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651B1 -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 Google Patents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651B1
KR100968651B1 KR1020070125204A KR20070125204A KR100968651B1 KR 100968651 B1 KR100968651 B1 KR 100968651B1 KR 1020070125204 A KR1020070125204 A KR 1020070125204A KR 20070125204 A KR20070125204 A KR 20070125204A KR 100968651 B1 KR100968651 B1 KR 100968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am
loading
drive plate
work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432A (ko
Inventor
엄만용
Original Assignee
엄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만용 filed Critical 엄만용
Priority to KR102007012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6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8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sl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2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생산라인의 각 공작기계 사이에 설치되는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 단면과 외주면에 제1·제2캠홈(21)(22)을 형성한 원통캠(20)과, 상기 원통캠(20)의 제1·제2캠홈(21)(22)에 각각 유도되어 회전각운동을 하는 제1·제2로드(31)(32)와, 상기 제1·제2로드(31)(32)의 일측단에 작동가능토록 체결하여 회전각운동을 직교하는 두 방향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제2슬라이더(40)(50)와, 상기 제1·제2슬라이더(40)(50)에 대하여 각각 연동하도록 한 적하구동판(45) 및 이송구동판(55)과, 상기 적하구동판(45) 및 이송구동판(55)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좌우로 구동하는 핑거설치대(60)를 포함하는 공작물 이송적하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이송장치부와 적하장치부를 일체화하여 일괄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이송 및 적하 작동이 상호 간섭을 회피함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항상 일정한 작동을 하도록 상호 구속됨에 따라 별도의 제어센서를 필요치 않고도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며, 종래에 대비하여 작업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그 작업을 신속히 할 수 있는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70125204
자동화라인, 공작기계, 이송장치, 적하장치, 로더, 로딩, 운반

Description

공작물 이송적하장치{TRANSFER AND LOADING DEVICE FOR PRODUCTS}
본 발명은 자동화 생산라인에 배치된 각 공작기계에 공작물을 이송 및 적하하는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측 단면과 외주면에 복수개의 캠홈을 형성한 원통캠 및 상기 복수개의 캠홈에 각각 유도되어 원통캠의 회전운동을 회전각운동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로드와, 상기 각 로드의 일측단에 체결되어 로드의 회전각운동을 직교하는 두 방향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 및 그와 연동하는 한 쌍의 구동판과, 상기 구동판들의 작동에 의하여 상하좌우로 구동하는 핑거설치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원통캠이 1회전 하는 것을 주기로 공작물을 이송 및 적하하는 두 가지 작동을 신속하고 정확히 할 수 있도록 한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화 생산라인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공정을 수행하는 다수의 공작기계(M)와, 상기 각 공작기계(M) 사이에 공작물(500)을 이송하는 이송장치(100) 및 상기 이송된 공작물(500)을 공작기계(M)의 작업대에 올려놓거나 작업이 완료된 공작물(500)을 이송장치(100)로 내려놓는 적하장치(200)를 구비하 며, 상기 적하장치(200)의 선단에는 공작물(500)을 잡을 수 있도록 핑거장치(250)를 장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자동화 생산라인에 있어 이송장치(100)와 적하장치(200) 및 핑거장치(250)에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들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송장치(100)의 경우 체인과 스프라켓을 이용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공작물(500)이 안착된 벨트로 전달하는 컨베이어라인이 대부분이고, 적하장치(200)의 경우에는 주로 공압실런더를 이용한 공압로더를 주로 사용하며, 핑거장치(250)의 경우에는 공압실런더를 이용한 집게형 핑거 또는 공기흡입력을 이용한 흡입반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화 생산라인에 구비된 공작물 이송장치(100) 및 적하장치(200)의 경우, 이송 및 적하 공정이 각각의 이송장치(100)와 적하장치(200)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일괄적인 제어가 어렵고, 특히 공작기계(M)와 이송장치(100)의 사이에서 공작물(500)을 안전하게 적하하기 위해서는 공작물(500)의 정위치와 공작기계(M) 및 이송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를 필요하며, 한편으론 각각의 공작기계(M)에 대하여 공작물(500)을 적재-가공-하역-이송하는 