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986B1 - 자동염소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염소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986B1
KR100969986B1 KR1020100004773A KR20100004773A KR100969986B1 KR 100969986 B1 KR100969986 B1 KR 100969986B1 KR 1020100004773 A KR1020100004773 A KR 1020100004773A KR 20100004773 A KR20100004773 A KR 20100004773A KR 100969986 B1 KR100969986 B1 KR 100969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case
injection device
contain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근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지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지케이
Priority to KR102010000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염소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측으로 가라앉는 염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 둘레에 염소가스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이동된 열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상부덕트;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지지다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누출된 염소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하부판;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염소액용기가 안착되며 안착된 염소액용기가 전후,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용기수납판들; 용기수납판들에 안착되고 물탱크 측의 배관으로 염소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염소액용기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염소액용기들과 배관에 연결되어서 염소액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염소액을 배관 측으로 펌핑하는 모터펌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빗물의 유입은 차단시키면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가열된 공기는 및 하측으로 가라앉은 염소가스 및 누출된 염소액을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다수의 염소액용기들이 용기수납판들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Description

자동염소투입장치{Automatic chlorine injection device}
본 발명은 자동염소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빗물의 유입은 차단시키면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가열된 공기와 하측으로 가라앉는 염소가스가 원활히 배출되고, 다수의 염소액용기들이 용기수납판들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는 자동염소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염소투입장치는 물탱크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물탱크로 공급되는 배관에 설치되어서 물탱크에 일정한 양의 염소액을 투입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염소투입장치는 전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상부 및 하부를 이루는 상부판 및 하부판이 구비된다.
케이스의 둘레에는 염소액 공급라인의 이음 부위에서 누출되는 염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다수의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구는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보통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의 내부에는 그 내부의 공간을 분할하는 용기수납판들이 설치되어 있고, 용기수납판들의 상부에는 염소액 공급호스 및 니플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는 다수의 염소액용기들이 안착되어 있다.
여기서, 염소액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가 하나의 큰 용기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큰 용기의 내부에서 많은 양의 공기와 염소액이 장기간 동안 접촉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염소액이 줄어들 때마다 염소액용기에 공기가 충전되면서 염소액용기의 내부에는 다량의 공기가 충전되는데, 다량의 공기가 큰 용기의 내부에서 다량의 염소액과 접촉된 상태로 장기간 경과함에 따라 염소액이 변질될 우려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비교적 적은 용량의 염소액용기들을 병렬로 연결하여서 다수의 염소액용기들로부터 염소액이 조금씩 공급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수의 염소액용기들에는 염소액 출구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염소액 출구들에는 염소액 공급호스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염소액 공급호스들은 니플 등의 접속관을 이용하여서 모터펌프에 연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염소투입장치는 몇 가지 문제점들이 발생된다.
먼저 다수의 염소액용기들은 용기수납판들의 상부에 단순히 안착되는 상태이다. 따라서 염소투입장치를 이동시킬 때에나 외부의 충격으로 염소투입장치가 흔들리게 되면 각각의 염소액용기들이 용기수납판들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출구와 호스의 연결부위들, 호스와 니플 사이의 연결부위들이 당겨지거나 뒤틀리는 등의 압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이음부위들은 염소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써, 약간의 충격이나 압력으로도 쉽게 손상된다. 그러므로 염소액용기들의 이음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다수의 염소액용기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문제가 시급하다.
또한, 염소투입장치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염소가스가 케이스의 내부로 누출되기 마련인데, 종래에는 염소투입장치의 통풍구조가 바람직하지 못하여서 발생된 염소가스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였으며, 특히 여름철에 내부의 열기가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였다.
