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097B1 -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전환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전환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097B1
KR100975097B1 KR1020080063715A KR20080063715A KR100975097B1 KR 100975097 B1 KR100975097 B1 KR 100975097B1 KR 1020080063715 A KR1020080063715 A KR 1020080063715A KR 20080063715 A KR20080063715 A KR 20080063715A KR 100975097 B1 KR100975097 B1 KR 100975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signal input
signal
unit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744A (ko
Inventor
이종걸
Original Assignee
(주)보성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성전자 filed Critical (주)보성전자
Priority to KR1020080063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09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7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public addr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26Arrangements for switching distribu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앰프시스템에 셋트로 구비된 다수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콘트롤러부에서 전환제어되고, 상기 전환제어된 오디오신호를 믹서부를 통해 파워앰프에 공급하여 소정의 신호레벨로 증폭시켜 주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에 포함된 오디오신호인렛트들에 구비되어 있는 신호잭(Jack)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들을 거쳐서 신호선들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신호에 대해서 감지를 하기 위한 신호감지부; 상기 신호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오디오신호를 신호선들을 거쳐서 신호입력단자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들을 통해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콘트롤러부; 상기 콘트롤러부의 신호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신호출력단자 및 신호선을 통해서 믹서부에 지정된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전환되도록 스위칭소자들을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시스템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입력부로부터 믹서부에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해서 콘트롤러부를 통해 필요한 신호입력단자를 지정하여 회로를 전환 및 연결시켜 주기 때문에 상기 믹서부에는 신호입력단자의 소요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믹서부의 부피를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제어부에 구비된 화면부를 보면서 콘트롤러부를 조작하여, 오디오신호입력부로부터 믹서부의 신호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오디오신호를 간편하게 전환 및 연결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강의장 등에 구비된 앰프시스템의 셋팅(Setting) 환경을 개선해 주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
앰프시스템, 신호인렛트, 콘트롤러, 믹서

Description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OF AUDIO SIGNAL}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Audio Signal)입력부로부터 앰프시스템(Amplifier System)에 구비된 믹서(Mixer)부에 입력되는 다수의 오디오신호를 시스템제어부에 연결된 콘트롤러(Controller)부를 통해서 소정의 오디오 신호입력단자로 전환 및 연결시켜 주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다수의 오디오신호인렛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강의장의 일반적인 레이아웃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다수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일반적으로 회사나 학교 등의 회의실을 비롯한 세미나실, 강의장 등(이하 "강의장"이라 한다.)에서는 회의, 세미나, 강의, 교육, 학습 등(이하 "학습"이라 한다.)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강의실에는 다수 종류의 학습기기들로 구비된 마이크, TV, VCR, DVD, 튜너, 프로젝터 등(이하 "학습기기"라 한다.)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및 사운드신호(이하 "오디오신호(Audio Signal)"라 한다.)를 방송실에 설치된 앰프시스 템(Amplifier System)(10)에 구비된 파워앰프(Power Amplifier)(400)로 공급받아서 소정의 신호레벨로 증폭시켜 스피커(도시 생략함.)로 출력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파워앰프(400) 전단계에 구비된 믹서(Mixer)부(30)에는 강의장의 강단을 비롯하여 소정의 장소에는 상기 마이크가 포함된 다수의 학습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인렛트(Inlet)(201-216)들이 설치된 오디오신호입력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디오신호인렛트(201-216)는 통상적으로 강의장의 바닥 및 벽에 매입형으로 설치되며, 또한 상기 오디오신호인렛트(201-216)에는 신호잭(Jack)(201a-216b)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거나,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씩 1조로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강의장의 오디오신호입력부(200)에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오디오신호인렛트(201-216)들에 각각의 신호단자번호(NO.1-NO.32)가 명기되어 있는 수많은 신호잭(Jack)(201a-216b)들에는 상기 학습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어 지며, 상기 입력된 오디오신호는 신호선(Signal Line)(61)을 통해서 믹서부(30)에 구비된 역시 수많은 신호입력단자(NO.1-NO.32)에 일대일(1:1)로 매칭(Matching)되어 전기적인 회로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200)에 구비된 신호입력단자(NO.1-NO.32)들과 믹서부(30)에 구비된 신호입력단자(NO.1-NO.32)들 간에 일일이 매칭시켜서 오디오신호를 공급해 주어야만 하기 때문에 학습에 번거로움이 따르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200)와 믹서부(30) 간에 전기적으로 회로가 연결되는 신호선(61)의 소요 수량이 증가하여 설치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200)의 오디오신호인렛트(201-216)에 구비된 신호입력단자(NO.1-NO.32)들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믹서부(30)를 통해서 모두 공급받기 위해서는 상기 믹서부(30)에는 역시 수많은 신호입력단자(31)(NO.1-NO.32)들을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상기 앰프시스템(10)에 구비된 믹서부(30)는 그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입력부로부터 믹서부에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해서 콘트롤러부를 통해 필요한 신호입력단자를 지정하여 회로연결을 전환 및 연결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믹서부에 구비된 신호입력단자의 