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074B1 -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074B1
KR100977074B1 KR1020080047047A KR20080047047A KR100977074B1 KR 100977074 B1 KR100977074 B1 KR 100977074B1 KR 1020080047047 A KR1020080047047 A KR 1020080047047A KR 20080047047 A KR20080047047 A KR 20080047047A KR 100977074 B1 KR100977074 B1 KR 100977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norganic composition
pres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979A (ko
Inventor
송시훈
백승화
정영주
Original Assignee
송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시훈 filed Critical 송시훈
Priority to KR102008004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07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26Ir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0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2Manganese;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3/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in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3/24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61K33/34Copper; Compound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륨 25~37 중량부, 나트륨 20~30 중량부, 칼슘 16~27 중량부 및 마그네슘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기질 조성물은 미량 원소로서 붕소, 아연, 망간, 구리, 몰리브덴 및 코발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질 조성물은 각종 산업분야에 적용되어 생체의 생리활성을 증진시켜 활력과 건강을 증진시키고 생리적 항상성 작용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원적외선, 무기질, 세라믹, 생리활성, 인체 친화적 파동

Description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Farinfrared Radiating Inorganic Composition for Improving Physiologically Active Effect}
본 발명은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라믹은 일반적으로 규산염 또는 규소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건축용 타일, 벽돌, 의료용 기구, 전열기, 엔지니어링의 응용제품, 반도체 소재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고, 전통 한의학에서는 석고, 활석, 망초, 양기석, 산골 등이 한방의 탕제로서 현재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세라믹은 침구용 온열기, 원적외선 의료용 열기구 등과 같은 건강 의료 분야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의 세라믹은 천연광물을 그대로 절단하거나 분말화하여 사용하거나 2 내지 5 종의 광물을 분쇄하여 분말화한 후 열융합 소성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세라믹을 이용한 산업적 제품들은 공통적으로 SiO2, SiO3(이산화규소, 삼산화규소)가 주성분인 규소 화합물을 60~70%의 성분 구성비로 포함하고, Al2O3(삼산화알루미늄) 등의 알루미늄을 15~20%의 성분 구성비로 포함하나, 인체나 동식물에 대하여 생리활성 무기질인 칼륨, 나트륨, 칼슘, 마그네슘, 철, 아연 등은 10~15%의 성분 구성비를 넘지 않고 있다. 세라믹에 포함된 규소나 알루미늄 원소는 산이나 알카리 성분에 매우 안정되어 있는 광물들로서 이온화되어 음식물이나 기타 생성물을 통하여 인체나 동식물에 거의 유입되지 않는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든 세라믹에 포함된 규소나 알루미늄 원소가 이온화되어 적정수준 이상으로 생체 내에 유입된다면 생리부조화에 의하여 생체리듬의 균형이 흐트러져 질병을 유발하거나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게 된다. 