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98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987B1
KR100974987B1 KR1020080007366A KR20080007366A KR100974987B1 KR 100974987 B1 KR100974987 B1 KR 100974987B1 KR 1020080007366 A KR1020080007366 A KR 1020080007366A KR 20080007366 A KR20080007366 A KR 20080007366A KR 100974987 B1 KR100974987 B1 KR 10097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lid
lid member
guid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668A (ko
Inventor
다이찌로오 야마시따
마꼬또 아시다
유끼히로 엔도오
마사까즈 가노오
마사노부 이시즈까
신따로오 야마와끼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14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9345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1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808193B2/ja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3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47B88/49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doub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with rollers, ball bearings, whe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감압실 등의 기체 조절실인 저장실의 뚜껑 개폐 동작의 사용성이 양호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에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기체 조절실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 조절실은, 전면이 개구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닫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좌우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랙 앤드 피니언 기어 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이다.
Figure R1020080007366
감압실, 기체 조절실, 뚜껑 부재, 가이드 부재, 동기 수단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냉장고는, 단열 상자체로 이루어진 냉장고 본체 내부의 저장 공간의 최상부에는 냉장실을 배치하고, 그 하방에는 냉장실보다 약간 고온이고 고습도로 유지된 야채실을 칸막이 판을 통하여 설치하고 있고, 야채실의 하방에는 단열 칸막이 벽을 통하여 온도 절환실과 제빙 저빙실을 좌우로 구분하여 나란히 배치하고 있고, 최하부에는 냉동실을 독립하여 배치하고, 각 저장실의 전면 개구부에는 각각 전용의 개폐 도어를 설치하여 폐색하고 있다.
그리고, 온도 절환실 내에는 식품을 감압하여, 수납 저장하는 수납 용기를 설치하고 있고, 온도 절환실 도어의 내면측에 안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좌우 1쌍의 지지 프레임을 부착하고, 이 지지 프레임 사이에 수납 용기를 적재하여 지지함으로써, 온도 절환실의 수납 용기를, 도어와 함께 냉장고 밖으로 인출 가능하게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제2004-218924호 공보(단락 0019, 0022, 0039, 도1, 도3, 도5 등)
그런데, 전술한 특허 문헌 1은, 저장실의 수납 용기가 도어와 함께 고 외로 인출되는 구성, 즉 슬라이드식 구성으로, 저장실의 뚜껑의 상부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뚜껑이 열리는 구성에 비하여, 사용성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을 감안하여, 감압실 등의 기체 조절실인 저장실의 뚜껑 개폐 동작의 사용성이 양호한 냉장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에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실은, 전면이 개구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닫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좌우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냉장실 내의 저장실의 뚜껑 부재를 안정되게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에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실은, 전면이 개구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닫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좌우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냉동실 내의 저장실의 뚜껑 부재를 안정되게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좌우에 각각 힌지를 갖는 양문형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양문형 도어의 한쪽 도어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좁은 폭의 상자 형상으로 구성된 저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실은, 전면이 개구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닫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좌우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양문형 도어의 한쪽 도어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좁은 폭의 상자 형상의 저장실을 구비함으로써, 양문형 도어(6)의 저장실측의 도어를 열었을 때에, 뚜껑 부재를 양문형 도어에 부딪치지 않도록 안정되게 인출할 필요가 있는데, 동기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안정된 인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있어서, 도어끼리의 맞댐부에는, 도어 사이의 틈을 없애도록 설치된 회전 칸막이를 상기 양문형 도어의 한쪽에 설치하고, 다른 쪽 도어의 안쪽에 상기 저장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빈번하게 이용하는 주로 잘 쓰는 팔측(예를 들면 오른손측)에는 회전 칸막이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 칸막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양문형 도어의 안쪽에 저장실을 설치함으로써, 저장실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회전 칸막이의 회전 부하 없이 냉장실 도어(6b)를 열어 저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랙(rack)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맞물리는 톱니바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랙과 그에 맞물리는 톱니바퀴로 함으로써 동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저장실의 하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저장실의 하방이기 때문에, 방해로 되지 않도록 가이드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및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기체 조절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저장실 내를 예를 들면 감압실로 하거나 하는 등, 기체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기체 조절실을 감압하는 감압 수단을 갖고, 상기 기체 조절실은, 상기 감압 수단에 의해 대기압보다 감압하는 것이 가능한 감압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식품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의 이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가 원주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뚜껑 부재와 저장실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단면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저장실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부에 냉장실을 갖고, 그 냉장실보다 하방에 냉동실이나 야채실을 구비한 냉장고이며, 상기 냉동실에, 서랍식 기체 조절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냉동실에 서랍식 기체 조절실을 구비함으로써 취급성이 좋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은, 기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기체 조절실이고, 상기 기체 조절실은, 전면이 개구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닫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좌우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냉동실의 도어를 겸하는 뚜껑 부재 그 자체를 개폐하는 동작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체 조절실의 뚜껑 개폐 동작의 사용성이 양호한 냉장고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의 냉장고(1)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이고, 도2는, 도1의 A-A선 단면 개념도이다.
《냉장고(1)의 전체 구성》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냉장고(1)는, 최상부에 6℃ 전후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인 냉장실(2), 최하부에 6℃ 전후의 냉장 온도대의 저장실인 야채실(5)이 각각 배치되고, 냉장실(2)과 야채실(5)의 사이에는, 이들 양실과 단열적으로 나누어진 0℃ 이하의 냉동 온도대(예를 들면, 약 -20℃ 내지 -18℃의 온도대)의 냉동실인 제빙실(3a), 급냉동실(3b), 및 냉동실(4)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칸막이벽(k1, k2, k3)에 의해 구획되어 배치되어 있다.
냉장고(1)는, 전면에 저장실(2 내지 5)의 전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단열 구성의 도어(6 내지 10)가 설치되고, 도어(6 내지 10)를 제외한 외주 케이스부는, 강판제의 외측 상자(11)와 수지제의 내측 상자의 사이에 외기와의 단열을 도모하는 우레탄 발포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도시 생략)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냉장실(2)의 전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냉장실 도어(6(6a, 6b))는, 좌우 양쪽으로 앞으로 당겨 열게 된 방식의 양문형 도어로 구성되어 있고, 한편, 제빙실(3a)의 전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제빙실 도어(7), 급냉동실(3b)의 전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급냉동실 도어(8), 냉동실(4)의 전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냉동실 도어(9), 및 야채실(5)의 전면 개구부를 폐색하는 야채실 도어(10)는, 저장실 내의 용기가 모두 인출되는 서랍식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냉장고(1)에는, 상기 냉동 및 냉장을 행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이, 압축기, 응축기, 모세관 튜브 및 냉매의 기화열을 빼앗아 냉각원으로 되는 증발기, 그리고, 다시 압축기의 순으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냉각원으로 되는 증발기는, 냉동실(3, 4)의 후방에 설치되고, 송풍 팬에 의해, 증발기의 냉기가, 제빙실(3a), 급냉동실(3b), 냉동실(4)에 보내짐과 함께, 냉장 온도 이하로 되면 폐색하는 개폐 가능한 댐퍼 장치를 통하여, 냉장실(2) 및 야채실(5)의 각 저장실로 보내지고 있다. 또한, 냉기는, 각 저장실을 냉각한 후에 순환되는 냉기의 순환 구조를 가지고 있고, 각 저장실(2 내지 5)이, 온도 센서를 이용한 제어 장치에 의한 온도 제어에 의해, 소정의 온도로 유지되어 있다.
도1의 B-B선 단면도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6a)는, 지지축(S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음료 등을 넣는 포켓 모양의 반투명의 수지 성형의 도어 수납부(6a1)가 내부측에 돌출 설치됨과 함께, 그 이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편향력 및 가이드에 의해 요동가능하게 구성된 회전 칸막이(6a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칸막이(6a2)는, 냉장실 도어(6a, 6b)의 폐색시(도1 참조)에는 좌측의 냉장실 도어(6a)를 따른 위치에서 냉장실 도어(6a, 6b) 사이로부터의 냉기의 누출을 방지하고, 한편, 냉장실 도어(6a)의 개방시에는 냉장실 도어(6a)의 두께 방향(이점쇄선으로 나타냄)으로 요동하여 이용자의 방해로 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의 냉장실 도어(6b)는, 지지축(S2)을 중심으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음료 등을 넣는 포켓 모양의 반투명의 수지 성형의 도어 수납부(6b1)가 내부측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기체 조절실인 감압실(13)의 구성》
도3에 도시한 기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기체 조절실[이하, 감압실(13)이라고 함]은, 진공 펌프(12)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흡인되어, 0.7기압(70㎪) 등으로 감압되는 기체 조절실이고, 식품의 산화 방지, 야채류의 선도 유지 등에 특별한 공기 분위기를 양성하고 있다.
또한, 0.7기압보다 기압이 높은, 예를 들면, 0.8기압(80㎪)으로 하면, 외부의 대기압과의 차압이 낮아지기 때문에, 감압실(13)의 강도를 낮게 할 수 있고, 또한, 진공 펌프(12)의 능력을 낮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 도어(6b)를 닫은 상태에서, 냉장실 도어(6b)의 도어 수납부(6b1)와 감압실(13)의 감압실 뚜껑(16) 사이에는, 소정의 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문형 도어의 한쪽 도어인 냉장실 도어(6b)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좁은 폭의 상자 형상으로 감압실(13)은 구성되어 있다.
도4는, 감압실(13)의 구성을 비스듬하게 전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감압실(13)은, 상면 및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고 편평한 안쪽으로 긴 대략 직방체 형상의 외곽 부재(14)와, 상면을 폐색하는 투명한 강화 유리로 형성된 유리판(G)과, 전면의 개구부 하방의 수평한 지지축(24s)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전방 및 후방으로 내부의 저장물을 출납하기 위해서 개폐하는 뚜껑 부재인 감압실 뚜껑(16)에 의해 외주벽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감압실 뚜껑(16)은, 여는 경우, 후기하는 링크 기구에 의해, 전방으로 인출되면서 정립하여 소정 거리, 예를 들면 10㎜, 이동 후에 상부가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연다.
