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3374B1 - 상호 연동 능력을 가진 다중 네트워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 노드에 의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및 관련 방법 - Google Patents

상호 연동 능력을 가진 다중 네트워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 노드에 의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및 관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3374B1
KR100673374B1 KR1020050072891A KR20050072891A KR100673374B1 KR 100673374 B1 KR100673374 B1 KR 100673374B1 KR 1020050072891 A KR1020050072891 A KR 1020050072891A KR 20050072891 A KR20050072891 A KR 20050072891A KR 100673374 B1 KR100673374 B1 KR 100673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node
type
message
netwo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2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344A (ko
Inventor
아드리안 버클리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6005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2Inter-network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20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e.g. CAD, simulation, modelling, system secu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이동 노드가 상호 연동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할 수 있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를 이동 노드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장치 및 관련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 선택은 상호 연동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공된다. 판정기는 상호 연동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후, 그 판정에 응답하여 식별기는 상호 연동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관련되어 있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를 식별한다.

Description

상호 연동 능력을 가진 다중 네트워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 노드에 의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 관련 방법{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Y A MOBILE NODE IN A MULTIPLE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WORKING CAP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실시되는 다수의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2a 및 도 2b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이동 노드에 유지되어 있는 목록 출력와, 이러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와의 직접 접속을 유지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동작 동안에 생성된 시그널링을 나타내는 메시지 시퀀스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실시방법을 목록 출력하는 방법 플로우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 TX 부
28: RX 부
32: 목록 출력
44: 판정기
46: 식별기
52: 목록 출력
56: 접속기 및 비교기
62: 인증 메시지 생성기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3GPP(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네트워크와 I-WLAN(상호 연동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동에 따라, WLAN(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이동 노드에 의해 선택된 PLMN(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과 통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WLAN이 이동 노드와 관련되어 있는 HPLMN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동 노드가 통신할 수 있는 이용가능한 PLMN의 정보를 이동 노드에서 획득할 수 있는 장치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 WLAN이 이동 노드의 HPLMN(홈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수행한다. 만약 그러한 경우라면, 이동 노드는 WLAN과의 인증을 실패하고, WLAN으로 하여금, 이동 노드가 WLAN를 경유하여 통신할 수 있는 PLMN을 식별하는 이동 노드로 PLMN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만든다. 이와 다르게 WLAN과 HPLMN과의 직접 접속에 의해 야기되는 이동 노드에 의한 HPLMN과의 자동 통신이 억제된다. 그 대신에, 이동 노드의 사용자 는 이용가능한 PLMN 중 어느 PLMN와 이동 노드가 통신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최근의 통신 시스템은 통신 기술의 발달로 많은 이점을 얻고 있다. 기존 통신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경우, 이러한 발달은 향상된 통신, 예를 들어, 보다 효과적인 데이터 통신, 보다 높은 통신 레이트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데, 즉, 그러한 방식에 의해, 최악의 통신 조건에서도 성공적인 데이터 통신을 보다 우수하게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통신 기술에서의 발달은 신규 형태의 통신 시스템의 발달을 가능하게 하여, 신규 형태의 통신 서비스의 실현을 제공한다. 이러한 통신 기술에서의 발달이 계속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또는 그 외의 신규의 통신 시스템으로의 구현도 향후 계속 진행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은 많은 사용자에 의해 그리고 많은 사용자들을 위하여 이용되며, 여러 통신 시스템 중 어떠한 통신 시스템을 통해서도 통신하는 용이한 액세스가 필요하게 된다. 사용자는 데이터를 다른 위치로 송신하여, 원거리의 위치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통신한다.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기술 발달 중 가장 큰 것이 디지털 통신 기술에서의 발달이다. 디지털 통신 기술의 이용은 여러 통신 이점들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신되어질 데이터의 불필요한 부분(redundancy)을 데이터 통신 이전에 제거함으로써 향상된 통신 효율이 제공된다. 통신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의 스루풋 레이트는 대응 아날로그 통신 시스템에서 가능한 스루풋 레이트보다 증가된다.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형태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내부에 동작가능한 통신국이 무선 통신 채널들을 통하여 통신되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채널들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부분들로 규정된다. 유선 접속을 통한 상호 접속 통신국을 필요로 하지 않고, 무선 통신 시스템은 유선 접속을 통한 통신국의 상호 접속이 가능하거나 실현할 수 없는 위치들 간의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모바일 통신 시스템으로서 구현될 수 있어, 통신 이동성을 통신들에 제공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인 형태로 셀룰라 통신 시스템이 있다. 셀룰라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라고 하는 네트워크 부를 포함하는데, 이는 통신 시스템에 의해 포함되는 지리적 영역 전반에 걸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셀룰라 통신 시스템은 동작 사양에 기술된 동작 파라미터에 따른다. 동작 사양은 표준 설정, 규제 본문(body)에 의해 기술된다. 그리고, 규제 본문은 동작 표준의 연속적인 세대로 기술되는데, 각각의 세대는 통신 기술을 발달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2세대 이상의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공통의 지리적 영역을 포함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오퍼레이터에 의해 동작되는 동일한 세대의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도 또한 공통의 지리적 영역 전반에 걸쳐 설치된다.