또한 세라믹은 주거환경, 생활도구, 침구, 의류 등에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고, 이러한 세라믹에 노출된 환경에서 생활이 이루어지고 있어 인체 내의 무기질과 기타 에너지대사에서 생체 방어능력에 따른 체내에너지 소모량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옥, 황토, 토르마린, 시멘트 등의 기타 천연광물들을 방바닥이나 침대바닥에 활용하는 경우 나무판지나 펄프 장판지 등 천연물질에 비하여 동절기에 필요 이상의 연료를 소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체나 동식물은 생리 생육 필수 무기질 중에서 규소와 알루미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생활환경이나 주변에서 목재나 식물성 소재를 제외하고 시멘트, 흙, 기타 광물들과 같은 세라믹으로 대부분의 주거환경이 이루어져 이 물질들이 가지고 있는 원소들의 고유물질의 특성작용에 의한 자극파동이 인체에 대해 간접적 피로현상이나 스트레스 등과 같은 인체 생리대사에 저항성을 일으켜 인체 생리대사의 균형인 항상성 작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인체나 동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무기질의 비율과 흡사하게 무기질 조성물을 조성하는 경우, 상기 무기질 조성물의 인체 친화적 파동 및 원적외선 방사로 인하여 생체에 유익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알게 되었고, 이에 본 발명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은 인체나 동식물을 구성하고 있는 무기질의 비율과 흡사하게 조성되어 인체 친화적 공명 파동을 발생시키고 원적외선을 방사시킴으로서, 생체에 유익하지 않은 파동을 발생하는 기존 세라믹을 대신하여 사회 전반적인 산업분야, 예들 들어, 건설자재, 섬유류, 의료분야, 생활용품, 기타제품 등에 활용되어 생체의 활력과 건강을 증진시키고 생리적 항상성 작용을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와 동종의 주파수대를 형성하는 인체 친화적 공명 파동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생리 활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인체나 동식물을 구성하는 무기질의 비율과 흡사한 비율로 조성된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은 인체의 생리활성을 증진시켜 고혈압, 생리통 등을 완화할 수 있고, 인체와 동종의 주파수대를 형성하는 파동물질들의 방사에너지의 영향으로서 동절기에는 따뜻하고 하절기에는 청량하게 하며, 전자제품의 유해파를 순화시키며, 농산물의 생산력을 증진시키고 품질을 개선하는 등 생체에 유용한 기능으로 인하여 산업 전반에 활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칼륨 25~37 중량부, 나트륨 20~30 중량부, 칼슘 16~27 중량부 및 마그네슘 10~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은 칼륨 25~37 중량부, 나트륨 20~30 중량부, 칼슘 16~27 중량부 및 마그네슘 10~20 중량부의 성분비율로 조성될 수 있도록, 칼륨화합물, 나트륨화합물, 칼슘화합물 및 마그네슘화합물의 양을 조절 하여 제조된다.
칼륨화합물, 나트륨화합물, 칼슘화합물 및 마그네슘화합물의 양을 조절 및 혼합하여, 칼륨 25~37 중량부, 나트륨 20~30 중량부, 칼슘 16~27 중량부 및 마그네슘 10~20 중량부의 성분비율로 조성물을 형성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용이한 것이다.
상기 칼륨화합물로는 탄산칼륨, 산화칼륨, 황산칼륨, 염화칼륨,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나트륨화합물로는 탄산나트륨, 황산나트륨, 염화나트륨,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칼슘화합물로는 탄산칼슘, 황산칼슘, 염화칼슘,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마그네슘화합물로는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은 철 1~5 중량부, 붕소 0.5~2.5 중량부, 아연 0.6~1.5 중량부, 망간 0.6~1.5 중량부, 구리 0.02~0.1 중량부, 몰리브덴 0.01~0.05 중량부 및 코발트 0.01~0.0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은 이용목적에 따라 500 ℃ 내지 800 ℃에서 소성하거나 소성하지 않고 활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은 건축용 자재 및 원료, 각종 합성 수지의 원료(비닐, 플라스틱 등), 섬유제품, 의료 용기, 전기제품의 하우징, 도자기 원료 및 유약, 농자재 및 비료, 식품 및 의약품, 탈취제 등의 제조시 첨가제나 혼합물로 포함되어 각종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 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산칼륨 61 g, 황산나트륨 96.4 g, 염화칼슘 55.4 g 및 탄산마그네슘 53 g를 혼합한 후, 소성로에서 600 내지 800 ℃에서 2 내지 3 시간 동안 가열하여 소성시켜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조성물의 