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605B1 -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고무 보강 스트립 부착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고무 보강 스트립 부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605B1
KR100975605B1 KR1020080058410A KR20080058410A KR100975605B1 KR 100975605 B1 KR100975605 B1 KR 100975605B1 KR 1020080058410 A KR1020080058410 A KR 1020080058410A KR 20080058410 A KR20080058410 A KR 20080058410A KR 100975605 B1 KR100975605 B1 KR 100975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strip
strip
inner liner
extruder
sample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240A (ko
Inventor
박성규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8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605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joining, lining o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81Parts of pneumatic tyre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D2030/0682Inner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38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 B29D2030/381Textile inserts, e.g. cord or canvas layers, for tyres; Treatment of inserts prior to building the tyre the inserts incorporating reinforcing parallel cords; manufactur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너 라인너 스트립과, 상기 인너 라인너 스트립 양측에 검체파 스트립이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를 압출하는 제1 압출기; 상기 제1 압출기 일측에서 숄더 고무 스트립을 압출하는 제2 압출기; 상기 제2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상기 숄더 고무 스트립으로부터 보강 고무 스트립를 분할하는 슬리터; 상기 슬리터에 의해 분할된 상기 보강 고무 스트립를 상기 제1 압출기에서 인출된 상기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의 상기 검체파 스트립 상측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 및 상기 가이드 롤에 의해 가이드된 상기 보강 고무 스트립을 상기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의 상기 검체파 스트립 상에 압착시키는 압착 드럼; 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숄더 고무 스트립 일부를 이용해 검체파의 두께가 인너 라인너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보강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의 장착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며, 타이어의 제조 과정에서 타이어의 금형과 반제품 사이에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는 공기로 인한 기포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공기입 타이어,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 검체파, 숄더 고무 스트립, 보강 고무 스트립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고무 보강 스트립 부착 장치{DEVICE FOR ATTACHING REINFORCEMENT STRIP OF GUMCHAFER OF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고무 보강 스트립 부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숄더 고무 스트립을 이용해 검체파의 두께가 인너 라인너의 두께 보다 더 두껍도록 보강하여 타이어의 장착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고무 보강 스트립 부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종래 공기입 타이어의 성형 과정에서 사용되는 반제품 중인너 라인너 어셈블리는 압출기를 사용하여 인너 라이너와, 인너 라인너 양측에 검체파를 일체로 압출한 후, 상하의 2개의 압연 드럼 사이를 통과시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어 왔다.
한편, 공기입 타이어는 림에 장착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타이어의 생산 중에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아 생기는 기포가 잔존하는 불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타이어의 비드와 림 사이에 충분한 고무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는 검체파 두께가 인너 라인너 두껍게 보다 더 두껍게 제조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한 압출/압연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필요로 하는 부위를 두껍게 하거나 얇게 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응하여 압연 드럼의 외주면이 반경 차를 가지고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 제조 방식은 공기입 타이어의 규격 변화에 따른 압연 드럼의 교체가 어려워 주로 단일 규격 생산에 설비를 한정하여 적용하거나, 또는 자동 압연 드럼 교체 장치를 활용하는데 이 경우 설비의 규모가 커지고 교체장치의 부착으로 공간을 크게 차지하여 타이어 생산 설비의 소규모 자동화 공정을 구축하기가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또한, 자동 압착 드럼 교체 장치를 자동화 하더라도 교체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필요한 굴곡 면을 갖는 드럼을 규격 별로 갖추어야 하므로 비용이 크게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숄더 고무 스트립을 이용해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의 검체파 두께를 인너 라인너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보강하여, 타이어의 장착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타이어 제조 과정에서 기포가 잔존하여 발생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부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부착 장치는, 인너 라인너 스트립과, 인너 라인너 스트립 양측에 검체파 스트립이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를 