또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LAN)도 개발되어 배치되고 있다. WLAN도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이러한 시스템들은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동작과 유사한 방식으로 적어도 여러 양태로 동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 의해 포함되는 영역보다 작은 영역을 포함하는 소규모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몇몇 양태에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종래의 근거리 네트워크의 기술적 확장이다. 즉, 종래의 근거리 네트워크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모두 패킷 포맷 데이터의 통신을 일반적으로 제공하며 데이터 집약 패킷 통신 서비스를 일반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이동 노드들은 종래의 근거리 네트워크의 고정 노드들과 유사하며 기능적으로 동등하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통신 프로토콜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종종 동일하지도 않다. 종종, 이동 노드들은 셀룰라 통신 시스템과 WLAN 양쪽에서 동작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동 노드의 사용자가 통신 서비스에 따라서 데이터의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어떤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지를 선택해야 한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셀룰라 네트워크 시스템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동작 프로토콜 표준이 개발중에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의 통신 접속시, 이동 노드의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이동 노드가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허용하고 그러할 경우 2 이상의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관련되어 있다면 무선 이동 노드의 사용자가 어느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와 통신할지를 선택하도록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 노드의 사용자는 이용가능한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중 어느 네트워크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고 있는지의 표시를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의해 그러한 정보의 브로드캐스트 결과로 제공받는다. 이 정보는 이동 노드에, 예를 들면, 인증 과정에 따라 제공된다.
이동 노드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존의 과정은,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의 HPLMN(홈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을 때 이동 노드와 HPLMN 간의 통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문제를 겪기 쉽다. 이동 노드의 사용자는 이동 노드가 어느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와 통신할지를 선택하는 능력을 부여받지는 못한다.
따라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의 HPLMN에 직접 접속되어 있을 경우에도 사용자가 어느 것을 선택할지에 대한 개선된 방식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정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지는 다중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통신과 관련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3GPP(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네트워크와 I-WLAN(상호 연동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동에 따라, WLAN(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을 경유하여 이동 노드에 의해 선택된 PLMN(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과 통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시를 통하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동 노드가 통신하는 이용가능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의 정보를 이동 노드에서 획득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이동 노드가 통신 접속성이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의 홈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그렇다면, 이동 노드는 그 인증을 실패하고,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로 하여금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의 정보를 이동 노드에 송신한다. 이 정보는 이동 노드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를 식별한다.
따라서, 이와 달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과 홈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와의 직접 접속에 의해 야기되는 이동 노드에 의한 홈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와의 자동 통신이 억제된다. 사용자는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의 정보를 제공받으며, 이동 노드의 사용자는 이용가능한 네트워크 중 어느 네트워크와 통신이 이루어질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동 노드의 동작시, 이동 노드는 이동 노드와 통신이 가능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탐색한다. 이동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탐색은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또는 그 외의 구조에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존재를 식별하는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트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주파수 스캐닝을 포함한다. 이동 노드가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 가능성이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검출하는 경우, 이동 노드는 그 이동 노드와 선택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과정을 개시한다. 이동 노드는 예를 들어, 통신이 목록 상에 포함되지 않은 네트워크 보다도 우수한, 바람직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목록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또한, 이동 노드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관련되어 있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목록을 포함한다. 이동 노드가 통신 접속성에 진입할 수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검출하는 경우, 목록을 액세스하여, 그와 관련된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리스트는 어느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가 관련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목록에 대한 액세스에 응답하여, 위와 달리 되는 경우, 선택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 이동 노드는 그 이동 노드가 자신의 인증을 실패하도록 하는 인증 과정을 개시한다. 