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165B1 -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165B1
KR100976165B1 KR1020080069830A KR20080069830A KR100976165B1 KR 100976165 B1 KR100976165 B1 KR 100976165B1 KR 1020080069830 A KR1020080069830 A KR 1020080069830A KR 20080069830 A KR20080069830 A KR 20080069830A KR 100976165 B1 KR100976165 B1 KR 100976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bracket
piece
fastening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112A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to KR102008006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16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9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3Cable holders; cable organi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의 다리에 구비된 리브를 상판의 하측에 형성된 브라켓에 슬라이드 끼움 결합 후 한번의 나사결합을 통해 상판과 다리의 조립성 및 분해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69830
가구, 상판, 다리, 결합

Description

가구의 다리결합장치{apparatus for assembling panel and leg}
본 발명은 가구의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의 다리에 구비된 리브를 상판의 하측에 형성된 브라켓에 슬라이드 끼움 결합 후 한번의 나사결합을 통해 상판과 다리의 조립성 및 분해성을 향상시키고, 조립시간을 단축시키고자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테이블, 소파, 의자 및 책상 등의 가구에는 이들을 받쳐 지지할 수 있는 다리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가구의 일예로서 테이블을 나타낸 것으로, 테이블의 상판(1) 하부 네모서리부에는 4개의 다리(10)가 결합되는데 종래 테이블용 다리의 결합구조는 도시된 것과 같이 테이블의 상판(1) 하부에 다리(10)가 고정브라켓(20)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테이블을 받쳐주는 다리(10)는 소정길이를 갖는 사각 또는 원통형의 기둥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면상에는 복수개의 체결공(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20)은 다리(10)가 맞대져 고정되는 다리고정부(22) 와 테이블 상판(1)의 하부 일측에 고정되는 상판고정부(26)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브라켓(20)의 다리고정부(22)와 상판고정부(26)에는 각각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공(24)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테이블의 상판(1) 하부에 다리(1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리(10)의 상부면에 고정브라켓(20)의 다리고정부(22)를 맞댄 상태에서 상기 다리고정부(22)에 형성된 고정공(24)과 다리(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체결공(12)을 통해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2)를 체결하여줌으로써 상호 고정시켜 준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브라켓(20)의 상판고정부(26)를 테이블의 상판(1) 하부 모서리부에 맞댄 상태에서 고정공(28)을 관통하여 체결부재(30)를 체결해줌으로써 최종적으로 다리(10)가 테이블의 상판(1) 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가구용 다리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다리에 고정브라켓을 미리 고정시킨 뒤 다시 고정브라켓을 가구의 상판 하부에 결합시켜야 하므로 비교적 많은 구성물들로 인해 작업이 번거롭고, 다수 개의 볼트로 연결부위를 체결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 시간이 지연됨과 더불어 분해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리의 상측에 리브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판의 하측에 브라켓을 구비하여 상기 리브를 상기 브라켓에 슬라이드 끼움하는 동작만으로 다리를 상판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판에 체결부재를 형성하여 이 체결부재와 다리를 스크류로써 체결함에 따라 간단히 조립을 완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판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슬라이드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다리 상측면에 형성되는 리브 및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브의 끼움 결합시 상기 다리의 전측과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브라켓은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되게 절곡 형성되는 수직편 및 상기 리브를 상기 상판과 상기 수직편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수직편의 단부에 절개되어 형성된 삽입구로 이루어진 가구의 다리결합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가구의 다리결합장치는 다리에 형성된 리브를 상판에 구비된 브라켓에 끼움 결합하고 나서 하나의 스크류로만 체결함에 따라 상판과 다리의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판과 다리의 조립 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상판에 다리를 분해한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다리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다리결합장치는 상판(102) 하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110), 다리(104) 상측에 형성되는 리브(120) 및 체결부재(1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110)은 상판(102)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110)은 상판(102)의 하측면에서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서로 나란하도록 다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10)은 상판(102)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브라켓(110)은 스크류(108)에 의해 상판(102)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브라켓(110)은 상판(102)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12), 상기 플레이트(112)의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되게 절곡 형성되는 수직편(114) 및 상기 리브(120)를 상판(102)과 수직편(114) 사이에 끼우도록 수직편(114)의 단부에 절개되어 형성된 삽입구(11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12)는 스크류(108)에 의해 상판(10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리브(120)는 브라켓(110)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다리(104) 상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리(104)는 상측면을 함몰한 함몰홈(105)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다리(104)의 전측에 해당되는 함몰홈(105)의 끝단은 전선을 안내하는 전선덕트(106)에 의해 막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리(104)의 전측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전선유도구(107)를 형성한다.
