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736B1 - 보조광 트리거 시간 조정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카메라 - Google Patents

보조광 트리거 시간 조정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736B1
KR100970736B1 KR1020030037130A KR20030037130A KR100970736B1 KR 100970736 B1 KR100970736 B1 KR 100970736B1 KR 1020030037130 A KR1020030037130 A KR 1020030037130A KR 20030037130 A KR20030037130 A KR 20030037130A KR 100970736 B1 KR100970736 B1 KR 100970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light
distance
light trigger
trigger tim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5962A (ko
Inventor
이진기
임재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736B1/ko
Priority to US10/827,138 priority patent/US6952525B2/en
Publication of KR20040105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6Consoles; Brackets
    • E04G5/061Console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scaf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가변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으로서, (a)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 경우에, 소정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 동안 보조광을 발광하고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 (c) 연속 촬영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d) 연속 촬영중인 경우에,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 변화 여부에 따라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 T2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시간 T2 동안 보조광을 발광하고 촬영을 수행하고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피사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조광 레벨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피사체의 거리가 수시로 변하는 경우, 특히 어두운 곳에서 연속촬영을 하는 경우에 근거리, 원거리에 따라 노출 과다 또는 노출 부족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에서 연속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짧게 보정하므로, 보조광 콘덴서가 완전 방전될 우려가 적어지고, 충전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조광 트리거 시간 조정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카메라{Method of taking picture by varing flash trigger time and camera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S106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S106 단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S12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 T2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S120 단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을 수행하는 카메라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조광 수단이 구비된 카메라에서 수행되는 사진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광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측광 방식은, 렌즈 주변에 별도의 수광소자를 두어 측광하는 외부 측광식이거나, 일안반사식 카메라에서 별도로 파인더를 두어 상을 관찰하게 하는 복잡한 회로 구성의 TTL(Through The Lens)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피사체의 거리가 수시로 변하는 경우, 특히 어두운 곳에서 연속촬영을 하는 경우에 근거리, 원거리에 따라 노출 과다 또는 노출 부족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에서 연속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보조광 콘덴서가 완전 방전될 우려가 있고, 충전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사체의 거리 변화 여부에 따라 조광 레벨을 조정할 수 있는 카메라의 연속 사진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연속 사진 촬영 방법을 수행하는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보조광, 및 피사체까지의 거리 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카메라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은,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가변한다.
상기 연속 사진 촬영 방법은, (a)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 경우에, 소정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 동안 상기 보조광을 발광하고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 (c) 연속 촬영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d) 연속 촬영중인 경우에,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 변화 여부에 따라 상기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 T2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간 T2 동안 상기 보조광을 발광하고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 L1을 측정하는 단계; (b2) 상기 거리 L1에 따라 상기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을 결정하는 단계; 및 (b3) 상기 시간 T1 동안 보조광을 발광하고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b2) 단계는, 상기 거리 L1에 따라 상기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을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구분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2) 단계는, 상기 거리 L1에 소정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을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d) 단계는, (d1) 연속 촬영 중인 경우에,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d2)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 L2 를 측정하는 단계; (d3) 상기 거리 L2 가 이전 프레임과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d4) 상기 거리 L2 가 이전 프레임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d4) 단계는, 상기 거리 L2에 따라 상기 보정된 시간 T2를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구분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4) 단계는, 상기 거리 L2에 소정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보정된 시간 T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상기 (d) 단계는, (d5) 상기 거리 L2 가 이전 프레임과 동일한 경우에는, 감도 이득폭을 △EV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속 사진 촬영 방법은, 상기 촬영 지시가 있는 경우에, 저휘도 환경인가를 판단하여, 저휘도 환경인 경우에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저휘도 환경이 아닌 경우에는 보조광을 발광하지 않고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속 사진 촬영 방법은, 연속 촬영중인 경우에, 저휘도 환경인가를 판단하여, 저휘도 환경인 경우에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저휘도 환경이 아닌 경우에는 보조광을 발광하지 않고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촬영 지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릴리즈 스위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연속 촬영 모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상기 거리 측정 결과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연속 촬영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거리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보조광 트리거 신호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소정 전원, 보조광 콘덴서 및 보조광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광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보조광을 발광하는 조광부; 및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는, 촬영 환경 휘도를 측정하여 휘도 신호를 출력하는 휘도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측정 결과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휘도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거리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보조광 트리거 신호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조광 트리거 시간 조정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카메라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보조광 및 피사체까지의 거리 측정 수단을 구비하는 카메라에 서 수행되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가변하는 단계들(S100~ S124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S100 단계). 외부로부터의 촬영 지시는 카메라에 구비된 릴리즈 버튼에 의할 수 도 있고, 리모콘에 의할 수도 있다.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입력되면, 저휘도 환경인가를 판단한다(S102 단계). 만일 저휘도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보조광을 발광하지 않고 촬영을 수행한다(S110 단계).
