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476B1 -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476B1
KR100972476B1 KR1020047014129A KR20047014129A KR100972476B1 KR 100972476 B1 KR100972476 B1 KR 100972476B1 KR 1020047014129 A KR1020047014129 A KR 1020047014129A KR 20047014129 A KR20047014129 A KR 20047014129A KR 100972476 B1 KR100972476 B1 KR 100972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access point
acknowledgment
wifi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4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2849A (ko
Inventor
치아치이 쿠안
마일즈 우
딘 어
Original Assignee
에어마그네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마그네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어마그네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0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2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제 1 국(204a), 제 2 국(204b), 및 액세스 포인트(202)를 갖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제 1 국은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송신될 수 있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상기 메시지를 제 2 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국은 제어 프레임으로서 송신될 수 있는 응답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국은 상기 제 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송신된 응답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DETECTING A HIDDEN NOD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들은 통상적으로 유선 랜(wired local access network, LAN)을 통해 서로 통신해왔다. 그러나, 랩톱,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 컴퓨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됨에 따라, 무선 신호, 적외선 신호 등을 사용하는 무선 매체를 통한 전송을 통해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무선 랜(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LAN)이 개발되었다.
WLAN 사이의 및 유선 LAN과 WLAN 사이의 상호 운용성(interoperability)을 촉진하기 위해서, IEEE 802.11 표준이 WLAN에 대한 국제 표준으로서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IEEE 802.11 표준은 무선 매체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면서, IEEE 802 유선 랜과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WLAN이 유선 랜보다 증가된 이동성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더라도, WLAN에 대한 통신 품질은 유선 랜에서 존재하지 않는 이유 때문에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WLAN 내의 국(station)들은 액세스 포인트("AP")를 통해 WLAN 내의 다른 국들과 통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국은 그 국이 WLAN 내의 AP에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한 다른 국들은 상기 국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국들은 상기 국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을 검출한 후에, 무선 매체에 상기 국에 의해 생성된 트래픽이 없을 때까지 자신들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국은 제한된 전송 범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숨은 노드들(hidden nodes)"이라 불리는, 상기 전송 범위 밖에 위치된 다른 국들이 WLAN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숨은 노드들"은 WLAN을 통하여 상기 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과 충돌할 수 있는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숨은 노드들"의 존재로부터 야기되는 이러한 타입의 충돌은 통상적으로 "숨은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라고 불린다.
"숨은 노드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메시지들의 충돌은 WLAN에서 허용할 수 없는 성능 및 신뢰성(reliability)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다. 예컨대, IEEE 802.11 표준에 따르면 충돌에 의해 방해받는(interrupted) 각각의 메시지가 재송신될 수 있다. 그러나 메시지를 재송신하는 것은 목적지에서의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지연시킬 수 있다. 덧붙여, 각각의 재송신된 메시지는 WLAN에서 부가적인 대역폭을 소비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 및 대역폭 소비는 WLAN을 통하여 송신되는 다른 메시지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에 따라 WLAN에서 성능 및 신뢰성 문제들을 일으킨다.
본 발명은 제 1 국, 제 2 국 및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 1 국은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송신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엑세스 포인트는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제 2 국에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 2 국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제 2 국은 액세스 포인트에 제어 프레임(control frame)으로서 송신될 수 있는 확인응답(acknowledgement)을 송신할 수 있다. 제 1 국은 제 2 국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된 확인응답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 2 국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송신될 수 있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 2 국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 수신에 대응하여, 제 2 국은 액세스 포인트에 제어 프레임으로 송신될 수 있는 확인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제 1 국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 2 국으로 송신된 메시지를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제 1 국은 제 2 국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에 송신된 확인응답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연계한 기술된 다음의 자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가장 잘 이해될 것이고, 상기 도면에서 유사한 부분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되어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OSI 7 계층 모델을 도시하고;
도 2는 무선 랜("WLAN")에 설정된 예시적인 확장 서비스를 도시하고;
도 3은 WLAN에서 국의 다양한 상태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플로우 다이어그램이고;
도 4는 숨은 노드 문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5는 예시적인 프레임 교환 시퀀스를 도시하고;
도 6은 숨은 노드를 검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플로우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7은 프레임에 포함될 수 있는 예시적인 헤더를 도시하며;
도 8은 예시적인 프레임 교환들의 시퀀스를 도시한다.
본 발명을 더 철저히 이해하기 위해서, 다음의 설명은 특정한 형태들, 파라미터들, 예들 등과 같은 다수의 특정한 상세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으로서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실시예를 양호하게 설명하기 위해 의도된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OSI 7 계층 모델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각각의 기능성에 따라 다수의 계층으로 분할된 네트워킹 시스템(networking system)의 추상적인 모델을 표현한다. 특히, 7 계층들은 계층 1에 상응하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 102), 계층 2에 상응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104), 계층 3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계층(106), 계층 4에 상응하는 트랜스포트 계층(transport layer, 108), 계층 5에 상응하는 세션 계층(session layer, 110), 계층 6에 상응하는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112) 및 계층 7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application layer, 114)을 포함한다. OSI 모델의 각각의 계층은 단지 바로 위 또는 아래에 있는 계층과 직접 상호작용(interaction)하고, 상이한 컴퓨터들(100 및 116)은 물리 계층(102)에서만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컴퓨터들(100 및 116)은 공통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동일한 계층에서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컴퓨터(100)는 프레임이 물리 계층(102)에 도달하기까지 애플리케이션 계층(114) 아래에 있는 각각의 계층을 통해 컴퓨터(100)의 애플리케이션 계층(114)으로부터 프레임을 전파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계층(114)에서 컴퓨터(116)와 통신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프레임은 컴퓨터(116)의 물리 계층(102)에 전송될 수 있고, 상기 프레임이 컴퓨터(116)의 애플리케이션 계층(114)에 도달하기까지 물리 계층(102) 위에 있는 각각의 계층을 통해 전파될 수 있다.