한편, 감압실 뚜껑(16)이 닫히는 경우에는 후방으로 되밀어내지면서 상부가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 후, 정립하여 소정 거리 이동하여 닫히는 구성이다.
외곽 부재(14)는,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을 포함하는 수지), AS(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을 포함하는 수지) 등을 이용하여 수지 성형되고, 양측면벽(14a, 14b), 저면벽(14c), 후면벽(14d), 및 전면벽(14e)을 가진 상면 및 전면을 개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곽 부재(14)의 양측면벽(14a, 14b), 저면벽(14c), 후면벽(14d)의 각각의 외면에는, 단면 계수를 증가하여 강도 향상을 도모하는 보강 리브가, 직선 형상, 격자 형상 등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부재(14)의 좌측면벽(14a)의 외면 후방에는, 진공 펌프(12)와의 접속부인 삽입 통과 구멍의 펌프 접속부(14i) 및 압력 스위치와 연통하는 압력 스위치 접속부(14j)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벽(14a, 14b), 및 후면벽(14d)의 내면에는, 보강 판재(15)를 맞닿게 하여 부착하기 위한 부착 리브(14h)가, 복수, 보강 판재(15)가 맞닿는 부착 하면(14h1)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도5는, 도4에 도시한 감압실(12)의 C 방향에서 본 개념도이고, 또한, 도6은, 도5의 D-D선 단면도이고, 도7은, 도4의 E-E선 단면도이다.
도6,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부재(14)에는 진공 펌프(12)로 감압하였을 때에 외부의 대기압과 내부의 저압의 차압에 의해 큰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외곽 부재(14) 내에는, 외곽 부재(14)를 보강하기 위한 강도가 높은 보강 판재(15)가, 외곽 부재(14)의 형상을 따른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된 대략 직방체의 형상을 가지며, 수용되어 있다.
보강 판재(15)는, 예를 들면, 1.6㎜ 두께의 강판 등의 금속판을 이용하여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양측면벽(15a, 15b), 저면벽(15c), 및 후면벽(15d)이곡면을 가지고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벽(15a, 15b), 저면벽(15c)에는, 내방으로 돌출된 보강부(15h)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강 판재(15)가, 곡면을 가지고 상자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복수의 내방으로 돌출한 보강부(15h)를 가짐으로써 강성이 높아지고, 외부의 대기압과 내부의 저압의 차압에 의한 큰 하중에 저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4, 도6,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면벽(15a, 15b) 및 후면벽(15d)의 상측 가장자리부에는, 보강 판재(15)를 외곽 부재(14) 내에 지지하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의 부착부(15t)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 판재(15)의 저면벽(15c)의 양측부에는, 식품 트레이(17)를 가이드하기 위한 오목 형상의 1쌍의 안내홈(15m, 15m)이, 전후 방향(도4의 지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어, 식품 트레이(17)의 출납을 원활하게 하고 있다.
상기 보강 판재(15) 내에 배치되는 식품 트레이(17)는, AS 등의 투명한 수지 성형품으로, 도6,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벽(17a, 17b), 저면벽(17c), 후면벽(17d) 및 전면벽(17e)을 가지고 있다.
식품 트레이(17)의 전면벽(17e)에는, 후기하는 보강 지지부(H)를 배치하기 위한 오목부(17f)가 형성되어 있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7f)를 형성하는 전면벽(17e)의 양측면 하단부에는, 식품 트레이(17)를 감압실 뚜껑(16)에 부착하고,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동작에 연동시키기 위한 1쌍의 부착 돌조(17t, 17t)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 돌조(17t, 17t)는, 하부가 개구된 반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식품 트레이(17)를 감압실(12) 내의 보강 판재(15) 상에 적재하여 감압실 뚜껑(16)의 안쪽의 돌기부(16g, 16g)(도18 참조)에 걸어 맞춤으로써, 식품 트레이(17)를, 감압실 뚜껑(16)에 부착하여,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동작에 연동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이용자는,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인출되는 식품 트레이(17) 내를 보고 인식하여, 식품 트레이(17) 내의 식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도6,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리판(G)은, 충분한 강성 및 강도를 갖는 투명 재료로서의 강화 유리이고, 투명한 직사각형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리판(G)의 주위에 설치되는 고리형 패킹(Gp)은, 유리판(G)과 외곽 부재(14)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고,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탄성적 성질을 갖는 고무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내주면에 유리판(G)을 삽입하는 오목홈을 가지고, 고리형으로 만들어진다.
또한, 외곽 부재(14) 내에 금속제의 상자 형상 케이스를 이용하여, 유리판(G)을 사용하지 않는 구성도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금속제의 상자 형상 케이스를 이용함으로써, 감압실(13)의 고강도화가 도모된다.
도8은, 도4에 도시한 감압실(13)의 측면에 설치되는 강판제의 보호판재(19)를 분해하여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부재(14)의 양측면벽(14a, 14b)의 외면에는, 각각, 가이드 부재(24, 25)(도17, 도29 참조)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전후 방향(도4, 도8의 지면의 좌우 방향)의 이동을 수평하게 안내하기 위해서, 감압실(1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안내홈(20b, 20b)을 갖는 안내 부재(도시 생략)가 나사식 부착됨과 함께, 가이드 롤러(21a, 21b)(도7 참조)가 축지지되어 있다.
도9 내지 도16은, 감압실(13)의 감압실 뚜껑(16)을 폐색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감압실(13)의 우측면도이고, 도17은, 도9의 F-F선 단면도이다.
또한, 도9는, 개폐 핸들(26)이 상방으로 끌어 올려져서 감압실 뚜껑(16)이 수평이면서 전방(도9의 지면 좌측)으로 약간, 인출되어 이동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16은, 개폐 핸들(26)이 상방으로 끌어 올려져서 감압실 뚜껑(16)이 수평이면서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동한 후, 감압실 뚜껑(16) 상부가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이동하여 감압실 뚜껑(16)이 완전히 열려 전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10 내지 도15는, 도9의 상태로부터 도16의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감압실(13)의 감압실 뚜껑(16)을 폐색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여는 경우에는, 도9 내지 도16에 도시한 과정을 거치는데, 한편, 감압실 뚜껑(16)을 전개 상태로부터 폐색 상태로 닫는 경우에는, 반대로, 도16 내지 도9에 도시한 과정을 천이한다.
또한, 도4, 도8,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13)의 외곽 부재(14)의 저면벽(14c)의 하방에는, 좌우에 피니언 기어(22a, 22b)가 고정된 회전 동기축(23)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9 내지 도16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16)의 폐색으로부터 개방으로의 동작 또는 개방으로부터 폐색으로의 동작에서의 좌우의 동기가 취해져 있다. 이 때문에, 감압실 뚜껑(16)이 기울지 않고, 똑바로 인출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체 조절실의 뚜껑 부재를 안정되게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좌우에 각각 힌지를 갖는 양문형 도어[6(6a, 6b)]를 갖는 냉장고로, 양문형 도어(6)의 한쪽 도어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좁은 폭의 상자 형상으로 구성된 감압실(13)을 구비하고, 이 감압실(13)은, 전면이 개구한 개구부와, 이 개구부를 닫는 감압실 뚜껑(16)과, 이 감압실 뚜껑(16)의 좌우에 설치되고 감압실 뚜껑(16)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24, 25)와, 이 가이드 부재(24, 25)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후술하는 랙 기어(24g)와 피니언 기어(22a, 22b)]을 구비하도록 구성하였다. 양문형 도어(6)의 한쪽 도어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좁은 폭의 상자 형상의 감압실(13)을 구비함으로써, 양문형 도 어(6)의 감압실(13)측의 도어(6b)를 열었을 때에, 감압실 뚜껑(16)을 열었을 때에 부딪치지 않도록 안정되게 인출할 필요가 있는데, 동기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안정된 인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양문형 도어(6a, 6b)끼리의 맞댐부에는, 도어 간의 틈을 없애도록 설치된 회전 칸막이(6a2)를 양문형 도어(6)의 한쪽(6a)에 설치하고, 다른 쪽 도어(6b)의 안쪽에 감압실(1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빈번하게 이용하는 주로 잘 쓰는 팔측(예를 들면 오른손측)의 도어(6b)에는 회전 칸막이(6a2)를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회전 칸막이(6a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측의 양문형 도어(6b)의 안쪽에 감압실(13)을 설치함으로써, 감압실(13)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회전 칸막이(6a2)의 회전 부하 없이 냉장실 도어(6b)를 열어 감압실(13)을 이용할 수 있다.
도4,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도어(16)의 전후 방향(도9 내지 도16의 지면의 좌우 방향)의 이동을 행하기 위한 부재로서 가이드 부재(24, 25)가, 감압실(13)의 좌우에 1쌍,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24, 25)는,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24)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가이드 부재(24)는,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쥬라콘[폴리플라스틱(주)의 등록 상표] 등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하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랙 기어(24g)가 형성됨과 함께, 가이드 롤러(21b)가 안내되는 제1 안내홈(24a)이, 거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랙 기어(24g)와 피니언 기어(22a, 22b)로 가이드 부재(24, 25)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가 이드 부재는 기체 조절실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24)가 방해로 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24)의 상부 후방에는, 감압실(13)의 우측부에 전방으로부터 안쪽에 걸쳐 수평하게 연장하는 제2 안내홈(20b)에 의해 전후 방향(도4, 도8의 지면의 좌우 방향)으로 안내되는 가이드 롤러(24r)가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감압실(13)의 우측방의 가이드 부재(24)의 전방 선단부에는, 감압실 뚜껑(16)이 지지축(24s)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감압실(13)의 좌측방의 가이드 부재(25)의 전방 선단부에는, 감압실 뚜껑(16)이 마찬가지의 지지축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가이드 부재(24)의 가이드 롤러(24r)가, 감압실(13)의 우측방의 제2 안내홈(20b)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안내됨과 함께, 도4, 도8,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4)의 제1 안내홈(24a)이, 감압실(13)의 우전측방의 가이드 롤러(21b)에 의해 안내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24)와 마찬가지로, 좌측의 가이드 부재(25)의 가이드 롤러가, 감압실(13)의 좌측방의 제2 안내홈(20b)[우측의 제2 안내홈(20b)에 대응]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안내됨과 함께,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가이드 부재(25)의 제1 안내홈(25a)이, 감압실(13)의 좌전측방의 가이드 롤러(21a)에 의해 안내되어 있다.