저휘도 환경인 경우에는, 피사체의 거리 L1을 측정한다(S104 단계). S104 단계 후에, L1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을 결정한다(S106 단계). S106 단계 후에, 시간 T1 동안 보조광을 발광하고 촬영을 수행한다(S108 단계).
S108 또는 S110 단계 후에, 연속 촬영중인가를 판단한다(S112 단계). 만일 연속 촬영 모드가 아니거나, 연속 촬영이 종료된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을 종료한다.
그러나 연속 촬영중인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S114 단계). 외부로부터의 촬영 지시는 카메라에 구비된 릴리즈 버튼에 의할 수 도 있고, 리모콘에 의할 수도 있다.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입력되면, 저휘도 환경인가를 판단한다(S116 단계).
이전 프레임의 촬영시와는 달리 외부 조명의 변화 등에 의하여, 만일 저휘도 환경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보조광을 발광하지 않고 촬영을 수행한다(S124 단계).
저휘도 환경인 경우에는, 현재 프레임에서 피사체의 거리 L2을 측정한다(S118 단계).
S118 단계 후에, 이전 프레임의 거리 L1과 현재 프레임의 거리 L2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따라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 T2를 결정한다(S120 단계). 도 1에 도시된 사진 촬영 방법이, 디지털 카메라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S120 단계에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감도 이득폭이 소정 △EV 만큼 보정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5의 S518 단계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S120 단계 후에, 보정된 트리거 시간 T2 동안 보조광을 발광하고 촬영을 수행한다(S122 단계).
S122 또는 S124 단계 후에, S112 단계로 진행하여 연속 촬영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S106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거리 L1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을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 즉 n 단계로 구분하여 결정하는 단계들(S200 ~ S208 단계)을 포함한다. 거리 L1이 l1 보다 작으면(S200 단계),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을 t1 으로 결정한다(S202 단계). 거리 L1이 l1 보다 크거나 같고, l2 보다 작으면(S204 단계),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을 t2 로 결정한다(S206 단계). 마찬가지 방법으로 거리 L1을 n 단계까지 구분하여 T1을 결정한다(S208 단계). 거리 L1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이 결정되면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로 진행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거리 L1이 1m 보다 작으면(S300 단계), 트리거 시간 T1을 60μs 로 결정한다(S302 단계). 거리 L이 3m 보다 작으면(S304 단계), 트리거 시간 T1을 300μs 로 결정한다(S306 단계). 거리 L이 3m 이상이면, 트리거 시간 T1을 4ms 로 결정한다(S308 단계). S308 단계 후에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로 진행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S106 단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거리 L1에 소정 함수를 적용하여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f(L1) 을 결정한다(S400 단계). S400 단계 후에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로 진행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S120 단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거리 L2에 다라 보정된 트리거 시간 T2를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 즉 n 단계로 구분하여 결정하는 단계들(S500 ~ S518)로 이루어진다.
먼저 프레임의 거리 L1과 현재 프레임의 거리 L2가 동일한가를 판단한다(S500 단계). 만일 거리 L1과 L2가 동일하지 않으면, L1에 L2를 기입하고 도 1에 도시된 S106 단계로 진행한다.
이전 프레임의 거리 L1과 현재 프레임의 거리 L2가 동일한 경우에는, 트리거 시간을 보정한다(S504 ~ S516 단계). 도 5와 도 2를 비교하면, 도 5에 도시된 거리 L2에 따른 시간 T2 가, 도 2에 도시된 거리 L1에 따른 시간 T1 보다 한 단계씩 앞 당겨진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S518 단계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이 수행되는 경우에 더 구비될 수 있는 단계로서, 보정된 트리거 시간 T2 가 결정된 후에, CCD의 감도 이득폭을 소정 △EV 만큼 증가시킨다. 트리거 시간 T2는, S500 ~ S516 단계에 의하여, 감소되는 방향으로 보정되므로, CCD의 감도 이득폭을 증가시키는 방 향으로 △EV 만큼 예컨대 +1EV 만큼 보정한다. 다시 말해,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에, CCD 감도 이득폭을 증가시켜 트리거 시간 T2가 감소된 것을 보완한다. 다만, 거리 L2 가 l1보다 작은 경우에 T2는, 최소 트리거 시간으로 결정되므로 CCD 감도 이득폭 보정이 필요없다. CCD 감도 이득폭을 보정한 후에, 도 1에 도시된 S122 단계로 진행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 T2 결정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현재 프레임의 피사체까지의 거리 L2와 이전 프레임의 거리 L1이 동일한가를 판단한다(S600 단계). 만일 거리 L1과 L2가 동일하지 않으면, L1에 L2를 기입하고 도 1에 도시된 S106 단계로 진행한다.