압출하는 제1 압출기; 제1 압출기 일측에서 숄더 고무 스트립을 압출하는 제2 압출기; 제2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숄더 고무 스트립으로부터 보강 고무 스트립를 분할하는 슬리터; 슬리터에 의해 분할된 보강 고무 스트립을 제1 압출기에서 인출된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의 검체파 스트립 상측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 및 가이드 롤에 의해 가이드된 보강 고무 스트립을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의 검체파 스트립 상에 압착시키는 압착 드럼;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리터는 제2 압출기에서 압출된 숄더 고무 스트립을 2개의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과, 2개의 보강 고무 스트립으로 분할하는 3개의 원형 칼날; 각 원형 칼날이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원형 칼날이 숄더 고무 스트립을 분할하도록 가압하는 가압 실린더; 및 각 가압 실린더들이 동일 축 선상에서 서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가이드 롤은 인너 라인너 상에 공급되는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과 보강 고무 스트립의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고무 스트립은 인너 라인너 상측에 적층되는 바디 플라이 스트립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부착 장치에 따르면, 숄더 고무 스트립 일부를 슬리팅시켜 인너 라이너와 동일 두께를 가지는 검체파 스트립 상에 압착시켜 검체파의 두께가 인너 라인너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보강함으로써, 공기입 타이어의 장착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타이어의 제조 과정에서 타이어의 금형과 반제품 사이에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는 공기로 인해 기포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가 고무 스트립 부착 장치에 따르면,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의 압연 과정에서 인너 라인너의 규격에 따른 압연 드럼의 교체 없이도 검체파의 두께가 인너 라인너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 단가를 절감시킴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부착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부차가 장치는 제1 압출기(10), 제2 압출기(20), 슬리터(30), 가이드 롤(40), 압착 드럼(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압출기(10)는 카렌더(11)를 통행 인너 라인너 스트립(110)과, 인너 라인너 스트립(110) 양측에 검체파 스트립(120)이 일체로 형성된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100)를 압출시킨 후, 상, 하측 압착 드럼 사이를 통과시켜 인너 라인너 스트립(110)과 검체파 스트립(120)가 동일한 두께를 갖는 반제품 상태의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100)를 인출하도록 한다.
제2 압출기(20)는 제1 압출기(10) 일측에 설치되어 숄더 고무 스트립(200)을 압출/압연하도록 한다.
여기서, 숄더 고무 스트립(200)은 바디 플라이(550: 도 5 참조)를 이루는 고무 재질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숄더 고무 스트립(200)을 분할한 후술하는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230, 240) 및 보강 고무 스트립(210, 220)은 공기입 타이어의 가류 공정 이후 바디 플라이(550)를 이루는 고무층과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
슬리터(30)는 제2 압출기(20)의 숄더 고무 스트립(200) 인출측에 설치되어, 제2 압출기(20)로부터 압출되는 숄더 고무 스트립(200)을 2개의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230, 240)과 2개의 보강 고무 스트립(210, 220)으로 분할한다.
도 2는 도 1의 슬리터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슬리터(30)는 원형 칼날(31), 가압 실린더(32), 및 이송 수단(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형 칼날(31)은 숄더 고무 스트립(200)의 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이송축 상에서 가압 실린더(32)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슬리터(30)는 제2 압출기(20)로부터 인출되는 숄더 고무 스트립(200)이 폭 방향 중심부에서 2개의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230, 240)과,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230, 240)의 외측에서 2개의 고무 보강 스트립(210, 220)이 분할되도록 3개의 원형 칼날(31a, 31b. 31c)과 가압 실린더(32a, 32b, 32c)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간격 조절 수단은 이송축 상에서 원형 칼날(31a, 31b. 31c)이 고정된 각 가압 실린더(32a, 32b, 32c)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간격 조절 수단은 이송축 상에서 중심부에 위치하는 가압 실린더(32b)를 중심으로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가압 실린더들(32a, 32c)을 이송 실린더(33a, 33c)로 수평 이송시켜 이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간격 조절 수단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슬리터(30)는 간격 조절 수단에 가압 실린더들(32a, 32b, 33c)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공기압 타이어의 규격에 따라 슬리팅되는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230, 240) 및 보강 고무 스트립(210, 220)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 롤(40)은 슬리터(30)에서 슬리팅된 2개의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230, 240)과 2개의 보강 고무 스트립(210, 220)을 각각 제1 압출기(10)에서 인출된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100)의 인너 라인너 스트립(110) 및 검체파 스트립(120) 상측으로 가이드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롤(40)은 좌우로 이동 가능하거나, 또는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기입 타이어의 규격에 따라 2개의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230, 240)과 2개의 보강 고무 스트립(210, 220)의 압착 위치를 조절하여 가이드하도록 한다.
