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861B1 -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861B1
KR100968861B1 KR1020050099955A KR20050099955A KR100968861B1 KR 100968861 B1 KR100968861 B1 KR 100968861B1 KR 1020050099955 A KR1020050099955 A KR 1020050099955A KR 20050099955 A KR20050099955 A KR 20050099955A KR 100968861 B1 KR100968861 B1 KR 100968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information
server
pension
as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916A (ko
Inventor
구자홍
Original Assignee
동양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9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861B1/ko
Publication of KR20070043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8Insu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확정급여형 퇴직 연금 운영 시스템은, 공동기록관리(R/K) 서버,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가 통신망으로 연결된 퇴직연금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 및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연금운용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하고, 연금의 수납관리 및 수급관리를 수행하는 공동기록관리 서버;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 및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연금운용을 관리하는 운용관리기관 서버;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 및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연금자산을 관리하는 자산관리기관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확정급여형 퇴직 연금 운영 방법은,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퇴직연금 운영 방법으로서, 상호 연동하는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에서, 기업으로부터 신규 계약 정보를 수신하여 계약수속을 수행하는 계약체결 단계; 가입자의 정보가 등록, 변경될 때 이 내용을 처리하는 가입자관리 단계; 기업으로부터 부금을 수납하고 이를 관리하는 부금수납관리 단계; 가입 자격상실자에 대한 급부금을 관리하는 수급자 관리 단계; 실제적립금에 대한 손익검증을 수행하는 재정결산 단계; 및 기업의 해약요청에 따라 해약의 수속을 실시하는 해약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및 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defined benefit retirement pens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방법 및 참가기관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의 업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5 이하의 업무 플로우에서 사용된 도형의 작성 기준을 설명한 것이다.
도 5 내지 도 70은 도 2a 및 도 2b에 예시된 퇴직연금 운영 방법의 각 업무단계별 상세 처리 플로우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퇴직연금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의 고령화, 노후소득보장의 불안정, 공적연금제도의 노후보장의 한계에 따른 사회적 제도의 도입이 요구됨에 따라서, 기존의 퇴직금 제도를 개선하여근로자가 퇴직 후 일정액을 일시금 또는 연금형태로 지급받을 수 있는 퇴직연금제도의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다.
퇴직연금제도란 일반적으로 기업이 임직원의 노후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재직 중에 퇴직급여를 별도의 금융기관에 적립하고 근로자가 퇴직할 때 일시금 또는 연금형태로 지급하는 기업복지제도를 말한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퇴직연금제도는 확정급여형(DB, Defined Benefit)과 확정기여형(DC, Defined Contribution)으로 나눌 수 있다.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는 퇴직시 근로자가 받을 퇴직급여가 사전에 확정되는 것으로서, 기업은 약속한 퇴직급여를 근로자 퇴직 시에 지급하기 위해 금융기관에 정기적으로 부담금을 납입하여야 하는 형태이다. 한편,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는 기업의 부담금이 급여의 일정비율로 사전에 정해져 있는 것으로서, 기업은 사전에 결정된 부담금을 근로자의 개인별 계좌에 정기적으로 적립하는 형태이며 근로자가 적립금을 직접 운용하고 운용결과에 따라 장래의 퇴직급여액이 달라지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퇴직연금제도는 ⅰ) 부담금을 납입하는 기업과 퇴직연금의 수혜자인 근로자, ⅱ) 퇴직연금을 설계하고 기록관리하는 운용관리기관 및 ⅲ) 부담금을 수령하고 이를 관리하여 퇴직급여를 지급하는 자산관리기관으로 이루어진 기본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퇴직연금제도가 실시되고 있지 않은 현 시점에서 전술한 기본구조만 이 제안되어 있을 뿐, 이를 웹기반에서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은 아직구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보다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웹기반의 퇴직연금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퇴직연금 시장특성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지니스 모델의 확립과 이를 웹기반에서 구현하기 위한 서버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성 및 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웹기반의 퇴직연금 운영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퇴직 연금 운영 시스템은, 공동기록관리(R/K) 서버,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 상품제공기관 서버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신규계약 신청정보를 수신하고 기업 부담금을 산출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 해당 기업 클라이언트의 최초 부담금 납입에 따라 운용관리위탁계약을 체결하고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운용지시 정보를 저장하며, 해당 운용지시정보를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부담금 관리를 지원하며, 해당 기업 클라이언트의 가입자 연금 신청시 해당 가입자의 연금 송금 지시를 자산관리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운용관리기관 서버;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기업 클라이언트의 운용지시정보에 따라 해당 기업 클라이언트의 부담금을 통해 연금운용 상품에 대한 매수 또는 매각을 수행하여 기업 클라이언트의 연금 자산을 관리하며, 상기 운용관리서버의 연금 송금 지시에 따라 해당 가입자에게 송금을 처리하는 자산관리기관 서버;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로 연금운용 상품 정보를 제공하며, 운용되고 있는 연금운용 상품에 대한 운용 및 평가 정보를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상품제공기관 서버; 및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 상품제공기관 서버에서 관리되는 기업 및 가입자의 정보와 적립되는 부담금 및 급여 지급에 관한 기록을 관리 및 제공하며,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운용 지시 정보를 접수하여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로부터의 연금운용 상품에 대한 운용 및 평가 정보를 기업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공동기록관리 서버; 를 포함하되, 자산 관리를 위하여,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가 기업 부금의 운용을 위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된 자산 운용방법 및 비율을 포함하는 운용지시 정보를 공동기록관리 서버를 통해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가 기업 자산의 자산관리기관 내 재분배를 위해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지시 정보를 운용관리기관 서버를 통해 자산관리기관 서버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가 기업 자산의 자산관리기관 간 이전을 위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자금이동 지시 정보를 운용관리기관 서버를 통해 이전 전후의 자산관리기관 서버들에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함으로써 자산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는, 상기 기업 클라이언트 및 가입자 클라이언트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웹 서버;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와의 접속을 위한 대외계 서버; 및 상기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의 공동기록 데이터가 저장관리되는 DB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는, 기업과 체결한 계약정보를 처리하고 기록하는 계약 체결부; 상기 계약 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된 가입자의 정보가 등록, 변경되는 경우 이를 처리하고 기록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계약 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된 기업의 부금수납 정보에 따라 수납되는 부금을 확인 및 처리하고 기록하는 부금수납관리부; 상기 계약 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된 수급자 정보 및 해당 수급자에 대한 급부금 정보를 관리하고 기록하는 수급자관리부; 상기 계약 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된 운용지시 정보에 따라 운영된 실제적립금의 손익검증을 수행하고 기록하는 재정결산부; 및 상기 각 기능부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공통관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는, 기업의 연금운용에 대한 시산 정보를 처리하는 기업시산부; 상기 기업시산부에서 처리된 시산 정보를 기업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해당 기업 클라이언트와 체결한 계약정보를 처리하는 계약체결부;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되는 기업의 정보가 등록, 변경되는 경우 이를 처리하는 기업관리부;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되는 기업의 부금수납 정보에 따라 수납되는 부금을 확인 및 처리하고 관리하는 부금수납관리부;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되는 기업이 급여에 충당해야 될 자산에 대해 자산관리를 수행하는 자산관리부;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되는 수급자 정보 및 해당 수급자에 대한 급부금 정보를 관리하는 수급자관리부;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되는 운용지시 정보에 따라 운용된 실제적립금의 손익검증을 수행하는 재정결산부; 및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이루어진 계약에 대한 해약관련 정보를 처리하고 해약 수속을 수행하는 해약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산관리기관서버는, 기업의 자산 및 기업이 급여에 충당해야 될 자산을 관리하는 자산관리부; 상기 자산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자산에 대한 입출금 정보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입출금정보관리부; 및 상기 자산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자산을 통해 매수된 구매상품에 대한 자금을 결제하는 구매자금 결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는, 자산운용 상품에 대한 약정처리 및 수익분배를 수행하는 약정처리/수익분배부; 상기 약정처리/수익분배부를 통해 약정된 자산운용 상품의 매매에 따른 입출금을 처리하는 상품매매 입출금처리부; 및 상기 약정처리/수익분배부를 통해 약정된 자산운용 상품에 대한 기준가격을 산출하는 기준가격 산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확정급여형 퇴직 연금 운영 방법은, 전술한 구성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본 발명의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퇴직연금 운영 방법으로서, 상호 연동하는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에서, 기업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신규 계약 정보를 수신하여 계약수속을 수행하는 계약체결 단계; 가입자의 정보가 등록, 변경될 때 이 내용을 처리하는 가입자관리 단계; 기업으로부터 입금되는 부금수납내역을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를 통해 확인하고 해당 기업의 수납내역을 관리하는 부금수납관리 단계; 기업이 급여에 충당하는 자산에 대하여, 기업 부금의 운용을 위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된 자산 운용방법 및 비율을 포함하는 운용지시 정보, 기업 자산의 자산관리기관 내 재분배를 위해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지시 정보 및 기업 자산의 자산관리기관 간 이전을 위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자금이동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자산관리를 수행하는 자산관리 단계; 가입 자격상실자에 대한 급부금을 관리하는 수급자 관리 단계; 실제적립금에 대한 손익검증을 수행하는 재정결산 단계; 및 기업 클라이언트의 해약요청에 따라 해약의 수속을 실시하는 해약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입자 관리 단계는, 기업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신규로 가입자격 기준을 갖는 종업원에 대한 등록 요청이나, 부금 및 급부액 산정에 급여를 사용하는 가입자에 대한 기준급여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반영하여 처리하는 가입자 변경처리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추가로 가입시킨 신규 가입자격 기준을 갖는 종업원에 대한 정보를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기록된 기존 데이터와 일괄 체크 후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처리 정보를 추가로 기록하는 추가가입 단계; 부금, 급부액 산정에 급여를 사용하는 제도 가입자에 대한 기준급여 변경시 공동기록관리 서버의 기존 데이터와 일괄 체크 후 변경 정보를 처리하여 처리 정보를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기록하는 급여갱신 단계; 가입자 변경 정보를 확인한 기업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가입자 정보 정정 통지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처리하는 가입자정보 정정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도 내 이동 통지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처리하는 제도 내 이동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도 간 이동 통지를 수신하여 전입 또는 전출 처리를 하고, 처리 정보를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제도 간 이동(전입 및 전출) 단계; 휴복직 신청을 확인한 기업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가입자 이동 통지를 수신하여 휴복직 처리를 하는 휴/복직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자격상실 통지를 수신하여 가입자 자격 상실을 처리하는 가입자격상실 단계; 공동기록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취득하여 기업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가입자 명부 작성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금수납 관리 단계는, 공동기록관리 서버에서 계산된 기업 납입 부금을 조회하고 기업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부금안내 단계; 기업의 부금 납입을 확인한 자산관리기관 서버로부터 공동기록관리 서버로 납입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부금수납 단계; 및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납입 주기 변경 신청이 있는 경우, 납입 주기를 변경 처리하는 납입주기 변경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급자 관리 단계는,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급부금 조회 의뢰를 수신하여 조회 여부를 판단하고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급부금을 조회하여 해당 정보를 기업 클라이언트 또는 가입자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급부금 조회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 또는 가입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급부금 신청을 수신하고 급부금을 확인하여 해당 정보를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기업 클라이언트 또는 가입자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하는 급부금 신청(일시금 또는 연금)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의 급부금 연기 신청을 확인한 기업으로부터 급부금 수급 연기 통지를 수신하여 연기 여부를 판단하여 연기 처리를 하는 급부금 수급 연기 단계; 가입자의 급부금 추가 신청을 확인한 기업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금부금 추가 지불 의뢰를 수신하고, 추가 지불 여부를 판단하여 추가 급부금을 조회하고 해당 정보를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기업 또는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추가 지불(일시금 또는 연금) 단계; 수급자에 대한 연금 지불을 처리하고, 처리 정보를 자산관리기관 및 기업 또는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연금지불 단계; 수급자가 일시금 급부를 신청하는 경우, 일시금 급부 정보를 처리하고 자산관리기관 서버에 일시금 지급 정보를 전송하는 변경 판정 단계; 수급자가 사망할 경우, 연금 지급 중지 정보를 처리하는 실권(수급권자 사망) 단계; 수급자 사망시 수급자를 유족에게 계승하는 경우, 수급자 변경 정보를 처리하는 사망에 의한 수급자 변경 단계; 수급자에 관한 정보에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가입자 클라이언트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반영하여 처리하는 수급자 정보 정정 단계; 가입자 기간이나 수급연기 기간의 만료에 따른 판정 대상자 정보를 처리하여 기업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하는 판정 대상자 일람 작성 단계; 시효가 완료된 대상자를 판정해 기업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시효 단계; 상기 자산관리기관이 수급자들로부터 공제한 세금부분에 대하여 조세업무를 처리하는 조세관련 단계; 퇴직금에 압류가 설정되어 있는 가입자로의 지급 여부를 처리하는 압류지급(가입자) 단계; 압류 건에 대해 채권자가 지급신청시 지급 여부를 처리하는 압류지급(채권자) 단계; 및 지급불능 건을 재처리하는 지급불능건 처리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정결산 단계는, 운용관리 수수료를 계산하고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와 함께 회계 및 송금 처리를 하여 기업납입 부금 내역에 반영하여 징수하는 운용관리 수수료 계산 단계;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자산관리 수수료를 계산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입금 확인을 통해 기업으로부터 전산관리 수수료를 징수하는 자산관리 수수료 계산 단계; 정기 또는 임시 재정결산을 시행할 대상기업을 선정하고, 해당 기업의 최근 명부를 등록하고, 책임준비금과 실적립자산을 비교하여 재정상태의 적정성을 파악하고, 결산처리를 하고 재정결산 실행결과를 현 재정에 반영하는 재정결산 보고 단계; 재정결산시 책임준비금과 적립금의 차이 중 규정이상의 적립금이 발생하면 이를 리펀드(refund) 처리하고, 이를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회계 및 송금 처리하는 초과 적립금 반환 단계; 사업년도말에 전체 보유계약의 수지 결산 처리를 실시하여 결산정보를 산출하는 사업년도말 결산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연금자산 잔고를 수신하여 잔고계산 및 수지데이터를 집계하여 연금자산정보를 산출하는 연금 자산 잔고 보고서 작성 단계; 및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자산 잔고 및 운용 현황을 수신하여 잔고 및 수익을 계산하여 연금자산 운용현황 정보를 산출하는 연금 자산 운용현황 보고서 작성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해약 단계는,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해약 의뢰를 받아, 해약 정보를 조회하는 해약 조회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해약 의뢰를 받아, 해약 정보를 판정하고 해약을 실행하며,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는 상기 해약정보를 수신하여 회계 및 송금 처리를 수행하는 해약 실행 단계; 및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계약이전 의뢰를 받아, 계약 이전을 실행하고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는 수지 데이터를 회계 및 송금 처리하는 계약이전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은, 기업의 정보가 등록, 변경될 때 이 내용을 처리하는 기업관리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자산관리 단계는,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연금 자산 현황에 대한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연금 자산 현황 정보를 조회하는 연금자산조회 단계; 연금자산의 운용방법 및 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등록/변경하는 운용방법 및 비율 등록/변경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운용되는 자산을 재분배 처리하는 스위칭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연금자산의 분배를 변경하는 자산관리기관 연금자산 이전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에 입금된 부금에 대한 운용 지시를 전송하여 운용 상품을 매수하는 매수 단계; 지급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에 운용 지시를 전송하여 운용 상품을 매각하는 매각 단계;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와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에서 잔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하고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기록하는 잔고 데이타 연동 단계;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로 매각지시를 전송하고,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로부터 매각결과와 입금결과를 확인하는 상품매각 단계; 및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로 매수지시를 전송하고,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로부터 매수결과를 확인하는 상품매수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은, 신규신청에 대한 시산정보를 처리하는 시산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시산 단계는, 신규 시산의뢰 정보를 수신하여 제도설계를 통해 부담금 및 시산 정보를 산출하는 신규시산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가 제도변경 시산을 요청한 경우, 제도변경 정보를 반영하여 재시산을 수행하는 제도변경 시산 단계; 예정기초율 및 계약 사항을 변경하여 부담금을 개정 처리하는 재계산 단계; 및 기업에 대한 퇴직 연금을 진단한 정보를 처리하고 기록하는 진단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은,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품의 속성을 등록하는 상품관리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표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참조 번호들은 각 도면마다 서로 다른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각 도면의 설명에 삽입된 표의 참조 번호도 해당 도면에 한하여만 의미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의 업무처리 모델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시스템의 구성은 공동기록관리 서버, 운용관련 퇴직 연금 사업자, 즉 참가 금융기관인 운용관리기관 서버, 신탁은행/생명보험/손해보험과 같은 자산관리 퇴직연금사업자인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은행/증권/생명보험/손해보험과 같은 상품제공기관 서버로 구성되며, 퇴직연금에 가입한 기업(사용자) 클라이언트와 가입자(종업원) 클라이언트가 포함된다. 이때, 기업 및 가입자/수급자와 상기 각 서버 사이의 업무처리는 기업 단말 또는 가입자/수급자 단말을 통해 상기 각 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관련 서류의 송달 및 수신 등을 통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은 기본적으로 운용관리업무와 기록관리업무를 포함하는 운영관리업무를 적용업무로 한다.
운용관리업무는 연금제도 설계 및 연금계리, 계약 체결에 관한 사항, 운용 방법의 선정 및 사용자에게 제시, 해당 운용 방법과 관련된 정보의 제공 등이다.
기록관리업무는 사용자(기업)의 적립금 운용 현황 및 가입자 등에 관한 사항의 기록, 보관 및 통지, 사용자 등이 행한 운용 지시의 정리 및 그 내용의 자산 관리기관으로의 통지, 급부를 받는 권리의 심사 및 판정 등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서버의 주체가 되는 각 구성기관의 주요 역할은 다음과 같다.
운용관리기관은 1)운용상품의 선정 및 사용자 등에게 제시, 2)운용상품에 대한 정보 제공(인터넷 및 콜센타 등), 3)투자교육, 4)가입 및 제도 도입의 권유, 5)기업, 기록관리기관, 상품제공기관 등과의 운용관련업무위탁 계약 및 절충 등, 6)가입신청서 및 기관등록신청서 등의 접수, 7)각종 제 변경서의 접수, 8)확정급여연금업무에 관한 수수료의 수불(기업에 대한 상품제공기관으로부터의 수수료 수수 및 기록관리기관 등으로의 지급), 9)그 외의 제 사무처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기록관리기관은 1)사용자(기업)의 기본사항, 적립금 운용현황 및 가입자 등에 관한 사항의 기록, 보관 및 통지, 2)사용자(기업) 등이 행한 운용의 지시에 대한 접수와 기록, 보존, 그리고 자산관리기관으로의 통지, 3)기업별관리자산구좌의 기록 및 관리, 4)급부를 받는 권리의 심사 및 판정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자산관리기관은 1)적립금의 운용을 위한 계좌의 설정 및 관리업무, 2)부담금의 수령에 관한 업무, 3)적립금의 보관 및 관리에 관한 사무 및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의 운용지시에 기초한 운용 업무, 4)기록관리기관의 급부금 심사에 기초한 급여의 지급 업무, 5)그 밖에 자산관리에 적절한 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관리 업무를 수행한다.
상품제공기관은 1)운용상품 제공, 2)운용상품에 관한 운용 및 평가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퇴직 연금 운영 시스템에서, 퇴직 연금 운영에 관한 주요업무(도 2a 및 도 2b 참조)는 운용관리기관 서버가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처리하게 되며, 자산관리기관 서버는 퇴직 연금을 위해 기업이나 가입자가 납입한 적립금을 관리하는 업무처리를 수행하며, 상품제공기관 서버는 적립금 관리를 위한 금융 상품 등을 제공하고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퇴직연금 사용자는 기업이 해당되며, 사용자는 기업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퇴직연금 기록관리기관인 공동기록관리 서버(RK 센터)의 시스템을 활용한다.
본 발명의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은 상기 각 기관의 역할을 웹 기반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특징적인 기능부를 갖는 공동기록관리 서버,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 상품제공기관 서버와 기업 클라이언트 및 가입자 클라이언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운용관리기관 서버는 퇴직연금 운영의 주체가 되는 서버로서, 시산부, 계약체결부, 기업관리부, 가입자관리부, 부금수납관리부, 자산관리부, 수급자관리부, 재정결산부, 해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업지원시스템(시산부, 기업정보부, 상품정보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산관리기관 서버는 자산관리 운영 서버로서, 자산관리부, 입출금정보관리부, 구매자금결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품제공기관 서버는 퇴직연금 운영 상품의 제공 서버로서, 약정처리/수익분배부, 상품매매 입출금 처리부, 기준가격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동기록관리 서버는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와 연동하여 각 데이터를 기록 및 관리하는 기능을 하며, 계약체결부, 가입자관리부, 부금수납관리부, 수급자관리부, 재정결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공통관리부 및 웹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동기록관리 서버(RK 센터)에서 처리하는 주요 업무는 1) 참가 금융기관으로 구성된 운용관리기관의 퇴직연금 제도설계 및 영업지원을 위한 영업지원 업무, 2) 운용관리기관의 제도운영 및 관리를 위한 RK 센터와 연계되는 운용관리기관 연계 업무, 3) 기업이 각종 제도운용정보를 조회하고 수급자 발생시 급부신청을 하는 웹서비스(web service) 업무, 4) 퇴직연금제도 운용시 정기부금안내, 급여안내, 정기재정결산보고안내 및 계약, 제도 변경을 기록처리하는 기록관리 업무, 5) 시스템 활용과 관리 및 외부 접속 관리를 위한 공통관리 업무이다.
도 1의 각 기관 서버 중 공동기록관리 서버는 도 3의 RK 시스템 구성으로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기관 서버들은 RK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각 기관의 기존 서버로서 구비될 수 있다.
퇴직연금에 가입한 사업자인 기업과 그 종업원인 가입자는 각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상기 각 서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와 가입자 관련 업무가 각 클라이언트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각 기업 클라이언트나 각 가입자 클라이언트에서 통신망으로 통한 확인 절차를 제외한 이외의 절차는 오프라인 상에서 이뤄질 수도 있다.
상기 각 서버의 기능부의 상세한 기능은 후술할 퇴직 연금 운영 방법의 처리구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도 1)에서 처리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퇴직연금 운영 방법의 처리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 블록도로서, 시산(1), 계약체결(신규)(2), 기업관리(3), 가입자관리(4), 부금수납관리(5), 자산관리(6), 수급자관리(7), 재정결산(8), 해약(9), 기타관리(10)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는 운용관리기관 서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시산(1) 단계는 신규 신청에 대해 시산서를 작성하는 단계이다. 상세하게는 운용관리기관 서버에서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시산의뢰 정보를 수신하여 예정기초율에 근거하여 가입자의 급부를 예측하고 급부를 위한 부금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신규란 연금 제도의 계약을 신규로 체결하는 것을 말한다. 시산 단계(1)는 신규시산(도5) 이외에, 제도변경시산(도6), 재계산(도7), 진단(도8)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계약체결(2) 단계는 운용관리기관 서버에서 기업의 계약정보(신규 또는 변경 정보)를 처리하고 이를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기록하는 단계이다(도9). 이 계약 체결로서 연금 제도 운영 관리 업무를 개시하게 된다.
기업관리(3) 단계는 퇴직연금 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의 정보가 등록, 변경될 때,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운용관리기관 서버가 기업 정보를 수신하여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처리하고, 이를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기록하며, 필요한 경우 자산관리기관 서버에 처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기업관리(3) 단계는 기업명 변경(도10), 기업주소 변경(도11), 대표자명 변경(도12), 반환금 계좌 변경(도13), 종업원 대표자 변경(도14), 사업자 기타정보 변경(도15), 법인인감 변경(도16)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관리(4) 단계는 퇴직연금 가입자의 정보가 등록, 변경될 때, 기업 클라이언트 또는 가입자 클라이언트로부터 운용관리기관 서버가 등록 또는 변경되는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처리하고, 이를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기록하며, 필요한 경우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에 처리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가입자 관리(4) 단계는 가입자 변경처리(도17), 추가가입(도18), 급여갱신(도19), 가입자정보 정정(도20), 제도내(사업주 사이) 이동(도21), 제도간 이동(전출)(도22), 제도간 이동(전입)(도23), 휴/복직(도24), 가입자격상실(탈퇴)(도25), 가입자 명부 작성(도26), 채권압류 신청(도27), 대출정보 관리(도28)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부금수납 관리(5) 단계는 운용관리기관 서버 및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부금 수납 및 관리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이다. 부금 수납 관리(5) 단계는, (부금 안내(도29)), (부금 수납(도30), (납입 주기 변경(도31))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자산관리(6) 단계는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에서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자산관리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이다. 자산관리(6) 단계는 연금자산 조회(도32), 운용방법 및 비율 등록/변경(도33), 스위칭(도34), 자산관리기관 연금자산 이전(도35), 부금에 의한 매수(도36), 지급지시에 의한 매각(도37), 잔고데이타 연동(도38), 상품매각(도39), 상품매수(도4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수급자 관리(7) 단계는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수급자 관리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이다. 수급자 관리(7) 단계는, 급부금 조회(도41), 급부금 신청(일시금)(도42), 급부금 신청(연금)(도43), 급부금 수급연기(도44), 추가지불(일시금)(도45), 추가지불(연금)(도46), 연금지불(도47), 일시금으로 변경 판정(도48), 실권(수급권자 사망)(도49), 사망에 의한 수급자 변경(도50), 수급자 정보 정정(도51), 수급자 명부 작성(도52), 판정 대상자 일람 작성(도53), 시효(도54), 조세관련(도55), 압류지급(가입자)(도56), 압류지급(채권자)(도57), 지급불능건 처리(도58)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재정결산(8) 단계는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재정결산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이다. 재정결산(8) 단계는, 운용관리 수수료 계산(도59), 자산관리 수수료 계산(도60), 재정결산 보고(도61), 초과 적립금 반환(도62), 사업년도말 결산(도63), 연금 자산 잔고 보고서 작성(도64), 연금 자산 운용현황 보고서 작성(도65)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해약(9) 단계는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해약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이다. 해약(9) 단계는, 해약 조회(도66), 해약(도67), 계약이전(도68)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관리(10) 단계는 교육관리(도69), 상품관리(도7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은 특히 도 1의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에서 공동기록관리 시스템(R/K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 계층(n-Tier) 구조를 가진 웹 기반의 시스템이다.
퇴직연금 공동기록관리(R/K) 시스템의 주요 구축 대상은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웹 서버/WAS(Web Application Server)(102)와 각 참가기관(108)과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대외계 서버(106), 그리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DB서버(104)이다.
그리고 R/K 시스템에는 시스템 개발을 위한 개발서버(110), 전체 시스템 운영관리를 위한 백업서버와 Job관리 서버(104)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DB 서버, WAS, 대외계 서버는 하나의 메인 운영서버의 파티셔닝 구성 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운영서버를 2개 구성하고 DB 서버, WAS, 대외계 서버를 모두 이중화하여 고가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각 참가기관(108)과의 인터페이스는 별도의 대외계 서버(106)를 구축한다.
인터페이스 종류는 온라인과 파일 송수신이 있다. 온라인 방식은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을 이용한 웹 서비스(Web Services)와 기존의 TCP/IP or X.25와 평문(Plain Text) 방식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파일 송수신은 기존 수납장표시스템 방식을 준용하여 구축하며, 참가기관 중 수납장표시스템 방식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일괄전송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도 3에서 각 구성 서버들간, 또는 이들과 네트워크간은 L4스위치, 방화벽, S/H(switching hub) 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 구성은, 도 3을 참조하면, 기존 금융결제원 인터넷 망(100)을 활용하여 인터넷 망에 연결할 수 있다.
R/K 시스템 구축을 위한 네트워크 구성은 기본적으로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 즉 금융결제원 네트워크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다.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와의 연결을 위해 L4 스위치와 스위칭 허브를 도입한다. 그리고 이 경우 신규 네트워크 구성은 금융결제원의 네트워크 구성 원칙을 준수하여 구비될 수 있다.
기존 금융결제원 네트워크 인프라는 대부분 100M급으로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100M를 지원해야 하며, 향후 Giga급으로의 확장성을 고려한다. 그리고, 신규로 네트워크가 구성되는 영역의 경우 Giga급을 지원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간 통신은 공동기록관리 시스템 내의 서버 간 통신은 금융결제원의 네트워크 구성 원칙에 따라 각 서버 별로 양방향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공하여 통신한다. 즉, WAS와 같이 웹 서버, DB서버와 통신해야 할 경우 각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각각의 Ethernet Card를 추가해야 한다.
또한 기존 네트워크 장비 지원(100M 지원) 100M 지원뿐만 아니라, 향후 Giga 급 지원을 위해 서버의 Ethernet Card는 100/1000M TX 지원 모델로서 구비될 수 있다. 신규 네트워크 구성장비는 Giga 급으로 구축한다. 그리고 신규 도입되는 네트워크 장비와 해당 장비에 접속할 서버의 Ethernet Card는 1000Base SX 지원 모델로서 구비될 수 있다.
기존 인터넷 방화벽 쪽에 연결되는 웹 서버(102)와 DB Zone에 연결되는 WAS(102)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100M뿐만 아니라, 향후 1000M까지 확장할 수 있는 100/1000 M TX 지원 Ethernet Card를 장착한다. 그리고, S/H(Switching Hub)는 1000Base-SX을 지원하는 장비 예컨대 CISCO社의 CISCO 3550 장비를 도입하여 Gigabit을 지원하며, 이와 연결되는 웹 서버와 WAS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도 1000Base-SX 지원 Ethernet Card를 장착하여 구비될 수 있다.
DB 영역(104)의 방화벽 이후 구간에는 DB서버와 백업 서버, 그리고, Job 관리 서버가 연결된다. 이 네트워크 구간도 역시 기존의 인프라를 활용하게 되기 때문에, 각 서버는 100/1000M TX 지원 Ethernet Card를 장착한다.
R/K 시스템의 대외계 서버(106)도 기존 금융결제원의 대외계 망(108)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대외 방화벽의 경우 신규로 도입하여 대외계 서버를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신규 도입되는 방화벽에 연결되는 L4와 대외계 서버의 연결은 1000Base-SX 지원 Ethernet Card를 통해 Gigabit으로 연결한다. 또한 대외계 서버는 WAS(102)와 DB 영역(104) 사이의 기존 스위치 허브와 연결되기 때문에 100/1000M TX 지원 Ethernet Card를 장착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0에서 도시된 처리 플로우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퇴직연금 운영 알고리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퇴직연금 운영 방법은 도 5 내지 도 70에 도시된 처리 플로우를 기초 알고리즘으로 하여 운용관리기관 서버, 공동기록관리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 상품제공기관 서버와 기업 클라이언트 및 가입자 클라이언트에서 프로그램화되고 각 서버 및 각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도 5 이하의 처리 플로우에서 사용된 도형의 작성 기준을 설명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4의 도형 작성 기준에 의거하여 처리절차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1 내지 3(시스템으로 조회/입력/변경 처리, RK 시스템에 반영됨, 일반 사무 처리)은 해당 내용으로 프로그램 명령화되는 것이며, 4 및 5(RK 시스템에 의한 출력자료, 일반 서식 장표)는 처리 단계에서 문서형식으로 출력됨을 의미한다.
다음 표 1 내지 표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될 용어의 정의를 설명한 것이다.
용어 설명
가입기간 퇴직연금의 설정 이후 당해 사업장에서 근로를 제공한 기간, 당해 퇴직연금의 설정 전에 제공한 근로기간에 대해서도 가입기간으로 할 수 있다.
가입자 퇴직연금에 가입하거나 개인퇴직계좌(IRA)를 설정한 근로자
가입자 등 퇴직연금에 있어 가입자와 운용지시자를 말한다.
가입자 자격상실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가입자가 각종 상실이유(기간만료<정년>, 중도사망, 중도퇴직)로 인해 자격을 상실한 자를 말한다. 상실 후 부담금 청구로 이어지며, DB의 경우 정기 부담금 안내에서 제외되며 DC의 경우 가입자가 운용지시자가 된다.
가입자명부 퇴직연금에 가입한 사업장에 속해있는 근로자의 기본사항을 적은 명부를 말한다. (가입자성명, 생년월일, 가입자 자격의 취득, 상실연월일, 사업장명칭, 그 밖에 급여액 산정에 관해 필요한 사항)
가입취소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자가 각종 이유로 가입자격을 취소하는 것. 상실 연월일이 속하는 달이 가입연월일 이 속하는 월과 동일한 경우 가입취소라고 한다.
개인퇴직계좌(IRA) 퇴직급여제도의 일시금을 수령한 자 등이 그 수령액을 적립 운용하기 위하여 퇴직연금사업자에게 설정한 저축계정
계속근로기간 휴직, 퇴직 등을 하지 않고 기업에 계속적으로 근무하여 기업이 퇴직부담금을 납부하고 있는 기간
계약 이전 기업의 요청에 의해 자산관리기관의 연금자산의 쉐어를 변경하는 것에 따라 각 자산관리 기관간에 연금자산을 이전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과거근무채무(PSL) 퇴직연금 가입 이전의 근무기간에 해당하는 채무금액
- 급여에 소요되는 비용 예상액의 현가에서 표준부담금의 현가와 적립금을 합산한 금액을 공제한 금액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근로자 퇴직급여제도의 설정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정적인 노후생활 보장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
급여 퇴직급여제도에 의하여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연금 또는 일시금
수급권자에 대해 규정된 조건을 충족할 때에 급여를 지급하는 것이다. 급여의 형태에는 매월 일정액을 계속해서 받는 연금(노령 연금, 장해 연금)과 한꺼번에 받는 일시금(탈퇴 일시금, 장해 부담금, 사망일시금)의 2가지 종류가 있다.
기록관리업무 가입자 등의 성명, 주소, 기준급여, 그 외의 가입자 등에 관한 사항의 기록, 보존 및 통지
가입자 등이 지시한 운용지시 및 그 내용의 자산관리기관 또는 운영관리기관으로 통지
기록관리기관 가입자의 모든 사항을 기록, 보관, 통지 및 운용지시에 대한 접수, 기록 및 자산관리기관으로 통지 등에 관한 관리하는 기관을 말한다.
기업형 IRA 상시 근로자 10인 미만을 사용하는 사업의 경우 사용자가 근로자 대표의 동의를 얻어 근로자 전원으로 하여금 개인퇴직구좌를 설정하게 한 경우에는 퇴직급여제도를 설정한 것으로 본다 .
기수표 부담금을 산출하기 위한 기초수리표로서 퇴직률, 승급률을 산출하기 위한 중간 산출과정의 표이다.
기준가 주식, 채권, 수익증권 등 당일 일일 평가에 의해 산출된 가격으로 자산평가를 위해 기준이 되는 가격이다.
노령 연금 퇴직연금에서 연금 중 하나이다. 연금가입자였던 자가 55세 이상 10년의 수급자격 조건을 가질 때 급여 신청을 할 수 있다.

