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713B1 -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713B1
KR100975713B1 KR1020080011730A KR20080011730A KR100975713B1 KR 100975713 B1 KR100975713 B1 KR 100975713B1 KR 1020080011730 A KR1020080011730 A KR 1020080011730A KR 20080011730 A KR20080011730 A KR 20080011730A KR 100975713 B1 KR100975713 B1 KR 100975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retaining wall
block
opening
predetermined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851A (ko
Inventor
안정희
Original Assignee
안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희 filed Critical 안정희
Priority to KR1020080011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7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이동용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천 및 하안 변에 복수 개 축조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전면에 일정크기의 전면 개구부를 구비하는 블록몸체 ;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면 개구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하면 개구부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통로부 ; 및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적층되어 인접하는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조립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야 인근의 하천정비공사를 하면서 하천 및 하안이나 뚝을 보호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들을 조적하는 경우, 하천 및 하안 변에 서식하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옹벽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구획된 생태계를 균형적으로 발전시켜 환경친화적인 옹벽을 구축할 수 있다.
동물, 이동, 블록, 옹벽, 통로부, 서식, 생태계

Description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Retaining Wall Blocks for Moving an Animal}
본 발명은 임야의 인접한 하천, 하안을 시공하는 콘크리트 옹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임야 인근의 하천정비공사를 하면서 하천 및 하안이나 뚝을 보호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들을 조적하는 경우,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옹벽을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자연친화적인 생태계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개선한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및 하안에는 옹벽이 축조되는데, 이와 같은 옹벽은 지표지반의 토압(土壓)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지반붕괴) 못하게 만든 벽체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일정 높이로 축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옹벽은 일반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하여 성형된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하거나 혹은 돌을 쌓아 축조하여 그 높이와 경사가 매우 급격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웅벽 상측의 생태계와 하측의 생태계를 서로 완전히 구획하는 장애요소를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옹벽의 하측인 하천 변에 서식하는 자연 생태계의 동물들이 옹벽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제한되어 있어서 더욱더 하천 변에 서식하는 동물 들은 그 서식처를 잃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 옹벽에 의해서 상측과 하측으로 구획된 생태계에 대하여 편향적인 발전이 이루어져 생태계의 균형을 파괴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임야 인근의 하천정비공사를 하면서 하천 및 하안이나 뚝을 보호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들을 조적하는 경우, 하천 및 하안 변에 서식하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옹벽의 상부와 하부로 서로 구획된 생태계를 균형적으로 발전시켜 환경친화적인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 및 하안 변에 복수 개 축조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전면에 일정크기의 전면 개구부를 구비하는 블록몸체 ;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면 개구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하면 개구부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통로부 ; 및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적층되어 인접하는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조립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몸체는 전면에 일정크기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은 블록몸체의 일측면에 일정크기로 개구형성되는 측면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블록몸체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덮개부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하부면에 구비하며, 상기 통로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조립턱 또는 조립홈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피결합부는 그 나머지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몸체의 전면부에는 자연친화적인 자연석형태의 문양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통로부는 계단형 또는 직선형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통로부는 상기 블록몸체와 이에 인접하여 적층되는 블록몸체의 통로부의 하단과 서로 연결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임야 인근의 하천정비공사를 하면서 하천 및 하안이나 뚝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면개구부와 통로부를 구비하는 블록몸체을 블록구조물과 더불어 조적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경우, 옹벽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블록몸체의 통로부가 서로 경사지게 연결됨으로서 옹벽의 하부 또는 상부에 서식하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상부 또는 하부로 통로부를 통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옹벽에 의해서 상하부로 구획된 생태계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고, 환경친화적인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 및 하안 변에 축조되는 옹벽에 동물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공간을 형성함으로서 다양한 소동물, 파충류, 조류 및 곤충들이 서식처 또는 피난처로 활용하여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생명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하천 및 하안의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과 이에 인접하는 공지의 블록이 적층된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콘크리트 블록(5)들 사이에서 중간 중간에 끼움배치되어 경사방향으로 연속하여 축조됨으로서 상기 블록(5)과 더불어 일정높이를 갖는 옹벽(100)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통로부(120)를 갖는 옹벽 블록(100)이 연속하여 축조됨으로서 일정높이를 갖는 옹벽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100)은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블록 구조물이 길이 및 높이방향으로 축조되는 옹벽(200)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축조되며, 이러한 옹벽블록(100)은 블록몸체(110), 통로부(120) 및 조립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블록몸체(110)는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하여 성형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이러한 블록몸체(110)는 전면에 일정크기의 전면 개구부(112)를 구비하고, 그 반대편인 후면은 밀폐된다.
