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497B1 -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497B1
KR100972497B1 KR1020070047147A KR20070047147A KR100972497B1 KR 100972497 B1 KR100972497 B1 KR 100972497B1 KR 1020070047147 A KR1020070047147 A KR 1020070047147A KR 20070047147 A KR20070047147 A KR 20070047147A KR 100972497 B1 KR100972497 B1 KR 100972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amp
signal
controlling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1008A (ko
Inventor
한재용
김승기
김병노
이재원
권달원
유광옥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7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497B1/ko
Publication of KR2008010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power line carrier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55Coordinated control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본 발명은 공항 등에 설치되는 램프 제어를 위한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공항 등에 설치된 다수의 램프에 관한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램프의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하며, 다수 램프 연결에 따른 제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각각의 램프에 관한 개별제어 가능하도록 하고, 통신 환경에 따라 송신 및 수신신호의 증폭을 통해 서버와의 제어가 단절되지 않도록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공항이나 항만, 공장 등에서 램프에 이용된다.
공항, 램프, 제어

Description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및 이의 제어 방법{Individual Lamp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s connected to serial circuit}
도1은 공항 램프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2는 직렬 연결된 다수 램프의 연결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등화기의 연결 개념도이다.
도4는 개별등화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5는 램프 제어장치의 상세 블럭 구성도이다.
도6은 수신신호 처리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도7은 중계모드 동작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도8은 송신 제어 흐름도이다.
도9는 램프 제어 시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공항 등에 설치되는 직렬연결된 다수의 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장 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긴 회로 상에 직렬로 연결된 상태에서도 모든 램프의 제어가 가능하고, 제어신호의 지연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에 설치되어 항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램프는 도1에 도시됨과 같은 시스템으로 구현이 되어 있다.
제어컴퓨터(10)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수동제어반(20)은 제어컴퓨터(10)의 고장 시에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정전류제어기(31,32,39) 각각은 연결된 램프(41, 42, 43, 49)(51, 52, 53, 59)(61, 62, 63, 69) 별로, 램프의 동작을 온오프 하거나, 밝기를 제어한다. 밝기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5단계(B1, B2, B3, B4, B5)로 이루어지고 있다. 각각의 정전류제어기(31,32,39)는 하나의 이동경로 상의 램프 모두가 연결된 경우, 경로 상의 모든 램프를 일괄적으로 제어한다. 램프가 그룹화되어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 연결된 경우 그룹별로 램프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수십 개의 램프가 하나의 정전류제어기(31,32,39)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공항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램프는 고전류 램프를 사용하고 있고, 설치되는 영역이 광대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램프 제어를 위하여 램프마다 전력선을 독립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매우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항 등에 설치된 램프는 수십 개의 램프가 직렬 연결되어 하나의 정전류제어기(31,32,39)에 의해 일괄제어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의 램프 제어는 단지 정전류제어기(31,32,39) 각각에 포함된 모든 램프를 온오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개별적인 램프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램프 시스템은 길게는 수십Km에 달하는 긴 직렬연결된 양상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전자제어 방식에 의해 램프를 개별제어하는 것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직렬 연결된 램프의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직렬연결된 램프의 제어 가능한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신호의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직렬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램프와, 절연변압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장치의 각부에 공급하는 전원부와, 절연변압기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커플링을 수행하는 커플링부와,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램프의 상태를 점검하는 채널카드와, 커플링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상태 