이전 프레임의 거리 L1과 현재 프레임의 거리 L2가 동일한 경우에는, 트리거 시간을 보정한다(S604 ~ S612 단계). 도 6과 도 3을 비교하면, 도 6에 도시된 거리 L2에 따른 시간 T2 가, 도 3에 도시된 거리 L1에 따른 시간 T1 보다 한 단계씩 앞 당겨진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S614 단계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이 수행되는 경우에 더 구비될 수 있는 단계로서, 보정된 트리거 시간 T2 가 결정된 후에, 감도 이득폭을 +1EV 만큼 증가시킨다. 다만, 거리 L2 가 l1보다 작은 경우에 T2는, 최소 트리거 시간 60μs 으로 결정되므로 CCD 감도 이득폭 보정이 필요없다. CCD 감도 이득폭을 보정한 후에, 도 1에 도시된 S122 단계로 진행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S120 단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거리 L2에 소정 함수를 적용하여 보정된 트리거 시간 T2를 결정하 는 단계들(S700 ~ S706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프레임의 거리 L1과 현재 프레임의 거리 L2가 동일한가를 판단한다(S700 단계). 만일 거리 L1과 L2가 동일하지 않으면, L1에 L2를 기입하고 도 1에 도시된 S106 단계로 진행한다(S706 단계).
S702 단계는, 디지털 카메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이 수행되는 경우에 더 구비될 수 있는 단계로서, 이전 프레임의 거리 L1과 현재 프레임의 거리 L2가 동일한 경우에는, L2에 소정 함수 △EV(L2)를 적용하여 CCD 감도 이득폭을 보정한다. S702 단계 후에, L2에 소정 함수 △T(L2)를 적용하여, 보정된 트리거 시간 T2 = T1-△T(L2) 를 결정한다(S704 단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을 수행하는 카메라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릴리즈 스위치(800), 모드 선택부(802), 거리 측정부(804), 휘도 측정부(806), 제어부(808), 조광부(810) 및 영상 촬영부(812)를 포함한다.
릴리즈 스위치(800)는, 도 1에 도시된 S10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촬영 지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모드 선택부(802)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연속 촬영 모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거리 측정부(804)는, 도 1에 도시된 S104 단계 및 S118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L1, L2)를 측정한다.
제어부(808)는, 거리 측정 결과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T1)을 결정하고, 연속 촬영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거리(L1, L2)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T2)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조광부(810)는,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 및 S12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소정 전원(미도시), 보조광 콘덴서(미도시) 및 보조광(미도시)을 포함하고, 보조광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보조광을 발광한다. 여기서 보조광은, 제논 튜브(Xe-tube)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휘도 측정부(806)는, 도 1에 도시된 S102 단계 및 S116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촬영 환경 휘도를 측정하여 휘도 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에 휘도 측정부(806)가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808)는, 거리(L1) 측정 결과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T1)을 결정하고, 휘도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거리(L1, L2)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T2)을 결정하고, 결정된 보조광 트리거 신호(T2)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신호를 출력한다.
영상 촬영부(812)는, 도 1에 도시된 S108 단계, S110 단계, S120 단계 및 S124 단계를 수행하기 위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속 사진 촬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카메라에 의하면, 피사체의 거리 변화에 따라 조광 레벨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피사체의 거리가 수시로 변하는 경우, 특히 어두운 곳에서 연속촬영을 하는 경우에 근거리, 원거리에 따라 노출 과다 또는 노출 부족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원거리에서 연속 촬영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짧게 보정하므로, 보조광 콘덴서가 완전 방전될 우려가 적어지고, 충전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3)

  1. 보조광, 및 피사체까지의 거리 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카메라에서 수행되는 보조광 발광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가변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a)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 경우에, 소정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 동안 상기 보조광을 발광하고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
    (c) 연속 촬영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d) 연속 촬영중인 경우에,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 변화 여부에 따라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 T2를 결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시간 T2 동안 상기 보조광을 발광하고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 L1을 측정하는 단계;
    (b2) 상기 거리 L1에 따라 상기 보조광 트리거 시간 T1을 결정하는 단계; 및
    (b3) 상기 시간 T1 동안 보조광을 발광하고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거리 L1에 따라 상기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구분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b2) 단계는,
    상기 거리 L1에 소정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연속 촬영 중인 경우에,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d2) 외부로부터 촬영 지시가 있는 경우에,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 L2 를 측정하는 단계;
    (d3) 상기 거리 L2 가 이전 프레임과 동일한가를 판단하여,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d4) 상기 거리 L2 가 이전 프레임과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d4) 단계는,
    상기 거리 L2에 따라 상기 보정된 시간 T2를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로 구분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d4) 단계는,
    상기 거리 L2에 소정 함수를 적용하여 상기 보정된 시간 T2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5) 상기 거리 L2 가 이전 프레임과 동일한 경우에는, 감도 이득폭을 △EV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지시가 있는 경우에, 저휘도 환경인가를 판단하여, 저휘도 환경인 경우에 상기 (b)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저휘도 환경이 아닌 경우에는 보조광을 발광하지 않고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11. 제2 항에 있어서,
    연속 촬영중인 경우에, 저휘도 환경인가를 판단하여, 저휘도 환경인 경우에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저휘도 환경이 아닌 경우에는 보조광을 발광하지 않고 촬영을 수행하고 상기 (c)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사진 촬영 방법.