공정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공정관리의 측면에서 그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공작물 이송장치와 적하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송장치와 적하장치를 일체화하여 공작물의 이송 및 적하 작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이송 및 적하 작동이 상호 간섭을 회피함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항상 일정한 작동을 하도록 상호 구속함으로써 이송 및 적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필요치 않으며, 공작물의 이송 및 적하 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작동을 구현하여 궁극적으로는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공작물 이송적하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이송적하장치는, 일측 단면과 외주면에 복수개의 캠홈을 형성한 원통캠과, 상기 원통캠이 설치되는 캠박스에 일측단을 힌지체결하되 상기 원통캠에 형성한 복수개의 캠홈에 중간 부분이 각각 유도되도록 하여 다른 일측단이 회전각운동을 하도록 한 한 쌍의 로드와, 상기 회전각운동을 하는 각 로드의 일측단에 작동가능토록 체결하되 통상의 가이드부재에 안내되도록 하여 회전각운동을 직교하는 두 방향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한 쌍의 슬라이더와, 상기 일측 슬라이더에 연동하여 상하로 작동하되 상측에 가변레일을 형성한 적하구동판과, 다른 일측 슬라이더에 연동하여 좌우로 작동하되 일측면에 롤러를 형성한 이송구동판과, 슬라이딩부재를 저면에 형성하여 상기 적하 구동판에 형성한 가변레일에 유도되도록 설치하되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구동판의 롤러가 삽입되는 종방향의 슬롯을 형성한 핑거설치대를 포함하는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측 슬라이더와 적하구동판을 연동하도록 함에 있어, 상기 일측 슬라이더 및 적하구동판의 대항면에 각각 래크기어를 형성하되, 상기 대항하는 래크기어 사이에 하나 이상의 피니언을 조합함으로써, 일측 슬라이더와 연동하는 적하구동판의 작동방향이나 작동의 범위 및 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구성을 부가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일측 슬라이더에 이송구동판을 연동하도록 함에 있어, 상기 다른 일측 슬라이더에 래크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래크기어와 치합되는 원동기어를 일측에 형성함과 아울러 타측에는 종동기어를 형성한 통상의 증속기어박스를 형성하며, 상기 증속기어박스의 종동기어에 치합되는 장축(長軸)의 레크레일을 상기 이송구동판에 형성함으로써, 짧은 구간을 왕복하는 슬라이더의 구동력으로 이송구동판이 긴 구간을 고속 왕복하도록 한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구성을 부가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공작물을 이송 및 적하하는 두 가지 작동이 단일 원통캠에 의하여 유도됨으로써, 이송장치와 적하장치를 일체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공작물의 이송 및 적하 작업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송작동과 적하작동이 단일 원통캠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항상 일정하게 구속되므로 두 작동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필요치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동화 생상라인의 각 공작기계에 설치하여 운용함에 있어, 일측 공작기계에 대한 공작물의 하역작업이 인접한 다른 공작기계에 대한 이송작업 및 적재작업이 되므로, 종래 각 공작기계에 대한 공정이 적재-가공-하역-이송의 공정을 반복하는 것에서 적재-가공 공정으로 단순화됨에 따라 공정관리적 측면에서 생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라이더와 구동판을 연동하도록 함에 있어 래크와 피어언 또는 증속기어박스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부가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공작물의 이송 및 적하 작동의 방향과 범위 및 속도를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작업을 신속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구성을 하기에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되, 캠장치부, 적하장치부 및 이송장치부, 핑거설치부로 나누어 상세히 살펴본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적하장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이송장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로서, 상기 각 도면에서 적하장치부와 이송장치부를 구분하여 표현하였으나 실제로는 동일 공간에서 상호 간섭을 회피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에 있어 캠장치부의 구성을 우선 살펴보면, 캠박스(10)의 내부에 통상적인 외부 동력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원통캠(20)을 형성하되, 상기 원통캠(20)의 일측 단면에는 제1캠홈(21)을 형성함과 아울러 원통캠(20)의 외주면에는 제2캠홈(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캠박스(10)의 일측에는 제1·제2로드(31)(32)의 일측을 힌지체결하되, 상기 제1·제2로드(31)(32)의 중간 부분에는 각각 안내롤러(33)(35)를 형성하여 제1로드(31)에 형성한 안내롤러(33)는 원통캠(20)의 일측 단면에 형성한 제1캠홈(21)에 삽입되도록 하고, 제2로드(32)에 형성한 안내롤러(35)는 원통캠(20)의 외주면에 형성한 제2캠홈(22)에 삽입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캠박스(10)에는 제1·제2로드(31)(32)에 형성한 안내롤러(33)(35)의 작동을 각각 가이드하는 한 쌍의 안내홈(11)(12)을 형성한다.
