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601B1 -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601B1
KR100969601B1 KR1020070125776A KR20070125776A KR100969601B1 KR 100969601 B1 KR100969601 B1 KR 100969601B1 KR 1020070125776 A KR1020070125776 A KR 1020070125776A KR 20070125776 A KR20070125776 A KR 20070125776A KR 100969601 B1 KR100969601 B1 KR 100969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horizontal
vertical
gear
laser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961A (ko
Inventor
은희송
김두영
Original Assignee
(주)인천측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천측기 filed Critical (주)인천측기
Priority to KR1020070125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6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8Foot or support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주면 하단측에 단턱(111)을 이루고 내주면측으로 장공(112)을 형성하는 상방테두리부(110) 일측으로부터 양단으로 각각 손잡이(142)를 구비하되 양단 손잡이부(142)간 나사봉(141)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112)측 내주면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미세조정부(140)를 갖는 원형상의 상기 상방테두리부(110) 하방으로 연장되는 삼발이 타입의 다리부(120)와, 상기 다리부(120) 하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연장부(130)로 구성되는 삼발이부(100)와;
상부지지부(231)의 내부로 구비되는 원통형체(221) 전면에 수직선이 외부로 조사되는 수직레이저조사부(220)가 구비되고, 원통형체(221) 상방으로 수평레이저조사부(210)가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 및 수평 레이저조사부(210,220)를 지지하는 지지부(230)와, 상기 지지부(230)를 커버하는 커버몸체부(240)와, 상기 커버몸체부(240)의 전면측을 덮는 커버(250)로 구성되는 몸체부(200)가 상기 삼발이부(100) 상방으로 안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방테두리부(110)의 내주면 하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단턱(111)으로 안착되는 링형태의 제1치차부(150)와 상기 제1치차부(150) 상면으로 안착되는 원형태의 제2치차부(150)가 각각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레이저 수평 수직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수평, 수직의 기준선을 설정하는 작업과정에서, 이동시 측정장치 내부 부품간 충격력이 상호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치의 몸체 부분을 미세하게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여 측정장치에 의해 원거리 수평, 수직선의 기준선을 설정할 때 미세 조정에 의한 정확한 셋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레이저조사램프가 구비되는 조사부 및 상기 조사부가 고정되는 고정부 등이 종래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에서 탈피, 개별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조사부의 각 레이저조사램프의 효율적 관리와 개별 부품 교환이 가능하여 측정장치의 유지 보수 용이성을 갖도록 하는 레이저 수평 수직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 삼발이부, 몸체부, 미세조정부, 치차부, 지지부, 캠부

Description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LASER HORIZONTALITY-PERPENDICULARITY MEASUREMENT URING DEVICE}
본 발명은 건설 현장 등에서 수평 및 수직선상을 원거리에서도 지시하기 위한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발생부의 조립이 용이하고 몸체부의 미세 회동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허용 범위를 벗어나 측정장치가 기울어졌을 때 상기 레이저발생부의 온(ON)된 상태의 레이저조사 상태가 단락되도록 하여 작업자로 하여금 측정장치의 보정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한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시공시에 있어서, 이들 구조물이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평, 수직을 이루도록 시공하는 것은 이들 구조물의 성능이나 내구성 등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건축 및 토목 등의 분야에서는 공간상에 수평 및 수직 위치(기준라인)의 정확한 설정 작업이 중요한 작업중 하나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 시공작업 등에 적용되는 수평, 수직 기준을 설정하기 위해 재래식 방법으로 채택되는 작업 방식은, 지주의 수직시공을 위해 수직을 측정하거나 수직포인트를 설정할 때는 추가 달린 긴 줄을 천장에 매달아 수직의 정확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수직포인트를 설정하고, 바닥면의 수평시공을 위해서는 수평자 등을 사용하여 수평측정이나 수평 포인트를 설정하는 작업 방식을 따른다.