정보를 변조하여 커플링부를 통해 출력하고,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여타 직렬연결된 장치의 제어를 위해 송신 출력을 증폭하여 중계모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플링부가 절연변압기에 연결된 커플러와, 커플러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필터의 출력을 증폭하는 수신증폭기 및, 제어부의 송신 출력을 증폭하는 송신증폭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가 전력선 통신모뎀과 모뎀으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통해 채널카드를 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직렬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복조하고, 복조에 의한 제어신호가 해당 램프의 제어신호이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램프를 제어 처리하며, 복조된 제어신호 중에 여타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하여 중계모드 설정 요구가 있으면 송신 신호를 일정치로 증폭하여 출력하고, 램프의 상태를 점검하고 상태 정보를 송신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증폭하여 송신하거나, 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여 신호를 복원하고, 복원된 신호를 변조하여 증폭 송신하거나, 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여 단위 제어정보를 저장하고, 단위제어정보를 즉시 변조하여 증폭 송신하여 이루어지며,저장된 단위제어정보가 하나의 제어정보를 완성하면 이를 분석하고, 해당 램프의 제어신호이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램프를 제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공항 램프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2는 직렬 연결된 다수 램프의 연결 개념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등화기의 연결 개념도이고, 도4는 개별등화기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며, 도5는 램프 제어장치의 상세 블럭 구성도이고, 도6은 수신신호 처리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며, 도7은 중계모드 동작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고, 도8은 송신 제어 흐름도이며, 도9는 램프 제어 시점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150: Individual Light Unit: ILU)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을 구성하여 직렬 연결된 각각의 램프가 개별등화제어기(100)의 제어 하에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개별등화기(150)는 통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개별등화제어기(100)에 의해 제어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램프를 제어하는 개별등화기(150)에 개별등화제어기(100)에서 송신된 제어신호가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개별등화기(150)에서 송신된 정보가 개별등화제어기(100)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공항과 같은 활주로 상에 구현되는 램프 제어를 위한 시스템 구현은 도1 및 도2에 도시됨과 같이 다수의 램프를 직렬연결하고, 이를 그룹화하여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며, 각각의 정전류제어기(31, 32, 39)를 제어하여 램프를 콘트롤 하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스템에서 개별적인 램프 제어를 위하여 각각의 램프마다 별도의 제어를 위한 회선을 연결하는 것은 시공의 곤란성 및 시간, 비용에 의해 현실적으로 곤란하다. 따라서, 개별적인 램프 제어를 위해 각각의 램프에 램프 제어용 장치를 연결시키고, 각각의 장치가 유선이나 무선을 통해 제어되도록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의 경우, 접속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특히 공항과 같은 장소에서의 무선 사용은 제한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별도의 유선에 의한 제어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실현이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램프 제어를 위해 현실적으로 구현 가능한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을 통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전력선 통신과는 달리 공항에 설치되는 램프는 램프의 연결이 직렬 방식으로 되어 있고, 연결된 램프의 구간이 수Km에서 수십Km에 달하여 통상적인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의 구현이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별등화기(150)에 중계모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고, 신호 중계에 따른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램프의 구성은 개별등화기(150)에 하나 이상이 연결되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2개의 램프가 하나의 개별등화기(150-11~150-nm)에 설치된다. 2개의 램프가 설치되는 경우, 항공기의 이동 경로 전후를 조명하도록 각각의 지향하는 방향이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외형적으로 하나의 램프와 같이 구현되어 있으나, 구조물 내에는 2개의 램프가 각각 쌍으로하여 설치 되어 있다.
개별등화기(150)는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고, 램프 각각의 온오프 제어 및 상태를 점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시스템에서 이러한 개별등화기(150)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도1 및 도2에 도시됨과 같이 단지 전원케이블에 램프가 직접 연결되고, 직렬연결된 다수의 램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정전류제어기(31, 32, 39)를 온오프함으로써, 램프를 일괄 제어하는 그룹별, 정전류제어기별 제어만 가능하였다.
정전류제어기(31, 32, 39: Constant Current Regulator:CCR)는 개별등화제어기(100)나 제어컴퓨터(10), 수동제어반(20)에 의해 온오프 제어되며, 제어신호에 따라 다수의 등급별(B1, B2, B3, B4, B5)로 램프에 제공하는 전류량을 조정하여, 램프의 밝기를 조절한다.