또한, 도4, 도8,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4)의 랙 기어(24g)와 가이드 부재(25)의 랙 기어(25g)가, 각각, 감압실(13)의 하방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동기축(23)에 고정되어 동기된 피니언 기어(22a, 22b)에 맞물려서, 가이드 부재(24, 25)가, 좌우에서 동기가 취해지고, 전후 방향(도9 내지 도16의 지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은, 감압실(13)에 대한 도9 내지 도16에 도시한 개폐 동작에서의 전후 방향(도9 내지 도16의 지면의 좌우 방향)의 이동에서, 양측방에서 각각 2점 지지되기 때문에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감압실 뚜껑(16)은, 동기된 좌우의 피니언 기어(22a, 22b)에 의한 구동에 의해 좌우의 동기가 취해지기 때문에, 수평면 내에서 좌우로 기울지 않고, 원활한 왕복 직선 운동이 가능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을 안정되게 개폐시킬 수 있다.
《감압실 뚜껑(16)의 구성》
가이드 부재(24, 25)의 지지축(24s, 25s)에 의해 하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감압실 뚜껑(16)은, 도4, 도5,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양측방에 설치된 지지축(16s) 둘레에 개폐 핸들(26)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도5, 도6에 도시한 차압 배출 밸브(V)가 구성되어 있다.
이 개폐 핸들(26)을, 이용자가 파지하여,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조작 및 감압실 뚜껑(16)의 폐색시의 로크가 행해짐과 함께, 차압 배출 밸브(V)의 개폐가 행해진다.
또한, 차압 배출 밸브(V)란, 감압실(13)이, 진공 펌프(12)에 의해 감압된 경우, 감압실(13)의 외부의 대기압과, 감압실(13)의 내부의 감압된 압력의 차압에 의 해 감압실 뚜껑(16)에 가해지는 하중이 커지기 때문에, 아무런 수단을 설비하지 않고, 사람의 손으로, 직접, 감압실 뚜껑(16)을 개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차압 배출 밸브(V)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의 내외 공간을 삽입 통과시키고, 내외 압력차를 없애서 차압에 의한 하중을 해소하여, 감압실 뚜껑(16)을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감압실 뚜껑(16)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닫았을 때에, 외곽 부재(14)에 맞닿는 내주연부에 탄성재의 패킹(16p)이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그 패킹(16p)이 외곽 부재(14)와 감압실 뚜껑(16) 사이의 밀봉을 행하고 있다.
패킹(16p)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횡단면이, 외주 중앙이 내부측으로 패어 들어간 V자 형상의 오목부(16p1)를 가지며 고리형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감압실 뚜껑(16)과 감압실(13)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패킹(16p), 외곽 부재(14)에 대하여 감압실 뚜껑(16)이 다소, 기울어져서 닫힌 경우에도, 오목부(16p1) 내에 유연하게 패킹(16p)이 탄성 변형하고, 그 치우침을 흡수하여 외곽 부재(14)와 감압실 뚜껑(16) 사이를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또한, 패킹(16p)은, 감압실 뚜껑(16)에 설치하지 않고, 외곽 부재(14)측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은, 외주부(16g)가 불투명한 ABS 등의 수지로 성형되고, 가운데 부분(16c)이 감압실(13) 내에 저장된 식품을 보고 인식할 수 있도록 투명한 AS 등의 수지로 성형되어 있다.
감압실 뚜껑(16)의 가운데 부분(16c)의 양측방부(16c1, 16c1)는, 도4에 도시 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감압실 뚜껑(16)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에, 개폐 핸들(26)과 감압실 뚜껑(16)의 스페이스는, 감압실 뚜껑(16)의 양측방부(16c1, 16c1)와 개폐 핸들(26)의 봉체(27)의 회전 궤적 간의 거리를, 소정 값 이하, 예를 들면, 7㎜ 이하로 되도록, 개폐 핸들(26)의 봉체(27)가 이동하는 원호 형상의 궤적을 거의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압실 뚜껑(16)의 중앙부(16c2)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면측이, 이용자의 손이 들어가고, 또한, 개폐 핸들(26)의 손잡이 조작부(36)가 차지하는 공간을 갖도록, 내부측으로 패어 들어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6,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의 중앙부(16c2)의 내부측에는 내방으로 돌출하는 형상의 전체 면 개구의 상하 지지부인 보강 지지부(H)가 형성되어 있다.
도18은, 도16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16)의 전개 상태시의 감압실 뚜껑(16)을 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감압실 뚜껑(16)의 보강 지지부(H)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측에 세워 설치하는 외주 상벽면(H1), 외주 하벽면(H2), 양측벽면(H3)이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고, 외주 상벽면(H1), 외주 하벽면(H2) 사이에는, 복수의 보강 리브(hr)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감압실 뚜껑(16)의 보강 지지부(H)의 양측벽면(H3) 외면에는,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동작에 식품 트레이(17)를 연동시키기 위한 원주 형상의 돌기부(16g, 16g)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6g, 16g)에 식품 트레이(17)의 1쌍의 부착 갈고리(17t, 17t)(도6 참조)를 걸어 맞춰서,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동작에 식품 트레이(17)를 연동시켜 외부로 인출하고, 이용자가 식품 트레이(17) 내의 식품을 보고 인식하기 쉽고, 꺼내기 쉽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을 닫은 경우, 감압실 뚜껑(16)의 내부측의 보강 지지부(H)가, 유리(G)의 하면으로서 감압실(13) 내의 외곽 부재(14)의 전면벽(14e) 및 감압실(13) 내의 보강 판재(15)의 저면벽(15c)에 맞닿아, 감압실(12) 외부의 대기압과 감압실(12) 내의 저압의 차압에 의해, 외곽 부재(14)의 전면벽(14e) 및 유리판(G)에 상방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과, 외곽 부재(14)의 저면벽(14c)에 하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차압에 의한 하중을 지지하고, 이들 하중에 의해 감압실(13)의 변형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5,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의 중앙부(16c2)에는, 차압 배출 밸브(V)의 감압실(13) 내에 삽입 통과하는 차압 배출 구멍(16a)이 형성됨과 함께, 차압 배출 구멍(16a)의 주위에 탄성적 성질 및 유연성을 갖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밸브 시트(16z)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감압실 뚜껑(16)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압 배출 밸브(V)를 개폐하는 밸브체(35t)를 갖는 밸브 개폐 부재(35)가, 지지축(35s)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밸브 개폐 부재(35)가 회전하는 지지축(35s)과, 개폐 핸들(26)이 회전하는 지지축(16s)(도8, 도10 참조)은 동심으로 구성되어 있고, 개폐 핸들(26)의 개폐 조작을, 밸브 개폐 부재(35)를 통하여 밸브체(35t)의 개폐 동작에 연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29는, 도5의 감압실 뚜껑(16)을 H-H선 단면으로 절단한 감압실 뚜껑(16)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0은, 도5의 감압실 뚜껑(16)을 I-I선 단면으로 절단한 감압실 뚜껑(16)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31은, 도5의 감압실 뚜껑(16)을 D-D선 단면으로 절단한 감압실 뚜껑(16)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9,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개폐 부재(35)에는, 개폐 핸들(26)의 개폐시의 회전 조작을 밸브체(35t)의 개폐 밸브 동작에 연동시키기 위한 개폐 가이드(35g, 35h)가, 밸브 개폐 부재(35)의 지지축(35s)(도6 참조) 중심과 개폐 핸들(26)의 봉체(27)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평행한 변면(35g1, 35g2, 35h1, 35h2)을 각각 가지며 편평한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의 좌우 양측부에는, 개폐 핸들(26)을 후기하는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 30)로 안내할 수 있도록 개폐 핸들(26)을 소정 위치에 지지하는 핸들 지지 부재(37, 37)가, 지지축(37s, 37s)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32)(도25, 도26 참조) 등에 의해 상방에 편향되어 있다.
핸들 지지 부재(37, 37)에는, 지지 돌기(37t, 37t)가 각각 형성되고, 지지 돌기(37t, 37t)는,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갈고리부(28t)(도10, 도11, 도13 참조), 갈고리부(29t)(도18 참조)에 각각 걸려서 개폐 핸들(26)을 소정 위치에 지지한다.
《개폐 핸들(26)의 구성》
도4, 도9,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은, 알루미늄 봉으로 구성되는 봉체(27)와, 그 봉체(27)의 좌우 양단에 일방 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금속제의 지지부(28, 29)와, 중앙부에 봉체(27)가 삽입 통과하여 핸들 조작에 이용되는 손잡이 조작부(36)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핸들(26)의 좌우의 지지부(28, 29)는, 각각 중앙부가, 감압실 뚜껑(16)의 좌우의 지지축(16s, 16s)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타방 단부에는, 가이드 롤러(28r, 29r)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개폐 핸들(26)을 상단 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한 핸들 지지 부재(37)에 끼워 맞추기 위한 돌기 형상의 갈고리부(28t)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핸들(26)의 로크 기구》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은, 감압실 뚜껑(16)의 좌우측부의 지지축(16s, 16s)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봉체(27)를 좌우의 지지축(16s, 16s) 둘레의 회전 궤적의 최하부에 위치시킨 경우가, 개폐 핸들(26)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을 폐색하여 로크한 상태이고, 한편,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체(27)를 좌우의 지지축(16s, 16s) 둘레의 회전 궤적의 상방에 위치시킨 경우가,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를 개방한 상태로 되어 있다.
개폐 핸들(26)의 좌우의 지지부(28, 29)의 가이드 롤러(28r, 29r)는, 각각에 대응하여 감압실(13) 양측부의 측면벽(14a, 14b)에 설치되는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 30)에 끼워 넣어지고,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가 행 해진다.
