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983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983B1
KR100976983B1 KR1020030053265A KR20030053265A KR100976983B1 KR 100976983 B1 KR100976983 B1 KR 100976983B1 KR 1020030053265 A KR1020030053265 A KR 1020030053265A KR 20030053265 A KR20030053265 A KR 20030053265A KR 100976983 B1 KR100976983 B1 KR 10097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riving
driving chip
respons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4593A (ko
Inventor
안보영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983B1/ko
Publication of KR20050014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표시장치에서, 제1 구동칩은 제1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에 응답하여 제1 구동전압, 제1 주사신호 및 제2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제2 구동칩은 제2 제어신호 및 제1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제2 주사신호 및 제2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제1 표시패널은 제1 게이트 라인과 제1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제1 주사신호와 제1 영상신호에 응답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한다. 제2 표시패널은 제2 게이트 라인과 제2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제2 주사신호와 제2 영상신호에 응답하여 제2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셀룰러 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액정표시패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구동칩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구동칩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칩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제1 액정표시패널 230 : 제1 구동칩
231 : 제1 제어부 232 : 제1 메모리부
233 : 전원 회로부 234 : 제1 게이트 구동부
235 : 제1 소오스 구동부 300 : 제2 액정표시패널
330, 340 : 제2 구동칩 331, 341 : 제1 제어부
334, 344 : 제2 게이트 구동부 335, 345 : 제2 소오스 구동부
600 : 셀룰러 폰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듀얼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폰은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이 외부로 노출된 플립형 및 액정표시패널과 셀룰러 폰을 조작하기 위한 키 입력부가 힌지로 연결되어 액정표시패널과 키 입력부가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는 폴더형이 있다.
폴더형은 액정표시패널의 개수에 따라 일반 폴더형과 듀얼 폴더형으로 분류된다. 듀얼 폴더형은 주 화상을 표시하는 메인 액정표시패널 및 대기 화상(예를 들어, 시간, 날짜, 수신감도 등)을 표시하는 서브 액정표시패널을 갖는다.
메인 액정표시패널은 키 입력부와 대향하게 결합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서브 액정표시패널은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메인 액정표시패널을 확인하지 않고도 대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메인 액정표시패널에는 메인 구동칩이 실장되고, 서브 액정표시패널에는 서브 구동칩이 실장된다. 따라서, 메인 액정표시패널은 메인 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메인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서브 액정표시패널은 서브 구동칩으로부터 출력된 서브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메인 및 서브 액정표시패널에 메인 및 서브 구동칩이 각각 실장되다보니, 메인과 서브 구동칩이 차지하는 면적에 의해서 셀룰러 폰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메인과 서브 구동칩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각종 회로들도 메인과 서브에 별도로 구비되기 때문에, 셀룰러 폰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더욱 가중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제1 구동칩, 제2 구동칩, 제1 표시패널 및 제2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칩은 제1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에 응답하여 제1 구동전압, 제1 주사신호 및 제2 영상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2 구동칩은 제2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제2 주사신호 및 제2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 표시패널은 제1 게이트 라인과 제1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주사신호와 제1 영상신호에 응답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2 표시패널은 제2 게이트 라인과 제2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주사신호와 제2 영상신호에 응답하여 제2 영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1 구동칩에 내장된 상기 전원 회로부는 상기 제2 구동칩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2 구동칩에 내장된 각 부 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 액정표시장치를 갖는 셀룰러 폰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러 폰(600)은 전원에 응답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모듈(100), 상기 액정표시모듈(100)과 연결되고 상기 액정표시모듈(10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00) 및 상기 제어모듈(400)의 배면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액정표시모듈(100)과 제어모듈(400)로 상기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100)과 제어모듈(400)은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자의 개폐 동작에 의해 상기 제어모듈(400)이 외부로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100)은 대기 정보를 표시하는 제1 액정표시패널(200) 및 주요 정보를 표시하는 제2 액정표시패널(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액정표시패널(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어, 상기 입력신호에 해당하는 메인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상기 제2 액정표시패널(3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입력신호가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서브 영상(예를 들어, 시간, 날짜 및 수신 감도 등)을 표시한다.
