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690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690B1
KR100974690B1 KR1020070037090A KR20070037090A KR100974690B1 KR 100974690 B1 KR100974690 B1 KR 100974690B1 KR 1020070037090 A KR1020070037090 A KR 1020070037090A KR 20070037090 A KR20070037090 A KR 20070037090A KR 100974690 B1 KR100974690 B1 KR 100974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ircuit board
socket
disposed
card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7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306A (ko
Inventor
남수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7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69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3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바디과,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외장 카드의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 카드의 단자부가 형성되지 않은 그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카드 소켓이 차지하는 영역을 벗어나도록 상기 외장 카드가 수용되며, 상기 카드 소켓의 입구 측은 상기 회로기판의 일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회로기판의 실장 공간을 최대화하고 실장된 전자소자들 사이의 회로적 연결을 안정화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에는 종래의 일 방식에 의해 외장 카드를 수용하는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방식에 의한 복합형 소켓을 채용한 단말기에 대한 요부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배면 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요부의 다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제3 커버에 장착된 회로기판을 반대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배면 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회로기판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이동통신 단말기 110,210: 제1 커버
120,220: 제2 커버 130,230: 제3 커버
140,240: 회로기판 150,250: 카드 소켓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소켓이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적합한 사이즈 및 무게를 가지는 무선 통신 기기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사용자 확인 정보 등을 제공하는 외장 카드가 별도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외장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카드 소켓은 회로기판에 장착된다.
도 1에는 종래의 일 방식에 의해 외장 카드를 수용하는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단말기의 바디(10)의 배면 측에는 배터리(미도시)를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실(11)이 형성된다. 배터리실(11)에 장착되는 배터리는 바디(10)에 결합되는 배터리 커버(12)에 의해 감싸진다.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에서 배터리실(11)을 통해서 메모리 소켓(20) 및 카드 소켓(30)이 노출된다. 배터리실(11)의 하측에는 회로기판(4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 소켓(20)에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카드(M)가 수용된다. 상기 카드 소켓(30)에는 심카드(50, SIM card)와 같은 형태의 외장 카드가 수용된다. 메모리 소켓(20)은 메모리 카드(M)의 사이즈에 대응하는 사이즈만을 가지며, 일 방향(R)을 따라 회전 개폐되어 메모리 카드(M)를 수용한다. 그러나, 카드 소켓(30)은 심카드(50)의 일 부분에만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진다. 이는 상기 심카드(50)가 카드 소켓(30)에 수용되어 회로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51)와, 단자부(51)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그랩부(52)로 구성되도록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심카드(50)에 대한 표준화에 의하여, 카드 소켓(30)에는 단자부(51)만이 수용될지라도 외부로 노출되는 그랩부(52)에 대한 공간이 역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실(11)의 하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40)의 단자부(41){및 카드 소켓(30)}에 대응하는 공간뿐만 아니라 그랩부(52)에 대응하는 공간에까지 전자소자들을 실장할 수 없게 된다. 이는 한정된 사이즈를 갖는 회로기판(40)에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전자소자들을 배치함에 있어서 제약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실장 공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합형 소켓(70)을 채용한 종래의 다른 방식이 도 2에 개략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식에 있어서, 바디(50)의 일 측에는 메모리 카드(M)를 삽입하게 위한 삽입공(51)이 형성된다. 삽입공(51)을 통해 삽입되는 메모리 카드(M)는 회로기판(60)에 장착된 복합형 소켓(70)의 1층의 공간에 삽입된다. 심카드(80)의 단자부(81)는 복합형 소켓(70)의 2층의 공간으로 삽입되고, 그랩부(82)는 복합형 소켓(70)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노출된다.
