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432B1 -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장치 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장치 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432B1
KR100976432B1 KR1020080030738A KR20080030738A KR100976432B1 KR 100976432 B1 KR100976432 B1 KR 100976432B1 KR 1020080030738 A KR1020080030738 A KR 1020080030738A KR 20080030738 A KR20080030738 A KR 20080030738A KR 100976432 B1 KR100976432 B1 KR 100976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lmn
communication connection
wireless device
wl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992A (ko
Inventor
아드리안 버클리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90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I-WLAN 또는 다른 무선 디바이스용 장치 및 관련 방법이 개시된다.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SSID 또는 관련 PLMN과 같은 네트워크 엔티티와 관련된 정보가 버퍼링된다. 통신 접속 손실 이벤트 이후에, 버퍼링된 정보가 검색되어 재접속 시도에 따라 사용된다.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 통신 접속, 무선 디바이스, 버퍼, 액세서.

Description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및 관련 방법{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RECONNECTION OF A WIRELESS DEVICE TO A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I-WLAN(상호작용 무선 근거리 통신망)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의 무선 디바이스를 위한 통신 접속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접속 손실 이후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부로의 무선 디바이스의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네트워크부를 식별해주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버퍼가 제공된다. 통신 접속의 손실(loss)의 발생시, 무선 디바이스는 버퍼에 액세스하고, 식별자가 버퍼에서 버퍼링되어 있는 네트워크와의 재접속을 시도한다.
통신 기술의 발전을 통해 다수의 다양한 유형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배치될 수 있었다. 통신 서비스의 실시를 위해 대다수는 정기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통신 기술 진보에 의해 가능화되고 그 사용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이다.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이라고도 칭해지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는 표준 제정 단체(standards-setting body)에 의해 공표되는 작동 사양의 작동 파라미터에 따른다. 운영 사양 및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관한 연이은 세대들이 공표되어 배치되고 있고, 각각의 세대는 부가의 통신 서비스 능력을 제공하고 있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은 통신 기술 진보의 결과로서 실현가능하게 되었으며 또는 그 사용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이다. WLAN은 일반적으로, 셀룰러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것들과는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 및 표준을 사용하여, 적어도 다양한 양태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작동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 가능하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가능한 커버리지 영역(coverage area)보다 일반적으로 작은 영역에 걸쳐 작동되는 소영역(small-area) 시스템으로서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다양한 부가의 양태에서, 무선 근거리 통신망은 통상의 근거리 통신망의 무선 확장이다. 무선 근거리 통신망은 유선 통신망과 유사하게 일반적으로 데이터 집약적인 패킷 통신 서비스의 실시에 따른 패킷 포맷형 데이터의 통신을 제공한다. WLAN은 SSID(서비스 세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때때로 WLAN을 SSID이라고도 부를 것이다.
이동국 및 사용자 장비(UE)라고 칭해지는 무선 디바이스는 종종 WLAN 및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모두를 경유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WLAN과 PLMN 사이의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엔티티(entity) 및 디바이스가 또한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근거리 통신망을 경유하여 PLMN과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존하는 I-WLAN(상호작용 무선 근거리 통 신망) 사양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선택 절차를 포함하는 I-WLAN 작업에 관련된 다양한 절차를 설명하고 있다. 디바이스가 I-WLAN을 경유하여 통신할 수 있는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의 선택을 수행하기 위해 선택 절차가 이어진다. 선택 절차에 따라서, 무선 디바이스는 이용 가능한 I-WLAN 및 각각의 I-WLAN과 관련된 관련 PLMN을 식별한다. I-WLAN은 또한 그 SSID(서비스 세트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며, 본 명세서에서는 때때로 I-WLAN을 SSID라고도 부를 수도 있다.
일단 선택이 이루어지면, 통신 접속이 형성되고, 데이터는 선택된 SSID 및 PLMN을 거쳐 통신 접속을 경유하여 통신된다. 통신 접속의 손실 또는 중단의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통신 서비스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지속하기 위해 통신 접속을 재설정해야 한다. GSM(이동 통신 세계화 시스템) 및 UMTS(범용 이동 전화 서비스) 사양은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장 최근에 등록된 PLMN의 개념을 제공하지만, 어떠한 유사한 메커니즘 또는 절차도 I-WLAN 작동에 대해서는 이용 가능하지 않다. I-WLAN에서의 접속 문제는 접속이 무선 디바이스와 SSID간에 제공되는 것 뿐만 아니라 선택된 PLMN에도 제공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하다.