즉, 제1로드(31)에 형성한 안내롤러(33)의 일측은 제1캠홈(21)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안내롤러(33)의 타측은 캠박스(10)에 형성한 일측 안내홈(11)에 삽입됨으로써 원통캠(20)의 회전시 상기 안내롤러(33)가 제1캠홈(21)에 유도되어 작동함에 있어 상기 일측의 안내홈(11)에 가이드 되어 흔들림이 없이 상하방향으로만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고, 제2로드(32)에 형성한 다른 안내롤러(35)의 일측은 제2캠홈(22)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다른 안내롤러(35)의 타측은 캠박스(10)에 형성한 다른 일측의 안내홈(12)에 삽입됨으로써 원통캠(20)의 회전시 상기 안내롤러(35)가 제2캠홈(22)에 유도되어 작동함에 있어 상기 다른 일측의 안내홈(12)에 가이드 되어 흔들림이 없이 좌우방향으로만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제2로드(31)(32)는 캠박스(10)의 일측에 힌지체결함에 있어 그 회전중심(C1)(C2)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여 원통캠(20)의 구동에 따른 제1·제2로드(31)(32)의 회전각운동의 범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바, 캠박스(10)의 일측에 고정블록(15)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블록(15)에 일측면이 접하여 안내되는 한 쌍의 힌지블록(16a)(16b)을 형성하여 상기 힌지블록(16a)(16b)에 제1·제2로드(31)(32)의 일측단을 각각 힌지체결하되, 상기 힌지블록(16a)(16b)은 고정블록(15)에 형성한 한 쌍의 위치조절나사(17a)(17b)에 의하여 그 위치를 각각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힌지블록(16a)(16b)에 형성되는 제1·제2로드(31)(32)의 회전중심(C1)(C2)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제2로드(31)(3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힌지블록(16a)(16b)에 직접 힌지체결하지 않고 별도의 회전블록(18a)(18b)을 이용하여 힌지체결 하는바, 각 힌지블록(16a)(16b)에 회전블록(18a)(18b)을 회전가능토록 힌지체결하는 한편 상기 각 회전블록(16a)(16b)에는 미끄럼홈(19a)(19b)을 형성하여 상기 미끄럼홈(19a)(19b)에 제1·제2로드(31)(32)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유동적으로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제2로드(31)(32)의 회전각운동시 가상의 회전중심(C1)(C2)과 안내롤러(33)(35) 사이의 거리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제1·제2로드(31)(32)에 형성된 안내롤러(33)(35)에서 회전중심(C1)(C2)까지의 거리는 상기 안내롤러(33)(35)가 안내홈(11)(12)의 양측단에 위치하는가 혹은 가운데에 위치하는가에 따라 거리가 다르지만, 제1·제2로드(31)(32)의 회전각운동시 상기 제1·제2로드(31)(32)가 회전블록(18a)(18b)의 미끄럼홈(19a)(19b)에서 슬라이딩 되므로 원활한 회전각운동이 가능하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적하장치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1로드(31)의 종단에 제1슬라이드(40)를 작동가능토록 체결하되 상기 제1슬라이드(40)는 가이드부재(42)에 의하여 상하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로드(31)의 회전각운동이 제1슬라이더(40)의 상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1슬라이더(40)와 연동하는 적하구동판(45)을 형성하되 상기 적하구동판(45)의 상측에는 가변레일(48)을 형성하여 적하구동판(45)과 가변레일(48)이 함께 상하로 작동한다.