용어 설명
담보 제공 무 주택자의 주택구입, 가입자 또는 부양가족의 6개월 이상의 요양, 그 밖에 천재지변의 발생 등 담보 제공이 불가피하다고
노동부장관이 인정하는 경우 가입자가 대출을 하기 위해 가입자 본인의 자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보충부담금 과거 근무기간에 대한 급여를 지급하기 위하여 계산되는 부담금
부담금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사용자 및 가입자가 사외에 납부하는 금액
부담금미납 잔액부족 등의 이유로 원래 납부되어야 하는 부담금이 수납되지 못한 상태이다.
부담금환급 납부된 부담금에 상당하는 금액을 사용자 등에 반환하는 행위이다.
사망 일시금 가입자 등이 사망한 경우에 유족 등으로부터 신청에 기초하여 지급되는 일시금을 말한다.
사무 위탁처 금융기관 DB형 연금을 실시하는 사업주로부터 다음의 업무를 하는 기관을 말한다.
적립금의 관리에 관한 사무
적립금의 운용에 관한 계약에 관련된 예금통장, 유가증권을 그 외의 이것에 준하는 것의 보관에 관한 사무
기록관리기관의 부담금재정에 기초한 부담금 지급 사무
상품제공기관 퇴직연금 자산의 운용을 위한 상품을 제시하고 그 상품에 대한 운용을 담당하는 기관
수급요건 연금 및 일시금을 받기 위해 다음과 같은 요건, 연금은 55세이상, 가입기간 10년 이상인 가입자에게 지급할 것, 이 경우 연금의 지급 기간은 5년이상이어야 한다. 일시금은 연금 수급 요건을 갖추지 못하거나 일시금 수급을 원하는 가입자에게 지급할 것.
수급권자 퇴직연금의 급여를 받을 권리가 있는 자를 말한다.
수관 IRA 연금과 DC형 연금과 DC형 연금 사이에 "개인별 자산" 및 "가입자 등에 관한 사항의 기록"을 이동하는 것을 받는 행위
스위칭 기업의 요청에 의해 자산관리기관 내에서 상품의 연금 자산을, 다른 상품으로 이전하는 처리
시산 기업의 연금 규정과 종업원 명부를 이용하여 회사에 적합한 부담금을 산출하는 것이다.
신용평가기관 대출 및 신용카드 사용 등 각종 금융활동으로 인해 발생한 개인 및 기업/국가의 신용점수를 토대로 개인 및 기업/국가의 신용상태를 관리하고 유지하는 기관
연금 일정 기간 또는 종신(終身)에 걸쳐서 해마다 지급되는 일정 금액
연금 계리 부담금의 실질적 부담을 될 수 있는 한 적게함과 동시에 많은 액수의 연금이 공평하고도 장기간에 걸쳐 합리적으로 지급되도록 하기 위한 수리 조직.
연금급여 금액을 확정하거나 연금상품을 만들기 위하여 연금상품의 현금흐름, 각종 요율(사망율, 환급율, 해지율 등) 등을 통계 산출하는 행위
연금 제도 폐질(廢疾),노령,사망에 따른 당사자 및 유족의 생활보장을 위하여 매년 일정액의 금전을 지급하는 제도
예정 이율 전년도 12월말을 기준으로 3년만기 국고채의 최근 12개월 평균 수익률과 최근 36개월 평균 수익률 중 낮은 값을
1.00% 포인트를 가감한 범위로 정한 이율

용어 설명
예측급부채무방식
PUC(Projected Unit Credit)
예측급부채무로서 현 가입자의 총 근무기간중의 급부현가를 총 근무연수에 대한 해당근무기간까지의 비율로 산출한 책임준비금
운용관리기관 고객에게 운용상품 및 운용방법소개, 계약체결부터 유지관리에 관한 모든 운용관리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퇴직연금 사업주로 등록된 자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14조 규정 참조)
운용관리업무 고객에게 운용상품 및 운용방법소개, 계약체결부터 유지관리에 관한 모든 업무를 지원하는 업무.
사용자 또는 가입자에 대한 적립금 운용방법 및 운용방법별 정보의 제공,연금제도 설계 및 연금계리,적립금 운용현황의 기록, 보관, 통지,사용자 또는 가입자가 선정한 운용방법을 제16조제1항의 규정에 의한 자산관리업무를 수행하는 퇴직연금사업자에게 전달하는 업무, 그 밖에 운용관리업무의 적정한 수행을 위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업무
운용 비율 DB - 기업이 운용하는 상품별 자금 투입 비율
DC - 주식, 수익증권, 채권, 정기예금, 보험상품 등에 대해 가입자가 지정하는 운용비율
운용상품 지금까지 납부한 부담금으로 운용하고 있는 상품(운용의 방법)이다.
운용 수익률 자산운용을 통해 얻은 해당상품의 수익률
운용지시 운용관리기관이 제시한 상품 운용방법, 운용비율에 따른 금액을 사용자가 선택, 결정하면, 운용관리기관은 RK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산관리기관에 상품운용방법, 운용비율을 지시하는 것이다.
원리금 원금과 이자의 합계
원리금보장 원금과 이자를 특정 이율로 만기시 보장하는 것
위험 자산 운용방법 중 투자위험이 크다고 금융감독위원회가 정하는 자산.
정기예금에 비해 주식, 파생상품 등은 미래에 원리금을 보장받지 못하고 투자원금에 손실을 끼칠 가능성이 높은 자산(상대적으로 높은 VaR값 보유)
이관 IRA 연금과 DC형 연금, DC형 연금과 DC형 연금사이에 개인별 자산 및 가입자 등에 관한 사항의 기록을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일시금 부담금 형태 중의 하나이다. 급부조건을 충족한 가입자 등, 수급자 및 그 유족 등이 부담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받을 수 있다.
자격취득 퇴직연금 제도에 가입하여 부담금을 갹출하는 자격을 득하는 것을 말한다.
자산관리기관 퇴직연금을 실시하는 사업주가 급여에 충당해야 될 자산에 대해 자산관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퇴직연금 사업자로 등록한 자.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14조 규정 참조)
자산관리업무 계좌의 설정 및 관리, 부담금의 수령, 적립금의 보관 및 관리, 운용관리업무를 수행하는 퇴직연금사업자가 전달하는 적립금의 운용지시의 이행, 급여의 지급, 그 밖에 자산관리업무의 적정한 수행을 위하여 대통령령이 정하는 업무
장해부담금 퇴직연금제도의 부담금 중 하나이며 퇴직연금규약에 의해 수급자는 그 전부 또는 일부를 일시금으로 받을 수 있다.

용어 설명
재정결산 매년 계약일 말일 또는 사업 년도 말일에 실제적립금이 책임준비금의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지를 손익검증 하는 것을 말한다.
재정방식 연금이나 일시금 등의 부담금을 지급하기 위한 재원의 준비방법
재투자 만기가 된 투자상품에서 나온 금액을 다시 동종의 상품에 투자하는 것
저당권 채권자가 채무자 또는 제3자(物上保證人)로부터 점유를 옮기지 않고 그 채권의 담보로 제공된 목적물
적립금 가입자의 퇴직 등 지급사유가 발생한 때에 급여의 지급을 위하여 사용자 또는 가입자가 납입한 부담금으로 적립된 자금
적립금 운용방법 대통령령이 정하는 운용방법 및 기준에 따른다
적립금의 운용은 제공되는 상품을 가지고 운용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매반기 1회이상 적립금의 운용방법의 변경이 가능해야 한다
정상 부담금
NC(Normal Cost)
전 근로자에 대해 퇴직연금 가입 시부터 퇴직 시까지의 향후 기간에 해당하는 퇴직연금 재원을 위해 납입하는 금액
중도 인출 주택구입, 가입자 또는 그 부양가족의 6월 이상의 요양, 그 밖에 천재지변의 발생 등 담보제공이 불가피하다고 노동부장관이 인정하는 경우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유가 발생하는 때에는 중도에 인출이 허용되어야 한다
지급 지시 가입자가 급여(일시금, 중도인출, 연금 등)를 신청한 경우 공동기록관리기관이 자산관리기관에 특정 금액을 가입자에게 지급하도록 지시하는 행위
진단 시산자료를 기초로 해서 향후(20~30년)에 대한 인원/급여/퇴직금 추이 현황, 적립금현황, 경비부담 및 제 세액을 예측하는 것이다
질권 채권자가 채권의 담보로서 채무자 또는 제3자(물상보증인)로부터 받은 담보물권
책임준비금 당해 사업 년도의 말일에 있어 '급여에 소요되는 비용액의 예상액의 현가'(현 적립해야 할 금액)으로 부터 '부담금 수입액의 예상액 현가(예금자산)를 공제한 금액
취급금융기관 가입자 등 및 기업으로부터의 각종 서류를 접수, 관리하는 기관
탈퇴 일시금 퇴직연금제도에서 탈퇴 시 지급하는 일시금을 말한다.
통산 가입자기간 또는 갹출기간 등을 통틀어 합산 하는 것
통산합산기간 IRA연금가입자 기간 및 DC형 연금가입자기간을 합산한 기간 DB의 경우 퇴직 후 IRA로 이전될 시 전체 합산한 기간
특별부담금 재정건전성 확보를 위해 현재의 적립수준이 최소적립금 수준에 미달되는 경우 이를 충당하기 위해 계산되는 부담금
퇴직급여제도 퇴직일시금제도 및 퇴직연금제도
퇴직연금사업자 퇴직연금의 운용관리업무 및 자산관리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등록한 자
퇴직연금 가입자 기간 퇴직연금 가입자로 있는 기간을 말한다. 계산은 월에 의한 것으로 하고 자격을 취득한 월부터 그 자격을 상실한 월의 전월까지를 이것에 산입한다.
평균임금 일정 집단에서 일정 기간(대부분 월단위)에 지급된 임금의 평균금액
표준부담금 장래 근무기간 분에 해당하는 급여지급을 위해 계산되는 부담금
플랜 기업이 퇴직연금사업자와 맺은 퇴직연금규약으로서 기업은 동시에 여러 개의 플랜 보유 가능
현재가치 장래의 가치를 현재의 것으로 계산한 값. 현가(現價)라고도 한다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근로자가 지급받을 급여의 수준이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퇴직연금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급여의 지급을 위하여 사용자가 부담하여야 할 부담금의 수준이 사전에 결정되어 있는 퇴직연금
삭제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본 발명의 퇴직연금 운영 방법의 업무구조에 의한 각 단계의 처리 플로우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0은 운용관리기관 서버(운용관리기관), 공동기록관리 서버(RK 센터), 자산관리기관 서버(자산관리기관), 상품제공기관 서버(상품제공기관)과 기업 클라이언트(기업), 가입자·수급자 클라이언트(가입자·수급자)에서 처리되는 알고리즘 및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다.
한편, 표 5 내지 표 70은 도 5 내지 도 70에 도시된 처리 플로우를 프로그램화하기 이전에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실행될 수 있는 업무를 단지 참고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표 5 내지 표 70에 기재된 내용 중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거나 사람이 직접 행하는 업무는 도 5 및 도 70에 도시된 알고리즘에 의해 프로그램화되어 상기 각 서버 및 클라이언트에서 자동으로 처리되게 된다. 즉, 표 5 내지 표 70에 기재된 기업, 가입자(수급자), 운용관리기관, 자산관리기관, 상품제공기관의 세부업무는 도 5 내지 도 70을 기초로 각각 기업 클라이언트, 가입자(수급자) 클라이언트,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 상품제공기관 서버에서 프로그램화되어 상기 각 서버 및 클라이언트 사이의 데이터 처리(또는 전송)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퇴직연금 운영 방법의 각 단계는, 도 5 및 도 70에 도시된 처리 플로우를 바탕으로, 표 5 및 표 70에 기재된 세부 업무처리 내용을 참고하여 각 서버 및 클라이언트에서 프로그램화하여 상기 각 서버 및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데이터 처리(또는 전송)를 통하여 실행되게 된다.
도 5는 신규시산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신규시산이란 신규 계약 신청에 대해, 제도설계를 통해 부담금 산출 및 시산보고서를 작성하는 업무로 기업의 퇴직연금규약, 임직원명부와 최근 3년 이상의 퇴직자명부를 받아 예정기초율에 근거하여 가입자의 급여를 예측하고 이 퇴직급여를 위한 부금을 산출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퇴직연금제도의 재정계획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부담금 및 급여의 금액과 발생시기, 이자수입을 예상함으로써 금후의 수입과 지출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하는 기초율은 대상이 되는 기업의 퇴직금제도 및 연금규약에 따라 정해지며, 기업의 요청 및 재정의 안정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도 5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시산의뢰







① 기업은 운용 관리 기관에 신규 시산 의뢰와 함께 시산에 필요
한 정보를 제공한다.
- 시산의뢰서
- 임직원 명부
- 최근 3년간 퇴직자 명부
- 퇴직연금규약
- 사업자등록증사본
② 임직원명부, 최근 3년간 퇴직자명부는 입력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운용관리기관에서 제공한 양식에 맞추어 문서가 아닌 전
산매체를 이용한 파일로 제공한다.
( 이를 위해 운용관리기관은 사전에 필요한 양식을 기업에 제
공하도록 한다.)
▶ 산출물명 : 시산의뢰서, 임직원명부, 퇴직급여 규정, 최근3년
간 퇴직자명, 퇴직연금규약, 사업자등록증사본
2


고객정보입력


① 운용관리기관은 시산을 위해 기업정보를 입력한다.
- 필요시 내/외부 기업정보를 활용하여 필요한 사항을 등록한
다.
- 담담자 관련정보
- 기업관련정보
3





임직원/퇴직자명부 로드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받은 임직원명부, 최근 3년간 퇴직자
명부 데이타를 로드한다.
<주요내용>
- 임직원명부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사일, 임직원여부, 기준급여 등
- 최근3년간 퇴사자명부
성명, 주민등록번호, 입사일, 퇴사일, 임직원여부, 퇴직사유
4







임직원,퇴직자명부 점검/수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로드된 임직원명부와 퇴직자명부를 검토하고
오류가 있을 시 기업에 요청하여 데이터를 보완한다.
<검토사항>
- 가입자 주민등록번호 체크
. 주민번호 체크Digit, 생년월일, 성별구분 등
- 입사일자/퇴사일자
- 기준급여
. 일정벙위를 초과하는 급여 체크(최소/최대 입금 체크)
- 퇴사자 수 체크
. 기간별 퇴사자 수 체크(월별 퇴사자수가 월평균 퇴사자수
의 2배이상 초과 여부 등)
5
임직원 명부확정
① 운용관리기관에서는 시산 시작을 위해 점검 및 수정이 완료된
임직원,퇴직자명부를 확정한다.
- 명부 확정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산을 실행 할 수 없다.
6





제도설계협의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받은 자료를 참조하여 제도설계내역
을 확인하고 협의한다.
<검토내용>
- 퇴직급여 규정
- 취업규칙 또는 노동협약
- 급여 규정 또는 임금 규정
- PSL상각방법
7




제도설계입력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받은 자료를 참조하여 제도설계내역
을 확인하고 입력한다.
<입력내용>
- 퇴직급여 규정
- 취업규칙 또는 노동협약
- 급여 규정 또는 임금 규정
- PSL상각방법
8


인원/급여분포표산출


① 가입자에 대한 연령별 인원 및 급여분포표를 작성한다.
② 최근 3년간 퇴직자에 대한 인원분포표를 작성한다.
<주요내용>
- 연령, 근속기간, 기준급여, 3년평균 퇴직자수, 재직자수 등
9


표준모델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의 업종 및 창업일, 가입자수, 최근 퇴직자 분포 등을 확인하여 표준모델율(동종업종 기초율 등)을 사용할 것인지, 기업의 인원/급여분포표를 이용하여 기초율을 작성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 모델기초율은 종업원수 300명 이하인 경우에 보통 를
사용한다.
10


표준가입자결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의 인원/급여분포표를 이용하여 기초율을
작성할 경우에 기초율을 산정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표준 가입
자를 선택한다.
<표준가입자 선택기준>
- 가입자 중에서 중도 입사 같은 특이한 사항으로 기초율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제외
11

























기초율 산출

























① 예정이율
- 적립금 운용수익의 장기예측에 의거하여 합리적으로 정함
- 부담금을 부담하는 기업의 부담금증가에 대한 부담능력도
고려하여 결정
- 연금계리사 등 전문가의 조언, 현재 운영중인 퇴직연금제도
의 예정이율 분포통계 이용
② 예정사망율
- 연금재정상 특별한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남,여
사망율 중 어느 것, 또는 남/여 사망율을 합리적으로 합성
한 예정사망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
③ 예정탈퇴율
예정탈퇴율은 기초가입자, 기간중 신규가입자 및 탈퇴자를 연
령별로 집계하여 산정, 실적에 기초한 탈퇴율은 연령별 요철
이 있으므로 그 집단의 탈퇴경향을 나타내는 율로 보정하여
사용함.
<예정탈퇴율의 산출절차>
- 연도별, 연령별로 재직자,퇴직자의 통계표를 작성함.
- 재직자,퇴직자의 통계표의 연령별 분포수치를 기초로 각 연
령별로 조탈퇴율을 산출함.
- 보정탈퇴율의 산출 : 5점 이동평균법에 의한 보정을 주로
사용함
- 사망퇴직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예정사망율을 더해주어
야 함.
④ 예정승급율
예정승급율은 최저가입연령부터 계산상의 최종연령까지 모델
급여를 산출하여 그것을 지수화한 것을 급여지수로서 사용함
<예정승급율 산출절차>
- 조평균급여의 산출
연령별 평균급여에 의하여 산출한다.
- 보정급여의 산출
보정방법으로는 최소자승법 등이 있음
- 급여지수의 산출
각 연령별 보정급여를 최저가입연령의 보정급여로 나누어서
급여지수를 산출함.
- 임금상승률(base up)의 반영
12







기초율 보정







- 원칙적으로 부담금이 낮아지는 방향으로는 기초율을 보정하
지 않음
- 단 과거실적으로 산정된 기초율에 의하여 산출된 부담금이
필요이상으로 높다고 판단되는 근거가 명확한 경우에는 부
담금이 낮아지는 방향으로도 보정을 할 수 있음.
- 부담금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장래 예측을 기초율로 설정하
는 경우라도 사업주 등이 제시한 근거에 의거하여 그 타당
성을 감안하면서 기초율을 설정하여야 함.
- 탈퇴율의 실적, 경향, 안정성 또는 장래의 동향 등을 고려
하여 재정건전성의 관점에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예정탈퇴율에 할인이나 할증을 하는 경우가 있음.
(탈퇴율에 할인을 하는 경우는, 탈퇴실적이 감소경향에 있는
경우와 탈퇴실적이 불안정한 경우 및 임시고용 등의 단기고
용자가 많은 경우 등임 )
13


기초율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산출한 기초율을 검토하여 타당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확정한다.
기초율은 기업의 부금에 대한 부담과, 재정건전성 확보와 연
관되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14 재정방식 ① 부담금 산출방식중 대표적인 특정연령방식과, PUC방식중 하나
를 선택한다.
15

기수표작성
(특정)
① 재정방식이 특정연령방식인 경우 특정연령에 대한 기수표를 작
성한다.
<기수표 주요내용>
특정연령의 기준급여, 예정승급율, 예정퇴직율, 예정급부 등
16
PNC 산출
(특정)
① 기수표를 이용하여 총 PNC를 산출한다.
17
책임준비금산출
(특정)
① 책임준비금=장래 급부지출의 현가-장래 부담금수입의 현가
책임준비금은 장래 급부지출의 현가에서 장래 부담금수입의
현가를 공제한 금액 임
18
PSL 산출
(특정)
① 특정연령을 기준으로 한 각 근로자의 퇴직연금 가입 이전의 근
무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재원을 적립하기 위해 정해진 상각률에
따라 산출
19

인별기수표산출
(PUC)
① 재정방식이 PUC방식인 경우 전 가입자에 대한 기수표를 작성한
다.
<기수표 주요내용>
근속년수, 기준급여, 예정승급율, 예정퇴직율, 예정급부 등
20




PBO 산출
(PUC)



① 인원별로 PBO를 산출한 후 기업 전체의 PBO를 산출한다.
<산출방법>
- 미래 지급할 예측연금급부총액을 추정한 후 , 퇴직시점의 연
금급부현가액을 측정
- 퇴직시점의 급부현가액을 제도의 급부산정방식에 따라 종업
원의 근무기간별로 매기에 할당.
- 계산시점의 연금급부현가액을 할인하여 현재가치를 측정
21 PNC 산출(PUC) ① 위에서 계산한 PBO를 바탕으로 PNC를 산출한다.
22 PSL 산출(PUC) ① 개인별 과거근무 채무분에 대한 PSL을 계산한 후 기업 전체의
PSL을 계산한다.
23