원소 성분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탄산칼륨 53 g, 탄산나트륨 70.6 g, 염화칼슘 55.4 g, 탄산마그네슘 53 g, 철 2 g, 붕소 1 g, 아연 1 g, 망간 0.8 g, 구리 0.1 g, 몰리브덴 0.05 g 및 코발트 0.05 g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상기 조성물의 원소 성분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탄산칼륨 56.6 g, 탄산나트륨 47.1 g, 염화칼슘 61 g, 탄산마그네슘 55.5 g, 철 2 g, 붕소 1 g, 아연 1 g, 망간 0.8 g, 구리 0.1 g, 몰리브덴 0.05 g 및 코발트 0.05 g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상기 조성물의 원소 성분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황산칼륨 57.4 g, 탄산나트륨 63.6 g, 탄산칼슘 50 g, 탄산마그네슘 55.5 g, 철 2 g, 붕소 1 g, 아연 1 g, 망간 0.8 g, 구리 0.1 g, 몰리브덴 0.05 g 및 코발트 0.05 g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상기 조성물의 원소 성분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염화칼륨 47.7 g, 탄산나트륨 70.6 g, 탄산칼슘 62.4 g, 탄산마그네슘 55.5 g, 철 2 g, 붕소 1 g, 아연 1 g, 망간 0.8 g, 구리 0.1 g, 몰리브덴 0.05 g 및 코발트 0.05 g를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상기 조성물의 원소 성분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탄산칼륨 53 g, 탄산나트륨 63.6 g, 탄산칼슘 57.4 g, 탄산마그네슘 55.5 g을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상기 조성물의 원소 성분비를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칼륨 35 30 32 33 25 30
나트륨 30 30 25 27 30 27
칼슘 20 20 22 20 25 23
마그네슘 15 15 16 15 15 20
- 2 2 2 2 -
붕소 - 1 1 1 1 -
아연 - 1 1 1 1 -
망간 - 0.8 0.8 0.8 0.8 -
구리 - 0.1 0.1 0.1 0.1 -
몰리브덴 - 0.05 0.05 0.05 0.05 -
코발트 - 0.05 0.05 0.05 0.05 -
< 실험예 1>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을 혼합한 건축용 실내도포제를 활용한 경우의 연료절감률 측정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350~600 메쉬로 미세분말화한 분말을 우레탄수지 접착바인더와 혼합하여 각각 실내도포제에 첨가하였고, 이를 바닥, 벽 등의 표면에 1~2 ㎜ 두께로 도포 후 건조하였다. 이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무기질 조성물 각각을 혼합하여 제조한 건축용 실내도포제를 도포한 주택에서의 연료 사용량을 일반 시멘트로 건축된 동일한 조건의 주택에서의 연료 사용량과 계절(봄, 가을, 겨울)에 따라 비교하여 연료 절감률을 측정하여 표 2(20·30평 아파트 20 가구 기준)에 나타내었고, 각각의 건물의 벽에 대한 원적외선 방사 측정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표 2에서,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물이 첨가된 실내도포제를 도포한 건물에 대해 실험한 경우를 편의상 실시예 1 내지 6으로 표시함).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봄·가을
연료절감률
32% 30% 35% 35% 37% 34%
겨울
연료절감률
49% 50% 50% 45% 50% 48%
평균
연료절감률
40.5% 40% 42.5% 40% 43.5% 41%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무기질 조성물을 혼합한 건축용 실내도포제를 도포한 건물은 생리 활성의 증진에 따른 에너지 절감 및 원적외선 방사 효과로서, 시멘트로 건축된 동일한 조건의 세라믹 주택에 비하여 체감온도가 4~5 ℃의 상승하여 연료 평균 절감률이 40 내지 45%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을 혼합한 건축용 실내도포제를 도포한 건물의 벽면에서는 원적외선이 다량 방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적용된 건물의 실내에 비치된 전기제품 등으로부터의 유해파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무기질 원소들에 의한 물리적이고 전자기적 자극에 의한 파동에 의하여 주변의 유해파들이 순화되거나 중화되거나 해소되어 손으로 TV 수상기나, 컴퓨터 모니터를 만졌을 때 정전기 발생이 1/4 이하로 감소하며 수개월 동안 1회 이상 먼지를 닦아내지 않아도 되는 것을 관찰하였다(정전기 완화 작용은 실험예 5 및 표 6에서 상술함).
