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070B1 -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070B1
KR100973070B1 KR1020100042016A KR20100042016A KR100973070B1 KR 100973070 B1 KR100973070 B1 KR 100973070B1 KR 1020100042016 A KR1020100042016 A KR 1020100042016A KR 20100042016 A KR20100042016 A KR 20100042016A KR 100973070 B1 KR100973070 B1 KR 100973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electrode plate
cooling pipe
fros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균
Original Assignee
(주)제일화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화인테크 filed Critical (주)제일화인테크
Priority to KR102010004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070B1/ko
Priority to PCT/KR2010/008426 priority patent/WO201113901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 F28D1/047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bent, e.g. in a serpentine or zig-zag the conduits having a single U-b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9/00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posits or corrosion, e.g. by using filters or scrapers
    • F28F19/006Preventing deposits of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 F25B2700/111Sensor to detect if defrost is necessary using an emitter and receiver, e.g. sensing by emitting light or other radiation and receiving reflection by a sen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6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frigerant cycles
    • F28D2021/0071Evapor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 냉각파이프 및 상기 냉각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며, 냉각파이프에 공급된 냉매를 교축시켜 저온창고에 냉기를 제공하는 증발기와, 증발기에 결합되어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조와, 상기 증발기에 설치되어 발열하면서 고열을 제공하는 발열파이프와, 상기 발열파이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냉각파이프에 적상되는 서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 1전극판과, 제 2전극판이 상호 이격공간을 두고 단락된 상태로 배치되는 전극센서;와, 발광부로부터 발진된 광이 증발기에 구비된 냉각파이프의 표면을 반사하여 수광부로 입사될 때, 수광량의 변화에 의해 서리의 유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의 통전과, 포토센서의 수광량 변화가 함께 감지될 때 발열파이프에 대한 전류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냉각파이프에 적상된 서리를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FREEZING REMOVAL APPARATUS OF NATURAL CONVENTION TYPE EVAPORATOR FOR LOWTEMPERATURE STOREHOUSE}
본 발명은 창고의 내부에 노출되어 자연대류식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의 과(跨)냉각을 실시간으로 방지하여 창고 내부의 냉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증발기에 결합된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서리가 적상되면, 적상된 서리에 의해 통전되는 전극센서의 통전신호 및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적상되는 서리에 의해 변화되는 수광량을 감지하는 포토센서의 감지신호와 함께 냉각파이프를 가열하는 발열파이프의 가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발열파이프의 오작동 방지에 따른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증발기의 과(跨)냉각 현상을 실시간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저온창고에서 자연대류식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장치(실용신안등록출원:제 2004-25038호, 특허이중출원:제 2005-32448호, 특허출원: 제2005-74783호)를 출원하여 등록된 바 있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증발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냉방장치(200)는, 창고의 외부에 설치되는 실외기(200a)와, 상기 실외기(200a)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 냉각파이프(210) 및 이 냉각파이프(2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을 가지며, 냉각파이프(210)에 공급된 냉매를 교축시켜 창고에 냉기를 제공하는 증발기(200b)와, 상기 증발기(200b)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조(25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증발기(200b)는 냉각파이프(210)의 과(跨)냉각을 방지하기 위해 고열을 제공하는 발열파이프(230)와, 상기 발열파이프(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냉방장치(200)는 창고의 내부에 증발기(200b)를 노출시켜 창고 내의 온도차에 의해 자연대류식으로 순환되면서 창고를 냉각시키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200b)는 전원부(240)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간헐적으로 발열하는 발열파이프(230)에 의해 서리가 제거(제상)된다.