무선 랜(WLAN)에 대한 IEEE 802.11 표준은 데이터 링크 계층(104)에서 동작하는데, 상기 계층은 전술한 바와 같이 OSI 7 계층 모델 중 계층 2에 상응한다. IEEE 802.11이 OSI 7계층 모델 중 계층 2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계층 3 및 그 이상의 계층은 IEEE 802 유선 LAN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계층 3 및 그 이상의 계층들은 계층 2 및 그 아래의 계층에서 실제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를 인식할 수 없다. 따라서, 계층 3 및 그 이상의 계층들은 IEEE 802 유선 랜 및 IEEE 802.11 WLAN에서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들은 유선 랜 또는 WLAN이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이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IEEE 802.11 표준에 따라 WLAN을 형성한,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s, "BSS", 206, 208 및 210)가 있는 예시적인 확장 서비스 세트(200)가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BSS는 액세스 포인트("AP", 202) 및 여러 국(204)을 포함할 수 있다. 국(204)은 WLAN을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고, 이는 이동성 있는 국, 휴대할 수 있는 국, 고정국 등일 수 있고,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예컨대, 국(204)은 랩톱 컴퓨터, PDA 등일 수 있다. 부가하여, 국(204)은 인증(authentication), 인증해제(deauthentication), 프라이버시(privacy), 데이터 전송 등과 같은 국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다.
각각의 국(204)은, 예컨대 WLAN 송신기들과 수신기들 사이에서 무선 또는 적외선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무선 링크를 통해 AP(202)와 직접 통신할 수 있다. 각각의 AP(202)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국 서비스들을 지원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접속(association), 접속해제(deassociation), 분배(distribution), 통합(integration) 등과 같은 분배 서비스들(distribution services)을 지원할 수 있다. 따라서, AP(202)는 자신의 BSS(206, 208 및 210) 내의 국들(204)과 통신할 수 있고, 소위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이라 불리는, WLAN의 백본(backbone)을 형성하는 매체(212)를 통해 다른 AP들(202)과 통신할 수 있다. 분배 시스템(212)은 무선 및 유선 연결부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각각의 국(204)은 IEEE 802.11 표준 하에서 BSS(206, 208 또는 210)의 일부가 되기 위해서 AP(202)에 인증되고 상기 AP와 접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3을 참조하면, 국(204)은 국(204)이 AP(202)에 인증되지 않고 접속되지 않는, 상태 1(State 1, 300)에서 시작한다. 상태 1(300)에서, 국(204)은 국(204)이 AP(202)에 위치되고 인증되도록 할 수 있는 프레임 타입들과 같은 제한된 개수의 프레임 타입들 및 이와 유사한 것만을 사용할 수 있다.
만일 국(204)이 AP(202)에 신호(306)를 성공적으로 인증시키면, 국(204)은 상기 국(204)이 AP(202)에 인증되고 접속되지 않는 상태 2(302)로 상승될 수 있다. 상태 2(302)에서, 국(204)은 국(204)이 AP(202)와 접속되도록 할 수 있는 프레임 타입들과 같은 제한된 개수의 프레임 타입들 및 이와 유사한 것만을 사용할 수 있다.
국(204)이 AP(202)와 신호(308)을 성공적으로 접속시키거나 재접속시키면, 국(204)은 상기 국(204)이 AP(202)에 인증되고 접속되는 상태 3(304)으로 상승될 수 있다. 상태 3(304)에서, 국(204)은 AP(202) 및 WLAN 내의 다른 국들(204)과 통신하기 위해 임의의 프레임 타입들을 사용할 수 있다. 만일 국(204)이 접속해제 통보(310)를 수신한다면, 국(204)은 상태 2로 전이될 수 있다. 나아가, 만일 국(204)이 인증해제 통보(312)를 수신한다면, 국(204)은 상태 1로 전이될 수 있다. IEEE 802.11 표준하에서, 국(204)은 상이한 AP들(202)에 동시에 인증될 수 있지만, 임의의 시간에 하나의 AP(202)와만 접속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국(204)이 AP(202)에 인증되고 접속된다면, 국(204)은 WLAN내의 다른 국(204)과 통신할 수 있다. 특히, 국(204)은 소스 어드레스,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 어드레스(basic service set identification, "BSSID") 및 목적지(destination) 어드레스를 구비한 메시지를 상기 국과 접속된 AP(202)에 송신할 수 있다. 그 후에 AP(202)는 상기 메시지에서 목적지 어드레스로 지정된 국(204)에 상기 메시지를 분배할 수 있다. 상기 목적지 어드레스는 동일한 BSS(206, 208 또는 210) 또는 분배 시스템(212)을 통해 AP(202)에 링크되는 다른 BSS(206, 208 또는 210) 내의 국(204)을 지정할 수 있다.