< 실험예 2>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적용된 의류의 착복에 따른 고혈압 완화 실험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500~600 메쉬로 미세분말화한 분말 3~4%를 우레탄수지 바인더와 각각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들을 섬유염색제에 첨가하여 염색한 면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면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러닝셔츠와 팬티 1착 혹은 티셔츠 1착을 일반 고혈압 환자 및 만성 고혈압 환자 각각 50명에게 착복시켜 일정 기간 경과 후의 혈압을 혈압측정계로 측정하여 정상혈압(120/80 mmHg 내지 140/90 mmHg)으로 완화되는 수치를 조사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표 3에서,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여 염색한 섬유를 착복시켜 실험한 경우를 편의상 실시예 1 내지 6으로 표시함).
일반 고혈압 환자의 정상완화율 만성 고혈압 환자의 정상완화율
기간 3시간후 1일후 5일후 7일 후 1일 후 7일 후 14일 후 21일 후
실시예 1 66% 78% 90% 96%초과 34% 56% 68% 76%초과
실시예 2 64% 74% 94% 98%초과 32% 54% 68% 76%초과
실시예 3 60% 80% 90% 95%초과 34% 56% 66% 76%초과
실시예 4 60% 78% 90% 95%초과 30% 48% 60% 70%초과
실시예 5 64% 80% 90% 96%초과 30% 50% 60% 70%초과
실시예 6 64% 82% 94% 98%초과 34% 56% 64% 76%초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고혈압 환자가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적용된 의류를 착복하는 경우, 다수의 일반 고혈압 환자는 짧은 시간 내에 정상으로 완화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만성 고혈압 환자의 경우 이보다 조금 더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 고혈압 환자뿐만 아니라 만성 고혈압 환자들 대부분은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적용된 의류를 착복한 후 1 개월이 경과하면 정상 혈압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실험예 3>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적용된 의류의 착복에 따른 생리통 완화 실험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500~600 메쉬로 미세분말화한 분말 3~4%를 우레탄수지 바인더와 각각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들을 섬유염색제에 첨가하여 염색한 면섬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면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러닝셔츠와 팬티 1착을 착복한 생리 기간 중인 여고생 100명을 대상으로 3 내지 5일 동안 생리통이 완화되는 정도를 관능조사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표 4에서,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물을 각각 첨가하여 염색한 섬유를 착복시켜 실험한 경우를 편의상 실시예 1 내지 6으로 표시하였고, A 상태는 심한 통증으로 학교에 결석할 정도, B 상태는 아파서 조퇴해야 할 정도, C 상태는 진통제를 복용하면 편안한 정도, D 상태는 통증을 견딜 만한 정도임).
생리통
완화정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A 상태
(20명)
참을 만함 25% 20% 20% 20% 25% 20%
미약한 통증 35% 35% 35% 30% 35% 30%
완전 해소 35% 35% 35% 40% 40% 45%
잘 모름, 기타 5% 10% 10% 10% 0% 5%
B 상태
(20명)
참을 만함 35% 35% 30% 30% 25% 25%
미약한 통증 20% 25% 25% 20% 25% 30%
완전 해소 40% 40% 40% 45% 40% 45%
잘 모름, 기타 5% 0% 5% 5% 10% 0%
C 상태
(20명)
참을 만함 35% 30% 25% 35% 25% 30%
미약한 통증 20% 25% 25% 20% 25% 25%
완전 해소 45% 40% 40% 40% 40% 40%
잘 모름, 기타 0% 5% 10% 5% 10% 5%
D 상태
(40명)
참을 만함 - - - - - -
미약한 통증 20% 20% 20% 25% 20% 20%
완전 해소 80% 80% 75% 75% 80% 75%
잘 모름, 기타 0% 0% 5% 0% 0% 5%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생리 기간 중에 있는 여고생이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적용된 의류를 착복하는 경우 전체적으로 생리통이 완화되거나 완전히 해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생리통의 정도가 약할수록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적용된 의류에 의해 생리통이 완전히 해소되는 여고생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4>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혼합된 필름을 적용한 비닐하우스 내에서의 농작물 생육 실험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을 500~600 메쉬로 미세분말화한 분말 3~5%를 폴리에틸렌 필름에 혼합하여, 두께 0.05 내지 0.06 ㎜, 폭 9m, 길이 10m의 규격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비닐하우스에 1겹으로 설치하였다. 