상기 복합형 소켓(70)에 의해 메모리 카드(M)와 심카드(80)를 동시에 수용하게 됨에 따라, 앞선 경우에 비하여 카드들(M 및 80)에 의한 회로기판(60)의 실장 공간의 침해의 문제는 상당 부분 개선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복합형 소켓(70)은 심카드(80)의 삽입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회로기판(60)을 감싸는 바디(50) 측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가 없게 된다. 그 결과로, 삽입공(51)을 통해 복합형 소켓(70)에 수용된 메모리 카드(M)를 꺼내기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복합형 소켓(70)의 높이에 의해 단말기의 전체적인 두께의 슬림화가 제약될 수도 있다. 또한, 삽입공(51)의 형성 위치에 따라, 심카드(8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 나아가 배터리접속단자(61)의 위치 역시 상기 삽입되기 위한 공간에서 벗어난 위치로 결정되게 된다. 그 결과로, 전력소모가 많은 전자소자에 인접하게 배터리접속단자(61)를 배치하여, 전력의 손실을 방지하는 등의 설계 방식을 구현함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또한, 복합형 소켓(70)이 회로기판(60)의 중앙에 배치되어, 그 주변에 배치되는 전자소자들 사이의 회로적 연결이 복합형 소켓(70)에 의해 제약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장 카드의 장착에 의해 회로기판의 실장 공간이 줄어드는 정도를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실장 공간에 실장된 전자소자들 사이의 회로적 연결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바디와,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외장 카드의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을 포함한다. 상기 외장 카드의 단자부가 형성되지 않은 그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카드 소켓이 차지하는 영역을 벗어나도록 상기 외장 카드가 수용된다. 이때, 상기 카드 소켓의 입구 측은 상기 회로기판의 일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카드 소켓이 형성된 면에 있어서, 상기 카드 소켓의 입구 측과 상기 회로기판의 일 모서리 사이에는 전자소자가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카드 소켓의 입구 측의 모서리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 모서리와 일치하는 정도에 이르도록 상기 카드 소켓이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치에 따라, 상기 외장 카드가 수용될 때 상기 그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회로기판을 벗어난 채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로기판을 벗어나게 배치되는 그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는 카드 수용부가 상기 바디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바디에 형성된 배터리실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라면, 상기 카드 수용부는 상기 그랩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배터리실을 한정하는 바디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드 수용부가 상기 그랩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리세스된 형태로 형성될 경우, 상기 카드 수용부는 상기 외장 카드가 상기 배터리실을 한정하는 면 이상으로 돌출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배터리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에는 상기 외장 카드의 그랩부 를 상기 카드 소켓의 입구 측으로 삽입하도록 알리는 알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는 상기 외장 카드의 형태 등으로 표시되며, 상기 삽입 방향에 의해 상기 그랩부는 상기 회로기판상에 배치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회로기판이 차지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 자리 영역에 장착되어, 일 부분이 상기 회로기판이 차지하는 영역을 벗어난 채로 배치되도록 외장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외장 카드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카드 수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에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영역과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실이 인접하게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카드 수용부는 상기 외장 카드의 일 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실을 한정하는 상기 바디의 일 면에 리세스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 측에서 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무선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바디(body)는 2 이상의 바디 요소(body element)들이 회전 또는 슬라이딩 등과 같은 상대 이동(relative movement)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결된 형태일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바디 요소만으로 이루어진 형태의 바디를 예시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면 측 외관을 이루 는 제1 커버(110)와 배면 측 외관을 이루는 제2 커버(1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커버(110)의 주면 측에는 디스플레이(1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01)는 정보의 표시만 가능할 수도 있으나, 정보의 입력까지도 가능한 터치 스크린의 형태를 가지는 것이 사용자의 입력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입력도 가능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101)는 제1 커버(110)의 주면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101)의 양단부 측에 인접하여서는 각각 리시버(102)와 키버튼(103)들이 배치될 수 있다. 