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197B1 -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 - Google Patents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197B1
KR100968197B1 KR1020100042135A KR20100042135A KR100968197B1 KR 100968197 B1 KR100968197 B1 KR 100968197B1 KR 1020100042135 A KR1020100042135 A KR 1020100042135A KR 20100042135 A KR20100042135 A KR 20100042135A KR 100968197 B1 KR100968197 B1 KR 10096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optical
connection terminal
frame
termin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복
우재승
Original Assignee
(주)무림설계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림설계기술단 filed Critical (주)무림설계기술단
Priority to KR102010004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5Optical cables with longitudinally spaced waveguide clamp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7Optical cables with internal fluted support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광케이블(20)이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삽입홈(110a)과, 삽입홈(110a)과 삽입홈(110a)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110b)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완충구(110)와, 곡면형상의 반원부(121)와, 반원부(121)의 내면에 배치 고정되고 내부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팽창부재(122)로 구성된 제1,2편(120a, 120b)이, 힌지(123)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완충구(110)를 감싸 고정하는 커버(120)로 구성된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 100')와; 광케이블(20)이 관통되도록 삽입구(211)가 마련된 골격프레임(210)과, 골격프레임(210)의 말단을 따라 연결되고, 양측면이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 100')와 체결되는 외곽프레임(220)과, 골격프레임(210)의 삽입구(211)에 설치되어 광케이블(20)을 상호 연결하는 링커(230)로 구성된 연결관(200)과;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 100')의 완충구(110) 외면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1,2베어링부재(300,300')와; 제1,2베어링부재(300,30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 100')의 둘레면과 이격배치되어, 내부에 완충을 위한 공극이 형성된 제1,2보호관(400,400')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제1,2보호관을 통해 외력으로부터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를 1차적으로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보호관을 회전가능하게 형성하여 외력 작용시 이를 용이하게 회피토록 하여 광케이블의 연결상태가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A Connection Terminal Case For Protecting Optical fiber glass Cable}
본 발명은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은 대용량의 데이터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진행됐고, 데이터 통신기술은 최적화된 네트워크 환경과 물리적인 통신라인 기술을 초석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발전단계에 대응해서 광신호를 통신 매개체로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고, 광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라인으로 광섬유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광섬유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외력에 대한 저항성과 내구성이 취약하고, 단선 부분을 서로 연결할 때에는 상호 간의 정밀한 연결이 요구되므로, 광섬유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고도한 기술이 요구되었다.
한편, 광케이블을 지중에 매설할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진동과 압력에 대응해 광케이블을 보호해야 하므로, 광케이블을 보호 및 완충할 수 있는 수단이 적용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통상 지중에 광케이블을 매설한다.
상기와 같이 지중에 광케이블을 매설하는 경우 외력으로부터 안전하게 광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광케이블이 손상되어 수리 또는 교체해야 하는 경우 설치된 광케이블을 굴착기(포크레인)를 이용하여 매설지역을 마해치게 되는데, 이때 굴착기의 버킷(포크레인 삽)이 지중으로 들어오는 과정에 광케이블을 건드려 손상을 입히거나 또는 광케이블을 보호하고 있는 관을 직접타격하여 관을 깨는 등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한편, 지중에 매설된 광케이블을 보호하는 종래 기술 대부분은 광케이블의 둘레를 단순히 감아서 외력에 대한 충격을 감쇄시키거나, 일지점에 대한 집중적인 가압 발생으로 광케이블의 구부러짐이 있는 위치에 단단한 재질의 관을 적용해서 상기 가압이 광케이블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전부였다.
그런데, 이러한 보호방식은 다수 개의 광케이블을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 및 배치하는 것이 아니므로, 광케이블의 배치 위치에 따른 균일화된 내진 및 완충기능을 기대할 수 없었다. 물론,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다수 개의 광케이블을 일정한 위치에 탑재하면서 이를 지지하는 구조체를 제작해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도 있을 것이나, 광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구획해 보호하는 상기 구조체는 자체 형상이 복잡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 제작이 곤란하고, 구조체 자체가 외력을 받을 경우 광케이블에 부분적인 충격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구조체는 광케이블 보호에 오히려 불리함이 있었다.