개별등화제어기(100)는 개별등화기(150-1~9)를 제어하며, 정전류제어기(31, 32, 39)마다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개별등화제어기(100)는 개별등화기(150-1~9)와 전력선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한다. 일반적으로 공항은 수시로 항공기가 이착륙을 하고 있어, 활주로 상에서 시스템을 보수하거나, 새로 설치하는 것이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별등화기(150)의 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통신라인 설치가 불필요한 전력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개별등화제어기(100)는 개별등화기(150)에 관한 식별자 정보, 개별등화기(150)에 연결된 램프의 이상 유무에 관한 정보, 개별등화기(150)의 중계 동작에 관한 정보, 개별등화기(150)가 제어 관활에 있는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개별등화제어기(100)는 각각의 램프에 관한 위치정보(위도, 경도, 경로정보 및 이동경로 상의 순번)를 저장하고 있으며, 교차로에 위치한 스탑바 정보도 저장하고 있다. 이동경로 상의 순번은 예를 들어 "1번 활주로의 좌측 등 중 1번째 램프"와 같은 정보가 된다.
개별등화기(150)에 관한 식별자 정보는 후술하는 전력선통신 모뎀(192 : Power line communication Modem)의 제품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의 효율성을 위해 제품번호(통상 10개 내외의 문자로 구성)에 매칭되는 별도의 식별자(1, 2, 3과 같은 일련번호 부여)를 새로 지정하여 저장하여 둔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신 시에 불필요하게 소요되는 트래픽의 양을 절감할 수 있다.
수동제어반(20)은 개별등화제어기(100)나, 제어컴퓨터(10)의 이상 발생 시에, 관리자가 수동제어를 통해 램프를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정전류제어기(31, 32, 39)별로 로터리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제어컴퓨터(10)는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 연결된 램프를 제어하는 것으로, 수동제어반과는 다르게 컴퓨터를 이용하여 램프가 제어 가능하도록 구현되었다. 이때의 제어는 단지, 정전류제어기(31,32, 39) 각각에 속한 램프를 일괄제어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와는 상이한 것이다.
수동제어반(20)에 의한 수동제어 및 제어컴퓨터(10)에 의한 정전류제어기 별 제어에 있어서 개별등화기(150)는 램프를 항상 온시키는 상태로 동작된다. 이는 시 스템의 다중화를 위한 것으로 개별등화기(150)나 개별등화제어기(100)가 오동작 되거나 정전 등에 의해 램프의 개별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 의한 다중화 기능은 개별등화기(150)가 램프를 항상 켠 상태로 유지시키려 하여도 정전류제어기(31, 32, 39)가 수동제어반(20)이나 개별등화제어기(100)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램프에 공급하는 전력을 차단하면 램프는 별수 없이 오프되게 함으로써 구현된다.
또한, 개별등화기(150)가 내부적인 문제로 인하여 동작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램프 자체가 문제가 없다면 정전류제어기(31, 32, 39)가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는 이상 램프를 온할 수 있도록 회로가 구성된다. 위 내부적인 문제는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커플러(181), 필터(182), 수신증폭기(183), 송신증폭기(184), 전력통신 모뎀(192), 마이컴(191), 채널카드(171, 172)의 문제로 인해 개별등화기(150-1~9)가 정상동작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의 구현은 상술한 래치를 통해 구현이 가능하다. 즉, 별도의 제어신호가 없는 이상 래치 릴레이(도시하지 않음)는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램프에 연결하는 방식을 취한다.
도4는 개별등화기(150)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전원부(160)는 개별등화기(150)를 구성하는 각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커플링부(180)는 제어부(190)와 개별등화제어기(100), 제어부(190)와 여타 개별등화기(150)와의 커플링을 수행하고, 채널카드(171, 172)는 제어부(190)의 콘트롤에 따라 연결된 램프의 상태를 점검하고, 연결된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도5는 개별등화기(150)의 구체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절연변압기(80)는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변환하여 램프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수의 램프는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 직렬로 연결된 상태이기 때문에, 도5의 개별등화기(150)가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 연결된 최초의 개별등화기(150-11)이면 절연변압기(80)의 좌측 상단의 입력단자는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 연결되고, 좌측 하단의 출력단자는 여타의 개별등화기(150-12)에 연결된다.
커플링부(180)는 커플러(181), 필터(182), 수신증폭기(183), 송신증폭기(184)를 포함하고 있다.