따라서, 통신 접속의 손실 후에 I-WLAN 무선 디바이스의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식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I-WLAN의 통신과 관련된 배경기술에 비추어, 현저한 개선을 이끌어 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I-WLAN 시스템과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작동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및 관련 방법을 유리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을 통해, 접속 손실 후에 무선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부로의 무선 디바이스의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버퍼가 제공되고, 이 버퍼에는 무선 디바이스가 통신하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통신된 네트워크부를 식별해주는 네트워크 정보가 저장된다. 접속 중단, 즉 통신 접속 손실시에, 버퍼에 액세스하여, 저장된 콘텐츠가 검색되고, 검색된 콘텐츠는 재검색된 콘텐츠 내에서 식별된 엔티티에 무선 디바이스가 재접속하는데에 사용된다. 이에 의해, 무선 디바이스는 PLMN이 이용 가능한 SSID와 관련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이어서 그로부터 선택을 수행하기 위해 이용 가능한 SSID를 스캔할 필요 없이 재접속 시도를 수행한다. 가장 최근에 접속이 성공적이었던 네트워크 엔티티와의 재접속을 시도함으로써, 통신 접속 손실에 앞서, 가장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SSID/PLMN은 완전 탐색의 수행을 통해 다른 방식으로 선택되고, 선택은 완전 탐색과 관련된 시간 지연, 프로세싱 요건 및 전력 소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버퍼 또는 메모리 저장부가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되어 무선 디바이스의 가장 최근의 접속을 저장한다. 버퍼는 무선 디바이스의 영구 메모리로서 정의 또는 제공된다. 또는, 버퍼는 SIM(U), SIM, ISIM, R-UIM, 콤팩트 플래시 메모리, 마이크로-SD, 메모리 스틱,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접속해제되는 기타 메모리 소자와 같은 착탈식 메모리 디바이스에서 제공 또는 정의된다. 버퍼에 저장된 정보는 교대로 판독되고 버퍼에 기록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 내에 이미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이용 가능한 SSID를 식별하도록 스캐닝 작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용 가능한 SSID와 관련된 PLMN의 판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의 관련성은 예를 들면 무선 디바이스에 저장된 네트워크 또는 정보에 의한 정보 방송(broadcast)에 응답하여 판정된다. 수집된 또는 판정된 정보로부터, 그를 통해 통신하기 위한 SSID 및 관련 PLMN의 선택이 이루어진다. 선택은 선택의 직후에 또는 선택된 엔티티와의 통신 접속의 형성시에 버퍼에서 버퍼링된다. 무선 디바이스의 위치재설정 또는 제1 선택과의 통신 접속 링크의 성공적이지 못한 형성에 의해 발생되는 바와 같이 선택이 변경되면, 저장된 정보는 갱신 정보로 갱신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통신 접속의 손실시, 버퍼에 액세스하고, 관련 정보가 통신 접속의 재접속을 시도하는데 사용된다. 버퍼에 저장된 SSID는 SSID와의 통신 접속이 손실되는 경우에 SSID와의 재접속을 시도하는데 사용된다. SSID와의 접속이 유지되고 있지만 관련 PLMN과의 접속이 손실되면, PLMN 정보는 PLMN과의 재접속을 시도하는데 사용된다. 재접속 시도가 성공적이면, SSID 및 이들의 관련 PLMN의 탐색은 생략된다. 그리고, 재접속 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하거나 또는 선택된 수만큼의 연속적인 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무선 디바이스는 이용 가능한 SSID를 스캔한다. 그리고, 액세스된 정보를 사용하는 재접속에 앞서, 다른 SSID 또는 관련 PLMN과의 접속의 시도의 판정이 이루어지면, 무선 디바이스는 원한다면 대안적인 SSID 또는 PLMN과 접속을 시도한다.
따라서, 이들 및 다른 양태에서,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 접속의 접속 손실에 후속하여 그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및 관련 방법이 무선 디바이스에 제공된다. 버퍼는 무선 디바이스의 가장 최근의 접속 아이덴티티의 구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저장부는 접속의 손실에 응답하여 버퍼에 액세스하여 버퍼에 저장된 정보의 값을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이 정보 값은 통신 접속으로의 무선 디바이스의 재접속을 시도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접속 손실 후에 I-WLAN 무선 디바이스의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식이 제공된다.