또한 다른 일례로, 증발기(200b)가 가동되는 시간 즉, 증발기(200b)가 가동되지 않을 때의 휴지시간을 제외한 증발기(200b)의 가동 시간만을 카운터 하여 전원부(240)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간헐적으로 발열하는 발열파이프(230)에 의해 서리가 제상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시간 간격마다 5분씩 발열파이프(230)가 가동될 수 있게 설정한 경우, 상기 증발기(200b)는 창고 내부의 설정 온도에 맞춰 가동되기 때문에 항시적으로 가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창고 내부 온도에 의해 휴지되는 시간을 제외한 가동시간만을 카운트하고 적산하여 설정된 4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발열파이프(230)는 5분 동안 가동되어 제상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성들은 증발기(200b)의 과냉각(결빙)상태와 상관없이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제상을 실시하므로, 냉각파이프(210)에 서리가 과도하게 적상되어도 이를 제때 제상 시킬 수 없으며, 전력소비도 많이 드는 문제도 있다.
이렇게 서리를 제때 제상시키지 못할 경우, 일정시간 작동하는 발열파이프는 냉각파이프에 과도하게 적상된 성에를 모두 제거할 수 없다.
따라서 증발기에는 다량의 서리가 그대로 잔존하게 되어, 냉방장치의 냉방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증발기의 냉각파이프 표면에 서리가 적상되어 과(跨)냉각에 의한 냉방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적상되는 서리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를 제거할 수 있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적상되는 서리의 적상량에 따른 제상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증발기에 결합된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서리가 적상되면, 적상된 서리에 의해 통전되는 전극센서의 통전신호 및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적상되는 서리에 의해 변화되는 수광량을 감지하는 포토센서의 감지신호와 함께 발열파이프의 가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냉매파이프의 표면에 적상된 서리를 완전히 제거하고, 더불어 발열파이프의 오작동 방지에 따른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증발기의 과(跨)냉각 현상을 실시간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외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 냉각파이프 및 상기 냉각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가지며, 냉각파이프에 공급된 냉매를 교축시켜 저온창고에 냉기를 제공하는 증발기와, 증발기에 결합되어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조와, 상기 증발기에 설치되어 발열하면서 고열을 제공하는 발열파이프와, 상기 발열파이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구성되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냉각파이프에 적상되는 서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 1전극판과, 제 2전극판이 상호 이격공간을 두고 단락된 상태로 배치되는 전극센서;와, 발광부로부터 발진된 광이 증발기에 구비된 냉각파이프의 표면을 반사하여 수광부로 입사될 때, 수광량의 변화에 의해 서리의 유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 및 상기 전극센서의 통전과, 포토센서의 수광량 변화가 함께 감지될 때 발열파이프에 대한 전류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냉각파이프에 적상된 서리를 제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발명은, 제 1발명에서, 상기 전극센서는 서리의 적상량에 따라 통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리니어가이드와, 상기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니어모터의 슬라이더가 제 2전극판과 결합되어 상기 제 1전극판에 대해 제 2전극판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발명은, 제 2발명에서,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서보모터와, 서보모터에 결합된 볼스크류로 구성되고, 상기 볼스크류는 제 2전극판과 스크류 결합되어 제 1전극판에 대해 제 2전극판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에 따르면, 냉각파이프에 적상되는 서리의 두께에 따른 제상여부를 조절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제상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극센서에 서리 이외에 이물질이 삽입되어 통전 된다 하더라도, 포토센서의 감지신호와 함께 발열파이프의 가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냉매파이프의 표면에 적상된 서리를 완전히 제거하고, 더불어 발열파이프의 오작동 방지에 따른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증발기의 과(跨)냉각 현상을 실시간으로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반대로 포토센서를 통해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서리가 감지된다 하더라도, 전극센서가 통전되지 않으면 서리의 적상량이 기준치 이하임을 판단하여 발열파이프를 가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기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발췌된 증발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4는 증발기에서 본 발명의 전극센서와, 포토센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센서의 설치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포토센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연대류식 냉방장치(200)는 창고의 내부에 증발기(200b)를 노출시켜 자연대류식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창고의 외부에 설치되는 냉매를 응축 및 압축하여 공급하는 실외기(200a)와, 상기 실외기(200a)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 냉각파이프(210) 및 이 냉각파이프(2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을 가지며, 냉각파이프(210)에 공급된 냉매를 교축시켜 저온창고에 냉기를 제공하는 증발기(200b)와, 상기 증발기(200b)에 설치되어 발열하면서 고열을 제공하는 발열파이프(230)와, 상기 발열파이프(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증발기(200b)의 냉기의 발산은 냉매파이프(210) 및 상기 냉매파이프에 부착된 냉각핀(211)을 통해 냉기를 발산한다.