또한, 상기 블록몸체(110)의 전면에는 상기 전면 개구부(112)와 더불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관통형성되는 일정크기의 관통홀(114)을 구비하며, 이러한 관통홀(114)은 상기 블록몸체(110)의 일측면에 일정크기로 개구형성되는 측면개구부(116)와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하는 한편, 상기 블록몸체(110)의 타측면에도 일정크기의 측면개구부(118)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면에는 일정크기의 상면 개구부(111)를 형성하고, 상기 블록몸체(110)의 하부면에는 상기 상면 개구부(1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개구된 하면 개구부(113)를 구비한다.
상기 통로부(120)는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면 개구부(111)와 상기 블록몸체(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하면 개구부(113)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연결통로로 형성된다.
이러한 통로부(120)는 동물들의 자유로운 이동이 용이하도록 계단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형 또는 굴곡형으로도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몸체(110)의 하면 개구부(113)로 들어온 동물들은 상기 통로부(120)를 통하여 상기 상면 개구부(111)로 상향 이동하거나 그 반대로 하향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로부(120)는 상기 블록몸체(110)와 이에 인접하여 적층되는 다른 블록몸체의 통로부의 하단과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블록몸체(110)는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부(130)는 상기 블록몸체(11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피결합부(132)와,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에 적층되어 인접하는 다른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조립되도록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13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31)는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조립턱으로 구비되고, 상기 피결합부(132)는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함몰형성되는 조립홈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상기 결합부(131)가 조립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피결합부(132)가 조립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블록몸체(110)이 옹벽(200)의 최상층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131)와 결합되는 덮개부(140)를 추가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덮개부(140)는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131)와 결합되는 피결합부(144)를 하부면에 구비하며, 상기 통로부(120)의 상단을 외부노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개구부(14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몸체(110)의 전면에는 자연친화적인 자연석형태의 문양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자연석 문양은 다무늬 홈으로 형성되어 하천 및 하안 변을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으로 꾸밀 수 있고, 주변 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한편, 이러한 다무늬 홈은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 통로가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물 이동용 옹벽블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개구부(112)와 통로부(120)를 구비하는 않는 블록구조물(1)과 더불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어 축조되면서 옹벽(200)을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옹벽 블록(100)은 경사지게 연속하여 배치되도록 축조됨으로서 경사방향으로 연결되는 통로부(120)를 통하여 상기 제방(200)의 하측에 서식하는 동물들이 상부로 이동하거나 상기 제방(200)의 상측에 서식하는 동물이 하부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블록몸체(110)와 이에 높이방향(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인접하여 적층되는 블록몸체는 하나의 블록몸체(110)의 상하부 외부면에 두개의 블록몸체가 접하도록 배치함으로서 블록축조완성후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옹벽(200)을 구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몸체(110)의 상부면에 형성된 결합부(131)에는 상측에 배치되는 블록몸체(110)의 피결합부(132)에 대응결합되면서 적층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옹벽(200)에 다른 콘크리트 블록과 더불어 경사지게 배치되는 블록몸체(110)의 통로부(120)의 상단는 상측에 배치되는 블록몸체의 통로부의 하단과 연결되도록 축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몸체(110)의 전면개구부(112)를 통하여 들어오는 동물은 계단형, 직선형 또는 굴곡형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는 통로부(120)를 통하여 상기 옹벽(200)의 최상부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개구부(116)와 통로부(120)를 구비하는 블록몸체(110)와 이 를 구비하는 않는 블록구조물(1)이 도 1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축조되면, 상기 블록몸체(110)의 내부에는 전면에 형성된 관통홀(114)을 통하여 자유롭게 출입하는 동물들이 서식할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서식방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록몸체(110)의 내부에 일정크기의 서식방을 제공함으로서 소동물, 파충류, 조류등과 더불어 들쥐와 같은 작은 크기의 설치류들이 서식하거나 개구리 또는 두꺼비와 같은 양서류들이 상기 관통홀(114)을 통하여 자유롭게 출입하면서 안전하게 서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서식방은 블록몸체(110)의 하부면에 함몰형성되는 연결홈을 통하여 서로 연결됨으로서 상기 서식방에 서식하는 동물들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개구부(116)와 통로부(120)를 구비하는 블록몸체(110)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연속하여 축조되면, 상기 블록몸체(110)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홀(114)을 통하여 출입하게 되는 동물들이 인접하는 블록몸체(110)에 형성된 통로부(120)를 통하여 상부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축조된 옹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과 이에 인접하는 공지의 블록이 적층된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 200 : 옹벽
110 : 블록몸체 111 : 상면 개구부
112 : 전면개구부 113 : 하면 개구부
114 : 관통홀 116,118 : 측면개구부
120 : 통로부 130 : 조립부
131 : 결합부 132 : 피결합부
140 : 덮개부 142 : 개구부