압착 드럼(50)은 상기한 가이들 롤(40)에 의해 가이드된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230, 240)과 함께 보강 고무 스트립(210, 220)을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100) 상에 가압하여 압착시킨다.
도 3은 도 1의 압착 드럼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이드 롤(40)에 의해 가이드된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230, 240)은 압착 드럼(50)을 의해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100)의 인너 라인너 스트립(110) 상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압착된다.
특히, 보강 고무 스트립(210, 220)은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100)의 인너 라인너 스트립(110) 양측에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검체파 스트립(120)의 상측에 부착된다.
이와 같이, 압착 드럼(50)에 의한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230, 240) 및 보강 고무 스트립(210, 220)의 압착 과정을 거쳐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 반제품(300)이 완성된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본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 반제품의 측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 반제품(300)은 숄더 고무 스트립(200) 일부를 슬리이팅시켜 인너 라인너 스트립(110)과 동일 두께를 가지는 검체파 스트립 상에 압착시켜 검체파 스트립(120) 두께가 인너 라인너 스트립(110)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100)의 압연 과정에서 인너 라인너의 규격에 따른 두께 차를 갖도록 하는 가압하는 압연 드럼의 교체 없이도, 검체파스트립(120)의 두께가 인너 라인너 스트립(110)의 두께 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 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검체파 보강 스트립이 적용된 공기입 타이어의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비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기한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 반제품(300)를 적용하여 완성된 공기입 타이어(500)는, 숄더 고무 스트립(200)에서 일 부 슬리이팅된 보강 고무 스트립(210, 220)을 이용해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100)의 검체파(120) 두께가 인너 라인너의 두께보다 더 두껍도록 보강하여, 비드(541)와 림(미도시) 사이에 고무층의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하도록 함으로서 타이어의 장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승차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10은 트레드부이고, 520은, 숄더부이며, 530: 사이드월부이고, 540은 비드부이다. 그리고, 541은 비드이고, 542는 에이 팩스이며, 550은 바디 플라이다.
또한, 숄더 고무 스트립(200)을 이용해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100)의 검체파(120) 두께를 인너 라인너(11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타이어의 제조 과정에서 타이어의 금형과 반제품 사이에 배출되지 않고 잔존하는 공기에 의한 기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부착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슬리터 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연 드럼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검체파 보강 스트립이 적용된 공기입 타이어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비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 검체파 보강 고무 부착 장치 10: 제1 압출기
11; 카렌다(인너 라인너 어셈블리) 12: 압출기
20: 제2 압출기 21: 카렌다(숄더 고무 스트립)
30: 슬리터 31: 회전 칼날
32: 가압 롤러 33: 이송 수단
40: 가이드 롤 50: 압연 롤
100, 200: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 110: 인너 라인너 스트립
120: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200: 숄더 고무 스트립
210, 220: 보강 고무 스트립 230,240: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
300: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 반제품

Claims (4)

  1. 인너 라인너 스트립과, 상기 인너 라인너 스트립 양측에 검체파 스트립이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일체로 형성되는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를 압출하는 제1 압출기;
    상기 제1 압출기 일측에서 숄더 고무 스트립을 압출하는 제2 압출기;
    상기 제2 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상기 숄더 고무 스트립으로부터 보강 고무 스트립를 분할하는 슬리터;
    상기 슬리터에 의해 분할된 상기 보강 고무 스트립를 상기 제1 압출기에서 인출된 상기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의 상기 검체파 스트립 상측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 롤; 및
    상기 가이드 롤에 의해 가이드된 상기 보강 고무 스트립을 상기 인너 라인너 어셈블리의 상기 검체파 스트립 상에 압착시키는 압착 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터는,
    상기 제2 압출기에서 압출된 상기 숄더 고무 스트립을 2개의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과, 2개의 보강 고무 스트립으로 분할하는 3개의 원형 칼날;
    상기 각 원형 칼날이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원형 칼날이 상기 숄더 고무 스트립을 분할하도록 가압하는 가입 실린더; 및
    상기 각 가압 실린더들이 동일 축 선상에서 서로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부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 롤은,
    상기 인너 라이너 상에 공급되는 상기 서브 숄더 고무 스트립과 상기 보강 고무 스트립의 폭을 조절하게 하는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부착 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보강 고무 스트립은 인너 라인너 상측에 적층되는 바디 플라이 스트립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보강 고무 스트립 부착 장치.