이러한 상기 자연대류식 냉방장치(200)는 증발기(200b)를 창고의 내부에 노출시켜 온도차이에 의한 자연대류방식에 의해 창고의 내부에 냉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의 블럭구성도이고, 도 4는 증발기에서 본 발명의 전극센서와, 포토센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센서의 설치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포토센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은 증발기(200b)의 냉각파이프(210) 표면에 서리가 적상되어 과(跨)냉각에 의해 냉방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적상되는 서리를 감지하여 발열파이프를 통해 서리를 제거(제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100)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전극센서(110)와, 포토센서(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센서(110)는 통전에 의해 냉각파이프(210) 표면에 적상되는 서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 1전극판(111)과, 제 2전극판(112)이 상호 이격공간을 두고 단락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전극센서(110)는 제 1전극판(111)과, 제 2전극판(112)의 이격공간에 서리가 충진되어 제 1전극판(111)과, 제 2전극판(112)을 통해 전기가 통전되면, 과(跨)냉각된 냉각파이프(210)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 때 제 1전극판(111)은 냉각파이프(210)에 접지시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전극판(112)은 별도의 전원 또는 전원부(240)에 연결시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극센서(110)는 냉각파이프(210)의 표면에 적상되는 서리의 적상량에 따라 통전 여부가 제어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간격조절수단(120)은 증발기(200b)의 규모의 크기에 따라 냉각파이프(210)의 표면에 적상되는 서리의 적상량을 임의로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증발기(200b)의 규모의 크기에 따라 냉각파이프(210)의 직경도 달라지는 바, 적상량에 따른 발열파이프(210)의 가동여부를 임의로 조절하여 전력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간격조절수단(120)은 정밀 제어가 가능하도록 리니어가이드(121a)와, 상기 리니어가이드(121a)를 따라 이송되는 슬라이더(121b)로 구성된 리니어모터(linear mot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리니어모터는 리니어가이드(121a)를 따라 이송되는 슬라이더(121b)를 제 2전극판(112)과 결합시켜 상기 제 1전극판(111)에 대해 제 2전극판(112)이 승강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에서 리니어가이드(121a)는 실시예로 냉각핀(211)에 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집수조(250)의 바닥에 고정시켜 구성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격공간을 승강하는 제 2전극판(112)을 통해 제 1전극판(111)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이격공간에 충진되는 서리의 적상량에 따른 발열파이프의 가동여부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전극센서(110)는 냉각파이프(210)의 표면과 단락된 상태로 배치되는 단일의 제 1전극판(111)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전극판(111)은 리니어모터의 슬라이더(121b)에 결합되어 냉각파이프(210)의 표면에서 승강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간격조절수단(120)은 도 5의 (B)와 같이, 서보모터(122)와, 서보모터(122)에 결합된 볼스크류(122a)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볼스크류(122a)는 제 2전극판(112)과 스크류 결합되어 제 1전극판(111)에 대해 제 2전극판(112)이 볼스크류(122a)를 따라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서보모터(122)는 냉각핀(211)에 결합된 브라켓(123)에 고정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는 서보모터(122)의 정/역회전과 더불어 회전RPM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결과적으로 서리의 적상량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5의 (C)와 같이, 상기 전극센서(110)는 냉각파이프(210)의 표면과 단락된 상태로 배치되는 단일의 제 