도 2가 각각이 3개의 국들(204)을 포함하는 3개의 BSS들(206, 208 및 210)을 구비한 확장된 서비스 세트(200)를 도시하고 있지만, 확장된 서비스 세트(200)는 임의의 개수의 국들(204)을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개수의 BSS들(206, 208 및 210)을 포함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WLAN은 유선 LAN과 비교하여 증가된 이동성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지만, WLAN을 통한 통신 품질은 유선 LAN에서 존재하지 않는 이유 때문에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국들(204)은 AP(202)를 통해 다른 국들(204)과 통신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각각의 국(204)은 국(204)이 WLAN 내의 AP(202)에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전송 범위를 가질 수 있다. WLAN 내의 상이한 국들(204)은 국들(204)로서 사용된 디바이스들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전송 범위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국(204)으로서 사용된 휴대용(handheld) 디바이스는 국(204)으로서 사용된 랩톱과 다른 전송 범위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국(204)이 AP(202)에 신호를 송신할 때, 다른 국들(204)이 신호를 전송하는 상기 국(204)의 전송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다른 국들(204)은 전송된 신호를 검출할 수 있고, 무선 매체에 상기 전송된 신호와 연관된 트래픽이 없을 때까지 자신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대기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국은 제한된 전송 범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숨은 노드들"로 불리는, 상기 전송 범위 밖에 위치된 다른 국들이 WLAN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숨은 노드들"은 WLAN을 통하여 상기 국에 의해 송신된 신호들과 충돌할 수 있는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숨은 노드들"의 존재로부터 야기되는 이러한 타입의 충돌은 통상적으로 "숨은 노드 문제"로 불린다.
더 상세하게는, 도 4는 "숨은 노드 문제"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국들(204a 및 204b)은 AP(202)에 인증되고 상기 AP(202)에 접속된다. 나아가, 국(204a)은 전송 범위(400)를 가지고 국(204b)은 전송 범위(402)를 가진다. 국(204a)이 국(204b)의 전송 범위(402) 내에 위치하지 않고 국(204b)이 국(204a)의 전송 범위(400) 내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국들(204a 및 204b)은 모두 다른 국이 AP(202)에 메시지를 송신한 것을 인식하지 않고서 동일한 시간(time period) 동안 AP(202)에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 있다. 특히, 국(204a)은 전송 범위(400) 내의 국들(204 (도 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메시지(404)를 송신할 수 있다. 국(204b)이 전송 범위(400) 밖에 위치되기 때문에, 국(204b)은 메시지(404)를 검출할 수 없다. 동일한 시간 동안, 국(204b)은 메시지(404)도 WLAN을 통해 송신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않고서 AP(202)에 메시지(406)를 송신할 수 있다. 메시지(406)는 전송 범위(402) 내의 국들(204 (도 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국(204a)이 전송 범위(402) 밖에 위치되기 때문에, 국(204a)은 메시지(406)를 검출할 수 없다. 국들(204a 및 204b)은 통상적으로 이들이 서로의 전송 범위 밖에 위치되기 때문에 서로의 "숨은 노드들"로 여겨지게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메시지들(404 및 406)이 동일한 시간 동안 AP(202)에 전송되기 때문에, 메시지들(404 및 406)은 AP(202)에서 충돌할 수 있다. 상기 충돌은 양쪽의 메시지들의 전달을 방해(interrupt)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방식으로 숨은 노드들로부터 유래하는 메시지들의 충돌은 "숨은 노드 문제"로 불린다.
"숨은 노드 문제"로부터 발생하는 메시지들의 충돌은 WLAN에서 허용할 수 없는 성능 및 신뢰성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다. 예컨대, 충돌에 의해 방해되는 각각의 메시지는 IEEE 802.11 표준에 따르면 재송신될 수 있다. 그러나, 메시지를 재송신하는 것은 목적지에서 메시지 수신을 지연시킬 수 있다. 덧붙여, 각각의 재송신된 메시지는 WLAN에서 부가적인 대역폭을 소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연들 및 대역폭 소비는 WLAN을 통하여 송신되는 다른 메시지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이에 따라 WLAN에서 성능 및 신뢰성 문제들을 일으킨다.
따라서, WLAN에서 숨은 노드들을 식별하는 것은 WLAN에서의 성능 및 신뢰성 문제들에 대한 가능성과 같은 WLAN의 특성을 결정할 때 유용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WLAN 내의 국에 대해 숨은 노드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국(204a)은 임의의 편리한 방법에 의해 WLAN 내의 국들(204b)에 대해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어드레스들의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국(204a)은 국들(204b) 및 일정 시간 동안, 다양한 위치에서 WLAN을 통해 전송된 신호들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국들과 접속된 MAC 어드레스들을 밝혀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MAC 어드레스들의 리스트는 국(204a)으로 임포트(import)될 수 있다. 예컨대 AP(202)와 접속된 국(204b)의 리스트가 국(204a)에 임포트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국(204a)이 국들(204b)에 대한 MAC 어드레스들을 획득한 후에, 국(204a)은 어느 국들(204b)이 위 국(204a)에 대한 숨은 노드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국(204a)은 WLAN을 통하여 프레임 교환 시퀀스 동안 국(204b)이 숨은 노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600)에서, 국(204a)은 메시지(500)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시지(500)는 목적지 어드레스(704), 기본 서비스 세트 식별(BSSID), 소스 어드레스(708) 및 기타 정보(710)를 갖는 헤드(70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시지(500) 내의 헤더(700)는 국(204b)으로 설정된 목적지 어드레스(704), AP(202)로 설정된 BSSID(706) 및 국(204a)로 설정된 소스 어드레스(708)를 가질 수 있다.
