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218A -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 Google Patents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218A
KR20090078218A KR1020080004062A KR20080004062A KR20090078218A KR 20090078218 A KR20090078218 A KR 20090078218A KR 1020080004062 A KR1020080004062 A KR 1020080004062A KR 20080004062 A KR20080004062 A KR 20080004062A KR 20090078218 A KR20090078218 A KR 20090078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compartment
wall block
water
fron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4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을제
Original Assignee
조을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을제 filed Critical 조을제
Priority to KR1020080004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218A/ko
Priority to CN2009801025003A priority patent/CN101970762A/zh
Priority to JP2010543051A priority patent/JP2011510192A/ja
Priority to PCT/KR2009/000184 priority patent/WO2009091175A2/ko
Priority to US12/812,614 priority patent/US20100290842A1/en
Publication of KR2009007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천 및 하안 변에 일정 높이로 축조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내부에 다수의 중간격벽을 갖추어 토사가 저장되는 제1격실과 물이 저장되는 제2격실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면부에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이동로; 상기 제1격실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덮개 ; 및 상기 제1격실의 하단에 배치되고, 외부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1격실내의 물을 상기 제2격실로 안내유입하는 다수의 유공 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 및 하안 변에 서식하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이동로를 통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갈수기에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격실 내에 보관된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환경 친화적으로 옹벽을 구축할 수 있고, 물 밖에서는 동물, 파충류, 조류와 곤충들의 서식처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물에서는 어소와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어류들이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블록, 옹벽 블록, 서식 방, 이동로, 격실, 환경 친화적 블록

Description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Retaining Wall Blocks Activatable Eco by Containing Water Therein}
본 발명은 저수로 인하여 생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옹벽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임야 인근의 하천정비공사를 하면서 하천 및 하안이나 뚝을 보호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들을 조적하는 경우, 시공하는 콘크리트 블록의 중간 중간에 대각으로 이어 삽입되고, 전면에는 이동통로가 형성되어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옹벽을 타고 이동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저수 공간이 형성되어 물을 항상 저장할 수 있음으로써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갈수기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친화적으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옹벽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및 하안에는 옹벽이 축조되는데, 이와 같은 옹벽은 지표지반의 토압(土壓)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지반붕괴) 못하게 만든 벽체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일정 높이로 축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옹벽은, 일반 콘크리트 몰탈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거나, 혹은 돌을 쌓아 옹벽을 축조함으로서, 환경 친화적이지 못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예를 들면 농지와 인접한 하천들에 종종 콘크리트 옹벽이 축조되어 유수를 안내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빗물이 급배수되고, 갈수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어 유수지와 동물의 옹거 서식처가 없게 되어 생태계가 파괴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하천 및 하안에 축조되는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은 단순히 콘크리트 블록들을 높게 축조하여 하천 및 하안 지반을 지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별도의 저수 기능을 갖지 못한다. 또한 그 표면은 단순한 평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하천 변에 서식하는 자연 생태계의 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제한되어 있어서 더욱더 하천 변에 서식하는 동물들은 그 서식처를 잃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에서는 하천의 배수 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갈수기에는 물이 급속하게 부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경우 하천, 하안변에 서식하는 소동물, 파충류, 곤충들은 물부족으로 인하여 생명을 유지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물속의 어류들도 종래의 콘크리트 옹벽을 통해서는 적절한 어소를 갖추어 서식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점차 멸종되어 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임야 인근의 하천정비공사를 하면서 하천 및 하안이나 뚝을 보호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들을 조적하는 경우, 하천 및 하안 변에 서식하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이동할 수 있고, 갈수기에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환경친화적으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목적으로서, 하천 및 하안 변에 소동물, 파충류, 조류 및 곤충들의 웅거형 서식지를 제공함은 물론, 물속에서는 어소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소동물, 파충류, 조류, 어류 및 곤충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으로서, 홍수시 물을 일정량 저장하여 하천 및 하안 변에서의 수량을 안정적으로 관린리할 수 있는 옹벽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 및 하안 변에 일정 높이로 축조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의 중간격벽을 갖추어 토사가 저장되는 제1격실과 물이 저장되는 제2격실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면부에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이동로; 상기 제1격실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덮개 ; 및 상기 제1격실의 하단에 배치되고, 외부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1 격실내의 물을 상기 제2격실로 안내유입하는 다수의 유공 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제1 이동로가 상하방향에서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제1 이동로의 경사방향을 따라 축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제2격실은 상기 제1격실의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 상기 제1격실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수공을 관통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상기 제2격실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수공을 