1전극판(111)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전극판(111)은 서보모터(122)와 결합된 볼스크류(122a)에 스크류 결합되어 냉각파이프(210)의 표면에서 승강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D)와 같이, 상기 간격조절수단(120)은 냉각핀에 고정된 지지봉(124)에 베어링(124a) 결합되는 볼스크류(122a)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는 볼스크류(122a)를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로 회전시켜 볼스크류(122a)에 스크류 결합된 제 2전극판(112)이 승강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제 1전극판(111)과 제 2전극판(112)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서리의 적상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E)와 같이, 상기 전극센서(110)가 냉각파이프(210)의 표면과 단락된 상태로 배치되는 단일의 제 1전극판(111)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제 1전극판(111)은 볼스크류(122a)에 스크류 결합되어 냉각파이프(210)의 표면에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포토센서(130)는 냉각핀(211)과 냉각핀(211) 사이 공간에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전극센서(110)의 제 1전극판(111)과 제 2전극판(112)의 이격공간 사이에 이물질이 삽입되어 통전될 경우, 제어부(140)의 오판단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와 같이, 발광부(131)로부터 발진된 광이 증발기(200b)에 구비된 냉각파이프(210)의 표면을 반사하여 수광부(130)로 입사될 때, 수광량의 변화에 의해 서리의 유무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포토센서(130)는 전원부(240) 또는 별도의 전원 또는 전극센서(11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전극센서(110)의 통전과, 포토센서(130)의 수광량 변화량이 함께 감지될 때 발열파이프(230)에 대한 전류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냉각파이프(210)에 적상된 서리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7과 같이,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서리가 적상될 경우, 먼저 포토센서가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적상된 서리를 유무를 먼저 감지하게 된다.(S100)
이 후 전극센서의 제 1전극판과 제 2전극판의 이격공간에 서리가 충진되어 통전되면 통전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하게 된다.(S200)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전극센서의 통전에 따른 통전신호를 입력받고, 포토센서의 수광량의 변화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극센서가 이물질로 인해 통전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발열파이프에 대한 전류인가를 승인하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반대로 포토센서의 감지신호가 제어부로 입력되고, 전극센서의 통전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에는, 냉각파이프에 적상된 서리의 적상량이 기준치 이하로 판단하여 발열파이프에 대한 전류인가를 승인하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전극센서의 통전에 따른 통전신호와 더불어 포토센서의 수광량 변화에 따른 감지신호가 함께 입력될 때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서리가 기준치 이상으로 적상된 상태 즉, 과(跨)냉각된 상태라고 판단하여 제어부에서 발열파이프의 전류인가를 승인하는 출력신호가 제공토록 하는 것이다.
이 후 발열파이프가 가동되어 냉각파이프에 적상된 서리를 제거하게 된다.(S300)
그리고 발열파이프가 가동됨에 따라 서리가 일부가 제거되면 전극센서가 통전되지 않게 된다.(S400)
하지만 포토센서에서는 발열파이프의 표면에 잔존 된 서리에 의해 수광량의 변화가 계속해서 감지신호로 입력되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서리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음을 판단하고 발열파이프에 전류인가를 승인하는 출력신호를 계속해서 제공한다.
이 후 포토센서의 수광량의 변화에 따른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서리가 완전히 제거된 것으로 판단하고 발열파이프에 대한 전류인가를 승인하는 출력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S500)
그러면 상기 발열파이프의 가동은 중지(S600)되어 종료된다.
