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595B1 -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한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한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595B1
KR100977595B1 KR1020080068328A KR20080068328A KR100977595B1 KR 100977595 B1 KR100977595 B1 KR 100977595B1 KR 1020080068328 A KR1020080068328 A KR 1020080068328A KR 20080068328 A KR20080068328 A KR 20080068328A KR 100977595 B1 KR100977595 B1 KR 10097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cording device
customer
temperature record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620A (ko
Inventor
채동국
Original Assignee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퍼펙트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5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7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통업계에 근무하는 판매사원의 거래처 방문 사실을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매사원이 방문해야할 거래처를 방문하지 않고 거래 명세서를 허위로 작성함으로써 회사에 불측의 손해를 발생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래처 방문 사실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처 방문 사실 확인 방법은, 거래처 냉장/냉동 설비의 온도를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를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데이터와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식별 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품업체 직원에 의한 거래 명세표 발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에 입력된 거래 내역에 상응하는 거래 명세표를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식별 정보의 입력 시간과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거래 명세표의 발행 시간을 비교하여 거래처 방문 사실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거래처, 방문, 확인, 판매사원, 온도기록장치, 거래 명세표

Description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한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및 시스템{A method for confirming whether staffs visit customer offices and a system adapt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유통업계에 근무하는 판매사원의 거래처 방문 사실을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매사원이 방문해야할 거래처를 방문하지 않고 거래 명세서를 허위로 작성함으로써 회사에 불측의 손해를 발생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거래처에 물품을 판매하는 본사 또는 대리점에서는 판매 사원이 해당 거래처를 실제로 방문하여 정확한 거래 명세표를 발행했는지 여부가 매우 중요한 사안이다. 예를 들어, ⅰ)판매사원이 해당 거래처를 실제 방문하였는지 여부, ⅱ)판매사원이 정확한 거래 명세표를 발행했는지 여부, ⅲ)판매사원이 등록하지 않은 개인 거래처를 갖고 있는지 여부, ⅳ)판매사원이 과다한 차량 유지비를 청구하고 있는지 여부, ⅴ)판매사원이 기타 부정한 행위를 하였는지 여부 등이 중요하다.
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 방법들이 있지만, 특히, 판매사원이 실제로 해당 거래처를 방문하여 거래 명세표를 발행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있다.
첫째, 거래처 내부에 바코드 라벨을 부착한 후, 판매사원이 해당 거래처를 방문하였을 때 바코드 스캐너가 장착된 PDA로 해당 바코드 라벨을 스캔하도록 함으로써, 방문한 거래처의 코드가 판매사원의 PDA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모든 거래처에 바코드 라벨을 부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판매사원이 거래처를 수동으로 선택하여 입력하거나 바코드 라벨을 복사하여 다른 장소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거래처 내부에 RFID 칩을 설치한 후, 판매사원이 해당 거래처를 방문하였을 때 RFID 리더가 장착된 PDA로 해당 RFID 칩을 자동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방문한 거래처의 코드가 판매사원의 PDA에 저장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판매사원이 RFID 칩을 복사하여 다른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모든 거래처에 RFID 칩을 부착해야 하고 판매사원이 거래처를 수동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판매사원이 실제 거래처를 방문하여 거래 명세표를 발행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그 진실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한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방법은,
식품업체 직원에 의한 거래처 방문 사실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거래처 냉장/냉동 설비의 온도를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를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데이터와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식별 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식품업체 직원에 의한 거래 명세표 발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에 입력된 거래 내역에 상응하는 거래 명세표를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식별 정보의 입력 시간과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거래 명세표의 발행 시간을 비교하여 거래처 방문 사실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표면에 설치되는 접촉식 누름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기록장치가 상기 거래처 냉장/냉동 설비에 부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 동작 모드를 동작 중단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표시부에 필수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기록장치에 정확한 필수 인증 정보가 입력된 경우, 현재 동작 모드를 동작 진행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거래처 방문 사실 확인 시스템은,
거래처 냉장/냉동 설비의 온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데이터와 장치 식별 정보를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온도기록장치, 거래 명세표 발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에 입력된 거래 내역에 상응하는 거래 명세표를 발행하고, 상기 온도기록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온도 데이터와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받는 휴대용 단말장치, 및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식별 정보의 입력 시간과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거래 명세표의 발행 시간을 비교하여 거래처 방문 사실을 판단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기록장치는, 상기 냉장/냉동 설비에 부착되는 해체 검출 장치, 및 상기 해체 검출 장치의 검출 결과에 따라 현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래처 방문 사실 확인 시스템은, 온도기록장치로부터 온도데이터와 함께 수신한 고유 ID를 통해 판매사원이 거래처를 방문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접촉 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동작 모드에서 중단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장치에 고유 ID가 전송되는 것을 막아 허위 거래 등록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모든 판매사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래처 온도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제조사(판매처)는 제품의 판매 촉진을 위해 점포나 업소(거래처)에 음료수나 우유 등을 보관하기 위한 쇼 케이스 또는 아이스크림을 보관하기 위한 냉동고 등을 무상으로 대여해주고, 해당 거래처에서 자사의 제품을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롯데 칠성음료, 롯데 제과, 빙그레, 남양 유업 등의 냉장고는 거의 모든 거래처들이 보유하고 있다.