상기 비닐하우스 내에서 10일 동안 완전밀폐하여, 동절기에는 열대성 작물인 고추를 재배하고, 하절기에는 최고 고온기 광도 200,000 Lux일 때 열무를 재배하고 한쪽은 잡초를 기른 후 얻은 데이터와 일반 비닐하우스에서 동일한 조건 하에 상기 작물을 재배하여 얻은 대조군 데이터를 비교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36005141-pat00001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동절기에 일반 비닐하우스 내부온도가 4℃이하 내지 영하로 내려갔을 때 고추는 온도변화에 따라서 그 조직이 미세하게 팽창하여 파열된 후 햇볕에서 오는 미량의 X선이나 자외선이 식물세포를 산화시키거나 기타 광선들이 건조시켜 고사하게 되고, 여름철의 고온 시에는 광 포화 현상과 고열에 의해 식물의 저항성이 떨어져 고사하게 되나,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혼합된 필름이 적용된 비닐하우스 내의 식물은 같은 조건에서 더 나은 생육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혼합된 필름이 식물 생육에 필요한 필수 원소들의 무기질과 흡사한 비율로 조성됨으로서 태양광으로 내려오는 유해파장들이 본 발명의 무기질을 투과하여 여과 정화되어 식물생육에 피해가 일어나는 유해파동을 “활성파동에너지로 전환”하여 주는 기능에 의한 것이다.
< 실험예 5>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의 정전기 완화 실험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조성물 20 g 각각을 TV 수상기, 컴퓨터모니터, 자동차 손잡이에 부착하여 정전기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정전기를 측정하였고, 상기 측정값을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부착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표 6에 나타내었다(표 6에서,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물 20 g을 부착시켜 실험한 경우를 편의상 실시예 1 내지 6으로 표시함).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대조군
TV 수상기 3000(V) 2700(V) 2500(V) 2700(V) 2550(V) 2950(V) 15500(V)
컴퓨터 모니터 2100(V) 1950(V) 2050(V) 1890(V) 1790(V) 2200(V) 11200(V)
자동차 손잡이
(겨울철)
800(V) 750(V) 730(V) 750(V) 770(V) 740(V) 6000(V)
상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부착된 전기 제품이나 자동차 손잡이는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정전기 발생율이 1/4 ~ 1/5 이하로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6>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포함된 음용수에 의한 갈증 완화 실험
실시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을 필터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한 후,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 0.5 g 각각을 100 mL의 물에 용해한 후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이후 동과(동과(冬瓜)) 20 g, 옥미수(玉米鬚) 20 g 및 볶은 현미 20 g을 물 3 L에서 20∼30 분간 열탕추출한 1 L의 추출 용액에 상기 분리된 상등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음용수 및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음용수를 공사현장 근로자 50명에게 1일 5회씩 150 mL을 번갈아 마시게 하여 갈증이 해소되는 정도를 관능조사하여 표 7에 나타내었다(표 7에서,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물을 각각 첨가한 음용수를 마시게 하여 조사한 경우를 편의상 실시예 1 내지 6으로 표시하였고,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음용수를 마시게 하여 조사한 경우를 대조군으로 표시함).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대조군
심한 갈증 상태(10명) 60%
갈증완화
50%
갈증완화
50%
갈증완화
60%
갈증완화
50%
갈증완화
60%
갈증완화
40%
갈증완화
보통 갈증 상태(20명) 65%
갈증완화
65%
갈증완화
60%
갈증완화
75%
갈증완화
65%
갈증완화
70%
갈증완화
50%
갈증완화
미약한 갈증 상태(20명) 90%
갈증완화
90%
갈증완화
90%
갈증완화
95%
갈증완화
90%
갈증완화
95%
갈증완화
60%
갈증완화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포함된 음용수를 마시는 경우, 일반 생수를 마시는 경우에 비해 월등한 갈증 해소 효과가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도 1은 실험예 1에서의 본 발명의 무기질 조성물이 혼합된 실내도포제가 도포된 벽면을 35 ℃에서 원적외선 측정기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서의 일반 시멘트 벽면을 35 ℃에서 원적외선 측정기로 촬영한 사진이다.

