B1 (ko) 2004-09-25 2006-03-10 백종명 나노 합성 무기질 폴리머를 함유하는 콘크리트 및건축구조물의 균열보수 · 보강재 조성물
KR100707519B1 (ko) 2006-10-31 2007-04-1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콘크리트용 내화 보드 접착제 조성물
KR100944221B1 (ko) 2009-09-18 2010-02-24 주식회사 인트켐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접착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8407A (ko) 2018-12-05 2020-06-15 엘림피엔씨 주식회사 콘크리트 파손 또는 균열 보수보강 방법
CN112707694A (zh) * 2019-12-24 2021-04-27 科之杰新材料集团福建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用钢筋套筒灌浆料及其制备方法
CN112707683A (zh) * 2019-12-24 2021-04-27 科之杰新材料集团福建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用套筒灌浆料及其制备方法
CN112707694B (zh) * 2019-12-24 2022-05-10 科之杰新材料集团福建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用钢筋套筒灌浆料及其制备方法
CN112707683B (zh) * 2019-12-24 2022-05-10 科之杰新材料集团福建有限公司 一种预制构件用套筒灌浆料及其制备方法
CN112459526A (zh) * 2020-12-03 2021-03-09 安徽墨砂工程修缮技术有限公司 一种外墙保温空鼓脱落修缮方法
CN112459526B (zh) * 2020-12-03 2021-12-14 安徽墨砂工程修缮技术有限公司 一种外墙保温空鼓脱落修缮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478371B (zh) 一种节能型混凝土裂缝修补剂
KR100948348B1 (ko) 급결형 무기질 조성물 및 아크릴레이트계 차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차수 및 보수보강 공법
KR101340856B1 (ko) 내구성 및 수밀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방법
KR101352903B1 (ko) 유동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주입 보수공법,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처리 공법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보호처리 공법
KR100697667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0978190B1 (ko) 알루미노 실리케이트계 무기질 바인더를 이용한 친환경 균열주입재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 공법
KR100899843B1 (ko) 친환경 내진형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내진보강공법
KR101908533B1 (ko) 고강도 및 고내구성 경량 그라우트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시공방법
KR101366521B1 (ko) 휨바가 설치된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판 및 단면보수 모르타르 조성물을 이용한 중성화, 염해, 화학적부식으로 인한 피해를 입은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공법
KR102158508B1 (ko) 그래핀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단면 보수·보강용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수·보강 공법
KR102119460B1 (ko) 도로포장 균열충전용 주입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균열보수공법
CN101096304B (zh) 建筑、筑路用快速修补材料
KR101990324B1 (ko) 공동주택 외벽 보수 보강 공법
KR100538513B1 (ko) 스트립라이닝 관로 보수보강공법
KR102080343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배면 누수 보수공법
JP2020158371A (ja) ポリマーセメントモルタル及び鉄筋コンクリートの補修方法
KR101586488B1 (ko) 수용성 팽창 및 급결 성능을 가지는 무기계 지수제 조성물
KR100964064B1 (ko) 친환경 기능성 무기질 균열주입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보수공법 및 그 장치
KR20050030924A (ko) 표면열화 및 피복이 미 확보된 기존 구조물에 대한 보강재매입보강공법
KR101876551B1 (ko) 콘크리트 보수 공법
KR101675906B1 (ko) 수압을 받는 지하구조물의 콘크리트 구체방수 공법
KR101553599B1 (ko) 폐관침하에 의한 싱크홀 방지 공법
JP2010090664A (ja) トンネル空隙部の充填工法および充填組成物
WO2020008794A1 (ja) ボルト定着用セメント組成物及びボルト定着工法
KR100559150B1 (ko) 나노 합성 무기질 폴리머를 함유하는 콘크리트 및건축구조물의 균열보수 · 보강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