한편, 식품 제조사는 제품의 생산에서부터 거래처의 보관까지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 HACCP 인증 시스템과 콜드 체인 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식품 제조사는 관리가 가능한 모든 장소(공장, 물류창고, 대리점, 물류차량 등)의 제품 보관 온도를 직접 관리하고 있다. 다만, 최종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대형 백화점이나 대형 마트에서는 자체적으로 온도 관리를 하고 있다.
반면, 최종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는 소매점에서는 이러한 온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왜냐하면 식품 제조사가 자신의 모든 거래처들의 온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시간적인 어려움이 있고, 소매점에서 직접 온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식품의 유통시간의 대부분은 소매점에서 경과된다는 점에서 식품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를 위해 식품 제조사에서는 모든 거래처의 냉장고에 온도기록장치를 설치하여 온도를 관리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는 온도기록장치가 주기적으로 온도를 측정하여 외부 표시창에 표시함과 동시에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식품 제조사의 판매사원이 거래처에 도착하면, 온도기록장치가 판매사원이 보유하는 PDA에 저장한 온도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온도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기록장치와 휴대용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판매사원이 거래처를 실제로 방문하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한다. 즉, 판매사원이 해당 거래처를 방문할 때마다 휴대용 단말장치가 온도기록장치로부터 온도데이터와 함께 거래처 코드 또는 장치 ID를 수신받고, 본사 서버에서 휴대용 단말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판매사원이 발행한 거래 명세표의 발행시간과 휴대용 단말장치에 저장된 거래처 코드 또는 장치 ID의 저장시간을 비교하여 판매사원의 거래처 방문 여부를 확인한다.
한편, 온도기록장치와 휴대용 단말장치의 데이터 전송 방법으로는 근거리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 및/또는 지그비를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지그비 통신 방법은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로서, 다른 무선 통신방식에 비해 전력소모가 적고 생산비용이 저렴해 10~20m 안팎의 근거리 통신에서 간단한 신호를 주고받는데 매우 유용하며, 건전지 하나로 10년 이상을 쓸 수 있고, CDMA 방식과 달리 통신 사용료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기록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도기록장치(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310), 키 입력부(320), 화면 표시부(330), 경고 발생부(340), 온도 센서(350), 데이터 전송부(360), 온도 저장부(370), 정보 저장부(380), 및 누름 스위치(390)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일정 주기마다 온도 센서(350)에 의해 측정된 냉장고 현재 온도를 화면 표시부(330)를 통해 표시하고 이를 현재 시간과 함께 온도 저장부(370)에 저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측정된 현재 온도가 소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고 발생부(340)를 통해 경고음/경고등을 발생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키 입력부(3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온도 저장부(370)에 저장된 이전 온도 데이터를 화면 표시부(330)에 표시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휴대용 단말장치가 온도기록장치(300)의 소정 거리 (예를 들어, 15m) 이내로 근접하는 경우, 무선 통신 환경을 설정하여 온도 데이터 저장부(370)와 기록 데이터 저장부(380)에 저장된 온도 및 기록 데이터를 데이터 전송부(360)를 통해 휴대용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된 기록 데이터를 정보 저장부(380)에 저장한다. 특히, 온도기록장치(300)는 휴대용 단말장치와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판매사원이 거래처에 설치된 온도기록장치를 고의로 해체하여 다른 장소에 설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기록장치 내부에 해체 검출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해체 검출 장치에는 접촉식 누름 스위치(390)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온도기록장치가 냉장고에 부착된 경우, 양단에 전류가 흐르고, 온도기록장치(300)가 냉장고로부터 탈착된 경우, 양단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접촉식 ON/OFF 누름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접촉식 누름 스위치(39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누름 스위치(39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 현재 상태를 탈착 상태로 보고, 현재 시간을 해체 시간으로 하여 기록 데이터 저장부(380)에 저장한 후, 현재 모드를 중단 모드로 변경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누름 스위치(390)에 다시 전류가 흐르는 경우, 현재 상태를 장착 상태로 보고, 현재 시간을 설치 시간으로 하여 기록 데이터 저장부(380)에 저장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310)는 인가받은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인증 정보(거래처 코드, 사원번호, 장비번호 등)가 입력되기 전까지 현재 모드를 중단 모드로 유지한다. 