한편 상기에서 제어부는 냉각파이프에 적상된 서리가 발열파이프의 가동으로 제거될 경우, 전극센서의 통전 여부만으로 발열파이프의 가동을 정지할 수 있으나, 이는 잔존 서리 즉, 서리가 완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로써, 본 발명은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적상된 서리에 의해 통전되는 전극센서의 통전 여부와 더불어 냉각파이프의 표면에 적상된 서리에 의해 변화되는 수광량을 비교 판단하고, 이를 통해 냉각파이프를 가열하는 발열파이프의 가동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발열파이프의 오작동에 따른 전력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과냉각 현상을 실시간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100)는 집수조(250)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조(250)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110: 전극센서 111: 제 1전극판 112: 제 2전극판
120: 간격조절수단 121a: 리니어가이드 121b: 슬라이더
122: 서보모터 122a: 볼스크류
123: 브라켓 124: 지지봉
124a: 베어링
130: 포토센서 131: 발광부 132: 수광부
140: 제어부
200: 종래의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냉방장치
200a: 실외기
200b: 증발기 210: 냉각파이프 211: 냉각핀
220: 지지프레임 230: 발열파이프
240: 전원부 250: 집수조

Claims (4)

  1. 실외기(200a)로부터 냉매를 공급받는 냉각파이프(210) 및 상기 냉각파이프(210)를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20)을 가지며, 냉각파이프(210)에 공급된 냉매를 교축시켜 저온창고에 냉기를 제공하는 증발기(200b)와, 증발기(200b)에 결합되어 응축수를 집수하는 집수조(250)와, 상기 증발기(200b)에 설치되어 발열하면서 고열을 제공하는 발열파이프(230)와, 상기 발열파이프(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40)로 구성되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00b)의 냉각파이프(210)에 적상되는 서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 1전극판(111)과, 제 2전극판(112)이 상호 이격공간을 두고 단락된 상태로 배치되는 전극센서(110);
    발광부(131)로부터 발진된 광이 증발기(200b)에 구비된 냉각파이프(210)의 표면을 반사하여 수광부(132)로 입사될 때, 수광량의 변화에 의해 서리의 유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130); 및
    상기 전극센서(110)의 통전과, 포토센서(130)의 수광량 변화가 함께 감지될 때 발열파이프(230)에 대한 전류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여 냉각파이프(210)에 적상된 서리를 제거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센서(110)는 서리의 적상량에 따라 통전 여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간격조절수단(1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120)은 리니어가이드(121a)와, 상기 리니어가이드(121a)를 따라 이송되는 슬라이더(121b)로 구성되는 리니어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니어모터의 슬라이더(121b)가 제 2전극판(112)과 결합되어 상기 제 1전극판(111)에 대해 제 2전극판(112)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수단(120)은 서보모터(122)와, 서보모터(122)에 결합된 볼스크류(122a)로 구성되고,
    상기 볼스크류(122a)는 제 2전극판(112)과 스크류 결합되어 제 1전극판(111)에 대해 제 2전극판(112)이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KR1020100042016A 2010-05-04 2010-05-04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KR100973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016A KR100973070B1 (ko) 2010-05-04 2010-05-04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PCT/KR2010/008426 WO2011139011A1 (ko) 2010-05-04 2010-11-26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016A KR100973070B1 (ko) 2010-05-04 2010-05-04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070B1 true KR100973070B1 (ko) 2010-07-29

Family

ID=4264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016A KR100973070B1 (ko) 2010-05-04 2010-05-04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3070B1 (ko)
WO (1) WO201113901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369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신진에너텍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감지센서를 이용한 냉동시스템 증발기의 제상장치