관통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배수공으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상기 전면부의 측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2 이동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블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이동로는 상기 전면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 이동로를 매개로 상기 제1 이동로와 서로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하단에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향하여 일정 깊이 형성한 오목한 서식 방을 추가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서식 방의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상기 전면부의 측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4 이동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이동로는 상기 몸체의 축조시 상기 제2 격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면에 관통형성된 제2 배수공으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제2 이동로와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격실은 다수의 구멍을 관통형성한 칸막이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제1격실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부로 개방된 노치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치부는 상기 제1격실과 연결되는 제5이동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상기 전면부에 상기 노치부와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6 이동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부는 자연친화적인 자연석형태의 문양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에 의하면 임야 인근의 하천정비공사를 하면서 하천 및 하안이나 뚝을 보호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블록들을 조적하고, 그 사이에 끼워져서 조적되는 경우, 하천 및 하안 변에 서식하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제1 이동로 내지 제5 이동로를 통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갈수기에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격실 내에 보관된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환경친화적으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 및 하안 변에 서식 방을 다수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소동물, 파충류, 조류 및 곤충에 적합한 웅거형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식 굴과 서식 방은 물 밖에서는 동물, 파충류, 조류와 곤충들의 서식처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물속에서는 서식 방이 어소와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어류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생명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하천 및 하안의 옹벽을 구축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뿐만 아니라, 홍수 시에는 격실에서 물을 저장하여 홍수 조절 능력을 구비하고, 갈수기에는 저장된 물을 이용하는 저수조 역활을 수행함으로써 하천 및 하안 변의 안정된 수량 관리 기능도 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1)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콘크리트 블록(5)들 사이에서 중간 중간에 끼워 축조됨으로서 일정높이를 갖는 옹벽(100)을 구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식방(50)을 갖는 옹벽블록(1)과 노치부(60)를 갖는 옹벽 블록(1a)이 축조됨으로서 일정높이를 갖는 옹벽(100a)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1)은 내부에는 다수의 격실(C1,C2)이 형성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몸체(1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몸체(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20)와 함께 바닥면(12), 양 측벽(14a)(14b) 및 후벽(16)이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는 복수의 중간 격벽(18)을 형성하여 제1격실(C1)과, 그 좌양측에 좌우한쌍으로 구비되는 제2 격실(C2)을 형성하며, 상기 제1격실(C1)에는 물과 더불어 유입된 토사가 잔류되어 저장되며, 상기 제2 격실(C2)에는 상기 제1 격실(C1)로부터 내부유입된 물이 일정량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제1 격실(C1)의 좌우양측에 형성되어 물이 저장되는 한쌍의 제2 격실(C2)은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격실(C1)의 하단에 구비되는 유동관(22)에 의해서 서로 같은 수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관(22)은 개방된 좌우양단이 상기 한쌍의 제2 격실(C2)에서 노출 되도록 설치되는 일정길이의 중공 파이프부재로 이루어지며, 외부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22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격실(C1)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관통공(22a)을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한쌍의 제2 격실(C2)로 각각 안내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동관(22)은 상기 제2 격실(C2)내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일정높이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의 바닥면(12)으로부터 일정높이 떨어진 곳에 구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닥면(12)에 근접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전면부(20)는 그 대각방향으로 계단이 형성되어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제1 이동로(30)를 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면부(20)의 하단에는 상기 제1격실(C1)과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되는 제1 배수공(36)을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하며, 이러한 제1 배수공(36)은 상기 전면부(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서식방(50)의 근방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격실(C1)내의 물은 상기 제1 배수공(3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서식방(50)의 입구에 낙하됨으로서 상기 서식방(50)을 이용하게 되는 다양한 소동물, 파충류, 조류 및 곤충에게 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20)의 상단에는 상기 제2 격실(C2)과 연통되도록 관통 형성되는 제2 배수공(35)을 적어도 하나이상 구비하며, 이러한 제2 배수공(35)은 상기 전면부(20)에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20)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제2 이동로(34)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 이동로(34)는 상기 전면부(20)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 이동로(37)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 이동로(30)와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기 몸체(10)는 전면부(20)에 형성된 제1 이동로(30)의 경사방향을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5)들사이에 끼워 축조되거나 다른 몸체(10)와 더불어 축조되면, 상기 제1 이동로(30)는 상하방향에서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구조로 축조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서로 상하로 연결되어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조되면, 제1 이동로(30)를 통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격실(C1)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개구부(41)를 관통형성한 덮개(40)를 구비하며, 이러한 덮개(40)는 상기 몸체(10)의 상단부에 돌출형성된 조립돌기(19)와 대응하는 하부면에 조립홈을 갖추어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조립된다.