인가받은 휴대용 단말장치는 판매사원이 보유하는 휴대용 단말장치가 아닌 관리자가 보유하는 휴대용 단말장치일 수 있다. 한편, 현재 모드가 중단 모드로 설정된 경우, 휴대용 단말장치로 온도데이터와 기록데이터가 전송될 수 없다. 따라서, 동작 모드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관리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처 방문 사실 확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래처 방문 사실 확인 시스템은, 온도기록장치(410), 휴대용 단말장치(420), 및 본사 서버(430)를 포함한다. 이하, 이들 구성요소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온도기록장치(410)는 거래처 냉장고/냉동고의 표면에 부착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그 내부에 온도 데이터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구비한다. 온도기록장치(410)는 판매사원에 의한 무단 해체를 검출하기 위한 누름 스위치를 구비한다. 온도기록장치(410)는 누름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통해 현재 접촉 상태를 판단한다. 온도기록장치(410)는 접촉 상태 변경 정보와 설치 인증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온도기록장치(410)는 휴대용 단말장치(42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휴대용 단말장치(420)는 판매사원이 거래 명세표를 발행하기 위해 소지하는 모바일 장치로서, PDA(Personal Digital Assitance)이다. 휴대용 단말장치(420)는 그 내부에 GPS 위치 추적기를 보유할 수 있다. GPS 위치 추적기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현재 위치를 획득한다. 휴대용 단말장치(420)는 온도기록장치(410)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데이터와 상태 변경 정보를 그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장치(4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본사 서버(530)에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다.
본사 서버(430)는 식품 제조사 또는 그 대리점이 보유하는 서버로서, 휴대용 단말장치(420)로부터 특정 거래처에 대한 거래 명세표, 장비 식별번호, 거래처 코 드, 및 GPS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다. 본사 서버(430)는 상기 객체들을 서로 비교하거나 그 발생 시점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판매사원이 실제 거래처에 방문하여 거래 명세표를 발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추가적으로 본사 서버(430)는 각 거래처에 대한 체계적인 온도 관리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처 방문 사실 확인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온도기록장치에서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냉장고/냉동고의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510). 온도기록장치가 접속 상태에 있는지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판단한다(520). 이는 냉장고/냉동고와 직접 접촉되는 누름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바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접촉 상태가 아닌 경우, 현재 시간을 저장하고 현재 모드를 중단 모드로 변경한다(540). 중단 모드에서는 설치를 위한 필수 인증 정보의 입력을 요구할 수 있다.
필수 인증 정보(거래처 코드, 인증 코드, 장비 ID 등)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550). 정확한 인증 정보가 입력된 경우, 현재 모드를 작동 모드로 변경한다(560). 휴대용 단말장치가 소정 거리 이내로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한다(570). 인식 가능 범위 이내로 진입한 경우, 근거리 통신 방법으로 온도기록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장치에 전송한다(580). 휴대용 단말장치는 본사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고, 본사 서버에서는 전송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한다(590).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지 의 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거래처 온도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기록장치와 휴대용 단말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기록장치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처 방문 사실 확인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래처 방문 사실 확인 방법을 나타내는 상세 흐름도이다.