인증의 실패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즉,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관련되고 이동 노드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의 통신 접속을 통하여 통신하는 PLMN의 목록을 이동 노드에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동 노드는 이동 노드를 적합하게 인증하는 루트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의 값 이외의 값인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NAI)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식별자 값 외의 값은 이동 노드에 저장되고, 선택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 속을 유지하는지를 판정할 때 그 값을 검색한다. 또는, 어떤 값을 램던하게 생성하고, 그 램던한 값을 NAI의 도메인 부의 이외의 값으로서 수치적으로 또는 그 외의 방식으로 이용한다. 그 외의 값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를 전송함으로써, 인증이 실패된다. 그리고,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는 인증 실패에 따라서, 어느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액세스가능한지의 표시를 이동 노드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이동 노드의 사용자는 이용가능한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의 표시를 제공받음으로써, 사용자는 선택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이 이루어질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가 어느 것인지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 또는 그 외의 양태에서는, 다중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도록 선택가능하게 동작하는 이동 노드에 대한 장치 및 관련 방법이 제공된다. 이 통신 시스템은 제 1 형태 네트워크의 제 1 세트와 제 2 형태 네트워크의 제 2 세트를 가진다. 이동 노드는 제 2 세트의 제 2 형태 네트워크로 구성된 홈 네트워크와 관련되어 있다. 제 2 세트의 선택된 네트워크와의 이동 노드에 의한 통신은 제 1 세트의 제 1 형태의 네트워크와의 통신 접속성에 접속되면 용이하게 된다. 판정기는 이동 노드와 관련되어 있는 홈 네트워크와,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 제 1 세트의 네트워크 간의 직접 접속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채택된다. 판정기는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식별기는 제 1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간의 직접 접속에 대한 판정기의 판정에 적어도 응답하여 동작한다. 식별기는 제 2 세트의 네트워크 중 이동 노드와 통신가능한 네트워크가 이용가능한지를 식별한다.
본 발명의 범위 및 보다 철저한 이해는 아래 간략하게 요약되어 있는 첨부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부 및 첨부한 청구범위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상세한 설명부]
도 1 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10으로 도시된 통신 시스템은 이동 노드(12)로 대표적으로 도시되는 이동 노드와의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동 노드는 듀얼 모드를 형성하여, 제 1 방식과 적어도 제 2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동 노드는 IEEE 802.11(b) 또는 그의 변형의 동작 사양 및 3GPP(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동작 표준에 따라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이동 노드는 다른 동작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더욱 일반적으로는, 이동 노드는 하나 이상의 동작 사양, 예를 들면, 임의의 WLAN(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 방식 및 임의의 셀룰라 통신 시스템 통신 방식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이하의 예시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이 IEEE 802.11(b) 및 3GPP 동작 사양의 동작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동작은 예를 들어, IS-95 및 CDMA 2000 표준과 같은 CDMA 계 표준을 포함한 그 외의 동작 표준에 따라서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동작의 다음 설명은 한정을 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
통신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를 포함하며, 여기서는 다중 네트워크로 형성된다. 네트워크 중 몇몇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동작 표준, 여기서는, IEEE 802.11(b) 동작 표준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나머지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 동작 표준, 여기서는, 3GPP 동작 표준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도면의 예시적인 도시에서는, 4 개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가 도시되어 있고, 2 개의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16)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중 3 개(14-1, 14-2, 14-3)는 셀 18-1-3으로 식별되는 공통 영역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추가적인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N)도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셀(18-N)로 도시되는 또 다른 영역을 포함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로 나타내어지도록 도시되어 있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는 각각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셀루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동을 용이하게 하는 상호 연동 유닛(IWU; 22)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상호 연동 유닛은 3GPP에 의해 나열되는 동작 파라미터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1)는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16-1)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2)는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16-2)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16-1 및 16-2)가 접속된다. 그리고, 이에 따라,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1)가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16-2)와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또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2)가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16-1)와 간접적으로 접속된다.
