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928B1 -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928B1
KR100972928B1 KR20070096578A KR20070096578A KR100972928B1 KR 100972928 B1 KR100972928 B1 KR 100972928B1 KR 20070096578 A KR20070096578 A KR 20070096578A KR 20070096578 A KR20070096578 A KR 20070096578A KR 100972928 B1 KR100972928 B1 KR 100972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ting
called
exchange
content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9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904A (ko
Inventor
김진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70096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928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9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신측으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 착신측 또는 발신측으로 인사말 콘텐츠를 송출하도록 하기 위한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하고, 특정 구성의 요청에 따라 저장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 또는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교환기;를 포함하여, 착신측으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재미있고 개성 있는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서로 간의 통화 분위기를 한층 업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70096578
인사말

Description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Greeting}
본 발명은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신측으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 착신측 또는 발신측으로 인사말 콘텐츠를 송출하도록 하기 위한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신망 운용자는 호 연결을 시도하는 통신망 가입자에게 보다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뚜뚜"와 같은 기계음 대신 착신 단말기 가입자에 의해 기 설정된 멜로디 형식의 통화 대기음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통화 대기음은 대중가요, 클래식, CF 음악, 팝송, 사용자가 직접 녹음하는 멜로디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개인 단말(PC)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대기음 설정을 변경한다.
그러나, 현재 통신망 운용자 측에서 가입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는 통화 대기음과 같이 통화 연결 중에만 제공하는 것으로,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 이후에 발신측 또는 착신측으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서비스는 제공되고 있지 않다.
즉, 발신측과 착신측 간에 통화 연결이 이루어지면, 다소 어색한 분위기에서 대화를 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착신측으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측으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하고, 특정 구성의 요청에 따라 저장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신측 교환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 하는 동시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인사말 콘텐츠 요청 및 수신한다.
다른 본 발명은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하고, 특정 구성의 요청에 따라 저장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발신측 교환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발신측 교환기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 송하는 동시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인사말 콘텐츠 요청 및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 음원/동영상 설정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비롯한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 제공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원/동영상 선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음원/동영상을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 및 상기 착신측 교환기 또는 발신측 교환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교환기로 전송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음원 녹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 처리하여 인사말 콘텐츠로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로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의 인 사말 콘텐츠로 등록하도록 하는 인사말 콘텐츠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사말 서비스 모드의 온/오프를 전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피쳐 코드(Feature Code)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여 인사말 서비스의 모드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착신측 교환기 및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인사말 서비스 방법으로서,
a)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의 체크 결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복수의 인사말 콘텐츠로부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의 체크 결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착신측 교환기 및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인사말 서비스 방법으로서,
a)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발신측 교환기가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의 체크 결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복수의 인사말 콘텐츠로부터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발신측 교환 기가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의 체크 결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착신측 교환기 및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인사말 서비스 방법으로서,
a)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a) 단계의 체크 결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d)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복수의 인사말 콘텐츠로부터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의 체크 결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가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기 저장된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원/동영상 선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음원/동영상을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음원 녹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유무선 단말기 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 처리하여 인사말 콘텐츠로 생성하는 단계; 및 녹음 처리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인사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로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인사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로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착신측으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재미있고 개성 있는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서로 간의 통화 분위기를 한층 업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신측으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흥미로운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망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이 발생될 때, 착신측에 의해서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으로 전송하는 경우와 발신측에 의해서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으로 전송하는 경우와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과 착신측 모두로 전송하는 경우로 구분한다.
먼저,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하고, 특정 구성의 요청에 따라 저장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10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신측 교환기(2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착신측 교환기(2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 페이징 하는 동시에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 ISUP(ISDN User Part)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인사말 콘텐츠 요청 및 수신한다.
두 번째로,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 하고, 특정 구성의 요청에 따라 저장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200)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교환기(20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발신측 교환기(1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발신측 교환기(10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200)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인사말 콘텐츠 요청 및 수신한다.