KR101788095B1 (ko) 2016-08-04 2017-11-16 주식회사 신아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
KR101911729B1 (ko) * 2018-08-20 2018-10-25 노봉호 저장성이 개선된 두부 저장 창고
KR102387389B1 (ko) * 2021-09-15 2022-04-15 아브라텍 주식회사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
KR20230031653A (ko) * 2021-08-27 2023-03-07 세연기업 주식회사 복합 열원 축냉축열 냉난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9604A (zh) * 2020-05-18 2020-08-25 中国华能集团有限公司 一种烟气低温吸附脱硫方法
CN111569603A (zh) * 2020-05-18 2020-08-25 中国华能集团有限公司 一种基于低温吸附原理的烟气一体化脱硫脱硝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557A (ja) * 1994-09-19 1996-04-02 Ishizuka Denshi Kk 着霜検知器
JPH1163791A (ja) 1997-08-12 1999-03-05 Ishizuka Denshi Kk 着霜検知器
JPH1194437A (ja) 1997-09-19 1999-04-09 Ishizuka Electronics Corp 着霜検知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9837A (ko) * 1973-06-04 1975-01-31
KR970011714A (ko) * 1995-08-31 1997-03-27 배순훈 냉장고의 제상주기결정장치 및 방법
KR200146723Y1 (ko) * 1996-10-30 1999-06-15 전주범 착상센서를 이용한 냉장고용 제상시스템
JP2001264446A (ja) * 2000-03-22 2001-09-26 Tdk Corp 静電容量型物体検知装置及び冷却器の霜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557A (ja) * 1994-09-19 1996-04-02 Ishizuka Denshi Kk 着霜検知器
JPH1163791A (ja) 1997-08-12 1999-03-05 Ishizuka Denshi Kk 着霜検知器
JPH1194437A (ja) 1997-09-19 1999-04-09 Ishizuka Electronics Corp 着霜検知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30369A1 (ko) * 2013-08-26 2015-03-05 주식회사 신진에너텍 적외선 발광다이오드 감지센서를 이용한 냉동시스템 증발기의 제상장치
US9657983B2 (en) 2013-08-26 2017-05-23 Sinjin Enertec Co., Ltd. Apparatus for defrosting evaporator in refrigeration system using infrared emitting diode sensor
KR101788095B1 (ko) 2016-08-04 2017-11-16 주식회사 신아 냉각기용 열교환기의 성에제거 장치
KR101911729B1 (ko) * 2018-08-20 2018-10-25 노봉호 저장성이 개선된 두부 저장 창고
KR20230031653A (ko) * 2021-08-27 2023-03-07 세연기업 주식회사 복합 열원 축냉축열 냉난방 시스템
KR102581417B1 (ko) 2021-08-27 2023-09-22 세연기업 주식회사 복합 열원 축냉축열 냉난방 시스템
KR102387389B1 (ko) * 2021-09-15 2022-04-15 아브라텍 주식회사 냉동기의 성에 제거용 자동 제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39011A1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070B1 (ko) 저온창고용 자연대류식 증발기의 결빙제거장치
JP4937032B2 (ja) 冷却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冷蔵庫
US9404679B2 (en) Cooling system and cooling method
JP4767053B2 (ja) 冷凍空調装置
SE529598C2 (sv) Flödeskontroll av köldmedia
JP201125264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CN110887315A (zh) 冰箱化霜检测装置、冰箱化霜控制方法及冰箱
CN109405179A (zh) 空调系统及空调系统的控制方法
JP2011252681A (ja) 冷蔵庫
KR20180124556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322812A (zh) 风冷冰箱智能进入化霜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冰箱
CN105848446B (zh) 一种智能化水冷控制系统
DK2757335T3 (en) Refrigerator with defrost and control method
JP4937077B2 (ja) 着霜検出装置
CN110940135A (zh) 冰箱及其化霜检测装置和化霜控制方法
JP5390960B2 (ja) 熱源システム又は空調システムの性能評価方法及び性能評価装置
JP2003130494A (ja) 地中熱交換器を利用した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その空気調和システムの運転方法
JP5183729B2 (ja) 冷凍空調装置
KR20100132178A (ko) 지능형 제상기능을 갖는 유닛쿨러
KR200455588Y1 (ko) 양어장 히트펌프용 수온조절장치
KR20110100098A (ko) 공랭식 냉각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00032532A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170005651A (ko) 저온 저장고용 실내기 및 그의 제상 제어방법
CN116964387A (zh) 用于监测热泵的方法、计算机程序产品和系统
KR102383713B1 (ko) 집게 형태의 센서부를 구비한 증발기의 자동 제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