염소투입장치의 케이스는 빗물 등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서 내부의 부품들을 보호하는 목적을 달성해야 하고, 여름철에 케이스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가열된 공기를 원활히 배출되어야 하며, 공기보다 무거워서 케이스의 하측으로 가라앉는 염소가스를 원활히 배출시켜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케이스는 그 둘레의 상부에만 배기구가 형성된 구조이며, 이러한 배기구들로는 상술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빗물의 유입은 차단시키면서 상측으로 이동되는 가열된 공기는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 자동염소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측으로 가라앉은 염소가스 및 누출된 염소액을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염소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의 염소액용기들이 용기수납판들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한 자동염소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염소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는, 하측으로 가라앉는 염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 둘레에 염소가스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이동된 열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상부덕트;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지지다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누출된 염소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하부판;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염소액용기가 안착되며 안착된 염소액용기가 전후,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용기수납판들; 용기수납판들에 안착되고 물탱크 측의 배관으로 염소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염소액용기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염소액용기들과 배관에 연결되어서 염소액용기로부터 공급되는 염소액을 배관 측으로 펌핑하는 모터펌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부덕트는, 하부 모서리의 둘레에 다수의 통기구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부덕트는,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상판과, 상판의 둘레에 구비되는 측판과, 측판의 하단 둘레에 구비되는 하판으로 이루어지되, 하판은, 통기구들로 유입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고 상판의 저면에 부딪힌 열기가 통기구 측으로 안내되도록, 상부덕트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시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하부판은, 염소액용기 또는 이음부위에서 누출되는 염소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중앙에 염소액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염소액배출구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거름망이 설치되어 있으며, 누출된 염소액이 염소액배출구 측으로 흐르도록 하부판의 상부면이 배출구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용기수납판들에는, 염소액용기들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용기안착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부덕트에는, 케이스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도록 무동력강제배기부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무동력강제배기부는, 상부덕트의 환기구에 설치되어서 케이스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는 배기팬과, 배기팬에 연결되어서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축과, 구동축의 둘레에 설치되어서 외풍에 의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날개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무동력강제배기부는, 케이스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흡입하여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벤투리관과, 벤투리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덕트의 환기구에 연결되어서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벤투리관 측으로 안내하며 벤투리관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강제배출부재와; 강제배출부재의 연결부와 상부덕트의 환기구 사이에 설치되어서 강제배출부재를 지지하고 그 회전을 안내하는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염소투입장치의 최상단인 상부덕트에 통기구들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이 통기구들이 상부덕트의 하측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염소투입장치의 상단부에 구비된 통기구들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기가 원활히 배출되며, 그 통기구들이 상부덕트의 하측 모서리 둘레에 형성되므로 자유낙하하는 빗물이 통기구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덕트의 하판은 상부덕트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비바람에 의해 빗물이 통기구 내측으로 들이친다 하더라도 하판의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유도된다. 그러므로 비바람이 불어도 빗물이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시킬 수 있다.
케이스의 하측 둘레에, 염소가스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염소가스배출구가 케이스의 하측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의 하측으로 가라 앉는 염소가스가 외부로 원활히 배출된다.
하부판의 중앙에는 염소액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염소액배출구에는 거름망이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판의 상부면은 염소액배출구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염소액용기 또는 그 이음부위에서 누출된 염소액이 하부판 측으로 떨어지면 상부면의 경사면을 따라 흐른 후 염소액배출구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누출된 염소액이 케이스의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므로 염소액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용기수납판들에는 염소액용기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용기안착홈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염소액용기들이 용기수납판들의 용기안착홈들에 안착되면 자동염소투입장치가 흔들려도 안착된 염소액용기들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심하게 흔들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염소액용기는 물론, 염소액용기와 공급호스 사이의 이음부위가 보호된다.
상부덕트의 상측에는 케이스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무동력강제배기부가 설치되어 있다. 무동력강제배기부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 외풍에 의해 구동되면서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동력강제배기부에 의해 별도의 구동비용 없이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키므로 자동염소투입장치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용기수납판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하부판을 보인 발췌 사시도
도 5는 무동력강제배기부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도 6은 무동력강제배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3은 용기수납판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는 하부판을 보인 발췌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는, 케이스(10), 상부덕트(20), 하부판(30), 용기수납판(40), 염소액용기(50), 모터펌프(6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는, 하측으로 가라앉는 염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 둘레에 염소가스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염소가스는 공기보다 비중이 더 크므로 아래로 가라앉는다. 염소가스배출구(11)가 케이스(10)의 하측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0)의 하측으로 가라 앉는 염소가스가 외부로 원활히 배출된다.
상부덕트(20)는, 케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이동된 열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상부덕트(20)는, 케이스(10)의 상부를 덮는 상판(21)과, 상판(21)의 둘레에 구비되는 측판(22)과, 측판(22)의 하단 둘레에 구비되는 하판(23)으로 이루어진다.