커플러(181)는 절연변압기(80)와 제어부(190)를 커플링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수신증폭기(183)는 수신되는 신호가 미약할 경우 이를 일정 크기로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송신증폭기(184)는 전력선통신 모뎀(192)으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신호를 증폭하게 되는데, 개별등화기(150)가 중계 모드로 동작할 경우, 여타 개별등화기(150)가 전력선통신 모뎀(192)으로부터 출력되는 송신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송신신호를 일정 크기로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90)는 전력선통신 모뎀(192)과 마이컴(191)으로 구성되며, 전력선통신 모뎀은 마이컴(191)이 개별등화제어기(100)와 전력선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마이컴(191)은 채널카드(171, 172)를 제어하여 램프의 상태(정상적인 동작 유무, 램프의 온오프 상태 등)를 점검하고, 램프를 온오프 하도록 제어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력선통신 모뎀(192)을 제어하여 중계모드에 따른 신호의 증폭 기능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서 중계모드의 동작은 아날로그 신호를 즉시 바이패스하여 중 계하거나, 단위정보(예를 들어 한 프레임이 수신되면)가 수신되면 이를 즉시 복조 및 변조하여 중계 처리하도록 전력선통신 모뎀(192)을 제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램프의 연결은 직렬로 구현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류제어기(31, 32, 39)에 설치된 램프의 총 연장은 수 킬로미터에 달하기 때문에, 최종단에 위치한 개별등화기(150-1m)는 일정 시간이 지연되어 제어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때문에,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 램프를 제어할 경우, 제어에 지연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신호가 전력선통신모뎀(192)을 통해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즉시 제어신호를 변조하여 여타 개별등화기(150)로 중계 송신한다. 예를들어 수신되는 신호의 5개 패킷이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하나의 프레임이 완전한 하나의 제어신호가 될 경우, 제어부(190)는 하나의 패킷(단위 정보)만 수신되어도 이를 바로 변조하여 중계 송신함으로써, 최종단에 위치한 개별등화기(150-9)가 최소의 지연으로 제어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90)는 수신되는 패킷이 한 프레임을 형성될 때까지 수신되는 패킷을 저장하고 있다 이를 복조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위 설명에서는 수신신호의 디지털 복조 후에 이를 다시 변조하여 처리하도록 하였으나, 필요할 경우 위와 같은 디지털 복조 없이 수신되는 신호를 바로 아날로그 증폭하여 중계 송신함으로써 지연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는 수신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송신증폭기(184)로 제공함으로써, 제어신호의 중계가 이루어지도록 하다.
일반적으로 교류를 전원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기기의 동작이 제로크로스포인트(도9의 p)가 아니라 여타의 지점(t)에서 기기를 제어하게 되면 회로에 무리가 따르게 되고, 회로의 수명이 단축되어 기기의 잔고장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램프의 제어는 제로크로스포인트(p)에서 이루어 지도록 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도 9 참조).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 수신에 따른 처리 흐름도로, 200 단계에서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210 및 211 단계를 통해 수신신호를 증폭하고, 220 단계에서 복조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도7은 중계모드 동작에 관한 것으로, 300 단계에서 제어부(190)는 중계모드가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중계모드의 설정은 개별등화기(150)가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고, 개별등화제어기(1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자체적인 판단은 수신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신호의 크기가 일정치 이하이면 중계모드를 설정하여 신호를 송신할 경우 출력을 일정치로 증폭하여 동작하도록 한다.
310 단계는 아날로그 중계인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아날로그 중계이면 수신신호를 바이패스하여 송신증폭기(184)로 전달하고, 이를 증폭하여 송신하도록 한다.
311 단계는 디지털 중계모드의 동작으로 수신신호를 디지털로 복조 한 다음, 이를 다지 변조하고, 변조된 신호를 송신증폭기(184)를 통해 전송 처리한다.