소요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제어부에 구비된 화면부를 보면서 콘트롤러부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오디오신호입력부로부터 믹서부의 신호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오디오신호를 간편하게 전환 및 연결시켜 주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앰프시스템에 셋트(Set)로 구비된 다수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콘트롤러부에서 전환제어되고, 상기 전환제어된 오디오신호를 믹서(Mixer)부를 통해 파워앰프에 공급하여 소정의 신호레벨로 증폭시켜 주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에 포함된 오디오신호인렛트들에 구비되어 있는 신호잭(Jack)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들을 거쳐서 신호선들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신호에 대해서 감지를 하기 위한 신호감지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오디오신호를 신호선들을 거쳐서 신호입력단자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들을 통해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콘트롤러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부의 신호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신호출력단자 및 신호선을 통해서 믹서부에 지정된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전환되도록 스위칭소자들을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또 다른 수단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앰프시스템에 셋트(Set)로 구비된 다수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콘트롤러부에서 전환제어되고, 상기 전환제어된 오디오신호를 믹서(Mixer)부를 통해 파워앰프에 공급하여 소정의 신호레벨로 증폭시켜 주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에 포함된 오디오신호인렛트들에 구비되어 있는 신호잭(Jack)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들 및 신호선들을 거쳐서 신호입력단자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들을 통해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콘트롤러부가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부의 신호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신호출력단자 및 신호선을 통해서 믹서부에 지정된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 로 전환되도록 스위칭소자들을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또 다른 수단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앰프시스템에 셋트(Set)로 구비된 다수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콘트롤러부에서 전환제어되고, 상기 전환제어된 오디오신호를 믹서(Mixer)부를 통해 파워앰프에 공급하여 소정의 신호레벨로 증폭시켜 주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제어부의 전원을 온(On)시켜, 상기 믹서부에 지정시킨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상기 콘트롤러부를 통해 다수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전환(Switching)제어시켜 주기 위해서, 오디오신호 전환기능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신호 전환제어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상기 시스템제어부에 구비된 화면부 상에 콘트롤러부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Display)시키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어화면에서 오디오신호입력부로부터 콘트롤러부의 신호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해 상기 믹서부에 지정시킨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스위칭소자의 소자접접을 전환제어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입력단자 및 신호출력단자를 키이(Key)입력수단으로 선택하여 조작시키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전환제어된 신호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대한 상 기 오디오신호의 중복연결 여부를 체크(Check)하여, 상기 전환제어된 조작상태를 저장하고, 상기 믹서부에 지정시킨 신호입력 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상기 오디오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디오신호입력부로부터 믹서부에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해서 콘트롤러부를 통해 필요한 신호입력단자를 지정하여 회로를 전환 및 연결시켜 주기 때문에 상기 믹서부에는 신호입력단자의 소요 개수를 줄일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믹서부의 부피를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제어부에 구비된 화면부를 보면서 콘트롤러부를 조작하여, 오디오신호입력부로부터 믹서부의 신호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오디오신호를 간편하게 전환 및 연결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강의장 등에 구비된 앰프시스템의 셋팅(Setting) 환경을 개선해 주는 효과를 제공해 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작용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예로서 설명되어 지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들이 제한되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고할 사항으로, 본 발명에서 첨부되어 설명되는 각 도면에 부호를 표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기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였음에 특히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및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 및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앰프시스템(100)의 전체적인 장치에 대한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시스템제어부(800)를 비롯하여 오디오신호입력부(200), 신호감지부(500), 콘트롤러부(600), 구동전원공급부(700), 믹서부(300) 및 파워앰프(4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다수의 오디오 신호를 콘트롤러부를 통해서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한 전체적인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1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앰프시스템(100)에 셋트(Set)로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콘트롤러부(600)에서 전환제어되고, 상기 전환제어된 오디오신호를 믹서(Mixer)부(300)를 통해 파워앰프(400)에 공급하여 신호레벨을 증폭시켜 주기 위한 오디오신호의 전환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20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200)에 포함된 오디오신호인렛트(201-216)들에 구비되어 있는 신호잭(Jack)(201a-216b)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NO.1- NO.32)들을 거쳐서 신호선(61)들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신호에 대해서 감지를 하기 위한 신호감지부(500)가 구성된다.