상기 전선유도구(107)는 상·하측으로 연통되어 전선을 세로 방향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전선유도구(107)의 상측은 전선덕트(106)와 간섭을 발생하지 않도록 전선덕트(106)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특히, 상기 리브(120)는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지지대(122)를 연장 형성한다.
상기 지지대(122)는 함몰홈(105)의 내측면과 바닥면에 접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지지대(122)는 함몰홈(105)의 내측면에 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리브(120)는 함몰홈(105)에 의해 다리(104) 상측의 확보된 공간에서 수직편(114)의 삽입구(116)와 상판(102)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리브(120)는 상기 수직편(114)이 끼워지는 측에 요입홈(124)을 형성한다.
상기 요입홈(124)은 브라켓(110)의 플레이트(112) 너비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어 마주하는 내측면이 플레이트(112)의 각 측면과 접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브(120)가 요입홈(124)을 형성하는 이유는 리브(120)와 함몰홈(105) 사이의 공간으로 브라켓(110)을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110)을 리브(12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서로 완전히 포개지는 형상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130)는 브라켓(110)과 리브(120)의 끼움 결합시 다리(104)의 전측 특히, 전선덕트(106)와 연결 고정되도록 상판(102)의 하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130)는 상판(102)의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설치편(131), 상기 설치편(131)의 끝단에 형성되어 전선덕트(106)와 접하는 체결편(132), 상기 체결편(132)에 통공된 체결홀(133), 상기 체결홀(133)과 연통되도록 전선덕트(106)에 통공된 연통홀(134) 및 상기 브라켓(110)과 리브(120)의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편(132)을 전선덕트(106)에 고정하도록 체결홀(133)과 연통홀(134)에 삽입 체결되는 결합부재(135)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편(131)은 스크류(108)에 의해 상판(102)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상기 설치편(131)은 브라켓(110)과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편(132)은 설치편(131)에 수직되어 연장되고, 리브(120)와 브라켓(110)의 완전 결합시 전선덕트(106)의 내측과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편(132)에는 체결홀(133)이 통공되고, 상기 전선덕트(106)에는 체결홀(133)과 동일 축상이 되도록 연통홀(134)이 통공된다.
또한, 상기 연통홀(134)과 체결홀(133)에는 결합부재(135)가 삽입 체결된다.
상기 결합부재(135)는 볼트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전선덕트(106)와 체결편(132)이 결합부재(135)에 의해 서로 결합됨에 따라 리브(120)와 브라켓(110)은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재(135)는 전선덕트(106)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마감부재(140)에 의해 다리(104)의 전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마감부재(140)는 결합부재(135)와 더불어 전선덕트(106)도 함께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감부재(140)는 다리(104)의 전측으로 노출되는 전선덕트(106) 및 결합부재(135)를 막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마감편(142), 상기 마감편(142)의 후측으로 돌출된 후크돌기(144) 및 상기 후크돌기(144)를 걸도록 전선덕트(106)에 형성된 후크홀(14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마감편(142)은 후크돌기(144)를 전선덕트(106)의 후크홀(146)에 삽입함으로써 다리(104)의 전측으로 향하는 전선덕트(106) 및 결합부재(135)의 일부를 막음 처리한다.
또한, 상기 마감편(142)은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직되는 프레임(152)을 연장 형성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52)은 전선유도구(107)의 상측을 막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프레임(152)은 전선유도구(107)를 개방하도록 개방구(154)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구(154)는 불필요시 막아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개방구(154)는 막음편(156)으로 막히게 된다.
상기 막음편(156)은 프레임(152)의 내부로 슬라이드 삽입 및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개방구(154)를 개폐하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d는 상기의 구성을 통해 상판(102)과 다리(104)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3a는 수직편(114)의 삽입구(116)를 리브(120) 방향으로 전진시키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b는 수직편(114)의 삽입구(116)로 리브(120)를 삽입함으로써 슬라이드 끼움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브라켓(110)과 리브(120)의 끼움 결합 상태에서 체결부재(130)의 체결편(132)과 전선덕트(106)를 체결함으로써 결합 조립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d는 다리(104)의 전측으로 노출되는 결합부재(135), 전선덕트(106) 및 전선유도구(107)의 상측을 마감과 막음 처리하여 미감을 좋게 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가구용 다리가 가구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의 상판에 다리를 분해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과 다리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2: 상판 104: 다리
110: 브라켓 112: 플레이트
114: 수직편 116: 삽입구
120: 리브 122: 지지대
124: 요입홈 130: 체결부재
131: 설치편 132: 체결편
140: 마감부재 142: 마감편
144: 후크돌기 146: 후크홀
152: 프레임 156: 막음편

Claims (9)