단계(602)에서, AP(202)는 메시지(500)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500) 수신에 대응하여, 단계(604)에서, AP(202)는 국(204a)으로 확인응답("ACK", 502)을 송신할 수 있다. 단계(606)에서, 국(204a)은 ACK(502)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국(204a)이 특정된 시간 내에 AP(202)로부터 ACK(502)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국(204a)은 메시지(500)를 재송신할 수 있고, 도 6의 단계(600)부터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608)에서, AP(202)는 메시지(500)의 헤더(700)에 기술된 목적지 어드레스(704)에 기초한 메시지(504)로서 국(204b)에 메시지(500)를 송신할 수 있다. 다음에, 단계(610)에서, 국(204b)은 AP(202)로부터 메시지(504)를 수신할 수 있다. 메시지(504) 수신에 대응하여, 단계(612)에서, 국(204b)은 AP(202)에 ACK(506)를 송신할 수 있다. 국(204b)로부터 송신된 ACK(506)는 모든 전송 범위(402 (도 4))에 걸쳐 WLAN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송 범위에 위치한 다른 국들(204 (도 2))은 ACK(506)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14)에서, 국(204a)은 ACK(506)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국(204a)이 ACK(506)를 검출할 수 있다면, 국(204a)은 국(204b)의 전송 범위(402 (도 4)) 내에 위치하게 된다. 만일 국(204a)이 ACK(506)를 검출할 수 없다면, 국(204a)은 국(204b)의 전송 범위(402 (도 4))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 나아가, 만일 국(204a)이 ACK(506)의 전송 범위(402 (도 4)) 내에 위치한다면, 국(204b)은 국(204a)의 숨은 노드가 되지 않는다. 택일적으로, 국(204a)이 ACK(506)의 전송 범위(402 (도 4))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국(204b)은 국(204a)의 숨은 노드가 된다.
단계(614)에서, 국(204a)이 다양한 이유 때문에 ACK(506)를 검출하는데 실패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컨대, 만일 AP(202)가 국(204b)으로 메시지(504)를 송신하지 못한다면, 국(204b)은 ACK(506)를 송신하지 못할 것이다. 이 경우에, 국(204a)이 검출할 ACK(506)가 없을 것이고, 국(204a)의 ACK(506) 검출 실패는 AP(202)와 국(204b) 사이의 전송 문제들로 귀결된다. 따라서, 일부 응용에서, 국(204a)이 ACK(506)를 검출하지 못한다면, 국(204a)이 다른 메시지(500)를 송신할 수 있고 다른 ACK(506)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메시지들(500)을 반복적으로 송신하고 ACK들(506)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국(204a)은 국(204b)이 국(204a)의 숨은 노드인지를 더 신뢰성있게 결정할 수 있다. 만일 국(204a)이 국(204b)로부터 임의의 ACK(506)를 수신한다면, 국(204a)은 국(204b)이 숨은 노드가 아니라고 결정할 수 있다. 택일적으로, 만일 국(204a)이 국(204b)로부터 임의의 ACK(506)를 수신하지 못한다면, 국(204a)은 국(204b)이 국(204a)로부터 반복적으로 송신된 메시지들(500)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더 신뢰성 있게 숨은 노드라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국(204b)이 국(204a)의 숨은 노드라고 결정한 후에, 국(204a)은 전술한 리스트에서 다른 국들(204b)에 대해 전술한 프로세스를 반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WLAN 내의 국들(204b)에 대한 MAC 어드레스들 리스트를 획득하는 것을 기술하고 있지만, 단일 MAC 어드레스가 그 단일 MAC 어드레스를 갖는 특정한 국(204b)이 다른 국(204a)의 숨은 노드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얻어질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WLAN 내의 국에 대해 숨은 노드들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인 프로세스가 도시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국(204a)은 AP(202)의 전송 범위(804)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국(204a)이 AP(202)와 접속될 수 있지만, 국(204a)은 일부 응용에서 AP(202)와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고 인식되어야 한다. AP(202)가 임의의 국(204 (도 2)) 또는 WLAN 내의 임의의 AP(202)로부터 유래할 수 있는 메시지(800)를 송신할 때, 국(204a)은 상기 메시지(800)를 검출할 수 있다. 메시지(800) 수신에 대응하여, 국(204b)은 AP(202)에 ACK(802)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ACK(802)는 국(204b)의 전송 범위(806) 내에서 국들(204) 또는 AP들(202 (도 2))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메시지(800)를 검출한 후에, 국(204a)은 국(204b)로부터 AP(202)로 송신될 수 있는 ACK(802)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만일 국(204a)이 ACK(802)를 검출할 수 있다면, 국(204a)은 국(204b)의 전송 범위(806) 내에 위치한다. 국(204a)이 ACK(802)를 검출할 수 없다면, 국(204a)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국(204b)의 전송 범위(806)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 나아가, 만일 국(204a)이 ACK(802)의 전송 범위(806) 내에 위치한다면, 국(204b)은 국(204a)의 숨은 노드가 아니다. 택일적 으로, 만일 국(204a)이 ACK(802)의 전송 범위(806)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국(204b)는 국(204a)의 숨은 노드이다.
