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075B1 -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075B1
KR100975075B1 KR1020090065561A KR20090065561A KR100975075B1 KR 100975075 B1 KR100975075 B1 KR 100975075B1 KR 1020090065561 A KR1020090065561 A KR 1020090065561A KR 20090065561 A KR20090065561 A KR 20090065561A KR 100975075 B1 KR100975075 B1 KR 100975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xposed
fixed
fixin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데코
김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데코, 김강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데코
Priority to KR1020090065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10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 A47G1/101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 A47G1/102Corner clips or corner-connecting appliances for frames for insertion within frame members having an aperture to receive a fastener to connect to a fram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0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comprising a wall member cooperating with a corresponding picture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8Picture frames where the picture is inserted through a slit in one of the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비되고,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노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노출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단차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마감부재로 인해 노출부가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날카로운 모서리부분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해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조립이 완성된 후에도 상기 마감부재가 단차부에서 외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평프레임, 수직프레임, 단차부, 노출부, 마감부재

Description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PANEL FRAME STRUCTURE OF FIXING INVISIBLE TYPE}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비되고,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노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노출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단차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 등의 패널 프레임은 패널 프레임내로 게재되는 게시물을 최초로 삽입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벽체 등에 부착되어진 패널 프레임을 떼어내고 뒤집어서 뒷판을 들어내고 게시물을 게재한 후 재차 벽면 등에 부착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전면이 개방되고, 연결판에 의해 조립되는 수평 및 수직 프레임을 사용하여 게시물의 교환을 전방에서 할 수 있도록 한 패널 프레임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고, 별도의 걸고리나 피스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벽체 등에 고정되는 상기 연결판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상기 패널 프레임의 외관이 미려해지지 못함은 물론 날카로운 모서리부분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해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연결판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모서리부분에 상기 연결판을 내부에 수용하는 마감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마감부재는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을 조립하는 과정 중에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에 미리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조립이 완성된 후에는 상기 마감부재가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에서 외측으로 분리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벽체 등에 고정된 상기 연결판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가 어려워 상기 수직 및 수평프레임을 벽체 등에서 분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마감부재로 인해 노출부가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날카로운 모서리부분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해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조립이 완성된 후에도 상기 마감부재가 단차부에서 외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이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단차부와; 상기 단차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비되고,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노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노출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단차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수직방향으 로 절단된 절단부에 의해 상기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후면에 끼움고정되어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연결판에 상기 노출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출부에 안내홈 또는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평프레임의 내부에 끼움고정되는 일측판부와; 상기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일측 판부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타측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부에 절곡부위가 노출되는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마감부재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판의 절곡부위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의 절곡부위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단차부에 노출되는 노출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단차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로 인해 상기 노출부가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음은 물론 날카로운 모서리부분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해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의 조립이 완성된 후에도 상기 마감부재가 상기 단차부에서 외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노출부에서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의 고정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벽체 등에서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부로 인해 상기 단차부가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 모서리부분에 보다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후면에 끼움고정되어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연결판에 상기 노출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단차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노출부가 상기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보다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노출부에 고정부재를 안내하는 안내홈 또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노출부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벽체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마감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고정부가 상기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의 내부에 끼움고정되는 고정판의 절곡부위에 걸림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마감부재가 상기 단차부에 보다 용이하게 