한편, 상기 제1슬라이더(40)와 적하구동판(45)은 단일 구성으로 형성하여 연동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통상적인 동력전달수단으로써 상호 연동하도록 할 수도 있는바, 상기 제1슬라이더(40)에 대항하여 적하구동판(45)을 다른 가이드부재(47)로써 상하 이송할 수 있도록 형성하되, 상기 제1슬라이더(40)와 적하구동판(45)의 마주하는 대항면에 래크기어(41)(46)를 각각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대항하는 래크기어(41)(46)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니언(43)을 형성하여 치합함으로써, 제1슬라이더(40)에 대하여 적하구동판(45)의 구동방향이나 구동범위 및 구동속도에 변화를 줄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이송장치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2로드(32)의 종단에 제2슬라이드(50)를 작동가능토록 체결하되 상기 제2슬라이드(50)는 가이드부재(52)에 의하여 좌우로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로드(32)의 회전각운동이 제2슬라이더(50)의 좌우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슬라이더(50)와 연동하는 이송구동판(55)을 형성하되 상기 이송구동판(55)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롤러(58)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2슬라이더(50)와 이송구동판(55)은 단일 구성으로 형성하여 연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인 자동화 생산라인에 있어 각 공작기계간 거리를 감안하여 보다 먼 구간을 고속으로 왕복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슬라이더(50)와 이송구동판(55)을 별개로 구성하되 증속기어박스(53)를 포함한 통상적인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하여 제2슬라이더(50)와 이송구동판(55)이 상호 연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한바, 상기 제2슬라이더(50)의 일측에 래크기어(51)를 형성하고, 일측의 원동기어(54a)로 입력된 회전력을 타측의 종동기어(54b)로 증속하여 출력하는 증속기어박스(53)를 형성하되 증속기어박스(53)의 원동기어(54a)가 상기 제2슬라이더(50)의 래크기어(51)에 치합하도록 하며, 상기 이송구동판(55)의 일측에는 증속기어박스(53)의 종동기어(54b)와 치합하는 장축(長軸)의 래크레일(56)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구동판(55)의 일측에는 고정설치된 가이드레일(59)에 안내되는 슬라이딩부재(57)를 형성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핑거설치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적하구동판(45)의 상측에 형성한 가변레일(48)에 안내되는 다른 슬라이딩부재(61)를 핑거설치대(60)의 저면에 형성하고, 상기 핑거설치대(60)의 일측에는 상기 이송구동판(55)에 형성한 다수의 롤러(58)가 삽입되는 종방향의 슬롯(6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적하구동판(45)의 작동에 의하여 핑거설치대(60)가 상하로 작동하는 동안에도 이송구동판(55)의 작동에 의하여 핑거설치대(60)가 좌우로 고속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70'은 상기 핑거설치대(60)의 상측에 설치되는 통상의 핑거장치(70)이고, '80'은 가이드레일(59)을 고정하는 레일거치대(80)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작용을 하기에서 살펴보면, 외부의 동력원에 의하여 원통캠(20)이 회전하면 상기 원통캠(20)의 제1·제2캠홈(21)(22)에 의하여 유도되어 제1·제2로드(31)(32)가 회전각운동을 함과 아울러 상기 제1·제2로드(31)(32)의 일측단에 각각 체결된 제1·제2슬라이더(40)(50)가 직교하는 두 방향의 직선왕복운동을 하는바, 이때 래크기어(41)(46)와 피니언(43)의 조합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더(40)와 연동하는 적하구동판(45)의 상하구동에 따라 적하구동판(45)에 형성한 가변레일(48)에 설치된 핑거설치대(60)가 상하로 작동함으로써 상기 핑거설치대(60)에 형성한 핑거장치(70)가 공작물을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고, 그와 동시에 증속기어박스(53)에 의하여 제2슬라이더(50)로부터 증속된 구동력을 전달받는 이송구동판(55)이 좌우로 고속왕복함에 따라 상기 이송구동판(55)에 형성한 롤러(58)가 삽입된 핑거설치대(60) 또한 좌우로 고속왕복 함으로써 상기 핑거설치대(60)에 형성한 핑거장치(70)가 공작물을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작용을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살펴보되, 캠장치부·적하장치부·이송장치부·핑거장부의 세부적인 작용은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고, 각부의 전체적인 작용은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 및 도 9는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최초,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박스(10)에 내장된 원통캠(20)이 외부의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원통캠(20)의 제1캠홈(21)에 의하여 유도되는 제1로드(31)가 회전각운동을 하여 상승함에 따라 적하장치부의 제1슬라이더(40)가 상승하고, 제1슬라이더(40)의 일측에 형성한 래크기어(41)와 치합된 피니언(43)이 회전함에 따라 다른 래크기어(46)를 일측에 형성하여 피니언(43)과 치합된 적하구동판(45)이 하강하며, 이와 함께 상기 적하구동판(45)의 상측에 형성한 가변레일(48)이 하강함에 따라 가변레일(48)에 안착된 핑거설치대(60)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핑거설치대(60)에 설치한 핑거장치(70)가 공작기계(M1)에서 가공된 공작물(P)을 잡을 수 있다.