세 번째로,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하고, 특정 구성의 요청에 따라 저장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10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신측 교환기(2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개시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인사말 서비스 모드의 온/오프를 전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피쳐 코드(Feature Code)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여 인사말 서비스의 모드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한다.
또한, 도 1에서 개시하는 인사말 콘텐츠는 자신을 상대방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음악, 소리, 인사말, 효과음, 이미지,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이다.
예를 들어, 인사말 콘텐츠는 『여보세요, Hello』등의 관용어를 성우나 배우가 발음한 음원, 『○○○입니다.』 등의 자기를 소개하는 음원, 영화 등에서 감명 깊었거나 재미있었던 대사, 딩동댕과 같은 효과음, 기업을 홍보하는 효과음, 자신이 직접 녹음한 음원, 특정 캐릭터를 이용하여 인사말을 전하는 동영상 등과 같은 형태이다.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에 의해 등록된 음원 형태의 인사말 콘텐츠와 동영상 형태의 인사말 콘텐츠를 모두 저장하고, 음성 통화 시, 음원 형태의 인사말 콘텐츠를 제공하고, 영상 통화 시, 동영상 형태의 인사말 콘텐츠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영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는 동영상 형태의 인사말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것과 같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10),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 제공부(320), 인사말 콘텐츠 생성부(330),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340), 인사말 콘텐츠 제공부(350) 및 데이터베이스(36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한다.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 제공부(320)는 유무선 단말기(10, 30, 50)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360)로부터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10, 30, 50)로 제공한다.
인사말 콘텐츠 생성부(330)는 유무선 단말기(10, 30, 50)로부터 음원 녹음 요청을 수신하면, 유무선 단말기(10, 30, 50)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 처리하여 인사말 콘텐츠로 생성하고, 이를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340)로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의 인사말 콘텐츠로 등록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사말 콘텐츠를 사용자의 목소리, 직접 녹음한 음원 등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인사말 콘텐츠 생성부(330)는 유무선 단말기(10, 30, 5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 처리한다.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34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 유무선 단말기(10, 30, 50)로부터 전송되는 음원/동영상 선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음원/동영상을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인사말 콘텐츠 제공부(350)는 착신측 교환기(200) 또는 발신측 교환기(1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360)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교환기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360)는 음원/동영상 설정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비롯한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콘텐츠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의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 제공부(320)는 유무선 단말기(10, 30, 50)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기 저장된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10, 30, 50)로 전송한다(S101). 여기에서,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는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 /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한다.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 제공부(320)는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 유무선 단말기(10, 30, 50)로부터 전송되는 음원/동영상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103).
만약, 단계 S103에서 유무선 단말기(10, 30, 50)로부터 음원 녹음 요청을 수신하면, 인사말 콘텐츠 생성부(330)는 유무선 단말기(10, 30, 50)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 처리하여 인사말 콘텐츠로 생성한다(S105, S107).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340)는 단계 S107에서 녹음 처리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360)에 등록한다(S109).
한편, 단계 S103에서 인사말 콘텐츠로 설정한 음원/동영상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인사말 콘텐츠 생성부(300)는 수신한 음원/동영상 선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음원/동영상을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360)에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200)는 홈 위치 등록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S201, S203).
단계 S203의 체크 결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2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의 ISUP(ISDN User Part) 통화 경로를 연결한다(S205).
이후, 착신측 교환기(2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S207),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한다.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착신측 교환기(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60)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인사말 콘텐츠로부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착신측 교환기(200)로 전송한다(S209).
여기에서, 착신측 교환기(200)는 단계 S205에서 연결된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 및 수신한다.
착신측 교환기(200)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10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211, S213).
이후, 착신측 교환기(200)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의 ISUP 통화 경로 연결을 종료한다(S215).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100)는 홈 위치 등록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S301, S303).
단계 S303의 체크 결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발신측 교환기(100)는 착신측 교환기(200)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의 ISUP(ISDN User Part) 통화 경로를 연결한다(S305).