상기 제1 액정표시패널(200)은 제2 액정표시패널(300)보다 화면 사이즈도 크고 해상도도 높다. 또한, 상기 제2 액정표시패널(300)은 사용자가 상기 셀룰러 폰(600)을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액정표시모듈(30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외부에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기 제1 액정표시패널(100)은 상기 액정표시모듈(30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개폐동작 시 외부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모듈(400)은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 입력부(410)를 포함하고, 특정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액정표시모듈(300)로 전송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액정표시패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액정표시패널(200)은 메인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영역(DA1) 및 상기 제1 표시영역(DA1)의 주변에 형성된 제1 주변영역(SA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액정표시패널(300)은 서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2 표시영역(DA2) 및 상기 제2 표시영역(DA2)의 주변에 형성된 제2 주변영역(SA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표시영역(DA1)에는 n개의 게이트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1 게이트 라인군(GL1-1 ~ GL1-n) 및 상기 제1 게이트 라인군(GL1-1 ~ GL1-n)과 직교하는 m개의 데이터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1 데이터 라인군(DL1-1 ~ DL1-m)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표시영역(DA2)에는 i개의 게이트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2 게이트 라 인군(GL2-1 ~ GL2-i) 및 상기 제2 게이트 라인군(GL2-1 ~ GL2-i)과 직교하는 j개의 데이터 라인으로 이루어진 제2 데이터 라인군(DL2-1 ~ DL2-j)이 구비된다. 여기서, i 및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고, i는 n보다는 작거나 같은 수이다. 또한, j 및 m은 2 이상의 자연수이고, j는 m보다 작거나 같은 수이다.
상기 제1 액정표시패널(200)의 사이즈는 상기 제2 액정표시패널(300)의 사이즈보다 크고, 그에 따라서 상기 제1 표시영역(DA1)의 사이즈도 상기 제2 표시영역(DA2)의 사이즈보다 크다. 또한, 상기 제1 표시영역(DA1)의 해상도는 상기 제2 표시영역(DA2)의 해상도보다 높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액정표시패널(200)의 해상도가 176 ×220이고, 상기 제2 액정표시패널(300)의 해상도는 96 ×64이다.
상기 제1 주변영역(SA1)에는 상기 제1 액정표시패널(200)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칩(230)이 실장되고, 제1 연성회로기판(250)이 부착된다.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250)은 상기 제1 구동칩(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신호를 상기 제1 구동칩(230)으로 인가한다.
상기 제2 주변영역(SA2)에는 상기 제2 액정표시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칩(330)이 실장되고, 제2 연성회로기판(350)이 부착된다.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350)은 상기 제2 구동칩(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신호를 상기 제2 구동칩(330)으로 인가한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칩(230, 330)은 제3 연성회로기판(360)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360)의 제1 단부는 상기 제1 액정표시패널(200)의 제1 주변영역(SA1)에 부착되고, 제2 단부는 상기 제2 액정표시패널(300)의 제2 주변영역(SA2)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구동칩(230, 330)은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360)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구동칩(230)에서 처리된 신호가 상기 제3 연성회로기판(360)을 통과하여 상기 제2 구동칩(33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구동칩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구동칩의 내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구동칩(230)은 제1 제어부(231), 제1 메모리부(232), 전원 회로부(233), 제1 소오스 구동부(235) 및 제1 게이트 구동부(2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어부(231)에는 원시 영상신호(O-DATA), 원시 제어신호(OCS) 및 제1 구동전압(VCC)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원시 영상신호(O-DATA)는 R(Red), G(Green), B(Blue)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시 제어신호(OCS)는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및 메인클럭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어부(231)는 상기 원시 영상신호(O-DATA)를 상기 제1 메모리부(232)에 저장한다(WRITE-DATA). 이후, 상기 제1 제어부(231)는 상기 원시 제어신호(OCS)에 응답하여 적절한 시기에 상기 제1 메모리부(232)로부터 영상신호를 라인 단위로 읽어들인다(READ-DATA).
이후, 상기 제1 제어부(231)는 읽어들인 상기 메인 영상신호(M-DATA), 상기 제1 소오스 구동부(235)를 제어하는 제1 수평 제어신호(HCS1) 및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234)를 제어하는 제1 수직 제어신호(VCS1)를 출력한다.
상기 전원 회로부(233)는 외부로부터 전원전압(Vp)을 입력받고, 상기 전원전압(Vp)을 적절한 레벨로 변경시켜 상기 제어부(231), 제1 소오스 구동부(235) 및 제1 게이트 구동부(234)로 공급한다.