시산보고서작성



① 기업에서 요청한 시산의뢰에 대한 결과로 시산보고서를 작성한
다.
<시산보고서 주요내용>
- PNC 금액
- PSL 금액
- 기초율정보
▶ 산출물명 : 시산보고서
24 진단실행여부 ① 운용관리기관은 진단실행여부를 결정한다.
25
진단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진단을 실행한다.
진단실행 참고
26
시산결과작성및발송
① 운용관리기관은 시산보고서, 제도설계내역, 장기예측장표 등을
작성하여 기업으로 발송한다.
27

시산결과접수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시산보고서, 제도설계내역, 장기
예측장표 등을 접수한후 보고서를 검토한다. 제도설계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에는 운용관리기관이 이
를 요청하여 시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28 제도변경 ① 기업은 제도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를 반영하도록 운용관리
기관에 요청한다.
29
시산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 시산보고서 등을 송부하고 기업에 확인
하여 이상이 없는 경우에 이를 확정한다.
도 6은 제도변경시산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기업의 퇴직 연금제도가 변경되어 기업이 제도변경 시산을 요청한 경우 제도변경내역을 반영하여 재시산을 실시하는 것이다.
도 6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제도변경요청

① 기업은 제도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를 반영하도록 운용관리
기관에 요청한다.
▶ 산출물명 : 제도변경요청서, 퇴직연금규약
2
제도변경요청접수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요청한 제도변경요청서를 접수한다.
② 퇴직연금규약 변경사항을 점검한다.
3




제도변경등록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받은 자료를 참조하여 퇴직연금제도
내역을 확인하고 입력한다.
<입력내용>
- 퇴직급여 규정
- 취업규칙 또는 노동협약
- 급여 규정 또는 임금 규정
- PSL상각방법
4


인원/급여분포표산출


① 가입자에 대한 연령별 인원 및 급여분포표를 작성한다.
② 최근 3년간 퇴직자에 대한 인원분포표를 작성한다.
<주요내용>
- 연령, 근속기간, 기준급여, 3년평균 퇴직자수, 재직자수 등
5

표준모델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의 업종 및 창업일, 가입자수, 최근 퇴직자 분포 등을 확인하여 표준모델율(동종업종 기초율 등)을 사용할 것인지, 기업의 인원/급여분포표를 이용하여 기초율을 작성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6


표준가입자 결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의 인원/급여분포표를 이용하여 기초율을
작성할 경우에 기초율을 산정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표준 가입
자를 선택한다.
<표준가입자 선택기준>
- 가입자 중에서 중도 입사 같은 특이한 사항으로 기초율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제외
7

























기초율 산출

























① 예정이율
- 적립금 운용수익의 장기예측에 의거하여 합리적으로 정함
- 보험료를 부담하는 기업의 보험료증가에 대한 부담능력도
고려하여 결정
- 연금계리사 등 전문가의 조언, 현재 운영중인 퇴직연금제도
의 예정이율 분포통계 이용
② 예정사망율
- 연금재정상 특별한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남,여
사망율 중 어느 것, 또는 남/여 사망율을 합리적으로 합성
한 예정사망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
③ 예정탈퇴율
예정탈퇴율은 기초가입자, 기간중 신규가입자 및 탈퇴자를 연
령별로 집계하여 산정, 실적에 기초한 탈퇴율은 연령별 요철
이 있으므로 그 집단의 탈퇴경향을 나타내는 율로 보정하여
사용함.
<예정탈퇴율의 산출절차>
- 연도별, 연령별로 재직자,퇴직자의 통계표를 작성함.
- 재직자.퇴직자의 통계표의 연령별 분포수치를 기초로 각 연
령별로 조탈퇴율을 산출함.
- 보정탈퇴율의 산출 : 5점 이동평균법에 의한 보정을 주로
사용함
- 사망퇴직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예정사망율을 더해주어
야 함.
④ 예정승급율
예정승급율은 최저가입연령부터 계산상의 최종연령까지 모델
급여를 산출하여 그것을 지수화한 것을 급여지수로서 사용함
<예정승급율 산출절차>
- 조평균급여의 산출
연령별 평균급여에 의하여 산출한다.
- 보정급여의 산출
보정방법으로는 최소자승법 등이 있음
- 급여지수의 산출
각 연령별 보정급여를 최저가입연령의 보정급여로 나누어서
급여지수를 산출함.
- 임금상승률(base up)의 반영
8







기초율 보정







- 원칙적으로 보험료가 낮아지는 방향으로는 기초율을 보정하
지 않음
- 단 과거실적으로 산정된 기초율에 의하여 산출된 보험료가
필요이상으로 높다고 판단되는 근거가 명확한 경우에는 보
험료가 낮아지는 방향으로도 보정을 할 수 있음.
- 보험료가 높아지는 방향으로 장래 예측을 기초율로 설정하
는 경우라도 사업주 등이 제시한 근거에 의거하여 그 타당
성을 감안하면서 기초율을 설정하여야 함.
- 탈퇴율의 실적, 경향, 안정성 또는 장래의 동향 등을 고려
하여 재정건전성의 관점에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예정탈퇴율에 할인이나 할증을 하는 경우가 있음.
(탈퇴율에 할인을 하는 경우는, 탈퇴실적이 감소경향에 있는
경우와 탈퇴실적이 불안정한 경우 및 임시고용 등의 단기고
용자가 많은 경우 등임 )
9


기초율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산출한 기초율을 검토하여 타당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확정한다. 기초율은 기업의 부금에 대한 부담과, 재정건전성 확보와 연관되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10 재정방식 ① 부담금 산출방식중 대표적인 특정연령방식과, PUC방식중 하나
를 선택한다.
11

기수표작성
(특정)
① 재정방식이 특정연령방식인 경우 특정연령에 대한 기수표를 작
성한다.
<기수표 주요내용>
특정연령의 기준급여, 예정승급율, 예정퇴직율, 예정급부 등
12 PNC 산출(특정) ① 기수표를 이용하여 기업의 총 PNC를 산출한다.
13
책임준비금산출
(특정)
① 책임준비금=장래 급부지출의 현가-장래 보험료수입의 현가
책임준비금은 장래 급부지출의 현가에서 장래 보험료수입의
현가를 공제한 금액 임
14 자산산출(특정) ① 적립자산을 산출한다.
15

특별부금/잉여금 산출
(특정)
① 적립자산과 책임준비금과의 차액을 구한다.
특별부금= 책임준비금-적립자산 (책임준비금>적립자산인 경우)
잉여금 = 적립자산-책임준비금 (책임준비금<적립자산인 경우)
16

인별기수표산출
(PUC)
① 재정방식이 PUC방식인 경우 전 가입자에 대한 기수표를 작성
<기수표 주요내용>
근속년수, 기준급여, 예정승급율, 예정퇴직율, 예정급부 등
17




PBO 산출
(PUC)



① 인원별로 PBO를 산출한 후 기업 전체의 PBO를 산출한다.
<산출방법>
- 미래 지급할 예측연금급부총액을 추정한 후 , 퇴직시점의 연
금급부현가액을 측정
- 퇴직시점의 급부현가액을 제도의 급부산정방식에 따라 종업
원의 근무기간별로 매기에 할당.
- 계산시점의 연금급부현가액을 할인하여 현재가치를 측정
18 PNC 산출(PUC) ① 위에서 계산한 PBO를 바탕으로 PNC를 산출한다.
19 자산산출(PUC) ① 적립자산을 산출한다.
20

특별부금/잉여금 산출
(PUC)
① 적립자산과 책임준비금과의 차액을 구한다.
특별부금 = 책임준비금-적립자산(책임준비금>적립자산인 경우)
잉여금 = 적립자산-책임준비금(책임준비금<적립자산인 경우)
21

재시산보고서작성

① 기업에서 요청한 시산의뢰에 대한 결과로 시산보고서를 작성
<시산보고서 주요내용>
- PNC 금액, PSL 금액, 기초율정보, 특별부금/잉여금
22 진단실행여부 ① 운용관리기관은 진단실행여부를 결정한다.
23
진단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진단을 실행한다.
진단실행 참고
24
시산결과작성및발송
① 운용관리기관은 시산보고서, 제도설계내역, 장기예측장표 등을
작성하여 기업으로 발송한다.
25

시산결과접수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시산보고서, 제도설계내역, 장기
예측장표 등을 접수한후 보고서를 검토한다. 제도설계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에는 운용관리기관이 이
를 요청하여 시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26 제도변경 ① 기업은 제도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를 반영하도록 운용관리
기관에 요청한다.
27
시산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 시산보고서 등을 송부하고 기업에 확인
하여 이상이 없는 경우에 이를 확정한다.

도 7은 재계산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삭제
재계산은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함에 있어 퇴직금 재정의 균형과 건전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정기적 혹은 필요시 예정기초율(퇴직율, 승급율, 사망률 등) 및 계약 사항을 변경하여 부담금의 개정이 이루어지도록 처리하는 업무이다.
기초율은 대상집단의 실태에 기초하여 산정되지만, 경제환경 및 기업내부 등의 변화로 인해 실태가 변동하므로, 정기적으로 이러한 실태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수년에 1회 정도 실시한다.
또한 대상집단에 관계되는 상황의 대폭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나 기업이 제도변경을 요청하는 경우 수시로 재정의 재계산을 할 필요가 있다.
재계산 시기는 정기 재계산의 경우 예컨대 매 5년 계약 응당일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임시 재계산의 경우 예컨대 제도변경 등 연금재정의 급격한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실시할 수 있다.
도 7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7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재계산 의뢰
① 기업은 필요시 재계산을 의뢰한다.
▶ 산출물명 : 재계산의뢰서, 임직원 명부, 최근3년간 퇴직자명
2
정기재계산대상선정
① 공동RK센터는 매5년계약응당일이 도래하는 기업에 대해서 ( )
일 전에 대상 기업을 선정한다.
3
재계산의뢰접수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으로부터 재계산 의뢰서를 접수하고 필요
한 서류를 검토한다.
4
추가가입자
① 재계산을 위해 가입자명부(추가가입자/퇴직자 등)를 새로 받
아 정리한다.
5


인원/급여분포표산출


① 가입자에 대한 연령별 인원 및 급여분포표를 작성한다.
② 최근 3년간 퇴직자에 대한 인원분포표를 작성한다.
<주요내용>
- 연령, 근속기간, 기준급여, 3년평균 퇴직자수, 재직자수 등
6


표준모델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의 업종 및 창업일, 가입자수, 최근 퇴직자 분포 등을 확인하여 표준모델율(동종업종 기초율 등)을 사용할 것인지, 기업의 인원/급여분포표를 이용하여 기초율을 작성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7


표준가입연령결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의 인원/급여분포표를 이용하여 기초율을
작성할 경우에 기초율을 산정하기 위해 가장 적합한 표준 가입
연령을 선택한다.
<표준가입연령 선택기준>
- 가입자 중에서 중도 입사 같은 특이한 사항으로 기초율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제외
8

























기초율 산출

























① 예정이율
- 적립금 운용수익의 장기예측에 의거하여 합리적으로 정함
- 부담금을 부담하는 기업의 부담금증가에 대한 부담능력도
고려하여 결정
- 연금계리사 등 전문가의 조언, 현재 운영 인 퇴직연금제도
의 예정이율 분포통계 이용
② 예정사망율
- 연금재정상 특별한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남,여
사망율 중 어느 것, 또는 남/여 사망율을 합리적으로 합성
한 예정사망율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
③ 예정탈퇴율
예정탈퇴율은 기초가입자, 기간중 신규가입자 및 탈퇴자를 연
령별로 집계하여 산정, 실적에 기초한 탈퇴율은 연령별 요철
이 있으므로 그 집단의 탈퇴경향을 나타내는 율로 보정하여
사용함.
<예정탈퇴율의 산출절차>
- 연도별, 연령별로 재직자,퇴직자의 통계표를 작성함.
- 재직자.퇴직자의 통계표의 연령별 분포수치를 기초로 각 연
령별로 조탈퇴율을 산출함.
- 보정탈퇴율의 산출 : 5점 이동평균법에 의한 보정을 주로
사용함
- 사망퇴직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는 예정사망율을 더해주어
야 함.
④ 예정승급율
예정승급율은 최저가입연령부터 계산상의 최종연령까지 모델
급여를 산출하여 그것을 지수화한 것을 급여지수로서 사용함
<예정승급율 산출절차>
- 평균급여의 산출
연령별 평균급여에 의하여 산출한다.
- 보정급여의 산출
보정방법으로는 최소자승법 등이 있음
- 급여지수의 산출
각 연령별 보정급여를 최저가입연령의 보정급여로 나누어서
급여지수를 산출함.
- 임금상승률(base up)의 반영
9







기초율 보정







- 원칙적으로 보험료가 낮아지는 방향으로는 기초율을 보정하
지 않음
- 단 과거실적으로 산정된 기초율에 의하여 산출된 부담금이
필요 이상으로 높다고 판단되는 근거가 명확한 경우에는 보
험료가 낮아지는 방향으로도 보정을 할 수 있음.
- 부담금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장래 예측을 기초율로 설정하
는 경우라도 사업주 등이 제시한 근거에 의거하여 그 타당
성을 감안하면서 기초율을 설정하여야 함.
- 탈퇴율의 실적, 경향, 안정성 또는 장래의 동향 등을 고려
하여 재정건전성의 관점에서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는
예정탈퇴율에 할인이나 할증을 하는 경우가 있음.
(탈퇴율에 할인을 하는 경우는, 탈퇴실적이 감소경향에 있는
경우와 탈퇴실적이 불안정한 경우 및 임시고용 등의 단기고
용자가 많은 경우 )
10


기초율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받은 자료를 바탕으로 산출한 기초율을 검토하여 타당하다고 판단되면 이를 확정한다.
기초율은 기업의 부금에 대한 부담과, 재정건전성 확보와 연
관되기 때문에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11 재정방식 ① 부담금 산출방식중 대표적인 특정연령방식과, PUC방식중 하나
를 선택한다.
12

기수표작성
(특정)
① 재정방식이 특정연령방식인 경우 특정연령에 대한 기수표를 작
성한다.
<기수표 주요내용>
특정연령의 기준급여, 예정승급율, 예정퇴직율, 예정급부 등
13 PNC 산출(특정) ① 기수표를 이용하여 기업의 총 PNC를 산출한다.
14
책임준비금산출(특정) ① 책임준비금=장래 급부지출의 현가-장래 부담금수입의 현가
책임준비금은 장래 급부지출의 현가에서 장래 부담금수입의
현가를 공제한 금액 임
15 자산산출(특정) ① 적립자산을 산출한다.
16

특별부금/잉여금 산출
(특정)
① 적립자산과 책임준비금과의 차액을 구한다.
특별부금 = 책임준비금-적립자산(책임준비금>적립자산인 경우)
잉여금 = 적립자산-책임준비금(책임준비금<적립자산인 경우)
17

인별기수표산출
(PUC)
① 재정방식이 PUC방식인 경우 전 가입자에 대한 기수표를 작성
<기수표 주요내용>
근속년수, 기준급여, 예정승급율, 예정퇴직율, 예정급부 등
18




PBO 산출
(PUC)



① 인원별로 PBO를 산출한 후 기업 전체의 PBO를 산출한다.
<산출방법>
- 미래 지급할 예측연금급부총액을 추정한 후 , 퇴직시점의 연
금급부현가액을 측정
- 퇴직시점의 급부현가액을 제도의 급부산정방식에 따라 종업
원의 근무기간별로 매기에 할당.
- 계산시점의 연금급부현가액을 할인하여 현재가치를 측정
19 PNC 산출(PUC) ① 위에서 계산한 PBO를 바탕으로 PNC를 산출한다.
20 자산산출(PUC) ① 적립자산을 산출한다.
21

특별부금/잉여금 산출
(PUC)
① 적립자산과 책임준비금과의 차액을 구한다.
특별부금= 책임준비금-적립자산(책임준비금>적립자산인 경우)
잉여금 = 적립자산- 책임준비금(책임준비금<적립자산인 경우)
22

재시산보고서작성

① 기업에서 요청한 시산의뢰에 대한 결과로 시산보고서를 작성
<시산보고서 주요내용>
- PNC 금액, PSL 금액, 기초율정보, 특별부금/잉여금
23 진단실행여부 ① 운용관리기관은 진단실행여부를 결정한다.
24 진단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진단을 실행한다.
25
시산결과작성및발송
① 운용관리기관은 시산보고서, 제도설계내역, 장기예측장표 등을
작성하여 기업으로 발송한다.
26

시산결과접수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시산보고서, 제도설계내역, 장기
예측장표 등을 접수한후 보고서를 검토한다. 제도설계 내용에
이상이 있거나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에는 운용관리기관이 이
를 요청하여 시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27 제도변경 ① 기업은 제도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를 반영하도록 운용관리
기관에 요청한다.
28




제도변경등록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받은 자료를 참조하여 퇴직연금제도
내역을 확인하고 입력한다.
<입력내용>
- 퇴직급여 규정
- 취업규칙 또는 노동협약
- 급여 규정 또는 임금 규정
- PSL상각방법
29
시산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 시산보고서 등을 송부하고 기업에 확인
하여 이상이 없는 경우에 이를 확정한다.
도 8은 진단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진단 시스템은 기초율에 근거하여 부담금을 산출하는 시산 기능을 활용하여 장래 종업원 구성, 퇴직금 지급액 및 퇴직연금제도의 부담금 추이 등 연금제도의 장래 모습을 예측하고 퇴직금 지급액의 유동성과 연금제도의 평준화 효과를 분석하며, 기업 회계상의 비용 및 퇴직자금 준비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여 기업 경리상의 기대효과를 분석하는 시스템이다.
도 8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8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진단의뢰


① 부담금시산과 동시에 의뢰한다. 단, 단체의 요청에 따라 퇴직
금진단만을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진단결과보고서가 필요
한 날의 ( )일전까지 의뢰한다
▶ 산출물명 : 진단의뢰서
2

진단의뢰접수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진단만을 요청한 경우 진단의뢰서를
접수한다. 시산과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시산의뢰서로 대
신한다.
3


진단관련기초자료등록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의 특성에 맞는 진단관련 자료를 입력한다
< 주요입력내용 >
- 매년 신규채용 규모
- 신규채용시 연령 및 기준급여
- 퇴직급여 지급율 등
4 진단실행 ① 진단관련 기초자료와 시산결과를 이용하여 진단을 실행한다.
5










진단보고서작성










① 진단관련 기초자료와 시산결과를 이용하여 진단을 실행한 후
진단보고서를 작성한다.
<주요보고서>
장기예측보고서
- 종업원 연령별 인원구성 추이
- 경과년수별 종업원수 추이
- 경과년수별 퇴직금산정 기준급여 추이
- 경과년수별 퇴직금지급액 추이 등
경리효과분석 보고서
- 적립효과액의 추이
- 지급준비율 추이
- 절세액 계산서 등
▶ 산출물명 : 장기예측보고서, 경리효과분석 보고서
6 진단보고서송부 ① 진단보고서를 기업으로 발송한다.
시산과 동시에 진행하는 경우는 시산결과와 같이 송부한다.
7 진단보고서수령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진단보고서를 수령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계약체결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제도에 대해서 시산을 통해 산출된 부담금에 대해 기업과 퇴직연금 사업자와 협의하여 계약 관련하여 신규의뢰를 하고 운용관리 위탁계약을 체결하여 조인하고 최초 부담금의 납입으로 계약을 체결하는 업무이다.
도 9a 내지 도 9d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9a 내지 표 9d와 같다. 도 9d는 시산시 등록된 기업정보의 추가정보를 등록하는 업무이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연금규약작성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의 협조를 받아 연금규약을 작성한다.
▶ 산출물명 : 연금규약
2




연금규약신고




① 기업에서는 작성된 연금규약을 노동부에 승인 신청한다.
▶ 산출물명 : 승인신청서류(규약승인신청서, 연금규약, 가입자
수나타낸 서류, 급부설계의 기초를 나타낸 서류, 부금계산의
기초를 나타낸 서류, 자산운용관리에 관한 서류, 노동협약등
의 사본, 퇴직금규정, 퇴직수당제도의 범위증명서류, 노동조
합의 동의서)
3



연금규약 승인수리



① 노동부에서는 기업으로부터 수령한 신고서류 내용을 확인하고 신고수리 수속을 한다.
② 승인수리된 연금규약데 대해서는 기업에 송부한다.
- 노동부장관은 확정급여형 퇴직연금규약을 신고수리·승인
하거나 규약변경의 신고수리,승인을 한 때에는 신속하게
그 사실을 기업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 산출물명 : 승인수리 연금규약
4

서류보관

① 기업은 노동부에서 승인된 승인수리 연금규약의 내용을 확인
한다.
② 기업은 승인수리 연금규약을 보관한다.
5




계약내용협의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의 퇴직연금규약 작성을 지원한다.
② 기업에 시산결과 부금안내를 한다.
③ 기업과 협의하여 운용방법을 결정한다.
④ 기업과 협의하여 자산관리기관을 결정한다.
⑤ 제도에 퇴직연금규약 내용이 반영되었는지 점검한다.
⑥ 기타 계약사항을 협의한다.
6 계약서류준비 ① 운용관리기관은 계약을 체결하기위한 계약서류를 준비한다.
▶ 산출물명 : 예금거래신청서, 기타첨부서류
7

계약내용협의

① 자산관리기관은 기업에서 작성되는 퇴직연금규약안과 시산정
보를 바탕으로 자산관리위탁 계약체결을 위한 계약내용을 협
의한다.
8
계약서류준비
① 자산관리기관은 기업과 자산관리위탁 계약체결을 위한 계약서
류를 준비한다.
9



신규의뢰접수



① 기업은 승인수리된 연금규약사본, 종업원명부, 운용방법지시
서 등 필요서류를 첨부하여 운용관리기관에 신규의뢰를 한다.
②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으로 부터 받은 서류를 점검하고 미비서
류가 있으면 기업에 미비서류를 요청하고 필요서류가 완비되
면 신규의뢰 접수처리를 한다.
▶ 산출물명 : 연금규약사본, 종업원명부, 신규신청서
10



시산확정정보 복사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시산확정된 퇴직연금계약을 RK센터로 기록한다.
- 단체정보
- 제도정보
- 가입자명부
② 퇴직연금 계약에대해 고유한 계약번호를 부여한다.
11


운용관리기관 등록


① 공동인수계약으로 운용관리기관이 복수일경우 타운용관리기관
들을 등록한다.
- 등록내용
운용관리기관코드, 가입인수비율
▶ 산출물명 : 공동인수계약에관한협
12

자산관리기관 등록

① 운용관리기관에 해당되는 자산관리기관 코드를 등록한다.
② 공동인수계약으로 자산관리기관이 복수일경우도 운용관리기관
에 해당하는 자산관리기관코드를 등록한다.
▶ 산출물명 : 승인수리 연금규약
13



기업데이터 등록



① 시산시 등록된 기업의 추가정보를 입력한다.
- 사무담당자 정보
- 반환금계좌 정보
- 종업원대표자 정보
- 연락처 정보
14


종업원명부대사


① 시산확정시 등록된 종업원명부와 변동이 있는지 확인한다.
② 시산확정시의 가입자명부와 비교하여 변동이 있는경우 변동사
항을 반영할것인지 결정한다.
▶ 산출물명 : 종업원명부
15

변경명부반영

① 시산시점의 가입자명부와 비교하여 추가되거나 가입취소된 가
입자 변동사항을 반영한다.
② 신규의뢰시점의 추가자가 있을경우 추가자에대한 부금을 산출
한다.
16

계약서.추가협정서발급

① 계약서를 작성하고, RK센터에 등록된 정보로 추가협정서를 발
급한다.
② 운용관리기관은 작성된 계약서와 발급된 추가협정서를 기업으
로 송부한다.
③ 계약서, 추가협정서를 확인하고 저장한다.
▶ 산출물명 : 추가협정서, 계약서
17 첫회부금의뢰서작성 ① 확정된 가입자명부를 근거로 첫회부금입금의뢰서를 작성한다.
▶ 산출물명 : 첫회부금의뢰서, 첫회부금설명서
18

계약서.추가협정서
첫회부금입금의뢰서
접수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송부된 계약서와 추가협정서를
접수한다.
② 기업은 첫회부금입금의뢰서를 접수한다.
19
첫회부금입금
운용지시서송부
① 기업은 첫회부금을 입금한다.
② 기업은 운용방법 및 비율에대한 운용지시서를 운용관리기관에
송부한다.
20

계약서.추가협정서
확인.보관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송부된 계약서와 추가협정서,첫
회부금입금의뢰서를 확인하고 날인한다
② 기업은 계약서.추가협정서를 저장한다.
21


운용방법 및 비율
등록.변경


① 기업이 결정한 운용방법 및 비율을 등록하고 변경한다.
② 운용방법이 속해있는 상품제공기관을 등록한다.
③ 등록된 운용방법 및 비율에대해 입금예정액을 근거로 상품별
입금예정내역을 자산관리기관과 상품제공기관에 전송한다.
▶ 산출물명 : 운용지시서
22

운용관리위탁계약서
작성.조인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과 운용관리위탁계약서를 작성,조인한다.
② 작성된 운용관리위탁계약서 사본을 자산관리기관으로 송부
▶ 산출물명 : 운용관리위탁계약서
23

자산관리위탁계약서
작성.조인
① 자산관리기관은 기업과 자산관리위탁계약서를 작성,조인한다.
② 작성된 자산관리위탁계약서 사본을 운용관리기관으로 송부
③ 자산관리기관은 통장을 개설하고 첫회부금 입금내역을 인자
▶ 산출물명 : 자산관리위탁계약서, 통장발급
24
계약서조인
① 운용관리기관은 자산관리기관으로 송부받은 자산관리위탁계약
서 사본을 송부받아 운용관리위탁계약서와 조인한다.
25

입금정보송신

① 자산관리기관은 기업이 납입한 첫회부금내역을 RK센터로 전송
②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에 부금입금통지를 한다.
▶ 산출물명 : 입금내역전문, 부금입금통지
26
서류보관
① 자산관리기관은 자산관리위탁계약서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송부받은 운용관리위탁계약서를 확인하고 보관한다.
27

계약체결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퇴직연금계약에대한 계약서류등
의 CHECK를 완료한다.
② 퇴직연금계약에대해 계약체결을 완료함으로 계약상태가 신규
처리에서 유지계약상태가 된다.
③ 자산관리기관과 계약과 관계된 정보에 대한 확인을 한다.(계
약일자등)
▶ 산출물명 : 계약체결화면
28
기업에 송부
① 운용관리기관은 가입자명부와 가입확인서를 발급하여 기업으
로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가입확인서
29
입금정보수신
① RK센터는 자산관리기관으로부터 기업의 첫회부금 입금내역을
수신받는다.
▶ 산출물명 : 입금내역전문
30
부금 및 수환에의한 구매 ① 첫회부금 입금액에대해 운용지시를 한다.
31
서류보관
① 운용관리기관은 가입자명부와 가입확인서를 기업으로부터 확
인받아 보관한다.
32
서류보관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으로 송부받은 가입자명부와 가입확인서
를 확인하고 보관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기업정보제출


① 운용관리기관은 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기위해 필요한 기업정보서류를 기업으로부터 수신한다.
▶ 산출물명 : 법인등기부등본(사업자등록증사본), 기업계좌정보
서류, 종업원대표자서류, 사무담당자서류, 기업의연락처서류
2

기업정보등록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으로부터 수령한 서류를 근거로 기업의 정
보를 등록한다.
② 운용관리기관은 등록된 기업정보를 자산관리기관에 전송한다.
3