도19, 도20, 도21은, 도9에 도시한 감압실(13)의 감압실 뚜껑(16) 및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및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 둘레의 개폐 핸들(26)을 로크하는 과정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19는,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1은,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0은, 도21의 로크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좌측의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는, 우측의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우측의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에 대하여 설명하고, 좌측의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19, 도20,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는, 예를 들면, 수지 성형된 부재이고, 가이드 롤러(28r)를 측면에서 보아 곡선 형상의 내측벽 가이드(30a)에 접촉시켜 안내하는 것이다.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는, 측면에서 보아 하기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개방 상태에서의 지지축(16s)과 가이드 롤러(28r)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의 내측벽 가이드(30a)와의 교점(30a1)과 지지축(16s) 간 치수를 c라 하고, 또한,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전의 지지축(16s)과 가이드 롤러(28r)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의 내측벽 가이드(30a)와의 교 점(30a2)과 지지축(16s) 간 치수를 b라 하고, 또한,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상태에서의 지지축(16s)과 가이드 롤러(28r)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의 내측벽 가이드(30a)와의 교점(30a3)과 지지축(16s) 간 치수를 a라 하면,
이 a, b, c 사이에는,
b[로크 전의 상태(도20)]>a[로크 상태(도21)]>c[로크 개방 상태(도19)]
의 관계가 성립하는 곡선으로 연속하고, 측면에서 보아 도19, 도20, 도21에 도시한 내측벽 가이드(30a)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 형상에 의해, 도20에 도시한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전의 상태에서는, 지지축(16s)과 가이드 롤러(28r)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의 내측벽 가이드(30a)와의 교점(30a2)과 지지축(16s) 간 치수가 b로 가장 크기 때문에,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28)의 가이드 롤러(28r)가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에 강하게 맞닿거나 또는 비집어 틀어, 지지부(28)로 지지되는 개폐 핸들(26)을 개폐 조작하는 이용자에게 묵직한 느낌을 부여하고, 클릭감을 부여한 후 로크하도록, 내측벽 가이드(30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용자가, 개폐 핸들(26)의 손잡이 조작부(36)를 파지하여, 도20의 로크 전의 상태로부터, 개폐 핸들(26)의 손잡이 조작부(36)를 하방으로 밀어내리고, 도21에 도시한 로크 상태에 도달한 경우,
b[로크 전의 상태(도20)]>a[로크 상태(도21)]
의 관계로부터, 중립 상태의 지지부(28)의 가이드 롤러(28r)가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를 비집어 트는, 즉 강하게 맞닿는 정도가 완화되고, 이용자의 개폐 핸들(26)의 로크로의 이행 조작에서, 개폐 핸들(26)이 로크 전의 상태로부터 로크 상태로 끌려 들어가는 감촉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용자가, 개폐 핸들(26)의 손잡이 조작부(36)를 파지하여, 도20의 로크 전의 상태로부터, 개폐 핸들(26)의 봉체(27)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고, 도19에 도시한 로크 개방 상태에 도달한 경우, 지지축(16s)과 가이드 롤러(28r)의 축심을 연결하는 직선의 내측벽 가이드(30a)와의 교점과 지지축(16s) 간 치수가 a로서, 로크 전의 상태(도20 참조), 로크 상태(도21 참조)에 비하여 가장 작기 때문에, 로크 전의 묵직한 감촉의 부분을 일단 통과하지만, 도20의 상태로부터 도19의 열림 상태에 도달하는 동안에는 지지부(28)의 가이드 롤러(28r)가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에 접촉하지 않고, 느슨한 감촉으로 개폐 핸들(26)의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내측벽 가이드(30a)가 형성되어 있다.
《개폐 핸들(26)의 로크 기구의 변형예》
다음에, 개폐 핸들(26)의 로크 기구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2, 도23, 도24는, 변형예의 개폐 핸들(26)의 뚜껑 로크 기구의 로크 개방부터 중립 상태를 거쳐 로크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 도22는, 로크 개방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3은, 변형예의 로크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4는, 로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변형예의 개폐 핸들(26)의 뚜껑 로크 기구는, 지지부(28)의 가이드 롤 러(28r)를, 지지부의 절결 가이드로 변경하고,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를, 가이드 롤러로 변경한 구성이고, 그 이외의 구성에 변경은 없으므로,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의 부호에 「'」를 붙여서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13')의 외곽 부재(14')의 측면벽(14b')에는,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 대신에 가이드 롤러(r1')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는, 예를 들면, 강판을 프레스 가공하여 제조되고, 지지축(16s')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일방 단부에 알루미늄봉의 봉체(27')를 가짐과 함께, 타방 단부측은, 가이드 롤러(r1')를 슬라이딩시켜 안내하는 롤러 가이드(28a')가, 측면에서 보아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2에 도시한 로크 개방 상태에서는,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의 롤러 가이드(28a')는, 외곽 부재(14')의 가이드 롤러(r1')를 완전히 해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23에 도시한 로크 전의 상태에서의, 외곽 부재(14')의 가이드 롤러(r1')와 롤러 가이드(28a')의 접촉점과 지지축(16s')의 거리를 b'라 하고, 도24에 도시한 로크 상태에서의, 외곽 부재(14')의 가이드 롤러(r1')와 롤러 가이드(28a')의 접촉점과 지지축(16s')의 거리를 a'라 하면,
b'(로크 전의 상태(도23))>a'(로크 상태(도24))
의 관계로 되는 곡선으로 연속하도록, 측면에서 보아 도22, 도23, 도24에 도시한 롤러 가이드(28a')의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에서는, 도22에 도시한 로크 개방 상태에서,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의 롤러 가이드(28a')는, 외곽 부재(14')의 가이드 롤러(r1')를 완전히 해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고,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로크 개방 상태에서,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의 롤러 가이드(28a')가, 외곽 부재(14')의 가이드 롤러(r1')와 접촉하도록 구성하고,
b'[로크 전의 상태(도23)]>a'[로크 상태(도24)]>c'(로크 개방 상태)
의 관계로 되는 곡선으로 연속하도록, 측면에서 보아 도22, 도23, 도24에 도시한 롤러 가이드(28a')의 형상을 형성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개폐 핸들(26)의 편향 스프링》
도25는, 도5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16)의 F-F선 단면 개념도이고, 도26은, 도5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16)의 G-G선 단면 개념도이고, 감압실 뚜껑(16)에 대하여 개폐 핸들(26)을 하방으로 회전하여 감압실 뚜껑(16)을 폐색 상태 가깝게 한 경우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편향력의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27은, 감압실 뚜껑(16)에 대하여 개폐 핸들(26)을 회전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편향력이 중립 위치로 되었을 때의 도5의 G-G선 단면 개념도이다.
도5, 도25,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과 그 감압실 뚜 껑(16)에 지지되는 개폐 핸들(26)의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이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고, 그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은, 도27에 도시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중립 위치로부터 개폐 핸들(26)을 하방으로 회전하여 도21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상태로 하는 조작을 편향하는, 즉 개폐 핸들(26)을 하방으로 편향하여, 로크하는 조작을 어시스트하고 있다.
또한, 도27에 도시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중립 위치로부터, 개폐 핸들(26)을 상방으로 회전하여 도19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개방 상태로 하는 조작의 범위에서는, 개폐 핸들(26)을 상방으로 편향하여, 여는 조작을 어시스트하고 있다.
도28은, 감압실 뚜껑(16)에 대하여 개폐 핸들(26)을 상방으로 회전하였을 때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편향력의 작용을 도시한 도5의 감압실 뚜껑(16)의 G-G선 단면 개념도이다.
도26, 도27,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은, 감압실 뚜껑(16)의 지지축(16s)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27에 도시한 스프링력 중립 위치에서는, 개폐 핸들(26)의 회전 지점의 지지축(16s)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편향력이 동일 직선 형상으로 되어, 개폐 핸들(26)의 회전 지점의 지지축(16s)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편향력 간의 팔의 길이가 0으로 되고, 개폐 핸들(26)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편향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27에 도시한 스프링력 중립 위치보다, 개폐 핸들(26)이 하방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편향력까지의 개폐 핸들(26)의 회전 지점의 지지축(16s)으로부터의 팔의 길이가 u1로 되고, 개폐 핸들(26)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하방으로의 편향력이 작용하고, 편향력에 의해 하향의 모멘트가 가해진다.
한편,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27에 도시한 스프링력 중립 위치보다, 개폐 핸들(26)가 상방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편향력까지의 개폐 핸들(26)의 회전 지점의 지지축(16s)으로부터의 팔의 길이가 u2로 되고, 개폐 핸들(26)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상방으로의 편향력이 작용하여, 편향력에 의해 상향의 모멘트가 가해진다.
여기서, 코일 스프링(32)이, 개폐 핸들(26)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편향력은, 개폐 핸들(26)의 자중을 상회하여, 이용자가 개폐 핸들(26)로부터 손을 뗀 경우에도, 개폐 핸들(26)이 코일 스프링(32)의 편향력에 의해 상방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 핸들(26)에서의 손잡이 조작부(36)(도29 참조)는, 이용자가 개폐 핸들(26)을 조작하는 경우의 손잡이부의 기능과, 차압 배출 밸브(V)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에서의 손잡이 조작부(36)에는, 감압실 뚜껑(1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밸브 개폐 부재(35)의 개폐 가이드(35g)의 양변면(35g1, 35g2)을, 그 연장 방향으로 안내하는 밸브 안내 오목부(30a)가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에서의 손잡이 조작 부(36)에는, 밸브 개폐 부재(35)의 개폐 가이드(35h)의 양변면(35h1, 35h2)을, 그 연장 방향으로 안내하는 밸브 안내 오목부(30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폐 핸들(26)의 회전에 의한 개폐 조작을, 밸브 개폐 부재(35)를 통하여 밸브체(35t)의 개폐 밸브 동작에 연동시킴으로써, 개폐 핸들(26)에, 직접, 차압 배출 밸브(V)의 밸브체를 설치한 경우에 발생하는 개폐 핸들(26)이나 감압실 뚜껑(16)의 수지부의 휨 등에 의한 치수 오차에 기인하는 밸브체의 개폐 동작 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도32는, 도5의 D-D선 단면도이고 차압 배출 밸브(V)의 밸브 닫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33은, 차압 배출 밸브(V)의 밸브 열림 상태를 도시한 도5의 D-D선 단면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으로 회전하여 감압실 뚜껑(16)을 폐색하여 로크한 경우에는, 개폐 핸들(26)의 치수 오차에 관계없이, 개폐 핸들(26)의 회전 조작을, 개폐 핸들(26)와 일체로 동작하는 밸브 개폐 부재(35)에 의해 연동시키고, 밸브 개폐 부재(35)의 밸브체(35t)에 의해 차압 배출 밸브(V)를 닫을 수 있다.