따라서,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도시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 디바이스(본 도면에서, 무선 디바이스(12)로서 나타남)와의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UTRAN, CDMA 2000, EVDO, WI-MAX 시스템 등에서 작동 가능한 무선 트랜시버(transceiver)와 같은 임의의 다양한 무선 트랜시버를 나타낸다. 도 1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복수의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14)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장소에 위치된다. 그리고,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디바이스는 WLAN-1(14-1), WLAN-2(14-2), WLAN-3(14-3) 및 WLAN-N(14-N)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WLAN은 상호작용 WLAN(I-WLAN)을 형성한다. 각각의 I-WLAN은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16)과의 통신 접속을 제공하는 상호작용 기능을 갖는다. 또한, I-WLAN 및 PLMN의 수, 접속 및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은 여기서 홈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HPLMN), 등가 홈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EHPLMN) 또는 방문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VPLMN)으로서 다양하게 식별되어 있다. 이러한 HPLMN, EHPLMN 및 VPLMN과 같은 명칭은 무선 디바이스(12)의 관점에서 정의된 것이다. PLMN의 다른 명칭이 다른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조에서, WLAN(14-1)은 HPLMN(16-1), EHPLMN-1(16-2) 및 EHPLMN-2(16-3)에 접속된다. WLAN-2(14-2)는 여기서 EHPLMN-1(16-2), EHPLMN-2(16-3) 및 EPHLMN-3(16-4)에 접속된다. WLAN-3(14-3)은 여기서 EHPLMN-3(16-4) 및 EHPLMN-4(16-6)에 접속된다. 그리고, WLAN(14-n)은 여기서 EHPLMN-4(16-6), VPLMN-1(16-5) 및 VPLMN-2(16-7)에 접속된다.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I-WLAN의 적절한 선택을 통해, 무선 디바이스는 관련 PLMN을 경유하여 통신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즉, 이용 가능한 WLAN의 적절한 선택은 PLMN의 통신 접속을 결정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전송부(28) 및 수신부(32)로 나타나고 있는 무선 트랜시버 회로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장치(34)를 더 포함한다. 장치는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네트워크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더 구체적으로는 WLAN 또는 관련 PLMN과의 접속 손실의 경우에 통신 접속을 위한 무선 디바이스의 재접속을 용이하게 한다. 장치(34)는 여기서 프로세싱 회로, 하드웨어 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행 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임의의 바람직한 방식으로 구현 가능한 기능적 엔티티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난다. 장치를 형성하는 엔티티는 다양한 실시형태로, 무선 디바이스의 수신기 전송부 부분 및 제어 엘리먼트로서 물리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는 다른 장소에서 하우징되거나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 접속 가능하다.
장치는 무선 디바이스의 수신부의 작동이 서로 다른 WLAN에 의해 이루어진 방송을 모니터링하게 하도록 작동케해주는 리스트 생성기(38)를 포함한다. 방송은 이들의 SSID 값과 같은 WLAN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WLAN은 이하에서 SSID라고도 부는다. 모니터링은 SSID, 즉 WLAN이 존재하는 경우 이것이 이용 가능한지를 확인하도록 수행된다. 리스트 생성기는 이용 가능한 SSID를 식별하는 리스트(42)를 생성한다. 각각의 SSID와 함께 인덱싱된 것은 SSID의 각각의 것들과 관련되어 있는 PLMN이다. 관련 PLMN 정보는 각각의 SSID의 방송으로부터 또는 무선 디바이스에서 미리 저장된 정보로부터 얻어진다.
이용 가능한 SSID 중에서 어느 SSID가 통신을 개시할지를 선택하기 위하여 선택기(46)에 의해 선택된 선택 절차에 따라 리스트에 액세스한다. 선택은 예를 들면 이용 가능한 SSID 중 어느 것이 특정 PLMN과 관련되는지에 응답하여 이루어진다. 일단, 선택이 이루어지면, 무선 디바이스는 선택된 SSID와, 그리고 이어서 관련 PLMN과의 통신 접속을 형성하기 위한 시도를 할 수 있다. 접속 시도가 성공적이면, 통신이 개시된다. 접속 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하면, 추가적인 선택이 시도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선택이 행해진다. 여기서 선택기는 접속 시도가 성공적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접속 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에는 선택기의 추가적인 작동을 유도하는 접속 성공 및 손실 판정기(47)의 기능성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택기(46)에 의해 선택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SSID 및 관련 PLMN과 관련된 정보를 버퍼링하는 버퍼(48)를 더 포함한다. 버퍼는 무선 디바이스가 통신하거나 또는 가장 최근에 통신된 SSID/PLMN을 식별해주는 데이터 저장부를 형성한다.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이 핸드오프(handoff)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변경되면, 버퍼링된 정보가 이에 따라 갱신된다.
