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727B1 -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단말기 - Google Patents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727B1
KR100972727B1 KR1020087007190A KR20087007190A KR100972727B1 KR 100972727 B1 KR100972727 B1 KR 100972727B1 KR 1020087007190 A KR1020087007190 A KR 1020087007190A KR 20087007190 A KR20087007190 A KR 20087007190A KR 100972727 B1 KR100972727 B1 KR 100972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hannel
error correction
coding
channel informa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8498A (ko
Inventor
가즈히사 오부찌
히데또 후루까와
가즈오 가와바따
요시하루 다지마
요시히로 가와사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8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1Arrangements at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82Adaptive codeb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04L1/0004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04L1/0047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 H04L1/0048Decoding adapted to other signal detection operation in conjunction with detection of multiuser or interfering signals, e.g. iteration between CDMA or MIMO detector and FEC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78Avoidance of errors by organising the transmitted data in a format specifically designed to deal with errors, e.g.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6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 H04L25/067Dc level restoring means; Bias distortion correction ; Decision circuits providing symbol by symbol detection providing soft decisions, i.e. decisions together with an estimate of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32Carrier system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H04L27/02, H04L27/10, H04L27/18 or H04L27/26
    • H04L27/34Amplitude- and 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e.g. quadrature-amplitude modulated 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MIMO를 적용하는 전송에서는 가변 파라미터의 수가 증가하여, 제어 채널에 필요한 정보 비트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도 6, III). 또한, 하나의 프레임에서 동시 다중 유저수가 증가한 경우에도, 제어 채널의 정보는 유저수에 비례해서 증대한다는 문제를 해결한다. 적응 부호화 변조 방식에 의한 제어 채널 정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된 제어 채널 정보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조정하여 전송하고, 또한, 전파 상태에 따라서,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에서의 부호화율을 가변으로 한다.
Figure R1020087007190
MIMO, 부호화율, 오류 정정 부호화, 제어 채널. 전파 상태, 가변 파라미터

Description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 단말기{CONTROL CHANNEL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AND BASE STATION AND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 채널을 이용해서 적응적으로 통신 파라미터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패킷 통신용 제어 채널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제3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패킷의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적응 변복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스케줄링 등의 적응 무선 링크가 이용된다.
이들 적응 무선 링크 제어는, 개별 또는 공유의 제어 채널을 이용해서 행해지고, 제어 채널과 거의 동시에 전송되는 데이터 채널에서 사용하고 있는 링크 파라미터를 각 유저 단말기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적응 부호화 변조(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방식의 경우, 제어 채널은 데이터 채널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HARQ의 경우, 제어 채널은 데이터 채널에서 전송되는 패킷의 패킷 번호나 재송 횟 수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스케줄링의 경우, 제어 채널은 유저 ID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제3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을 위한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tocol)에서 표준화되어 있는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에서는, 비특허 문헌1에 기재된 바와 같이, HS-SCCH(Shared Control Channel for HS-DSCH)라고 불리는 공통 제어 채널을 이용해서,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어 정보의 전송이 행해진다.
Figure 112008021524916-pct00001
또한, 상기 HSDPA에서는, 무선 환경과 전송 속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1에서, AMC 방식의 경우, 무선 환경 I의 변화에서 전파 상태가 좋은 경우(임계값 레벨TH를 초과할 때)에는, 변조 방식을 16치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으로서 부호화율을 크게 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한편, 전파 상태가 나쁜 경우(임계값 레벨 TH 이하일 때)에는, 변조 방식을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로서 부호화율을 작게 하여, 저속으로 데이터 전송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AMC 방식에 의해 유저의 전송 속도를 바꿈으로써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행해진다. 즉,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HSDPA에서는, 전파 상태 I에 따라서 유저 데이터인 HS-DSCH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을 가변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유저 데이터에 관한 제어 정보인 HS-SCCH도 유저 데이터(HS-DSCH)와 함께 전송된다.
그러나, 이 때, 제어 정보인 HS-SCCH에 대해서는, 무선 환경과 정보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정보 IV에 대한 오류 정정 부호화의 부호화율이 일정하고, 따라서 무선 환경 I의 좋고 나쁨에 상관없이, 전송되는 정보량은 일정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무선 환경 I가 양호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전송되는 제어 정보에 대하여 과잉 품질로 된다.