이러한 종래 수직 및 수평 설정 방법은 천정에 줄을 인위적으로 매달아서 측정하는 방식으로 그 작업이 힘들고 위험함은 물론, 줄이 흔들리는 현상에 의해 정확한 설정을 기대하기 어렵고 또한 위에서 아래방향으로만 측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물론, 수시로 장소를 이동하며 작업하게 되어 신속성과 정확성이 결여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액체가 봉입된 유리관에 형성된 기포의 중앙위치로써 수평의 기준을 측정하고 그 수평면과 일치시켜 실이나 또는 강선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 그 수평면 및 수평선을 기준으로 벽돌 등을 쌓거나 목재 등을 평행하게 건축하고, 또한 수직선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실 등에 추를 매달아 수직 기준을 잡고 그를 기준으로 기둥 등을 세우는 등의 절차가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한 장치 중의 하나로 액체튜브내의 기포 위치를 육안으로 측정하여 수평을 측정하는 수평지시계(수준계) 및 상기한 바와 같이 실에 추를 매달아 중력에 의하여 실과 추가 연직선을 형성하여 수직을 측정하는 수직지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 건축, 토목, 조선의 대형구조물 용접, 대형조각 및 미술품작업 등의 각종 구조물 축조, 보수 및 기타 작업등에서 요구하는 수평 및 수직작업을 행 하기 위해서는 실과 추, 수준 수평계, 측량계 등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장치의 설치 및 위치변경에 따른 상당한 시간 및 작업량이 소요됨은 물론, 매 위치마다 수평계를 미시적으로 볼 수는 있으나, 작업 대상이 거대할 경우에는 거시적 관찰이 힘들어 수평작업 및 수직설정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중의 하나로 레이저표시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는 레이저빔라인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점을 표시하는 것이 보통이고, 레이저빔라인을 표시하는 장치인 경우 그 조절 방법이 매우 까다롭고 작업현장에서의 생산성 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일예로 레이저빔을 이용한 수평 및 수직선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415318호인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 및 수직선 지시계'를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외함 몸체의 상부에 고정되며 각 방향으로의 회전 유동이 가능한 중심부를 갖는 자이로호라이즌, 상기 자이로호라이즌의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펜딩되어 진자운동을 하는 무게추수단, 상기 무게추수단과 결합되어 연동하며, 레이저빔을 수평 및 연직방향으로 조사하는 수평 및 수직레이저엔진, 상기 무게추수단과 결합되며 상기 수평 및 수직레이저엔진으로부터 조사된 레이저빔을 수평 또는 수직면과 동일 평면으로 확산하여 출력하는 수평 및 수직레이저빔변환수단, 및 상기 무게추수단의 진자운동을 신속히 안정된 수직위치로 유지시키는 진동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을 이용하여 수직 및 수평의 설정 작업이 용이할 수 있으나, 장치를 타장소 등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위치변경 등의 작업을 수행할 경우, 상기 선행기술에 의한 수평 및 수직선 지시계 내부에 구비되는 무게추가 자유 진자운동을 하게 되어, 내부 구성과의 충격을 피할 수 없게 되므로 사용상에서의 주의를 요하게 되고 내부 구성요소의 충격등으로 인한 부품 파손 현상 등의 발생으로 인한 사용수명의 단축 및 유지보수에 의한 비용 등의 증가가 불가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공지기술에 의한 수평 및 수직선 지시계와 삼발이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원거리상에서 수평 및 수직선을 설정할 때 미세한 움직임에도 피대상물에 표시되는 수평 및 수직선의 이동범위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므로, 미세한 조정이 불가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레이저 수평 수직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수평, 수직의 기준선을 설정하는 작업과정에서, 이동시 측정장치 내부 부품간 충격력이 상호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 향상 및 사용 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몸체 부분을 미세하게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여 측정장치에 의해 원거리 수평, 수직선의 기준선을 설정할 때 미세 조정에 의한 정확한 셋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레이저조사램프가 구비되는 조사부 및 상기 조사부가 고정되는 고정부 등이 종래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에서 탈피, 개별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조사부의 각 레이저조사램프의 효율적 관리와 개별 부품 교환이 가능하여 측정장치의 유지 보수 용이성을 갖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주면 하단측에 단턱(111)을 이루고 내주면측으로 장공(112)을 형성하는 상방테두리부(110) 일측으로부터 양단으로 각각 손잡이(142)를 구비하되 양단 손잡이부(142)간 나사봉(141)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112)측 내주면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미세조정부(140)를 갖는 원형상의 상기 상방테두리부(110) 하방으로 연장되는 삼발이 타입의 다리부(120)와, 상기 다리부(120) 하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연장부(130)로 구성되는 삼발이부(100)와;