본 실시예의 한가지 장점은 국(204a)으로 하여금 AP에 의해 송신된 메시지들에 대해 WLAN을 수동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하고 수신국으로부터 AP에 송신된 ACK들을 수동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WLAN을 수동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국(204a)은 대역폭을 소비하거나 WLAN을 통한 트래픽을 간섭하지 않고서 WLAN 내의 숨은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나아가, 국(204a)은 동일한 시간 동안 WLAN 내의 다수의 국들을 수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별개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조합될 수 있다는 점은 인식되어야 한다. 이러한 조합은 동일한 시간 주기 동안에 국으로 하여금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WLAN을 능동적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하고, 본 실시예에 따라 WLAN을 수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게 한다.
전술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들 각각에서, 국(204a)은 이동성 있는 국, 휴대할 수 있는 국, 고정국 등일 수 있다. 예컨대, 국(204a)은 랩톱 컴퓨터, PDA 등일 수 있다. 덧붙여, 국(204a)은 WLAN 내의 통신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진단 툴(diagnostic tool)로서 사용자에 의해, 관리 툴(administrative tool)로서 관리자에 의해 그리고 기타 이와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숨은 노드 문제" 및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전술한 메시지들은 IEEE 802.11 표준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들로서 송신된다. 더 상세하게는, 현재의 IEEE 802.11 표준에 따라, 데이터 프레임들은 적어도 29 바이트들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대조적으로, ACK들은 제어 프레임들로서 송신된다. 현행 IEEE 802.11 표준에 따르면, 제어 프레임들은 최대한 20 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표준 IEEE 802.11 ACK는 14 바이트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데이터 프레임들 및 제어 프레임들에 대한 크기 제한들은 IEEE 802.11 표준이 개정된다면 변화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하여야 한다.
제어 프레임들은 데이터 프레임들보다 더 작은 크기일 뿐만 아니라, 데이터 링크 계층(104 (도 1)) 및 그 아래의 계층에서만 생성된다. 예컨대, 메시지가 수신될 때, ACK는 AP(202)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104 (도 1))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되고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부터 송신된다. 이와 같이, 수신된 메시지는 ACK 프레임이 생성되고 송신되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 링크 계층(104 (도 1)) 이상에서 처리될 필요가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메시지들 및 ACK들은 메지시들 또는 ACK들을 송신하는 국 또는 AP의 전송 범위 내의 국들 및 AP들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나아가, 검출된 정보는 소스 어드레스, 목적지 어드레스, BSSID 등과 같은 헤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정보는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시스템의 숨은 노드들인 국들에 대한 정보를 모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들, 예들 및 응용들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변형들 및 변경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명백할 것이다.

Claims (64)

  1. 제1 국 및 제2 국 모두가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상기 제1 국 및 상기 제2 국을 갖는 무선 랜(local area network)에서 숨은 노드(hidden node)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전송됨 ―;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2 국에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국에서의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확인응답(acknowledgement)을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확인응답은 제어 프레임으로서 전송됨 ― ;및
    상기 숨은 노드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상기 확인응답을 상기 제1 국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확인응답을 검출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확인응답을 검출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가 아니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서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국으로 확인응답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확인응답은 제어 프레임으로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1 국으로 전송됨 ―; 및
    상기 제1 국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상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특정된 시간 기간 내에 상기 메시지에 대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1 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2 국으로 설정된 목적지 어드레스,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BSSID(basic service set identification) 및 상기 제1 국으로 설정된 소스 어드레스를 갖는 헤더를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은 OSI 모델에서의 네트워크 계층 아래에서 전송되고 수신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은 IEEE 802.11 표준에 따라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전송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적어도 29 바이트 길이이고,
    상기 제어 프레임은 길어야 20 바이트 길이이며,
    상기 확인응답은 14 바이트 길이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진단 툴(diagnostic tool)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관리 툴(administrative tool)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으로부터 메시지들을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메시지들은 데이터 프레임들로서 전송됨 ―; 및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되는 확인응답들을 상기 제1 국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확인응답들은 제어 프레임들로서 전송됨 ―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확인응답을 검출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가 아니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확인응답을 검출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15. 제1 국 및 제2 국 모두가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상기 제1 국 및 상기 제2 국을 가진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2 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전송됨 ―; 및
    상기 숨은 노드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확인응답을 상기 제1 국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응답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국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확인응답은 제어 프레임으로서 전송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확인응답을 검출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확인응답을 검출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가 아니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응답은 상기 제1 국으로부터의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확인응답은 제어 프레임으로서 전송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특정된 시간 기간 내에 상기 메시지에 대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확인응답을 수신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1 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2 국으로 설정된 목적지 어드레스,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BSSID 및 상기 제1 국으로 설정된 소스 어드레스를 갖는 헤더를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은 OSI 모델에서의 네트워크 계층 아래에서 전송되고 수신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은 IEEE 802.11 표준에 따라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전송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적어도 29 바이트 길이이고,
    상기 제어 프레임은 길어야 20 바이트 길이이며,
    상기 확인응답은 14 바이트 길이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진단 툴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관리 툴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으로부터 메시지들을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메시지들은 데이터 프레임들로서 전송됨 ―; 및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확인응답들을 상기 제1 국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 ― 상기 확인응답들은 제어 프레임들로서 전송됨 ― 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확인응답을 검출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가 아니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응답을 검출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29. 제1 국, 제2 국 및 액세스 포인트를 갖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제2 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전송됨 ―;