이때, 이송장치부의 작용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캠(20)의 제2캠홈(22)에 의하여 유도되는 제2로드(32)가 회전각운동을 함에 따라 제2슬라이더(50)가 이송하되 도 7의 도시와 같이 일측 끝단으로 제2슬라이더(50)가 이송하고, 상기 제2슬라이더(50)의 일측에 형성한 래크기어(51)와 치합된 증속기어박스(53)의 원동기어(54a)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증속기어박스(53)의 종동기어(54b)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종동기어(54b)와 치합된 래크레일(56)이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며, 이와 함께 상기 래크레일(56)이 부착된 이송구동판(55)이 레일거치대(80)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59)에 안내되어 다른 일측의 끝단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이송구동판(55)의 롤러(58)가 삽입된 핑거설치대(60)가 일측의 공작기계(M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핑거설치대(60)의 핑거장치(70)가 일측 공작기계(M1)에서 가공된 공작물(P)을 잡은 후,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캠(20)이 더 회전하여 제1로드(31)가 하강하면 적하장치부의 제1슬라이더(40)가 하강하고, 제1슬라이더(40)의 일측에 형성한 래크기어(41)와 치합된 피니언(43)이 회전함에 따라 다른 래크기어(46)를 일측에 형성하여 피니언(43)과 치합된 적하구동판(45)이 상승하며, 이와 함께 상기 적하구동판(45)의 상측에 형성한 가변레일(48)이 상승함에 따라 가변레일(48)에 안착된 핑거설치대(60)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핑거설치대(60)의 핑거장치(70)가 공작물(P)을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핑거설치대(60)의 일측면에 형성한 슬롯(63)에 이송구동판(55)의 롤러(58)가 삽입됨에 따라 핑거설치대(60)의 상승 또는 하강 작용은 상하 방향으로 고정된 이송구동판(55)에 방해받지 않는다.
이후, 원통캠(20)이 계속 회전하여 제2로드(32)의 회전각운동에 따라 제2슬라이더(50)가 도 9의 도시와 같이 일측의 끝단으로 이송하고, 상기 제2슬라이더(50)의 일측에 형성한 래크기어(51)와 치합된 증속기어박스(53)의 원동기어(54a)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증속기어박스(53)의 종동기어(54b)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종동기어(54b)와 치합된 래크레일(56)이 반대 방향으로 이송하며, 이와 함께 상기 래크레일(56)이 부착된 이송구동판(55)이 레일거치대(80)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59)에 안내되어 다른 일측의 끝단으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이송구동판(55)의 롤러(58)가 삽입된 핑거설치대(60)가 다른 일측의 공작기계(M2)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핑거장치(70)를 설치한 핑거설치대(60)가 다른 일측의 공작기계(M2)에 위치한 후, 계속된 원통캠(20)의 회전에 따라 핑거설치대(60)가 하강 및 상승한 후 처음의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다수의 공작기계 사이에서 공작물을 이송 및 적하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공작물 이송장치 및 적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적하장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적하장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이송장치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이송장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공작물 이송적하장치의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캠박스 16a, 16b: 힌지블록 18a, 18b: 회전블록
20: 원통캠 21: 제1캠홈 22: 제2캠홈
31: 제1로드 32: 제2로드 33, 35: 안내롤러
40: 제1슬라이더 41, 46: 래크기어 42, 47: 가이드부재
43: 피니언 45: 적하구동판 48: 가변레일
50: 제2슬라이더 51: 래크기어 52: 가이드부재
53: 증속기어박스 54a: 원동기어 54b: 종동기어
55: 이송구동판 56: 래크레일 58: 롤러
60: 핑거실치대 61: 슬라이딩부재 63: 슬롯
70: 핑거장치 80: 레일거치대 C1, C2: 회전중심
M1, M2: 공작기계 P: 공작물

Claims (4)

  1. 일측 단면과 외주면에 제1·제2캠홈(21)(22)을 형성한 원통캠(20)과; 상기 원통캠(20)이 설치되는 캠박스(10)에 일측단을 힌지체결하되 상기 원통캠(20)의 제1·제2캠홈(21)(22)에 중간 부분이 각각 유도되도록 하여 다른 일측단이 회전각운동을 하도록 한 제1·제2로드(31)(32)와; 상기 회전각운동을 하는 제1·제2로드(31)(32)의 일측단에 작동가능토록 각각 체결하되 통상의 가이드부재(42)(52)에 안내되도록 하여 회전각운동을 직교하는 두 방향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하는 제1·제2슬라이더(40)(50)와; 상기 제1슬라이더(40)에 연동하여 상하로 작동하되 상측에 가변레일(48)을 형성한 적하구동판(45)과; 상기 제2슬라이더(50)에 연동하여 좌우로 작동하되 일측면에 롤러(58)를 형성한 이송구동판(55)과; 슬라이딩부재(61)를 저면에 형성하여 상기 적하구동판(45)에 형성한 가변레일(48)에 유도되도록 설치하되 일측면에는 상기 이송구동판(55)의 