한편,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도32의 로크 상태로부터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한 경우에는, 개폐 핸들(26)의 치수 오차에 관계없이, 개폐 핸들(26)의 회전 조작을, 개폐 핸들(26)과 일체로 회전하는 밸브 개폐 부재(35)에 의해 연동시키고, 밸브 개폐 부재(35)의 밸브체(35t)에 의해 차압 배출 밸브(V)를 연다.
밸브를 연 경우, 도3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력차에 의해 외부의 대기가 감압된 감압실(13) 내에 침입하여 차압이 해소되고, 감압실 뚜껑(16)을 열 때의 감압실 뚜껑(16)에 가해지는 차압에 의한 하중이 없어지고, 매끄럽게 감압실 뚜껑(16)을 열 수 있다.
《개폐 핸들(26)의 지지 기구》
도34는,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의 갈고리부(28t)가,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의 지지 돌기(37t)에 걸려서, 개폐 핸들(26)의 하방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적 우측면도이고, 도35는,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의 갈고리부(28t)가,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의 지지 돌기(37t)와의 걸림이 벗겨지고, 개폐 핸들(26)의 하방으로의 회전의 저지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적 우측면도이다.
도34,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부재(14)의 양측부에는, 돌기 형상의 핸들 지지 해제 부재(39, 39)가 고정되어 있다.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이 감압실(13)의 외곽 부재(14)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하고 있는 경우, 외곽 부재(14)의 양측부의 핸들 지지 해제 부재(39, 39)는,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로부터 멀어져 있고, 핸들 지지 부재(37, 37)를 압압하는 일은 없다.
이 경우, 감압실 뚜껑(16)의 상방에 편향되는 핸들 지지 부재(37, 37)의 지지 돌기(37t, 37t)가,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갈고리부(28t, 29t)에 걸리고, 개폐 핸들(26)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하방으로의 회전은 저지된다.
그리고, 도34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이 감압실(13)의 외곽 부재(14)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접근한 경우, 외곽 부재(14)의 양측부의 핸들 지지 해제 부재(39, 39)가,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를 압압하여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의 지지 돌기(37t, 37t)가,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갈고리부(28t, 29t)로부터 벗겨지고, 개폐 핸들(26)의 지지가 해제되고, 개폐 핸들(26)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하방으로의 회전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개폐 핸들(26)을 완전하게 하방까지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감압실 뚜껑(16)을 외곽 부재(14)에 밀접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 지지 부재(37) 및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 갈고리부(28t, 29t)는 좌우 양측이 아니라 한쪽에만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감압실 뚜껑(16)의 뚜껑 개폐 안내 기구》
다음에, 감압실 뚜껑(16)의 뚜껑 개폐 안내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압실(13)은, 도4,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우측부에 감압실 뚜껑(16)을, 도9에 도시한 닫힌 상태로부터 도16에 도시한 열린 상태로 개폐하기 위한 뚜껑 개폐 안내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도4,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13)의 우측부에 부착되는 보호 판재(19)에는, 전방으로부터 안쪽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수평 가이드 구멍(42a)과, 그 제1 수평 가이드 구멍에 연속해서 안쪽 또한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1 경사 가이드 구멍(42b)과, 그 제1 경사 가이드 구멍(42b)에 연속하여 안쪽으로 수평하게 연장하는 제2 수평 가이드 구멍(42c)과, 그 제2 수평 가이드 구멍(42c)에 연속하여 안쪽 또한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2 경사 가이드 구멍(42d)과, 그 제2 경사 가이드 구멍(42d)에 연속하여 안쪽으로 수평으로 연장 제3 수평 가이드 구멍(42e)을 갖는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이 뚫어 형성되어 있다.
제3 수평 가이드 구멍(42e)의 존재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을 닫는 경우에, 닫히기 직전에 감압실 뚜껑(16)을, 회전시키지 않고, 똑바로 이동하여 외곽 부재(14)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안내 기구로서, 제1 연결 링크(43)가 설치되어 있고, 제1 연결 링크(43)는, 그 중앙축(43o)에서, 가이드 부재(2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중앙축(43o)의 안쪽에 삽입 통과하고 있는 가이드 롤러(24r)는, 도8에 도시한 제2 안내홈(20b)에 안내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1 연결 링크(43)는, 그 일방단의 선단 가장자리가 곡률을 가지며 돌출함과 함께 좁은 폭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방향 전환 돌부(43t)가 형성되어 있고, 그 방향 전환 돌부(43t)로부터 중앙 근처에는 두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에 안내되는 가이드 롤러(43r)가 축지지되어 있고, 그 타방단에는 축(43j)의 둘레에 제2 연결 링크(44)의 일방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8,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연결 링크(44)는, 전후 방향으로 긴 치수를 가지고 있고, 타방단이, 개폐 핸들(26)이 감압실 뚜껑(16)에 회전가능하게 지 지되는 지지축(16s)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한 감압실(13)의 우측부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보호 판재(19)의 내면에는, 도8에 도시한 V자 형상의 방향 전환 가이드 부재(45)가 고정되어 있고, 후기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 링크(43)의 방향 전환 돌부(43t)가, 방향 전환 가이드 부재(45)의 가이드면(45a)에 안내되어, 제1 연결 링크(43)가 전후 방향을 전환한다.
도36의 (a)는, 도9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16)을 닫을 때에 감압실 뚜껑(16)이 정립한 상태의 뚜껑 개폐 안내 기구를 도시한 개념적 측면도이고, 도36의 (b)는, 감압실 뚜껑(16)을 열어 최대 경사지게 한 상태의 뚜껑 개폐 안내 기구를 도시한 개념적 측면도이다.
도36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을 닫을 때의 감압실 뚜껑(16)의 정립시, 및, 감압실 뚜껑(16)을 열었을 때의 감압실 뚜껑(16)의 경사시 모두, 제2 연결 링크(44)가 지지되는 지지축(16s) (A)점 및 축(43j) (B)점, 또한, 제1 연결 링크(43)가 지지되는 중앙축(43o) (C)점 및 축(43j) (B)점의 (A), (B), (C)의 3점이 거의 일직선상으로 위치한다. 그 때문에, 뚜껑 개폐력(F)이 가해진 경우, 제1 연결 링크(43)에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기 어려워지고, 뚜껑 개폐력(F)이, 가이드 부재(24)에 설정되어 있는 (C)점에 똑바로 전달되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24)가 수평하게 이동한다. 따라서, 감압실 뚜껑(16)은 회전하지 않고, 정립 내지 경사진 채로의 상태를 유지하여 수평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안내 기구는, 감압실(13)의 우측부에만 설치 되고, 좌측부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 또한,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안내 기구는, 우측부에 설치하지 않고, 좌측부에 설치하여도 된다.
《감압실 뚜껑(16)의 뚜껑 개폐 안내 기구에 의한 개폐 과정》
다음에, 상기 구성의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안내 기구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감압실 뚜껑(16)은, 도8, 도17, 및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4)의 지지축(24s) 및 마찬가지의 가이드 부재(25)의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지지축(16s)으로 제2 연결 링크(44)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감압실 뚜껑(16)은, 가이드 부재(24)의 지지축(24s)과 제2 연결 링크(44)의 지지축(16s)이 상대적으로 동일한 수평 이동을 행할 수 있으면, 회전하지 않고, 수평하게 이동하게 된다.
도4, 도8, 도3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을 닫은 상태에서, 제1 연결 링크(43)의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수평하게 연장하는 제3 수평 가이드 구멍(42e)에 위치함과 함께, 제1 연결 링크(43)의 중앙축(43o)이 가이드 부재(24)의 가이드 롤러(24r)와 동심에 있고 도8에 도시한 제2 안내홈(20b)에 안내되어 있고, 제1 연결 링크(43)에 연결하는 제2 연결 링크(44)가, 도시하는 위치에 있다.
계속해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개폐 핸들(26)의 손잡이 조작부(36)를 쥐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에 개폐 핸들(26)을 회전시켜,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를 해제한다.
그리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개폐 핸들(26)의 손잡이 조작부(36)(도4 참조)를 갖고, 개폐 핸들(26)을 화살표로 나타내는 전방(도9의 지면 좌측)으로 끌면, 제1 연결 링크(43)의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수평하게 연장하는 제3 수평 가이드 구멍(42e) 내를 전방(도9의 지면 좌측)으로 안내됨과 함께, 제1 연결 링크(43)의 중앙축(43o)이 가이드 부재(24)의 가이드 롤러(24r)와 동심에 있고 도8에 도시한 제2 안내홈(20b)에 안내되어 전방(도9의 지면 좌측)으로 이동하고, 제1 연결 링크(43)는, 기울지 않고 전방(도9의 지면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제1 연결 링크(43)는, 가이드 부재(24, 25)와 마찬가지로 수평하게 전방을 향하여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기 때문에, 제1 연결 링크(43)와, 축(43j)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 링크(44)는, 제1 연결 링크(43)와 등거리, 동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때문에, 가이드 부재(24, 25)와 제1 연결 링크(43)로 지지되는 감압실 뚜껑(16)은, 회전하지 않고, 전방(도9의 지면 좌측)으로, 가이드 부재(24, 25) 및 제1 연결 링크(43)와 등거리 수평 방향으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이 열리는 경우에, 감압실(13)의 외곽 부재(14)와 기울지 않고 소정 거리, 수평 방향으로 멀어지고, 반대로, 감압실 뚜껑(16)이 닫히는 경우에, 감압실(13)의 외곽 부재(14)와 기울지 않고 수평 방향으로 근접하여, 맞닿는다.