또한 접속 성공 및 손실 판정기(47)는 무선 디바이스와 SSID 사이, 또는 관련된 PLMN 또는 다른 엔티티와의 무선 디바이스의 통신 접속의 손실을 검출한다. 검출기(52)에 의한 통신 접속 손실 검출시에, 액세서(54)는 버퍼(48)에 액세스하여 콘텐츠에 액세스하게 된다. 액세스된 콘텐츠는 검색되고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재접속 시도에 사용된다. 버퍼링된 값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용 가능한 SSID 및 이들의 관련 PLMN의 시간 소모적 및 전력 소모적인 탐색 절차가 회피된다. 대신에, 매우 즉각적인 재접속 시도가 실행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에서, 버퍼는 무선 디바이스의 영구 메모리 또는 무선 디바이스와 착탈식으로 결합 가능한 메모리 디바이스에서 구현된다. 무선 디바이스와 결합 가능한 착탈식 메모리 모듈은 예를 들면, SIM, USIM, ISIM, R-UIM, 콤팩트 플래시 메모리, 마이크로-SD 메모리, 메모리 스틱 또는 임의의 다양한 다른 휴대용 메모리 소자를 포함한다. 일 구현에서, 데이터 저장부를 형성하는 버퍼에 저장된 정보는 버퍼에 직접 읽혀지고, 이로부터 직접 액세스되어 검색된다. 다른 구현에서, 정보는 무선 디바이스 내에 이미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작동에서, 버퍼에서 버퍼링된 정보는 선택기에 의해 선택이 행해질 때에 버퍼에 저장된다. 선택된 SSID/PLMN과의 통신 접속이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에, 버퍼링된 정보는 대체 정보로 대체된다. 다른 구현에서, 버퍼에 저장된 정보는 접속 시도가 성공적이라고 판정될 때 저장된다.
일 구현에서, 무선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하여 무선 근거리 통신망, 즉, SSID 인증을 사용하는 접속 시도를 통해 인증이 실행된다. 인증은 예를 들면, EAP, 웹 스플래시 페이지, HTTP 다이제스트, IPSec 터널 또는 임의의 다양한 다른 인증 및 보안 체계 및 메커니즘의 형태를 취한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액세스가 성공적으로 얻어지는 방식에 관련된 정보가 또한 버퍼에 저장된다. 통신 접속 손실의 경우, 이러한 정보는 또한 재접속 시도에 이용된다.
통신 손실 판정기에 의한 통신 접속 손실 판정시, 최종 사용된 SSID 값 및 정보가 검색되어 SSID와의 접속 손실시에 사용된다. SSID 접속은 유지되지만 PLMN 접속은 손실되는 경우, 버퍼링된 PLMN 정보는 PLMN 와의 재접속을 수행하도록 시도하는데 사용된다. 즉, 무선 디바이스는 버퍼에 저장된 버퍼링된 정보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먼저 이용된 동일한 PLMN에 등록한다.
도 2는 SSID 정보가 MMC 및 MNC 값의 견지에서 식별된 PLMN 정보와 함께 저장되어 있는 리스트(42)에 저장된 예시적인 정보를 도시하고 있다. 예시적인 리스트에서, SSID의 식별은 또한 SSID의 주파수/채널을 포함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지막 엔트리, 즉 최하층 엔트리는 SSID와 관련된 직접 IP 액세스 지표(indicia)를 갖는다. 직접 IP 어드레스는 예를 들면 ITSec 터널을 사용하여 HPLM으로의 직접 액세스를 제공한다. 직접 IP 어드레스는 또한 예를 들면 802.1x 인증의 실행 없이 VPLMN으로의 직접 액세스를 제공한다.
도 3은 리스트(42)의 예시적인 엔트리(62)를 더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식별자는 SSID의 값을 포함한다. 리스트는 식별자 필드(64), 구조 필드(66), 선택 필드(68), SFI 필드 표시기(72), 기록 크기 필드(74), 갱신 활성도 필드(76), 액세스 조건 필드(78), SSID-길이 식별자(82), SSID 값(84) 및 일련의 관련 PLMN 표시(88)를 포함한다.
도 4는 SSID 또는 관련 PLMN과의 통신 접속의 손실의 경우에 액세스되고 검색되도록 이용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 중에 저장된 예시적인 버퍼(48) 콘텐츠를 도시하고 있다.
버퍼(48)는 WI-MAX, CDPD, GERAN, UTRAN, LTE, CDMA 2000, EDVO 등과 같은 액세스 기술 유형의 표시(92)를 포함한다. 버퍼는 SSID 값, MCC 및 MNC 값 등과 같은 액세스 기술 네트워크 식별자(94)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버퍼는 또한 PLMN 또는 직접 접속 등을 경유하는 인증의 표시와 같은 접속 유형 표시(96)를 포함한다. 버퍼는 예를 들면 PLMN의 MCC, MNC, SID 등의 값으로의 액세스와 관련된 PLMN 상세내용(98)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버퍼는 여기서 예를 들면 터널 종단점의 필수 IP 어드레스 정보(102)와 같은 부가의 정보를 더 포함한다.