상기 개구부(41)의 좌우양측에는 상기 제2격실(C2)내로 물을 유입시킬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유입공(42)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41)에는 외부로 부터 물과 더불어 나뭇잎,풀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그물망을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전면부(20)는 자연친화적인 자연석형태의 문양이 형 성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자연석 문양은 다무늬 홈으로 형성되어 하천 및 하안 변을 보다 자연스러운 환경으로 꾸밀 수 있고, 주변 경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다무늬 홈은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 통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오목한 서식 방(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서식 방(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20)를 통해 입구가 외부노출되고, 그 반대편은 폐쇄된 동굴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몸체(10) 부의 전면부(20)로부터 후면부로 향하여 일정 깊이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서식 방(50)은 들쥐와 같은 작은 크기의 설치류들이 서식하거나 개구리 또는 두꺼비와 같은 양서류의 서식, 조류의 둥지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서식 방(50)은 상기 몸체(10)가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으로 축조되는 경우, 그 하부 측에 위치된 몸체(10)의 제1 이동로(30)의 상부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서식 방(50)의 그 상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전면부(20)의 측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4 이동로(52)를 구비하는바, 이는 인접하여 위치된 몸체(10)의 제2 이동로(34)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배수공(35)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상기 서식 굴(35)로 흘려 보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에 구비되는 제1격실(C1)에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멍(72)을 관통형성한 칸막이(7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칸막이(70)는 상기 제1 격실(C1)을 구성하는 중간 격벽(18)의 내부면에 형성된 조립홈(17)을 따라 안내조립됨으로서 상기 전면부(20)와 칸막이(70)사이에 일정크기의 서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격실(C1)에 토사와 더불어 유입된 물은 상기 칸막이(70)에 형성된 구멍(72)을 통하여 전방으로 배출되는 반면에 토사는 그대로 잔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40)에 관통형성되는 개구부(41)는 상기 토사가 저장되는 공간과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 격벽(18)의 선단부에는 상기 전면부(20)와 칸막이(70)에 의해서 형성되는 서식공간으로의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단차부(1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격실(C1)에 칸막이(70)가 구비되는 상기 몸체(10)는 도 5와 도 7(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격실(C1)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부로 개방된 노치부(60)를 구비함으로서 옹벽이 설치되는 하천의 수위상승시 물이 상기 제1 격실(C1)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노치부(60)에는 상기 제1 격실(C1)과 연결되도록 전면으로부터 후면으로 향하여 계단형으로 하향 연장되는 제5 이동로(6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치부(60)를 구비하는 몸체(10)의 전면부(20)에는 상기 노치부(60)와 연결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6 이동로(66)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식방(50)을 갖거나 노치부(60)를 갖는 몸체(10)의 전면부(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 또는 측면부에 절개부(55,56,57,58)를 형성함으로서 복수개의 몸체(10)가 연속하여 축조되는 경우, 상기 전면부(20)와 이에 인접하는 전면부사이에는 상기 절개부(55,56,57,58)에 의해서 다양한 소동물, 파충류, 조류 및 곤충들이 서식하거나 식물들이 식생할 수 있는 공간을 추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부(55,56,57,58)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을 동식물들이 자유럽게 이용함으로서 자연친화력이 보다 더 향상되면서 자연 복원능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1,1a)은 도 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가 콘크리트 블록(5)들 사이에서 중간 중간에 끼워 축조되거나 연속하여 축조된다. 