상부지지부(231)의 내부로 구비되는 원통형체(221) 전면에 수직선이 외부로 조사되는 수직레이저조사부(220)가 구비되고, 원통형체(221) 상방으로 수평레이저조사부(210)가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 및 수평 레이저조사부(210,220)를 지지하는 지지부(230)와, 상기 지지부(230)를 커버하는 커버몸체부(240)와, 상기 커버몸체부(240)의 전면측을 덮는 커버(250)로 구성되는 몸체부(200)가 상기 삼발이부(100) 상방으로 안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방테두리부(110)의 내주면 하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단턱(111)으로 안착되는 링형태의 제1치차부(150)와 상기 제1치차부(150) 상면으로 안착되는 원형태의 제2치차부(150)가 각각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수평 수직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수평, 수직의 기준선을 설정하는 작업과정에서, 이동시 측정장치 내부 부품간 충격력이 상호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 향상 및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몸체 부분을 미세하게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여 측정장치에 의해 원거리 수평, 수직선의 기준선을 설정할 때 미세 조정에 의한 정확한 셋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작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이저빔이 조사되도록 레이저조사램프가 구비되는 조사부 및 상기 조사부가 고정되는 고정부 등이 종래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에서 탈피, 개별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조사부의 각 레이저조사램프의 효율적 관리와 개별 부품 교환이 가능하여 측정장치의 유지 보수 용이성을 갖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 등에서 보듯이,
삼발이부와, 내부로 구비되는 무게추와 연동되며 수평, 수직선이 외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레이저조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커버하는 커버몸체부와, 상기 커버몸체부의 상면 및 정면측을 덮는 커버부로 구성되는 몸체부가 상기 삼발이부 상방으로 안착 구성되는 레이저 수평 수직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삼발이부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상의 상방테두리부(110)와, 그 하방으로 연장되는 삼발이 타입의 다리부(120)와, 상기 다리부(120) 하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연장부(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방테두리부(110)는 후술하게 되는 치차부가 안착되어지는 곳으로, 상방테두리부(110) 내주면 하단측에 단턱(111)을 이루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상방테두리부(110) 내주면측으로 장공(112)을 형성하여 미세조정부(140)의 일요소를 이루는 나사봉(141)이 장공(112)을 통해 내주면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 나사봉(141)은 후술하게 되는 치차부와 치차결합되어 미세조정부(140)의 조정에 따라 상기 치차부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미세조정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200)의 레이저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원거리상에 맺혀진 상태에서 미세한 조정이 가능할 수 있도록 몸체부(200)의 좌우 미세하게 조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공된다.
이를 위한 미세조정부(14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방테두리부(110)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양측으로 손잡이부(142)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손잡이부(142)와 연동 회동될 수 있는 나사봉(141)이 구비되어, 양단 손잡이부(142)중 어느 한측 손잡이를 돌릴 경우 나사봉(141)이 연동 회전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나사봉(14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테두리부(110)의 내측 내주면으로 형성되는 장공(112)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며, 내주면보다 약간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방테두리부(110)의 내주면 하단으로 구비되는 단턱(111)으로는 치차부가 안착되는데, 상기 치차부는 제1치차부(150)와 제2치차부(160)로 구성된다.