상기 신호감지부(500)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감지는 신호잭(Jack)(201a-216b)을 통해서 상기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학습기기들로부터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신호선(61)에 걸리는 전압의 변동레벨(Level)을 검출하여 줌으로써 상기 오디오신호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신호잭(Jack)(201a-216b)을 통해서 무신호시에는 신호선(61)에 오디오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며, 만약 상기 신호잭(Jack)(201a-216b)을 통해서 학습기기들로부터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학습기기에 따라 교류(AC) 성분의 수십 내지는 수백 밀리볼트(mV)의 전압신호가 상기 신호선(61)에 걸리게 됨으로써 이에 대한 검출을 통해 오디오신호의 감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호감지부(500)에는 오디오신호입력부(200)로부터 신호선(61)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감지되면 점등(On)하는 표시램프(Lamp)(50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표시램프(501)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필라멘트(Filament)로 발광하는 일반적인 전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신호감지부(500)에서 감지된 상기 오디오신호를 신호선(62)들을 거쳐서 신호입력단자(601)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NO.1-NO.32)들을 통해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콘트롤러부(6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부(600)의 신호입력단자(601)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신호출력단자(602) 및 신호선(63)을 통해서 믹서부(300)에 지정된 신호입력단자(301)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NO.1-NO.32)로 전환되도록 스위칭소자(RL_SW1-RL_SW32)들을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시스템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소자(RL_SW1-RL_SW32)들을 전환제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시스템제어부(800)에 소정의 구동 프로그램을 셋업(Setup)시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다수의 오디오 신호를 콘트롤러부를 통해서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한 전체적인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실시사례 블럭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사례와 마찬가지로 앰프시스템(100)에 셋트(Set)로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콘트롤러부(600)에서 전환제어되고, 상기 전환제어된 오디오신호를 믹서(Mixer)부(300)를 통해 파워앰프(400)에 공급하여 신호레벨을 증폭시켜 주기 위한 오디오신호의 전환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2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200)에 포함된 오디오신호인렛트(201-216)들에 구비되어 있는 신호잭(Jack)(201a-216b)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NO.1-NO.32)들 및 신호선(61)들을 거쳐서 신호입력단자(601)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 번호(NO.1-NO.32)들을 통해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콘트롤러부(60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부(600)의 신호입력단자(601)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신호출력단자(602) 및 신호선(63)을 통해서 믹서부(300)에 지정된 신호입력단자(301)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NO.1-NO.32)로 전환되도록 스위칭소자(RL_SW1-RL_SW32)들을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시스템제어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위칭소자(RL_SW1-RL_SW32)들을 전환제어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시스템제어부(800)에 소정의 구동 프로그램을 셋업(Setup)시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사례에 있어서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기술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시스템제어부(800)는 컴퓨터로 구성되며, 퍼스널컴퓨터(PC) 또는 노트북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200)는 신호잭(Jack)(201a-216b)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오디오신호인렛트(Inlet)(201-2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오디오신호인렛트(Inlet)(201-21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강의장의 바닥 및 벽에 매입형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나, 필요에 따라서는 바닥 및 벽 등에 노출형으로도 설치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 오디오신호인렛트(Inlet)(201-216) 및 신호잭(Jack)(201a-216b)의 설치수량을 비롯하여, 콘트롤러부(600) 및 믹서부(300)에 구비된 신호입력단자((601)(301)의 소요 수량에 대한 증감에는 별도로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2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디오신호인렛트(201-216)에 구비된 신호잭(Jack)(201a-216b)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신호입력단자 즉, 터미널(Terminal)을 사용하여 오디오신호를 공급받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부(600)에는 스위칭소자(RL_SW1-RL_SW32)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직류전압(예를 들면; DC 12V, DC 24V 등)을 생성시키는 구동전원공급부(7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전원공급부(700)는 통상의 상용 교류전압(예를 들면; AC 220V)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기 위해 통상적인 브리지(Bridge) 정류회로(도시 생략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전원공급부(700)는 스위칭소자(RL_SW1-RL_SW32)의 구동을 비롯하여, 상기 앰프시스템(100)을 구동시키기 위해 다중의 직류전압을 생성시키기 위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도시 생략함.)