상부덕트(20)의 하부 모서리의 둘레에는 다수의 통기구(24)들이 형성되어 있다. 즉, 측판(22)과 하판(23)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위를 따라 다수의 통기구(24)들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판(23)은, 통기구(24)들로 유입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고 상판(21)의 저면에 부딪힌 열기가 통기구(24) 측으로 안내되도록, 상부덕트(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판(30)은, 케이스(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지지다리(34)가 설치되어 있으며 누출된 염소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하부판(30)은, 염소액용기(50) 또는 이음부위에서 누출되는 염소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중앙에 염소액배출구(3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염소액배출구(31)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거름망(32)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판(30)의 상부면(33)은, 누출된 염소액이 염소액배출구(31) 측으로 흐르도록 염소액배출구(31)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용기수납판(40)들은,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염소액용기(50)가 안착되며 안착된 염소액용기(50)가 전후,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이러한 용기수납판(40)들에는, 염소액용기(50)들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용기안착홈(41)들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수납판(40)들의 중간 부분에는 격판(42)이 구비되어 있어서 용기수납판(40)들이 일정간격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염소액용기(50)들은, 용기수납판(40)들에 안착되고 물탱크 측의 배관(1) 측으로 염소액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염소액용기(50)들에는 염소액이 배출되는 출구(5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출구에는 니플(52)이 연결되어 있다. 니플(52)에는 염소액 공급호스(53)가 연결되며, 공급호스(53)는 모터펌프(60)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펌프(6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염소액용기(50)들과 배관(1)에 연결되어서 염소액용기(50)로부터 공급되는 염소액을 배관(1) 측으로 펌핑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자동염소투입장치의 최상단인 상부덕트(20)에 통기구(24)들이 형성되어 있고,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이 통기구(24)들이, 상부덕트(20)의 하측 모서리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자동염소투입장치의 상단부에 구비된 통기구(24)들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열기가 원활히 배출되며, 그 통기구(24)들이 상부덕트(20)의 하측 모서리 둘레에 형성되므로 자유낙하하는 빗물이 통기구(24)로 유입되지 않는다.
둘째, 상부덕트(20)의 하판(23)은 상부덕트(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비바람에 의해 빗물이 통기구(24) 내측으로 들이친다 하더라도 하판(23)의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유도된다. 그러므로 비바람이 불어도 빗물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시킬 수 있다.
셋째, 케이스(10)의 하측 둘레에, 염소가스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염소가스배출구(11)가 케이스(10)의 하측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0)의 하측으로 가라 앉는 염소가스가 외부로 원활히 배출된다.
넷째, 하부판(30)의 중앙에는 염소액배출구(31)가 형성되어 있고, 염소액배출구(31)에는 거름망(32)이 결합되어 있으며, 하부판(30)의 상부면(33)은 염소액배출구(31)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염소액용기(50) 또는 그 이음부위에서 누출된 염소액이 하부판(30) 측으로 떨어지면 상부면(33)의 경사면을 따라 흐른 후 염소액배출구(31)로 배출된다. 그러므로 누출된 염소액이 케이스(10)의 내부에 머무르지 않고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므로 염소액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다섯째, 용기수납판(40)들에는 염소액용기(50)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용기안착홈(41)들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염소액용기(50)들이 용기수납판(40)들의 용기안착홈(41)들에 안착되면 자동염소투입장치가 흔들려도 안착된 염소액용기(50)들이 전후, 좌우방향으로 심하게 흔들리지 않으며, 이에 따라 염소액용기(50)는 물론, 염소액용기(50)와 공급호스(53) 사이의 이음부위가 보호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 중 무동력강제배기부(70)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로써, 상부덕트(71)의 환기구(72)에는, 케이스(10)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도록 무동력강제배기부(70)가 설치된다.
이 무동력강제배기부(70)는, 배기팬(73), 구동축(74), 회전날개(75)로 이루어진다.
배기팬(73)은, 상부덕트(71)의 환기구(72)에 설치되어서 케이스(10)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킨다. 구동축(74)은, 배기팬(73)에 연결되어서 이를 회전시킨다. 구동축(74)의 둘레에는 구동축(74)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베어링(76)이 설치되어 있으며, 베어링(76)의 둘레에는 베어링(76)의 외주면이 환기구(72)에 지지되도록 베어링하우징(77)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날개(75)는, 구동축(74)의 둘레에 설치되어서 외풍에 의해 구동축(74)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무동력강제배기부(70)는, 자연풍이 불게 되면 회전날개(75)가 회전되면서 구동축(74)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배기팬(73)이 회전된다. 배기팬(73)이 회전되면 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환기구(72) 측으로 흡입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동력강제배기부(70)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 외풍에 의해 구동되면서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킨다. 그러므로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순환시키므로 자동염소투입장치의 유지비용을 최소화하면서도 자동염소투입장치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염소투입장치 중 무동력강제배기부(8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로써, 이러한 무동력강제배기부(80)는 강제배출부재(83), 베어링(86)으로 이루어진다.