제1치차부(150)는 상술한 상기 단턱(111)에 안착되고 제2치차부(160)는 상기 제1치차부(150)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 각각 원형상의 링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제1치차부(150)의 하단 외주면으로 치차(151)가 형성되어 상기한 미세조정부(140)의 나사봉(141)가 치차결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2치차부(150)는 상기 제1치차부(150) 상단면에 안착되어져 연동 회동되는데, 그 연동 회동 작용은 몸체부(200)의 자중에 의해 제2치차부(150)와 제1치차부(150)간 마찰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제2치차부(160)는 제1치차부(150)와는 달리 내주면측에 치차(161)를 형성하여, 후술하게 되는 몸체부(200)의 하단측에 구비되는 기어와 치차 결합 되도록 하 여, 상기한 미세조정부(140)의 수동조작에 의한 미세조정뿐만 아니라, 리모콘 콘트롤에 의한 원격 미세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 다리부(120)는 상방테두리부(110)를 삼분할한 지점으로부터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각 다리부(120) 하단으로는 연장부(130)를 구비하게 되는데, 그 연장부(130)가 지면과 접하며 측정장치의 수평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연장부(130)는 다리부(120)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나사부(121)와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그 외면을 감싸는 고무재질의 커버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 커버에 의해 지면과 접할 때 완충역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70은 좌우 회전되는 거리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눈금이 표시된 눈금표시링이다.
상기 몸체부(200)는 상술한 삼발이부(100)에서의 상방테두리부(110) 상방에 안착되는 치차부 중 제2치차부(160)의 상면에 안착,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몸체부(200)는 첨부한 도면에서 보듯이, 레이저램프가 구비되는 레이저조사부(210,220)와, 상기 레이저조사부(210,220)를 지지하는 지지부(230)와, 상기 레이저조사부(210,220) 및 지지부(230)를 커버링하는 커버몸체부(240)와, 커버몸체부(240) 중 전면 개방되는 부분을 커버 하는 커버(250)로 구성되고, 레이저조사부(210,220)의 기울임각을 허용 범위 내로 한정되도록 하는 기울임각조정부(260)와, 지지부(230)를 미세하게 좌우 회전되도록 원격제어하는 원격제어 부(270)로 구성된다.
상기 레이저조사부(210,220)는 수평레이저조사부(210)와 수직레이저조사부(220)로 구분되는바, 수평레이저조사부(210)는 상단부측에 다수개 구비되고, 수직레이저조사부(220)는 수령레이저조사부(210) 하방으로 연결되는 원통형체(221)의 외주면에 부착되어진다.
수평레이저조사부(210)는 도면에서 보듯이 360°를 분할하여 적어도 4군데에 원호상 등간격 이격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원통형체(221) 상방으로 지지체(211)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체(211) 상면으로 각각 4개의 개별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램프결합부(212)가 구비된다.
상기의 램프결합부(212)는 직삼각형체를 이루는데, 전면으로는 둥근형태의 구멍(212a)이 천공되고, 하단 양단측으로 각각 결합편(212b)이 연장되어, 상기 지지체(211)의 상면과 나사결합되도록 하였고, 상기 구멍(212a)으로는 레이저램프(L)가 고정되도록 하되, 레이저선의 조사 형태가 수평선상으로 조사되도록 고정한다.
이와 같은 램프결합부(212)는 도면에서 보듯이 지지체(221) 상면으로 4군데에 등간격 이격 고정되어지되, 각각의 램프결합부(212)는 단독 결합 및 체결이 가능하여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레이저조사부(210) 하단측 즉, 지지체(211) 하단으로 원통형체(221)가 결합되어 수직레이저조사부(220)를 구성하는데, 도면에서 보듯이 원통형체(221) 외주면으로 램프결합부(222)가 결합되고, 그 램프결합부(222)에 레이저램프(L)가 부착 고정되어지되 레이저선의 방향이 수평선상으로 조사 가능하도록 결합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수직레이저조사부(220)를 이루는 원통형체(221) 타면 즉, 램프결합부(222)가 결합되는 타면으로, 기울임각조정부(26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임각조정부(260)는 수평,수직레이저조사부(210,220)가 과도하게 기울어졌을 경우, 그 기울어지는 정도에 따라 수평, 수직레이저조사부(210,220)의 레이저램프(L) 점등 상태가 단락되도록 구성한다.
즉, 도면에서 보듯이 원통형체(221) 일측으로 둥근 링형태의 링접속부(261)를 구비하고, 상기 링접속부(261)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는 돌출단자(262)를 지지부(230)의 하단측 상면에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며 수직선상으로 돌출되도록 한다.