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부(600)에 구비된 스위칭소자(RL_SW1-RL_SW32)는 유접점 릴레이(Relay)소자 또는 무접점 논리회로소자를 이용한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스위칭소자(RL_SW1-RL_SW32)에 구비된 소자접접(RL_P1-RL_P16)에 대한 온(On)오프(Off) 스위칭(Switch)제어 즉, 전환제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스위칭소자(RL_SW1-RL_SW32)는 유접점 릴레이(Relay)소자 또는 무접점 논리회로소자를 이용한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소자접접(RL_P1-RL_P16)에 대한 온(On)오프(Off) 스위칭(Switch) 제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부(600)에는 스위칭소자(RL_SW1-RL_SW32)에 구비된 소자접점(RL_P1-RL_P16)이 온(On)동작되면 콘트롤러부(600) 및 제어화면(도시 생략함.)에 그 상태를 표시하여 주기 위해 점등(On)되는 표시램프(Lamp)(60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표시램프(603)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필라멘트(Filament)로 발광하는 일반적인 전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시스템제어부(800)에는 오디오신호 전환기능 프로그램을 구동되면 상기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시켜 주기 위한 화면부(80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면부(801)는 시스템제어부(800)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시스템제어부(800)에 별도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노트북컴퓨터에 구비된 화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화면부(801)는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상기 화면부(801)의 범위에는 별도로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화면부(801)를 통해서 시스템제어부(800)에서 제어되고 있는 여러 가지의 기능제어 상태를 화면으로 보여주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화면부(801)에는 시스템제어부(800)의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제어화면을 화면부(801)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화면부(801) 상에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표시하는 해 주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어화면에는 콘트롤러부(600)에 구비된 신호입력단자(601) 및 신호출력단자(602)를 식별시켜 주기 위해 신호단자번호(NO.1-NO.32)가 부여된 소정의 기호 또는 심벌(Symbol)을 이용하여 표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화면의 조작시에 혼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시스템제어부(800)의 화면부(801)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어화면을 보고 콘트롤러부(600)를 조작시키기 위해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주기 위한 키이(Key)입력수단(도시 생략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신호입력단자(601) 및 신호출력단자(602)를 키이(Key)입력수단으로 선택 및 조작시켜 줌으로써 상기 발생된 제어신호가 시스템제어부(800)로부터 출력되어 콘트롤러부(600)에 공급되고, 이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보면 신호입력단자(601)의 신호단자번호(NO.1)은 신호출력단자(602)의 신호단자번호(NO.1)에 전환되어 지고, 이어서 신호선(63)을 통해서 믹서부(300) 에 구비된 신호입력단자(301)의 신호단자번호(NO.1)에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키이(Key)입력수단은 시스템제어부(800)에 구비된 키버튼(Key Button), 마우스(Mouse),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화면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제어부(800)에는 콘트롤러부(600)에 의해 전환제어된 신호입력단자(601) 및 출력단자(602)에 대한 조작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80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802)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비롯하여,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메모리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앞에서 언급한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다수의 오디오 신호를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사례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앰프시스템(400)에 셋트(Set)로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콘트롤러부(600)에서 전환제어되고, 상기 전환제어된 오디오신호를 믹서(Mixer)부(300)를 통해 파워앰프(400)에 공급하여 신호레벨을 증폭시켜 주기 위한 오디오신호의 전환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제어부(800)의 전원을 온(On)시켜(S601), 상기 믹서부(300)에 지정시킨 신호입력단자(301)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NO.1-NO.32)로 상기 콘트롤러부(6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전환(Switching)제어시켜 주기 위한 단계(S602)가 구비된다.