도 4의 도시에서, I-WLAN의 특정예가 이용된다. 이 예에서, 무선 디바이스는 EAP 인증을 사용하는 기술 사양 문서 TS.24.23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표준 절차에 따라 PLMN과의 인증을 수행한다. 어떠한 PLMN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무선 디바이스는 기술 사양 표준 TS33.234에 설명된 바와 같은 표준 절차를 사용하여 무선 디바이스의 HPLMN으로 직접적인 IPSec 터널을 설정하려고 시도한다. PLMN으로의 성공적인 구축시에, 무선 디바이스는 그 성공적인 접속과 관련된 상세내용을 또한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도 4는 식별이 PLMN 접속 또는 직접 접속을 경유하여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것과 같은 인증(106)과 관련된 접속-유형 정보인 SSID 정보(104)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되는 예시적인 저장 포맷을 나타내는 테이블(116)을 도시하고 있다. 식별자 필드(118), 구조 필드(122), 선택 필드(124), SFI 식별 필드(126), 기록 크기 필드(128), 갱신 활성도 필드(132) 및 액세스 조건 필드(134)는 모두 테이블의 부분을 형성한다. 단일-바이트 WSDI 길이 필드(138) 및 WSID 표시(144)는 모두 테이블의 부분을 형성한다. 필드(138)의 콘텐츠는 이하의 데이터 항목, 즉 WSID 값을 포함하는 필드(142)의 바이트의 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필드의 콘텐츠의 코딩은 1 바이트로 코딩된 비부호화된 길이이다. 필드(142)는 기술 사양 문서 TS24.234 [40]에 규정된 것과 같은 WLAN 특정 식별자(WSID) 값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코딩은 2진수이다. 미사용된 바이트는 "FF"로 설정되고, 값의 부분으로서 또는 길이 계산에 대해 사용되지 않는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테이블(146)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에 따라 사용되는 예시적인 포맷을 나타낸다. 테이블은 식별자 필드(148), 구조 필드(152), 선택 필드(154), SFI 필드(156), 파일 크기 필드(158), 갱신 활성도 필드(162) 및 액세스 조건 필드(164)를 포함한다. 그리고, PLMN 표시(166)는 1 내지 3 바이트를 갖는다. PLMN 식별자의 콘텐츠에는 예를 들어 모바일 지역 코드 및 그 뒤를 이어 모바일 네트워크 코드가 포함한다. 코딩은 예를 들면 기술 사양 문서 TS24.008[9]에 따라 제공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테이블(146)과 유사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에 따라 사용되는 다른 예시적인 포맷의 테이블(146)을 도시하고 있다. 테이블은 또한 식별자 필드(148), 구조 필드(152) 및 선택 필드(154)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기록 크기 필드를 표현하는 필드(158)가 제공될 뿐만 아니라, 마찬가지로 또한 갱신 활성도 필드(162) 및 액세스 조건 필드(164)가 제공된다. 테이블(146)은 여기서 액세스 기술 유형을 식별하는 필드(168)로 이어지는 액세스 기술 식별자의 길이를 식별하는 단일 바이트 필드(167)를 포함한다. 지정된 길이의 필드(169)가 액세스 기술 ID를 식별한다. 필드(170)는 접속 유형을 식별하고, 필드(171)는 서빙(serving) 네트워크 유형을 식별하고, 필드(172)는 서빙 네트워크의 아이덴티티를 식별한다.
SSID가 이용 가능한 동안 접속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 무선 디바이스는 SSID에 대해 저장된 정보를 검색한다. 무선 디바이스와 관련된 HPLM가 이용 가능하거나 또는 등가 HPLMN이 이용 가능하면, 무선 디바이스는 테이블에 설명된 절차를 사용하여 액세스를 얻도록 시도한다. 또는, 테이블(146)에 식별된 최종 등록된 PLMN이 사용되도록 시도된다.