그 때문에, 감압실 뚜껑(16)의 패킹(16p)이, 외곽 부재(14)와 기울지 않고 멀어지고, 또한, 외곽 부재(14)와 기울지 않고 접근하여 맞닿기 때문에, 패킹(16p)이 외곽 부재(14)에 비집어 틀리지 않고, 거의 균일하게 맞닿기 때문에 밀봉 성능이 높다. 또한, 패킹(16p)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이용자가, 개폐 핸들(26)을 전방(도9의 지면 좌측)으로 끌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링크(43)의 중앙축(43o)이 가이드 부재(24)의 가이드 롤러(24r)와 동심에 있고 도8에 도시한 제2 안내홈(20b)에 안내되어 전방(도10의 지면 좌측)으로 안내되는데, 제1 연결 링크(43)의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제2 경사 가이드 구멍(42d)에 의해 전방 또한 하방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24, 25)는, 전방으로 수평하게 이동하는데, 제1 연결 링크(43)는, 가이드 롤러(43r)가 하방으로 기울고, 제2 연결 링크(44)가 연결되는 축(43j)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2 연결 링크(44)와 지지축(16s)으로 연결되는 감압실 뚜껑(16)은,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도록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10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전방(도10의 지면 좌측)으로 끌면,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링크(43)의 중앙축(43o)이, 상기한 바와 같이, 도8에 도시한 제2 안내홈(20b)에 안내되어 전방(도11의 지면 좌측)으로 안내되는데, 제1 연결 링크(43)의 방향 전환 돌부(43t)가 방향 전환 가이드 부재(45)의 가이드 후면(45a1)에 안내되면서 제1 연결 링크(43)의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제2 수평 가이드 구멍(42c)(도9 참조) 내를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1 연결 링크(43)는, 가이드 롤러(43r)가 하방으로 기울고, 제2 연결 링크(44)가 연결되는 축(43j)은 상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제2 연결 링크(44)와 지지축(16s)으로 연결되는 감압실 뚜껑(16)은,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도록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도11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전방(도11의 지면 좌측)으로 끌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링크(43)의 중앙축(43o)이, 상기한 바와 같이, 도8에 도시한 제2 안내홈(20b)에 안내되어 전방(도12의 지면 좌측)에 안내되는데, 제1 연결 링크(43)의 방향 전환 돌부(43t)가 방향 전환 가이드 부재(45)의 오목 형상의 가이드 저면(45a2)에 안내됨과 함께 제1 연결 링크(43)의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제2 수평 가이드 구멍(42c) 내를 이동하고, 제1 연결 링크(43)가 직립 상태로 된다.
이 과정에서, 제2 연결 링크(44)가 연결되는 축(43j)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2 연결 링크(44)와 지지축(16s)으로 연결되는 감압실 뚜껑(16)은,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도록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이 경사짐으로써, 감압실(13) 내의 식품 등을 보기 쉬어짐과 함께, 감압실 뚜껑(16)을 완전히 인출하지 않아도 감압실(13) 내의 식품 등을 꺼낼 수 있다.
또한, 도12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전방(도12의 지면 좌측)으로 끌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링크(43)의 중앙축(43o)이, 상기한 바와 같이, 도8에 도시한 제2 안내홈(20b)에 안내되어 전방(도13의 지면 좌측)에 안내되는데, 제1 연결 링크(43)의 방향 전환 돌부(43t)가 방향 전환 가이드 부재(45)의 가이드 전면(45a3)에 안내됨과 함께 제1 연결 링크(43)의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제2 수평 가이드 구멍(42c) 내를 이동하고, 제1 연결 링크(43)가 방향 전환 돌부(43t) 둘레에 회전하여 방향 전환한다.
이 과정에서, 제2 연결 링크(44)가 연결되는 축(43j)은 전방으로 이동하고, 제2 연결 링크(44)와 지지축(16s)으로 연결되는 감압실 뚜껑(16)은,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도록 열리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도13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전방(도13의 지면 좌측)으로 끌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링크(43)의 중앙축(43o)이, 상기한 바와 같이, 도8에 도시한 제2 안내홈(20b)에 안내되어 전방(도14의 지면 좌측)에 안내되는데, 제1 연결 링크(43)의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제1 경사 가이드 구멍(42b) 내를 이동하고, 제1 연결 링크(43)가 방향 전환 돌부(43t)측을 중심으로 하여, 더욱 회전한다.
이 과정에서, 제2 연결 링크(44)가 연결되는 축(43j)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제2 연결 링크(44)와 지지축(16s)으로 연결되는 감압실 뚜껑(16)은,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도록 회전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14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전방(도14의 지면 좌측)으로 끌면,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링크(43)의 중앙축(43o) 이, 상기한 바와 같이, 도8에 도시한 제2 안내홈(20b)에 안내되어 전방(도15의 지면 좌측)에 안내되는데, 제1 연결 링크(43)의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수평 가이드 구멍(42a)을 안내되어 이동하고, 제1 연결 링크(43)가 회전하여 수평해지고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제2 연결 링크(44)가 연결되는 축(43j)은 전방으로 이동함과 함께, 제2 연결 링크(44)와 지지축(16s)으로 연결되는 감압실 뚜껑(16)은, 상부가 전방으로 기울도록 완전히 열리고,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제1 수평 가이드 구멍(42a)에 들어간 시점에서 여는 동작이 정지한다.
그리고, 제1 연결 링크(43)의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제1 수평 가이드 구멍(42a)(도9 참조)에 이동한 후에는, 제1 연결 링크(43)와 가이드 부재(24)는, 등거리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감압실 뚜껑(16)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전방(도15의 지면 좌측)으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도15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전방(도15의 지면 좌측)으로 끌면,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 링크(43)의 중앙축(43o)이, 상기한 바와 같이, 도8에 도시한 제2 안내홈(20b)에 안내되어 전방(도16의 지면 좌측)에 안내되는데, 제1 연결 링크(43)의 가이드 롤러(43r)가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42)의 제1 수평 가이드 구멍(42a) 내를 안내되어 이동하여, 가이드 부재(24)의 제1 안내홈(24a)의 가장자리부(24a1)에 감압실(13)의 우전측방의 가이드 롤러(21b)가 맞닿고, 감압실 뚜껑(16)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의 전방(도16의 지면 좌측)으로의 이동이 정지하고, 감압실 뚜껑(16)은 전개 상태로 된다.
이상이, 뚜껑 개폐 안내 기구를 이용한 감압실 뚜껑(16)이 열리는 동작이다.
도16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16)이 전개 상태로부터, 도9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16)을 닫는 과정은, 상기의 과정을 반대로 천이하여 행해진다.
여기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13)이 냉장실(6) 등의 하부에 배치된 경우 등을 고려하여,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감압실(13)의 저면과 개폐 핸들(26) 간에 이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갈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위해서, 감압실 뚜껑(16)의 상단 근방에서, 이용자가 개폐 핸들(26)을 쥐고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조작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개폐 동작》
다음에,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개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7의 (a)는,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를 해제하여, 개폐 핸들(26)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을 여는 조작을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37의 (b) 내지 (d)는,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를 해제하여, 개폐 핸들(26)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을 여는 조작을 개시하는 개폐 핸들(26) 둘레의 기구의 천이를 도시한 개념적 측면도이다.
도3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으로 감압실(13)을 닫아 개폐 핸들(26)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을 로크하고 있는 경우, 개폐 핸들(26)은, 감압실 뚜껑(16)의 하부에 위치한다.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상태로부터 감압실 뚜껑(16)을 여는 동작은, 화살표(α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완전히 일 단, 상단까지 들어올려서 로크를 해제하고, 화살표(α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을 전방(도37의 (a)의 지면 좌측)으로 인출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을, 도37의 (b) 내지 (d)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3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에 의한 감압실 뚜껑(16)의 로크 상태에서는,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의 가이드 롤러(28r)가,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의 내측벽 가이드(30a)와 지점(30a3)(도21 참조)에서 접촉하여 로크되어 있다.
이 경우, 도37의 (b),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부재(14)의 양측부의 핸들 지지 해제 부재(39, 39)가,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를 압압하고 있고, 또한,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갈고리부(28t, 29t)는 상방에 있고, 핸들 지지 부재(37, 37)의 지지 돌기(37t)와는 벗겨져 있다.
이 상태로부터, 개폐 핸들(26)을, 도3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들어올리면, 개폐 핸들(26)이 회전하고,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갈고리부(28t, 29t)가 하방에 위치하고, 핸들 지지 부재(37)의 지지 돌기(37t)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개폐 핸들(26)은,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의 자중보다 강한 힘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32)의 편향력으로, 상승한 위치에서 지지되어 있다.
계속해서, 이용자가, 개폐 핸들(26)을 쥐고, 도37의 (d)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도37의 (d)의 지면 좌측)으로 끌면, 감압실 뚜껑(16)은 직립 상태로 전방(도37의 (d)의 지면 좌측)으로 이동하고,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가, 감압실(13) 본체측의 외곽 부재(14)의 양측부의 핸들 지지 해제 부재(39, 39)로부터 멀어지고, 서로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그 때문에,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재로 상방으로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상방으로 회전하고,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의 지지 돌기(37t, 37t)가,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갈고리부(28t, 29t)에 걸리고, 개폐 핸들(26)의 하방으로의 회전에 로크가 걸리고, 개폐 핸들(26)이 상단 위치에서 로크된다.
이렇게 해서, 개폐 핸들(26)이 상단 위치에서 로크된 채로, 도9 내지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도16의 지면 좌측)의 전개 위치까지 인출된다.
다음에, 감압실 뚜껑(16)을 연 상태로부터, 개폐 핸들(26)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을 닫아 로크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8의 (a)는, 감압실 뚜껑(16)이 열린 상태로부터, 개폐 핸들(26)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을 로크하는 동작을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38의 (b) 내지 도38의 (d)는, 감압실 뚜껑(16)이 열린 상태로부터 개폐 핸들(26)에 의해 감압실 뚜껑(16)을 로크하는 과정의 개폐 핸들(26) 둘레의 기구의 천이를 도시한 개념적 측면도이다.