키버튼(103)들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을 보완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기능의 수행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또한, 리시버(102)와 함께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104)는 키버튼(103)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배면 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바디를 이루는 제1 커버(110)와 제2 커버(120) 사이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사이즈를 가지는 제3 커버(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버(110)에는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101) 및 리시버(102) 등이 배치된다. 또한, 제2 커버(120)에는 배터리 커버(12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배터리(미도시)를 감싼다. 제2 커버(120)의 일 부분에는 이미지 촬영을 위한 카메라(122)와 플래쉬(123)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커버들(110 및 120)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커버(130)는 격벽(131)에 의해 2 개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2 개의 영역들 중 하나는 회로기 판(140)이 배치되는 회로기판실(132)이고, 다른 하나는 배터리가 배치되는 배터리실(133)일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실(132)과 배터리실(133)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140)의 배면(142)은 제2 커버(120)를 향하는 면을 지칭한다. 회로기판(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접속단자(143)는 격벽(131)을 관통하여 배터리실(133) 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또한, 제3 커버(130)의 일 측에는 메모리 카드(M)를 삽입하기 위한 메모리카드홀(13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카드홀(135)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홀(미도시)이 역시 제1 커버(110) 등에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40)의 배면(142)에 반대되는 면(141, 도 5 참조) 측에 수용되는 외장 카드(160)의 일 부분은 회로기판(140)을 벗어나서 돌출하게 된다. 상기 외장 카드(160)의 일 부분의 돌출을 위하여, 외장 카드(160)가 배치되는 부분에 대응하는 격벽(131)의 일 부분이 제거된 개방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34)를 통해서 배터리실(133) 측으로 돌출된 외장 카드(160)의 일 부분은 배터리실(133)을 한정하는 제3 커버(130)의 일 면에 형성된 카드 수용부(136)에 수용된다. 카드 수용부(136)는 외장 카드(160)가 배터리와 간섭하지 않도록 리세스된(recessed)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된 부분의 깊이는 배터리실(133)에 장착되는 배터리와의 간섭을 최대로 피하기 위하여, 외장 카드(160)가 수용될 때 상기 외장 카드(160)가 배터리실(133)을 한정하는 제3 커버(130)의 일 면보다 돌출하지 않게 하는 깊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치 관계에 대해서는 도 4의 라인(Ⅴ-Ⅴ)를 따르는 단면 도인 도 5에 보다 상세하게 예시되어 있다.
도 6에는 도 4의 제3 커버(130)에 장착된 회로기판(140)을 반대면 측에서 본 모습이 개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회로기판(140)의 전면(141)의 일 모서리 측에는 상기 배터리접속단자(143)가 장착되어 있다. 메모리 카드(M)를 수용하기 우한 메모리 소켓(145)은 메모리카드홀(135, 도 4)에 대응하여 회로기판(140)의 일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회로기판(140)의 배터리실(133, 도 4)과 인접하게 배치될 모서리 측에는 카드 소켓(150)이 배치된다. 카드 소켓(150)의 입구(151)는 상기 회로기판(140)의 모서리 측과 인접되기에, 상기 입구(151)와 모서리 사이에는 전자소자가 거의 실장되지 않게 된다. 나아가, 카드 소켓(150)의 입구(151)가 상기 모서리에 최대로 근접하여 이들이 거의 일치하는 수준에 이를 수도 있다.
상기 카드 소켓(150)에 수용되는 외장 카드(160)는 SIM(Subscriber Inde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nformation Module) 카드와 같은 표준화된 형태로서, 카드 소켓(150)에 삽입되어 회로기판(14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부(161)와, 단자부(161)가 형성되지 않은 그랩부(162)로 나뉜다. 상기 그랩부(162)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부분으로서, 외장 카드(160)의 전체 면적의 거의 절반을 차지하게 된다.
도 4 내지 6을 함께 참조하면, 카드 소켓(150)이 그의 입구(151)가 회로기판(140)의 모서리 측에 인접하도록 회로기판(140)의 가장 자리에 배치됨에 따라, 외장 카드(160)의 그랩부(162)는 회로기판(140)의 외측으로 벗어나게 돌출된다. 이 렇게 돌출된 그랩부(162)의 적어도 일 부분은 배터리실(133)에 형성된 카드 수용부(136)에 수용된다.
그 결과로, 카드 소켓(150)에 삽입되지 않는 외장 카드(160)의 그랩부(162)가 회로기판(140)에 배치되어 상기 그랩부(162)에 상당하는 면적에 대한 전자소자들의 실장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회로기판(140)을 벗어나서 돌출된 그랩부(162)가 카드 수용부(136)에 수용됨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은 회로기판(140)의 실장 공간 확대가 배터리의 장착에 장애를 주지 않게 된다.