또한, 차세대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기 위해서, 멀티 캐리어 전송이나 복수 안테나를 이용한 다입력 다출력(MIM0: Multi Input Multi Output) 전송이 이용된다. 이 경우, 서브 캐리어마다나 송신 안테나마다의 무선 파라미터의 적응 제어가 이용됨으로써 전송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MIMO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파 상태 I의 좋음/나쁨에 따라서, MIMO 적용의 있음/없음의 제어가 행해진다. 즉, MIMO 적용의 유무와 전송 속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3에서, MIMO 적용의 경우에는, 전송 속도가 높아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전송 속도는 낮아진다.
또한, 본 출원인은, 먼저, MIM0를 이용하는 전송 시스템에서, 소정의 조건(MIMO 적용의 있음/없음)에 따라서 정보량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어 채널 포맷으로부터 하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하고, 이 선택한 제어 채널 포맷을 이용해서 제어 채널을 전송한다고 하는 발명을 제안하고 있다(국제 출원 공개 WO/2006/070466: 이 후, 간단히 선원이라고 함).
이러한 선원의 목표는, MIMO 적용의 유무에 따라 제어 채널의 정보 비트수가 서로 다른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저 데이터에 MIMO 적용 있음(기간 Ⅲ)에서는, 제어 채널의 정보 비트수 Ⅳ가 많아진다. 이에 대하여, 유저 데이터에 MIMO 적용 없음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채널의 정보 비트수가 적어진다고 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MIMO 적용과 제어 채널의 정보량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MIMO를 적용하는, 전파 환경 I의 기간 Ⅲ에서는 가변 파라미터의 수가 증가하여, 제어 채널에 필요한 정보 비트수가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에서 동시 다중 유저수가 증가한 경우에도, 제어 채널의 정보는 유저 수에 비례해서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비특허 문헌 1] 3GGP TS 25.212 V5.9.0(2004-06)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따라서, 본 발명은, 적응 부호화 변조(AMC: 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방식을 적용한 패킷형 데이터 전송에서, 제어 채널 정보인 HS-SCCH에 대한 오류 정정 부호화에서의 부호화율을 가변으로 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주목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제어 채널 정보의 전송 방법으로서, 적응 부호화 변조 방식에 의한 제어 채널 정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된 제어 채널 정보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해서 전송하고, 또한, 전파 상태에 따라서,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에서의 부호화율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제어 채널 정보의 전송 방법으로서, 적응 부호 변조 방식에 의한 제어 채널 정보에 대하여, 일정한 부호화율로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된 제어 채널 정보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해서 전송하고, 또한,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된 신호에 대하여, 상기 변조의 전에 전파 상태에 따라서, 부호의 솎아내기를 하거나, 혹은, 부호의 반복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적응 부호화 변조 방식에 의한 제어 채널 정보 전송 시스템으로서, 기지국측에 제어 채널 정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는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와,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의 부호화 출력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를 행하는 변조 장치를 갖고,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에서의 부호화율을, 전파 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의 양태에서,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일 때에 상기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을 상기 다입력 다출력을 적용하지 않을 때의 부호화율보다 크게 해서, 전송 부호 비트수를 상기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의 유무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양태에서, 수신측에서, 상기 전파 상태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되는 부호화율의 각각에 대응하는 오류 정정 복호 장치에 의해, 공통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고, 또한 상기 오류 정정 복호된 신호 내의 확실할 것 같음을 판단하고, 상기 확실할 것 같음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유효로 된 오류 정정 복호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또한 이하의 도면에 따라 설명되는 발명의 실시 형태예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서의 HSDPA, HS-DSCH의 AMC 제어에서의 무선 환경과 전송 속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로서의 HSDPA, HS-SCCH에서의 무선 환경과 정보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선원에서의 MIMO 적용의 HS-DSCH에서의 무선 환경과 전송 속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MIMO 적용 있음의 제어 채널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MIMO 적용 없음의 제어 채널 포맷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MIMO를 적용한 HS-SCCH에서의 무선 환경과 정보량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기지국(1) 및 유저 단말기(2)를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 블록도.
도 8은 선원 발명에 대응하는 제어 채널 생성부(12)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채널 생성부(12)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MIMO 적용과 제어 채널의 정보량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채널 생성부(12)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저 단말기에서의 제어 채널 복조부의 구성예.