롤러(58)가 삽입되는 종방향의 슬롯(63)을 형성한 핑거설치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더(40) 및 적하구동판(45)의 대항면에 각각 래크기어(41)(46)를 형성하되, 상기 대항하는 래크기어(41)(46) 사이에 하나 이상의 피니언(43)을 조합함으로써, 제1슬라이더(40)에 대하여 적하구동판(45)의 작동방향과 작동범위 및 작동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더(50)에 래크기어(51)를 형성하고, 상기 래크기어(51)와 치합되는 원동기어(54a)를 일측에 형성함과 아울러 타측에는 종동기어(54b)를 형성한 통상의 증속기어박스(53)를 형성하며, 상기 증속기어박스(53)의 종동기어(54b)에 치합되는 장축(長軸)의 레크레일(56)을 상기 이송구동판(55)에 형성함으로써, 제2슬라이더(5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 이송구동판(55)이 긴 구간을 고속으로 왕복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캠박스(10)의 일측에 고정블록(15)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블록(15)에 일측면이 접하여 안내되는 한 쌍의 힌지블록(16a)(16b)을 형성하되 고정블록(15)에 형성한 한 쌍의 위치조절나사(17a)(17b)에 의하여 상기 각 힌지블록(16a)(16b)의 위치를 조절하여 회전중심(C1)(C2)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힌지블록(16a)(16b)에 힌지체결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블록(18a)(18b)에는 각각 미끄럼홈(19a)(19b)을 형성하여 상기 제1·제2로드(31)(32)를 길이방향에 대하여 유동적으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KR1020070125204A 2007-12-04 2007-12-04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KR100968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204A KR100968651B1 (ko) 2007-12-04 2007-12-04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204A KR100968651B1 (ko) 2007-12-04 2007-12-04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432A KR20090058432A (ko) 2009-06-09
KR100968651B1 true KR100968651B1 (ko) 2010-07-06

Family

ID=4098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204A KR100968651B1 (ko) 2007-12-04 2007-12-04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71591A (zh) * 2016-04-30 2018-02-09 合肥智慧龙机械设计有限公司 一种往复式工件送料装置
CN106239185B (zh) * 2016-08-31 2018-10-09 张家港市华扬冶金机械有限公司 一种金属加工设备辅助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8898A (ja) * 1988-11-30 1990-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移載装置
JP2002224767A (ja) 2001-02-08 2002-08-13 Hitachi Zosen Corp トランスファプレ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8898A (ja) * 1988-11-30 1990-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移載装置
JP2002224767A (ja) 2001-02-08 2002-08-13 Hitachi Zosen Corp トランスファプレ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432A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3729B (zh) Pallet conveyer and pallet conveyance method
EP1882545B1 (en) Transporting apparatus
KR101727117B1 (ko) 대형프레스의 소재 이송시스템
KR101727118B1 (ko) 소재 반송 시스템
KR101860195B1 (ko) 트랜스퍼 로봇 및 그 트랜스퍼 로봇을 이용한 이송 시스템
US9764373B2 (en) Workpiece conveying device
CN106081592A (zh) 一种短轴类零件的自动送料装置
KR100968651B1 (ko) 공작물 이송적하장치
CN111673141A (zh) 一种物料流转装置、钻孔机构及加工中心
US20110011703A1 (en) Transfer apparatus
JP4962287B2 (ja) ワーク移送装置
EP2990203B1 (en) Servo-driven screen printing machine.
CN210972990U (zh) 自动转运设备
KR20190066990A (ko) 원지 공급을 위한 파렛트 자동 반·출입 장치
CN107081630B (zh) 上料机
JPH0262445B2 (ko)
US9352546B2 (en) Servo-driven cylinder screen printing machine
CN213801788U (zh) 一种输送装置和传输设备
KR101064485B1 (ko) 프레스 가공 라인 및 이에 적용되는 리프트 및 트레이 셔틀 어셈블리
JP3947447B2 (ja)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トランスファ装置
CN112975621A (zh) 平磨装置
JP5010786B2 (ja) 搬送装置
EP2053005B1 (en) Bag supply apparatus
CN220097787U (zh) 一种移位矫正结构及搬运装置
CN213010513U (zh) 一种循环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