따라서, 몸체부(200)의 수평,수직레이저조사부(210,220)가 기울어지며 상기 원통형체(221)의 링접속부(261)와 돌출단자(262)가 접지되는 상태는 상기 측정장치의 과도한 기울임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평 및 수직선 측정이 불가능한 작업조건을 의미하는바 이 상태에 이르게 되면 링접속부(261)와 돌출단자(262)간 접속에 의한 신호를 인가받은 수평,수직레이저조사부(210,220)이 단락되어 점등된 상태의 레이저램프(L)를 점멸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수직레이저조사부(210,220)는 자유 유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수직레이저조사부(220)의 상단측 외주면으로 환설되는 링형태의 연결체(223)가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체(223)의 내주면과 수직레이저조사부(220)의 원통형체(221)는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고, 상기 연결체(223)의 외주면과 후술하게 되는 지지부(230)의 내주면과도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레이저조사부(210,220)의 전후 좌우 유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후 좌우 유동현상이 원할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체(223)와 지지부(230) 중 상부지지부(231) 상단간을 연결하는 연결축(231a)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체(223)가 연결축(231a)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였고, 아울러 상기 연결체(223)와 상기 원통형체(221)간 연결하는 제2연결축(231b)을 축설하게 되는데, 상기 연결축(231a)와 제2연결축(231b)는 직교 되도록 하여 레이저조사부(210,220)의 전후 좌우간 상하 유동이 원할히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평,수직레이저조사부(2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30)가 삼발이부(100)의 상방테두리부(110) 단턱(111)에 안착되는 치차부(150,160) 중 제2치차부(160) 상면에 안착된다.
이러한 지지부(230)는 상부측으로 전술한 연결체(223)가 이격되며 내합 유지되기 위한 상부지지부(231)와, 그 하단으로 연결되는 지지봉(232)에 의해 이격 고정되는 하부지지부(233)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지지부(231)는 연결체(223)가 내합될 수 있도록 중앙이 원형상으로 관통되고 전체적으로 사각형태를 이루는 반면에, 하부지지부(233)는 수직레이저조사부(220)의 원통형체(221) 하단부가 내합될 수 있도록 원형상으로 그 중앙이 관통되 고 전체적으로 원형태를 이루어, 그 하단면의 주연부가 제2치차부(160)의 상면과 접하며 안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지지부(233)의 하단측으로 더욱 연장되는 삽입구(233a)를 형성하여, 제2치차부(160)의 중앙측에 삽입되도록 하는데 상기 삽입구(233a) 내주면으로는 암나사를 형성하고, 그 암나사와 체결되는 원판형상의 체결부재(234)와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234)의 상면은 삼발이부(100)에서의 상방테두리부(110) 하면과 접하며 체결되므로, 상기 체결부재(234)에 의해 삼발이부(100)와 몸체부(200)간 체결 상태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부(233) 상면으로는 상기한 수직레이저조사부(220)의 원통형체(221)의 요동 현상을 억제 또는 해제하기 위한 캠부(270)를 형성하고, 아울러 상기 제2치차부(1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치차(161)와 치차 결합되어 원거리상에서 몸체부(200)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원격미세조정부(28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부(27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레이저조사부(220)의 원통형체(221)의 자유 유동을 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캠부(270)는 측정장치의 측정 작업이 일지점에서 완료된 후 타장소로 이동시, 그 이동과정에서 측정장치내에서 레이저조사부(210,220)가 지지부(230)의 상부지지부(231) 중앙내에서 유동되며 주변의 부품과 충격 되어져 손상되는 현상 및 이로인한 오동작 등의 우려가 있게 되므로, 타작업 장소로의 이동시에는 상기 캠부(270)에 의해 상기 원통형체(221)가 유동 되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기대한다.
이를 위한 캠부(27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터(271)와 상기 모터(271)에 의해 회동되며 다수의 기어를 구비하는 감속부(272)와, 상기 감속부(272)에서 최종 기어와 축설되는 축과 연동되는 캠(273)으로 구성된다.