분리가능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단차부(50)에서 마감부재(100)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사다리꼴 형상의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이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프레임(10), 수직프레임(30) 및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이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사항에 관한 것은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ㄴ" 형상의 단차부(50)와; 상기 단차부(50)에 노출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비되는 노출부(70)와; 상기 노출부(70)에 삽입되어 벽체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도 4의 90)와; 상기 노출부(7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단차부(50)를 마감하는 마감부재(100);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단차부(5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공지된 절단장치 등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부(13, 33)에 의해 예를 들어 "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노출부(70)가 구비된 연결판(6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노출부(7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후면에 끼움고정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을 결합시키는 연결판(60)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연결판(6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수평프레임(10)의 후면에 후방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일정두께의 벽(도 2의 12) 내측에 형성되는 외측 끼움홈(도 2의 11)에 끼움고정된 후 볼트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노출부(70)의 일측에 수평으로 연장형성되는 일측판부(61)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후면에 후방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일정두께의 벽(도 2의 32) 내측에 형성되는 외측 끼움홈(도 2의 31)에 끼움고정된 후 볼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노출부(70)의 하측에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타측판부(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상기 절단부(13, 33)로 인해 상기 단차부(50)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 이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양단부 모서리부분에 보다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후면에 끼움고정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을 결합시키는 상기 연결판(60)에 상기 노출부(70)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단차부(50)에 노출되도록 상기 노출부(70)가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보다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노출부(70)의 전면에는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고정부재(90)를 안내하는 안내홈(미도시)이 형성되거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출부(70)에는 상기 고정부재(90)가 삽입되는 전후방이 개방된 상태의 관통구(7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71)의 일측 하부에는 상기 관통구(71)와 연통된 상태로 사선(/)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슬릿(73)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노출부(70)가 벽체(3)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고정부재(90)가 벽체(3)에 삽입된 상태로 미리 고정된 경우 벽체(3)에 미리 고정된 상기 고정부재(90)는 상기 슬릿(73)을 통해 상기 관통구(71)내로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90)로써, 사용자가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특히, 상기 안내홈(미도시)를 관통하여 벽체(3)에 삽입되는 공지된 직결피스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노출부(70)에 상기 고정부재(90)를 안내하는 안내홈(미도시) 또는 상기 고정부재(90)가 삽입되는 관통구(71)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재(90)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노출부(70)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벽체(3)에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는 마감부재(100)의 내측에 걸림고정부(110)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부에 끼움고정되는 일측판부(131)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내부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일측판부(131)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타측판부(133);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부(50)에 절곡부위(135)가 노출되는 고정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마감부재(100)의 내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30)의 절곡부위(135)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130)의 절곡부위(135)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130)의 일측판부(131)와 타측판부(133)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0) 및 수직프레임(30)의 내부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으로 형 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격판(14, 34)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끼움홈(16, 36)에 끼움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판(50)에 구비되는 상기 노출부(70)와 상기 고정판(130)의 절곡부위(135) 사이에는 일정폭(W)의 이격공간(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마감부재(100)의 걸림고정부가 고정판(130)의 절곡부위(135)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판(130)의 절곡부위(135)에 걸림고정되는 상기 걸림고정부(11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판(50)에 구비되는 상기 노출부(70)와 상기 고정판(130)의 절곡부위(135)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5)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감부재(100)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고정부(110)가 상기 수평프레임(10) 및 수직프레임(30)의 내부에 끼움고정되는 상기 고정판(130)의 절곡부위(135)에 걸림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마감부재(100)가 상기 단차부(50)에 보다 용이하게 분리가능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단차부(50)에 노출되는 상기 노출부(7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단차부(50)를 마감하는 상기 마감부재(100)로 인해 상기 노출부(70)가 외부로 노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 임(10, 30)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음은 물론 날카로운 모서리부분에 의해 사용자에게 상해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10, 30)의 조립이 완성된 후에도 상기 마감부재(100)가 상기 단차부(50)에서 외측으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노출부(70)에서 벽체(3) 등에 고정되는 상기 고정부재(90)의 고정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벽체(3) 등에서 상기 수평 및 수직프레임(10, 30)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단차부에서 마감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노출부가 구비된 연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노출부가 벽체에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마감부재의 내측에 걸림고정부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마감부재의 걸림고정부가 고정판의 절곡부위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벽체, 5; 이격공간,
10; 수평프레임, 11, 31; 외측끼움홈,
12, 32; 벽, 13, 33; 절단부,
14, 34; 격판, 16, 36; 내측끼움홈,
30; 수직프레임, 50; 단차부,
60; 연결판, 61, 131; 일측판부,
63, 133; 타측판부, 70; 노출부,
71; 관통구, 73; 슬릿,
90; 고정부재, 100; 마감부재,
110; 걸림고정부, 130; 고정판,
135; 절곡부위.