이동 노드(12)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가 동작할 수 있는 동작 표준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이동 노드는 트랜 시버를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송신부(26)와 수신부(28)로 도시되어 있다. 트랜시버 회로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동작 사양에 나열되어 있는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하여, 이동 노드가 위치되는 통신 가능 구역을 가진 선택된 네트워크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 접속을 형성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된 이동 노드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1, 14-2, 14-3)의 통신 가능 구역 내에 위치된다. 이동 노드가 통신을 개시하는 경우, 이동 노드는 네트워크에 의해 신호가 브로드캐스트되는 채널을 스캐닝하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이용가능성에 대하여 스캐닝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이동 노드는 이동 노드가 통신을 시도하도록 허용되는 WLAN을 식별하는 WLAN 스캔 목록(32)을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이동 노드는 복수의 스캔 목록을 포함한다. 이 목록은 예를 들어, 바람직한 WLAN 목록과,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에 대한 직접 접속성을 제공하는 WLAN들을 포함한다. 여기서는, 바람직한 WLAN을 식별하는 목록을 홈 WLAN을 식별하는 목록이라 한다. 예를 들어, 이 목록은 목록화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브로드캐스트하는 주파수, 제어 또는 그 외의 정보를 식별한다. 네트워크 간의 상호 연동에 따라서, 이동 노드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하여,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 즉,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국과 통신할 수 있다. 이동 노드는 예를 들어, 서비스 가입에 따라서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허용받는다. 서비스 가입에 따르면, 홈 네트워크는 이동 노드와 관련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는, 이동 노드가 가장 일반적으로 위치되는 통신 가능 구역을 가진 네트워크와 관련되어 있다. 여기서는, 이동 노드(12)의 홈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가 네트워크(16-2)이며 이동 노드와 관련된 HPLMN(홈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로 식별된다.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가 아닌 그 외의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는 방문 네트워크라 한다. 여기서는, 네트워크(16-1)가 VPLMN(방문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로 식별된다.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14와 16 간의 상호 연동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연동을 유지시킬 수 있는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의 통지를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의 통신 접속성이 있는 이동 노드에 제공한다.
이 정보가 이동 노드에 전달되는 경우, 이동 노드의 사용자는 어떠한 경우에도 통신이 이루어지는 어느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기존의 제안과 규정에 따르면, 이동 노드는 자신이 그 선택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의 인증을 시도하는 관련 과정에 따라서 관련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는다. 그 인증이 실패로 되면, 이동 노드는 인증 실패에 따라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관련된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의 표시를 제공받는다. 그러나,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 중인 경우, 이동 노드는 어느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와 통신할 것인지를 이동 노드의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관련 네트워크를 제공받지 못한다. 따라서, 기존의 동작은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 어느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와 통신할지를 선택하는 이동 노드의 사용자의 능력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시에 따르면,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에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의 홈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어느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와 통신할 것인지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이 제공된다. 따라서, 이동 노드의 사용자는,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어느 이용가능한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와 통신할 것인지를 선택할 기회를 제공받는다.
또한, 이동 노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장치(42)를 더 포함한다. 장치(42)는 예를 들어, 처리 회로에 의해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한 어떤 원하는 방식으로 구현가능한 기능적 엔티티로 형성된다.
이 장치는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동작하는 판정기(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장치는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중 어느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통신하는데 이용가능한지를 식별하는 식별기를 포함한다. 이 식별기는 판정기에 의해 이루어진 판정에 적어도 응답하여 동작하는데, 여기서는, 이 판정이 라인 48을 통하여 식별자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판정기는, 자신의 SSID(서비스 세트 식별자) 값에 의한 것과 같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엔트리, 및 각각의 엔트리 마다 관련되어,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 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의 표시로 형성되는 직접 접속 목록 출력(32)을 포함한다. 이 목록 출력은 이동 노드에 영구적으로 저장되어, 예를 들어, 이동 노드의 초기 준비기간 동안에 이동 노드에 제공되거나, (U)SIM 또는 R-UIM에 저장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목록 출력은 목록 출력을 형성하는 엔트리와의 직접 접속의 식별 정보를 갱신하거나 목록 출력으로부터 엔트리들을 추가, 또는 제거하도록 갱신가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목록 출력(52)은 홈 WLAN을 식별한다.
판정기는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의 표시를 수신하는데, 여기서는, 이를 라인 54로 나타내며, 이 표시는 접속기 및 비교기(56)에 제공된다. 라인(54)을 통하여 제공되는 표시는 예를 들어, WLAN의 스캔 목록(32) 상에 목록화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의해 방송되는 정보의 검출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의 수신부에 의해 제공된다.
접속기 및 비교기(56)는 목록 출력(52)에 접속되어, 라인(54)을 통하여 제공되는 표시들과 함께 자신에게 저장된 값들을 비교한다. 이러한 비교에 응답하여, 라인(54) 통하여 전달되는 표시가, 엔트리에서 식별되는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임을 식별하는 목록 출력(52) 상의 엔트리에 대응하는 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수행한다.