도3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은, 감압실 뚜껑(16)이 전개 상태로부터, 화살표(β0)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도38의 (a)의 지면 우측)으로 되돌려진 후, 개폐 핸들(26)에 아무런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파 선 화살표(β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핸들(26)은 되돌려지게 된다.
이 경우에는, 개폐 핸들(26)의 양측부의 지지부(28, 29)의 가이드 롤러(28r. 29r)가, 양측부의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 30) 내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감압실 뚜껑(16)을 닫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개폐 핸들(26)은, 그 지지부(28, 29)의 가이드 롤러(28r, 29r)가, 파선 화살표(β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 30) 내에 들어가는 상단 위치에 지지한 상태에서, 감압실 뚜껑(16)이 닫히도록 다음과 같이 구성하고 있다.
전술한 도37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이 감압실(13)로부터 소정 거리 멀어졌을 때에,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의 지지 돌기(37t, 37t)가,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갈고리부(28t, 29t)에 걸리고, 개폐 핸들(26)의 하방으로의 회전에 로크가 걸리고, 개폐 핸들(26)이 상단 위치에서 로크된다.
그리고, 이 위치로부터, 감압실 뚜껑(16)이 감압실(13)로부터 멀어진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동작에서는, 감압실(13) 본체측의 외곽 부재(14)의 양측부의 핸들 지지 해제 부재(39, 39)로부터,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가 멀어져 있기 때문에, 핸들 지지 해제 부재(39, 39)에 의해 압압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의 지지 돌기(37t, 37t)가,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갈고리부(28t, 29t)에 걸려 로크되고, 개폐 핸들(26)이 상단 위치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감압실 뚜껑(16)이 열려서 개폐 핸들(26)이 상단 위치에서 지지된 상태로부터, 도38의 (b)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을 닫기 위해서, 감압실 뚜껑(16)이 후방(도38의 (b)의 지면 좌측)으로 이동된 경우,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가이드 롤러(28r, 29)가,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 30) 내에 들어간다.
그리고,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가이드 롤러(28r, 29r)가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 30) 내에 들어간 후, 도38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압실 뚜껑(16)이 닫히기 때문에, 감압실(13)의 외곽 부재(14)에 더욱 접근하면,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가, 감압실(13) 본체측의 외곽 부재(14)의 양측부의 핸들 지지 해제 부재(39, 39)에 압압되고, 감압실 뚜껑(16)의 핸들 지지 부재(37, 37)의 지지 돌기(37t, 37t)의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갈고리부(28t, 29t)와의 걸림이 벗겨지고, 개폐 핸들(26)이 상하 동작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3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개폐 핸들(26)을 밀어내려서, 개폐 핸들(26)의 지지부(28, 29)의 가이드 롤러(28r, 29r)가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30, 30)로 안내되고, 개폐 핸들(26)로 감압실 뚜껑(16)을 끌어들이고, 감압실 뚜껑(16)을 감압실(13) 본체측의 외곽 부재(14)에 로크한다.
개폐 핸들(26)을 밀어내림으로써, 감압실 뚜껑(16)의 좌우 양측이 외곽 부재(14)에 대하여 끌어들여지기 때문에, 감압실 뚜껑(16)에 부품의 흼이나 변형이 있어도, 확실하게 패킹을 외곽 부재(14)에 대하여 맞닿게 하여 양호한 밀봉성을 확 보할 수 있다.
또한, 패킹은 오목부(16p1)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유연하고, 핸들로 로크를 할 때에도, 오목부를 완전히 눌러 찌부러뜨리지 않는 범위까지만 밀고 들어가도록 설정함으로써, 핸들을 로크하는 힘이 과대해지는 일은 없고, 경쾌하게 로크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감압실 뚜껑(16)이 닫힌 후,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조작 스의치를 유저가 누르거나, 혹은 냉장실 도어(6b)가 닫혀서 도시하지 않은 도어 스위치가 온되는 등의 후, 진공 펌프(12)의 운전이 개시되고, 감압실(13) 내의 공기가 흡인되어 감압이 개시된다.
감압이 개시되면, 감압실 뚜껑(16)은 대기압과 내부의 저압의 차압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압압되고, 패킹(16p)은 핸들에 의한 로크되는 힘 이상의 압압으로 외곽 부재(14)에 대하여 압압된다. 패킹(16p)의 오목부는 밀착하여 도26 내지 도32에 도시한 상태로 되고, 대기압과 내부의 저압의 차압에 의한 큰 하중에 의해, 패킹(16p)이 찌부러져 큰 면압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더욱 밀봉성이 양호해져서, 내부의 부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감압실(13)의 감압실 뚜껑(16)이 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열리고, 또한, 감압실(13)의 감압실 뚜껑(16)이 후측으로 회전하면서 닫히기 때문에, 감압실 뚜껑(16)의 개폐 조작의 조작성이 양호하고, 사용성이 좋다.
또한, 감압실 뚜껑(16)은, 좌우의 동기가 취해져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개폐 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동작 신뢰성이 높다.
감압실 뚜껑(16)은, 감압실(13)의 외곽 부재(14)에 정립하여 이간 또는 맞닿기 때문에, 감압실 뚜껑(16)의 패킹(16p)이 비집어 틀리지 않고, 패킹(16p)의 손모가 방지되어 밀봉 성능이 높다.
《변형예 1》
다음에, 변형예 1에 대하여, 도3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39는, 변형예 1의 냉장고의 감압실(13)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9에 도시한 변형예 1의 냉장고의 감압실(13)은, 도4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감압실(13)의 우측부에 설치한 감압실 뚜껑(16)을 회전시키면서 여는 제1 연결 링크(43), 제2 연결 링크(44) 등의 뚜껑 개폐 안내 기구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인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변형예 1에 의하면, 감압실 뚜껑(16)은, 좌우의 동기가 취해져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개폐 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동작 신뢰성이 높다.
또한, 감압실 뚜껑(16)은, 감압실(13)의 외곽 부재(14)에 정립하여 맞닿거나 또는 이간하기 때문에, 감압실 뚜껑(16)의 패킹(16p)이 비집어 틀리지 않고, 패킹(16p)의 손모가 방지되어 밀봉 성능이 높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감압실(13)을 냉장실(2)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냉동실(4)에 감압실(13)을 설치하는 구성이더라도,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이 때, 감압실 도어(16)가 경사지지 않는 것에도 적용 가능하다.
《변형예 2》
다음에, 변형예 2에 대하여, 도40, 도4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40은, 변형예 2의 감압실(13)을 이면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41은, 도40의 H-H선 단면도이다.
변형예 2는, 도4, 도8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감압실(13)의 가이드 부재(24, 25)의 랙 기어 대신에, 도40, 도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24, 125)에 내방을 향하여 수평하게 형성한 랙 기어(124g, 125g)를 설치하고, 랙 기어(124g, 125g) 사이에, 거의 수평 방향으로 짝수개의 평기어(71, 72, 73, 74)를 설치한 것이다.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기 때문에,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변형예 2에 의하면, 가이드 부재(124, 125)에 내방을 향하여 수평하게 형성한 랙 기어(124g, 125g)를 설치하고, 랙 기어(124g, 125g) 간에 거의 수평 방향으로 짝수개의 평기어(71, 72, 73, 74)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연직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발휘하는 작용 효과는 마찬가지로 발휘한다.
또한, 전술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 조절실로서 실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감압하는 감압실을 예시하여 설명을 행하였으나, 기체 조절실로서 감압실 이외에, 질소 가스를 봉입하는 저장실, 산소 분리막을 설치하여 펌프에 의해 산소를 실로부터 배출하는 저장실, 및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등을 이용하여 습도 조절을 행하는 저장실 등의 감압실 이외의 기체 조절실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고, 감압실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 조절실인 감압실(13)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성은, 냉장실 외에, 냉동실 등의 저장실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냉동실(3, 4)의 인출 도어 자체가 감압실 뚜껑(16)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체 조절실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감압실 뚜껑(16)에는 단열성을 갖게 하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감압실 뚜껑(16)의 이동 수단으로서, 랙 기어와 피니언 기어, 및, 랙 기어와 평기어를 예시하였으나, 동기축으로 연결된 양측부의 가이드 롤러와 그 가이드 롤러를 안내하는 양측부의 레일로 구성하여도 된다.
도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 형태의 냉장고(1)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 개념도.
도3은 도1의 B-B선 단면도.
도4는 감압실의 구성을 비스듬하게 전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5는 도4에 도시한 감압실의 C 방향 화살표에서 본 개념도.
도6은 도5의 D-D선 단면도.
도7은 도4의 E-E선 단면도.
도8은 도4에 도시한 감압실의 측면에 설치되는 강판제의 보호 판재를 분해하여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9는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을 폐색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감압실의 우측면도.
도10은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을 폐색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감압실의 우측면도.
도11은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을 폐색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감압실의 우측면도.
도12는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을 폐색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감압실의 우측면도.
도13은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을 폐색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감압실의 우측면도.
도14는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을 폐색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감압실의 우측면도.
도15는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을 폐색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감압실의 우측면도.
도16은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을 폐색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하는 과정을 도시한 감압실의 우측면도.
도17은 도9의 F-F선 단면도.
도18은 도16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의 전개 상태시의 갑압실 뚜껑을 후방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19는 도9에 도시한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 및 개폐 핸들의 지지부 및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 둘레의 개폐 핸들에 의한 감압실 뚜껑의 로크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0은 도9에 도시한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 및 개폐 핸들의 지지부 및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 둘레의 로크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1은 도9에 도시한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 및 개폐 핸들의 지지부 및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 둘레의 개폐 핸들에 의한 감압실 뚜껑 로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2는 변형예의 도9에 도시한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 및 개폐 핸들의 지지부 및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 둘레의 로크 개방을 도시한 도면.
도23은 변형예의 도9에 도시한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 및 개폐 핸들의 지지부 및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 둘레의 로크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4는 변형예의 도9에 도시한 감압실의 감압실 뚜껑 및 개폐 핸들의 지지부 및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 둘레의 로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5는 도5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의 F-F선 단면 개념도.