상기 단계에 이어서, 강의장 등에 설치된 오디오신호입력부(200)로부터 콘트롤러부(600)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한 전환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S603)가 구비된다.
상기 오디오신호에 대한 전환제어 프로그램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제어부(800)에 소정의 프로그램을 셋업(Setup)시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시스템제어부(800)는 컴퓨터로 구성되며, 퍼스널컴퓨터(PC) 또는 노트북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신호 전환제어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상기 시스템제어부(800)에 구비된 화면부(801) 상에 콘트롤러부(800)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화면(도시 생략함.)을 디스플레이(Display)시키는 단계(S60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화면부(801)는 시스템제어부(800)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시스템제어부(800)에 별도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모니터, 노트북컴퓨터에 구비된 화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화면부(801)는 CRT(Cathode Ray Tub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상기 화면부(801)의 범위에는 별도로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상기 화면부(801)를 통해서 시스템제어부(800)에서 제어되고 있는 여러 가지의 기능제어 상태를 화면으로 보여주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화면부(801)에는 시스템제어부(800)의 전원이 온(On)되면 상기 제어화면을 화면부(801)의 소정의 위치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화면부(801) 상에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화면에는 콘트롤러부(600)에 구비된 신호입력단자(601) 및 신호출력단자(602)를 식별시켜 주기 위해 신호단자번호(NO.1-NO.32)가 부여된 소정의 기호 또는 심벌(Symbol)을 이용하여 표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화면의 조작시에 혼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어화면에서 오디오신호입력부(200)로부터 콘트롤러부(600)의 신호입력단자(601)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해 상기 믹서부(300)에 지정시킨 신호입력단자(301)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NO.1-NO.32)로 스위칭소자(RL_SW1-RL_SW32)의 소자접접(RL_P1-RL_P16)을 전환제어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입력단자(601) 및 신호출력단자(602)를 키이(Key)입력수단으로 선택하여 조작시키는 단계(S60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키이(Key)입력수단은 시스템제어부(800)에 구비된 키버튼(Key Button), 마우스(Mouse),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화면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칭소자(RL_SW1-RL_SW32)는 유접점 릴레이(Relay)소자 또는 무접점 논리회로소자를 이용한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소자접접(RL_P1-RL_P16)에 대한 온(On)오프(Off) 스위칭(Switch) 제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단계(S605)에 이어서, 상기 전환제어된 신호입력단자(601) 및 출력단자(602)에 대한 상기 오디오신호의 중복연결 여부를 상기 오디오신호 전환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체크(Check)하여(S606), 상기 전환제어된 조작상태를 시스템제어부(800)에 구비된 저장부(802)에 저장하고, 상기 믹서부(300)에 지정시킨 신호입력 단자(301)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NO.1-NO.32)로 상기 오디오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S60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저장부(50)는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에 의한 것이기에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시스템제어부(800)의 전원을 온(On)시키는 단계(S601) 및 믹서부(300)에 지정시킨 신호입력단자(301)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NO.1-NO.32)로 콘트롤러부(6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전환(Switching)제어시키는 조작을 수행시키지 않을 경우에는(S602), 상기 콘트롤러부(600)를 통해 전환제어된 기존의 조작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단계(S609)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믹서부(300)에 지정시킨 신호입력 단자(301)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NO.1-NO.32)로 스위칭소자(RL_SW1-RL_SW32)의 소자접접(RL_P1-RL_P16)을 전환제어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입력단자(601) 및 신호출력단자(602)를 키이(Key) 입력수단으로 선택하여 조작시키는 단계(S605)에 이어서, 상기 전환제어된 상태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롤러부(400) 및 제어화면에 표시하여 주기 위해 표시램프(603)를 점등(On)시키는 단계(S60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언급된 바와 같은 실시 사례들에 의해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시스템제어부를 통해서 콘트롤러부를 조작하여 오디오신호입력부로부터 믹서부의 신호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오디오신호를 간편하게 전환 및 연결시켜 주는 기술로써, 이는 강의장 등에 구비된 앰프시스템의 셋팅(Setting) 환경을 개선시키는 효과 측면에서 향후 그 수요 증가가 기대되는 산업상 이용성이 매우 높은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다수의 오디오신호 인렛트의 배치상태를 나타낸 강의장의 일반적인 레이아웃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다수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다수의 오디오 신호를 콘트롤러부를 통해서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한 전체적인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1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다수의 오디오 신호를 콘트롤러부를 통해서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한 전체적인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제2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시스템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콘트롤러부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다수의 오디오 신호를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일실시사례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1, 62, 63 : 신호선 100 : 앰프시스템