강제배출부재(83)는, 벤투리관(84)과 연결부(85)로 이루어진다. 벤투리관(84)은, 외풍에 의해 케이스(10)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흡입하여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결부(85)는, 벤투리관(8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덕트(81)의 환기구(82)에 연결되어서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벤투리관(84) 측으로 안내하며 벤투리관(84)의 회전 중심을 이룬다.
베어링(86)은, 강제배출부재(83)의 연결부(85)와 상부덕트(81)의 환기구(82) 사이에 설치되어서 강제배출부재(83)를 지지하고 그 회전을 안내한다.
이러한 무동력강제배기부(80)는, 벤투리관(84) 측으로 자연풍이 불게 되면 케이스(10) 내부의 공기가 연결부(85)로 흡입된 후 벤투리관(84)을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따라서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케이스(10)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무동력강제배기부(80)는, 도 5에 비해 전체 구성이 매우 간단하여서 전체 제조단가 및 조립공수가 감소된다.
1 : 배관 10 : 케이스
11 : 염소가스배출구 20,71,81 : 상부덕트
21 : 상판 22 : 측판
23 : 하판 24 : 통기구
30 : 하부판 31 : 염소액배출구
32 : 거름망 33 : 상부면
34 : 지지다리 40 : 용기수납판
41 : 용기안착홈 42 : 격판
50 : 염소액용기 51 : 출구
52 : 니플 53 : 공급호스
60 : 모터펌프 70,80 : 무동력강제배기부
72,82 : 환기구 73 : 배기팬
74 : 구동축 75 : 회전날개
76,86 : 베어링 77 : 베어링하우징
83 : 강제배출부재 84 : 벤투리관
85 : 연결부

Claims (8)

  1. 하측으로 가라앉는 염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 둘레에 염소가스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10);
    케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측으로 이동된 열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상부덕트(20);
    케이스(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저면에 지지다리(34)가 설치되어 있으며 누출된 염소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하부판(30);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염소액용기(50)가 안착되며 안착된 염소액용기(50)가 전후,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용기수납판(40)들;
    용기수납판(40)들에 안착되고 물탱크 측의 배관(1)으로 염소액이 공급되도록 하는 염소액용기(50)들;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염소액용기(50)들과 배관(1)에 연결되어서 염소액용기(50)로부터 공급되는 염소액을 배관(1) 측으로 펌핑하는 모터펌프(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염소투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덕트(20)는,
    하부 모서리의 둘레에 다수의 통기구(24)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염소투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덕트(20)는,
    케이스(10)의 상부를 덮는 상판(21)과, 상판(21)의 둘레에 구비되는 측판(22)과, 측판(22)의 하단 둘레에 구비되는 하판(23)으로 이루어지되,
    하판(23)은, 통기구(24)들로 유입된 빗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고 상판(21)의 저면에 부딪힌 열기가 통기구(24) 측으로 안내되도록, 상부덕트(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염소투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판(30)은,
    염소액용기(50) 또는 이음부위에서 누출되는 염소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중앙에 염소액배출구(31)가 형성되어 있고, 염소액배출구(31)에는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거름망(32)이 설치되어 있으며, 누출된 염소액이 염소액배출구(31) 측으로 흐르도록 하부판(30)의 상부면(33)이 염소액배출구(31) 측으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염소투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용기수납판(40)들에는,
    염소액용기(50)들의 하부가 안착되도록 용기안착홈(41)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염소투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부덕트(20)에는,
    케이스(10)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도록 무동력강제배기부(70)(8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염소투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무동력강제배기부(70)는,
    상부덕트(71)의 환기구(72)에 설치되어서 케이스(10)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기시키는 배기팬(73)과, 배기팬(73)에 연결되어서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축(74)과, 구동축(74)의 둘레에 설치되어서 외풍에 의해 구동축(74)을 회전시키는 회전날개(75)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염소투입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무동력강제배기부(80)는,
    케이스(10) 내부의 열기 및 염소가스를 흡입하여서 외부로 배출시키는 벤투리관(84)과, 벤투리관(8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덕트(81)의 환기구(82)에 연결되어서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벤투리관(84) 측으로 안내하며 벤투리관(84)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연결부(85)로 이루어진 강제배출부재(83)와;
    강제배출부재(83)의 연결부(85)와 상부덕트(81)의 환기구(82) 사이에 설치되어서 강제배출부재(83)를 지지하고 그 회전을 안내하는 베어링(8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염소투입장치.
