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225B1 -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 Google Patents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225B1
KR100971225B1 KR1020070114231A KR20070114231A KR100971225B1 KR 100971225 B1 KR100971225 B1 KR 100971225B1 KR 1020070114231 A KR1020070114231 A KR 1020070114231A KR 20070114231 A KR20070114231 A KR 20070114231A KR 100971225 B1 KR100971225 B1 KR 100971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ooling
bracket
main body
coup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041A (ko
Inventor
소병호
Original Assignee
소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병호 filed Critical 소병호
Priority to KR102007011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2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3Internal mounting support structures, e.g. for printed circuit boards, internal conn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은, 컴퓨터 메인 보드 상에 장착된 메모리 모듈을 쿨링시키기 위한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는 브래킷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방출 홀 및 상기 쿨링팬 결합수단을 갖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의 양 측단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메모리 슬롯 홀더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갖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다리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매우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메모리 슬롯 홀더에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부피를 최대한 줄인 일체형으로서 그래픽 카드와 같은 메모리 주변 기기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전기적으로도 절연되어 주변기기와의 쇼트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PC 사용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간편하게 장착하여 메모리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메모리, 쿨링, 브래킷

Description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Bracket for cooling memory module}
본 발명은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컴퓨터 메인보드 상에 장착된 메모리 모듈을 쿨링하기 위해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는 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메모리, 메모리 등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 고속화 기술은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나. 이에 수반하여 소비전력 증가와 선폭 감소에 의한 전류 밀도 증가에 의한 열밀도 또한 급격하게 상승 되고 있다.
램 등 메모리의 경우 소비전력 및 전류 밀도 증가에 따른 발열 문제는 CPU 등 비메모리에 비하여 치명적인 문제는 아니지만, 최근 들어 방열문제가 크게 대두되기 시작하여 알루미늄 압출재 히트싱크 등을 방열체로 적용한 램 모듈이 출시되고 있으며, 면방향으로의 열전도 능력이 우수한 흑연시트를 램 모듈에 장착시켜 넓은 면적으로 열을 확산시켜 단위면적당 열을 저감시켜 외부로 방열하는 방법도 적용되고 있으나, 방열에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 컴퓨터용 메모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던 SDRAM(Synchronous Dynamic RAM)에 비해 동작 클럭이 400MHz~800MHz(DDR 기술 적용)으로 4~8배정도 높은 동작 속도를 갖는 RDRAM(Rambus RAM)이나 DDR(Double Data Rate) SDRAM은 높은 동작 속도를 갖기 때문에, 메모리를 과도하게 확장하여 사용하는 PC 사용자들에게는 메모리가 과도하게 발열되어 열에 의한 성능 이상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 CPU 등을 냉각시키는 장치나 방법들을 메모리의 열을 방열시키는데 적용하려면 별도의 냉각장치의 제작 및 설치가 필요하여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메모리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PC 사용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쿨링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컴퓨터 메인보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의 우측 중앙부에는 CPU(800)가 실장되어 있고, 그 아래 메모리(200)가 슬롯에 끼워지고 홀더(240)로 고정되어 있다.
최근 쿨링팬을 이용하여 메모리(200)의 열을 방열하는 장치가 이용되고 있으나, 그 크기가 비대해 메모리 슬롯 옆에 위치하는 그래픽 카드(도 1 참조)와 간섭이 일어나거나, 바디 자체가 금속재이거나 볼트 등의 금속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제품의 경우 그래픽 카드와 전기적으로 쇼트(short)를 일으키기 쉽고 조립 또한 불편한 단점이 있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매우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메모리 슬롯 홀더에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부피를 최대한 줄인 일체형으로서 그래픽 카드와 같은 메모리 주변 기기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전기적으로도 절연되어 주변기기와의 쇼트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을 제공하여, PC 사용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간편하게 장착하여 메모리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은, 컴퓨터 메인 보드 상에 장착된 메모리 모듈을 쿨링시키기 위한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는 브래킷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방출 홀 및 상기 쿨링팬 결합수단을 갖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의 양 측단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메모리 슬롯 홀더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갖는 다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다리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은 메모리 슬롯 홀더에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부피를 