200 : 오디오신호입력부 201-216 : 오디오신호인렛트(Inlet)
201a-216b : 신호잭(Jack) 300 : 믹서(Mixer)부
400 : 파워앰프프(Power Amplifier) 500 : 신호감지부
501, 603 : 표시램프(Lamp) 600 : 콘트롤러부
301, 601 : 신호입력단자 602 : 신호출력단자
700 : 구동전원공급부 800 : 시스템제어부
801 : 화면부 802 : 저장부
RL_SW1-RL_SW32 : 스위칭소자 RL_P1-RL_P16 : 소자접점

Claims (15)

  1. 앰프시스템에 셋트(Set)로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콘트롤러부에서 전환제어되고, 상기 전환제어된 오디오신호를 믹서부를 통해 파워앰프에 공급하여 신호레벨을 증폭시켜 주기 위한 오디오신호의 전환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에 포함된 오디오신호인렛트들에 구비되어 있는 신호잭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들을 거쳐서 신호선들을 통해 입력되는 상기 오디오신호에 대해서 감지를 하기 위한 신호감지부;
    상기 신호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오디오신호를 신호선들을 거쳐서 신호입력단자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들을 통해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콘트롤러부;
    상기 콘트롤러부의 신호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신호출력단자 및 신호선을 통해서 믹서부에 지정된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전환되도록 스위칭소자들을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시스템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감지부에는 오디오신호입력부로부터 신호선을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감지되면 점등(On)하는 표시램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3. 앰프시스템에 셋트(Set)로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콘트롤러부에서 전환제어되고, 상기 전환제어된 오디오신호를 믹서부를 통해 파워앰프에 공급하여 신호레벨을 증폭시켜 주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입력부;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에 포함된 오디오신호인렛트들에 구비되어 있는 신호잭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들 및 신호선들을 거쳐서 신호입력단자들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들을 통해 상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는 콘트롤러부;
    상기 콘트롤러부의 신호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신호출력단자 및 신호선을 통해서 믹서부에 지정된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전환되도록 스위칭소자들을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해 제어신호를 출력시키는 시스템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부에는 스위칭소자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전원공급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부에 구비된 스위칭소자는 유접점 릴레이(Relay)소자 또는 무접점 논리회로소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부에는 스위칭소자에 구비된 소자접점이 온(On)동작되면 콘트롤러부 및 제어화면에 그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점등(On)되는 표시램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퍼스널컴퓨터(PC) 또는 노트북컴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콘트롤러부에 의해 전환제어된 신호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대한 조작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신호입력부는;
    신호잭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오디오신호인렛트; 또는
    별도의 신호입력단자;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장치.
  10. 앰프시스템에 셋트(Set)로 구비된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가 콘트롤러부에서 전환제어되고, 상기 전환제어된 오디오신호를 믹서부를 통해 파워앰프에 공급하여 신호레벨을 증폭시켜 주기 위한 오디오신호의 전환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제어부의 전원을 온(On)시켜, 상기 믹서부에 지정시킨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상기 콘트롤러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전환제어시켜 주기 위해 오디오신호 전환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오디오신호 전환제어 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상기 시스템제어부에 구비된 화면부 상에 콘트롤러부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디스플레이(Display)시키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된 제어화면에서 오디오신호입력부로부터 콘트롤러부의 신호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오디오신호에 대해 상기 믹서부에 지정시킨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스위칭소자의 소자접접을 전환제어시키기 위해 신호입력단자 및 신호출력단자를 키이(Key)입력수단으로 선택하여 조작시키는 단계;
    상기 키이(Key)입력수단으로 선택하여 조작시키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전환제어된 신호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대한 상기 오디오신호의 중복연결 여부를 체크(Check)하여, 상기 전환제어된 조작상태를 저장하고, 상기 믹서부에 지정시킨 신호입력 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상기 오디오신호를 출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제어부의 전원을 온(On)시키는 단계 및 믹서부에 지정시킨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콘트롤러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학습기기들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전환제어시키는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콘트롤러부를 통해 전환제어된 기존의 조작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부에 지정시킨 신호입력단자에 각각 부여된 신호단자번호로 스위칭소자의 소자접점을 전환제어시키기 위해 상기 신호입력단자 및 신호출력단자를 키이(Key)입력수단으로 선택하여 조작시키는 단계에 이어서;
    상기 전환제어된 상태를 표시하는 콘트롤러부 및 제어화면에 표시하여 주기 위해 표시램프를 점등(On)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퍼스널컴퓨터(PC) 또는 노트북컴퓨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Key)입력수단은;
    시스템제어부에 구비된 키버튼(Key Button), 마우스(Mouse),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소자는;
    유접점 릴레이(Relay)소자 또는 무접점 논리회로소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전환제어방법.