도 13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선원의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도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에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형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하는 기지국(1) 및 유저 단말기(2)를 포함하는 전송 시스템의 구성예 블록도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제어 채널 생성부(12)의 실시예 구성에 특징을 갖는다.
기지국(1)으로부터 유저 단말기(2)에의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 전송에 대해서, 선원의 MIMO를 적용하는 실시예를 이용해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적용은, 이러한 도 7에 도시하는 전송 시스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1)의 포맷 선택/할당부(10)는, 다중 유저수, 유저 단말기의 송수신 기능, 하향 QoS, 하향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한다.
여기서, 선택 대상으로 되는 제어 채널 포맷의 예는, 먼저 도 4(표 2), 도 5(표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4에 도시한 제어 포맷 A는, 적응 제어 파라미터로서 변조 방식(안테나 1)∼변조 방식(안테나 4), 부호화율, 확산율, 코드 세트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변조 방식(안테나 1)∼변조 방식(안테나 4)은, 가변 범위로서 4종류의 변조 방식(QPSK, 8PSK, 16QAM, 64QAM)이 설정되어 있다. 이 표 2에 나타낸 제어 채널 포맷 A에서는, 적응 파라미터의 종류와 가변 범위가 넓어, 예를 들면, MIMO 전송 시, 안테나마다 변조 방식을 가변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제어 포맷 B는, 적응 제어 파라미터로서 변조 방식(안테나 공통), 부호화율, 확산율, 코드 세트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변조 방식 (공통)은, 가변 범위로서 2종류의 변조 방식(QPSK, 16QAM)이 설정되어 있다. 이 표 3에 나타낸 제어 채널 포맷 B는, 적응 제어 파라미터의 종류와 가변 범위가 제어 채널 포맷 A와 비교해서 제한되어 있어, 비트수가 제어 채널 포맷 A의 약 1/2이다.
도 7로 되돌아가 설명한다. 포맷 선택/할당부(10)에서 선택된 제어 채널 포맷의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는, 시그널링 생성부(11)로부터 선택부(15), 송신부(16)를 통해서 유저 단말기(2)에 시그널링 정보로서 통지된다. 또한 포맷 할당 정보는 제어 채널 생성부(12) 및 데이터 채널 생성부(13)에 통지된다.
제어 채널 생성부(12)는,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이며, 후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대응해서 구성, 작용이 서로 다르지만, 기본적 구성으로서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와, 변조 장치에 의해 구성된다.
제어 채널 생성부(12) 및 데이터 채널 생성부(13)에서 생성된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은, 포맷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다중화부(14)에 의해 다중화된 후, 하향 링크를 통해서, 송신부(16)를 통해서 유저 단말기(2)에 보내진다.
유저 단말기(2)의 시그널링 복조부(22)는, 기지국(1)으로부터 수신부(20)를 통해서 통지된 시그널링 정보(포맷 할당 정보)를 복조하여,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을 제어 채널 복조부(23)에 통지한다. 제어 채널 복조부(23)는, 시그널링 복조부(22)로부터 통지된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에 기초하여, 제어 채널의 복조를 행한다. 제어 채널 복조부(23)는, 제어 채널로부터 복조한 하향 링크의 적응 제어 파라미터를 데이터 채널 복조부(21)에 통지한다.
데이터 채널 복조부(21)는, 제어 채널 복조부(23)로부터 통지된 적응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데이터 채널의 복조를 행한다.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의 선택에 사용되는 하향 CQI는, 유저 단말기(2)의 전파로 측정부(24)에서 측정된다. 하향 CQI는, 상향 QoS나 유저 단말기(2)의 송수신 기능과 함께, 유저 단말기(2)로부터 기지국(1)에의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1)에 전송된다.
다음으로, 유저 단말기(2)로부터 기지국(1)에의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전송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은 하향 링크의 제어 포맷과 마찬가지로, 기지국(1)의 포맷 선택/할당부(10)에서 선택된다.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의 선택에는, 다중 유저수, 유저 단말기의 송수신 기능, 상향 QoS, 상향 CQI(Channel Quality Indication) 등의 정보가 사용된다.