기업정보등록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기업정보를 수신한다.
② 전송된 기업정보의 수작업 또는 BATCH작업 등록여부는 자산관
리기관에서 결정한다.
▶ 산출물명 : 기업정보전문
도 10은 기업명 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의 명칭이 변경이 될 때, 이 내용을 반영하는 업무이다.
도 10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10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기업명 변경 신청




① 기업은 기업명 변경 통지에관한 제변경신청서를 작성하여 사
업자등록증사본, 법인인감증명서와 함께 운용관리기관으로 전송한다.
② 운용관리기관에서 연금규약신고를 대행할경우 신청서류는 2
부씩 필요한다.
▶ 산출물명 : 재변경신청서, 사업자등록증사본, 법인인감증명
서, 위임장, 신청자신분증
2

서류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서류작성 미비가 있는 경우에는 기업으로 연락하여 보완 처
리 한다.
3

기업명 변경

① 운용관리기관은 변경신청서를 근거로 기업명 변경 처리를 한다.
② 기업명 변경처리된 내역을 출력하여 보관한다.
4

연금규약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연금규약의 기업명란을 정정해 기업앞으로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정정된 연금규약
5
연금규약보관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에서 송부한 정정된 연금규약을 확인하
고 보관한다.
6
기업명 변경신고
① 기업은 기업명 변경신고서를 작성해 연금규약과 함께 노동부
에 신고한다.
7
서류확인.보관
① 노동부에서는 기업으로부터의 신고서류를 접수받아 확인하고
보관한다.
8

기업명변경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수신받은 기업명에대
해 변경처리를 한다.
▶ 산출물명 : 기업명변경전문
도 11은 기업주소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의 주소가 변경이 될 때, 이 내용을 반영하는 업무이다.
도 11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11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기업주소변경신청



① 기업은 연금규약에 명시되어있는 기업주소가 변경되면 이를
증빙할수있는 서류와 신청서를 운용관리기관 앞으로 송부한
다.
② 운용관리기관에서 연금규약신고를 대행할경우 신청서류는 2
부씩 필요한다.
▶ 산출물명 : 제변경신청서, 법인인감증명서, 등기부등본, 사
업자등록증사본, 위임장, 신청자신분증
2

서류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서류작성 미비가 있는 경우에는 기업으로 연락하여 보완 처
리 한다.
3

기업주소변경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변경신청서를 근거로 기업주소
변경 처리를 한다.
② 기업주소 변경처리된 내역을 출력하여 보관한다.
▶ 산출물명 : 기업주소변경내역
4

연금규약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연금규약의 기업 주소란을 정정해 기업앞으
로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정정된 연금규약
5
연금규약보관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에서 송부한 정정된 연금규약을 확인하
고 보관한다.
6
주소변경신고
① 기업은 기업주소 변경신고서를 작성해 연금규약과 함께 노동
부에 신고한다.
7
서류확인.보관
① 노동부에서는 기업으로부터의 신고서류를 접수받아 확인하고
보관한다.
8

기업주소변경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수신받은 기업주소에
대해 변경처리를 한다.
▶ 산출물명 : 기업주소변경전문
9

기업주소변경
(WEB 루트)
① 기업은 RK센터에서 제공한 ID & PW를 사용해 RK센터의 기업
사이트에 접속해 기업주소(우편물수령지주소)를 변경처리 할
수있다.
▶ 산출물명 : 기업주소변경처리화면
도 12는 대표자명 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의 대표자가 변경이 될 때, 이 내용을 반영하는 업무이다.
도 12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12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대표자명 변경 신청


① 기업은 대표자명 변경 통지를 작성해 등기부등본 사본과 함
께 운용관리기관 앞에 송부한다.
② 운용관리기관에서 연금규약신고를 대행할경우 신청서류는 2
부씩 필요한다.
▶ 산출물명 : 제변경신청서, 사업자등록증사본, 법인인감증명
서, 위임장, 신청자신분증
2

서류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서류작성 미비가 있는 경우에는 기업으로 연락하여 보완 처
리 한다.
3

대표자명 변경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변경신청서를 근거로 대표자명
변경 처리를 한다.
② 대표자명 변경처리된 내역을 출력하여 보관한다.
4

연금규약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연금규약의 대표자명란을 정정해 기업앞으로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정정된 연금규약
5
연금규약보관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에서 송부한 정정된 연금규약을 확인하
고 보관한다.
6
대표자명 변경신고
① 기업은 대표자명 변경신고서를 작성해 연금규약과 함께 노동
부에 신고한다.
7
서류확인.보관
① 노동부에서는 기업으로부터의 신고서류를 접수받아 확인하고
보관한다.
8

대표자명변경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수신받은 대표자명에
대해 변경처리를 한다.
▶ 산출물명 : 대표자명변경전문
도 13은 반환금 계좌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의 반환금 계좌가 변경이 될 때, 이 내용을 반영하는 업무이다.
도 13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13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반환금계좌
변경신청
① 기업은 계좌 변경 통지를 작성해 운용관리기관앞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반환금계좌변경신청서
2

서류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서류작성 미비가 있는 경우에는 기업으로 연락하여 보완 처
리 한다.
3

반환금계좌 변경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변경신청서를 근거로 반환금계
좌 변경 처리를 한다.
② 반환금계좌 변경처리된 내역을 출력하여 보관한다.
도 14는 종업원 대표자 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의 종업원 대표자가 변경이 될 때, 이 내용을 반영하는 업무이다.
도 14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14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종업원대표자변경


① 기업은 종업원 대표자 변경 통지를 작성해 운용관리기관앞에
송부한다.
② 운용관리기관에서 연금규약신고를 대행할경우 신청서류는 2
부씩 필요한다.
▶ 산출물명 : 종업원대표자 등록 및 변경신청서, 종업원대표자
신분증사본, 노동조합신고필증(종업원과반수지정동의서)
2

서류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서류작성 미비가 있는 경우에는 기업으로 연락하여 보완 처
리 한다.
3

종업원대표자변경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변경신청서를 근거로 종업원
대표자 변경 처리를 한다.
② 종업원대표자 변경처리된 내역을 출력하여 보관한다.
4

연금규약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연금규약의 종업원 대표자란을 정정해 기업
앞으로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정정된 연금규약
5
연금규약보관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에서 송부한 정정된 연금규약을 확인하
고 보관한다.
6
종업원 대표자 변경신고 ① 기업은 종업원 대표자 변경신고서를 작성해 연금규약과 함께
노동부에 신고한다.
7
서류확인.보관
① 노동부에서는 기업으로부터의 신고서류를 접수받아 확인하고
보관한다.
8

종업원 대표자 변경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수신받은 종업원 대표
자에 대해 변경처리를 한다.
▶ 산출물명 : 종업원대표자변경전문
도 15는 사업자 기타정보 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의 사업자 정보가 변경이 될 때, 이 내용을 반영하는 업무이다.
도 15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15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사업자 정보변경 신청서


① 기업은 사업자 정보 변경 통지를 작성해 운용관리기관앞에
송부한다.
② 기타정보
기업사무담당자, 전화번호, FAX번호, 이메일주소
▶ 산출물명 : 사업자정보변경신청서
2

서류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서류작성 미비가 있는 경우에는 기업으로 연락하여 보완 처
리 한다.
3

사업자 정보 변경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변경신청서를 근거로 사업자
정보 변경 처리를 한다.
② 사업자 기타정보 변경처리된 내역을 출력하여 보관한다.
도 16은 법인 인감 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제도를 운영하는 기업의 인감이 변경이 될 때, 이 내용을 반영하는 업무이다.
도 16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16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법인인감변경신청서


① 기업은 법인인감변경 통지를 작성해 운용관리기관앞에 송부
한다.
② 운용관리기관에서 연금규약신고를 대행할경우 신청서류는 2
부씩 필요한다.
▶ 산출물명 : 제변경신청서, 사업자등록증사본, 법인인감증명
서, 위임장, 신청자신분증
2

서류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서류작성 미비가 있는 경우에는 기업으로 연락하여 보완 처
리 한다.
3

법인인감변경정보등록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변경신청서를 근거로 법인인감
변경 처리를 한다.
4

연금규약정정

① 운용관리기관은 연금규약의 종업원 대표자란을 정정해 기업
앞으로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정정된 연금규약
5
연금규약보관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에서 송부한 정정된 연금규약을 확인하
고 보관한다.
6
법인인감변경신고
① 기업은 법인인감 변경신고서를 작성해 연금규약과 함께 노동
부에 신고한다.
7
서류확인.보관
① 노동부에서는 기업으로부터의 신고서류를 접수받아 확인하고
보관한다.
8

법인인감변경통지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법인인감의 변경거래
에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 산출물명 : 법인인감변경거래전문
도 17은 가입자 변경처리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계약서(혹은 부속협정서)에 규정된 추가 가입일에 신규로 가입자격 기준을 채운 종업원에 대한 등록이나, 부금 및 급부액 산정에 급여를 사용하는 제도가입자(급여비례제)에 대해 기준급여가 변경이 될 때에 그 내용을 반영시키는 것을 말한다.
안내통지는 예컨대 계약 응당일이나 결산일 기준 1개월전에 기업에 가입자 명부 갱신에 대한 안내통지를 발송(1년에 1회 혹은 2회 실시)한다.
기준급여 변경은 승급, 호봉 또는 물가 상승률에 따른 변경으로 기업의 요청에 의해 일괄 반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추가 가입은 수시로 기업의 요청시 받을 수 있다.
도 17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17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가입자변경 안내장 발송

① RK센타는 계약응당일 혹은 결산일 1개월전에 기업에 가입
자변경안내장을 발송한다.
- 안내장 발송시 운용관리기관에 통보하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 산출물명 : 가입자변경안내장
2










가입자 명부 및
변경신청서 작성









① 기업에서는 가입자변경 안내장을 접수받고 확인한다
- 추가가입 : 신규가입은 계약서 (혹은 부속협정서)상의
가입자격, 수급자격을 확인한다
② 가입자 명부를 작성한다
- 전 가입자에 대해 변경된 급여와 추가가입자에 대한
가입자명부를 작성한다
( 작성된 자료에 대해서는 Data file로 만든다)
③ 아래 내용이 포함된 변경신청서를 작성한다
- 추가가입자에 대한 신청 (인원, 가입기준일)
- 급여변경에 대한 신청 (인원, 급여변경사유, 변경일)
③ 안내장에 제시한 기간내에 가입자명부와 변경신청서를 운
용관리기관에 전달한다
▶ 산출물명 : 변경 신청서, 가입자 명부
3








서류 접수, 검토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송부한 변경신청서와 가입자 명
부를 접수한후 서류를 검토한다 (100명이상인경우 가입자
명부는 Data file로 접수)
(검토내용)
- 대표자인 날인
- 대표자인은 인감계의 인감과 비교
  - 이름, 생년월일, 입사일, 가입일, 기준급여
  - 추가가입인경우 : 가입자격 (통상 1년이후)유무, 수급
자격
③ 서류 검토후 이상이 있으면 미비해결의뢰서를 작성하여
기업에 통보하여 서류를 다시 받는다
▶ 산출물명 : 변경 신청서, 가입자 명부, 미비해결 의뢰서
4







가입자명부 Check







① 시스템에 의한 check를 실시한다
- 일자 check, 입사일과 가입일 비교 check
- 기존가입자 명부와 대사를 통해 기등록여부 check
② 대사처리결과를 확인한다
- 추가가입의 경우 (정상 xx건, 오류 xx건 )
- 급여변경의 경우 (정상 xx건, 오류 xx건, 누락 xx건)
② 시스템체크후 이상이 있으면 미비해결의뢰서와 가입자명
부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기업에 통보하여 서류를 다시
받는다
▶ 산출물명 : 추가가입자명부, 미비해결 의뢰서, 가입자명
부 체크리스트
5
분기처리
① 추가가입건 : 추가가입으로 분기
② 급여변경건 : 급여변경으로 분기
도 18은 추가가입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신규로 연금제도에의 가입자격 기준을 채운 종업원에 대해 기업에서 작성한 추가 가입자에 대해 시스템에 의해 기존 명부와 일괄 체크 후 시스템에 반영시키는 절차이다.
도 18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18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추가가입 부담금산출 ① 추가가입자에 대한 부담금을 산출한다
2



추가가입 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에서는 추가가입자의 데이타등록을 실시한다
- 접수후 1 ~ 2일 이내
- Data file접수시 자동으로 load한다
② 완료후 RK센타에 추가가입자의 명부출력을 의뢰한다
▶ 산출물명 : 가입자 명부
3



명부출력 처리



① RK센타에서는 추가가입에 따른 가입자 명부와 부담금 안
내서를 발행하여 기업과 운용관리기관에 송부한다
- 가입자 명부는 고객요청시 제공한다
② 기업은 접수된 가입자명부를 확인하고 접수대장에 기록한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부담금 안내서
도 19는 급여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부금 및 급부액 산정에 급여를 사용하는 제도 가입자(급여 비례제)에 있어서, 기준급여 변경시 시스템에 의해 기존명부와 일괄체크후 그 내용을 반영시키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계약 응당일이나 결산일 기준 1개월전에 기업에 급여 변경에 대한 안내통지를 발송한다(예: 1년에 1회 혹은 2회 실시).
도 19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19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급여변경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에서는 checklist에 의해 오류가 없을시 변
경처리하면 자동반영 된다
- 접수후 1 ~ 2일 이내
- Data file접수시 자동으로 load한다
② 완료후 RK센타에 가입자의 명부출력을 의뢰한다
▶ 산출물명 : 급여변경일괄 Checklist
2



명부출력 처리



① RK센타에서는 급여변경에 따른 가입자 명부를 발행하여
기업과 운용관리기관에 송부한다
② 기업은 접수된 가입자명부를 확인하고 접수대장에 기록한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도 20은 가입자 정보 정정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부금이나 급부액 산정에 필요한 가입자의 기초정보인 성명, 주민번호, 입사일자, 직종 등 변경사유가 발생할 때 그 내용을 반영시키는 것을 말한다. 기초자료 변경은 부정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당 변경은 기업으로부터 요청에 의해 처리된다.
도 20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0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가입자정정통지서

① 퇴직연금계약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에 대한 변동사항이
발생할 때 기업은 가입자변경통지서를 작성하여 운용관리
기관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가입자정정통지서
2





서류 접수, 검토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송부한 [가입자변경통지서]를
접수한후 서류를 검토한다. (검토내용)
- 사원번호 (사원번호 check시)
- 성명, 주민등록번호
- 입사일자
② 서류 검토후 이상이 있으면 미비해결의뢰서를 작성하여
기업에 통보하여 서류를 다시 받는다
▶ 산출물명 : 가입자정정통지서, 미비해결 의뢰서
3


가입자정보 정정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에서는 변경발생분에 대한 가입자정정처리를
한다
- 접수후 1 ~ 2일 이내
② 기업의 요청시 RK센타에 정정가입자의 명부에 대한 출력
을 의뢰한다
▶ 산출물명 : 가입자정정통지서
4


명부출력 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의 요청시 정정가입자 명부를 발행하여 송부
한다
② 기업은 접수된 정정가입자 명부를 확인하고 접수대장에
기록한다
▶ 산출물명 : 정정가입자명부
도 21은 제도내 이동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모회사, 자회사 관계 등 복수의 기업에서 하나의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기업에 대해, 기업 그룹내의 이동을 했을 때에, 그 내용을 반영하는 수속을 말한다. 제도내 이동은 부정기적으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 수속은 기업으로부터의 신청에 의해 한다.
도 21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1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제도간 이동통지서
송부
① 기업은 제도간 이동 통지서를 작성해,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제도간 이동통지서
2







서류 접수, 검토







① 운용관리기관은 제도간 이동통지서를 접수한후 서류를 검
토한다
(검토내용)
- 사원번호 (사원번호 check시)
- 성명, 주민등록번호
- 이동년월일 (탈퇴)
- 적립금 처분 방법 (1. 이동전 기업유보, 2. 이동후
기업 3. 본인지급)
② 서류 검토후 이상이 있으면 미비해결의뢰서를 작성하여
기업에 통보하여 서류를 다시 받는다
▶ 산출물명 : 제도간 이동통지서, 미비해결 의뢰서
3


제도간 이동처리
(전출)

① 운용 관리 회사는 통지서류의 내용을 등록한다
② 제도간 이동(전출) 처리에서 작성된 송금 지시 데이터를,
자산관리 기관에 연동한다.
③ 이동에 따른 적립금 처분후 가입자는 자격 상실처리된다
▶ 산출물명 : 제도간 이동통지서
4


명부출력 처리


① RK센타에서는 제도간 이동처리(전출)에 따른 가입자 명부
를 발행하여 기업과 운용관리기관에 송부한다 (고객 요청
시)
② 기업은 접수된 가입자명부를 확인하고 접수대장에 기록한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5 가입자명부 보관 ① 기업은 송부된 가입자 명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도 22a,b는 제도간 이동(전출)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제도가 다른 기업에 이동할 때 현재 가입하고 있는 제도에서 탈퇴시키는 절차이다. 다른 제도간의 이동은 이동 시점에 정산하고 이동할 제도에 반입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며, 향후 이동 후 제도로 반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적립금 처분액을 이동기업으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도간 이동은 부정기적으로 발생되어 기업으로부터 요청에 의해 처리한다.
도 22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2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제도간 이동통지서
송부
① 기업은 제도간 이동 통지서를 작성해,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제도간 이동통지서
2







서류 접수, 검토







① 운용관리기관은 제도간 이동통지서를 접수한후 서류를 검
토한다
(검토내용)
- 사원번호 (사원번호 check시)
- 성명, 주민등록번호
- 이동년월일 (탈퇴)
- 적립금 처분 방법 (1. 이동전 기업유보, 2. 이동후
기업 3. 본인지급)
② 서류 검토후 이상이 있으면 미비해결의뢰서를 작성하여
기업에 통보하여 서류를 다시 받는다
▶ 산출물명 : 제도간 이동통지서, 미비해결 의뢰서
3


제도간 이동처리
(전출)

① 운용 관리 회사는 통지서류의 내용을 등록한다
② 제도간 이동(전출) 처리에서 작성된 송금 지시 데이터를,
자산관리 기관에 연동한다.
③ 이동에 따른 적립금 처분후 가입자는 자격 상실처리된다
▶ 산출물명 : 제도간 이동통지서
4


명부출력 처리


① RK센타에서는 제도간 이동처리(전출)에 따른 가입자 명부
를 발행하여 기업과 운용관리기관에 송부한다 (고객 요청
시)
② 기업은 접수된 가입자명부를 확인하고 접수대장에 기록한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5 가입자명부 보관 ① 기업은 송부된 가입자 명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6

운용지시

① 자산관리 기관은 RK센터로부터의 송금 지시를 받아 상품
제공 기관에 대해서 상품의 매매 지시 데이터를
송신한다.
7

상품 매매지시

① 상품 제공 기관은 자산관리 기관으로부터의 매매 지시 데
이터를 받아 상품 매매를 실시한다
② 매매 결과를 RK센터를 통해 자산관리 기관에 송신한다.
8
매매결과 등록
① RK센터와 자산관리기관은 상품 제공 기관으로부터의 매매
결과 데이터를 받아 데이타베이스에 결과를 등록한다
9
매매결과 송금
① 상품 제공 기간은 매매에 의해 발생한 매매 금액을 자산
관리 기관앞에 송금한다.
10
입금 확인
① 자산관리 기관은 상품 제공 기관으로부터의 송금을 받아
입금액의 확인을 실시한다.
11
수지데이타 등록
① 자산관리 기관은 수지 데이터 등록을 실시해, 회계 데이
터, 송금 데이터를 작성한다.
12 회계 처리 ① 회계 처리를 실시한다.
13 송금 처리 ① 가입자가 이동할 자산관리 기관에 송금한다.
14 입금 확인 ① 가입자는 자산관리 기관으로부터의 입금액을 확인한다.
15
입금 확인
① 현 자산관리 기관은 이동할 자산관리 기관으로부터의 입
금액을 확인한다.
도 23a,b는 제도간 이동(전입)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제도가 다른 기업에 이동, 전직할 때 현 이동처에 연금제도에 가입하는 절차이다. 다른 제도간의 이동은 이동 시점에 정산하고 이동할 제도에 반입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며, 향후 이동 후 제도로 반입하는 것을 허용하는 경우 적립금 처분액을 이동 기업으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도간 이동은 부정기적으로 발생되어 기업으로부터 요청에 의해 처리한다.
도 23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3a,b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제도간 이동통지서
송부
① 기업은 제도간 이동 통지서를 작성해,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제도간 이동통지서
2






서류 접수, 검토






① 운용관리기관은 제도간 이동통지서를 접수한후 서류를 검
토한다
(검토내용)
- 사원번호 (사원번호 check시)
- 성명, 주민등록번호
- 이동년월일 (탈퇴)
② 서류 검토후 이상이 있으면 미비해결의뢰서를 작성하여
기업에 통보하여 서류를 다시 받는다
▶ 산출물명 : 제도간 이동통지서, 미비해결 의뢰서
3

제도간 이동처리
(전입)
① 운용 관리 회사는 통지서류의 내용을 등록한다
② RK센타는 입금예정데이타를 작성해 자산관리 기관에 연동
한다.
▶ 산출물명 : 제도간 이동통지서
4


명부출력 처리


① RK센터는 제도간 이동(전입) 처리 결과를 받아 가입자 명
부를 출력하고, 기업과 운용관리기관에 송부한다.(고객
요청시)
② 기업은 접수된 가입자명부를 확인하고 접수대장에 기록한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5 가입자명부 보관 ① 기업은 송부된 가입자 명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6
송금
① 이동전 자산관리 기관은 이동후 자산관리 기관에 지출금
액 해당분을 송금한다.
7
입금 확인
① 자산관리 기관은 이동전 자산관리 기관으로부터의 송금을
받아 입금액의 확인을 한다.
8

수지데이타 등록

① 자산관리 기관은 입금 확인 후, 수지 데이터 등록을
하고, 회계 데이터를 작성한다. 상품제공기관에 대해서
상품의 매매지시데이타를 송신한다
9 회계 처리 ① 회계 처리를 실시한다.
10 송금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상품 제공 기관에 송금한다.
11
입금 확인
① 상품 제공 기관은 자산관리 기관으로부터의 입금액을 확
인한다.
12

상품 매매

① 상품 제공 기관은 자산관리 기관으로부터의 입금 확인
후, 상품 매매를 한다.
매매 결과를 RK센터, 자산관리 기관에 송신한다.
13
매매결과 등록
① RK센터와 자산관리기관은 상품 제공 기관으로부터의 매매
결과 데이터를 받아 데이타베이스에 결과를 등록한다
도 24는 휴직/복직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가입자가 육아나 간호등의 이유등 특별한 사유로 인해 휴직을 신청하는 경우나 휴직후 복직하는 경우에 그 내용을 반영시키는 것을 말한다.
부담금의 전부 또는 일부의 납입을 중단하는 것이 계약서(혹은 부속협정서)에 기재되어 있는 경우 가입자가 휴직, 복직, 파견 또는 복귀한 경우 처리하며 부담금 납입을 전제로 정보관리 측면에서 등록이 필요하다면 휴직기간에 대한 근속기간 반영여부란을 이용하여 관리한다.
기초자료 변경은 부정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당 변경은 기업으로부터 요청에 의해 처리된다.
도 24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4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가입자이동통지서
송부

① 가입자는 휴직시 휴직계, 복직시 복직계를 기업에 제출한
다 (기업내부문서)
② 기업은 휴,복직자에 관해 가입자 이동통지서를 작성하여
운용관리기관에 전달한다
▶ 산출물명 : 가입자이동통지서
2





서류 접수, 검토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송부한 가입자이동통지서를 접
수 받아 검토한다.
(검토내용): 대표자인 날인, 이동사유(휴직,파견),
  이동일, 복직일, 부금징수여부, 급부액 공제여부
② 서류 검토후 이상이 있으면 미비해결의뢰서를 작성하여
기업에 통보하여 서류를 다시 받는다
▶ 산출물명 : 가입자이동통지서, 미비해결 의뢰서
3


이동처리(휴,복직)


① 운용관리기관에서는 가입자 이동에 따른 데이타등록을 실
시한다. 접수후 1 ~ 2일 이내
② 완료후 RK센타에서는 이동한 가입자의 명부출력을 의뢰
▶ 산출물명 : 가입자 명부
4


명부출력 처리


① RK센타에서는 이동한 가입자명부를 발행하여 기업과 운용
관리기관에 송부한다
- 가입자 명부는 고객요청이 있을시 제공한다
② 기업은 접수된 가입자명부를 확인하고 접수대장에 기록
▶ 산출물명 : 가입자 명부
도 25는 가입자 자격상실(탈퇴)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가입자가 연금제도 가입자격을 상실하여 연금제도로부터 탈퇴할 필요가 생겼을 때 그 내용을 반영시키는 경우이다. 가입자격 상실은 정년, 중도퇴직, 사망퇴직 등에 있어 기업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지며, 정년의 경우에는 운용관리기관이 RK의 도움을 받아 대상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의 급부신청에 앞서 기업이 퇴직자에 대한 자격상실 통지서를 작성하여 제공하고, 운용관리기관은 자격상실처리 및 그 근거서류를 보관할 필요가 있다.
도 25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5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자격상실통지서 작성




① 기업은 가입자의 자격상실에 대해 자격상실통지서를 작
성하여 운용관리기관에 전달한다
(서류에 기재되는 주요 통지내용)
- 가입자격 상실년월일, 상실사유 (정년, 중도, 사망),
급부액 산정의 기준급여
▶ 산출물명 : 자격상실통지서
2



서류 접수, 검토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송부한 자격상실통지서를 검토
한다
③ 서류 검토후 이상이 있으면 미비해결의뢰서를 작성하여
기업에 통보하여 서류를 다시 받는다
▶ 산출물명 : 자격상실통지서, 미비해결 의뢰서
3







가입자격상실 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에서는 가입자격상실의 데이타등록을 실시
(자료등록의 개요)
- 통지서류의 내용 등록
- 가입자의 자격상실로 해, 부금 징수를 정지
- 정산금액 계산
* 상실처리되면 원장에 가입상태가 상실로 되며 부금안내
서에서 자동적으로 제외된다.
② 완료후 RK센타에 가입자격상실자에 대한 명부 출력을 의
뢰한다
▶ 산출물명 : 자격상실통지서
4




명부출력 처리




① RK센타에서는 가입자격상실 처리의 결과를 받아 자격상실
추가가입에 따른 가입자명부를 운용관리기관에 송부한다
- 가입자 명부는 고객요청시 제공한다
② 기업은 접수된 가입자명부를 확인하고 접수대장에 기록한

③ 급부대상자의 경우 급부금신청(표 42)의 절차를 받는다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도 26a,b는 가입자 명부작성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가입자의 기본정보가 기재된 내역을 기업에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계약당시에 자료제공에 관한 협약(부속협정서) 혹은 협의에 의해 수탁회사는 장표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계약당시에 자료제공에 관한 협약(부속협정서) 혹은 협의에 의해 수탁회사는 장표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입자 명부는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경우와 개별 의뢰 요청에 따라 서비스 차원에서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도 26a는 가입자 명부작성의뢰 없이 예약응당일 도래시에 가입자 명부를 정기출력하는 경우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도 26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6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가입자명부작성의뢰


① 퇴직연금계약에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가 기업에
요청하면,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에 가입자명부 작성을 의
뢰한다
▶ 산출물명 : 명부의뢰서
2




가입자명부 작성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이 요청한 가입자에 대한 명부를 작
성한다
( 가입자의 제변경수속이나 기업으로부터 재발행에 근거해
수탁회사는 가입자명부 작성)
- 가입자 기초정보(이름, 성별, 생년월일, 입사년월일,
가입년월일)
- 기준급여, 부금액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3
명부 접수
① 운용관리기관은 출력된 가입자 명부를 송부한다
② 기업은 가입자 명부를 확인하고 접수대장에 기록한다
▶ 산출물명 : 가입자명부
도 27은 채권압류신청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채권자가 퇴직연금 계약의 가입자(채무자)인 근로자를 채무자로 법원에 압류신청을 하여 법원에서 압류명령을 송부하면 그 압류명령에 따라 내용을 반영시키는 절차이다. 수탁사는 압류사실을 기업에 통보하고 동일인에 대한 압류사실을 확인(압류금액)한다.
도 27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7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채권자의 압류신청