상기 전원 회로부(233)는 상기 제1 제어부(231)를 구동하기 위한 상기 제1 구동전압(VCC) 및 상기 제1 소오스 구동부(235)를 구동하기 위한 제2 구동전압(AVDD) 및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234)를 구동하기 위한 제3 구동전압(VGD)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전원 회로부(233)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전압(VCC, AVDD, VGD)은 제2 구동칩(330)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2 구동칩(330)내에 구비된 제2 제어부(331), 제2 소오스 구동부(335) 및 제2 게이트 구동부(334)로 각각 입력된다(도 4에 도시됨).
상기 제1 소오스 구동부(235)는 상기 제1 제어부(231)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수평 제어신호(HCS1) 및 상기 제2 구동전압(AVDD)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영상신호(M-DATA)를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군(DL1-1 ~ DL1-m)(도 2에 도시됨)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234)는 상기 제1 제어부(231)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수직 제어신호(VCS1) 및 제3 구동전압(VGD)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게이트 구동신호를 상기 제1 게이트 라인군(GL1-1 ~ GL1-n)(도 2에 도시됨)으로 출력한다.
도 3에서는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234)가 상기 제1 구동칩(230)에 내장된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1 게이트 구동부(234)는 상기 제1 구동칩(230)에 내장되지 않고, 상기 제1 액정표시패널(200)에 직접적으로 집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구동칩(330)은 제2 제어부(331), 제2 메모리부(332), 제2 소오스 구동부(335) 및 제2 게이트 구동부(33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어부(331)에는 원시 영상신호(O-DATA), 원시 제어신호(OCS) 및 상기 제1 구동칩(230)(도 3에 도시됨)의 전원 회로부(233)로부터 출력된 제1 구동전압(VCC)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제어부(331)는 상기 원시 영상신호(O-DATA)를 상기 제2 메모리부(332)에 저장한다(WRITE-DATA).
이후, 상기 제2 제어부(331)는 상기 원시 제어신호(OCS)에 응답하여 적절한 시기에 상기 제2 메모리부(332)로부터 영상신호를 라인 단위로 읽어들인다(READ-DATA).
이후, 상기 제2 제어부(331)는 읽어들인 상기 서브 영상신호(S-DATA), 상기 제2 소오스 구동부(335)를 제어하는 제2 수평 제어신호(HCS2) 및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334)를 제어하는 제2 수직 제어신호(VCS2)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소오스 구동부(335)는 상기 제2 제어부(331)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2 수평 제어신호(HCS2) 및 상기 제1 구동칩(230)의 전원 회로부(233)로부터 제공되는 제2 구동전압(AVDD)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영상신호(S-DATA)를 상기 제2 데이터 라인군(DL2-1 ~ DL2-j)(도 2에 도시됨)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334)는 상기 제2 제어부(331)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2 수직 제어신호(VCS2) 및 상기 제1 구동칩(230)의 전원 회로부(233)로부터 제공되는 제3 구동전압(VGD)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게이트 구동신호를 상기 제2 게이트 라인군(GL2-1 ~ GL2-i)(도 2에 도시됨)으로 출력한다.
도 4에서는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334)가 상기 제2 구동칩(330)에 내장된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334)는 상기 제2 구동칩(330)에 내장되지 않고, 상기 제2 액정표시패널(300)에 직접적으로 집적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칩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제2 구동칩(340)은 제2 제어부(341), 제2 소오스 구동부(345) 및 제2 게이트 구동부(344)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제어부(341)에는 원시 영상신호(O-DATA), 원시 제어신호(OCS) 및 상기 제1 구동칩(230)(도 3에 도시됨)으로부터 출력된 제1 구동전압(VCC)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제어부(341)는 상기 원시 영상신호(O-DATA)를 상기 제1 구동칩(230)(도 3에 도시됨)의 제1 메모리부(232)에 저장한다(WRITE-DATA). 이후, 상기 제2 제어부(341)는 상기 원시 제어신호(OCS)에 응답하여 적절한 시기에 상기 제1 메모리부(232)로부터 영상신호를 라인 단위로 읽어들인다(READ-DATA).