선택된 상향 링크의 제어 포맷은, 시그널링 생성부(11)로부터 선택부(15), 송신부(16)를 통해서 유저 단말기(2)에 시그널링 정보로서 통지된다. 시그널링 복조부(22)는, 기지국(1)으로부터 통지된 시그널링 정보를 복조하여,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및 데이터 채널의 할당(다중 방법)을 결정하고, 그 포맷 할당 정보를 제어 채널 생성부(25) 및 데이터 채널 생성부(27)에 통지한다.
기지국(1)에서는, 포맷 선택/할당부(10)가 선택한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을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복조부(18)에 통지한다.
제어 채널 복조부(18)는, 포맷 선택/할당부(10)로부터 통지된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에 기초하여, 제어 채널의 복조를 행한다. 제어 채널 복조부(18)는 복조한 상향 링크의 적응 제어 파라미터를 데이터 채널 복조부(19)에 통지한다.
데이터 채널 복조부(19)는, 제어 채널 복조부(18)로부터 통지된 적응 제어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데이터 채널의 복조 처리를 행한다.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 포맷의 선택에 사용되는 상향 CQI는, 기지국(1)의 전파로 측정부(17)에서 측정된다.
또한, 측정된 상향 CQI는 전파로 측정부(17)로부터 포맷 선택/할당부(10)에 통지된다. 또한, 유저 단말기(2)로부터 기지국(1)에의 상향 링크의 제어 채널에 의해, 기지국(1)에 전송된 상향 QoS, 하향 CQI, 유저 단말기(1)의 송수신 기능은 포맷 선택/할당부(10)에 보내진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본 발명의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 생성부(12)의 구성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선원에서는, 도 4,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MIMO를 적용하여, MIMO 적용의 유무에 따라, 제어 채널의 정보 비트수가 서로 다른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즉, 유저 데이터에 MIMO 적용 있음에서는, 제어 채널의 정보 비트수가 많고(도 4 참조), 유저 데이터에 MIMO 적용 없음에서는, 제어 채널의 정보 비트수가 적어지도록(도 5 참조), 복수의 제어 채널 포맷으로부터 하나의 제어 채널 포맷을 선택해서 이용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채널 생성부(12)의 구성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된다.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와 변조 장치(121)를 갖고 있다.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에 의해 오류 정정 부호화가 행해지고, 이에 대응해서 유저 단말기(2)측의 제어 채널 복조부(23)에서 오류 정정 복호가 행해진다.
여기서, 송신할 부호 정보의 비트수와, 이를 오류 정정 부호화해서 얻어지는 송신 부호의 비트수와의 비인 부호화율 R=0.241로 하면, 도 8에서 MIMO 적용 없음의 경우, 송신할 프레임의 부호 정보의 비트수 68에 대하여, 송신 부호의 비트수는, 282=(68×1/0.241) 비트로 된다.
한편, MIMO 적용 없음의 경우일 때에, 송신할 프레임의 부호 정보의 비트수를 141로하면, 송신 부호의 비트수는, 585=(141×1/0.241) 비트로 된다.
이와 같이, 부호화율을 고정으로 하고 있으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MIMO 적용일 때의 송신 부호 비트수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채널 생성부(12)의 제1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의 구성과 마찬가지로, 제어 채널 생성부(12)는,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와 변조 장치(121)를 갖고 있다.
도 8의 구성과 서로 다른 특징은,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에서의 부호화율을 가변으로 하는 것이다.
부호화율이 대일 때는, 전파로의 오류에 약하고, 부호화율이 소일 때는 전파로의 오류에 강하다. 한편으로 MIM0은 전파로의 오류가 적을 때에 적용하고, 많을 때는 적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유저 데이터에 MIMO 적용 있음에서는, 제어 채널 생성의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의 부호화율을 크게 한다. 반대로, 유저 데이터에 MIMO 적용 없음에서는, 제어 채널 생성의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의 부호화율을 작게 한다.
실시예로서, 유저 데이터에 MIMO 적용 있음일 때, 제어 채널 생성부(12)의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의 부호화율을 0.5로 한다.