① 가입자(채무자)의 금전대차에 대한 채무불이행으로 인해
채권자가 법원에 압류신청을 한다
(압류신청 서류)
- 압류신청서
- 집행력있는 정본
- 송달증명원
- 집행당사자 및 제3채무자가 법인인 경우 법인 등기부등

▶ 산출물명 : 압류신청관련서류
2
법원의 압류명령 송부
① 법원에서 제3채무자인 수탁사에 압류명령을 송부한다
- 법원채권압류추심명령
▶ 산출물명 : 채권추심명령서
3




압류명령접수 및 통보




① 운용관리기관은 법원에서 송부한 추심명령을 접수받으면
즉시 압류사실을 기업에 통보한다
(통보내용)
- 채권추심명령서(사본)
② 기업은 압류사실을 접수,확인하고 가입자(종업원)에 통보
하고 내규절차에 따라 처리한다
▶ 산출물명 : 채권추심명령서
4



압류정보 등록



① 기업통보와 함께 채권압류에 대한 내용을 시스템에 등록
한다
(등록내용)
- 사건번호, 등록일자, 등록코드 or 등록내용, 등록사유
- 채권자, 채무자
- 송달일자, 집행법원, 압류금액
▶ 산출물명 : 채권추심명령서
5
급부신청 (압류건)
① 채권압류된 가입자가 퇴직신청을 하면 기업은 운용기관
에 급부신청을 의뢰한다
② 다음 처리는 급부신청에 따른다 (표 42, 표 43)
▶ 산출물명 : 급부신청서
도 28a는 대출정보관리(등록)에 관한 처리 플로우이고, 도 28b는 대출정보관리(해제)에 관한 처리 플로우이다.
가입자가 퇴직연금 수급권을 담보로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고, 운용관리기관과 자산관리기관은 해당가입자의 대출 정보와 대출상환 정보를 RK센타 가입자 정보에 반영하는 업무이다.(*대출금 반환처리시에는 대출설정시와 반대로 대출등록해제 후 질권해제 업무처리를 한다.)
도 28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8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담보제공한도조회신청 ① 가입자는 기업에 담보제공한도조회신청을 요청한다.
▶ 산출물명 : 담보제공한도증명서신청서
2
담보제공한도조회신청
① 기업은 가입자 요청을 받아 운용관리기관에 담보제공한도
조회를 조회한다.
▶ 산출물명 : 담보제공한도증명서신청서
3






담보제공한도조회






① 운용관리기관은 노동부령이 정한 해당가입자의 담보제공
한도를 조회하여 담보제공한도증명서를 발급한다.
- 계약번호, 가입자번호, 가입자명, 가입자주민번호,
담보제공한도금액
- 담보제공한도금액 =
((해당가입자추계액/현재가입자추계액합계)
/기업의적립금잔고)*50%
※ 노동부령이 정하는 한도
. 가입자별 적립금의 100분의 50
▶ 산출물명 : 담보제공한도증명서
4

담보제공한도증명서 수령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으로부터 담보제공한도증명서를 수령
한다.
② 기업은 담보제공한도증명서를 확인후 가입자에게 제공한
다.
▶ 산출물명 : 담보제공한도증명서
5








담보제공한도확인후 대출신청







① 가입자는 대출필요서류를 준비하여 대출신청기관에 송부
한다.
- 대출자격심사를 위한 서류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유
에 해당하는 증빙서류
※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유
. 가입자의 주택구입
. 가입자 또는 그 부양가족의 6월 이상의 요양
. 그 밖에 천재지변의 발생 등 담보제공이 불가피하
다고 노동부장관이 인정하는 경우
▶ 산출물명 : 대출자격심사를 위한 서류
6



담보제공확인



① 기업은 대출신청서를 확인한다.
※ 가입자가 퇴직연금계약을 담보로 대출신청시 기업의
확인을 배제할경우
기발생된 대출건(가입자가 기업으로부터 퇴직금을
담보로 사내대출이 있을경우)을 포함한 한도관리가
안될수 있다.
7
대출서류심사
① 대출기관은 대출서류를 심사하여 미비가 있을경우 가입자
에게 연락하여 보완한다.
8
질권설정의뢰
① 대출기관은 대출신청자의 퇴직연금을 관리하는 자산관리
기관으로 질권설정 의뢰를 한다.
▶ 산출물명 : 질권설정의뢰서
9
질권설정
① 자산기관은 질권설정의뢰서를 수령하여 질권설정을 한다.
- 질권설정일, 질권설정금액
10


질권설정승낙


① 자산관리기관은 질권설정의뢰에 대한 승낙처리를 하고 질
권설정승낙서를 대출기관으로 송부한다.
② 자산관리기관은 질권설정에대해 운용관리기관에
통보한다.
▶ 산출물명 : 질권설정승낙서
11
질권설정승낙서수령
① 대출기관은 자산관리기관으로부터 질권설정승낙서를 수령
한다.
12
질권설정통보수령
① 운용관리기관은 자산관리기관으로부터 질권설정통보를 수
령한다.
13 질권설정등록 ① 운용관리기관은 질권설정에대해 DATA 등록을 한다.
▶ 산출물명 : 질권설정등록화면
14

대출실행

① 대출기관은 가입자에게 대출실행을 한다.
② 대출기관은 대출실행후 운용관리기관에 대출실행에대한
통보를 한다.
15
대출실행통보수령
① 운용관리기관은 대출기관으로부터 대출실행에대한 통보를
수령한다.
16
대출실행통보수령
① 기업은 대출기관으로부터 대출실행에대한 통보를 수령한
다.
17 대출금수령 ① 가입자는 대출금신청에대한 금액을 수령한다.
18 대출정보등록 ① 운용관리기관은 대출실행에대한 정보를 등록한다.
▶ 산출물명 : 질권설정등록화면
19 대출금반제 ① 가입자는 대출금융기관에 대출금 반제를 한다.
20
질권해제의뢰
① 대출기관은 반제된 가입자에대해 자산관리기관에 질권해
제를 요청한다.
▶ 산출물명 : 질권해제의뢰서
21
질권해제
① 자산관리기관은 질권해제요청에대해 질권해제 처리를 한
다.
▶ 산출물명 : 질권해제의뢰서
22

질권해제승낙

① 자산관리기관은 질권해제요청에대해 승낙서를 대출기관에
송부한다.
②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에 질권해제승낙서를 운용관
리기관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질권해제승낙서
23
질권해제승낙서수령
① 운용관리기관은 자산관리기관으로부터 가입자의 질권해제
승낙서를 수령한다.
24 질권해제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가입자에대해 질권등록정보를 해제한다.
▶ 산출물명 : 질권해제승낙서
도 29는 부금안내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부금 납입 안내 단계는, 공동기록관리 서버에서 납입 부금을 계산하여 해당 정보를 운용관리기관 서버 및 기업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단계이다.
삭제
도 29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9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납입대상선정







① RK 센터는 납입월 납입예정 대상기업을 선정한다.
대상 선정예시) 월2회 발송의 경우 (발송일자 1 일, 16
일 가정)
대상 - 1일 발송 : 납입예정일이 해당월 16일~
말일인 기업
- 16일 발송 : 납입예정일이 익월 1일~15일인
기업
작업일 : 발송일 5영업일 전
- 대상선정(1일), 대상검토(1일), 전문
업체 발송의뢰 및 발송(3일)
2







퇴직/탈퇴자등 부금
제외처리







① 이전 부금 대상자중에서 퇴직자 및 탈퇴자에 대해 부금액
계산을 제외하기 위해 대상에서 제외한다.
이 정보는 안내장과 함께 가입자 이동명세서에 정보로 제
공한다.
=> 성명, 주민등록번호, 가입일, 기준급여, 탈퇴/퇴직일

② 휴직자인 경우는 해당기업의 퇴직금 지급규정에 따라 부
금계산 여부를 결정한다.
(휴직기간이 퇴직금지급 기준에서 제외되는 경우는 부금
대상에서 제외하고, 필요시 정보로만 관리한다)
3




추가가입자부금 생성




① 이전 부금 안내 이후에 추가 가입자가 발생한 경우 부금
액 계산을 위해 대상에 포함한다. 이 정보는 안내장과 함
께 가입자 이동명세서에 정보로 제공한다.
=> 성명, 주민등록번호, 가입일, 기준급여 등
② 휴직자인 경우는 해당기업의 퇴직금 지급규정에 따라 부
금계산 여부를 결정한다.
(휴직기간이 퇴직금지급 기준에서 제외되는 경우는 대상
에 포함한다.)
4


과부족분 반영


① 이전 부금 안내시 납부해야 할 부금과 부금수납 내역이
차이가 발생하여 과납이 발생한 경우 부금예정액과 부금
수납액의 차이분을 정산하여 청구하고 미납액이 발생한
경우 부금예정액과 미납액을 합산하여 청구한다.
5











부금안내서 작성











① RK센터는 부금안내시를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 부금안내서
납입예정액이 (-)금액인 경우는 0원으로 안내하고
과납금액을 표시하고 다음 안내때 과납금액을 반영
한다. 즉 과납이 (-)인 경우는 다음 납부분으로
이월 처리한다
참고 : - 납입예정액=표준부금+특별부금+특례부금-
과납금액+미납금액
- 운용방법및비율 변경은 입금일 1일전까지
완료처리하도록 안내한다.
표준부금,특별부금,특례부금에대한 구분은 부금데이
터 생성시 구분산출되며, 요청시 구분하여 안내한
다.
▶ 산출물명 : 부금안내서, 가입자이동명세
6



부금안내서 수령



① 기업 퇴직연금 담당자는 부금안내서를 수령하고 부금대상
액을 확인한다.
② 추가가입자와 퇴직 및 탈퇴자가 정확히 반영되었는지 확
인한다.
③ 추가가입자와 퇴직 및 탈퇴자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경
우에는 운용관리기관에 이를 통보하여 수정하도록 요청한
다. 필요시 추가가입자, 퇴직/탈퇴자 명부를 송부한다.
7


부금안내내역조회


① 운용관리기관은 발송예정일 다음 영업일에 부금안내내역
과, 부금안내서가 미발급된 기업이 있는지 확인한다.
② 부금안내되지 않은 기업이 있는 경우는 공동RK센터로 부
금안내서 출력을 의뢰한다.
▶ 산출물명 : 부금안내내역화면
도 30은 부금수납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부금 수납 단계는,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부금 수납 정보를 수신하고 운용관리기관 서버 및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정보를 처리 및 기록하는 단계이다.
도 30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30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부금입금
① 기업은 부금안내서 수신 및 확인 후 부금을 자산관리기관
의 기업계좌로 입금한다.
2 임금확인 ① 자산관리기관은 기업으로부터 입금된 내역을 확인한다.
3
부금수납
① 자산관리기관은 기업으로부터 입금된 내역을 수납처리한
다.
4


데이터 처리


① 자산관리기관은 부금수납내역을 공동RK센터로 전문을 작
성하여 전달한다.
② 공동RK센터로의 전달은 수납처리한 내역을 즉시 보내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매일 일마감을 통해 부금입금에대한
미전송내역이 있는지 확인하여 조치하도록 한다.
▶ 산출물명 : 부금수납내역전문
5

수입기록작성

① 공동RK센터는 자산관리기관에서 받은 수납내역을 확인하
여 입금예정액과 수납한 부금과의 차이를 확인후 기록하
여 다음 부금안내 생성시 반영되도록 한다.
6 통장확인 ① 기업은 입금내역을 확인한다.
7
수납내역조회
① 운용관리기관은 부금 수납내역을 조회하여 해당 기업의
수납내역을 관리한다.
▶ 산출물명 : 수납내역조회화면
8
부금에 의한 구매
① RK센터는 부금입금내역을 수신하면 부금입금에의한
매매처리를 한다.
9
회계처리
① 자산관리기관은 기업으로 부터 납입된 부금을 회계처리
한다.
도 31은 납입주기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납입주기변경 단계는, 운용관리기관 서버가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납입 주기 변경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기록하는 단계이다.
즉, 기업으로부터 납입주기 변경에 대한 신청이 있었을 때 이를 반영하는 업무이다.
도 31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31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납입주기 변경신청
① 기업은 납입주기 변경에 대한 신청서를 작성하여 운용관
리기관으로 송부한다.
▶ 산출물명 : 납입주기 변경신청서
2

서류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신청서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신청서 작성 미비가 있는 경우에는 기업으로 연락하여 보
완 처리한다.
3




납입주기변경




① 운용관리기관의 사무담당자는 납입주기 변경신청서를 근
거로 납입주기를 변경한다.
② 변경후 납입주기로 부금안내서를 발급하고 기업에 송부한
다.
③ 납입주기 변경으로 인한 납입안내 주기변경과 부금산출
변동사항에 대한 안내장을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부금안내서, 납입주기변경안내서
4
납입주기변경안내서 수령 ① 기업은 부금안내서와 납입주기 변경신청 결과에 대한 안
내장을 수령한다.
도 32는 연금자산조회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기업에 의해 연금 자산 현황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웹(web)을 통해 직접 조회할 수도 있으며, 운용관리기관에 자산 내역 조회를 의뢰하여 그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다.
도 32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32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연금 자산 조회
(Web루트)
① 기업은 ID/PW를 사용하여 RK센터의 기업사이트에 접속
후, 사업자 등록번호나 기업명을 통해 연금자산을 조회한
다.
2
연금 자산 조회 의뢰
① 기업은 대표자인이 날인된 연금자산조회 의뢰서를 작성하
여 운용관리기관에 내역작성을 의뢰한다.
▶ 산출물명 : 연금자산조회의뢰서
3


연금자산조회


① 운용관리기관은 연금자산조회 의뢰서의 내용을 검토한 후
이상이 없으면, RK센터에 접속하여 연금 자산을 조회한
다.
주요 조회 내역은 상품별 투입원금, 현 평가액, 기준가,
좌수, 수익율 등을 있다.
4
잔고 데이터 연동
① RK센터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기업의 연금자산을 계산한
다.
5




연금자산 내역 작성




① 운용관리기관은 조회된 연금자산 내역에 문제가 없는 경
우, 내역서를 출력하여 기업에 송부한다.
(검토내용)
- 조회 데이터의 기본적 이상 유무(기업명, 기초정보
등)
- 투입원금 대비 현 평가액의 이상여부(과도한 차이)
▶ 산출물명 : 연금자산 내역서
6
연금 자산 내역 확인
① 기업은 연금 자산 내역을 송부 받아, 그 결과를
확인한다.
도 33은 운용방법 및 비율 등록/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자산을 운용하기 위한 운용방법 및 비율을 제시하고, 이를 등록/변경하는 작업이다. 운용관리기관은 상품제공기관으로부터 상품목록 및 투자 설명서를 수령하여 상품 설명회를 통해 이를 제시하고 운용방법 지시서를 받아 이를 등록한다. 운용방법으로 등록된 상품에 한하여 운용지시가 가능하다.
도 33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33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운용방법의 제시 및
상품설명회
① 운용관리기관은 상품제공기관에서 수령한 상품목록 및 투
자 설명서를 기준으로 상품설명회를 실시한다.
- 상품별 장단점 및 수익률등을 소개한다.
2
운용방법의 선정
① 기업은 제시된 상품자료(상품목록 및 투자설명서)를 기준
으로 운용방법 및 비율을 선정한다
3
운용 방법 등록 신청
① 기업은 선정된 운용방법을 기준으로 대표자인이 날인된
운용 방법 지시서를 작성한다.
▶ 산출물명 : 운용방법 지시서
4




서류 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은 운용방법지시서의 내용을 점검한다.
(검토내용)
- 기초정보의 이상 유무(기재된 기업정보의 이상유무,
대표자인 날인의 이상유무 등)
- 운용방법의 적정성 여부(운용방법 선정의 이상 유무,
기타 운용방법의 오류)
▶ 산출물명 : 운용방법 지시서, 미비 해결 의뢰 통지
5
운용방법 지시
① 운용관리기관은 RK센터에 접속하여, 운용방법.비율 및 자
산매각을 등록한다.
▶ 산출물명 : 운용방법/비율 지시 전문
6
운용방법 지시등록
(자산관리기관)
① 자산관리기관은 RK센터에서 전송된 전문을 기준으로 운용
방법과 비율을 등록한다.
▶ 산출물명 : 운용방법/비율 지시 전문
7
운용방법 지시등록
(상품제공기관)
① 상품제공기관은 자산관리기관에서 전송된 전문을 기준으
로 운용방법과 비율을 등록한다.
도 34는 스위칭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기업의 요청에 의해 자산관리기관 내에서 운용되어지고 있는 자산을 재 분배(이전)하는 업무이다. 한 자산기관내에 운용되는 자산을 재분배하는 업무이다.
이러한 점에서 여러 자산관리기관간 자산을 이전하는 연금자산관리기관간 이전업무와 다르다.
도 34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34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연금자산조회

① 기업은 ID/PW를 사용하여 RK센터의 기업사이트에 접속
후, 사업자 등록번호나 기업명을 통해 연금자산을 조회한
다.
2




Swiching 신청




① 기업은 대표자인이 날인된 Switching 신청서를 작성하여
운용관리기관에 송부한다.
운용방법으로 등록된 상품에 한해 Switching이 가능하다.
매매는 N:N방식을 지원하므로 복수의 매각 상품과 복수
의 매수 상품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다. 매각은 전체 매
각과 부분 매각을 모두 지원한다.
▶ 산출물명 : Switching신청서
3



Switching 신청서
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송부한 switching 신청서를 접
수한후 서류를 검토한다
(검토내용)
- 대표자인 날인
- 매매상품 정보, 수량확인
▶ 산출물명 : Switching신청서, 미비해결 의뢰 통지
4

switching 금액 체크/등록
① 매각 상품에 의한 비율 총계와 구매 상품에 의한 비율 총
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② 이상이 없으면 자산관리기관에 매매연락을 취한다.
▶ 산출물명 : Switching지시전문
5

상품 매각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에서 전달된 매각연락을 기
준으로 자산의 매각처리 한다
▶ 산출물명 : 매각지시전문, 매각결과전문
6
상품 매수
① 자산관리기관은 전달된 매수지시을 기준으로 자산을 매수
한다
▶ 산출물명 : 매수지시전문, 매수결과전문
도 35는 자산관리기관간 연금자산 이전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기업의 요청에 의해 각 자산관리기관의 연금자산의 쉐어를 변경하는 것으로써, 각 자산관리기관간에 연금자산을 이전하는 처리를 말한다. 자산관리기관간의 이동이기 때문에 매각이 완료된 이후에 자산이전이 일어난다.
도 35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35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연금자산조회
① 기업은 ID/PW를 사용하여 RK센터의 기업사이트에 접속후, 사업자 등록번호나 기업명을 통해 연금자산을 조회한다.
2





자금 이동 신청





① 기업은 대표자인이 날인된 자금 이동 신청서를 작성하여
운용관리기관에 송부한다. 운용방법으로 등록된 자산관리
기관의 상품에 한해 자금이동이 가능하다.
매매는 N:N방식을 지원하므로 복수의 매각 상품과 복수
의 매수 상품을 동시에 입력할 수 있다.
매각은 전체 매각과 부분 매각을 모두 지원한다.
▶ 산출물명 : 자금 이동 신청서
3



자금이동 신청서 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송부한 자금이동 신청서를 접수
한후 서류를 검토한다
(검토내용)
- 대표자인 날인
- 자산관리기관, 매매상품 정보, 수량 확인
▶ 산출물명 : 자금이동신청서, 미비해결 의뢰 통지
4

이전금액 계산

① 매각상품에 의한 금액총계와 구매상품에 의한 금액총계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② 금액에 이상이 없으면 자산관리기관에 매매연락을 취한다
▶ 산출물명 : 자금이동지시전문
5

상품 매각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에서 전달된 매각연락을 기
준으로 자산의 매각처리 한다
▶ 산출물명 : 매각지시전문, 매각결과전문
6
회계처리
① 자산관리기관은 매매 대금에 대해 타자산관리기관으로 송
금을 위한 회계처리를 한다
7
송금처리
① 자산관리기관은 매매 대금에 대해 타자산관리기관으로 송
금을 한다.
8
입금확인
① 자금이동처 자산관리기관은 매매 대금에 대해 입금확인을
한후 RK센터에 입금확인전문을 송신한다.
▶ 산출물명 : 입금확인전문
9
입금확인(RK센터)
① RK센터에는 자금이동처 자산관리기관의 입금확인 전문을
수신 후 자산이전 처리에 따라 자금이동처 자산관리기관
에 매수지시를 내린다
10
상품 매수
① 자금이동처 자산관리기관은 RK센터에서 전달된 매수지시
을 기준으로 자산을 매수한다
▶ 산출물명 : 매수지시전문, 매수결과전문
도 36은 부금에 의한 매수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기업의 요청에 의해 부금의 입금을 받고 운용지시를 내리는 처리를 말한다.
도 36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26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부금입금
① 부금 입금이 완료되면, 기 등록된 운용지시를 조회하여
운용지시를 내린다.
(※ 부금입금은 표 30 참조)
▶ 산출물명 : 기 등록된 운용지시
2
상품 매수
① 자산관리기관은 전달된 매수지시을 기준으로 자산을 매수
한다
(※ 매수지시는 표 40 참조)
▶ 산출물명 : 매수지시전문, 매수결과전문
도 37은 지급지시에 의한 매각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지급지시를 받아 운용지시를 내리는 처리를 말한다.
지급지시는 명시된 상품의 매각을 통해서만 지급이 이루어지며 이 상품은 전체 자산의 소정 %비율로 정해진다. 매각에 의해 이 상품의 전체자산에 대한 비율이 소정 %비율 이하로 내려가면 다시 소정 %비율로 맞추어야 한다.
도 37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37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지급지시
① 지급지시를 받으면 상품매각 지시를 내린다.
▶ 산출물명 : 지급지시
2

상품 매각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에서 전달된 매각연락을 기
준으로 자산의 매각처리 한다
(※ 매각지시는 표39 참조)
▶ 산출물명 : 매각지시전문, 매각결과전문
도 38은 잔고데이타 연동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RK 센터는 연금자산의 잔고를 계산하기 위하여, 매 영업일 자산관리기관과 상품제공기관에서 잔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등록한다.
도 38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38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잔고계산(펀드단위)
① 상품제공기관은 상품매매의 결과데이터(펀드, 기준가, 수
익률 등)을 RK센터 및 자산관리기관에 제공한다.
▶ 산출물명 : 잔고(펀드단위)
2

잔고데이터등록

① 자산관리기관은 상품 제공 기관으로부터의 연동데이터를
수신해 자산 잔고(펀드, 기준가, 수익률 등) 데이터를
등록한다.
▶ 산출물명 : 잔고(펀드단위)
3

잔고데이터등록

① RK센터는 상품 제공 기관으로부터의 연동 데이터를 수신
해 자산 잔고(펀드, 기준가, 수익률 등) 데이터를 등록한
다.
▶ 산출물명 : 잔고(펀드단위)
4
잔고계산
① 자산관리기관은 유가증권의 잔고(시가평가 내역)를 계산
하여 RK센터에 매일 보고한다.
▶ 산출물명 : 잔고(시가평가내역)
5
잔고데이터등록
① RK센터는 자산관리기관으로부터의 연동데이터를 수신해
유가증권의 잔고데이터를 등록한다.
▶ 산출물명 : 잔고(시가평가내역)
도 39는 상품매각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RK센터는 운용관리기관의 매각지시를 받아 자산관리기관에 매각지시를 내리고, 매각결과와 입금결과를 확인한다.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기관의 매각지시에 따라 상품제공기관에 매각지시를 내리고 매각 결과를 반영하며 입금확인 후 수지에 반영하고, 입금내역을 RK센터에 통지한다. 상품제공기관은 자산관리기관의 매각지시를 받아 상품을 매각하고 매각 결과를 자산관리기관과 RK센터에 송신하며 자산관리기관에 매각금액을 송금한다. 미운용자산이 발생하면 다시 특정상품으로의 매입운용지시를 내린다. 도 39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39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매각처리
① RK센터는 운용관리기관의 매각 지시를 받아 매각운용예정
데이터를 만들어 자산관리기관에 전송한다.
▶ 산출물명 : 매각운용예정지시전문
2

상품 매각 지시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에서 전달된 매각운용예정지
시를 받아 매각운용지시를 작성한다
② 작성된 매각운용지시를 상품제공기관에 전달한다.
▶ 산출물명 : 매각운용지시전문
3

상품 매각

① 상품제공기관에서 전달된 매각지시를 기준으로 자산을 매
각한 후 그 결과를 RK센터와 자산관리기관에 전문으로 송
신한다. ▶ 산출물명 : 매각결과전문
4 매각결과등록(RK센터) ① 매각결과를 시스템에 등록한다. (수지데이터등록)
5
매각결과등록
(자산관리기관)
① 매각결과를 시스템에 등록한다.
6
매각결과 송금
① 상품제공기관은 자산매각 대금을 자산관리기관으로 송금
▶ 산출물명 : 매각대금
7
입금확인
(자산관리기관)
① 자산관리기관은 입금이 확인되면 RK센터에 입금확인전문
을 송신한다. ▶ 산출물명 : 입금확인전문
8 입금확인(RK센터) ① RK센터는 입금확인전문을 수신한다. (매각완료처리)
▶ 산출물명 : 입금확인전문
9
수지데이타 등록
① 자산관리기관은 매각 대금에 대해 수지 데이터를 등록
- 입금/지출연월일, 입금/지출 종류 등
A
매각 처리
① RK센터와 자산관리기관간 금융망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유선/FAX등을 통해서 매각지시를 내린다
▶ 산출물명 : 매각지시
B

매각결과 등록

① RK센터와 자산관리기관간 금융망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유선/FAX등을 통해서 매각결과를 받는다.
② 매각결과를 수작업으로 등록한다.
▶ 산출물명 : 매각결과
도 40은 상품매수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RK센터는 운용관리기관의 매수지시를 받아 자산관리기관에 매수지시를 내리고 매수결과를 확인한다.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기관의 매수지시에 따라 상품제공기관에 매수지시를 내리고 매수 결과를 반영하며, 입금확인 후 수지에 반영한다.
상품제공기관은 자산관리기관의 매수지시를 받아 상품을 매수하고 매수 결과를 자산관리기관과 RK 센터에 송신한다.
미운용자산이 발생하면 다시 특정상품으로의 매입운용지시를 내린다.
도 40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40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매수처리
① RK센터는 운용관리기관의 매수 지시를 받아 매수운용예정
데이터를 만들어 자산관리기관에 전송한다.
▶ 산출물명 : 매수운용예정지시전문
2

상품 매수 지시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관리기관에서 전달된 매수운용예정지
시를 받아 매수운용지시를 작성한다
② 작성된 매수운용지시를 상품제공기관에 전달한다.
▶ 산출물명 : 매수운용지시전문
3

상품 매수

① 상품제공기관에서 전달된 매수지시을 기준으로 자산을 매
수한 후 그 결과를 RK센터와 자산관리기관에 전문으로 송
신한다.
▶ 산출물명 : 매수결과전문
4
매수결과등록(RK센터)
① 매수결과를 시스템에 등록한다. (매수완료처리, 수지데이
터등록)
5
매수결과등록
(자산관리기관)
① 매수결과를 시스템에 등록한다.
A
매수 처리
① RK센터와 자산관리기관간 금융망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유선/FAX등을 통해서 매수지시를 내린다
▶ 산출물명 : 매수지시
B