    상기 제2 국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국에서의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확인응답을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확인응답은 제어 프레임으로서 전송됨 ―;
    상기 제1 국에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숨은 노드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상기 확인응답을 상기 제1 국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확인응답을 검출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확인응답을 검출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가 아니라고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2 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전송됨 ―; 및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확인응답을 상기 제1 국에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응답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국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확인응답은 제어 프레임으로서 전송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은 OSI 모델에서의 네트워크 계층 아래에서 전송되고 수신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은 IEEE 802.11 표준에 따라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전송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적어도 29 바이트 길이이고,
    상기 제어 프레임은 길어야 20 바이트 길이이며,
    상기 확인응답은 14 바이트 길이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진단 툴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관리 툴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38.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숨은 노드를 검출하기 위해서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2 국으로부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확인응답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제1 국;
    상기 제1 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국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제2 국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확인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제2 국을 포함하고,
    상기 확인응답은 제어 프레임으로서 전송되고,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전송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상기 제1 국이 상기 확인응답을 검출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라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상기 제1 국이 상기 확인응답을 검출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가 아니라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제1 국으로부터의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국에 확인응답을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제1 국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확인응답을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상기 제1 국이 특정된 시간 기간 내에 상기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데 실패하면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2 국으로 설정된 목적지 어드레스,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BSSID 및 상기 제1 국으로 설정된 소스 어드레스를 갖는 헤더를 포함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44.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은 OSI 모델에서의 네트워크 계층 아래에서 전송되고 수신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은 IEEE 802.11 표준에 따라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전송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46.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적어도 29 바이트 길이이고,
    사익 제어 프레임은 길어야 20 바이트 길이이며,
    상기 확인응답은 14 바이트 길이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47.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진단 툴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48.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관리 툴인,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4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메시지들을 반복적으로 전송하고 ― 상기 메시지들은 데이터 프레임들로서 전송됨 ―,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확인응답들 ― 상기 확인응답들은 제어 프레임들로서 전송됨 ― 을 모니터링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상기 제1 국이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확인응답을 검출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가 아니라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상기 제1 국이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확인응답을 검출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라고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을 위한 시스템.
  52. 제1 국 및 제2 국 모두가 액세스 포인트와 관련된 상기 제1 국 및 상기 제2 국을 갖는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상기 제1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제2 국으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 상기 메시지는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전송됨 ―; 및
    상기 숨은 노드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확인응답을 상기 제1 국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확인응답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상기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국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확인응답은 제어 프레임으로서 전송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확인응답을 검출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라고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확인응답을 검출하면, 상기 제2 국은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가 아니라고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5.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특정된 시간 기간 내에 상기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확인응답을 수신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1 국으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재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6.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제2 국으로 설정된 목적지 어드레스,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된 BSSID 및 상기 제1 국으로 설정된 소스 어드레스를 갖는 헤더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7.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은 OSI 모델에서의 네트워크 계층 아래에서 전송되고 수신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8.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 및 상기 제어 프레임은 IEEE 802.11 표준에 따라 OSI 모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전송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59.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레임은 적어도 29 바이트 길이이고,
    상기 제어 프레임은 길어야 20 바이트 길이이고,
    상기 확인응답은 14 바이트 길이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60.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진단 툴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61.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은 관리 툴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62.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으로부터 메시지들을 반복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 ―상기 메시지들은 데이터 프레임들로서 전송됨 ―; 및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확인응답들 ― 상기 확인응답들은 제어 프레임들로서 전송됨 ― 을 상기 제1 국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확인응답을 검출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가 아니라고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64.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국이 상기 제2 국으로부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확인응답을 검출하는데 실패하면, 상기 제2 국이 상기 제1 국의 숨은 노드라고 결정하기 위한 컴퓨터 코드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KR1020047014129A 2002-03-14 2003-03-10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72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99,222 US7130289B2 (en) 2002-03-14 2002-03-14 Detecting a hidden nod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10/099,222 2002-03-14