상기 캠(273)이 모터(271)의 구동에 따라 감속부(272)의 기어가 회동되어 이와 연동되는 캠(273)이 회전되어 상기 원통형체(221)를 밀면서 편중되도록 하여 상기 캠(273)에 의해 상기 원통형체(221)가 편중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캠(273)과 원통형체(221)간 당접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모터(271)의 재구동에 의해 상기 캠(273)의 원상 회복에 의해 원통형체(221)의 자유회동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상기 모터(271)의 구동 및 정지 동작의 순환 상태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 조정되는바, 몸체부(200)의 적정 위치에 스위치(도면상 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조절되도록 하거나 또는 외부에서의 리모콘 컨트롤 방식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리모콘 컨트롤 방식에 채택되는 제어방식은 종래의 기술 내용을 채택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274는 캠부(270)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상기 원격미세조정부(2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230)에서의 하부지지부(233) 하단측으로 위치되는 제2치차부(160) 내주면 치차(161)와 치차 결합 되어 몸체부(200)가 연동 회동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한 원격미세조정부(280)는 도면에서 보듯이, 외부로부터의 리모콘(미도시)에 의해 정역 구동 제어되는 모터(281)와, 상기 모터(281)의 축과 연결되는 기어(282)를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기어(282)는 하부지지부(233)의 삽입구(233a) 외주면측으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원격미세조정부(280)의 기어(282)는 상기한 삽입구(233a)의 외주면으로 돌출 구성되도록 고정하고, 그 돌출된 기어(282)는 제2치차부(160)의 내주면으로 형성된 치차(161)와 치차결합되도록 구성되는바, 외부에서 리모콘 등으로 조작되는 신호를 인가받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상기 모터(281)를 정역 구동시키게 되면, 그 구동에 따라 몸체부(200)가 좌우로 미세하게 회전되어져, 작업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수평,수직레이저 조사부(210,220)에서 레이저의 조사에 따라 원거리상에 그 레이저선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몸체부(240)는 몸체부(200)의 전체를 커버링하며 상방테두리부(110) 상면에 끼워지는 구성이며, 상기 커버몸체부(240)의 전면측은 개방되는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은 커버몸체부(240) 전면으로는 별도의 커버(250)를 구비하여 수평레이저조사부(210)와 수직레이저조사부(220)의 각 레이저램프(L)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투과창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 현장에서 레이저 조사에 의한 수평 및 수직선을 표시, 측정할 때 작업자는 삼발이부(100)의 다리부(120) 및 연장부(130)를 조정하여 측정장치와 지면간 수평을 정확히 셋팅 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수평선 및 수직선을 원하는 지점으로 표시하기 위해 도면상 v시하지 않은 전원스위치를 온 시킨 상태에서 미세조정부(140)의 조정에 의해 몸체부(200)를 상기한 제1치차부(150)와의 치차결합 조정에 따라 좌우로 미세각 회전시켜, 원거리상에 표시되는 수평 및 수직선을 좌우 변경 표시하게 된다.
한편, 작업 상태에 따라 작업자가 측정장치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리모콘을 이용하여 원격미세조정부(280)의 모터(281)를 정역구동시켜 상기 모터(281)의 회전비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기어(282)가 제2치차부(16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치차(161)와 결합된 상태에서 연동되도록 하여, 몸체부(200)의 좌우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다.