매수결과 등록

① RK센터와 자산관리기관간 금융망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유선/FAX등을 통해서 매수결과를 받는다.
② 매수결과를 수작업으로 등록한다.
▶ 산출물명 : 매수결과
도 41은 급부금 조회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가입 자격상실자에 대한 급부금을 계산하여 통지하는 수속, 확정 급부(DB) 연금 제도는 기업이 급부금 판정을 하기 때문에, 판정을 실시하기전에, 기업이 운용관리기관에 급여 조회를 하여, 운용관리기관으로 계산후 회답하는 업무이다.
도 41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41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급부금 조회 신청 ① 수급자는 급부금 조회를 기업에 신청한다.
2
급부금 조회 의뢰
① 기업은 급부금 조회를 운용 관리 기관에 급부금조회의뢰
신청을 신청서를 통해서 하거나 Web, Call Center를 통해
서 한다.
② 조회조건(입력)
- 계약번호
- 고객번호
- 지급예상일자
- 세금(입력)
▶ 산출물명 : 급부금 조회 의뢰서
3 조회 접수 ① 운용관리기관에서 신청서를 접수한다.
4

급부금 조회

① 운용 관리 기관은 RK Center를 통해서 급부금을
조회하여, 급부금액을 기업에 회답한다.
② 급부금은 최종기준급여와 근속년수, 가입비율등을 기초로
계산하며, 세금부분도 고려하여 산출한다.
- 급부금액 내역서 내용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
직금, 국민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
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급부금액 내역서
5
급부금 조회
(콜 센터)
① 기업은 콜 센터를 통해서 급부금 조회를 한다.
② 급부금은 최종기준급여와 근속년수, 가입비율등을 기초로
계산하며, 세금부분도 고려하여 산출한다.
6
급부금 조회
(web 루트)
① 기업은 web으로 급부금 조회를 한다.
② 급부금은 최종기준급여와 근속년수, 가입비율등을 기초로
계산하며, 세금부분도 고려하여 산출한다.
7 회답 수령 ① 기업은 급부금 조회 회답을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8 수급자앞회답 ① 기업은 급부금을 수급자에 회답한다.
9 회답 수령 ① 수급자는 급부금액 내역서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액 내역서
도 42a,b,c는 급부금 신청(일시금)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자격상실을 한 수급자가 기업에 일시금 급여신청을 했을 때에 일시금을 지급한다.
도 42a,b,c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42a,b,c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급부금 청구신청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를 기업에 신청한다.
② 사직서 제출
2 급부금 청구서 송부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 청구서(백지)
3

급부금 청구서류 기재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준비해, 기업
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퇴직급부청구서, 개인인감증명
서, 계좌변경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4

서류 접수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퇴직급부청구서, 개인인감증명
서, 계좌변경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5
급부금조회 의뢰
① 기업은 급부금 조회 의뢰서를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한다.
② 조회조건(입력)
- 계약번호
- 고객번호
- 지급예상일자
- 세금(입력 or 자동계산)
▶ 산출물명 : 급부금 조회 의뢰서
6
조회 접수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조회를 접수하고 서류를 점검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7 급부금 조회(콜 센터) ① 기업은 콜 센터에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조회내역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직금, 국민
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번호), 퇴
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화면
8
급부금 조회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조회를 해, 급부금액을 기업에
회답한다.
- 급부금액 내역서 내용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
직금, 국민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
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급부금액 내역서
9 급부금 조회(web) ① 기업은 web으로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산출물명 : web
10 참조 ① 기업은 급부금액을 확인해, 참조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서류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검토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③ DC,IRA 지급도 포함(기존 IRA계좌 or 신규개좌개설)
(검토내용)
- 대표자의 날인
- 이름, 생년월일, 입사일, 가입일, 기준급여
- 퇴직사유, 퇴직일, 가입자 주민번호.성명 일치여부,
무급부 휴직기간 기재
- 수익자는 정당한가?
- 수익자 주소가 단체주소와 같지는 않은가?
- 은행구좌의 수익자 명의와 수익자는 일치하고 있는가?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개인인감증명서, 계좌변경신청
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2 가입자탈퇴처리
(상실일자,
상태코드Set)
① 가입자 탈퇴처리(상실일자, 상태코드 Set)를 한다.
3


급부금 청구(일시금)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청구(일시금) 처리를 한다.
② 지불 통지(수급자앞)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③ 지불 통지(기업앞)를 기업에 송부한다.
④ RK센터는 자산관리 기관에 송금 지시를 실시한다.
▶ 산출물명 : 지불 통지(수급자앞), 지불 통지(기업앞),
결재리스트
4 지불 통지 수령 ① 수급자는 지불 통지(수급자)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5 지불 통지 보관 ① 기업은 지불 통지(기업앞)를 확인해, 보관한다.
6

데이터 처리

① RK센터는 수급자 원부를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원부내역
(가입자내역, 수익자내역, 퇴직금 내역, 세금내역)
▶ 산출물명 : 수급자 원부
7 수급자 원부 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 원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회계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회계 처리를 한다.
2 송금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수급자에게 송금한다.
3 입금 확인 ① 수급자는 입금 확인을 실시한다.
4
타행신규,기존IRA
입금처리
① 타행 신규,기존계좌는 IRA 계좌번호로 송금처리
5
신규,기존IRA
계좌입금
① 당행 신규,기존계좌는 IRA 계좌번호로 송금처리
6 수지데이터처리 ① 정상지급완료시에 RK센터에 수지데이타 처리한다.
7
원부반영
① 지급결과를 지급화일에 반영하고 가입자원부에 퇴직일자
Set 처리한다.
8


에러처리
(지급불능건재처리)


① 에러시에는 에러결과를 보내서 재처리를 하게한다.
(1) 급부금 미착시 처리 방법
① 급부금송금시 구좌폐쇄, 수급자 불명등으로 반환된
경우 에러내역을 퇴직연금보험 급부금지급불능건재처
리』를 운용관리기관에서 한다.
도 43a,b는 급부금 신청(연금)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자격상실을 한 수급자가 기업에 연금 급부를 신청했을 때에 연금을 지급하는 수속이다. 도 43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43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급부금청구신청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를 기업에 신청한다.
2 급부금청구서송부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백지)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3





급부금청구서류기재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준비해 기업
에 송부한다. 확정연금의 급부설계시에는 먼저
연금지급기간, 연금환산이율, 지급개시시기를
결정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이 결정되면 연금액,
연금급부에 필요한 원자(연금 cost), 선택일시금의
산정이 가능하게 된다.
▶ 산출물명 : 퇴직급부청구서, 연금신청서, 개인인감
증명서, 계좌변경신청서
4

서류접수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수령해,
내용 확인을 한다.
필요 서류: 퇴직급부청구서, 연금신청서 등
5
급부금조회의뢰
① 기업은 급부금 조회의뢰서를 운용관리기관에 송부
▶ 산출물명 : 급부금 조회 의뢰서
6








조회접수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조회를 접수해 서류를 점검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검토내용) - 대표자의 날인
- 이름, 생년월일, 입사일, 가입일, 기준급여
- 퇴직사유, 퇴직일, 가입자 주민번호.성명
일치여부, 무급부 휴직기간 기재
- 수익자는 정당한가?
- 수익자 주소가 단체주소와 같지는 않은가?
- 은행구좌의 수익자 명의와 수익자는 일치하고 있는
가?
- 연금신청 내용은 정확한가?
7
급부금 조회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조회를 해, 급부금액을
기업에 회답한다.
- 급부금액 내역서 내용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
자, 퇴직금, 국민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
민번호, 계좌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급부금액 내역서
8 급부금 조회
(콜 센터)
① 기업은 콜 센터에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조회내역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직금,
국민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
좌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지급일자)
▶ 산출물명 : 화면
9 급부금 조회(web) ① 기업은 web으로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산출물명 : web
10 참조 ① 기업은 급부금액을 확인해, 참조을 실시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서류 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검토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③ DC,IRA 지급도 포함
(검토내용)
- 대표자의 날인
- 이름, 생년월일, 입사일, 가입일, 기준급여
- 퇴직사유, 퇴직일, 가입자 주민번호.성명
일치여부, 무급부 휴직기간 기재
- 수익자는 정당한가?
- 수익자 주소가 단체주소와 같지는 않은가?
- 은행구좌의 수익자 명의와 수익자는 일치하고 있는
가?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개인인감증명서, 계좌변
경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2 급부금 청구(연금)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청구(연금) 처리를 한다.
▶ 산출물명 : 결재리스트
3






데이터 처리






① RK센터는 연금내역을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연금내역내용
- 지급기간 : 확정연금
① 5년 이상 20년 이내 보증기간 설정 의무화
② 보증지급기간 중 수급자가 일시금 선택 시 잔여
보증지급기간에 해당하는 연금현가를 일시금으
로 지급 가능
- 지급대상 : 개인형
- 지급액 : 정액형, 체증형 등
- 지급형태 : 월단위, 3개월단위, 6개월단위, 연단위
연금
▶ 산출물명 : 연금내역
4



연금내역수령



① 기업은 연금내역을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확인사항)
- 요청한 내용과 일치하는가?
(지급기간, 지급대상, 지급액, 지급형태, 가입자
기본사항 등)
5 연금내역송부 ① 기업은 수급자에게 연금내역을 송부한다.
6



연금내역수령



① 수급자는 연금내역을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확인사항)
- 요청한 내용과 일치하는가?
(지급기간, 지급대상, 지급액, 지급형태, 가입자
기본사항 등)
7 데이터처리 ① RK센타는 수급자원부를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수급자원부
8 수급자원부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원부를 확인하고 보관한다.
도 44는 급부금 수급연기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자격상실자가 기업에 수급연기를 신청했을 때에, 그 내용을 반영시키는 수속이다. 연금 급부의 수급연기신청이란, 수급권을 취득했을 때에 즉시 급부를 받지 않고, 일정한 연령에 도달한 후나 일정 연수 경과후에 지급을 받는 것이다.
도 44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44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급부금수급연기신청
① 수급자는 급부금수급연기를 기업에 신청한다.
2
급부금수급연기통지
송부
① 기업은 급부금수급연기 통지(백지)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수금 수급연기 통지(백지)
3
수급연기통지기재
① 수급자는 급부금수급연기 통지에 필요 사항을 기재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 수급연기 통지
4
서류접수
① 기업은 급부금수급연기 통지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5
서류송부
① 기업은 급부금수급연기 통지를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
한다.
6






서류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체크사항)
- 퇴직연금급여 수급권자 확인
- 유예 가능연령 확인
- 탈퇴일시금의 경우 지급유예 없음
(지급유예에 따른 이자 처리방법)
- 퇴직연금사업자와 수급권자가 정한 이율에 의해 발생된
이자는 퇴직연금 지급시 함께 지급
7 급부금수급연기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수급연기 처리를 실시한다.
도 45a,b는 추가지불(일시금)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판정시에 이용한 기준 급여가 잘못되고 있던 케이스 등, 판정 금액을 변경할 때에 일시금 급부액수를 변경하는 수속이다. 올바른 판정액과 전회의 판정액수와의 차액을 추가 급부한다.
도 45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45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급부금 청구신청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를 기업에 신청한다.
② 사직서 제출
2 급부금 청구서 송부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 청구서(백지)
3

급부금 청구서류
기재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준비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퇴직급부청구서, 개인인감
증명서, 계좌변경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4

서류 접수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퇴직급부청구서, 개인인감
증명서, 계좌변경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5
급부금조회 의뢰
① 기업은 급부금 조회 의뢰서를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
한다.
② 조회조건(입력)
- 계약번호, 고객번호,
지급예상일자, 세금(입력 or 자동계산)
▶ 산출물명 : 급부금 조회 의뢰서
6
조회 접수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조회를 접수하고 서류를 점검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7
급부금 조회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조회를 해, 급부금액을 기업
에 회답한다.
- 급부금액 내역서 내용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직금, 국민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급부금액 내역서
8 급부금 조회
(콜 센터)
① 기업은 콜 센터에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조회내역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직금,
국민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번
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화면
9 급부금 조회(web) ① 기업은 web으로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산출물명 : web
10 참조 ① 기업은 급부금액을 확인해, 참조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서류 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검토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③ DC,IRA 지급도 포함(기존 IRA계좌 or 신규개좌개설)
(검토내용)
- 대표자의 날인
- 이름, 생년월일, 입사일, 가입일, 기준급여
- 퇴직사유, 퇴직일, 가입자 주민번호.성명 일치여부,
무급부 휴직기간 기재
- 수익자는 정당한가?
- 수익자 주소가 단체주소와 같지는 않은가?
- 은행구좌의 수익자 명의와 수익자는 일치하고 있는가?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개인인감증명서, 계좌변경
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2


급부금 청구(일시금)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청구(일시금) 처리를 한다.
② 지불 통지(수급자앞)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③ 지불 통지(기업앞)를 기업에 송부한다.
④ RK센터는 자산관리 기관에 송금 지시를 실시한다.
▶ 산출물명 : 지불 통지(수급자앞), 지불 통지(기업앞),
결재리스트
3 지불 통지 수령 ① 수급자는 지불 통지(수급자)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
한다.
4 지불 통지 보관 ① 기업은 지불 통지(기업앞)를 확인해, 보관한다.
5

데이터 처리

① RK센터는 수급자 원부를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원부내역
(가입자내역, 수익자내역, 퇴직금 내역, 세금내역)
▶ 산출물명 : 수급자 원부
6 수급자 원부 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 원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7 회계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회계 처리를 한다.
8 송금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수급자에게 송금한다.
9 입금 확인 ① 수급자는 입금 확인을 실시한다.
도 46a,b는 추가지불 연금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판정시에 이용한 기준 급여가 잘못되고 있던 케이스 등, 판정 금액을 변경할 때에 연금 판정액수를 변경하는 수속이다. 올바른 판정액과 전회의 판정액수와의 차액을 파악하여 추가 급부를 실시한다.
도 46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46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급부금청구신청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를 기업에 신청한다.
2 급부금청구서송부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백지)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3


급부금청구서류기재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준비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퇴직급부청구서, 연금신청서, 개인인감
증명서, 계좌변경신청서
4
서류접수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수령해, 내용
확인을 한다.
5
급부금조회의뢰
① 기업은 급부금 조회 의뢰서를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 조회 의뢰서
6








조회접수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조회를 접수해 서류를 점검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검토내용)
- 대표자의 날인
- 이름, 생년월일, 입사일, 가입일, 기준급여
- 퇴직사유, 퇴직일, 가입자 주민번호.성명 일치여부,
무급부 휴직기간 기재
- 수익자는 정당한가?
- 수익자 주소가 단체주소와 같지는 않은가?
- 은행구좌의 수익자 명의와 수익자는 일치하고 있는가?
- 연금신청 내용은 정확한가?
7
급부금 조회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조회를 해, 급부금액을 기업에
회답한다.
- 급부금액 내역서 내용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직금, 국민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급부금액 내역서
8 급부금 조회(콜 센터) ① 기업은 콜 센터에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조회내역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직금,
국민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화면
9 급부금 조회(web) ① 기업은 web으로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산출물명 : web
10 참조 ① 기업은 급부금액을 확인해, 참조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서류 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검토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③ DC,IRA 지급도 포함(기존 IRA계좌 or 신규개좌개설)
(검토내용)
- 대표자의 날인
- 이름, 생년월일, 입사일, 가입일, 기준급여
- 퇴직사유, 퇴직일, 가입자 주민번호.성명 일치여부,
무급부 휴직기간 기재
- 수익자는 정당한가?
- 수익자 주소가 단체주소와 같지는 않은가?
- 은행구좌의 수익자 명의와 수익자는 일치하고 있는가?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개인인감증명서, 계좌변경
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2 급부금 청구(연금)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청구(연금) 처리를 한다.
▶ 산출물명 : 결재리스트
3






데이터 처리






① RK센터는 연금내역을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연금내역내용
- 지급기간 : 확정연금
① 5년 이상 20년 이내 보증기간 설정 의무화
② 보증지급기간 중 수급자가 일시금 선택 시 잔여 보증
지급기간에 해당하는 연금현가를 일시금으로 지급가능
- 지급대상 : 개인형
- 지급액 : 정액형, 체증형 등
- 지급형태 : 월단위, 3개월단위, 6개월단위, 연단위 연금
▶ 산출물명 : 연금내역
4



연금내역수령



① 기업은 연금내역을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확인사항)
- 요청한 내용과 일치하는가?
(지급기간, 지급대상, 지급액, 지급형태, 가입자 기본
사항 등)
5 연금내역송부 ① 기업은 수급자에게 연금내역을 송부한다.
6



연금내역수령



① 수급자는 연금내역을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확인사항)
- 요청한 내용과 일치하는가?
(지급기간, 지급대상, 지급액, 지급형태, 가입자 기본
사항 등)
7 데이터처리 ① RK센타는 수급자원부를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수급자원부
8 수급자원부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원부를 확인하고 보관한다.
도 47은 연금지불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수급자에 연금을 지급하는 업무이다. 연금 지불은 통상 규약에서 규정한 연금 지급일에 정기적으로 지불하지만, 어떠한 사정에 의해 정기 지불 시기로 지급할 수 없었던 수급자에 대해서, 정기 지불 이외의 타이밍이라도 지급할 수 있도록 지불 처리를 구축한다.
도 47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47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연금지불지시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임시 지불시에 연금 지불 지시를 실시
한다.
연금지급방법 및 지급일은 연금규정에 정해진 바에 따른다.
- 월단위, 3개월단위, 6개월단위, 연단위 연금
지 급 일 : 매지급월의 00일
2


연금지불


① RK센터는 연금 지불 처리를 실시한다.
② 지불 통지(수급자에)를 수급자에송부한다.
③ 지불 통지(기업에)를 기업에송부한다.
④ 자산관리 기관에송금 지시를 한다.
▶ 산출물명 : 지불 통지(수급자앞), 지불 통지(기업앞)
3
지불통지수령
① 수급자는 지불 통지(수급자에)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
한다.
4 지불통지보관 ① 기업은 지불 통지(기업에)를 확인해, 보관한다.
5 회계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회계 처리를 실시한다.
6 송금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송금 처리를 실시해, 수급자에
송금한다.
7 입금확인 ① 수급자는 입금 확인을 실시한다.
도 48a,b는 일시금의 변경 판정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 수급자가 연금에 대신해 일시금 급부를 받는 것을 신청하였을 때에 일시금 지급을 실시하는 수속이다.
도 48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48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급부금 청구신청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를 기업에 신청한다.
② 사직서 제출
2 급부금 청구서 송부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 청구서(백지)
3

급부금 청구서류 기재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준비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퇴직급부청구서, 개인인감
증명서, 계좌변경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4

서류 접수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퇴직급부청구서, 개인인감
증명서, 계좌변경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5
급부금조회 의뢰
① 기업은 급부금 조회 의뢰서를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
한다.
② 조회조건(입력)
- 계약번호
- 고객번호
- 지급예상일자
- 세금(입력 or 자동계산)
▶ 산출물명 : 급부금 조회 의뢰서
6
조회 접수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조회를 접수하고 서류를 점검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7
급부금 조회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조회를 해, 급부금액을 기업에
회답한다.
- 급부금액 내역서 내용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직금, 국민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급부금액 내역서
8 급부금 조회(콜 센터) ① 기업은 콜 센터에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조회내역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직금, 국민
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화면
9 급부금 조회(web) ① 기업은 web으로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산출물명 : web
10 참조 ① 기업은 급부금액을 확인해, 참조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서류 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검토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③ DC,IRA 지급도 포함(기존 IRA계좌 or 신규개좌개설)
(검토내용)
- 대표자의 날인
- 이름, 생년월일, 입사일, 가입일, 기준급여
- 퇴직사유, 퇴직일, 가입자 주민번호.성명 일치여부,
무급부 휴직기간 기재
- 수익자는 정당한가?
- 수익자 주소가 단체주소와 같지는 않은가?
- 은행구좌의 수익자 명의와 수익자는 일치하고 있는가?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개인인감증명서, 계좌변경
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2


급부금 청구(일시금)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청구(일시금) 처리를 한다.
② 지불 통지(수급자앞)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③ 지불 통지(기업앞)를 기업에 송부한다.
④ RK센터는 자산관리 기관에 송금 지시를 실시한다.
▶ 산출물명 : 지불 통지(수급자앞), 지불 통지(기업앞),
결재리스트
3 지불 통지 수령 ① 수급자는 지불 통지(수급자)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4 지불 통지 보관 ① 기업은 지불 통지(기업앞)를 확인해, 보관한다.
5

데이터 처리

① RK센터는 수급자 원부를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원부내역(가입자내역, 수익자내역, 퇴직금 내역, 세금내역)
② 연금수급자 명부에서 지급중지 처리한다.
▶ 산출물명 : 수급자 원부
6 수급자 원부 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 원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7 회계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회계 처리를 한다.
8 송금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수급자에게 송금한다.
9 입금 확인 ① 수급자는 입금 확인을 실시한다.
도 49a,b는 실권(수급자의 사망)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 수급자가 사망했을 때에, 사망자에게로 연금 지급을 중지하는 수속이다. 연금을 받을 권리는 연금 수급자가 사망했을 때에 잃는다.
도 49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49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사망연락 ① 수급자의 유족은 수급자의 사망을 기업에 연락한다.
2 서류송부 ① 기업은 사망 통지서(백지)를 수급자의 유족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사망 통지서(백지)
3




사망통지서기재




① 수급자의 유족은 사망 통지서·필요 서류(※1)를 준비해,
기업에 송부한다.
(구비서류)
- 피보험자의 호적등본 또는 제적등본(사망사실 미 등재 시
사망 확인서)
- 상속권자의 인감증명서
- 사망 통지서
▶ 산출물명 : 사망 통지서, 호적등본 또는 제적등본,
상속권자의 인감증명서
4
서류접수
① 기업은 사망 통지서·필요 서류(※1)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5

실권판정

① 기업은 실권 판정을 실시한다.
② 판정 결의서를 수급자의 유족에 송부한다.
③ 사망 통지서·실권 지시서를 운용 기관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판정 결의서, 판정 결의서(사본),
실권 지시서
6 판정결과수령 ① 수급자의 유족은 판정 결의서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7 판정결과보관 ① 기업은 판정 결의서(사본)를 보관한다.
8




서류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해결을 의뢰한다.
(구비서류 확인)
- 피보험자의 호적등본 또는 제적등본(사망사실 미 등재 시
사망 확인서)
- 상속권자의 인감증명서
- 사망 통지서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실권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실권(수급 권자 사망) 처리를
실시한다.
2
데이터처리
① RK센터는 수급자 원부를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수급자원부
3 수급자원부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 원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도 50a,b는 사망에 의한 수급자 변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본인 사망시에 연금 수급자를 유족에게 계승하는 수속이다. 보증기간(또는 지분권 기간) 내에 수급자가 사망했을 경우, 유족에게 나머지의 연금을 계속 지급하는 연금이 계속 연금이다.
도 50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0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사망연락 ① 수급자의 유족은 수급자의 사망을 기업에 연락한다.
2 서류송부 ① 기업은 사망 통지서(백지)를 수급자의 유족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사망 통지서(백지)
3


사망통지서기재


①수급자의 유족은 사망 통지서·필요 서류를 준비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사망 통지서, 호적등본 또는 제적등본,
상속권자의 인감증명서
4
서류접수
① 기업은 사망 통지서·필요 서류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5


계속연금판정


① 기업은 계속 연금 판정을 실시한다.
② 판정 결의서를 수급자의 유족에송부한다.
③ 사망 통지서·계속 연금 지시서를 운용 기관에송부한다.
( 추후 관련 세법등을 고려하여 계속연금 지불 처리 또는
중도일시금으로 지불 처리)
▶ 산출물명 : 판정 결의서, 판정 결의서(사본),
계속 연금지시서
6
판정결과수령
① 수급자의 유족은 판정 결의서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7 판전결과보관 ① 기업은 판정 결의서(사본)를 보관한다.
8




서류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해결을 의뢰한다.
- 피보험자의 호적등본 또는 제적등본(사망사실 미 등재 시
사망 확인서)
- 상속권자의 인감증명서
- 사망 통지서
9 계속연금/선택일시금선택 ① 계속연금과 선택일시금을 선택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계속연금변경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계속 연금 변경 처리를 실시한다.
2 데이터처리 ① RK센터는 연금 내역을 출력해, 기업에송부한다.
▶ 산출물명 : 연금 내역
3 연금내역수령 ① 기업은 연금 내역을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4 연금내역송부 ① 기업은 연금 내역을 수급자의 유족에송부한다.
5 연금내역수령 ① 수급자의 유족은 연금 내역을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6 데이터처리 ① RK센터는 수급자 원부를 출력해, 기업에송부한다.
▶ 산출물명 : 수급자원부
7 수급자원부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 원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도 51은 수급자 정보 정정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 일시금의 수급자에 관한 정보로 변경이 발생했을 때에, 그 내용을 반영하는 수속이다.
도 51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1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정정연락 ① 수급자는 수급자 정보의 정정을 기업에 연락한다.
2
서류송부
① 기업은 수급자 정보 정정 통지(백지)를 수급자에 송부
한다.
▶ 산출물명 : 수급자 정보 정정 통지(백지)
3
정정통지기재
① 수급자는 수급자 정보 정정 통지를 작성해, 기업에 송부
한다.
- 정정내용 (수익자명, 주민번호, 은행명, 계좌번호,핸드폰
번호, e-mail주소)
▶ 산출물명 : 수급자 정보 정정 통지
4
서류접수
① 기업은 수급자 정보 정정 통지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
한다.
5
서류송부
① 기업은 수급자 정보 정정 통지를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
한다.
6
서류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점검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해결을 의뢰한다.
7
수급자정보정정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수급자 정보 정정 처리를 실시한다.
8 데이터처리 ① RK센터는 수급자 원부를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수급자 원부
9 수급자원부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 원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도 52a,b는 수급자 명부작성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연금 제도의 수급자 정보가 기재된 일람표를 기업에 제공하는 서비스 업무이다.
도 52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2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데이터처리 ① RK센터는 수급자 명부를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수급자명부
2 수급자명부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 명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수급자명부작성의뢰 ① 기업은 수급자 명부 작성을 운용 관리 기관에 의뢰한다.
2 수급자명부작성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수급자 명부 작성 처리를 실시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수급자 명부
3 수급자명부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 명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도 53은 판정 대상자 일람 작성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가입자 기간이나 수급연기 기간의 만료에 따른 판정 대상자의 일람표를 작성하여 기업에 판정을 재촉하는 업무이다. 운용관리기관은 사무 효율화의 관점으로부터 1회, 다음달(또는 다음 다음달) 가입 기간 만료되는 대상자를 추출하여 기업에 연락할 수 있다.
도 53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3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데이터처리 ① RK센터는 판정 대상자 일람을 작성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판정 대상자 알람
2
청구/수급연기 수속
안내
① 기업은 청구·수급연기 수속 안내를 작성해, 수급자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청구·수급연기 수속 안내
3 청구/ 수급연기 신청 ① 수급자는 기업으로부터의 청구·수급연기 수속 안내
내용을 확인해, 청구·수급연기 신청 한다.
도 54a는 시효(시효 예정 통지 작성)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시효 예상 대상자를 추출해, 기업에 시효 예정 통지 연락을 실시하는 업무이다. 수급권 취득 후 일정기간 권리행사(판정/청구)를 하지 않는 경우, 수급권이 소멸하는 것을 시효라고 부른다.
도 54b는 시효(시효 통지 작성)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시효 업무중 시효가 된 대상자를 특정해 기업에 시효 통지 연락을 실시하는 업무이다.
도 54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4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데이터 처리
① RK센터는 시효 예정 통지(기업에)를 작성해,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시효 예정 통지(기업앞)
2
시효예정통지수령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시효 예정 통지(기업에)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 산출물명 : 시효 예정 통지(수급자앞)
3
시효예정통지송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시효 예정 통지(기업에)를 기업에 송부
한다.
4
수급자앞통지
① 기업은 시효 예정 통지(수급자에)를 작성해, 수급자에
송부한다.
5
제수속 실시
① 수급자는 기업으로부터의 시효 예정 통지(수급자에)
내용을 확인해 급부금 청구 신청을 실시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데이터처리
① RK센터는 시효 통지(기업에)를 작성해,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시효 통지(기업앞)
2
시효통지수령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시효 통지(기업에)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 산출물명 : 시효 통지(수급자앞)
3 시효통지송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시효 통지(기업에)를 기업에 송부한다.
4
수급자앞통지
① 기업은 시효 통지(수급자에)를 작성해, 수급자에 송부
한다.
5 통지수령 ① 수급자는 기업으로부터의 시효 통지(수급자에)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도 55a는 조세관련(기업납세)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수급자들로부터 공제한 세금부분을 기업에 송금하여 조세업무를 처리하는 수속이다.
도 55b는 조세관련(자산기관납세)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수급자들로부터 공제한 세금부분을 자산관리기관이 조세업무를 처리하는 수속이다.
도 55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5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지급결과수신
① 자산 관리 기관으로 부터 실지급처리 완료 데이타를 수신
받는다.
2
지급지시
① 가입자에 급부금 지급시 차감한 세금및 공제금액을 취합
하여 각 기업별 일괄 지급지시 한다.
3 납세 서류 작성 ① 기업에서 납세서류를 작성하여 세무당국에 보고한다.
▶ 산출물명 : 납세 서류
4 서류 수령 ① 세무당국에서는 납세서류를 수령한다.
5 납세 확인 ① 세무당국은 납세금액과 서류를 확인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6
지급결과수신
① 자산 관리 기관으로 부터 실지급처리 완료 데이타를 수신
받는다.
7
지급지시
① 가입자에 급부금 지급시 차감한 세금 및 공제금액을 취합
하여 각 기업별 일괄 지급지시 한다.
8 납세 서류 작성 ① 기업에서 납세서류를 작성하여 세무당국에 보고한다.
▶ 산출물명 : 납세 서류, MT
9 납세 송금처리 ① 세무당국에 납세송금처리 한다.
10 서류 수령 ① 납세서류 또는 MT를 수령한다.
11 납세 확인 ① 세무당국은 납세를 서류와비교하며 확인한다.
도 56a,b,c는 압류지급(가입자)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퇴직금에 압류가 설정되어 있는 가입자의 지급처리이다.
도 56a,b,c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6a,b,c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급부금 청구신청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를 기업에 신청한다.
② 사직서 제출
2 급부금 청구서 송부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 청구서(백지)
3