KR1020100004773A 2010-01-19 2010-01-19 자동염소투입장치 KR100969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73A KR100969986B1 (ko) 2010-01-19 2010-01-19 자동염소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73A KR100969986B1 (ko) 2010-01-19 2010-01-19 자동염소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986B1 true KR100969986B1 (ko) 2010-07-15

Family

ID=4264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773A KR100969986B1 (ko) 2010-01-19 2010-01-19 자동염소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9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884B1 (ko) * 2011-03-02 2011-07-20 김도식 자동조절 고체 약품 투입장치
KR101225188B1 (ko) 2012-09-17 2013-01-23 주식회사 백광아이에스티 자동 염소 투입장치
KR20160144249A (ko) 2015-06-08 2016-12-16 조선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자동 재염소 투입장치
KR102056889B1 (ko) 2019-04-16 2020-01-14 청정테크주식회사 냉장수단 일체형 염소투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2268A (ja) 1997-01-27 1998-08-04 Nissin Electric Co Ltd 浄水場の塩素注入装置
KR19990073199A (ko) * 1999-06-21 1999-10-05 이두우 자동염소투입장치및방법
KR20070034547A (ko) * 2007-02-08 2007-03-28 김희순 저수조의 염소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2268A (ja) 1997-01-27 1998-08-04 Nissin Electric Co Ltd 浄水場の塩素注入装置
KR19990073199A (ko) * 1999-06-21 1999-10-05 이두우 자동염소투입장치및방법
KR20070034547A (ko) * 2007-02-08 2007-03-28 김희순 저수조의 염소투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884B1 (ko) * 2011-03-02 2011-07-20 김도식 자동조절 고체 약품 투입장치
KR101225188B1 (ko) 2012-09-17 2013-01-23 주식회사 백광아이에스티 자동 염소 투입장치
KR20160144249A (ko) 2015-06-08 2016-12-16 조선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자동 재염소 투입장치
KR102056889B1 (ko) 2019-04-16 2020-01-14 청정테크주식회사 냉장수단 일체형 염소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986B1 (ko) 자동염소투입장치
WO2016178387A1 (ja) 横軸水中ポンプ、及び、横軸水中ポンプに用いられる吸込カバー
JP4663674B2 (ja) ポンプ設備
US9605869B2 (en) Radon exhaust system with internial gaseous fluid fan within diagnostic bypass filter fan apparatus
KR101670077B1 (ko) 버블젯을 이용한 펌프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972202B1 (ko) 해수 펌프
JP2013209961A (ja) 剥離防止構造体を備えたポンプ装置
JP2018521292A (ja) 換気扇
JP5741318B2 (ja) ポンプシステム
KR101588414B1 (ko) 논메커니컬씰형 쿨런트펌프
KR101588171B1 (ko) 수중펌프
CN209514491U (zh) 一种新型散热结构的服务器
KR20090002421U (ko) 벤츄리 원리를 이용한 구조개선된 배기 환풍기
CN218953626U (zh) 一种防泄漏防涡流的除尘风机
CN105900552B (zh) 防尘罩除尘装置
CN111022375A (zh) 水泵泵头、焊机水泵及焊机冷却装置
JP2020060020A (ja) 地盤改良装置
CN205503575U (zh) 简便式节能甩水机
KR101665975B1 (ko) 냉각탑과 그것의 공기배출구동장치
CN213995538U (zh) 胶水搅拌回流桶
CN211174785U (zh) 一种双室离心式渣浆泵用散热装置
CN219262781U (zh) 一种蒸发风机及散热壳体
CN210974788U (zh) 一种淬火槽侧推搅拌装置
CN210565135U (zh) 一种效率自吸性能高的自吸泵
KR101368639B1 (ko) 그린 배수 및 통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