Claims (4)

  1. 식품업체 직원에 의한 거래처 방문 사실을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거래처 냉장/냉동 설비의 온도를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온도를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데이터와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식별 정보를 휴대용 단말장치에 근거리 통신 방식으로 전송하는 단계;
    본사서버가 상기 식품업체 직원의 거래처 방문 사실 또는 상기 거래처에서 발생한 거래 내역에 상응하는 거래 명세표 발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식별 정보의 입력 시간과 상기 거래 명세표 발행 시간을 상기 본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한 온도를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온도기록장치는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표면에 설치되는 접촉식 누름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온도기록장치가 상기 거래처 냉장/냉동 설비에 부착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온도기록장치는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 동작 모드를 동작 중단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온도기록장치의 표시부에 필수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내용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온도기록장치에 정확한 필수 인증 정보가 입력된 경우, 상기 온도기록장치는 현재 동작 모드를 동작 진행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3. 거래처 냉장/냉동 설비의 온도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 데이터와 장치 식별 정보를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장치에 전송하는 온도기록장치;
    거래 명세표 발행 요청에 응답하여 휴대용 단말장치에 입력된 거래 내역에 상응하는 거래 명세표를 발행하고, 상기 온도기록장치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으로 온도 데이터와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받는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 및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식별 정보의 입력 시간과 상기 휴대용 단말장치로부터 전송받은 거래 명세표의 발행 시간을 비교하여 거래처 방문 사실을 판단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기록장치는,
    상기 냉장/냉동 설비에 부착되는 해체 검출 장치; 및
    상기 해체 검출 장치의 검출 결과에 따라 현재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시스템.
KR1020080068328A 2008-07-14 2008-07-14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한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및시스템 KR10097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328A KR100977595B1 (ko) 2008-07-14 2008-07-14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한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8328A KR100977595B1 (ko) 2008-07-14 2008-07-14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한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20A KR20100007620A (ko) 2010-01-22
KR100977595B1 true KR100977595B1 (ko) 2010-08-24

Family

ID=41816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8328A KR100977595B1 (ko) 2008-07-14 2008-07-14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한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5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300Y1 (ko) 2003-05-23 2003-09-13 주식회사 티엔에이네트 무선통신을 이용한 온도정보 전송장치
KR20050033154A (ko) * 2003-10-06 2005-04-12 주식회사 텔로드 물품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유니트,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9275A (ko) * 2004-04-09 2005-10-13 김태윤 물류 환경 감지시스템
KR100701594B1 (ko) 2005-11-10 2007-03-29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업 관리 시스템 및영업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6300Y1 (ko) 2003-05-23 2003-09-13 주식회사 티엔에이네트 무선통신을 이용한 온도정보 전송장치
KR20050033154A (ko) * 2003-10-06 2005-04-12 주식회사 텔로드 물품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무선 송신 유니트, 및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물품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99275A (ko) * 2004-04-09 2005-10-13 김태윤 물류 환경 감지시스템
KR100701594B1 (ko) 2005-11-10 2007-03-29 한미아이티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영업 관리 시스템 및영업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620A (ko) 201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5078B1 (ko) 용기를 통해 소비자에게 배달되는 액체 음료 제품의 흐름을 모니터링, 제어 및 최적화를 위한 배급 네트워크
US7954712B2 (en) Product, asset, and device tracking, identification, and pricing system
US20110266338A1 (en) Tag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and Tracking Apparatus and System
EP2074596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energy management in vending machines, appliances, and other store or dispense equipment
AU2010295352B2 (en) Retail product track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8179261B2 (en) Identification and surveillanc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dividual item level tracking
CN101542545A (zh) 机柜监视和报告设备和系统
US20090207023A1 (en) Article management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ed in the same
JP2016540966A (ja) 小売り環境のための温度センサ
KR20180012320A (ko) 전자 가격, 재고 관리 및 라벨 시스템
KR20170092845A (ko) 자판기 통합 관리 시스템
WO2007043139A1 (ja) 物品管理システム及び物品管理方法
KR102102333B1 (ko) 냉동,냉장고의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KR100977595B1 (ko) 온도기록장치를 이용한 거래처 방문사실 확인 방법 및시스템
US20170337591A1 (en) Aware sign
KR100876223B1 (ko) 온도 감지 및 제어 시스템
CN114424261A (zh) 使用声磁检测的射频识别(rfid)标签位置验证
CN114556455A (zh) 使用短程通信的射频识别(rfid)标签位置验证
KR20070106846A (ko) 상품 추적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7058492A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システム
CN110782600A (zh) 一种基于rfid的自助收银及防盗窃购物车系统
KR20090047724A (ko) 온도데이터 수집방법 및 이에 적합한 시스템
KR20060081991A (ko) Rfid 리더기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판매 시스템 및 방법
US20180150876A1 (en) Product replacement system
CN114424262A (zh) 使用图像数据的射频识别(rfid)标签位置验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