나아가, 카드 소켓(150)이 회로기판(140)의 가장자리에 형성됨에 따라, 회로기판(140)에 장착하는 전자소자들 간의 연관성이 카드 소켓(150)에 의해 저해되지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전자소자들 사이의 회로적 연결성, 나아가 단말기의 전체적인 작동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위와 같이 회로기판(140)에서의 전자소자들의 실장 공간을 최대화하면서도 메모리 소켓(145)과 별도로 카드 소켓(150)을 구성할 수 있기에, 카드 소켓(150)과 배터리접속단자(143)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메모리 소켓(145)의 인근에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자소자들이 배치될 경우에는, 카드 소켓(150)과 배터리접속단자(143)의 위치를 바꾸어서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를 배면 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대하여, 앞선 실시예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 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앞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달리, 카드 소켓(250)이 회로기판(240)의 배면(242)에 장착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카드 소켓(250)에 삽입되는 외장 카드(160)는 배터리실(233)을 한정하는 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면에 배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카드 소켓(250)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장 카드(260)의 일 부분이 회로기판(240)을 벗어나서 배터리실(233) 측으로 연장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외장 카드(260)의 카드 소켓(250)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회로기판(240) 위에 배치되도록 외장 카드(260)를 카드 소켓(250)에 삽입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외장 카드(260)에 대응하는 격벽(231)의 일 부분이 제거된 개방부(234)를 통하여, 외장 카드(260)를 카드 소켓(250)에 삽입하거나 그로부터 분리해낼 수 있게 된다. 배터리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외장 카드(260)에서 돌출된 부분은 격벽(231)의 배터리실(233)을 한정하는 면과 일치하는 정도까지만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삽입 방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배터리실(233)을 한정하는 제3 커버(230)의 일 면에는 알림부(2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237)는 외장 카드(260)의 카드 소켓(250)에 대한 삽입 방향에 대응되는 형태 및 삽입 방향을 알리는 화살표 등과 같은 모양을 가지며, 인쇄 등의 방식으로 상기 일 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에는 도 7의 회로기판(240)이 확대된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카드 소켓(250)은 여전히 회로기판(240)의 일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카드 소켓(250)의 입구(251) 측은 회로기판(240)의 배터리실(233, 도 7)과 마주하는 모서리와 거의 일치하는 수준에 이르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외장 카드(260)의 그랩부(262)는 카드 소켓(250)에서 벗어나서 회로기판(240) 상에 배치되어야만 함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다. 이러한 배치를 위하여, 카드 소켓(250)의 입구(251)에는 외장 카드(260)의 그랩부(262) 측이 먼저 삽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단자부(261)를 손에 쥐고서 그랩부(262)를 카드 소켓(250)의 입구(251)로 삽입시킬 수 있다. 단자부(261)의 끝 부분은 카드 소켓(250)에서 돌출되고, 사용자는 이 돌출된 부분을 이용하여 외장 카드(260)를 잡고서 카드 소켓(250)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된다.