그 비교 결과는 라인(48)을 통하여,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인증 메시지 생성기(62)를 포함하는 식별자에 제공된다. 또한, 식별자는 루트 네트워크 어드레스식별자(RNAI)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소자를 포함한다. 이 메모리 소자(64)에 저 장되는 루트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는 이동 노드와 관련되는 홈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를 정확하게 식별하는 값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메모리 소자(66)에 저장된 값들은 대체(alternate) 값, 즉, 부정확하게 또는 에러를 갖고 홈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값으로 이루어진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의 대체 값들은 랜덤하게 생성되고, 메모리 소자(66)는 랜덤 값 생성기로 대체된다.
라인(48)을 통하여 제공되는 표시들이,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 WLAN이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음을 식별하는 경우, 메모리 소자(64)에 저장된 홈 네트워크와 관련된 루트 NAI가 검색되어, 인증 과정에 따라서 인증 메시지 생성기에 의해 이용된다. 그러나, 판정기가, WLAN이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의 값이 메모리 소자(66)로부터 검색된다. 그리고, 인증 메시지 생성기는 인증 과정에 따라서 이 값을 이용한다. 정확한 네트워크 식별자가 이용되고 있지만 WLAN이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이 실패로 된다. 그리고, WLAN이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에러를 가진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가 인증을 실패로 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WLAN이 이동 노드의 홈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메모리 소자(66)에 저장된 대체 값을 항상 이용한다. 여기서도 또한, 인증이 실패로 된다. 그리고, 판정기에 의해 이루어지는 판정은 제거된다.
실패로 된 인증에 응답하여, WLAN은 WLAN이 연관성을 유지하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이동 노드에 송신한다. 그리고, 이동 노드의 사용자는 그 반송된 식별 정보로부터 이동 노드가 후속하여 통신할 수 있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목록은 알고 있는 WLAN의 이동 노드에서 그리고 PLMN의 개개의 연관성으로 유지된다. 이 목록에 나타난 WLAN이 위치되는 경우, 그 WLAN과 관련된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이용되는 인증 과정이 수행되지 않고, 목록에 저장된 HPLMN 정보는 이동 노드의 사용자에 제공된다. 그리고, WLAN과 관련된 셀룰라 시스템 네트워크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그 외의 NAI를 이용한 인증 과정이 요구되지 않는다.
도 2는 이동 노드(12; 도 1에 도시되어 있음)에서 구현되는 장치(42)의 부분을 형성하는 직접 접속 목록 출력(52)의 표현을 나타낸 것이다. 이 목록 출력은 예시적인 것이며, 여기서는, 복수의 엔트리(72)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와 관련된 4 개의 엔트리(1, 2, 3, 및 N)가 목록 출력을 형성한다. 각각의 엔트리는 제 1 컬럼(76)에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각각을 식별하는 서비스 세트 식별자(SSID)에 의해 식별된다. 그리고, 관련되어 있는 WLAN의 서비스 세트 식별자와 함께 인덱스된 컬럼(78)에서 표시가 표기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 2 WLAN(14-2)의 SSID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컬럼(78)은 직접 접속의 표시를 포함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서 이동 노드(12)에서 구현되는 목록 출력(52)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엔트리는 WLAN(2) 즉, 도 1에 도시된 WLAN(14-2)을 식별하는 엔트리(72)를 포함한다. 여기서, 목록 출력에서의 WLAN(2)의 포함은 WLAN이 이동 노드의 HPLMN과의 직접 접속성을 가짐을 식별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의 예시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메시지 시퀀스 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1, 14-2, 14-3)는 이동 노드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들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신호들은 세그먼트(82-1, 82-2, 82-3)에 의해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이동 노드는 자신의 WLAN 스캔 목록(32; 도 1에 도시함)에 액세스하여, 어느 채널을 튜닝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식별 채널에 대한 튜닝에 의해, 이동 노드가 블록 86에 표시된 바와 같은 송신 신호들을 검출한다.
이동 노드는 직접 접속 목록(도 1에 도시함)에 액세스한다. 여기서, 블록 88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액세스와 비교를 수행한다. 비교에 응답하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수행하며, 여기서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14-2)로 되도록 선택되며, 세그먼트(9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인증 메시지가 생성된 다음 이 네트워크에 송신된다. 네트워크(14-2)는 네트워크(16-2), 여기서는,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인증이 실패로 된다. 인증 실패 응답(94)은 네트워크(14-2)가 연관성을 유지하는 네트워크의 표시와 함께 이동 노드에 제공된다. 이동 노드에서 수신하면, 블록 10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들의 표시가 이동 노드의 사용자에게 표시되고, 블록 104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사용자는 이동 노드 가 통신하는 네트워크 중 이용가능한 네트워크를 선택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실시 방법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112로 도시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은 제 1 형태 네트워크의 제 1 세트와 제 2 형태 네트워크의 제 2 세트를 가진 다중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 노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이동 노드는 제 2 세트의 제 2 형태 네트워크로 구성된다. 이 방법은 이동 노드가 제 1 세트의 제 1 형태 네트워크와 통신 접속성을 갖고 접속되는 경우 이동 노드에 의한 제 2 세트의 제 2 형태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한다.