위에서 설명된 중계모드의 설정은 이후 연결된 개별등화기(150)를 위한 것으로, 이후 연결된 개별등화기(150)가 원활하게 제어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개별등 화기(150)가 개별등화제어기(100)로 전송하는 송신정보가 신뢰성 있게 전달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개별등화기(150-1)에 의해 생성된 응답은 직렬 연결된 여타 개별등화기(150-2~9)의 루트를 따라 개별등화제어기(100)에 제공될 수도 있고, 개별등화제어기(150-1)의 응답신호가 직접 개별등화제어기(100)로 전달 될 수도 있다. 여타 개별등화기(150-2~9)를 통한 전달은 경로가 길고, 잡음 등에 의해 응답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도8은 디지털 중계모드의 동작 및 수신되는 제어신호의 중계 외에 필요할 경우, 개별등화제어기(100)로의 정보 송신(리포트, 응답 정보의 송신 등)이 발생되는 경우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400 단계에서 제어부(190)는 단위 정보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 단위정보의 수신이 완료되었으면, 410 단계를 통해 수신된 제어정보를 변조하여 중계 송신하고, 수신된 단위 정보를 저장한다.
수신되는 단위정보가 누적되어 제어정보의 수신이 완료되었으면(420 단계) 430 단계로 진행하여 제어정보를 복조하고, 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440 단계는 송신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예를 들어 램프의 상태 등을 개별등화제어기(100)에 전송할 경우) 송신정보가 존재하면 450 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전송환경에서의 유휴상태인지(즉, 현재 여타 제어정보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점검한다. 유휴 상태이면, 460 단계로 진행하여 정보를 송신하고, 유휴 상태가 아니면 유휴 상태가 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전력선 통신 과정에서 송신 및 수신이 동일한 주파수대의 통신 방식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이며, 송신 및 수신 채널이 상이할 경우, 이와 같은 동작은 불필요하다.
중계모드의 설정이 개별등화제어기(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경우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개별등화기(150) 각각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고, 응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해당 응답이 없는 개별등화기(n)의 직전 개별등화기(n-1)를 중계모드로 동작시키도록 한다. 즉, 송신증폭기(184)를 동작시켜, 개별등화기(n)가 제어신호를 원활하게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램프나 개별등화기(150)의 이상 유무 정보의 표시는 각각의 램프가 위치한 위도 및 경도정보와, 이동경로에 관한 식별 정보(예: 3번 활주로), 이동경로에서의 순번(3번째 램프)을 포함하여 관리자에게 제공된다.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관리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네비게이션에 표시되는 위도 및 경도 정보와 표시된 지도를 이용하여 손쉽게 해당 램프의 위치를 파악하고,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개별등화기(150)와 램프가 분리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전력선통신모뎀을 통해 램프의 개별등화가 가능하도록하고, 중계모드의 이용을 통해 모든 개별등화기가 정보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 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직렬 연결된 램프의 개별적인 제어가 가능하며, 다수의 직렬연결된 램프의 제어 가능한 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고, 제어신호의 지연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직렬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램프;
    절연변압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장치의 각부에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절연변압기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커플링을 수행하고, 송수신 신호를 증폭하는 커플링부;
    상기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램프의 상태를 점검하는 채널카드; 및,
    상기 커플링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고, 상태 정보를 변조하여 상기 커플링부를 통해 출력하고,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아날로그 증폭하여 바이패스 중계하도록 상기 커플링부에 제공하거나 수신되는 제어신호의 단위 프레임을 복조 및 변조하여 상기 커플링부에 중계하도록 제공함으로써, 여타 직렬연결된 장치의 제어를 위해 송신 출력을 증폭하여 중계모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상기 절연변압기에 연결된 커플러;
    상기 커플러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출력을 증폭하는 수신증폭기; 및,
    상기 제어부의 송신 출력을 증폭하는 송신증폭기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커플링부에 접속되어 전력선 통신 신호를 변복조 하는 전력선통신 모뎀; 및,
    상기 전력선통신 모뎀으로부터 복조된 신호를 통해 상기 채널카드를 제어하여 상기 램프를 제어하는 마이컴
    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4. 직렬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수신되는 제어신호를 증폭하여 복조하는 제1단계;
    상기 복조에 의한 제어신호가 해당 램프의 제어신호이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램프를 제어 처리하는 제2단계;
    상기 복조된 제어신호 중에 여타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하여 중계모드 설정 요구가 있으면 중계를 위해서 수신한 제어신호 또는 수신한 제어신호를 복조 및 변조한 신호를 일정치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 및,
    상기 램프의 상태를 점검하고 상태 정보를 송신 출력하는 제4단계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된 램프를 위한 개별등화기의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드는,
    수신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증폭하여 송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된 램프를 위한 개별등화기의 제어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드는,
    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여 신호를 복원하고, 복원된 신호를 변조하여 증폭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된 램프를 위한 개별등화기의 제어 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계모드는,
    수신되는 신호를 디지털 복조하여 단위 제어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단위제어정보를 즉시 변조하여 증폭 송신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된 단위제어정보가 하나의 제어정보를 완성하면 이를 분석하고,
    해당 램프의 제어신호이면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연결된 램프를 제어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렬연결된 램프를 위한 개별등화기의 제어 방법.