회로기판(240)의 그랩부(262)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그랩부(262)와 간섭하지 않는 높이를 가지는 전자소자들이 배치되면 될 것이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카드 소켓(250)은 여전히 회로기판(240)의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기에 전자소자들의 실장 공간에 대한 제약이 최소화된다. 나아가, 카드 소켓(250)이 회로기판(240)의 가장자리에 위치함에 따라, 카드 소켓(250)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되는 전자소자들 사이의 회로적인 연결이 카드 소켓(250)에 의해 저해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이점을 가지면서도 카드 소켓(250)이 메모리 소켓(245)과 별도로 형성됨에 따라, 앞선 실시예와 같이 배터리에 의한 전력 공급의 효율성의 관점 에서 배터리접속단자(243)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되는 추가점이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장 카드의 일 부분만을 수용하는 카드 소켓을 회로기판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되게 함에 따라, 회로기판에 대한 전자소자들의 실장 공간이 카드 소켓에 의해 침해되는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상기 전자소자들 사이의 회로적 연결관계가 카드 소켓에 의해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카드 소켓의 배치에 의하여 회로기판을 벗어나서 돌출되는 외장 카드의 부분을 수용하는 카드 수용부를 구비함에 따라, 외장 카드가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전자소자들과 기구적으로 간섭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이점을 가지면서도 카드 소켓과 배터리접속단자의 배치의 제약이 제거되어,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도록 배터리접속단자를 배치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1)

  1.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바디; 및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외장 카드의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외장 카드의 단자부가 형성되지 않은 그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카드 소켓이 차지하는 영역을 벗어나도록 상기 외장 카드가 수용되며, 상기 카드 소켓의 입구 측은 상기 회로기판의 일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바디에는 상기 외장 카드의 그랩부를 상기 카드 소켓의 입구 측으로 삽입하도록 알리는 알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카드 소켓이 형성된 면에 있어서, 상기 카드 소켓의 입구 측과 상기 회로기판의 일 모서리 사이에는 전자소자가 장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소켓의 입구 측의 모서리는 상기 회로기판의 일 모서리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카드가 수용될 때 상기 그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회로기판 을 벗어난 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그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을 수용하는 카드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바디에 형성된 배터리실과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카드 수용부는 상기 그랩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배터리실을 한정하는 바디의 일 부분에 리세스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 수용부는, 상기 외장 카드가 상기 배터리실을 한정하는 면 이상으로 돌출하지 않게 안착될 수 있는 깊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8. 삭제
  9. 회로기판을 구비하는 바디;
    상기 회로기판이 차지하는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가장 자리 영역에 장착되어, 일 부분이 상기 회로기판이 차지하는 영역을 벗어난 채로 배치되도록 외장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 및
    상기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외장 카드의 일 부분을 수용하는 카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외장 카드의 그랩부를 상기 카드 소켓의 입구 측으로 삽입하도록 알리는 알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영역과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실이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카드 수용부는 상기 외장 카드의 일 부분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실을 한정하는 상기 바디의 일 면에 리세스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카드는 SIM 카드 또는 UIM 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70037090A 2007-04-16 2007-04-16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74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90A KR100974690B1 (ko) 2007-04-16 2007-04-16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7090A KR100974690B1 (ko) 2007-04-16 2007-04-16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306A KR20080093306A (ko) 2008-10-21
KR100974690B1 true KR100974690B1 (ko) 2010-08-06

Family

ID=40153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7090A KR100974690B1 (ko) 2007-04-16 2007-04-16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6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046A (ko) * 2004-11-12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 소켓
KR20070029028A (ko) * 2005-09-08 200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장형 메모리카드 슬롯을 갖는 이동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7046A (ko) * 2004-11-12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 소켓
KR20070029028A (ko) * 2005-09-08 2007-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외장형 메모리카드 슬롯을 갖는 이동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306A (ko) 200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273B1 (ko) 절첩 가능한 전자 장치용 라이트 가이드
US7194291B2 (en) Protective mask of mobile phone
JP3923310B2 (ja) 携帯情報端末
JP4968476B2 (ja) 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筐体
KR20140089754A (ko) 스타일러스 펜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20024785A (ko) 안테나를 내장한 집적 회로 카드를 장착할 수 있는 전자장치
US2009009580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portable payment terminal, corresponding terminal, device and battery
KR1009746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10056440A (ko) 이동 단말기
JP2004222170A (ja) 折畳式携帯電子装置
JPH01190058A (ja) 送受話器
JP2006511110A (ja) ペン型携帯電話
KR101376610B1 (ko) 휴대 단말기
KR10060883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 소켓
JP2002152354A (ja) Simカードを利用する携帯端末
KR101386471B1 (ko) 휴대 단말기
CN214576344U (zh) 一种指纹和磁卡识别装置及门锁
JP4642005B2 (ja) 携帯端末装置
KR20070021374A (ko) 외장형 카드기기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JP3619763B2 (ja) 携帯電話機
CN218448500U (zh) 一种卡座和电子设备
KR20090017908A (ko) 휴대 단말기
CN219643955U (zh) 一种自带按键的智能手机壳
CN219642067U (zh) 一种防水一体化运动相机
CN213991259U (zh) 一种卡型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917

Effective date: 200910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