이에 의해, 송신 부호의 비트수는, 282(=141÷0.5)비트로 되어, 유저 데이터에 MIMO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8의 예와 마찬가지로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의 부호화율을 0.24로 하여, 282(=141÷0.24) 비트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의해, MIMO 적용 있음/없음에 상관없이, 전송 부호 비트가 동일하게 되어, 무선 리소스를 쓸모없게 하는 일 없이 제어 정보의 품질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의 MIMO 적용과 제어 채널의 정보량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과의 비교에서, MIMO를 적용한 경우에도, 오류 정정 부호화의 전송 부호 비트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소스가 쓸모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채널 생성부(12)의 다른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와 변조 장치(121) 사이에 펑쳐 기능 또는 레피티션 기능을 선택 적용하는 장치(122)를 구비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의 부호화율을, MIMO 적용 있음/없음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한다. 한편,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의 출력측에 놓이는 펑쳐 기능 또는 레피티션 기능을 갖는 장치(122)에 의해 등가적으로 부호화율을 바꾸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변조 장치(121)의 입력측에서, 부호화율이 가변으로 되는 것은, 도 9에 도시한 제어 채널 생성부(12)의 구성과 동일한 의미이다.
현재, 펑쳐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장치(122)는, MIMO 적용 있음일 때 펑쳐 기능에 의해,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의 출력 데이터를 일정 간격으로 솎아내는 처리를 행한다. MIMO 적용 없음일 때는,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의 출력 데이터를 그대로 통과시킨다. 이에 의해,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의 출력이 변조 장치(121)에 입력할 때의 비트수는, MIMO 적용해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레피티션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장치(122)는, MIMO 적용 없음일 때 레피티션 기능에 의해,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120)의 출력 데이터의 동일한 비트를 반복 출력한다. 이러한 경우도 MIM0가 없을 때의 송신 비트수를 MIMO 적용 있음일 때의 송신 비트수와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에서의 전송 시스템에서, 기지국(1)에서의 시그널링 생성부(11)의 기능으로서, MIMO 적용의 유무, 및 제어 채널 생성부(12)에서의 포맷의 통지가 행해진다. 도 12에 도시하는 실시예는, 이러한 시그널링 생성부(11)의 기능을 불필요하게 한 것이다.
즉, 수신측인 유저 단말기(2)에서, 2종류의 제어 채널 포맷 즉, MIMO 적용 있음과 없음의 경우에 대응하는 제어 채널 포맷을 이용해서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데이터로부터, 올바른 것 같은, 어느 하나의 포맷을 검출한다. 이에 의해 송신측인 기지국(1)은, MIMO 적용의 유무를 통지하는 정보 비트의 리소스를 사용하지 않고, 수신측에 MIMO 적용의 유무를 통지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제어 채널 복조부(23)에서, 시그널링 복조 없이 기지국(1)측으로부터 보내진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230)의 출력측에 상기의 2종류의 제어 채널 포맷의 각각에 대응하는 2개의 오류 정정 복호 장치(231a, 231b)를 갖고 있다.
제1 오류 정정 복호 장치(231a)는, MIMO 적용 없음의 경우의 비트수(68)의 프레임 신호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화를 행했을 때, 올바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오류 정정 복호 장치(231a)는, 부호화율=0.24로서 오류 정정 복호화를 행한다.
한편, 제2 오류 정정 복호 장치(231b)는, MIMO 적용 있음의 경우의 비트수(141)의 프레임 신호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화를 행했을 때, 올바른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부호화율=0.5로서 오류 정정 복호화를 행한다.
신뢰도 판정, 선택 장치(232)는, 제1 및 제2 오류 정정 복호 장치(231a, 231b)의 출력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복호 결과가 올바른 것인지를 판정하여, 그 결과에 기초하여 오류 정정 복호 장치(231a, 231b)의 한쪽측의 출력을 선택한다.
이에 의해, MIMO 적용의 유무를 통지하는 정보 비트의 리소스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선원의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HSDPA를 사용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 전력비를 나타낸다. 도 13A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의 전력이 트래픽 채널에 할당하는 전력으로 된다.
도 13B는, 도 13A로부터 구한 트래픽 채널에서 사용 가능한 전력을 HS-SCCH의 채널수마다 나타내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원에서의 발명에서는, 정보량이 커져도 HS-SCCH의 부호화율은 일정하다. 이 때문에, MIMO의 적용 유무에 따라 트래픽 채널에서 사용 가능한 전력이 서로 다르지만(도 13B, III 참조), 본 발명에서는, 이것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도 13B, IV 참조).