Claims (4)

  1.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이 결합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형성되는 단차부(50)와;
    상기 단차부(50)에 노출되도록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구비되고, 벽체(3)에 고정되는 고정부재(90)가 삽입되는 노출부(70);가 구비되고,
    상기 노출부(7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단차부(50)를 마감하는 마감부재(100);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0)의 내부에 끼움고정되는 일측판부(131)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내부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일측 판부(131)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타측판부(133);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차부(50)에 절곡부위(135)가 노출되는 고정판(130)이 구비되고,
    상기 마감부재(100)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판(130)의 절곡부위(135)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판(130)의 절곡부위(135)에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양단부의 모서리부분에 수직방향으로 절단된 절단부(13, 33)에 의해 상기 단차부(50)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의 후면에 끼움고정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0)과 수직프레임(30)을 결합시키는 연결판(60)에 상기 노출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70)에 안내홈 또는 관통구(7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
  4. 삭제
KR1020090065561A 2009-07-17 2009-07-17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 KR100975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561A KR100975075B1 (ko) 2009-07-17 2009-07-17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561A KR100975075B1 (ko) 2009-07-17 2009-07-17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075B1 true KR100975075B1 (ko) 2010-08-11

Family

ID=42759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561A KR100975075B1 (ko) 2009-07-17 2009-07-17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07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2596U (ko) 1975-08-26 1977-03-07
JPH0322179U (ko) * 1989-07-13 1991-03-06
JPH0574368U (ja) * 1992-03-16 1993-10-12 オリジン工業株式会社 装飾具付き額縁
JP3022179U (ja) 1995-08-30 1996-03-22 株式会社大昌 コーナー保護部材を備えた額縁
EP1149550A2 (de) * 2000-04-28 2001-10-31 Christoph Geiberger Verbindungselement zum Aufbau einer Eckverbindung zweier Rahmenleisten eines Wechselrahmen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2596U (ko) 1975-08-26 1977-03-07
JPH0322179U (ko) * 1989-07-13 1991-03-06
JPH0574368U (ja) * 1992-03-16 1993-10-12 オリジン工業株式会社 装飾具付き額縁
JP3022179U (ja) 1995-08-30 1996-03-22 株式会社大昌 コーナー保護部材を備えた額縁
EP1149550A2 (de) * 2000-04-28 2001-10-31 Christoph Geiberger Verbindungselement zum Aufbau einer Eckverbindung zweier Rahmenleisten eines Wechselrahme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47051B (zh) 包括底板、两个侧壁、后壁和面部的抽屉
US9617785B2 (en) Extensible curtain rail
KR200451419Y1 (ko) 방충망 조립체
ES2903171T3 (es) Panel frontal para cajón
KR200460788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100975075B1 (ko)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 프레임 구조
KR101632323B1 (ko) 벽체 마감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TWI517807B (zh) 機架式滑軌之安裝托架
KR20190063351A (ko) 틀 프레임용 모서리 연결구의 프레임 고정장치
KR20120067862A (ko)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코너의 구조
KR20120140362A (ko)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배수판
KR101226087B1 (ko) 창문이탈방지구
KR20120067863A (ko) 고정부재 인비저블 타입 패널코너의 구조
KR101804929B1 (ko) 리모델링에 사용되는 인테리어용 몰딩재
EP2275629B1 (en) Window bolt and window therewith
JP5541599B2 (ja) 引手
KR20090003227U (ko) 방범창
JP2010060017A (ja) クリップ
EP2696020B1 (en) Coupler
KR101445018B1 (ko)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체
JP6014345B2 (ja) 錠受金具
CN101815410B (zh) 电子装置的壳体组装构造
JP2005300904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用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JP4241449B2 (ja) 通線カバー
KR200483281Y1 (ko) 인테리어 벽체 몰딩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