PCT/US2003/007345 WO2003079708A1 (en) 2002-03-14 2003-03-10 Detecting a hidden nod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2849A KR20050002849A (ko) 2005-01-10
KR100972476B1 true KR100972476B1 (ko) 2010-07-26

Family

ID=2803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4129A KR100972476B1 (ko) 2002-03-14 2003-03-10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130289B2 (ko)
EP (1) EP1483922B1 (ko)
JP (1) JP4477882B2 (ko)
KR (1) KR100972476B1 (ko)
CN (1) CN1653837B (ko)
AT (1) ATE557571T1 (ko)
AU (1) AU2003220149A1 (ko)
CA (1) CA2477608C (ko)
WO (1) WO2003079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84407B1 (en) * 2002-05-10 2007-02-27 Cisco Systems Wireless Networking (Australia) Pty Limited Detecting, reporting and mitigating hidden nodes in a wireless data network
US7058796B2 (en) 2002-05-20 2006-06-06 Airdefense, Inc. Method and system for actively defending a wireless LAN against attacks
US7277404B2 (en) * 2002-05-20 2007-10-02 Airdefense, Inc.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wireless LAN activity
US7532895B2 (en) * 2002-05-20 2009-05-12 Air Defen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location tracking
US7355996B2 (en) * 2004-02-06 2008-04-08 Airdefen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monitoring with bandwidth constraints
US7397785B2 (en) * 2003-05-28 2008-07-08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enhancing fairness and performance in a multihop ad hoc network and corresponding system
US20050036465A1 (en) * 2003-06-30 2005-02-17 Shai Waxma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ignal detection for wireless network
US7257107B2 (en) * 2003-07-15 2007-08-14 Highwall Technologies, Ll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unauthorized, “rogue” wireless LAN access points
US7065144B2 (en) 2003-08-27 2006-06-20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independent spatial processing for wideband MISO and MIMO systems
US8483105B2 (en) 2003-10-15 2013-07-09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US8462817B2 (en) 2003-10-15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ultiplexing protocol data units
US8284752B2 (en) 2003-10-15 2012-10-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edium access control
US8233462B2 (en) 2003-10-15 2012-07-31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and direct link protocol
US9226308B2 (en) 2003-10-15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edium access control
US8472473B2 (en) 2003-10-15 2013-06-25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LAN protocol stack
US8842657B2 (en) 2003-10-15 2014-09-23 Qualcomm Incorporated High speed media access control with legacy system interoperability
US8903440B2 (en) 2004-01-29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hierarchical scheduling in an ad hoc network
US7818018B2 (en) 2004-01-29 2010-10-19 Qualcomm Incorporated Distributed hierarchical scheduling in an AD hoc network
GB2412273B (en) * 2004-03-15 2006-12-20 Toshiba Res Europ Ltd Detection of hidden and exposed nodes in wireless networks
US8315271B2 (en) 2004-03-26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d-hoc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564814B2 (en) 2004-05-07 2009-07-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mode and rate selec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01018B2 (en) 2004-06-02 2013-03-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a wireless network
KR100570825B1 (ko) * 2004-09-30 200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에서 인접 bss간의 간섭 감지 장치 및방법
US7882412B2 (en) 2004-10-05 2011-02-01 Sanjiv Nanda Enhanced block acknowledgement
US8196199B2 (en) 2004-10-19 2012-06-05 Airdefense, Inc. Personal wireless monitoring agent
KR101242952B1 (ko) * 2005-05-13 2013-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US8116287B2 (en) * 2005-07-29 2012-02-14 Microsoft Corporation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from a wireless access point indicating hidden networks
US8600336B2 (en) 2005-09-12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Scheduling with reverse direction gra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559350B2 (en) 2005-12-20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Mechanism to convey discovery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478300B2 (en) 2005-12-20 2013-07-02 Microsoft Corporation Proximity service discovery in wireless networks
US7715800B2 (en) 2006-01-13 2010-05-11 Airdefen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intrusion detection using spectral analysis
KR100713378B1 (ko) 2006-01-13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숨은 스테이션 검출 방법
DE102006014308A1 (de) * 2006-03-10 2007-09-13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zur Multi-Hop-Datenübertragung in einem ad-hoc-Netz mit versteckten Knoten
US7971251B2 (en) 2006-03-17 2011-06-28 Airdefen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security using distributed collaboration of wireless clients
US10681151B2 (en) 2006-05-15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otification framework for wireless networks
GB2439128A (en) * 2006-06-13 2007-12-19 Siconnect Ltd Providing communication in a network even if hidden nodes arise
US7970013B2 (en) 2006-06-16 2011-06-28 Airdefen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network content filtering
US8281392B2 (en) 2006-08-11 2012-10-02 Airdefens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wired equivalent privacy and Wi-Fi protected access protection
US8559407B2 (en) * 2007-08-31 2013-10-15 Tropos Networks, Inc. Characterizing uncoordinated interference of a wireless network
US8606187B2 (en) * 2007-08-31 2013-12-10 Tropos Networks, Inc. Mitigation of uncoordinated interference of a wireless access node
US9105031B2 (en) 2008-02-22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entication mechanisms for wireless networks
JP4569668B2 (ja) * 2008-05-23 2010-10-27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8694624B2 (en) * 2009-05-19 2014-04-08 Symbol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current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ccess and sensing
EP2257114A1 (de) * 2009-05-29 2010-1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Zuordnung der Datentelegramme zu den Zeitschlitzen in einem drahtlosen Datenbussystem mit versteckten Teilnehmern ("Hidden Nodes")