액세스 네트워크가 손실되면, 무선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발견을 시도한다. 무선 디바이스가 이전에 위치했던 주파수/채널이 저장되면, 무선 디바이스는 검색된 주파수/채널 상의 네트워크를 우선 발견하려는 시도를 한다. 이와 달리, 무선 디바이스는 스캔을 시작한다. 일 구현에서, 스캔은 최종 인지된 액세스 네트워크를 위치확인한 경우, 또는 대안적으로는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고갈되어 있을 때 중단된다. 이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고갈되어 있고 최종 저장된 액세스 네트워크가 위치 확인되면, 무선 디바이스는 상기 절차에 따라 그 네트워크 및 대응 셀룰러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탐색의 도중에, 무선 디바이스가 HPLMN 접속을 지원하는 것으로 인지되는 액세스 네트워크를 발견하면, 일 구현에서,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의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일반적으로 도면 부 호 173으로 도시되어 있는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블록(174)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는 이용 가능한 SSID를 탐색하고 다른 정보를 위해 이들의 관련 PLMN과 함께 이용 가능한 SSID의 리스트를 형성한다. 다음에, 블록(176)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무선 디바이스는 SSID 중 통신 접속을 형성할 SSID를 선택한다. 그리고, 블록(178)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단 선택이 이루어지면, 통신 접속이 형성된다. 다음에, 블록(180)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택된 SSID 및 관련 PLMN과 관련된 정보가 버퍼링된다.
그 후에, 판정 블록(182)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신 접속이 손실되었는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통신 접속이 손실되지 않았으면, 즉 통신 접속이 지속되고 있으면, 아니오 분기(no branch)를 취하여 판정 블록으로 복귀한다. 이와 달리, 통신 접속이 손실되었으면, 예 분기(yes branch)를 취하여 블록(184)으로 이동한다. 블록(184)에서, 버퍼링된 정보에 액세스하여 이 정보를 검색한다. 그리고, 블록(186)에 의해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검색된 정보는 무선 디바이스를 통신 접속상태로 재접속시키기 위한 재접속 시도에서 사용된다.
무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전체 리스트를 재생성할 것을 요구하는 것과 관련된 전력 소비 및 시간 지연이 생략된다. 대신에, 버퍼링된 정보는 버퍼로부터 검색되어 재접속 시도에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작동 가능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 형성부에서 생성되어 유지되는 예시적인 리스트의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통신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 형성부에서 또한 생성되어 유지되는 예시적인 테이블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에 따라 수집되어 저장된 정보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집된 정보의 예시적인 포맷의 구현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에 따라 형성된 다른 예시적인 테이블의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유사하지만, 대안적인 예시적인 테이블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작동 방법을 표현하는 방법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무선 디바이스 14: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16: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 28: 전송부
32: 수신부 34: 장치
38: 리스트 생성기 42: 리스트
46: 선택기 47: 접속 성공 및 손실 판정기
48: 버퍼 52: 검출기
54: 액세서 62: 엔트리
64: 식별자 필드 66: 구조 필드
68: 선택 필드 72: SFI 필드 표시기
74: 기록 크기 필드 76: 갱신 활성도 필드
78: 액세스 조건 필드 82: SSID-길이 식별자
84: SSID 값 88: 일련의 관련 PLMN 표시

Claims (20)

  1. I-WLAN(Interworkd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통신 접속를 통한 공중 육상 이동 통신망(PLMN)의 손실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의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I-WLAN 접속을 통한 가장 최근의 PLMN의 아이덴티티의 표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버퍼와,
    상기 버퍼에 저장된 표시의 값을 검색하기 위해 I-WLAN 무선 통신 접속을 통해 상기 PLMN의 손실에 응답하여 상기 버퍼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액세서 - 상기 값은 처음에 I-WLAN 무선 통신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으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재접속을 시도하는 데 사용되는 것임 -
    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I-WLAN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버퍼에 저장된 I-WLAN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의 아이덴티티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값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는 상기 SSID 값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SSID 값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I-WLAN 통신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으로의 재접속을 시도하는 데 사용되는 것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에 저장된 I-WLAN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16)의 아이덴티티는 상기 SSID 값과 연관된 PLMN 값을 포함하는 것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서는 상기 PLMN 값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PLMN 값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I-WLAN 통신 접속을 통한 상기 PLMN으로의 재접속을 시도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액세스 접속 메커니즘의 아이덴티티를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자신의 아이덴티티가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액세스 접속 메커니즘은 직접 IP(direct 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의 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I-WLAN 통신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으로의 접속 손실(connection loss)이 발생되었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접속 손실 판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세서에 의한 상기 버퍼의 액세싱은 상기 접속 손실 판정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판정에 응답하는 것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I-WLAN 통신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으로의 통신 접속은 SSID 접속 및 PLMN 접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손실 판정기는 상기 SSID 접속 및 상기 PLMN 접속 중 하나의 손실을 판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12)의 I-WLAN 통신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으로의 통신 접속의 존재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 통신 접속 판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에 저장된 상기 표시는 상기 통신 접속 판정기에 의해 이루어진 판정에 응답하여 저장되는 것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I-WLAN 통신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으로의 통신 접속은 SSID 접속 및 PLMN 접속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접속 판정기는 상기 SSID 접속 및 상기 PLMN 접속 중 적어도 하나를 판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는 착탈식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영구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것인 장치.