  1. 상판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슬라이드 삽입되며 결합되도록 다리 상측면에 형성되는 리브; 및
    상기 상판을 상기 다리에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상판과 상기 다리의 연결부위에 형성된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수직되게 절곡 형성되는 수직편; 및
    상기 리브를 상기 상판과 상기 수직편 사이에 끼우도록 상기 수직편의 단부에 절개되어 형성된 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브의 슬라이드 삽입 완료와 동시에 상기 상판과 상기 다리를 결합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브의 자연적 분리를 방지하며;
    상기 체결부재와 직접적으로 체결되는 상기 다리는 자체적으로 마감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측면을 함몰한 함몰홈을 형성하며,
    상기 리브는 마주하는 양측 가장자리에 지지대를 연장 형성하여 상기 함몰홈의 내측면과 바닥면에 접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리브는 상기 함몰홈에 의해 확보된 공간에서 상기 수직편의 삽입구와 상기 상판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상판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브라켓 너비만큼의 요입홈을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상판의 하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설치편;
    상기 설치편의 끝단에 형성되어 전선의 안내를 위해 상기 다리의 상부 전측에 구비된 전선덕트와 접하는 체결편;
    상기 체결편에 통공된 체결홀;
    상기 체결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선덕트에 통공된 연통홀; 및
    상기 브라켓과 상기 리브의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편을 상기 전선덕트에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홀과 상기 연통홀에 삽입 체결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전선덕트는 상기 전선덕트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마감부재에 의해 상기 다리의 전측으로 노출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다리의 전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전선덕트 및 상기 결합부재를 막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마감편;
    상기 마감편의 후측으로 돌출된 후크돌기; 및
    상기 후크돌기를 걸도록 상기 전선덕트에 형성된 후크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하측으로 개방된 전선유도구를 전측에 수직되게 형성하고;
    상기 마감편은 개방구를 형성한 프레임을 상기 전선유도구의 상측 테두리와 접하도록 연장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의 개방구는 슬라이드 삽입되는 막음편에 의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KR1020080069830A 2008-07-18 2008-07-18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KR100976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830A KR100976165B1 (ko) 2008-07-18 2008-07-18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830A KR100976165B1 (ko) 2008-07-18 2008-07-18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12A KR20100009112A (ko) 2010-01-27
KR100976165B1 true KR100976165B1 (ko) 2010-08-16

Family

ID=4181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830A KR100976165B1 (ko) 2008-07-18 2008-07-18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1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937A (ja) * 1993-12-22 1995-07-18 Wada Kinzoku Kogyo Kk
JP2003070550A (ja) 2002-06-17 2003-03-11 Itoki Crebio Corp 机の天板取付構造
KR100385902B1 (en) 2002-09-19 2003-06-02 Elite Funiture Co Ltd Coupling device for deck plate and deck plate reinforcing bar
KR100597475B1 (ko) 2004-08-30 2006-07-10 김평진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7937A (ja) * 1993-12-22 1995-07-18 Wada Kinzoku Kogyo Kk
JP2003070550A (ja) 2002-06-17 2003-03-11 Itoki Crebio Corp 机の天板取付構造
KR100385902B1 (en) 2002-09-19 2003-06-02 Elite Funiture Co Ltd Coupling device for deck plate and deck plate reinforcing bar
KR100597475B1 (ko) 2004-08-30 2006-07-10 김평진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112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2357A (ko) 씽크대용 주방선반
JPWO2005095746A1 (ja) パネル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キッチン台
KR100976165B1 (ko)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RU2012148069A (ru) Бытовая кухонная плита
KR101254471B1 (ko) 원터치 록킹 모서리 결합구
KR20210000143U (ko) 테이블 가림판 조립구조
JP4763426B2 (ja) 棚板の取付構造、およびこの棚板を備えるナースステーション等用什器
KR200465325Y1 (ko) 방화문 프레임
JP6163764B2 (ja) テーブルの配線ダクト装置
JP6770819B2 (ja) キャビネット
KR100816977B1 (ko) 가구 프레임
JP5288604B2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6460867B2 (ja) 間仕切り
KR101551627B1 (ko) 루버기능형 외장마감재 및 그 시공방법
JP5148193B2 (ja) 上棚付き机
KR102182546B1 (ko) 1인 설치가 가능한 스크린 설치용 고정구와 이에 의해 스크린이 조립설치된 테이블
KR102339156B1 (ko) 조립부재를 구비한 그릴
US9693629B2 (en) Method of installing a drawer in a cabinet
KR102077624B1 (ko) 금형부와 선형부의 조립구조를 갖는 유니트 케이스
JP5143754B2 (ja) キッチン用キャビネット
KR101061285B1 (ko) 벽걸이 조립 구조체
JP2013094266A (ja)
KR20230001766U (ko) 가구프레임용 가림패널
JP2017172221A (ja) レール支持用ブラケット、レール装置およびアウトセット戸装置
JP2007202690A (ja) 机上パネル付き机及び机上パネル用補強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