CN101711037B (zh) * 2009-12-23 2014-12-24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隐藏节点的检测方法和设备
US9019846B2 (en) * 2011-06-20 2015-04-28 Cisco Technology, Inc. Reducing the impact of hidden nodes in mesh networks
US8489679B2 (en) 2011-08-16 2013-07-16 Fluk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network traffic and determining the timing associated with an application
CN103002591B (zh) 2011-09-15 2015-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对节点进行nav控制的方法、装置、系统及节点
CN103249166B (zh) * 2012-02-01 2016-06-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rts/cts机制的启动方法及装置、系统
CN103686930B (zh) * 2012-09-17 2018-10-12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Wlan中隐藏节点的检测方法、系统和设备
EP2736285A1 (en) 2012-11-21 2014-05-28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optimizing a wireless network connection
US9648559B2 (en) * 2013-03-08 2017-05-0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fferentiated fast initial link setup
KR102208672B1 (ko) 2014-01-21 2021-01-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히든 노드 검출 장치 및 방법
CN105263158B (zh) * 2015-09-06 2018-10-23 江苏中兴微通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增强型无线局域网中隐藏节点对的检测方法
WO2017106209A1 (en) 2015-12-13 2017-06-22 GenXComm,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s and apparatus
CN108605264B (zh) * 2015-12-23 2022-10-18 康博泰公司 用于网络管理的方法和设备
US9838956B2 (en) * 2016-03-02 2017-12-05 Sr Technologies, Inc. Identification of mobile nodes in WLAN communications
US10257746B2 (en) 2016-07-16 2019-04-09 GenXComm,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methods and apparatus
EP3361768A1 (en) * 2017-02-13 2018-08-15 Thomson Licen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etecting interferences
CN106961696B (zh) * 2017-04-28 2020-10-16 扬州大学 一种无线局域网隐藏终端可避免的分组方法
WO2019157627A1 (en) * 2018-02-13 2019-08-22 Nokia Shanghai Bel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hidden node
US11150409B2 (en) 2018-12-27 2021-10-19 GenXComm, Inc. Saw assisted facet etch dicing
US10727945B1 (en) 2019-07-15 2020-07-28 GenXComm, Inc. Efficiently combining multiple taps of an optical filter
US11215755B2 (en) 2019-09-19 2022-01-04 GenXComm, Inc. Low loss, polarization-independent, large bandwidth mode converter for edge coupling
US11539394B2 (en) 2019-10-29 2022-12-27 GenXComm, Inc. Self-interference mitigation in in-band full-duplex communication systems
US11796737B2 (en) 2020-08-10 2023-10-24 GenXComm, Inc. Co-manufacturing of silicon-on-insulator waveguides and silicon nitride waveguides for hybrid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CA3234722A1 (en) 2021-10-25 2023-05-04 Farzad Mokhtari-Koushyar Hybrid photonic integrated circuits for ultra-low phase noise signal generator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97469A (en) * 1989-05-19 1992-03-17 Concord Communications, Inc. Passive monitor for broadcast communication network
US5185735A (en) * 1991-07-10 1993-02-09 Hewlett Packard Company Lan noise monitor
US5461627A (en) * 1991-12-24 1995-10-24 Rypinski; Chandos A. Access protocol for a common channel wireless network
GB9223890D0 (en) 1992-11-13 1993-01-06 Ncr Int Inc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5636220A (en) * 1994-03-01 1997-06-03 Motorola, Inc. Packet delivery method for use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LAN)
JP3248348B2 (ja) * 1994-03-15 2002-01-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2591467B2 (ja) 1994-04-18 1997-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クセス方式
JP3041200B2 (ja) * 1994-07-21 2000-05-15 シャープ株式会社 データ通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CA2129193C (en) * 1994-07-29 1999-07-20 Peter E. Reissner Access point tracking for mobile wireless network node
CA2129199C (en) * 1994-07-29 1999-07-20 Roger Y.M. Cheung Method and apparatus for bridging wireless lan to a wired lan
CA2129200C (en) * 1994-07-29 1999-08-10 Murray C. Baker Access point switching for mobile wireless network node
US5737328A (en) 1995-10-04 1998-04-07 Aironet Wireless Communications, Inc.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with information rerouting capabilities
JPH09130447A (ja) * 1995-10-31 1997-05-16 Nec Corp 無線データ伝送装置
US5661727A (en) * 1996-06-12 1997-08-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hemes to determine presence of hidden terminals in wireless networks environment and to switch between them
US6067297A (en) * 1996-06-28 2000-05-23 Symbol Technologies, Inc. Embedded access point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mobile unit operating in power-saving mode
US5991287A (en) * 1996-12-30 1999-11-23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mless handover in a wireless computer network
US6424837B1 (en) * 1999-04-19 2002-07-23 Christopher J. Hall Automated testing for cellular telephone system including emergency positioning
WO2002087172A1 (en) * 2001-04-20 2002-10-31 Motorola, Inc. Protocol and structure for self-organizing network
US7570656B2 (en) * 2001-06-18 2009-08-04 Yitran Communications Ltd. Channel access method for powerline carrier based media access control protoc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557571T1 (de) 2012-05-15
US20070036091A1 (en) 2007-02-15
CA2477608A1 (en) 2003-09-25
EP1483922B1 (en) 2012-05-09
EP1483922A1 (en) 2004-12-08
JP4477882B2 (ja) 2010-06-09
EP1483922A4 (en) 2010-07-28
WO2003079708A8 (en) 2004-12-16
CA2477608C (en) 2010-11-23
JP2005520444A (ja) 2005-07-07
US7130289B2 (en) 2006-10-31
CN1653837B (zh) 2010-12-08
US20030174680A1 (en) 2003-09-18
KR20050002849A (ko) 2005-01-10
CN1653837A (zh) 2005-08-10
AU2003220149A1 (en) 2003-09-29
WO2003079708A1 (en) 200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476B1 (ko) 무선 랜에서 숨은 노드를 검출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4486147B2 (ja) ワイヤレス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での伝送スループットの測定
US8520585B2 (en) Multicast retry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5389922B2 (ja) ベースチャネルと60GHzチャネルとの間で切り替え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4287289B2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非認可ステーションの検出
KR100956192B1 (ko) 무선 근거리 통신망에서 무단 액세스 포인트를 검출하기위한 방법 및 장치
JP4485176B2 (ja) 802.11ネットワーク向けの固有wi−fiアーキテクチャ
US200601366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riable length aggregate acknowledgements in a shared resource network
US733989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control of data packet fragmentation threshold in a wireless network
JP2005522132A5 (ko)
JP3497885B2 (ja) 無線lanメディアアクセス方法
JP2003051781A (ja) データ通信方法及びデータ通信方式
KR100959571B1 (ko) 멀티캐스트 전달 품질 모니터링 메커니즘
KR100666993B1 (ko) 무선랜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74622B1 (ko) 무선 랜 데이터 프레임과, 이를 이용한 무선 랜 데이터송/수신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9525000A (ja) 送信告知指示
JP5801494B2 (ja) ブロードキャストティアダウン装置および方法
KR20080105887A (ko) 무선네트워크에서 멀티캐스트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