일지점에서의 측정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측정장치를 다음 작업장소로 이동시켜야 하는바, 캠부(270)의 모터(271)를 구동시켜 캠(273)의 회전에 의해 레이저조사부에서의 수직레이저조사부(220)측 원통형체(221)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하여, 이동시 원통형체(221)의 유동을 억제하여 내부 충격등으로 인한 부품의 파손 등의 현상을 완벽히 배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도시한 결합된 상태에서의 사시도면
도 2는 도 1에 의한 본 발명에서 커버몸체부와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중에서 삼발이부만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삼발이부의 상방테두리부에 각각 안착되는 제1,2치차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몸체부에서 수평레이저조사부와 수직레이저조사부만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저면 사시도로 원격미세조정부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캠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의 수평레이저조사부의 확대 분리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의 수직레이저조사부의 확대 분리 도면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삼발이부 110; 상방테두리부
111; 단턱 112; 장공
120; 다리부 121; 나사부
130; 연장부 140; 미세조정부
141; 나사봉 150; 제1치차부
151; 치차 160; 제2치차부
161; 치차 170; 눈금표시링
200; 몸체부 210; 수평레이저조사부
211; 지지체 212; 램프결합부
212a; 구멍 212b; 결합편
220; 수직레이저조사부 221; 원통형체
222; 램프결합부 223; 연결체
230; 지지부 231; 상부지지부
231a; 연결축 231b; 제2연결축
232; 지지봉 233; 하부지지부
233a; 삽입구 234; 체결부재
240; 커버몸체부 250; 커버
260; 기울임각조정부 261; 링접속부
262; 돌출단자 270; 캠부
271; 모터 272; 감속부
273; 캠 274; 프레임
280; 원격미세조정부 281; 모터
282; 기어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주면 하단측에 단턱(111)을 이루고 내주면측으로 장공(112)을 형성하는 상방테두리부(110) 일측으로부터 양단으로 각각 손잡이(142)를 구비하되 양단 손잡이부(142)간 나사봉(141)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112)측 내주면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미세조정부(140)를 갖는 원형상의 상기 상방테두리부(110) 하방으로 연장되는 삼발이 타입의 다리부(120)와, 상기 다리부(120) 하단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는 연장부(130)로 구성되는 삼발이부(100)와;
    상부지지부(231)의 내부로 구비되는 원통형체(221) 전면에 수직선이 외부로 조사되는 수직레이저조사부(220)가 구비되고, 원통형체(221) 상방으로 수평레이저조사부(210)가 연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수직 및 수평 레이저조사부(210,220)를 지지하는 지지부(230)와, 상기 지지부(230)를 커버하는 커버몸체부(240)와, 상기 커버몸체부(240)의 전면측을 덮는 커버(250)로 구성되는 몸체부(200)가 상기 삼발이부(100) 상방으로 안착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방테두리부(110)의 내주면 하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단턱(111)으로 안착되는 링형태의 제1치차부(150)와 상기 제1치차부(150) 상면으로 안착되는 원형태의 제2치차부(150)가 각각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치차부(150)의 하단 외주면으로 치차(151)가 형성되어, 미세조정부(140)의 나사봉(141)과 치차결합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치차부(160)는 내주면측에 치차(161)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레이저조사부(220)는 상기 수평레이저조사부(210) 하단측 즉, 지지체(211) 하단으로 상기 원통형체(221)가 결합되고 상기 원통형체(221) 외주면으로 램프결합부(222)가 결합되되, 그 램프결합부(222)에 레이저램프(L)가 부착 고정되어져 레이저선의 방향이 수평선상으로 조사 가능하도록 결합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는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0)는 상방지지부(231)와 하부지지부(233)간을 지지봉(232)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상방지지부(231)는 중앙이 관통되어 링형태의 연결체(223)와 연결축(231a)에 의해 자유회동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하부지지부(233) 하단측으로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삽입구(233a)가 돌출형성되어 체결부재(234)에 의해 삼발이부(100)의 상방테두리부(110) 단턱(111) 하단면과 접하며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223)의 내주면과 수직레이저조사부(220)의 원통형체(221)는 이격되는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연결체(223) 내주면과 원통형체(221) 상단을 제2연결축(231b)에 의해 연결하여 자유회동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레이저조사부(220)를 이루는 원통형체(221) 타면 즉, 램프결합부(222)가 결합되는 반대면으로, 기울임각조정부(260)를 구비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임각조정부(260)는 상기 원통형체(221) 일측으로 둥근 링형태의 링접속부(261)를 구비하고, 상기 링접속부(261)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는 돌출단자(262)가 몸체부(200)의 지지부(230) 하단측 상면에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며 수직선상으로 돌출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
  15. 제 4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30)에서의 하부지지부(233) 하단측으로 위치되는 제2치차부(160) 내주면 치차(161)와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지지부(233) 하단측 삽입구(233a) 외주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기어(282)와, 상기 기어(282)를 구동시키는 모터(281) 및 상기 모터(281)를 리모콘으로 원격 제어 구동되도록 하는 원격미세조정부(280)를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233) 상면으로 모터(271)와 상기 모터(271)에 의해 회동되며 다수의 기어를 구비하는 감속부(272)를 구성하고, 상기 감속부(272)에서의 최종 기어축과 연동되는 캠(273)으로 구성되는 캠부(270)를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장치.