먼저, 블록 114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을 갖고 접속되는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에 대한 판정이 이루어진다.
이후, 블록 116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세트의 네트워크중 어느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통신하는데 이용가능한지에 대한 식별이 수행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실시를 통하여, 이동 노드의 사용자가 이동 노드와 통신하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방식이 제공된다. 이러한 선택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가 통신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바람직한 예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러한 설명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다음 의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노드의 사용자가 이동 노드와 통신하는 셀룰라 통신 시스템 네트워크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는 방식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가 통신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와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33)

  1. 제 1 형태 네트워크의 제 1 세트 및 제 2 형태 네트워크의 제 2 세트를 가진 다중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하도록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이동 노드용 장치로서,
    상기 이동 노드는 제 2 세트의 제 2 형태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홈 네트워크와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제 1 세트의 제 1 형태의 네트워크와 통신 접속성을 갖고 접속되는 이동 노드에 의해 제 2 세트 중 선택된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며,
    이동 노드에 구현되어 있으며, 이동 노드가 통신 접속성을 갖고 접속되는 제 1 세트의 네트워크와,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 간의 직접 접속의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이동 노드가 통신 접속성을 갖고 접속되는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기와;
    이동 노드에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판정기에 의한, 제 1 네트워크와 홈 네트워크 간의 직접 접속의 판정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 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와의 인증을 실패로 되도록 하고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연관성(association)을 유지하는 제 2 세트의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관성 메시지를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송신하도록 하는 값을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생성하는 식별기를 포함하는 이동 노드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기가 수신하도록 구성되어진 표시는 이동 노드가 통신 접속성을 갖고 접속되는 제 1 세트의 네트워크에 의해 전달되는 것인 이동 노드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형태 네트워크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형태 네트워크는 셀룰라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판정기는 이동 노드가 통신 접속성을 갖고 접속되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가 이동 노드와 관련되는 홈 셀룰라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인 이동 노드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기는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연관성을 유지하는 제 2 세트의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관성 메시지의 전달을 검출하는 식별 정보(identification) 응답 검출기를 더 포함하는 것인 이동 노드용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는 이동 노드의 통신 접속성을 갖는 접속에 따른 인증 과정을 수행하며, 상기 식별기에 의해 생성되는 연관성 메시지는 상기 인증 과정에 따라 생성되는 것인 이동 노드용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는 제 1 값의 네트워크 식별자에 의해 이동 노드와 관련된 홈 네트워크에서 식별되며,
    상기 판정기가 상기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이 있는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인증 메시지는 제 1 값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판정기가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상기 인증 메시지는 대체(alternate) 값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노드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에 의해 대체 값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인증 메시지의 생성은 이동 노드의 인증을 실패로 하도록 하는 것인 이동 노드용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제 2 네트워크는 루트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를 인식하는 셀룰라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값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홈 네트워크의 루트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를 인식하고 상기 대체 값의 네트워크 식별자는 홈 네트워크의 루트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와 상이한 값의 루트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인 것인 이동 노드용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기는 제 2 형태 네트워크들 중 어느 네트워크가 제 1 세트의 제 1 형태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하고 있는지의 표시와 함께 인덱스된 제 1 세트의 제 1 형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목록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판정기에 의해 이루어진 판정들은 상기 목록에 대한 액세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인 이동 노드용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는 스캐닝 과정을 수행하여 제 1 세트의 제 1 형태 네트워크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내고, 상기 판정기가 수신하도록 구성되어진 표시는 스캐닝 과정에 따라서 검출되는 신호들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 노드용 장치.