  14. I-WLAN 통신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으로의 통신 접속 손실 이후에 무선 디바이스의 I-WLAN 통신 접속을 통한 PLMN으로의 통신 접속의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I-WLAN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으로의 접속의 아이덴티티의 표시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의 값을 검색하기 위하여, I-WLAN 통신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으로의 접속의 손실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단계 동안에 저장된 상기 표시에 액세스하는 단계와,
    상기 액세스 단계 동안에 액세스된 상기 표시의 값을 사용하여 처음에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I-WLAN 통신 접속을 통한 상기 가장 최근의 PLMN으로의 통신 접속으로 재접속하도록 시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접속가능한 착탈식 메모리 소자에 상기 표시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단계의 작동은 상기 무선 디바이스의 영구 메모리 소자에 상기 표시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시도 단계의 작동은 SSID 엔티티와의 통신 접속으로 재접속하도록 시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시도 단계는 PLMN과의 통신 접속으로 재접속하도록 시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재접속 시도 단계는 직접 IP 접속을 형성하도록 시도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20. 통신 접속의 중단에 응답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 접속 중에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I-WLAN 디바이스 장치로서,
    통신 접속의 중단 이전에 통신 접속 중에 마지막으로 I-WLAN 디바이스가 통신한 네트워크의 식별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아이덴티티 데이터와,
    상기 네트워크 아이덴티티 데이터 저장소에 저장된 식별의 네트워크와 처음에 재접속 시도를 개시하도록 구성된 재접속 시도 표시기
    를 포함하는 I-WLAN 디바이스 장치.
KR1020080030738A 2007-04-06 2008-04-02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장치 및 관련 방법 KR100976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697,432 2007-04-06
US11/697,432 US20080248747A1 (en) 2007-04-06 2007-04-06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reconnection of a wireless device to a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92A KR20080090992A (ko) 2008-10-09
KR100976432B1 true KR100976432B1 (ko) 2010-08-18

Family

ID=3832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738A KR100976432B1 (ko) 2007-04-06 2008-04-02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장치 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80248747A1 (ko)
EP (2) EP1978676B1 (ko)
JP (1) JP4763747B2 (ko)
KR (1) KR100976432B1 (ko)
CN (1) CN101282268A (ko)
AT (1) ATE457572T1 (ko)
AU (1) AU2008201485B2 (ko)
CA (2) CA2628808C (ko)
DE (1) DE602007004711D1 (ko)
HK (1) HK1122673A1 (ko)
MX (1) MX2008004567A (ko)
SG (1) SG146595A1 (ko)
TW (1) TW2009040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2463B2 (en) 2004-08-09 2016-01-05 Blackberry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y a mobile node in a multiple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working capability
US20060029027A1 (en) * 2004-08-09 2006-02-09 Adrian Buckle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y a mobile node in a multiple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working capability
US7505446B2 (en) 2006-01-18 2009-03-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switching communication operations between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and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A2673778C (en) 2006-12-28 2015-07-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data throughput by grouping data packets into maximum transmissible units
US20080220773A1 (en) * 2007-03-07 2008-09-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i-wlan plmn selection
US7899939B2 (en) * 2007-04-20 2011-03-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network selection using access technology indicator
US8238980B1 (en) * 2008-02-08 2012-08-07 Nextel Communications, Inc. Efficient utilization of multiple radio access technologies in a communications device
PL2258126T3 (pl) * 2008-04-02 2012-12-31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Bezpieczeństwo dostępu do systemu evolved packet system z sieci innej niż 3 GPP
CN101577909B (zh) * 2008-05-05 2011-03-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非3gpp接入系统信任类型的获取方法、系统及装置
US8254985B2 (en) 2009-11-04 2012-08-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controlling wireless transceiver oper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10244927A1 (en) * 2010-03-31 2011-10-0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Headsets
US8504730B2 (en) * 2010-07-30 2013-08-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ministering connection identifiers for collective operations in a parallel computer
US8565120B2 (en) 2011-01-05 2013-10-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cality mapping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US9317637B2 (en) 2011-01-14 2016-04-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tributed hardware device simulation
US8689228B2 (en) 2011-07-19 2014-04-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fying data communications algorithms of all other tasks in a single collective operation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US9250948B2 (en) 2011-09-13 2016-02-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stablishing a group of endpoints in a parallel computer