예를 들면 상기 몸체(10)는 전면부(20)에 형성된 제1 이동로(30)의 경사방향을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5)들 사이에서 끼워 축조되거나, 상기 서식방(50)을 갖는 몸체(10) 또는 상기 노치부(60)를 갖는 몸체(10)는 나란하게 인접하여 수평으로 축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조되면, 상기 전면부(20)에 형성된 제1 이동로(30)들이 상하방향에서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는 구조로 축조될 수 있고, 동시에 제1 이동로(30)로부터 제2 ,3이동로(34,37)를 통하여 제2배수공(35)이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서식방(50)은 제4 이동로(52)를 통하여 인접하는 몸체(10)의 제 2,3 이동로(34,37)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1,2,3 및 4이동로(30,34,37,52)를 통하여 작은 크기의 동물과, 파충류, 곤충들은 하천이나 하안 변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제2배수공(35)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이용할 수 있는 한편, 상기 서식방(50)의 근방에 형성된 제1 배수공(36)을 통하여 배출되는 물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상부 측에 위치된 덮개(40)는 몸체(10)의 상부측으로부터 다량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개구부(41)를 통하여 물이 제1 격실(C1) 내로 유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1 격실(C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유공관(22)을 통하여 제2 격실(C2) 공간에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몸체(10)가 나란하게 인접하여 수평으로 축조되는 경우, 상기 서식 방(50)은 제4 이동로(54)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노치부(60)는 제6 이동로(66)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즉 서식 방(50)의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 이동로(52)를 전면부(20)의 측면까지 연장형성되고, 이는 인접하여 위치된 몸체(10)의 제2 배수공(35)으로부터 하향으로 제2 이동로(34)가 연장되어 제3 이동로(37)에 연결되고, 상기 제2이동로(34)의 상단은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몸체(10)의 서식방(50)과 연결됨으로서 동물과 곤충들은 서식 방(50)으로부터 인접한 다른 서식 방(50)로의 연결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임야 인근의 하천정비공사를 하면서 하천 및 하안이나 뚝을 보호하기 위하여 몸체(10)를 콘크리트 블록(5)들사이에 끼워져서 조적하거나 수평하게 조적하는 경우, 하천 및 하안 변에 서식하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제1 이동로(30) 내지 제6 이동로(66)를 통하여 상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하천 및 하안으로부터 다른 장소로 거소를 옮길 수도 있다.
또한 제1,2 배수공(35,36)을 통하여 상기 제1,2 격실에 일시 저장된 물을 제공함으로서 갈수기에는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들이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천 및 하안 변에 다수의 서식 방(50)을 다수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소동물, 파충류, 조류 및 곤충에 적합한 웅거형 서식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식 방(50)은 물 밖에서는 동물, 조류와 곤충들의 서식처로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물속에서는 서식 방(50)이 어소와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어류들이 서식하기 좋은 환경을 구축할 수 있고, 생명을 유지시킬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하천 및 하안의 옹벽을 구축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몸체(10)의 전면부에 노치부(60)를 형성하는 경우, 홍수 시에 상기 노치부(60)를 통하여 상기 제1,2격실(C1,C2)에서 물을 저장하여 홍수 조절 능력을 구비하고, 갈수기에는 저장된 물을 이용하는 저수조 역활을 수행함으로써 하천 및 하안 변의 안정된 수량 조절 기능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 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이 콘크리트 블록들 사이에 축조되어 옹벽을 구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이 수평방향으로 축조되어 옹벽을 구축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의 제1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의 제1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의 제2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의 제2실시예에 구비되는 몸체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a)은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의 제2실시예에 구비되는 전면부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의 제2실시예에 구비되는 전면부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a ..... 옹벽 블록
5..... 콘크리트 블록 10.... 몸체
12.... 바닥면 14a,14b.... 양 측벽
16.... 후벽 18.... 중간 격벽
20.... 전면부 22.... 관통공
30.... 제1 이동로 35.... 제1 배수공
34.... 제2 이동로 37..... 제3 이동로
40.... 덮개 41..... 개구부
42.... 구멍 50.... 서식 방
52.... 제4 이동로 54.... 제4 이동로
60.... 노치부 70.... 칸막이
C1.....제1 격실 C2.... 제2 격실

Claims (15)

  1. 하천 및 하안 변에 일정 높이로 축조되는 옹벽 블록에 있어서,
    내부에 다수의 중간격벽을 갖추어 토사가 저장되는 제1격실과 물이 저장되는 제2격실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방에 구비되는 전면부에 소동물, 파충류 및 곤충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이동로;
    상기 제1격실과 대응하는 영역에 일정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의 상부에 조립되는 덮개 ; 및