Claims (11)

  1. 칼륨 25~37 중량부; 나트륨 20~30 중량부; 칼슘 16~27 중량부; 마그네슘 10~20 중량부; 및 철 1~5 중량부, 붕소 0.5~2.5 중량부, 아연 0.6~1.5 중량부, 망간 0.6~1.5 중량부, 구리 0.02~0.1 중량부, 몰리브덴 0.01~0.05 중량부 및 코발트 0.01~0.05 중량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500 ℃ 내지 800 ℃에서 소성하여 제조되며, 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리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47047A 2008-05-21 2008-05-21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 KR100977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047A KR100977074B1 (ko) 2008-05-21 2008-05-21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047A KR100977074B1 (ko) 2008-05-21 2008-05-21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979A KR20090120979A (ko) 2009-11-25
KR100977074B1 true KR100977074B1 (ko) 2010-08-20

Family

ID=41604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047A KR100977074B1 (ko) 2008-05-21 2008-05-21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0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3541A1 (en) * 1999-03-09 2000-09-14 Song Si Hoon A vital matter and a producing method
KR100344944B1 (en) 2002-01-21 2002-07-22 Hanil Medical Company Ltd Far infrared ray radia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2002348776A (ja) 2001-05-25 2002-12-04 Nippon Cerapure Kk 保温特性等にすぐれた布帛材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53541A1 (en) * 1999-03-09 2000-09-14 Song Si Hoon A vital matter and a producing method
KR100432798B1 (ko) * 1999-03-09 2004-05-24 송시훈 인체 및 동식물 생리 활성 촉진물 및 그 조성방법
JP2002348776A (ja) 2001-05-25 2002-12-04 Nippon Cerapure Kk 保温特性等にすぐれた布帛材料
KR100344944B1 (en) 2002-01-21 2002-07-22 Hanil Medical Company Ltd Far infrared ray radiato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979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9692B1 (ko) 다기능성 분말의 제조방법
CN104488737A (zh) 母猪发酵床垫料添加剂
CN101851136A (zh) 促进长寿的室内花卉植物纳米富硒元素复合肥
CN202466262U (zh) 放射远红外线及释放负离子的布料层
KR20020009249A (ko) 건축 내외장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028032A (zh) 一种淡水鱼多个生长阶段用饲料配方及其生产工艺
KR20060022740A (ko) 항균성 원적외선 방사용 세라믹 조성물
CN106396504A (zh) 一种多功能室内装修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977074B1 (ko)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원적외선방사 무기질 조성물
KR20080000744A (ko) 매트리스 제조방법 및 매트리스
JPH08104609A (ja) 遠赤外線放射体及び遠赤外線を放射する組成物
KR20090010342A (ko) 신체 기능 활성화용 볼 조성물
KR100791212B1 (ko) 인체에 유용한 광물 및 토양과 한약재를 이용하여 한의원 내에서 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줄 찜질시스템에 쓰일 온열 찜질용 조성물
KR100310975B1 (ko)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KR101140797B1 (ko) 코튼스프레이 컬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0736125B1 (ko) 구절초-황토 베개
KR100660167B1 (ko) 흑운모, 장석, 석영, 녹니석 및 각섬석군으로 이루어진천연 암석 분말을 포함하는 비료 조성물
KR100825126B1 (ko) 자력,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의료용 이온 단자제조방법
KR20090112012A (ko) 황토를 이용한 친환경성 매트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사용한 침대
KR0146451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다용도 석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2370A (ko) 원적외선 방사물질을 혼합한 후 분리하는 방법을 통하여 상온 또는 섭씨 37도 이상에서 원적외선 방사 액상물질의 제조방법
CN104367680B (zh) 一种防治鸭浆膜炎的中西药散剂、制备方法及应用
CN106804638A (zh) 一种平菇生长调节剂
CN105030015A (zh) 一种使君子保健地毯
JP3135842B2 (ja) 遠赤外線放射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