발신측 교환기(1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S307),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한다.
이어서,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발신측 교환기(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60)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인사말 콘텐츠로부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발신측 교환기(100)로 전송한다(S309).
여기에서, 발신측 교환기(100)는 단계 S305에서 연결된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 및 수신한다.
발신측 교환기(100)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교환기(20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311, S313).
이후, 발신측 교환기(100)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의 ISUP 통화 경로 연결을 종료한다(S315).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서비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모두 인사말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200)는 홈 위치 등록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S401, S403).
단계 S403의 체크 결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2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 페이징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의 ISUP(ISDN User Part) 통화 경로를 연결한다(S405).
이후, 착신측 교환기(20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S407),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에 의해 설정 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한다.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는 착신측 교환기(2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360)에 기 저장된 복수의 인사말 콘텐츠로부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착신측 교환기(200)로 전송한다(S409).
여기에서, 착신측 교환기(200)는 단계 S405에서 연결된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 및 수신한다.
착신측 교환기(200)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100)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411, S413).
이와 동시에, 착신측 교환기(200)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30)로 전송한다(S415).
이후, 착신측 교환기(200)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300)와의 ISUP 통화 경로 연결을 종료한다(S415).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서비스 모드의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인사말 서비스에 가입한 이동통신 단말기(10, 30)의 부가 서비스 정보는 홈 위치 등록기(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 30)는 인사말 서비스 모드의 온/오프를 전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피쳐 코드(Feature Code)를 교환기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로 전송한다(S501).
교환기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는 이동통신 단말기(10, 30)로부터 전송되는 피쳐 코드를 수신하면, 이전에 설정된 인사말 서비스 모드를 온(On, 활성화)에서 오프(Off, 비활성화)로 전환하거나 또는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고, 이를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여 홈 위치 등록기 상에 저장되어 있는 인사말 서비스 모드도 전환하도록 한다(S503, S505).
이어서, 홈 위치 등록기는 교환기 및 방문자 위치 등록기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따라 인사말 서비스 모드를 전환한다(S507).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은 착신측으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이 발생하면, 착신측 또는 발신측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재미있고 개성 있는 인사말 콘텐츠를 전송할 필요성이 높은 것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과 통신망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콘텐츠 등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서비스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서비스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서비스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인사말 서비스 모드의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이동통신 단말기 50 : 유선 단말기
100 : 발신측 교환기 200 : 착신측 교환기
300 :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 310 : 통신 인터페이스부
320 :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 제공부 330 : 인사말 콘텐츠 생성부
340 :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 350 : 인사말 콘텐츠 제공부
360 : 데이터베이스

Claims (17)

  1.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하고, 특정 구성의 요청에 따라 저장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착신측 교환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 제공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원/동영상 선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음원/동영상을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 및
    상기 착신측 교환기 또는 발신측 교환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교환기로 전송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는,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 하는 동시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인사말 콘텐츠 요청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3.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등록 및 저장하고, 특정 구성의 요청에 따라 저장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 및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발신측 교환기;
    를 포함하고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 제공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원/동영상 선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음원/동영상을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 및
    상기 착신측 교환기 또는 발신측 교환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교환기로 전송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는,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호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인사말 콘텐츠 요청 및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음원/동영상 설정을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비롯한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음원 녹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 처리하여 인사말 콘텐츠로 생성하고, 이를 상기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로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의 인사말 콘텐츠로 등록하도록 하는 인사말 콘텐츠 생성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사말 서비스 모드의 온/오프를 전환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피쳐 코드(Feature Code)를 상기 홈 위치 등록기로 전송하여 인사말 서비스의 모드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8. 착신측 교환기 및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인사말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가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기 저장된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c)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의 체크 결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복수의 인사말 콘텐츠로부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체크 결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방법.
  10. 발신측 교환기 및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인사말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가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기 저장된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발신측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c) 발신측 교환기가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의 체크 결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복수의 인사말 콘텐츠로부터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발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체크 결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발신측 교환기가 상기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방법.