예를 들면, 트래픽 채널이 2채널의 경우(도 13B 중의 화살표), 본 발명의 효과는, 선원 발명에 비해 전력으로 1.5배의 효과가 있다.
상기 도면에 의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오류 정정 부호의 부호화율을 제어 채널의 양태에 따라서 가변으로 함으로써, 전파 상태의 양부에 상관없이, 전송 품질을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MIMO 적용 시에서도 제어 정보 비트 전송에 대한 과잉 품질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적응 부호화 변조를 행하기 위한 제어 채널 정보의 전송 방법으로서,
    송신측에서,
    상기 제어 채널 정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고,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된 제어 채널 정보를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해서 전송하며,
    또한,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일 때에 상기 변조의 전의 상기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을 상기 다입력 다출력을 적용하지 않을 때의 부호화율보다 크게 해서, 전송 부호 비트수를 상기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의 유무에 상관없이 소정수(a given number)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 정보의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신측에서,
    상기 전송된 제어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변조 방식에 대응해서 복조하고, 상기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의 유무를 반영한 부호화율의 각각에 대응하는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 정보의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수신측에서,
    상기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의 유무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되는 부호화율의 각각에 대응하는 오류 정정 복호 장치에 의해, 공통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고,
    또한 상기 오류 정정 복호된 신호 내의 확실할 것 같음(likelihood)을 판단하고,
    상기 확실할 것 같음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유효로 된 오류 정정 복호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채널 정보의 전송 방법.
  4. 적응 부호화 변조를 행하기 위한 제어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시스템으로서,
    기지국측에,
    상기 제어 채널 정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는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와,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의 부호화 출력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를 행하는 변조 장치를 갖고,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에서의 부호화율을,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일 때에 상기 변조의 전의 상기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을 상기 다입력 다출력을 적용하지 않을 때의 부호화율보다 크게 해서, 전송 부호 비트수를 상기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의 유무에 상관없이 소정수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수신측에,
    상기 전송된 제어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변조 방식에 대응해서 복조하고, 상기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의 유무를 반영한 부호화율의 각각에 대응하는 부호화율로,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수신측에,
    상기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의 유무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되는 부호화율의 각각에 대응하는 부호화율로, 공통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는 복수의 오류 정정 복호 장치와,
    상기 복수의 오류 정정 복호 장치에 의해, 상기 오류 정정 복호된 신호 내의 확실할 것 같음을 판단하고, 상기 확실할 것 같음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유효로 된 오류 정정 복호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 시스템.
  7. 적응 부호화 변조를 행하기 위한 제어 채널 정보를 전송하는 전송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으로서,
    제어 채널 정보에 대하여, 오류 정정 부호화를 행하는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와,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의 부호화 출력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를 행하는 변조 장치를 갖고,
    상기 오류 정정 부호화 장치에서의 부호화율을,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일 때에 상기 제어 채널의 부호화율을 상기 다입력 다출력을 적용하지 않을 때의 부호화율보다 크게 해서, 전송 부호 비트수를 상기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의 유무에 상관없이 소정수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8. 제7항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제어 채널 정보의 수신을 행하는 유저 단말기로서,
    상기 전송된 제어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소정의 변조 방식에 대응해서 복조하고, 상기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의 유무를 반영한 부호화율의 각각에 대응하는 부호화율로,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는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기.