도26은 감압실 뚜껑에 대하여 개폐 핸들을 하방으로 회전하여 감압실 뚜껑을 폐색 상태 가깝게 한 경우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편향력의 작용을 나타내는 도5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의 G-G선 단면 개념도.
도27은 감압실 뚜껑에 대하여 개폐 핸들을 회전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편향력이 중립 위치로 되었을 때의 도5의 G-G선 단면 개념도.
도28은 감압실 뚜껑에 대하여 개폐 핸들을 상방으로 회전하였을 때의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편향력의 작용을 도시한 도5의 감압실 뚜껑의 G-G선 단면 개념도.
도29는 도5의 감압실 뚜껑을 H-H선 단면으로 절단한 감압실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30은 도5의 감압실 뚜껑을 I-I선 단면으로 절단한 감압실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31은 도5의 감압실 뚜껑을 D-D선 단면으로 절단한 감압실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32는 도5의 차압 배출 밸브의 밸브 닫힘 상태를 도시한 D-D선 단면도.
도33은 차압 배출 밸브(V)의 밸브 닫힘 상태를 도시한 도5의 D-D선 단면에 상당하는 도면.
도34는 개폐 핸들의 지지부의 갈고리부가, 감압실 뚜껑의 핸들 지지 부재의 지지 돌기에 걸려서, 개폐 핸들의 하방으로의 회전을 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적 우측면도.
도35는 개폐 핸들의 지지부의 갈고리부가, 감압실 뚜껑의 핸들 지지 부재의 지지 돌기와의 걸림이 벗겨지고, 개폐 핸들의 하방으로의 회전의 저지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적 우측면도.
도36의 (a)는 도9에 도시한 감압실 뚜껑을 닫을 때에 감압실 뚜껑이 정립한 상태의 뚜껑 개폐 안내 기구를 도시한 개념적 측면도이고, 도36의 (b)는 감압실 뚜껑을 열어 최대 경사지게 한 상태의 뚜껑 개폐 안내 기구를 도시한 개념적 측면도.
도37의 (a)는 개폐 핸들에 의한 감압실 뚜껑의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를 해제하여, 개폐 핸들에 의해 감압실 뚜껑을 여는 조작을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37의 (b) 내지 (d)는, 개폐 핸들에 의한 감압실 뚜껑의 로크 상태로부터 로크를 해제하여, 개폐 핸들에 의해 감압실 뚜껑을 여는 조작을 개시하는 개폐 핸들 둘레의 기구의 천이를 도시한 개념적 측면도.
도38의 (a)는, 감압실 뚜껑이 열린 상태로부터, 개폐 핸들에 의해 감압실 뚜껑을 로크하는 동작을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38의 (b) 내지 (d)는, 감압실 뚜껑이 열린 상태로부터 개폐 핸들에 의해 감압실 뚜껑을 로크하는 과정의 개폐 핸들 둘레의 기구의 천이를 도시한 개념적 측면도.
도39는 변형예 1의 냉장고의 감압실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0은 변형예 2의 감압실을 이면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41은 도40의 H-H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냉장고
13: 감압실(저장실, 기체 조절실)
16: 감압실 뚜껑(뚜껑 부재)
16p: 패킹(밀봉 부재)
20b: 제2 안내홈(제2 홈)
21a, 21b: 가이드 롤러(제1 가이드 롤러)
22a, 22b: 피니언 기어(이동 수단)
23: 회전 동기축(이동 수단)
24, 25: 가이드 부재(이동 수단)
24a, 25a: 제1 안내홈(제1 홈)
24g, 25g: 랙 기어(이동 수단)
24r: 가이드 롤러(제2 가이드 롤러)
24s: 지지축(지지부)
28r, 29r: 가이드 롤러(제1 걸어맞춤부)
30: 뚜껑 로크 안내홈 부재(제2 걸어맞춤부)
42: 뚜껑 개폐 가이드 구멍(링크 기구, 제3 홈)
43r: 가이드 롤러(제3 가이드 롤러)
43: 제1 연결 링크(링크 기구)
44: 제2 연결 링크(링크 기구)
45: 방향 전환 가이드 부재(링크 기구)

Claims (21)

  1.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에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실은, 전면이 개방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닫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과,
    상기 뚜껑 부재의 이면에 원주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에는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저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실은, 전면이 개방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닫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과,
    상기 뚜껑 부재의 이면에 원주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좌우에 각각 힌지를 갖는 양문형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자 형상으로 구성된 저장실을 구비하고,
    상기 저장실은, 전면이 개방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닫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과,
    상기 뚜껑 부재의 이면에 원주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도어끼리의 맞댐부에는, 도어 사이의 틈을 없애도록 설치된 회전 칸막이를 상기 양문형 도어의 한쪽에 설치하고, 다른 쪽 도어의 안쪽에 상기 저장실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수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된 랙 기어와, 상기 랙 기어에 맞물리는 톱니바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저장실의 하방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기체 조절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조절실을 감압하는 감압 수단을 갖고,
    상기 기체 조절실은, 상기 감압 수단에 의해 대기압보다 감압하는 것이 가능한 감압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은, 기체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기체 조절실이고,
    상기 기체 조절실은, 전면이 개방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닫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이동을 동기시키는 동기 수단과,
    상기 뚜껑 부재의 이면에 원주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저장물을 출납하는 개구부를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 부재와,
    상기 저장실의 양측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과,
    상기 이동 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뚜껑 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뚜껑 부재의 이면에 원주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의 멀어지기 시작하는 부분에서의 상기 뚜껑 부재의 상기 지지부 둘레의 회전 각도를, 상기 뚜껑 부재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가장 멀어진 위치로의 이동을 종료할 때의 상기 뚜껑 부재의 상기 지지부 둘레의 회전 각도보다 작게 하는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삭제
  17. 저장물을 출납하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에 설치되고, 이 뚜껑 부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제1 홈과,
    상기 제1 홈에 안내되는 제1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상기 뚜껑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제2 가이드 롤러와 동 심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연결 링크와,
    상기 제1 연결 링크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제2 연결 링크와,
    상기 제2 연결 링크의 타단이 상기 뚜껑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제2 가이드 롤러가 안내되는 제2 홈과,
    상기 제1 연결 링크의 타단에 설치된 제3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3 가이드 롤러가 안내되고 상기 제1 연결 링크의 전후 방향을 전환시키는 제3 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식품을 출납하는 일면이 개방된 개구부를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 부재와,
    상기 뚜껑 부재를 개폐시키는 핸들의 동작에 연동하는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저장실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춰져서 상기 핸들을 끌어들여 로크하는 제2 걸어맞춤부와,
    상기 뚜껑 부재의 이면에 원주 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를 밀봉하는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췄을 때의 상기 제1 걸어맞춤부까지의 거리가 로크시의 거리보다 상기 로크 전의 위치에서의 거리가 길게 구성되고, 상기 제1 걸어맞춤부와 걸어 맞춰져서 상기 핸들을 끌어들여 로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동작시의 그 핸들과 상기 뚜껑 부재 사이의 거리는, 소정 값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3항, 제15항 또는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기체 조절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80007366A 2007-08-02 2008-01-24 냉장고 KR100974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01398 2007-08-02
JP2007201437A JP4934537B2 (ja) 2007-08-02 2007-08-02 冷蔵庫
JP2007201398A JP4808193B2 (ja) 2007-08-02 2007-08-02 冷蔵庫
JPJP-P-2007-00201437 2007-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68A KR20090013668A (ko) 2009-02-05
KR100974987B1 true KR100974987B1 (ko) 2010-08-09

Family

ID=40684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366A KR100974987B1 (ko) 2007-08-02 2008-01-2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98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06B1 (ko) * 2011-07-18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7B1 (ko) * 2011-07-18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2B1 (ko) * 2011-07-18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4B1 (ko) * 2011-07-18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KR101327914B1 (ko) 2011-07-18 2013-11-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450B1 (ko) * 1992-10-31 1997-11-15 김광호 냉장고도아 개폐장치
KR200168373Y1 (ko) 1999-08-30 2000-02-15 이정희 절전형 냉장고
KR20010068373A (ko) * 2000-01-05 2001-07-23 최충선 음향기기 돔형 고음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5806A (ko) * 2004-09-17 200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60135694A (ko) * 2006-07-07 2006-12-29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진공칸을 구비하는 냉장 또는 냉각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450B1 (ko) * 1992-10-31 1997-11-15 김광호 냉장고도아 개폐장치
KR200168373Y1 (ko) 1999-08-30 2000-02-15 이정희 절전형 냉장고
KR20010068373A (ko) * 2000-01-05 2001-07-23 최충선 음향기기 돔형 고음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5806A (ko) * 2004-09-17 200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60135694A (ko) * 2006-07-07 2006-12-29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진공칸을 구비하는 냉장 또는 냉각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06B1 (ko) * 2011-07-18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7B1 (ko) * 2011-07-18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2B1 (ko) * 2011-07-18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KR101284904B1 (ko) * 2011-07-18 2013-07-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KR101327914B1 (ko) 2011-07-18 2013-11-13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668A (ko)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8193B2 (ja) 冷蔵庫
JP4934537B2 (ja) 冷蔵庫
KR100975476B1 (ko) 냉장고
JP4423320B2 (ja) 冷蔵庫
EP2613113B1 (en) Connection support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431688B1 (en) Refrigerator
KR100974987B1 (ko) 냉장고
US20160153700A1 (en) Refrigerator
EP3674634B1 (en) Refrigerator
US20080180012A1 (en) Door-basket structure of refrigerator
EP3764042A1 (en) Refrigerator
JP5401416B2 (ja) 冷蔵庫
JP5103320B2 (ja) 冷蔵庫
JP4969528B2 (ja) 冷蔵庫
JP5450236B2 (ja) 冷蔵庫
JP6543132B2 (ja) 冷蔵庫
CN114739093B (zh) 冰箱
JP5380406B2 (ja) 冷蔵庫
JP5792656B2 (ja) 冷蔵庫
JP6637841B2 (ja) 冷蔵庫
JP6546866B2 (ja) 冷蔵庫
JP2017036849A (ja) 冷蔵庫
JP2017161094A (ja) 冷蔵庫
JP201407763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