Claims (7)

  1. 하천 및 하안 변에 복수 개 축조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전면에 일정크기의 전면 개구부를 구비하는 블록몸체 ;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된 상면 개구부와 상기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하면 개구부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통로부 ; 및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에 적층되어 인접하는 블록몸체의 하부면에 형성된 피결합부와 조립되도록 상기 블록몸체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몸체는 전면에 일정크기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홀은 블록몸체의 일측면에 일정크기로 개구형성되는 측면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블록몸체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덮개부를 추가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는 피결합부를 하부면에 구비하며, 상기 통로부와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는 조립턱 또는 조립홈중 어느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피결합부는 그 나머지로 구비되고,
    상기 블록몸체의 전면부에는 자연친화적인 자연석형태의 문양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계단형, 직선형 및 굴곡형중 어느 하나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상기 블록몸체와 이에 인접하여 적층되는 블록몸체의 통로부의 하단과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이동용 옹벽 블록.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11730A 2008-02-05 2008-02-05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 KR100975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730A KR100975713B1 (ko) 2008-02-05 2008-02-05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730A KR100975713B1 (ko) 2008-02-05 2008-02-05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851A KR20090085851A (ko) 2009-08-10
KR100975713B1 true KR100975713B1 (ko) 2010-08-12

Family

ID=4120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730A KR100975713B1 (ko) 2008-02-05 2008-02-05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7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417A (ja) * 1997-04-05 1998-10-20 Nitsushiyoku Riyokuchi Kk 水辺ブロック植生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0081264A (ko) * 2003-09-24 2003-10-17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화 처리 용액의 제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중금속폐수 처리방법
KR200381264Y1 (ko) * 2005-01-06 2005-04-14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생태이동통로 블록
KR20070000664U (ko) * 2007-05-07 2007-06-08 김동근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417A (ja) * 1997-04-05 1998-10-20 Nitsushiyoku Riyokuchi Kk 水辺ブロック植生構造体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0081264A (ko) * 2003-09-24 2003-10-17 자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화 처리 용액의 제조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중금속폐수 처리방법
KR200381264Y1 (ko) * 2005-01-06 2005-04-14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생태이동통로 블록
KR20070000664U (ko) * 2007-05-07 2007-06-08 김동근 조적식 옹벽 축조용 식생블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851A (ko) 200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1032837B1 (ko) 생물의 부유식 서식 구조물
JP4659538B2 (ja) 人工リーフ及びその構築工法
KR100975713B1 (ko)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
KR102065647B1 (ko) 소파블록 기능을 갖는 확장이 용이한 인공어초
KR200344549Y1 (ko) 전복 양식용 쉘터조립체
KR20090024539A (ko) 어도 시설 기능을 겸한 방틀형 식생 및 호안 블록
KR200381308Y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100607605B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20090000538A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KR100703609B1 (ko) 수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하천제방의 옹벽
KR20130038502A (ko) 어소 겸용 식생옹벽블록
KR20090078218A (ko)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200303564Y1 (ko) 옹벽식 소파 호안구조
KR200297571Y1 (ko) 식생 옹벽 구조체
KR200267791Y1 (ko) 생태환경 보호구조를 갖는 수로
KR200307199Y1 (ko) 동물서식 블록
KR20110006622U (ko) 동물 이동용 굴 구조물
KR200228745Y1 (ko) 기초어상블럭
KR20040053067A (ko) 수로용 동물 이동통로
JPH07138926A (ja) 魚巣内装型護岸の構築方法
KR101342129B1 (ko) 하천의 친환경 생태 보호 시설
KR200319692Y1 (ko) 조립형 생태 수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