CN104160762B (zh) 2012-03-08 2019-03-1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控制无线通信系统中的服务的方法
US9615388B2 (en) 2012-03-19 2017-04-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wireless LAN access point
US9313730B2 (en) * 2013-02-15 2016-04-12 Blackberry Lim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discovery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network
US10667184B2 (en) 2015-01-23 2020-05-26 Hewlett-Par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lection of a wireless network for use by a target computing device
US9723557B2 (en) * 2015-11-16 2017-08-0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for reconnecting to a net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688A (ko) * 2000-12-22 2003-10-3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세부 이동 상태 정보를 이용한 액세스 파라미터 적응 및패킷 데이터 리소스 관리
US20060069760A1 (en) * 2000-02-14 2006-03-30 Yuen-Pin Yeap Automatic switching network points based on configuration profiles
US20060142004A1 (en) * 2004-12-23 2006-06-29 Haixiang He Method and apparatus to intelligently perform scanning and assist scanning by profiling scanning history
US20060171305A1 (en) 2005-02-03 2006-08-03 Autocell Laboratories, Inc. Access point channel forecasting for seamless station association tran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2845A (en) * 1924-08-25 1925-04-30 Arthur Marion Eichorn Improvements in resilient rubber heel
GB2315193B (en) * 1996-07-10 2000-11-15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GB2328845B (en) * 1997-09-02 2002-06-19 Motorola Inc Method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communication unit and base station
US7260638B2 (en) * 2000-07-24 2007-08-21 Bluesocket,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seamless roaming in a wireless network
US7133669B2 (en) * 2002-08-02 2006-11-07 Pcte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amless roaming between wireless networks
EP1404139B1 (en) * 2002-09-30 2010-11-24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US7835317B2 (en) * 2002-10-08 2010-11-16 Nokia Corporation Network selection in a WLAN
WO2005008315A1 (fr) * 2003-07-18 2005-01-27 Oleg Leonidovich Golovkov Casque virtuel a grand angle
US7328016B2 (en) * 2004-01-07 2008-02-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network selection at a mobile node utilizing a network selection list maintained thereat
US20050193150A1 (en) * 2004-02-27 2005-09-01 Research In Motion, Ltd.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network selection by a mobile node pursuant to a packet data communication service
US20060029027A1 (en) * 2004-08-09 2006-02-09 Adrian Buckle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y a mobile node in a multiple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working capability
US7505433B2 (en) * 2005-04-01 2009-03-17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Autonomous and heterogeneous network discovery and re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69760A1 (en) * 2000-02-14 2006-03-30 Yuen-Pin Yeap Automatic switching network points based on configuration profiles
KR20030083688A (ko) * 2000-12-22 2003-10-30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세부 이동 상태 정보를 이용한 액세스 파라미터 적응 및패킷 데이터 리소스 관리
US20060142004A1 (en) * 2004-12-23 2006-06-29 Haixiang He Method and apparatus to intelligently perform scanning and assist scanning by profiling scanning history
US20060171305A1 (en) 2005-02-03 2006-08-03 Autocell Laboratories, Inc. Access point channel forecasting for seamless station association tran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80745A3 (en) 2010-06-16
ATE457572T1 (de) 2010-02-15
SG146595A1 (en) 2008-10-30
AU2008201485B2 (en) 2011-04-21
EP2180745A2 (en) 2010-04-28
CN101282268A (zh) 2008-10-08
DE602007004711D1 (de) 2010-03-25
JP2008259214A (ja) 2008-10-23
TW200904077A (en) 2009-01-16
AU2008201485A1 (en) 2008-10-23
EP1978676A1 (en) 2008-10-08
US20080248747A1 (en) 2008-10-09
CA2628808C (en) 2011-09-20
HK1122673A1 (en) 2009-05-22
EP1978676B1 (en) 2010-02-10
EP2180745B1 (en) 2012-05-30
MX2008004567A (es) 2009-02-27
CA2628808A1 (en) 2008-10-06
CA2745719A1 (en) 2008-10-06
KR20080090992A (ko) 2008-10-09
JP4763747B2 (ja)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432B1 (ko)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장치 및 관련 방법
EP1983700B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network selection using access technology
KR101030734B1 (ko) I―wlan plmn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및 관련 방법
KR101407019B1 (ko) 싱글모드 및 멀티모드 시스템 선택 파라미터들과 서비스 관리의 프로비저닝
JP4806023B2 (ja) オーバラップしている周波数帯域において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4714261B2 (ja) 端末装置のロケーションエリアにおける通信ネットワークの最適選択
KR101210770B1 (ko) 홈 네트워크 또는 기타 공중 네트워크로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
KR100673374B1 (ko) 상호 연동 능력을 가진 다중 네트워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 노드에 의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및 관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