KR1020070125776A 2007-12-05 2007-12-05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 KR100969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776A KR100969601B1 (ko) 2007-12-05 2007-12-05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776A KR100969601B1 (ko) 2007-12-05 2007-12-05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961A KR20090058961A (ko) 2009-06-10
KR100969601B1 true KR100969601B1 (ko) 2010-07-12

Family

ID=40989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776A KR100969601B1 (ko) 2007-12-05 2007-12-05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518B1 (ko) * 2015-07-21 2016-12-07 (주)인천측기 격자 표시 가능한 레이저 레벨조사장치
KR102139248B1 (ko) * 2019-02-26 2020-07-29 (주)인천측기 수평 수직선 검사장치 및 시스템
CN115164838B (zh) * 2022-08-18 2023-09-26 无锡市前友工程咨询检测有限公司 一种墙体垂直度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437A (ja) 2000-05-19 2001-11-30 Topcon Corp レーザ勾配設定装置
KR20020023599A (ko) * 2000-09-23 2002-03-29 탁승호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 및 수직선 지시계
JP2002213956A (ja) * 2001-01-17 2002-07-31 Yasaka:Kk レーザー墨出し器
KR20070114616A (ko) * 2006-05-29 2007-12-04 다이쇼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마킹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0437A (ja) 2000-05-19 2001-11-30 Topcon Corp レーザ勾配設定装置
KR20020023599A (ko) * 2000-09-23 2002-03-29 탁승호 레이저를 이용한 수평 및 수직선 지시계
JP2002213956A (ja) * 2001-01-17 2002-07-31 Yasaka:Kk レーザー墨出し器
KR20070114616A (ko) * 2006-05-29 2007-12-04 다이쇼와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마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961A (ko)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12058A (ja) 作業位置測定装置
CN105136111A (zh) 一种建筑施工用水平差和高差测量仪
KR100969601B1 (ko) 레이저 수평수직 측정 장치
EP3309510A1 (en) Height-adjustable laser level apparatus
KR101682518B1 (ko) 격자 표시 가능한 레이저 레벨조사장치
CN105004329A (zh) 一种用于铁路顶进涵施工的纠偏报警装置
JPH06167331A (ja) 支柱高さ調整装置
KR100911047B1 (ko)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용 삼발이
KR200447626Y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높이측정장치
JP2006274635A (ja) 杭打込姿勢監視装置及び杭打込姿勢監視方法
KR102038404B1 (ko) 천장용 레이저 레벨장치
CN205482954U (zh) 一种多功能测距仪
KR101037407B1 (ko) 포인트 표시가 가능한 레이저 수평수직측정 장치에서의 레이저 모듈
KR100881144B1 (ko)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
KR102139248B1 (ko) 수평 수직선 검사장치 및 시스템
JP2007271627A (ja) 作業位置測定装置
KR20100045847A (ko) 레이저 수평 수직조사장치
JP2010223878A (ja) レーザレベルの三脚用昇降装置
JP2011007574A (ja) 鋼管の鉛直精度測定用ターゲット及びその設置方法
KR101613240B1 (ko) 고층 건물의 시설물 설치용 레벨장치
CN111322999B (zh) 基于红外线传感器的可周转装配式定位装置及其使用方法
JP2003294445A (ja) 距離計を内蔵した墨出し器
KR101123416B1 (ko) 수직도 측정 장치
KR102381844B1 (ko) 측지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설치 시스템
KR200469337Y1 (ko) 레이저포인터를 이용한 창호설치용 레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