최대한 줄인 일체형으로서 그래픽 카드와 같은 메모리 주변 기기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은, 상기 다리부로 연장되지 않은 메인바디의 양 측단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바디, 상기 다리부 및 상기 날개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날개부는, 브래킷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쿨링팬에서 뿜어내는 바람을 메모리 옆면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여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다리부는 탄성을 갖는 볼록부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다리부가 탄력적으로 벌어져 메모리 슬롯 홀더에 결합된 후 조여지게 되어 간편하게 결합하면서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의 쿨링팬 결합수단은, 피스홀이 될 수 있으며, 상기 다리부의 결합수단은, 상기 메모리 슬롯 홀더와 요철(凹凸)결합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주변 기기와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은 절연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해, 매우 저가로 제작이 가능하면서도, 메모리 슬롯 홀더에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부피를 최대한 줄인 일체형으로서 그 래픽 카드와 같은 메모리 주변 기기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전기적으로도 절연되어 주변기기와의 쇼트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PC 사용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하여 간편하게 장착하여 메모리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의 다리부의 결합수단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100)은, 열방출 홀(120) 및 쿨링팬 결합수단(190)을 구비한 메인바디와, 메인바디의 양 측단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메모리 슬롯 홀더에 결합하는 결합수단(142)을 갖는 다리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열방출 홀(1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메인바디 및 다리부(140)는 일체로 형성되어 제작시 단 한번의 사출 로 간편하게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200)는 PC 메인보드 상의 메모리 슬롯에 끼워지는데, 메모리 슬롯 홀더(24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메모리 슬롯 홀더(240)에 요철(凹凸)결합 방식으로 매우 간단하게 쿨링용 브래킷을 결합시킬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창안한 것으로, 이를 바탕으로 부피를 최대한 줄인 매우 간단한 구조의 브래킷을 개발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100)은 메모리 슬롯 홀더에 간단한 방식으로 결합되고, 부피를 최대한 줄인 일체형으로서 그래픽 카드와 같은 메모리 주변 기기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또한,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100)은, 다리부(140)로 연장되지 않은 메인바디의 양 측단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1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메인바디, 다리부(140) 및 날개부(160)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날개부는, 브래킷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쿨링팬에서 뿜어내는 바람을 메모리 옆면으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여 방열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100)의 메인바디 상에는 쿨링팬(미도시)이 장착되게 되는데, 쿨링팬은 메인바디에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게 되며, 도 2a에는 결합수단의 일례로 피스홀(190)이 구비되어 있다. 쿨링팬 결합수단은 이러한 피스홀 이외에 요철결합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쿨링팬이 장착되는 경우, 메인바디의 열방출 홀(120)을 통하여 메모리에서 발생한 열이 쿨링팬에 의해 방출되게 된다.
또한,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100)의 메인바디와 다리부(140)는 탄성을 갖는 볼록부(170)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다리부(140)가 탄력적으로 벌어져 메모리 슬롯 홀더에 결합된 후 다시 조여지게 되어 간편하게 결합하면서도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은, 주변 기기와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열결화성 합성수지 계열(PVC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한 번의 사출로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에서 다리부(140)에 형성된 결합수단(142)은, 메모리 슬롯 홀더와 요철(凹凸)결합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도 3에는 메모리 슬롯 홀더의 형태에 대응하는 오목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서는 요철결합을 위한 오목부가 가로 방향으로 형성(즉, 오목부 형성을 위한 지지벽이 좌우로 평행하게 형성됨)되어 있으나, 오목부가 슬롯 홀더의 너 비에 대응하여 세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은 이러한 요철결합 방식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메모리 슬롯 홀더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이 메모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100)은 그 다리부(140)를 벌려 메모리 슬롯 홀더(240)에 결합부(142)를 요철결합으로 결합되게 되며, 메인바디의 열방출 홀(120) 위에 쿨링팬이 장착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100)은 최소의 부피를 갖는 간단한 구조로서, 메모리에 결합되더라도 주변의 그래픽 카드 등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며, 필요시 간편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은, 현재 보급되어 있는 PC의 메인보드 상에 장착된 메모리 슬롯 홀더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메모리 또는 비메모리 모듈의 냉각장치에도 응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컴퓨터 메인보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에 있어서, 다리부의 결합수단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이 메모리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브래킷
120 : 열방출 홀 140 : 다리부
142 : 결합수단
160 : 날개부 190 : 피스홀
200 : 메모리 모듈
240 : 메모리 슬롯 홀더