KR1020070047147A 2007-05-15 2007-05-15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972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147A KR100972497B1 (ko) 2007-05-15 2007-05-15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7147A KR100972497B1 (ko) 2007-05-15 2007-05-15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008A KR20080101008A (ko) 2008-11-21
KR100972497B1 true KR100972497B1 (ko) 2010-07-26

Family

ID=4028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7147A KR100972497B1 (ko) 2007-05-15 2007-05-15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4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32B1 (ko) * 2013-03-13 2014-06-27 주식회사 타이드 통합모뎀을 가진 전력선통신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269A (ja) * 1998-01-09 1999-07-30 Hitachi Ltd 灯火制御通信装置
KR20000032777A (ko) * 1998-11-18 2000-06-15 김영윤 에프이씨 방식에 의한 도로조명 제어등의 전력선 통신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269A (ja) * 1998-01-09 1999-07-30 Hitachi Ltd 灯火制御通信装置
KR20000032777A (ko) * 1998-11-18 2000-06-15 김영윤 에프이씨 방식에 의한 도로조명 제어등의 전력선 통신 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432B1 (ko) * 2013-03-13 2014-06-27 주식회사 타이드 통합모뎀을 가진 전력선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1008A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8989A (en) Distributed amplifier network management system
US6556898B2 (en) Distributed track network control system
KR101705424B1 (ko) 항공등화시스템 개별등화기의 원격 펌웨어 업데이트 시스템
CN106257846A (zh) 具有弯管通道和导引通道的自由空间光学通信网络
KR100972496B1 (ko) 램프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972497B1 (ko)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기 및 이의 제어방법
CN201044123Y (zh) 遥控式通用机车信号发送装置
CN102664672B (zh) 具有自动断尾和恢复功能的双向中继器及其控制方法
KR100966448B1 (ko) 직렬 연결된 램프의 제어를 위한 개별등화제어기 및 이의제어 방법
KR100509785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장치
KR101103321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인텔리전트 빌딩 실내조명 원격 제어장치
US20160339933A1 (en) Communication device, train network system, and network setting method
KR101965036B1 (ko) 항공 장애등 제어 장치 및 항공 장애등 제어 방법
JPH10285085A (ja) 信号伝送装置
KR100547471B1 (ko) 컴퓨터양방제어와 지피에스를 활용한 가로등 중앙집중 관리 시스템
CN202798715U (zh) 具有自动断尾和恢复功能的双向中继器
KR20110006172A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가로등 원격 제어장치
JP2007158392A (ja) 放送電波再送信システム及び分岐装置
JPH11187374A (ja) Catv用双方向増幅器
CN103227676A (zh) 一种可实现自我检测的直放站实现装置及方法
JP200103645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23146213A (ja) 列車無線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EP3471515A1 (en) Illumination system
KR101062851B1 (ko) 전력선 통신을 이용한 고출력 조명등 원격 제어장치
KR200314685Y1 (ko) 전력선통신과 근거리무선통신과 장거리통신수단을 이용한 원격 가로등감시 및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