  9. 제7항의 기지국에 대응하는 제어 채널 정보의 수신을 행하는 유저 단말기로서,
    상기 다입력 다출력의 적용의 유무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되는 부호화율의 각각에 대응하는 부호화율로, 공통으로 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오류 정정 복호를 행하는 복수의 오류 정정 복호 장치와,
    상기 복수의 오류 정정 복호 장치에 의해, 상기 오류 정정 복호된 신호 내의 확실할 것 같음을 판단하고, 상기 확실할 것 같음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유효로 된 오류 정정 복호된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 단말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87007190A 2005-09-30 2005-09-30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단말기 KR1009727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8117 WO2007043105A1 (ja) 2005-09-30 2005-09-30 制御チャネル情報伝送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基地局及び端末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097A Division KR100959742B1 (ko) 2005-09-30 2005-09-30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498A KR20080048498A (ko) 2008-06-02
KR100972727B1 true KR100972727B1 (ko) 2010-07-27

Family

ID=379423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190A KR100972727B1 (ko) 2005-09-30 2005-09-30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단말기
KR1020107007097A KR100959742B1 (ko) 2005-09-30 2005-09-30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097A KR100959742B1 (ko) 2005-09-30 2005-09-30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4) US8903011B2 (ko)
EP (10) EP2495923B1 (ko)
JP (1) JP4555866B2 (ko)
KR (2) KR100972727B1 (ko)
CN (1) CN101273598B (ko)
HK (6) HK1176182A1 (ko)
WO (1) WO20070431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2361B2 (en) * 2000-06-26 2005-08-23 Paul M. Steinhauser, Jr. Skate with removable blade
CN102882648B (zh) * 2005-09-30 2015-12-09 富士通株式会社 用于传送信息以进行自适应编码和调制的方法
US20070149132A1 (en) 2005-12-22 2007-06-28 Junyl Li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selecting control channel reporting formats
WO2008015543A2 (en) * 2006-08-01 2008-02-07 Nokia Corporation Shared control channel structure for multi-user mimo resource allocation
BRPI0813259B1 (pt) 2007-06-19 2020-08-25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método para melhorar a sinalização de retorno de uplink, estação de base, estação de base, sistema para melhorar a sinalização de retorno de uplink e aparelho
JP5069060B2 (ja) * 2007-08-14 2012-1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制御方法及び基地局
KR101387534B1 (ko) * 2008-01-03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복 채널 코딩을 위한 심볼 매핑 방법
US9130612B2 (en) 2008-01-07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Unified uplink control signal formats
JP5124306B2 (ja) * 2008-02-18 2013-01-23 株式会社Kddi研究所 無線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制御方法
JP5111182B2 (ja) * 2008-03-19 2012-12-26 株式会社Kddi研究所 無線基地局制御装置および無線基地局制御方法
JP2010074453A (ja) * 2008-09-18 2010-04-02 Fujitsu Ltd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KR101711864B1 (ko) * 2008-12-23 2017-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환경에서의 상향링크 αck/nack 시그널링
EP3787196B1 (en) 2011-04-19 2022-06-01 Sun Patent Trust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and apparatus
US8884476B2 (en) * 2011-09-23 2014-11-11 General Electric Company Hybrid dielectric film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
JP6492774B2 (ja) * 2015-03-03 2019-04-03 富士通株式会社 光伝送システム、光伝送装置、及び伝送方法
US10135562B2 (en) 2015-05-28 2018-11-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in uplink grant-less random access
CN110168974A (zh) 2016-08-19 2019-08-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对下行链路控制信道传输编码和解码的方法和设备
US11039458B2 (en) * 2017-11-21 2021-06-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mission scheduling on multiple frequenci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5542A (ja) * 2003-12-05 2005-06-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伝送モード選択方法
JP2005260992A (ja) * 2001-12-26 2005-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および伝送レート決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9160B2 (ja) * 1992-03-10 1999-06-02 富士通株式会社 復調・ロールオフフィルタ処理方法
CA2262894C (en) * 1997-06-19 2004-08-03 Kabushiki Kaisha Toshiba Information data multiplexing transmission system, multiplexer and demultiplexer used therefor, and error correcting encoder and decoder
US6490260B1 (en) 1998-08-03 2002-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ter with increased traffic throughput in digit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802035B2 (en) 2000-09-19 2004-10-0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optimizing a transmission mode of wirelessly transmitted information