이후, 상기 제2 제어부(341)는 읽어들인 상기 서브 영상신호(S-DATA), 상기 제2 소오스 구동부(345)를 제어하는 제2 수평 제어신호(HCS2) 및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344)를 제어하는 제2 수직 제어신호(VCS2)를 출력한다.
상기 제2 소오스 구동부(345)는 상기 제2 제어부(341)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2 수평 제어신호(HCS2) 및 상기 제1 구동칩(230)의 전원 회로부(233)로부터 제공되는 제2 구동전압(AVDD)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영상신호(S-DATA)를 상기 제2 데이터 라인군(DL2-1 ~ DL2-j)(도 2에 도시됨)으로 출력한다.
상기 제2 게이트 구동부(344)는 상기 제2 제어부(341)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2 수직 제어신호(VCS2) 및 상기 제1 구동칩(230)의 전원 회로부(233)로부터 제공되는 제3 구동전압(VGD)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게이트 구동신호를 상기 제2 게이트 라인군(GL2-1 ~ GL2-i)(도 2에 도시됨)으로 출력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2 구동칩(340)이 상기 제1 구동칩(230)에 내장된 제1 메모리(232)로부터 서브 영상신호(S-DATA)를 출력할 경우, 상기 제2 구동칩(340)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군(GL1-1 ~ DL1-m)의 일부분을 통해 상기 제1 메모리(2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 따르면, 상기 제1 구동칩에 내장된 상기 전원 회로부는 상기 제2 구동칩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2 구동칩에 내장된 각 부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 회로부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칩에 각각 내장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칩 중 어느 하나의 구동칩에 내장됨으로써, 상기 표시장치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제1 제어신호 및 전원전압에 응답하여 제1 구동전압, 제1 주사신호 및 제1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 구동칩;
    제2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제2 주사신호 및 제2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 구동칩;
    제1 게이트 라인과 제1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주사신호와 제1 영상신호에 응답하여 제1 영상을 표시하는 제1 표시패널; 및
    제2 게이트 라인과 제2 데이터 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주사신호와 제2 영상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영상과 다른 제2 영상을 표시하는 제2 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동칩은 상기 제1 영상신호 및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칩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을 통해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칩은,
    상기 제1 주사신호와 제1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부;
    상기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전원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출력부 및 제1 제어부에 제2 구동전압을 제공하고, 상기 제2 구동칩에 상기 제1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전원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부는,
    상기 제1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주사신호를 출력하는 제1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제1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 소오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칩은,
    상기 제2 주사신호와 제2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2 제어신호 및 상기 제1 구동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출력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출력부는,
    상기 제2 게이트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주사신호를 출력하는 제2 게이트 구동부; 및
    상기 제2 데이터 라인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 소오스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30053265A 2003-07-31 2003-07-31 표시장치 KR10097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265A KR100976983B1 (ko) 2003-07-31 2003-07-31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265A KR100976983B1 (ko) 2003-07-31 2003-07-31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593A KR20050014593A (ko) 2005-02-07
KR100976983B1 true KR100976983B1 (ko) 2010-08-19

Family

ID=3722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265A KR100976983B1 (ko) 2003-07-31 2003-07-31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9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991B1 (ko) * 2005-05-12 200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원 공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496B1 (ko) * 2000-12-28 2002-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
JP2003202544A (ja) * 2001-12-28 2003-07-18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496B1 (ko) * 2000-12-28 2002-08-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듀얼 lcd를 채용한 휴대형 단말기
JP2003202544A (ja) * 2001-12-28 2003-07-18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593A (ko) 2005-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0163B2 (en) Apparatus for driving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using common driving circuits
US7016703B2 (en)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folded state
US8928550B2 (en) Driver for operating multiple display devices
JP4256665B2 (ja) 画像表示装置
US7889164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20080122818A1 (en) Driver circuit for driving display device,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7928951B2 (en) Electro-optical device, method of driving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976983B1 (ko) 표시장치
KR100947524B1 (ko) 표시장치
JP4516307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60058408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0555302B1 (ko) 제어신호발생회로와 구동회로가 일체화된 액정표시장치
KR100965180B1 (ko) 표시장치
KR10074190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2006787A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4297662B2 (ja) 表示装置
KR20050098512A (ko) 구동칩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2311939A (ja) 表示制御装置、表示装置、および携帯電話機
KR20050020851A (ko) 구동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00040704A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058894A (ko) 소형 액정표시장치의 화상 제어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