    상기 제1격실의 하단에 배치되고, 외부면에 복수개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1격실내의 물을 상기 제2격실로 안내유입하는 다수의 유공 관;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1 이동로가 상하방향에서 서로 경사지게 연결되도록 제1 이동로의 경사방향을 따라 축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격실은 상기 제1격실의 좌우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전면부의 하단에 상기 제1격실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수공을 관통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전면부의 상단에 상기 제2격실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수공을 관통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2 배수공으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상기 전면부의 측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2 이동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블록.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로는 상기 전면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 이동로를 매개로 상기 제1 이동로와 서로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하단에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향하여 일정 깊이 형성한 오목한 서식 방을 추가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서식 방의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상기 전면부의 측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4 이동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이동로는 상기 몸체의 축조시 상기 제2 격실과 연통되도록 상기 전면에 관통형성된 제2 배수공으로부터 하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형성되는 제2 이동로와 연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실은 다수의 구멍을 관통형성한 칸막이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제1격실과 대응하는 영역에 상부로 개방된 노치부를 추가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기 제1격실과 연결되는 제5 이동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전면부에 상기 노치부와 연결되도록 경 사지게 형성되는 제6 이동로를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자연친화적인 자연석형태의 문양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KR1020080004062A 2008-01-14 2008-01-14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KR20090078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62A KR20090078218A (ko) 2008-01-14 2008-01-14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CN2009801025003A CN101970762A (zh) 2008-01-14 2009-01-14 生态修复块
JP2010543051A JP2011510192A (ja) 2008-01-14 2009-01-14 生体活性化ブロック
PCT/KR2009/000184 WO2009091175A2 (ko) 2008-01-14 2009-01-14 생태활성화 블록
US12/812,614 US20100290842A1 (en) 2008-01-14 2009-01-14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4062A KR20090078218A (ko) 2008-01-14 2008-01-14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218A true KR20090078218A (ko) 2009-07-17

Family

ID=41336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4062A KR20090078218A (ko) 2008-01-14 2008-01-14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21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90842A1 (en) Ecological restoration block
KR101032837B1 (ko) 생물의 부유식 서식 구조물
KR100925264B1 (ko) 생태활성화 블록
KR100981231B1 (ko) 친환경 생태활성화 수로블럭
KR20090078218A (ko) 저수로 인한 생태 활성화 옹벽 블록
KR200418683Y1 (ko) 생태블록
KR20090000538A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0703609B1 (ko) 수생동물의 서식을 위한 하천제방의 옹벽
KR100762355B1 (ko) 소하천 어소블록 설치구조
US6311642B1 (en) Nesting structure for earth-burrowing birds
KR101297419B1 (ko) 어류 및 육상동물의 은신처와 이동통로를 제공하는 친환경 생태 블록
KR20090129718A (ko) 생태보호형 보강 수로
KR100975713B1 (ko) 동물이동용 옹벽 블록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100655463B1 (ko)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수생동식물 보호용 조립식 유공관
KR20110109375A (ko) 터널 형태의 동물이동통로
KR100509317B1 (ko) 친환경 농업용 용수로
KR100607605B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200267791Y1 (ko) 생태환경 보호구조를 갖는 수로
KR200215908Y1 (ko) 생태계 보호 및 어소 겸용 수로
KR20070017567A (ko) 자연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사용하는 자연형 옹벽블록
KR200390455Y1 (ko) 친환경 콘크리트 폴륨관
KR100678870B1 (ko) 배수로관
KR200390488Y1 (ko) 배수로관
KR101342129B1 (ko) 하천의 친환경 생태 보호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