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414B1 - 흙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흙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414B1
KR100969414B1 KR1020080027231A KR20080027231A KR100969414B1 KR 100969414 B1 KR100969414 B1 KR 100969414B1 KR 1020080027231 A KR1020080027231 A KR 1020080027231A KR 20080027231 A KR20080027231 A KR 20080027231A KR 100969414 B1 KR100969414 B1 KR 100969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plate
ground
pile
insertion groove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029A (ko
Inventor
허영숙
Original Assignee
허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숙 filed Critical 허영숙
Priority to KR1020080027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41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공사 등을 위하여 지반을 굴착할 경우 주변의 지반이 붕괴되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흙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차단판과, 차단판의 양측단부를 기밀되게 끼워 고정하는 파일 및 연결재로 구성된 흙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이 개구된 삽입홈 두 개가 개구부의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파일; 일측이 개구된 삽입홈 두 개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개구부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연결재; 상기 삽입홈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차단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흙막이 장치가 제공된다.
흙막이, 물막이, 차단판, 파일

Description

흙막이 장치{Device for cofferdam}
본 발명은 건축 공사 등을 위하여 지반을 굴착할 경우 주변의 지반이 붕괴되거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흙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차단판과, 차단판의 양측단부를 기밀되게 끼워 고정하는 파일 및 연결재로 구성된 흙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토목 및 건축 공사시에 일정 범위로 지반을 굴착하여 터파기를 행하게 된다. 굴착시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물이 굴착부로 흘러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단판을 사방으로 지중에 힘박음하여 설치하고 있다.
즉 일정 간격으로 H 빔 등의 파일을 힘박음하고, 파일의 사이에 넓은 차단판을 삽입하여 지중으로 힘박음하게 된다. 이 때 차단판이 지중으로 잘 삽입될 수 있도록 차단판과 함께 고압의 공기나 물을 분사하면서 삽입시키게 된다. 그리고 차단판의 양측단부는 파일에 접촉되어 토압 등을 지지하면서 지중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각종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터파기를 할 경우 토사나 지하수에 의해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흙막이(또는 물막이) 장치가 설치된다.
연속 설치된 흙막이 장치는 지중에 벽을 형성하게 되어 시공중에는 물막이 또는 흙막이 역할을 하고 시공후에는 벽체를 형성시키는 거푸집을 고정하거나 벽체의 일부를 구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물막이 또는 흙막이 장치는 다수 개의 파일과, 파일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으로 구성되는데, 차단판을 고정하는 파일의 구조가 없었다. 즉, 차단판이 모든 토압이나 수압을 지탱하게 되는데, 종래의 경우 차단판의 양측 단부가 파일에 걸리도록 하여 삽입하였다. 그러나 큰 힘으로 힘박음되는 차단판의 양측단부가 파일과 긴밀하게 접촉되지 못하여 토사나 물의 유입이 많았다.
그리고 차단판을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차단판을 삽입할 때 고압의 물이나 공기를 분사하는 관을 함께 삽입하였는데, 지반과의 마찰 등으로 분사관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단판과 파일의 긴밀한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 물이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관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넓은 공간을 굴착할 경우 다수 개의 차단판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단판이 파일에 긴밀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차단판 삽입홈이 직각을 이루면서 두 곳에 형성되고, 차단판에는 분사관이 삽입되어 보호될 수 있도록 커버가 부착되며, 차단판이 가로로 다수개 설치될 경우 각각의 차단판의 측부가 긴밀하게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파일의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단판의 양단부가 파일 또는 연결재에 기밀되게 체결됨으로써 토사나 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연결재의 사용에 의해 차단판을 다수 개 옆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차단판의 커버에 분사관을 삽입하여 사용함으로써 분사관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된 삽입홈(1a) 두 개가 개구부의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파일(10); 일측이 개구된 삽입홈(1b) 두 개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개구부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연결재(20); 상기 삽입홈(1a)(1b)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차단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10)은 'ㄱ', 'ㅁ' 등의 단면을 가진 긴 형강의 구조로 되어 있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체이거나 꽉찬 중실체 등 어떠한 형태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파일(10)의 외측면에 삽입홈(1a)이 형성되어 있는데, 삽입홈(1a) 또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되 측면이 개구된 구조이다. 그리고 두 개의 삽입홈(1a)의 개구부의 방향은 직각을 이룬다. 따라서 지반을 굴착하는 평면의 형상이 사각형일 때 그 꼭지점 부분에 설치되는 파일(10)의 삽입홈(1a)이 사각형의 양측 수직된 변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삽입홈(1a)은 도 3의 단면도와 같이 하나는 상부에 수평으로 누운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하부에 돌출된 구성부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개 모두가 도 3의 상부에 형성된 것과 같이 인접된 변에 누워져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재(20)는 'ㄱ'형으로 절곡된 형강재 두 개가 일측변에만 삽입홈(1b)이 형성되게 띄워진 한 쌍과, 상기와 같이 된 다른 한 쌍을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형으로 절곡된 형강재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하고, 이로한 구조의 두 쌍을 서로 대칭되게 부착한 후, 볼트와 너트 및 리벳 등의 체결구(2)로써 결합시킨 구조도 가능하다.
그리고 삽입홈(1a)(1b)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기밀돌조(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단판(30)의 양측 단부 중 삽입홈(1a)(1b)에 삽입되는 부분에 기밀돌조(3)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삽입홈(1a)(1b)과 차단판(30)에 기밀돌조(3)가 함께 형성된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차단판(30)과 삽입홈(1a)(1b)에 기밀돌조(3)가 형성되는 위치를 다르게 하여 간섭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차단판(30)의 일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분사관(4)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분사관 커버(5)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시공시의 설치 구조를 가진다. 우선, 굴착하고자 하는 범위가 결정되면, 사각형상의 꼭지점 부위에 파일(10)을 설치한다. 그리고 파일(10)의 사이에 연결재(20)을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파일(10)과 연결재(20)가 설치되면, 파일(10)과 연결재(20) 사이, 연결재(20)와 연결재(20) 사이에 설치판()을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즉, 파일(10)과 연결재(20)에는 설치판()의 양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a)(1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설치판()이 들떠는 현상이 없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삽입된다. 특히 기밀돌조(3)가 설치된 경우에는 기밀돌조(3)에 의해 물이 완전히 차단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밀돌조(3)는 고무 등 탄력성이 있어 물이나 토사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는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하게 연결재(20)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삽입홈(1b)이 대칭되게 형성된 새로운 구조의 연결재(20)를 독립적으로 생산할 수도 있으나, 도 4와 같이 형강을 조립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조립하는 구조는 매우 용이하고 유용하며, 현장에서도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차단판(30)을 지반에 힘박음을 하여 설치할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사관(4)을 통해 고압의 공기나 물을 분사하면서 삽입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 분 사관(4)이 토사나 암반 등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를 해소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 또는 '∧' 형의 단면과 같이 분사관(4)이 삽입되어 보호될 수 있는 분사관 커버(5)가 차단판(30)에 설치된다. 따라서 분사관(4)을 분사관 보호커버() 내부에 사입시킨 후, 차단판(30)을 지반에 삽입하게 되면, 지반이나 암반 등으로부터 분사관(4)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파일의 단면도
도 4는 연결재의 단면도
도 5는 파일과 연결재에 차단판이 삽입된 상태도
도 6은 차단판의 상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 : 삽입홈 2 :체결구
3 : 기밀돌조 4 : 분사관
5 : 분사관 커버 10 : 파일
20 : 연결재 30 : 차단판