KR1020080063715A 2008-07-02 2008-07-02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전환제어장치 및 방법 KR100975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715A KR100975097B1 (ko) 2008-07-02 2008-07-02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전환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715A KR100975097B1 (ko) 2008-07-02 2008-07-02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전환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44A KR20100003744A (ko) 2010-01-12
KR100975097B1 true KR100975097B1 (ko) 2010-08-11

Family

ID=4181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715A KR100975097B1 (ko) 2008-07-02 2008-07-02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전환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0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2999B (zh) * 2015-11-24 2021-03-30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网络化系统中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788A (ja) 1999-03-25 2000-10-06 Toa Corp 切換機能付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100499075B1 (ko) 2005-01-12 2005-07-01 주식회사 태영미디어 오디오 컨트롤러
JP2005277649A (ja) 2004-03-24 2005-10-06 Yamaha Corp ミキサのパラメータ設定方法、ミキサ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88875B1 (ko) 2007-04-30 2007-12-27 한국영상주식회사 원격지 음향장치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8788A (ja) 1999-03-25 2000-10-06 Toa Corp 切換機能付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5277649A (ja) 2004-03-24 2005-10-06 Yamaha Corp ミキサのパラメータ設定方法、ミキサ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499075B1 (ko) 2005-01-12 2005-07-01 주식회사 태영미디어 오디오 컨트롤러
KR100788875B1 (ko) 2007-04-30 2007-12-27 한국영상주식회사 원격지 음향장치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744A (ko) 201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5366B2 (en) TV wall system capable of displaying images according to a positioning signal
US8195853B2 (en) Keyboard-video-monitor-periphery (KVMP) switch
EP2608563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ace
WO2014136176A1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201600434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80083453A (ko) 복수 개의 입력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7548229B2 (en) Multi-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975097B1 (ko) 앰프시스템의 믹서부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전환제어장치 및 방법
US8142033B2 (en) Projector capable of indicating interface state
KR100960982B1 (ko) 입력모드에 매칭시키기 위한 오디오신호의 스위칭 제어장치및 방법
US20180102659A1 (en) Vehicle electrical apparatus with protection and detection mechanism for reverse power connection
KR101012100B1 (ko) 전자기기의 절전을 위한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50105149A (ko) 멀티 컨트롤 엠피쓰리 장치 연동가능한 방송제어시스템
KR100975100B1 (ko) 초기 접속된 이종의 마이크 신호에 대한 동종의 마이크 신호별 그룹핑 전환제어장치 및 방법
CN202759534U (zh) 节能视频控制装置
KR101046638B1 (ko) 전자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JP5184632B2 (ja) 補助機器の遠隔調節装置及び方法(Apparatusandmethodforremotecontrolling)
JP2007212619A (ja) 投射型画像表示装置
KR100975095B1 (ko) 월타입의 콘트롤러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원격제어방법
KR100919988B1 (ko) 학습시스템의 1차볼륨레벨에 대한 2차볼륨레벨의가변제어장치 및 방법
KR101024560B1 (ko) 전자기기의 절전제어장치
KR102049464B1 (ko) 에너지 절약형 방송장치
KR100717460B1 (ko) 멀티비전 시스템의 시스템 식별자 세팅 장치 및 방법
KR100794144B1 (ko) 외부기기 연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914649B1 (ko) 학습시스템의 최상위우선모드 설정에 의한 셋업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