Claims (6)

  1. 컴퓨터 메인 보드 상에 장착된 메모리 모듈을 쿨링시키기 위한 쿨링팬을 장착할 수 있는 브래킷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열방출 홀 및 상기 쿨링팬 결합수단을 갖는 메인바디; 및
    상기 메인바디의 양 측단이 연장되어 형성되고, 메모리 슬롯 홀더에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갖는 다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바디 및 상기 다리부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와 상기 다리부는 탄성을 갖는 볼록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은,
    상기 다리부로 연장되지 않은 메인바디의 양 측단이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날개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바디, 상기 다리부 및 상기 날개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쿨링팬 결합수단은,
    피스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결합수단은,
    상기 메모리 슬롯 홀더와 요철(凹凸)결합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은,
    절연성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KR1020070114231A 2007-11-09 2007-11-09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KR100971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231A KR100971225B1 (ko) 2007-11-09 2007-11-09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231A KR100971225B1 (ko) 2007-11-09 2007-11-09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041A KR20090048041A (ko) 2009-05-13
KR100971225B1 true KR100971225B1 (ko) 2010-07-20

Family

ID=40857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231A KR100971225B1 (ko) 2007-11-09 2007-11-09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2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845A (ko) * 2000-09-18 2002-03-23 송규섭 냉각용 히트 싱크
JP2004014957A (ja) 2002-06-11 2004-01-15 Elpida Memory Inc 電子部品の冷却構造、該冷却構造を備えた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20040063628A (ko) * 2003-01-08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냉각수단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KR20070018132A (ko) * 2007-01-24 2007-02-13 주식회사 일창프리시젼 메모리모듈 방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845A (ko) * 2000-09-18 2002-03-23 송규섭 냉각용 히트 싱크
JP2004014957A (ja) 2002-06-11 2004-01-15 Elpida Memory Inc 電子部品の冷却構造、該冷却構造を備えた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20040063628A (ko) * 2003-01-08 2004-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냉각수단을 구비하는 전자장치
KR20070018132A (ko) * 2007-01-24 2007-02-13 주식회사 일창프리시젼 메모리모듈 방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041A (ko)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3281B2 (ja) Icカードスロットを有する電子装置
TW571611B (en) Case for dissipating heat from an electronic device
US6937472B2 (en) Apparatus for cooling heat generating components within a computer system enclosure
US7474527B2 (en) Desktop personal computer and thermal module thereof
US7660114B2 (en) Heat dissipating member, heat dissipating mechanis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047060B2 (en) Heating element and circuit module stack structure
US9342120B2 (en)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dissipating heat from a computer expansion card
US20050083660A1 (en) Power supply without cooling fan
CN101083888A (zh) 散热装置
US6906922B2 (en) Integrated heat-dissipating module
US20180024600A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971225B1 (ko) 메모리 쿨링용 브래킷
TW201208552A (en) Electronic device and heat dissipation device of the same
CN101320287A (zh) 散热板、间距可调整散热夹具及主板
CN214504355U (zh) 一种一体化散热装置、及Mini智能盒子
TW201103401A (en) Shell structure
JP4199915B2 (ja) 電子モジュール及びその実装装置
JP3113683U (ja) コンピュータのマザーボード用放熱装置
CN108932040B (zh) 显示卡散热模块
CN207424773U (zh) 主板结构及主机
CN201867723U (zh) 内存散热装置
JP2008258392A (ja) 電子機器
JP2004079940A (ja) メモリモジュール放熱装置
US20100128438A1 (en) Heat dissipation module
CN209433343U (zh) 用于笔记本的cpu散热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