Claims (5)

  1. 삭제
  2. 일측이 개구된 삽입홈(1a) 두 개가 개구부의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파일(10); 일측이 개구된 삽입홈(1b) 두 개가 동일 선상에 위치되고, 개구부의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연결재(20); 상기 삽입홈(1a)(1b)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차단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 흘막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20)는 'ㄱ'형으로 절곡된 형강재 두 개가 일측변에만 삽입홈(1b)이 형성되게 띄워진 한 쌍과, 상기와 같이 된 다른 한 쌍을 서로 대칭되게 결합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27231A 2008-03-25 2008-03-25 흙막이 장치 KR100969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231A KR100969414B1 (ko) 2008-03-25 2008-03-25 흙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231A KR100969414B1 (ko) 2008-03-25 2008-03-25 흙막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029A KR20090102029A (ko) 2009-09-30
KR100969414B1 true KR100969414B1 (ko) 2010-07-14

Family

ID=41359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231A KR100969414B1 (ko) 2008-03-25 2008-03-25 흙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4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024A (ja) 1997-12-25 1999-07-13 Sada Kensetsu:Kk 土留め工法
JP2006328948A (ja) 2006-07-07 2006-12-07 Takahashi Kanri:Kk 地下室構築用の山留め工法
KR20080026013A (ko) * 2006-09-19 2008-03-24 주식회사 영창토건 흙막이 구조물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024A (ja) 1997-12-25 1999-07-13 Sada Kensetsu:Kk 土留め工法
JP2006328948A (ja) 2006-07-07 2006-12-07 Takahashi Kanri:Kk 地下室構築用の山留め工法
KR20080026013A (ko) * 2006-09-19 2008-03-24 주식회사 영창토건 흙막이 구조물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029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7830B2 (en) Barrier wall made of sheet-pile components
KR100554761B1 (ko) 건축 기초공사용 토류벽의 차수구조
KR100563272B1 (ko) 건축 터파기 공사용 토류시설
KR100998253B1 (ko) 흙막이용 가시설구조물
KR101103782B1 (ko)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KR100659599B1 (ko) 폭 조절과 배수기능이 구비된 조립식토류판
KR100789210B1 (ko) 시트파일과 합성형 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20220012525A (ko) 지하 연속벽체, 지하 연속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선행철근망 조립체
KR100801017B1 (ko) 조립식 수로용 옹벽
KR20110098597A (ko) H형강 가이드 프레임
KR100969414B1 (ko) 흙막이 장치
JP2014141777A (ja) 地中鋼製壁構造および地中鋼製壁構造の施工方法
KR100944792B1 (ko) 조립식 흙막이 구조체
KR100957217B1 (ko) 조립식 호안블럭세트
KR100629148B1 (ko) 건축물의 기초 공사용 가시설 토류벽 패널 설치 구조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KR20120054290A (ko) 벽체말뚝
KR20210123805A (ko) 흙막이용 차수 구조물
US20050141970A1 (en) Earth retaining safety framework and system
KR0137053Y1 (ko) 강재 토류판
KR200441843Y1 (ko) 에이치아이형 식생호안블록
KR100635416B1 (ko) 마감용 시트파일
KR101811377B1 (ko) 콘크리트 블록 및 콘크리트 블록 네트 시공방법
KR100659728B1 (ko) 건축물 흙막이 구조
KR100531250B1 (ko) 건축단지의 조성을 위한 기초공사용 토류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