KR1020080058410A 2008-06-20 2008-06-20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고무 보강 스트립 부착 장치 KR1009756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10A KR100975605B1 (ko) 2008-06-20 2008-06-20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고무 보강 스트립 부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410A KR100975605B1 (ko) 2008-06-20 2008-06-20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고무 보강 스트립 부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240A KR20090132240A (ko) 2009-12-30
KR100975605B1 true KR100975605B1 (ko) 2010-08-17

Family

ID=4169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410A KR100975605B1 (ko) 2008-06-20 2008-06-20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고무 보강 스트립 부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253B1 (ko) * 2010-02-23 2012-05-2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타이어 인너라이너의 다선 스트립 부착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542B1 (ko) * 2006-12-27 2007-12-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인너 어셈블리 압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2542B1 (ko) * 2006-12-27 2007-12-06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의 인너 어셈블리 압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240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6783B2 (en) Method of producing tire carcass
US9457529B2 (en) Tire building method and rubber strip bonding apparatus
US20100181000A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650114B1 (en) Strip,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pneumatic tire
US20060032575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rubber member for tire
CN1962291A (zh) 充气轮胎及其制造方法和用于此轮胎中的缓冲橡胶
US10894396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ple layer rubber strip
KR100975605B1 (ko) 공기입 타이어의 검체파 고무 보강 스트립 부착 장치
CN105142890B (zh) 贴附橡胶条的方法、利用该方法制造充气轮胎的方法以及贴附装置
JP2009149084A (ja) パンクシーラント事前組立体構成要素を組み立て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807413B1 (ko) 타이어 성형기용 반제품 스플라이싱 장치
US588245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re tread strip for a pneumatic vehicle tire
KR100971725B1 (ko) 두께 편차를 갖는 공기압 타이어용 인너 어셈블리 제조장치
WO2013001922A1 (ja) タイヤ及びビード部材の製造方法
EP2646233B1 (en) Process and plant for building tyres, green tyre and cured tyre obtained thereby.
KR101148253B1 (ko) 공기입타이어 인너라이너의 다선 스트립 부착방법 및 장치
KR20160038302A (ko) 단차 부위 에어 배출이 가능한 타이어 성형기용 스티칭롤
KR100187771B1 (ko) 타이어의 보강재 부착장치
KR100523251B1 (ko) 타이어 성형기상 벨트 부착장치
KR101413177B1 (ko) 타이어 그린케이스의 반제품 접합부 에어 배출을 위한 스플라이싱롤 위치 설정 방법
US736463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neumatic tire
CN105436222A (zh) 一种铜带箔合卷装置
KR200345776Y1 (ko) 멀티 디스크 롤 장치
KR20190066825A (ko) 무(無) 구금 압출다이로 압출시킨 트레드 고무를 이용한 타이어 제조방법
KR0134684B1 (ko) 사이드월의 커버스트립 부착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