  11. 제 1 형태 네트워크의 제 1 세트와 제 2 형태 네트워크의 제 2 세트를 가진 다중 네트워크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노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노드는 제 2 세트의 제 2 형태 네트워크로 구성되는 홈 네트워크와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노드가 제 1 세트의 제 1 형태 네트워크와 통신 접속성을 갖고 접속되는 경우, 상기 이동 노드에 의한 제 2 세트의 선택된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은,
    상기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을 갖고 접속되는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홈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되어 있는지를 이동 노드에서 판정하는 단계와;
    제 1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와의 인증을 실패로 되도록 하고,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연관성을 유지하는 제 2 세트의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연관성 메시지를 제 1 세트의 네트워크가 송신하도록 하는 값을 포함하는 인증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노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 이전에, 제 2 형태 네트워크들 중 어느 네트워크가 제 1 세트의 제 1 형태 네트워크와 직접 접속하고 있는지의 표시와 함께 인덱스된 제 1 세트의 제 1 형태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목록을 이동 노드에서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노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하는 단계 동안에 생성되는 목록 출력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노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어느 제 1 형태 네트워크가 상기 이동 노드와 통신 접속성을 갖고 접속되는지의 표시를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노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하는 단계는 상기 전달하는 단계 동안에 전달되는 표시에 의해 식별되는 제 1 형태 네트워크와 일치하는 목록 출력에서의 엔트리를 액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이동 노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16. 이동국에 의해 네트워크 디스커버리(discovery)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홈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의 수행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 동안에 송신되는 메시지는 대체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디스커버리의 수행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 동안에 송신되는 메시지가 라우팅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홈 네트워크는 이동국의 홈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디스커버리의 수행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 동안에 메시지가 송신되는 네트워크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상기 홈 네트워크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디스커버리의 수행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 동안에 수신되는 상기 송신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은 메시지가 송신되는 네트워크와 관련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디스커버리의 수행 방법.
  21. 이동국에 의해 네트워크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홈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불가능함을 알리는 메시지를 네트워크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송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디스커버리의 수행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수단에 의해 송신되는 메시지는 대체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인 네트워크 디스커버리의 수행 장치.
  23. 어느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와 통신할지의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노드 장치로서,
    제 1 메시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생성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는 대체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 값을 선택가능하게 포함하며, 대체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어느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와 통신할지의 선택에 대하여 이용가능한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이동 노드에 용이하게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노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제 2 네트워크 형태는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PLMN)를 포함하며, 상기 메시지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제 1 메시지는 어느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와 통신할지의 선택에 대하여 이용가능한 공중 육상 이동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이동 노드에 용이하게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노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는 선택된 제 1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하고, 상기 메시지 생성기에 의해 생성된 제 1 메시지는 상기 선택된 제 1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로 전달되는 것인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노드 장치.
  26. 제 23 항에 있어서, 어느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와 통신할지의 선택에 대하여 이용가능한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노드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은 상기 수신기에 의한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것인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이동 노드 장치.
  28. 어느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와 통신할지의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대체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 값을 선택가능하게 포함하는 제 1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메시지에 응답하여, 어느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와 통신할지의 선택에 대하여 이용가능한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의 전달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대체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 값을 가진 제 1 메시지를 포함하도록 선택하는 단계와;
    대체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 값을 가진 제 1 메시지를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 동안에 전달되어진 것으로 검출되는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로부터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를 이동 노드의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31. 제 28 항에 있어서, 대체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 값은 이동 노드의 인증을 실패로 되도록 하는 값으로 되어 있는 것인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 동안에 그 전달이 검출되는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의 식별 정보는 이동 노드의 인증 실패에 응답하는 응답 메시지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것인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방법.
  33. 어느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와 통신할지의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제 1 메시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메시지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메시지는 대체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 값을 선택가능하게 포함하며, 대체 네트워크 어드레스 식별자 값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어느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와 통신할지의 선택에 대하여 이용가능한 제 2 네트워크 형태 네트워크를 용이하게 식별하는데 이용되는 것인 제 2 네트워크 형태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네트워크 장치.