급부금 청구서류 기재

① 수급자는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준비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퇴직급부청구서, 개인인감
증명서, 계좌변경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4

서류 접수

① 기업은 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퇴직급부청구서, 개인인감
증명서, 계좌변경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5
급부금조회 의뢰
① 기업은 급부금 조회 의뢰서를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
한다.
② 조회조건(입력)
- 계약번호
- 고객번호
- 지급예상일자
- 세금(입력 or 자동계산)
▶ 산출물명 : 급부금 조회 의뢰서
6
조회 접수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조회를 접수하고 서류를 점검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7 급부금 조회(콜 센터) ① 기업은 콜 센터에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조회내역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직금, 국민
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화면
8
급부금 조회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조회를 해, 급부금액을 기업에
회답한다.
- 회답서에 압류설정된 금액을 포함한다.
- 급부금액 내역서 내용 (고객명, 입사일자, 가입일자,
퇴직금, 국민연금전환금, 세금, 수익자(명,주민번호,
계좌번호), 퇴직금추계액, 퇴직급여총액, 지급일자)
▶ 산출물명 : 급부금액 내역서
9 급부금 조회(web) ① 기업은 web으로 급부금 조회를 한다.
▶ 산출물명 : web
10 참조 ① 기업은 급부금액을 확인해, 참조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서류 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서류를 수령해, 검토한다.
② 미비가 있는 경우는, 기업에 해결을 의뢰한다.
③ DC,IRA 지급도 포함(기존 IRA계좌 or 신규개좌개설)
(검토내용)
- 대표자의 날인
- 이름, 생년월일, 입사일, 가입일, 기준급여
- 퇴직사유, 퇴직일, 가입자 주민번호.성명 일치여부,
무급부 휴직기간 기재
- 수익자는 정당한가?
- 수익자 주소가 단체주소와 같지는 않은가?
- 은행구좌의 수익자 명의와 수익자는 일치하고 있는가?
▶ 산출물명 : 급부금청구서, 개인인감증명서, 계좌변경
신청서, 호적등본 or 주민등록등본
2 가입자탈퇴처리
(상실일자, 상태코드Set)
① 가입자 탈퇴처리(상실일자, 상태코드 Set)를 한다.
3


급부금 청구(일시금)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급부금 청구(일시금) 처리를 한다.
② 지불 통지(수급자앞)를 수급자에 송부한다.
③ 지불 통지(기업앞)를 기업에 송부한다.
④ RK센터는 급부금중 압류설정된 금액을 차감하고 자산관리
기관에 송금 지시를 실시한다.
- 퇴직금이 압류설정 가능금액 (50%)
▶ 산출물명 : 지불 통지(수급자앞), 지불통지(기업앞),
결재리스트
4 지불 통지 수령 ① 수급자는 지불 통지(수급자)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5 지불 통지 보관 ① 기업은 지불 통지(기업앞)를 확인해, 보관한다.
6

데이터 처리

① RK센터는 수급자 명부를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 가입자로 지급된 금액정보와 압류설정으로 지급되지
않은 금액 정보를 포함한다.
명부내역
(가입자내역, 수익자내역, 퇴직금 내역, 세금내역)
▶ 산출물명 : 수급자 명부
7 수급자 명부 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 명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회계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회계 처리를 한다.
2 송금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수급자에게 송금한다.
3 입금 확인 ① 수급자는 입금 확인을 실시한다.
4
타행신규,기존IRA
입금처리
① 타행 신규,기존계좌는 IRA 계좌번호로 송금처리
5
신규,기존IRA
계좌입금
① 당행 신규,기존계좌는 IRA 계좌번호로 송금처리
6 수지데이터처리 ① 정상지급완료시에 RK센터에 수지데이타 처리한다.
7
명부반영
① 지급결과를 지급화일에 반영하고 가입자명부에 퇴직일자
Set 처리한다.
8


에러처리
(지급불능건재처리)


① 에러시에는 에러결과를 보내서 재처리를 하게한다.
(1) 급부금 미착시 처리 방법
① 급부금송금시 구좌폐쇄, 수급자*불명등으로 반환된
경우 에러내역을 『퇴직연금보험 급부금지급불능건재
처리』를 운용관리기관에서 한다.
도 57a,b는 압류지급(채권자)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압류건에 대해 채권자가 지급신청시 처리하는 업무이다.
도 57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7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급부금 청구신청 ① 채권자는 압류급부금 청구를 운용관리기관에 신청한다.
2
급부금 청구서송부
① 운용관리기관은 압류급부금 청구서(백지)를 채권자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급부금 청구서(백지)
3
급부금청구서 기재
① 채권자는 압류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준비해,
운용관리기관에 송부한다.
4
서류접수
① 운용관리기관은 압류급부금 청구서·필요 서류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5
서류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에서는 채권자의 필요서류를 점검하고
미비시에는 보완처리한다.
6

압류급부금 청구

① 압류급부금 신청서를 시스템에 입력한다. 채권자에게는
지불 통지(채권자앞), 기업에는 지불 통지(기업앞)을
송부한다.
② 압류급부금 신청시 아래 내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다.
- 채무자지급내용
계약번호,지급액,지급방법,수급자명,주민번호,계좌정보
- 압류관련정보
사건번호,계약번호,압류금액,지급액,지급방법,채권자
계좌정보
▶ 산출물명 : 지불 통지(수급자앞), 지불 통지(기업앞)
7
지불통지(채권자앞) 수령
① 채권자는 지불통지를 수령한다.
- 잔여퇴직보험금 1/2지급 : ▷ 압류명령 확정증명원 확인
한다.
▶ 산출물명 : 지불 통지(채권자앞)
8
지불통지(기업앞)
수령
① 기업은 지불통지를 수령한다.
▶ 산출물명 : 지불 통지(기업앞)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9
데이터 처리
① RK센터는 수급자 명부를 출력해, 기업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수급자 명부
10 수급자 명부 보관 ① 기업은 수급자 명부를 확인해, 보관한다.
11 회계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회계 처리를 한다.
12 송금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채권자에게 송금한다.
13 입금확인 ① 채권자는 입금 확인을 실시한다.
14
수지데이터처리
① 정상지급완료시에 RK센터에 수지데이타 처리를 하고,
에러시에는 에러결과를 보내서 재처리를 하게한다.
15 명부반영 ① 지급결과를 지급화일에 반영한다.
도 58은 지급불능건 재처리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지급불능건을 재처리하는 수속이다.
도 58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8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송금불능건 발생 ① 급부금 지급 송금처리시 에러발생.
2 계좌확인 ① 자산관리기관에서 기업,가입자로 부터 계좌를 확인한다.
3 오류수정 ① 자산관리기관에서 오류를 수정한다.(계좌번호변경)
4 송금처리 ① 자산관리기관에서 변경된 계좌번호로 송금 처리한다.
5
송금완료데이타처리
① RK센타에서 자산관리 기관으로 부터 수신한 송금완료
데이타와 계좌변경 데이타를 등록 및 수정 처리 한다.
- 송금완료전문에 변경내용을 포함한다.
6 입금 확인 ① 수급자는 입금 확인을 실시한다.
도 59a는 운용관리 수수료 계산(자산매도 징수방식)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운용 관리 수수료를 계산해 상품 매도에 의해 자산으로부터 수수료를 징수하는 업무프로세스이다.
도 59b는 운용관리 수수료 계산(기업입금 방식)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운용관리 수수료를 계산해 기업납입 부금 내역에 반영하여 징수하는 업무프로세스이다.
도 59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59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운용관리수수료 계산 ① 공동RK센터는 운용 관리 수수료 계산 처리를 한다.
2 운용관리수수료 확인 ① 운용관리기관은 운용관리수수료액 명세를 조회해 내용을
확인한다.
3 회계처리 ① 자산관리기관은 회계 처리를 실시한다.
4 송금처리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 관리 기관에 송금한다.
5 입금확인 ① 운용관리기관은 입금을 확인한다.
6 회계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입금에 대한 회계처리를 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운용관리수수료 계산
① RK센터는 운용 관리 수수료 계산 처리를 실시해 운용 관리
수수료액 명세서, 운용 관리 수수료 청구서를 출력한다.
② 운용 관리 수수료 청구서를 기업에 송부한다.
2 청구서수령 ① 기업은 운용관리수수료 청구서를 수령해 내용을 확인한다.
3 운용관리수수료 입금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에 운용 관리 수수료를 입금한다.
4 운용관리수수료 확인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운용관리수수료 내역을 확인한다.
5 입금확인 ① 운용관리기관은 입금을 확인한다.
6 수지데이터 등록 ① 운용관리기관은 수지 데이터 등록 처리를 실시해 회계 데이터·송금 데이터를 작성하고 이를 공동RK센터에 기록한다.
7 회계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입금에 대한 회계처리를 한다.
도 60a는 자산관리 수수료 계산(자산매도 징수방식)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자산관리기관이 자산관리수수료를 계산해 RK에 청구하며, RK에서는 상품매도에 의해 수수료를 징수하는 업무프로세스이다.
도 60b는 자산관리 수수료 계산(기업입금 방식)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자산관리기관이 자산관리 수수료를 계산해, 기업에서 입금하여 징수하는 업무프로세스이다.
도 60a,b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0a,b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경과적립금 계산
(펀드단위)
① 자산관리기관은 펀드 단위의 경과 적립금 계산 처리를
실시한다.
2 자산관리수수료계산 ① 자산관리기관은 자산관리 수수료 계산 처리를 실시한다.
3 자산관리수수료등록 ① 자산관리 수수료를 등록한다.
4 회계처리 ① 자산관리기관은 회계 처리를 실시한다.
5 송금처리 ① 자산관리기관은 운용 관리 기관에 송금한다.
6 입금확인 ① 운용관리기관은 입금을 확인한다.
7 회계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입금에 대한 회계처리를 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경과적립금 계산
(펀드단위)
① 자산관리 기관은 펀드 단위의 경과 적립금 계산 처리를
실시한다.
2
자산관리수수료계산
① 자산관리 기관은 자산관리 수수료 계산 처리를 실시한다.
② 자산관리 수수료 청구서를 기업에 송부한다.
3 청구서 수령 ① 기업은 자산관리 수수료 청구서를 수령한다.
4 자산관리수수료 입금 ① 기업은 자산관리 기관에 자산관리 수수료를 불입한다.
5 입금확인 ① 자산관리 기관은 입금을 확인한다.
6 수지데이터 등록 ① 자산관리 기관은 수지 데이터 등록 처리를 실시한다.
7 회계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회계 처리를 실시한다.
8 데이터처리 ① 공동RK센터는 자산관리기관으로부터 송신받은 수지데이터
를 반영한다.
도 61a는 재정결산보고(대상선정 및 자료등록)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정기 또는 임시 재정결산을 시행할 대상기업을 선정하고, 해당 기업의 최근 명부를 등록하는 업무이다.
도 61b는 재정결산보고(결산실행)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책임준비금과 실적립자산을 비교하여 재정상태의 적정성을 파악하는 업무를 말한다.
도 61c는 재정결산보고(결산실행 Batch)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재정결산대상기업 중 정기 재계산 또는 배치 의뢰된 경우 RK 센터에서의 일괄 Batch 작업으로 결산처리를 하는 업무이다.
도 61d는 재정결산보고(결과반영)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재정결산 실행결과를 현 재정에 반영하는 업무이다.
도 61a~d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1a~d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재정결산대상기업
선정(정기작업)

① 보통 1년 주기로 재정결산을 수행하며, 결산일 시점
(소정 개월)전에 대상을 선정하여 list-up 한다.
결산일은 특별한 사항이 없으면(계약응당일 1일전 또는
해당 기업 회계 기준 말일자)로 한다.
② 정기 재정결산 대상기업선정은 RK센터에서 수행한다.
2



재정결산요청
(운영관리기관 요청)


① 퇴직연금자산 운용상태 악화,부금미납입 등으로 특정 기
업의 재정상태가 상당히 악화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
우, 운용관리기관의 요청에 의해 재정결산이 임시로 수
행될 수 있다. 기업이 안내장 발송을 요청하면 공동RK
센터에서는 요청된 건에 대해 안내장을 발송한다.
3



안내장발송



① 1, 2 번항에 의해 선정된 기업에 재정결산 안내장을
발송한다. 안내장 발송은 공동RK센터에서 수행한다.
② 안내장에는 첨부자료로 기업에서 준비해야될 기초자료
(임직원명부,기준급여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 산출물명 : 재정결산 안내장
4
재정결산 안내장
수령
기업은 재정결산안내장을 수령하고,임직원명부,기준급여 등 재정결산 기초자료를 작성하여 운용관리기관으로 발송한다.
5
재정결산의뢰
(기업요청)
필요한 경우 기업이 임시 재정결산 요청서를 작성하여 운용관리기관에 요청한다.
▶ 산출물명 : 재정결산 요구서
6
재정결산의뢰접수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에서 요청한 재정결산 요청서 및 기초자료(임직원 명부 등)를 접수한다.
7


가입자관리


운용관리기관은 접수된 임직원명부, 기준급여 등을 가입자관리 시스템에 반영하여 최근의 임직원 정보로 갱신한다. (임직원 명부 검증, 추가가입처리, 급여갱신처리 후 명부를 확정한다.) 확정된 데이터는 RK센터에 저장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재정결산 기초
자료 입력
① 운용관리 기관에서 기업과 협의하여 재정결산에 필요한
기초자료(결산기간,대상단체선택 등)를 입력한다.
2





기수표 작성





① 임직원별 장래급부현가와 장래수입현가를 산출하기 위해
재정결산용 기수표를 작성한다.
② 기수표 작성시 기초율(승급율, 탈퇴율, 사망률)은 과거
율을 사용하고, 임직원 명부는 최신의 명부를 활용한다.
③ 기수표는 재정방식이 PUC일 경우는 임직원별로 작성되어
야 하며, 특정 연령방식은 연령별, 근속기간별로 기수표
를 작성하여 사용한다.
3
장래급부 현가 산출
(임직원별)
① 해당 임직원에게 미래 지급할 예측 급부에 대한 현가를
기수표에 근거하여 산출한다.
4
장래수입 현가 산출
(임직원별)
① 해당 임직원을 위해 수납할 미래 예측 수입(부금)에
대한 현가를 기수표에 근거하여 산출한다.
5
책임준비금산출
(임직원별)
① 임직원별 책임준비금을 구한다.
책임준비금 = 장래급부현가 - 장래수입현가
6 총책임준비금 산출 ① 임직원별로 산출된 책임준비금을 합산하여 총 책임준비금을 산출한다
7 수수료반영 ① 적립자산에 부여하는 수수료 부문을 수수료 기준에 의거
산출한다.
8

적립자산 산출

① 해당기업이 적립한 자산총액을 재정결산일 기준으로 산출한다. 이때 수수료부문을 차감하여 총 적립자산을 산출한다.
9









재정결산 보고서 작성








① 책임준비금과 적립자산액을 비교하는 재정결산 보고서를
작성한다.
② 재정결산 보고서
- 대차대조표
기업 연금 제도의 재정 상황에 관한 장표로,
적립 부족(초과)의 발생상황을 나타냄
- 수지 계산서(P/L)
1년간의 거래 내용을 나타낸 장표
- 재정 검증 자료
비계속 기준 검증, 계속 기준 검증결과를 나타낸 장표
- 연금 수리인에 의한 확인서
재정 결산 내용을 확인한 연금 수리인이 서명, 날인을
실시하는 장표
10
재정결산 내용확인
작성된 재정결산 보고서는연금계리사가 확인을 한후
운용관리기관에서 기업에 송부한다.
11
재정결산 보고서
확인(기업)
기업은 재정결산 보고서를 받아 확인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기수표 작성


운용관리기관에 재정결산을 실행할 때와 동일함.
단 공동 RK 센터에서 Batch 로 수행됨.
2
장래급부 현가 산출
(임직원별)
3
장래수입 현가 산출
(임직원별)
4
책임준비금산출
(임직원별)
5 총책임준비금 산출
6 수수료 반
7 적립자산 산출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재정결산 결과 검토
① 운용관리기관은 재정결산 보고서를 검토하여 적립자산의
적정여부를 결정한다.
2
결산종료
① 운용관리기관은 실적립금이 책임준비금에 비해 허용범위
안에서 적립되고 있을 때 재정결산 프로세스를 마친다
3
기업확인요청
① 운용관리기관은 재정결산 결과 실적립액이 허용 법위에서
벗어날 경우(과잉적립, 과잉부족) 해당 기업에 향후 처리
절차를 확인 요청한다.
4
반환신탁금
① 기업에서 초과적립금에 대해 해당분을 반환 요청을 할
경우, 운용관리기관은 초과적립금을 반환처리한다.
▶ 산출물명 : 반환처리요청서
5

부담금 정산처리

① 기업에서 초과적립금에 대해 해당분을 차기 부담금에서
상계처리를 요청한 경우, 운용관리기관은 차기 부담금
산출시 반영되도록 정산 처리한다.
▶ 산출물명 : 정산처리요청서(상계처리요청서)
6 추가납입 ① 기업에서 부족분을 특별부금으로 추가 납입한다.
7 재계산 ① 기업에서 운용관리기관에 재계산 요청을 한다.
▶ 산출물명 : 재계산요청서
8
사후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향후 부담금 처리에 대한 사후처리를
한다.
(지급제한이나 추가가입제한 등의 조치는 향후 감독
규정에 따름)
도 62는 초과적립금지급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재정결산시 책임준비금과 적립금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규정이상의 적립금이 발생하면 초과적립금의 refund 처리 수속을 한다.
도 62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2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초과적립금청구신청 ① 반환처리하게되면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 산출물명 : 초과적립금청구서
2 부담금상계처리등록 ① 초과적립금을 청구내역을 등록처리한다.
3 초과 적립금 청구입력 ① 초과적립금을 청구내역을 입력한다.
4 지급에 의한 매각지시 ① 초과적립금에 대해서 반환요청이 있으면 상품매매지시를
한다.
5 송금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기업에 송금한다.
6 회계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회계 처리를 한다.

7

수지데이터 등록

① R/K센타는 수지 데이터 등록 처리를 한다.
8 입금 확인 ① 기업은 입금 확인을 한다.
도 63은 사업년도말 결산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운용관리기관은 매년 12월 말 시점에서 전체 보유계약의 수지 결산 처리를 실시하여 3월 말까지 사업년도말 결산보고 자료를 작성하고, 그 자료를 금융감독원에 보고한다.
도 63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3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잔고계산 ① RK센타는 전체 보유계약의 잔고를 계산한다
2 수지데이터집계 ① RK센타는 수지데이터 집계처리를 실시한다
3





사업년도말결산자료
작성




① RK센터는 사업년도말 결산자료 작성 처리를 실시하여
사업년도말결산자료를 작성한다.
- 수탁계약수
- 운용상품별 연금 자산
- 부금 종류
- 사유별 급부금액
- 배당금액
▶ 산출물명 : 사말결산자료
4 사말결산자료확인및
보고
① 운용관리기관은 사말 결산 자료를 확인 및 보고한다
▶ 산출물명 : 사말결산자료
5 사말결산자료확인 ① 금융감독원은 사말 결산 자료를 확인한다
▶ 산출물명 : 사말결산자료
도 64는 연금자산 잔고 보고서 작성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기업으로부터 연금자산 잔고 보고를 의뢰받아 운용관리기관에서 잔고계산 및 수지데이터를 집계하여 연금자산보고서를 작성하고, 그 연금자산보고서를 기업에 보고한다.
도 64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4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운용보고의뢰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에 연금 자산 잔고의 보고를 의뢰
한다
* 웹으로 조회가능
2 운용보고의뢰접수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이 요구하는 연금 자산 잔고의 보고
내용에 대해 확인한다
3
운용보고서작성지시
① 운용관리기관은 온라인으로 잔고 계산 지시를 실시해,
RK센터앞에 작성 지시의 연락을 한다
▶ 산출물명 : 작성지시
4 잔고계산 ① RK센터는 작성지시 내용을 기초로 잔고계산을 실시한다
▶ 산출물명 : 작성지시
5 수지데이터집계 ① RK센터는 작성지시 내용을 기초로 수지 데이터의 집계를
실시한다
▶ 산출물명 : 작성지시
6
연금자산잔고보고서
작성
① 잔고 계산 결과와 수지 데이터 집계 결과를 기초로 연금
자산 잔고 보고서를 작성하여 운용 관리 기관앞에 송부
한다
▶ 산출물명 : 연금자산잔고보고서
7
보고서내용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은 송부된 자산잔고보고서에 대하여 지시
내용과 일치하는지, 잔고가 올바른지를 점검한다
▶ 산출물명 : 연금자산잔고보고서
8 연금자산잔고보고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앞에 연금 자산액 보고서를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연금자산잔고보고서
9 연금자산잔고보고서
보관
① 기업은 연금 자산 잔고 보고서의 내용을 확인해 서류를
보관한다
▶ 산출물명 : 연금자산잔고보고서
도 65는 연금자산 운용 현황 보고서 작성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기업으로부터 자산 잔고 및 운용 현황에 대한 보고를 의뢰받아 운용관리기관에서 잔고 및 수익을 계산하여 연금자산 운용형황 보고서를 작성하고, 기업에 보고한다.
도 65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5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운용보고의뢰 ① 기업은 운용관리기관에 연금 자산 잔고의 보고를 의뢰
한다.
* 웹에서 조회가능
2 운용보고의뢰접수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이 요구하는 연금 자산 운용의 보고
내용에 대해 확인한다.
3
운용보고서작성지시
① 운용관리기관은 온라인으로 운용보고 작성 지시를
실시해, RK센터앞에 작성 지시의 연락을 한다.
▶ 산출물명 : 작성지시
4 잔고·수익 계산 ① RK센터는 작성지시 내용을 기초로 잔고·수익 계산을
실시한다.
▶ 산출물명 : 작성지시
5 수지데이터집계 ① RK센터는 작성지시 내용을 기초로 수지 데이터의 집계를
실시한다.
▶ 산출물명 : 작성지시
6
연금자산운용현황
보고서작성
① 잔고·수익 계산 결과와 수지 데이터 집계 결과를 기초로
연금 자산 운용현황 보고서를 작성하여 운용 관리 기관
앞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연금자산운용현황보고서
7
보고서내용점검
① 운용관리기관은 송부된 자산잔고보고서에 대하여 지시
내용과 일치하는지, 잔고가 올바른지를 점검한다.
▶ 산출물명 : 연금자산운용현황보고서
8 연금자산운용현황보고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앞에 연금 자산액 보고서를 송부
한다.
▶ 산출물명 : 연금자산운용현황보고서
9 연금자산운용현황
보고서보관
① 기업은 연금 자산 잔고 보고서의 내용을 확인해 서류를
보관한다.
▶ 산출물명 : 연금자산운용현황보고서
도 66은 해약 조회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기업으로부터의 의뢰를 받아 실시하는 해약 조회의 수속단계이다. 잔고 계산, 해약 반려금 계산을 실시해 조회 결과를 기업에 제시한다.
도 66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6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해약 조회 의뢰
① 기업 연금 계약의 해약을 희망하는 기업은, 해약 내용을
연락해 해약 조회를 의뢰한다.
- 해약내용( 의뢰시 필요항목) - 계약번호,해약일자,
해약사유
2 해약 조회 지시 ① 운용 관리 기관은, 해약 조회 지시를 실시한다.
3
잔고 계산
① RK센터는 해약조회 지시를 받고 관리하고 있는 자산
잔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잔고 계산을 실시한다.
4
해약 반려금등계산
① RK센터는 관리하고 있는 가입자·수급자 데이터등을 바탕
으로 해약 반려금등의 계산을 실시한다.
5
해약 조회서 작성
① RK센터는 해약 조회 결과를 바탕으로 해약 조회서를
출력해 운용 관리 기관에 송부한다.
▶ 산출물명 : 해약조회서
6 해약 조회서 확인 ① 운용 관리 기관은 해약 조회서를 확인한다.
7 해약 조회서 제시 ① 운용 관리 기관은 해약 조회서를 기업에 제시한다.
8 해약 조회서 보관 ① 기업은 송부된 해약 조회서를 확인해, 보관한다.
도 67a,b,c는 해약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기업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실시하는 해약의 수속단계이다. 최종자산을 확정해, 해약 반려금의 계산을 실시해, 기업이나 가입자, 수급자로 송금을 실시한다.
도 67a,b,c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7a,b,c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해약 신청

① 기업 연금 계약의 해약을 희망하는 기업은, 운용 관리
기관앞에 해약 일시점의 가입자.수급자 명부와 해약
내용(해약 사유, 해약일등 )을 연락해, 해약을 신청한다.
2
해약 접수
① 운용 관리 기관은 해약을 접수한다.
■해약접수시 사무처리
① 운용관리기관은 기업로부터 해약신청을 받은 경우 계속
유지를 권장한다. 특히 퇴직연금의 경우 퇴직전에 퇴직금
을 지급하게 되면 장차 퇴직금산정시 해약일이전의 근속
년수를 통산할 수 없게 되므로 종업원에게 매우 불리하게
됨을 설명한다.
② 해약의사를 철회시킬 수 없을 경우는 단체에 『해약안내
서』를 교부하고 다음서류를 제출하도록 한다.
- 『 해약신청서』
- 인감증명서
- 퇴직통지서 (수급자격이 있는 경우 급부금청구서류를 포
함한다) 해약일 이전의 퇴직자로서 『퇴직통지서』가 미
제출된 경우
- 추가가입신청명부 : 퇴직연금계약에서 해약일 이전에
추가가입누락이 있었을 경우
③ 운용관리기관의 각 영업지점에서는 제출된 『해약
신청서』등을 점검하여 본사관리부서로 송부한다.
3





등록 데이터 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기업으로부터의 가입자·수급자 명부를
기초로 등록 데이터의 내용을 점검한다.