US6961388B2 (en) 2001-02-01 2005-11-01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schem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45787B1 (en) * 2001-10-16 2012-03-27 Cisco Technology, Inc. Adaptive bandwidth utilization over fabric links
US7385934B2 (en) 2002-02-07 2008-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fer rate decision method
JP2004019626A (ja) 2002-06-20 2004-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風力発電装置
KR100679799B1 (ko) 2002-07-29 2007-02-06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장치, 기지국 장치 및 송신 방법
JP3717913B2 (ja) 2002-12-27 2005-11-16 三洋電機株式会社 無線装置
US7154960B2 (en) 2002-12-31 2006-12-26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of determining the capacity of each transmitter antenna in a multiple input/multiple output (MIMO) wireless system
CN1531261A (zh) 2003-03-14 2004-09-22 北京泰美世纪科技有限公司 一种数字交互式多媒体网络系统和利用该系统的数据传输方法
KR100965881B1 (ko) * 2003-10-10 201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데이터 인코딩 시스템 및 디코딩 시스템
US9473269B2 (en) * 2003-12-0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005974B2 (ja) 2004-01-09 2007-11-1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WO2005078957A1 (ja) 2004-02-13 2005-08-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412005B2 (ja) * 2004-03-05 2010-02-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適応変調方法並びにデータレート制御方法
US7161988B2 (en) 2004-04-12 2007-01-0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inimizing co-channel interference
KR20070029719A (ko) * 2004-06-01 2007-03-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동일한 전송 내에 일차 및 이차 메시지를 포함하는 정보의전송/수신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신호
JP4589711B2 (ja) * 2004-12-14 2010-12-01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装置
US7486749B2 (en) * 2004-12-22 2009-02-03 Nokia Corporation Determination of a code phase
KR20110045104A (ko) 2004-12-28 2011-05-03 콘텐트가드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7644345B2 (en) * 2005-01-12 2010-01-05 Intel Corporation Bit distributor for multicarrier communication systems employing adaptive bit loading for multiple spatial streams and methods
US7706455B2 (en) 2005-09-26 2010-04-27 Intel Corporation Multicarrier transmitter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uncturing bits for pilot tones
KR100718158B1 (ko) * 2006-04-21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포 공동배양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0992A (ja) * 2001-12-26 2005-09-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装置および伝送レート決定方法
JP2005175542A (ja) * 2003-12-05 2005-06-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伝送モード選択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75900A1 (en) 2013-07-12
KR20080048498A (ko) 2008-06-02
US20130114750A1 (en) 2013-05-09
EP2214325A2 (en) 2010-08-04
HK1176182A1 (en) 2013-07-19
EP2495923B1 (en) 2013-09-25
EP2667557B1 (en) 2014-10-29
EP2495922A2 (en) 2012-09-05
JPWO2007043105A1 (ja) 2009-04-16
EP2495922A3 (en) 2012-09-19
EP2667560A1 (en) 2013-11-27
EP2667560B1 (en) 2014-10-22
CN101273598A (zh) 2008-09-24
EP1931096A4 (en) 2011-06-29
EP2667559B8 (en) 2014-12-24
EP2667556A1 (en) 2013-11-27
HK1176183A1 (en) 2013-07-19
US20100220681A1 (en) 2010-09-02
CN101273598B (zh) 2012-11-21
JP4555866B2 (ja) 2010-10-06
EP2495922B1 (en) 2013-10-09
EP2667559A1 (en) 2013-11-27
US20130121285A1 (en) 2013-05-16
EP2214325B1 (en) 2013-02-13
HK1180846A1 (en) 2013-10-25
EP2495923A2 (en) 2012-09-05
EP2667558B1 (en) 2015-02-18
EP2495924B1 (en) 2013-09-25
EP2495924A2 (en) 2012-09-05
KR100959742B1 (ko) 2010-05-25
EP1931096B1 (en) 2012-07-11
EP2495923A3 (en) 2012-09-19
US9112560B2 (en) 2015-08-18
EP2667556B1 (en) 2014-10-15
EP2667557A1 (en) 2013-11-27
HK1176184A1 (en) 2013-07-19
KR20100039912A (ko) 2010-04-16
HK1175617A1 (en) 2013-07-05
WO2007043105A1 (ja) 2007-04-19
US9191089B2 (en) 2015-11-17
EP2495924A3 (en) 2012-09-19
EP2214325A3 (en) 2011-06-29
EP2667559B1 (en) 2014-10-22
US20080159431A1 (en) 2008-07-03
US8396156B2 (en) 2013-03-12
EP2667558A1 (en) 2013-11-27
EP1931096A1 (en) 2008-06-11
US8903011B2 (en) 201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727B1 (ko) 제어 채널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지국 및단말기
JP5376007B2 (ja) 制御チャネル情報伝送方法、これを用いた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JP5024415B2 (ja) 制御チャネル情報伝送方法、これを用いた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JP5376006B2 (ja) 制御チャネル情報伝送方法、これを用いた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CN102404080B (zh) 控制信道信息传送方法
CN102904680B (zh) 用于传送信息以进行自适应编码和调制的方法
CN102868492B (zh) 控制信道信息传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