KR1020050072891A 2004-08-09 2005-08-09 상호 연동 능력을 가진 다중 네트워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 노드에 의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및 관련 방법 KR100673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4254792.7 2004-08-09
EP04254792A EP1626528B1 (en) 2004-08-09 2004-08-09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y a mobile node in a multiple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344A KR20060050344A (ko) 2006-05-19
KR100673374B1 true KR100673374B1 (ko) 2007-01-24

Family

ID=34930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2891A KR100673374B1 (ko) 2004-08-09 2005-08-09 상호 연동 능력을 가진 다중 네트워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 노드에 의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및 관련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4) EP1626528B1 (ko)
JP (2) JP4528225B2 (ko)
KR (1) KR100673374B1 (ko)
CN (1) CN1735274B (ko)
AT (1) ATE450953T1 (ko)
AU (1) AU2005203536B2 (ko)
CA (1) CA2514711A1 (ko)
DE (1) DE602004024387D1 (ko)
ES (2) ES2910502T3 (ko)
HK (1) HK1086408A1 (ko)
MX (1) MXPA05008380A (ko)
SG (2) SG120239A1 (ko)
TW (1) TWI2791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6201B2 (en) 2006-12-22 2016-04-26 Alcatel Lucent Detecting and reporting a picocell by a mobile station
US20100330988A1 (en) * 2009-06-30 2010-12-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897753B2 (en) * 2011-10-12 2014-11-25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retrieving content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first and second radio access interfaces,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50381387A1 (en) * 2012-06-27 2015-12-31 Ciphergraph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ultiple Networks
US9949174B2 (en) * 2015-03-27 2018-04-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s for handling a UEs access to networks
CN104980993B (zh) 2015-06-19 2017-05-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网络接入方法、移动通信终端、网络服务器及网络接入系统
CN107454660B (zh) * 2017-08-08 2021-03-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鉴权失败后的驻网方法和装置
CN108966331B (zh) * 2018-09-29 2021-07-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小区注册方法、装置、无线路由设备、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20281T1 (de) * 1996-09-04 2002-07-15 Swisscom Mobile Ag Roaming-verfahren und zugehörige vorrichtungen
DE19742681C2 (de) * 1997-09-26 2003-03-06 Ericsson Telefon Ab L M GPRS-Teilnehmerauswahl von mehreren Internet-Dienstanbietern
US6148197A (en) * 1998-03-06 2000-11-14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Intelligent roaming system with over the air programming
CN1335034A (zh) * 1998-12-03 2002-02-06 艾利森公司 电信网中移动呼叫的最佳化路由
US7184764B2 (en) * 2001-02-08 2007-02-27 Starhome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ellular data communication to roaming mobile telephony devices
DE10349189A1 (de) 2003-10-22 2005-05-25 Siemens Ag Verfahren zur Auswahl eines WLAN-Netzwerkes durch ein Funkkommunikationsgerät, zugehöriges Funkkommunikationsgerät sowie WLAN-Access-Point
GB0419927D0 (en) 2004-09-09 2004-10-13 Siemens Ag A method of determinig a network connection
US7292592B2 (en) 2004-10-08 2007-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ome network-assisted selection of intermediary network for a roaming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6528A1 (en) 2006-02-15
MXPA05008380A (es) 2006-02-14
CN1735274A (zh) 2006-02-15
ATE450953T1 (de) 2009-12-15
AU2005203536A1 (en) 2006-02-23
TWI279108B (en) 2007-04-11
JP2006054883A (ja) 2006-02-23
EP1626528B1 (en) 2009-12-02
EP2106183B1 (en) 2016-10-05
SG120239A1 (en) 2006-03-28
JP4528225B2 (ja) 2010-08-18
EP2106183A1 (en) 2009-09-30
EP3139665B1 (en) 2022-01-26
TW200629802A (en) 2006-08-16
ES2910502T3 (es) 2022-05-12
CN1735274B (zh) 2010-06-16
EP3139665A1 (en) 2017-03-08
EP1912382A1 (en) 2008-04-16
DE602004024387D1 (de) 2010-01-14
SG138612A1 (en) 2008-01-28
CA2514711A1 (en) 2006-02-09
KR20060050344A (ko) 2006-05-19
JP2009135955A (ja) 2009-06-18
AU2005203536B2 (en) 2007-05-17
HK1086408A1 (en) 2006-09-15
ES2337357T3 (es) 201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6500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WLAN selection by a mobile node
KR100673374B1 (ko) 상호 연동 능력을 가진 다중 네트워크 무선 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 노드에 의한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및 관련 방법
KR1008819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030734B1 (ko) I―wlan plmn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및 관련 방법
KR20070095958A (ko) 다수의 네트워크 wlan 시스템 내에서 동작 가능한wlan 단말기에 의한 네트워크 스캔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장치 및 연관된 방법
KR20080090992A (ko) 무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재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장치 및 관련 방법
US11570699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y a mobile node in a multiple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working capability
JP4603049B2 (ja) モバイルノードによって、選択された通信サービスを実施するために通信するネットワーク部分の選択を容易にする装置および関連方法
US20060029027A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y a mobile node in a multiple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working capability
AU2007200785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y a mobile node in a multiple network radio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nterworking cap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