(점검 사항)
- 단체의 서명날인은 되어 있는가?
- 성명, 주민등록번호는 명부와 동일한가?
- 해약 사유는 올바르게 기재되어 있는가?
4 사무 처리 ① 운용 관리 기관은 등록 데이터 미비나 사무 수속에
누락이 있었을 경우에, 필요한 사무 처리를 실시한다.
5 운용자산매각지시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최종자산 확정을 위한 자산 매각 지시
를 자산관리 기관에 실시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최종자산 연락
① 자산관리 기관은, 최종자산을 확정해, 운용 관리 기관
앞에 최종자산 데이터를 연락한다.
2 해약 지시 ① 운용 관리 기관은 해약 지시를 실시한다.
3 해약 반려금등 계산 ① 연금수급자 존재시 인별배분전 잔여연금원액을 먼저 계산
처리 한다.
② 잔여연금원액을 차감한 자산으로 해약 반려금의 인별
배분계산 처리를 실시한다.
③ 압류지급건은 인별배분된금액으로 처리한다.
④ 중간정산대상기간산정요청시 - 해약비율만큼의 중간정산
일자 계산후 가입자원부의 기산일자로 반영,추후 의뢰시
기산일자 정보제공(계산시 단수처리방법 고려)
4

해약 결과 통지서
작성

① RK센터는 해약 결과 통지서,수급자명세서를 출력한다.

(수급대상자명세내용)
성명,주민번호,퇴직금총액,국민연금,소득세,기타공제액,
재세공과금,압류금액,인별해약환급금,실지급액,지급방법,
계좌번호
(계약자지급명세내용)
재세공과금,기타공제액,지급방법, 기업계좌정보
▶ 산출물명 : 해약결과통지서, 수급자명세서
5 해약 결과 확인 ① 운용 관리 기관은 해약 결과를 확인한다.
6 지불 통지 수령 ① 가입자·수급자는 지불 통지를 수령한다.
7 해약 결과 통지서
보관
① 기업은 송부된 해약 결과 통지서를 확인해, 보관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송금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기업·가입자·수급자에 송금을 실시
한다.
2 회계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회계 처리를 한다.
3
타행신규,기존IRA
입금처리
① 타행 신규,기존계좌는 IRA 계좌번호로 송금처리
4
신규,기존IRA 계좌
입금
① 당행 신규,기존계좌는 IRA 계좌번호로 송금처리
5 입금 확인 ① 기업·가입자·수급자는 입금을 확인한다.
6 입금 확인 ① 기업은 입금을 확인한다.
7 수지데이터처리 ① 정상지급완료시에 RK센터에 수지데이타 처리한다.
8
원부반영
① 지급결과를 지급화일에 반영하고 가입자원부에 퇴직일자
Set 처리한다.
9


에러처리
(지급불능건재처리)


① 에러시에는 에러결과를 보내서 재처리를 하게한다.
(1) 급부금 미착시 처리 방법
① 급부금송금시 구좌폐쇄, 수급자*불명등으로 반환된
경우 에러내역을 『퇴직연금보험 급부금지급불능건재
처리』를 운용관리기관에서 한다.
도 68a,b,c는 계약이전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기업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실시하는 계약이전의 수속단계이다. 최종자산을 확정해, 계약이전 반려금의 계산을 실시해, 이전할 자산관리기관으로 송금을 실시한다.
도 68a,b,c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8a,b,c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계약이전 신청



① 기업 연금 계약의 계약이전을 희망하는 기업은, 운용
관리 기관앞에 계약이전 일시점의 가입자.수급자 명부와
계약이전 내용(계약이전 사유, 계약이전일등 )을 연락해,
계약이전을 신청한다.
① 계약자의 요청에 의하여 한다.
2 계약이전 접수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계약이전을 접수한다.
3

서류 점검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기업으로부터의 서류를 점검한다.
(점검 사항)
- 단체의 서명날인은 되어 있는가?
- 계약이전 사유는 올바르게 기재되어 있는가?
4 사무 처리 ① 운용 관리 기관은 등록 데이터 미비나 사무 수속에 누락
이 있었을 경우에, 필요한 사무 처리를 실시한다.
5 운용자산매각지시 ① 운용 관리 기관은 최종자산 확정을 위한 자산 매각 지시
를 자산관리 기관에 실시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6
최종자산 연락
① 자산관리 기관은, 최종자산을 확정해, 운용 관리 기관
앞에 최종자산 데이터를 연락한다.
7 계약이전 지시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계약이전 지시를 실시한다.
8 적립금,이전수수료등 계산 ① 연금수급자 존재시 인별배분전 잔여연금원액을 먼저 계산
처리 한다.
② 잔여연금원액을 차감한 자산으로 계약이전 반려금을 가지
고 수수료 계산한다.
(계산시 단수처리방법 고려)
9
계약이전 결과 통지서 작성 ① RK센터는 계약이전 결과 통지서를 출력한다.
10 계약이전 결과 확인 ① 운용 관리 기관은 계약이전 결과를 확인한다.
11 지불 통지 수령 ① 가입자·수급자는 지불 통지를 수령한다.
12
계약이전 결과 통지서 보관 ① 기업은 송부된 계약이전 결과 통지서를 확인해, 보관
한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수지 데이터 등록
① 자산관리 기관은 수지 데이터 등록 처리를 실시해, 회계
데이터·송금 데이터를 작성한다.
2 회계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회계 처리를 실시한다.
3
송금 처리
① 자산관리 기관은 타사로 계약이전적립금을 송금하고,
운용관리기관등에는 수수료를 송금한다.
4 입금 확인 ① 타사는 입금을 확인한다.
5 입금결과 확인 ① 기업은 입금 결과를 확인한다.
6 입금 확인 ① 운용관리기관은 수수료 입금을 확인한다.
7 수지 데이터 처리 ① RK센타에 수지데이타를 등록한다.
8 계약소멸처리 ① 원부에 계약소멸처리를 한다.
도 69는 교육관리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교육관리 단계는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퇴직연금제도 운영상황 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항에 대해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도 69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69와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가입신청
①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한 종업원은 교육을 받기위해 WEB
서비스를 신청을 한다
- 신청시 해당 기업정보 및 사용자의 이름,주민등록
번호,사번,입사일자,사용 이메일 정보 등 해당 기업
의 종업원임을 증빙할수 있는 자료를 입력한후 가입
신청의뢰를 한다.
2
가입자격판정
① 해당 계약의 가입여부를 판정함(가입자의 주민등록번호로
해당 퇴직연금계약의 가입여부를 확인함)
- 신청등록된 가입신청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기업의
계약내 가입자정보를 확인한후 가입자격 여부 판정 및
해당 계약의 유지여부를 판단한다.
3
가입자처리
(ID.PW부여)
① ID·PW 를 부여한다.
4
가입통지 작성처리
① 가입 처리가 완료하면, 가입 통지의 작성을 실시해 ID·
PW가 부여된 가입자에게 「가입의 알림」을 작성·발행을
실시한다.
*가입의 알림은, E-MAIL을 이용해 실시한다.
5
가입정보확인 및 가입등록 ① 발급 받은 ID.PW로 가입정보 확인 및 등록을 한다
6 데이타처리 ① 가입자 등록처리를 완료한다
7
가입신청확인
① 가입자가 등록한 가입 신청 내용을 기업 에서 화면에서
확인한다.
8
가입신청확인
① 가입자가 등록한 가입 신청 내용을 운용 관리 기관에서
화면에서 확인한다.
9
제도,계약정보조회
① 퇴직연금제도 운영현황 및 처리절차에 대한 내용을
조회한다
- 급여의 종류별 급여액 및 지급상황(퇴직일시금,연금지
급등)
- 사용자(기업주)의 부담금액,납부시기등 납부현황
- 책임준비금 대비 적립금 규모(재정검증현황)
- 전직,이직시의 처리절차,퇴직시의 적립금의 운용
및 관리방법
- 가입자수 및 급여의 종류별 수급권자의 수
- 적립금의 운용수익,운용손실 및 자산의 구성비율 기타
적립금의 운용상황
10 데이타처리 ① 관련 자료에 대한 조회를 한다.
도 70은 상품관리 단계의 처리 플로우이다.
상품관리 단계는 상품제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상품의 속성을 등록한다.
도 70의 처리 플로우에 대한 처리절차는 다음 표 70과 같다.
NO 업무명 세부업무처리
1 사전신청서류 송부 ① 운용관리기관과 위수탁계약을 체결된 상품제공기관은
제공하는 상품의 상품속성등록신청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신청서를 우편으로 운용관리기관으로 우송한다.
2 사전신청서류 접수 ① 운용관리기관에서는 상품제공기관으로부터 상품속성등록
신청서를 우편으로 접수 받아서 서류의 기재 내용(필수항
목)을 확인하고 확인 결과 미비점이 있으면 상품제공기관
으로부터 수정된 신청서를 재 접수 받는다.
3
상품정보 등록
① 운용관리기관에서는 접수된 신청서에 기재된 항목을 상품
정보등록 화면에서 등록한다.

② 상품속성등록시 오류가 발생한 경우는 상품제공기관의 담
당자에게 전화를 걸어서 항목을 확인하면서 등록결과확인
작업을 한다. 신청서의 기재사항에 오류가 있을 경우는
신청서의 재작성 및 재송부를 의뢰하여 재접수 받는다
4 등록완료 통지 ① 정상적으로 등록이 완료되면 상품코드를 채번하고 등록완
료통지서를 출력한다.
출력된 등록완료통지서를 내부 결재를 득 한 후에 상품제
공기관으로 우송한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특정한 용어나 수치들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퇴직연금 시장특성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지니스 모델의 확립과 이를 웹기반에서 구현하기 위한 서버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효율적인 구성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이고 경쟁력 있는 웹기반의 퇴직연금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1)

  1. 공동기록관리(R/K) 서버,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 상품제공기관 서버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을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신규계약 신청정보를 수신하고 기업 부담금을 산출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며, 해당 기업 클라이언트의 최초 부담금 납입에 따라 운용관리위탁계약을 체결하고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되는 운용지시 정보를 저장하며, 해당 운용지시정보를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로 전송하여 부담금 관리를 지원하며, 해당 기업 클라이언트의 가입자 연금 신청시 해당 가입자의 연금 송금 지시를 자산관리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운용관리기관 서버;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기업 클라이언트의 운용지시정보에 따라 해당 기업 클라이언트의 부담금을 통해 연금운용 상품에 대한 매수 또는 매각을 수행하여 기업 클라이언트의 연금 자산을 관리하며,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의 연금 송금 지시에 따라 해당 가입자에게 송금을 처리하는 자산관리기관 서버;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로 연금운용 상품 정보를 제공하며, 운용되고 있는 연금운용 상품에 대한 운용 및 평가 정보를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상품제공기관 서버; 및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 자산관리기관 서버, 상품제공기관 서버에서 관리되는 기업 및 가입자의 정보와 적립되는 부담금 및 급여 지급에 관한 기록을 관리 및 제공하며,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운용 지시 정보를 접수하여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로부터의 연금운용 상품에 대한 운용 및 평가 정보를 기업 클라이언트에 제공하는 공동기록관리 서버;
    를 포함하되,
    자산 관리를 위하여,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가 기업 부금의 운용을 위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된 자산 운용방법 및 비율을 포함하는 운용지시 정보를 공동기록관리 서버를 통해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가 기업 자산의 자산관리기관 내 재분배를 위해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지시 정보를 운용관리기관 서버를 통해 자산관리기관 서버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가 기업 자산의 자산관리기관 간 이전을 위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자금이동 지시 정보를 운용관리기관 서버를 통해 이전 전후의 자산관리기관 서버들에 전송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함으로써 자산관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는 상기 운용지시, 스위칭 지시 및 자금이동 지시에 따른 상품매매의 잔고 데이터를 등록하고, 운용 관리에 따른 운용관리 수수료와 자산관리에 따른 자산관리 수수료를 계산하며, 웹을 통해 접속된 기업 클라이언트의 수급자 급부금 조회에 따라 해당 수급자의 급부금을 계산하여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는,
    상기 기업 클라이언트 및 가입자 클라이언트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웹 서버;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와의 접속을 위한 대외계 서버; 및
    상기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의 공동기록 데이터가 저장관리되는 DB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는,
    기업과 체결한 계약정보를 처리하고 기록하는 계약 체결부;
    상기 계약 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된 가입자의 정보가 등록, 변경되는 경우 이를 처리하고 기록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계약 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된 기업의 부금수납 정보에 따라 수납되는 부금을 확인 및 처리하고 기록하는 부금수납관리부;
    상기 계약 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된 수급자 정보 및 해당 수급자에 대한 급부금 정보를 관리하고 기록하는 수급자관리부;
    상기 계약 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된 운용지시 정보에 따라 운영된 실제적립금의 손익검증을 수행하고 기록하는 재정결산부; 및
    상기 계약 체결부, 가입자 관리부, 부금수납관리부, 수급자관리부 및 재정결산부를 제어하고 관리하는 공통관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는,
    기업의 연금운용에 대한 시산 정보를 처리하는 기업시산부;
    상기 기업시산부에서 처리된 시산 정보를 기업 클라이언트에 제공하고 해당 기업 클라이언트와 체결한 계약정보를 처리하는 계약체결부;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되는 기업의 정보가 등록, 변경되는 경우 이를 처리하는 기업관리부;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되는 기업의 부금수납 정보에 따라 수납되는 부금을 확인 및 처리하고 관리하는 부금수납관리부;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되는 기업이 급여에 충당해야 될 자산에 대해 자산관리를 수행하는 자산관리부;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되는 수급자 정보 및 해당 수급자에 대한 급부금 정보를 관리하는 수급자관리부;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기록된 계약정보에 포함되는 운용지시 정보에 따라 운용된 실제적립금의 손익검증을 수행하는 재정결산부; 및
    상기 계약체결부를 통해 이루어진 계약에 대한 해약관련 정보를 처리하고 해약 수속을 수행하는 해약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산관리기관서버는,
    기업의 자산 및 기업이 급여에 충당해야 될 자산을 관리하는 자산관리부;
    상기 자산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자산에 대한 입출금 정보를 처리하고 관리하는 입출금정보관리부; 및
    상기 자산관리부에서 관리되는 자산을 통해 매수된 구매상품에 대한 자금을 결제하는 구매자금 결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는,
    자산운용 상품에 대한 약정처리 및 수익분배를 수행하는 약정처리/수익분배부;
    상기 약정처리/수익분배부를 통해 약정된 자산운용 상품의 매매에 따른 입출금을 처리하는 상품매매 입출금처리부; 및
    상기 약정처리/수익분배부를 통해 약정된 자산운용 상품에 대한 기준가격을 산출하는 기준가격 산출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10. 청구항 제1항, 제4항,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에서 처리되는 퇴직연금 운영 방법으로서, 상호 연동하는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와 상기 운용관리기관 서버에서,
    기업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신규 계약 정보를 수신하여 계약수속을 수행하는 계약체결 단계;
    가입자의 정보가 등록, 변경될 때 이 내용을 처리하는 가입자관리 단계;
    기업으로부터 입금되는 부금수납내역을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를 통해 확인하고 해당 기업의 수납내역을 관리하는 부금수납관리 단계;
    기업이 급여에 충당하는 자산에 대하여, 기업 부금의 운용을 위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된 자산 운용방법 및 비율을 포함하는 운용지시 정보, 기업 자산의 자산관리기관 내 재분배를 위해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지시 정보 및 기업 자산의 자산관리기관 간 이전을 위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공되는 자금이동 지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자산관리를 수행하는 자산관리 단계;
    가입 자격상실자에 대한 급부금을 관리하는 수급자 관리 단계;
    실제적립금에 대한 손익검증을 수행하는 재정결산 단계; 및
    기업 클라이언트의 해약요청에 따라 해약의 수속을 실시하는 해약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는 상기 운용지시, 스위칭 지시 및 자금이동 지시에 따른 상품매매의 잔고 데이터를 등록하고, 운용 관리에 따른 운용관리 수수료와 자산관리에 따른 자산관리 수수료를 계산하며, 웹을 통해 접속된 기업 클라이언트의 수급자 급부금 조회에 따라 해당 수급자의 급부금을 계산하여 응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관리 단계는,
    기업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신규로 가입자격 기준을 갖는 종업원에 대한 등록 요청이나, 부금 및 급부액 산정에 급여를 사용하는 가입자에 대한 기준급여의 변경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해당 정보를 반영하여 처리하는 가입자 변경처리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추가로 가입시킨 신규 가입자격 기준을 갖는 종업원에 대한 정보를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기록된 기존 데이터와 일괄 체크 후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처리 정보를 추가로 기록하는 추가가입 단계;
    부금, 급부액 산정에 급여를 사용하는 제도 가입자에 대한 기준급여 변경시 공동기록관리 서버의 기존 데이터와 일괄 체크 후 변경 정보를 처리하여 처리 정보를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기록하는 급여갱신 단계;
    가입자 변경 정보를 확인한 기업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가입자 정보 정정 통지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처리하는 가입자정보 정정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도 내 이동 통지를 수신하여 해당 정보를 처리하는 제도 내 이동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제도 간 이동 통지를 수신하여 전입 또는 전출 처리를 하고, 처리 정보를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품제공기관 서버로 전송하는 제도 간 이동(전입 및 전출) 단계;
    휴복직 신청을 확인한 기업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가입자 이동 통지를 수신하여 휴복직 처리를 하는 휴/복직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자격상실 통지를 수신하여 가입자 자격 상실을 처리하는 가입자격상실 단계;
    공동기록관리 서버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취득하여 기업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가입자 명부 작성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부금수납 관리 단계는,
    공동기록관리 서버에서 계산된 기업 납입 부금을 조회하고 기업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부금안내 단계;
    기업의 부금 납입을 확인한 자산관리기관 서버로부터 공동기록관리 서버로 납입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부금수납 단계; 및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납입 주기 변경 신청이 있는 경우, 납입 주기를 변경 처리하는 납입주기 변경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급자 관리 단계는,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급부금 조회 의뢰를 수신하여 조회 여부를 판단하고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급부금을 조회하여 해당 정보를 기업 클라이언트 또는 가입자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급부금 조회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 또는 가입자 클라이언트로부터 급부금 신청을 수신하고 급부금을 확인하여 해당 정보를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기업 클라이언트 또는 가입자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하는 급부금 신청(일시금 또는 연금)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의 급부금 연기 신청을 확인한 기업으로부터 급부금 수급 연기 통지를 수신하여 연기 여부를 판단하여 연기 처리를 하는 급부금 수급 연기 단계;
    가입자의 급부금 추가 신청을 확인한 기업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금부금 추가 지불 의뢰를 수신하고, 추가 지불 여부를 판단하여 추가 급부금을 조회하고 해당 정보를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기업 또는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추가 지불(일시금 또는 연금) 단계;
    수급자에 대한 연금 지불을 처리하고, 처리 정보를 자산관리기관 및 기업 또는 가입자에게 통지하는 연금지불 단계;
    수급자가 일시금 급부를 신청하는 경우, 일시금 급부 정보를 처리하고 자산관리기관 서버에 일시금 지급 정보를 전송하는 변경 판정 단계;
    수급자가 사망할 경우, 연금 지급 중지 정보를 처리하는 실권(수급권자 사망) 단계;
    수급자 사망시 수급자를 유족에게 계승하는 경우, 수급자 변경 정보를 처리하는 사망에 의한 수급자 변경 단계;
    수급자에 관한 정보에 변경이 발생했을 경우, 가입자 클라이언트나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변경 정보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반영하여 처리하는 수급자 정보 정정 단계;
    가입자 기간이나 수급연기 기간의 만료에 따른 판정 대상자 정보를 처리하여 기업 클라이언트에게 통지하는 판정 대상자 일람 작성 단계;
    시효가 완료된 대상자를 판정해 기업 클라이언트에 통지하는 시효 단계;
    상기 자산관리기관이 수급자들로부터 공제한 세금부분에 대하여 조세업무를 처리하는 조세관련 단계;
    퇴직금에 압류가 설정되어 있는 가입자로의 지급 여부를 처리하는 압류지급(가입자) 단계;
    압류 건에 대해 채권자가 지급신청시 지급 여부를 처리하는 압류지급(채권자) 단계; 및
    지급불능 건을 재처리하는 지급불능건 처리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재정결산 단계는,
    운용관리 수수료를 계산하고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와 함께 회계 및 송금 처리를 하여 기업납입 부금 내역에 반영하여 징수하는 운용관리 수수료 계산 단계;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자산관리 수수료를 계산하여 기업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고 입금 확인을 통해 기업으로부터 전산관리 수수료를 징수하는 자산관리 수수료 계산 단계;
    정기 또는 임시 재정결산을 시행할 대상기업을 선정하고, 해당 기업의 최근 명부를 등록하고, 책임준비금과 실적립자산을 비교하여 재정상태의 적정성을 파악하고, 결산처리를 하고 재정결산 실행결과를 현 재정에 반영하는 재정결산 보고 단계;
    재정결산시 책임준비금과 적립금의 차이 중 규정이상의 적립금이 발생하면 이를 리펀드(refund) 처리하고, 이를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회계 및 송금 처리하는 초과 적립금 반환 단계;
    사업년도말에 전체 보유계약의 수지 결산 처리를 실시하여 결산정보를 산출하는 사업년도말 결산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연금자산 잔고를 수신하여 잔고계산 및 수지데이터를 집계하여 연금자산정보를 산출하는 연금 자산 잔고 보고서 작성 단계; 및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자산 잔고 및 운용 현황을 수신하여 잔고 및 수익을 계산하여 연금자산 운용현황 정보를 산출하는 연금 자산 운용현황 보고서 작성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방법.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해약 단계는,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해약 의뢰를 받아, 해약 정보를 조회하는 해약 조회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해약 의뢰를 받아, 해약 정보를 판정하고 해약을 실행하며,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는 상기 해약정보를 수신하여 회계 및 송금 처리를 수행하는 해약 실행 단계; 및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계약이전 의뢰를 받아, 계약 이전을 실행하고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는 수지 데이터를 회계 및 송금 처리하는 계약이전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방법.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은,
    기업의 정보가 등록, 변경될 때 이 내용을 처리하는 기업관리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
  17. 삭제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자산관리 단계는,
    기업 클라이언트로부터 연금 자산 현황에 대한 조회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연금 자산 현황 정보를 조회하는 연금자산조회 단계;
    연금자산의 운용방법 및 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등록/변경하는 운용방법 및 비율 등록/변경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운용되는 자산을 재분배 처리하는 스위칭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에서 연금자산의 분배를 변경하는 자산관리기관 연금자산 이전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해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에 입금된 부금에 대한 운용 지시를 전송하여 운용 상품을 매수하는 매수 단계;
    지급지시가 있는 경우,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 및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에 운용 지시를 전송하여 운용 상품을 매각하는 매각 단계;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와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에서 잔고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하고 상기 공동기록관리 서버에 기록하는 잔고 데이타 연동 단계;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로 매각지시를 전송하고,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로부터 매각결과와 입금결과를 확인하는 상품매각 단계; 및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로 매수지시를 전송하고, 상기 자산관리기관 서버로부터 매수결과를 확인하는 상품매수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
  19.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은,
    신규신청에 대한 시산정보를 처리하는 시산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시산 단계는,
    신규 시산의뢰 정보를 수신하여 제도설계를 통해 부담금 및 시산 정보를 산출하는 신규시산 단계;
    기업 클라이언트가 제도변경 시산을 요청한 경우, 제도변경 정보를 반영하여 재시산을 수행하는 제도변경 시산 단계;
    예정기초율 및 계약 사항을 변경하여 부담금을 개정 처리하는 재계산 단계; 및
    기업에 대한 퇴직 연금을 진단한 정보를 처리하고 기록하는 진단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
  2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은,
    상기 상품제공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품의 속성을 등록하는 상품관리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방법.
KR1020050099955A 2005-10-22 2005-10-22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0968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955A KR100968861B1 (ko) 2005-10-22 2005-10-22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955A KR100968861B1 (ko) 2005-10-22 2005-10-22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916A KR20070043916A (ko) 2007-04-26
KR100968861B1 true KR100968861B1 (ko) 2010-07-09

Family

ID=3817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955A KR100968861B1 (ko) 2005-10-22 2005-10-22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8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056A (ko) 2013-12-26 2015-07-06 유한회사 딜로그 퇴직부채 결산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장치의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649B1 (ko) * 2007-05-29 2009-07-27 주식회사 신한은행 세금환급금 담보 대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KR101460586B1 (ko) * 2012-11-16 2014-11-13 대우증권 주식회사 연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42722B1 (ko) * 2018-07-16 2024-02-29 김낙주 유휴 연구개발 정부자금을 활용한 직원복지증진 연금보험상품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70A (ja) * 1993-06-18 1995-01-24 Hitachi Ltd 年金処理システム
JP2003044681A (ja) * 2001-07-31 2003-02-14 Pfps Research Corp 確定拠出型年金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30029606A (ko) * 2003-03-31 2003-04-14 설동광 개인연금상품을 이용한 인터넷 금융대출 서비스 시스템
KR20040000823A (ko) * 2002-06-25 2004-01-07 인피언컨설팅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보험증권 발급/보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270A (ja) * 1993-06-18 1995-01-24 Hitachi Ltd 年金処理システム
JP2003044681A (ja) * 2001-07-31 2003-02-14 Pfps Research Corp 確定拠出型年金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40000823A (ko) * 2002-06-25 2004-01-07 인피언컨설팅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보험증권 발급/보관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29606A (ko) * 2003-03-31 2003-04-14 설동광 개인연금상품을 이용한 인터넷 금융대출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056A (ko) 2013-12-26 2015-07-06 유한회사 딜로그 퇴직부채 결산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장치의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916A (ko)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87768A1 (en) Virtual finance/insurance company
US20020178102A1 (en) Margin release system for an electronic-based market
US20040167850A1 (en) Method of refinancing a mortgage loan and a closing package for same
US200700672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vancing funds
CA220989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isk transfer and diversification through the use of assurance accounts
JP2005524125A (ja) 再保険をプレース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11501315A (ja) 取引注文執行の責任を割り当て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2750594A (zh) 企业内部会计控制方法
US20040177029A1 (en) Computer-system for Shariah-compliant computer-aided method for securing a Shariah-compliant credit enhancement
KR100968861B1 (ko)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0961725B1 (ko)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운영방법 및 시스템
US20040107152A1 (en) Investment grade shari&#39;ah (Islamic) compliant financial product
Grody et al. Operational risk and reference data: Exploring costs, capital requirements and risk mitigation
Gordon Chairman's Report
WO2001027832A1 (en) A system and method facilitating mortgage banking and related real estate services
KR20070022245A (ko) 자금을 선급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01098957A2 (en) Financial transac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No Federal Reserve System
KR20060086399A (ko) 글로벌 청산 연계
ki Rasoi RFP No. IN-BRLPS-XXXXXX-CS-QCBS
DISTRICT Commission Meeting
WO2014140685A1 (en) Unit bank guarantee &amp; credit guarantee circulation &amp; management platform
LUXEMBOURG DETAILED ASSESSMENT OF OBSERVANCE
Fallon Advance Pricing Agreements
TO United States Bankruptcy Court District of Arizo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