  12. 착신측 교환기 및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의 인사말 서비스 방법으로서,
    a)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가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기 저장된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b)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착신측 교환기가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c)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단계;
    d) 상기 b) 단계의 체크 결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e)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가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복수의 인사말 콘텐츠로부터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착신측 교환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체크 결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페이징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의 ISUP 통화 경로를 연결하고,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착신측 교환기가 상기 ISUP 통화 경로를 통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방법.
  14. 제8항, 제10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원/동영상 선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음원/동영상을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음원 녹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유무선 단말기를 통해 전송되는 음성을 녹음 처리하여 인사말 콘텐츠로 생성하는 단계; 및
    녹음 처리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등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사말 서비스 방법.
  16.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인사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로서,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 제공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원/동영상 선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음원/동영상을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 및
    착신측 교환기 또는 발신측 교환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교환기로 전송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또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착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발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17. 사용자별 인사말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인사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교환기로서,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는,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인사말로 제공할 음원/동영상 설정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복수의 음원/동영상 및 음원/동영상 설정 방법을 포함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제공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 리스트 제공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되어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원/동영상 선택 정보를 기초로 해당 사용자의 음원/동영상을 설정하고, 설정한 정보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식별번호와 매칭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인사말 콘텐츠 설정부; 및
    착신측 교환기 또는 발신측 교환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인사말 콘텐츠를 추출하여 해당 교환기로 전송하는 인사말 콘텐츠 제공부;
    를 포함하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이 시도됨에 따라, 홈 위치 등록기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인사말 서비스가 활성화 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활성화 모드인 경우 착신측 교환기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Answer)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인사말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발신측에 의해 설정된 인사말 콘텐츠를 착신측 교환기를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KR20070096578A 2007-09-21 2007-09-21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972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6578A KR100972928B1 (ko) 2007-09-21 2007-09-21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96578A KR100972928B1 (ko) 2007-09-21 2007-09-21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904A KR20090030904A (ko) 2009-03-25
KR100972928B1 true KR100972928B1 (ko) 2010-07-28

Family

ID=4069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96578A KR100972928B1 (ko) 2007-09-21 2007-09-21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9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177B1 (ko) * 2009-09-04 2011-02-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메시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318A (ko) * 1999-10-29 2001-05-15 이성태 이동전화단말기의 화상전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9318A (ko) * 1999-10-29 2001-05-15 이성태 이동전화단말기의 화상전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904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8083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ubscriber-based ringback tone
CN1878201B (zh) 一种利用回铃音提供呈现信息的方法和系统及回铃音设备
US20140105107A1 (en) Instant video and voicemail messaging method and means
EP1696645A1 (en) Caller information provision
JP2005510185A (ja) 複数利用者に対するボイスメール・メッセージの送信
KR100591993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개인정보 송출방법 및그 장치
CN101835108B (zh) 一种定制来电助手业务提醒信息的系统和方法
US200900412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voice messages
EP2073520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ing back tone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12530984A (ja) 複数の受信機に電子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
KR101130810B1 (ko) 수신알람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수신알람음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1298535A (ja) 公衆交換電話網を介して選択された電子メールを通知し聞き取るサービスを備えた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623118B1 (ko) 광고 파일 송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2928B1 (ko) 인사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2472A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스팸 콜 제어 서비스 방법
EP111724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notated voice mail response
JP2007515087A (ja) 固定ネットワークまたは携帯電話ネットワークによって互いに接続されている少なくとも二つのマルチメディア端末の間で通信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80027208A (ko) 이동전화 발신통화 호 처리 과정(통화 연결 음 및 응답또는 무응답)을 발신자 단말기 화면을 통한 이미지로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0301B1 (ko)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736764B1 (ko) 국제 통신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장치
KR100823439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706902B1 (ko) 립싱크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465916B1 (ko) 무선 통신망에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통합 채널의구성 방법 및 장치
CN101753736A (zh) 一种回复主叫用户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