  12.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촬영 지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릴리즈 스위치;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연속 촬영 모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모드 선택부;
    카메라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상기 거리 측정 결과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연속 촬 영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거리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보조광 트리거 신호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소정 전원, 보조광 콘덴서 및 보조광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광 트리거 신호에 응답하여 보조광을 발광하는 조광부; 및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촬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3. 제12 항에 있어서,
    촬영 환경 휘도를 측정하여 휘도 신호를 출력하는 휘도 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 측정 결과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휘도 신호에 응답하여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의 거리 측정 결과를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보정된 보조광 트리거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보조광 트리거 신호에 따라 보조광 트리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KR1020030037130A 2003-06-04 2003-06-10 보조광 트리거 시간 조정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카메라 KR100970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130A KR100970736B1 (ko) 2003-06-10 2003-06-10 보조광 트리거 시간 조정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카메라
US10/827,138 US6952525B2 (en) 2003-06-04 2004-04-14 Method of photographing by varying flash trigger time and camera adop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130A KR100970736B1 (ko) 2003-06-10 2003-06-10 보조광 트리거 시간 조정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962A KR20040105962A (ko) 2004-12-17
KR100970736B1 true KR100970736B1 (ko) 2010-07-16

Family

ID=3738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130A KR100970736B1 (ko) 2003-06-04 2003-06-10 보조광 트리거 시간 조정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7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6934A (ja) * 1991-02-12 1992-09-11 Canon Inc カメラ
JPH0572607A (ja) * 1991-09-17 1993-03-26 Fuji Photo Film Co Ltd 連写カメラ
JP2000162679A (ja) 1998-11-25 2000-06-16 Canon Inc ストロボ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KR100515963B1 (ko) 2003-06-04 2005-09-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보조광 트리거 시간 가변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카메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6934A (ja) * 1991-02-12 1992-09-11 Canon Inc カメラ
JPH0572607A (ja) * 1991-09-17 1993-03-26 Fuji Photo Film Co Ltd 連写カメラ
JP2000162679A (ja) 1998-11-25 2000-06-16 Canon Inc ストロボ制御方法及び装置並びに記憶媒体
KR100515963B1 (ko) 2003-06-04 2005-09-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보조광 트리거 시간 가변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962A (ko) 200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0448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electronic camera
US8629934B2 (en)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01177763A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6650834B2 (en) Camera to which external strobe device is detachably attachable
JP6303304B2 (ja) カメラ
JP200423630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325158B2 (ja) 閃光制御装置、電子閃光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US8154621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and photographing method
JP4834465B2 (ja) 撮像装置
US6952525B2 (en) Method of photographing by varying flash trigger time and camera adopting the same
KR100970736B1 (ko) 보조광 트리거 시간 조정에 의한 연속 사진 촬영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카메라
JP2006119264A (ja) 撮影装置
JP5791254B2 (ja) 撮像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KR100978675B1 (ko) 플래시를 이용한 촬영에서의 화이트밸런스 조정 방법
JP2009260927A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06243189A (ja) カメラ
KR100515963B1 (ko) 보조광 트리거 시간 가변에 의한 사진 촬영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카메라
JP4081581B2 (ja) オート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方法
JP2019203959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237456B2 (ja) 赤目軽減機能付カメラ
JP2009290510A (ja) 撮像装置
JP3475125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
KR100509362B1 (ko) 디지탈 카메라의 패시브 초점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JP2004294881A (ja) カメラ
JP6127583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