결국,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 개의 광케이블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감싸 보호하면서도 매설 위치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장비 제작 또한 경제적이면서도 수월해서 사업성과 고장 예방으로 서비스 품질이 우수한 공법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중에 매설된 광케이블의 연결부위에 외력이 직접 가해지더라도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연결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광케이블이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삽입홈과, 삽입홈과 삽입홈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완충구와, 곡면형상의 반원부와, 반원부의 내면에 배치 고정되고 내부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팽창부재로 구성된 제1,2편이,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완충구를 감싸 고정하는 커버로 구성된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와;
광케이블이 관통되도록 삽입구가 마련된 골격프레임과, 골격프레임의 말단을 따라 연결되고, 양측면이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와 체결되는 외곽프레임과, 골격프레임의 삽입구에 설치되어 광케이블을 상호 연결하는 링커로 구성된 연결관과;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의 완충구 외면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1,2베어링부재와;
제1,2베어링부재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의 둘레면과 이격배치되어, 내부에 완충을 위한 공극이 형성된 제1,2보호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제1,2보호관을 통해 외력으로부터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를 1차적으로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2보호관을 회전가능하게 형성하여 외력 작용시 이를 용이하게 회피토록 하여 광케이블의 연결상태가 외력에 의해 해제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를 매개로 광케이블의 기계적 및 광학적 연결을 정밀하게 하고,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를 통해 외력에 대해 2차적으로 완충하며,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의 경우 유체에 의한 완충과 기체에 의한 완충이 내외로 분담해 광케이블을 감싸 보호하므로, 완충은 물론 외력에 대한 분산과 내진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진 및 완충 효율을 개선하는 어댑터의 제작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경제적이므로, 사업적 가치를 높일 수 있고 고장 예방으로 서비스 품질 향상 효과 또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의 결합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에서 어댑터부분만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에서 단면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의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의 일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에서 어댑터부분만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에서 단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는, 광케이블(20)을 감싸 보호하는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100'; 이하‘광케이블고정부재’)와: 두 개의 광케이블(20)을 기계적 및 광학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연결관(200)과: 제1,2베어링부재(300,300')를 매개로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 10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완충작용을 통해 외력으로부터 연결부위를 보호하는 제1,2보호관(400,400'; 이하‘보호관’)으로 구성되며, 이를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상기 광케이블(20)을 감싸 보호하는 광케이블고정부재(100)는, 기둥형상을 이루고 둘레면에는 광케이블(20)을 삽입해 수용할 수 있는 삽입홈(110a)이 다수 형성된 완충구(110)와; 완충구(110)의 둘레를 감싸는 관 형상의 커버(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완충구(110)의 삽입홈(110a)은 광케이블(20)이 완충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돼 관통해야 하므로, 둘레면으로 개방된 형상을 이루어야 할 것이며, 삽입홈(110a)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도 5a 내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홈(110a)이 방사형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의 일부 분해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앞서 설명한 완충구(110)는 광케이블(20)을 수용하면서 이를 고정하고 외력으로부터 광케이블(20)을 보호하는 것으로, 완충구(110)의 둘레면에는 광케이블(20)의 삽탈을 위한 다수 개의 삽입홈(110a)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삽입홈(110a)으로 두 개의 광케이블(20)이 일렬로 삽입된 것으로 하였지만, 완충구(110)의 직경에 따라 삽입홈(110a)이 수용하는 광케이블(20)의 개수는 하나 또는 셋 이상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삽입홈(110a)에 수용되는 광케이블(20)이 일렬이 아닌 다수 열로 삽입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홈(110a)의 외면에는 돌기(110c)가 형성되어서, 삽입홈(110a)에 삽입된 광케이블(20)이 돌기(110c)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획돼 분리되며, 상기 돌기(110c) 간의 간격은 광케이블(20)의 폭에 대응된다.
한편, 완충구(110)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걸림홈(110b)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홈(110b)은 완충구(110)의 둘레를 감싸는 커버(120)와의 결속과 충격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커버(120)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상기 커버(120)는 완충구(110)의 둘레를 감싸 보호하는 것으로, 곡면 형상의 제1,2편(120a, 120b) 기단이 힌지(123)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2편(120a, 120b)의 선단은 서로 접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선단이 서로 접합하면 커버(120)는 완전한 관 형상을 이루고, 이렇게 이루어진 관 형상의 커버(120)는 완충구(110)의 둘레를 긴밀하게 감싼다.
특히, 상기 곡면 형상의 제1,2편(120a, 120b)의 일측에는 상호 대응되는 요부와 철부를 각각 마련하여 힌지(123)를 매개로 상호 접합시 착탈될 수 있도록 하였다.
계속해서, 상기 커버(120)의 제1,2편(120a, 120b)은 전술한 형상을 유지토록 하기 위해 프레임을 이루는 반원부(121)와, 반원부(121)의 내면에 구성되어서 기체 주입을 통해 팽창하는 팽창부재(122)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부재(122)의 돌부(122a)는 팽창부재(122)로의 기체 유입시 팽창하면서 걸림홈(110b)과 맞물리는 것으로, 걸림홈(110b)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를 도 5a 내지 도 5b와 같이 도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에서 어댑터부분만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관(200)은 광케이블(20)의 광라인(21)을 기계적 및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으로, 절대적인 기계적 고정성과 광학적 정밀성이 요구되며, 상기 연결관(200)의 경우 광케이블(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견고한 재질로 구성되고, 이를 위해 기본 골격을 이루는 골격프레임(210)과; 골격프레임(210)에 기초하면서 광케이블고정부재(100)과의 기계적인 연결을 매개하는 외곽프레임(220)과; 골격프레임(210)의 삽입구(211)에 설치되어 광케이블(20)을 상호 연결하는 링커(230)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광케이블(20)의 배치모습은 방사형이므로, 이를 고려해 골격프레임(210) 또한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골격프레임(210)에는 광케이블(20)의 연결을 위한 링커(230)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211)가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골격프레임(210)는 십자형으로 형성되고, 삽입구(211)는 골격프레임(210)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었다.
계속해서, 골격프레임(210)의 말단을 잇는 외곽프레임(220)는 광케이블고정부재(100)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케이블고정부재(100)와 연결관(200)이 일렬로 조립되면 안정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광케이블고정부재(100)와 연결관(200)의 기계적인 연결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광케이블고정부재(100) 및 연결관(200)이 서로 접하는 면에 각각 제1체결구(124)와 제2체결구(240)를 형성시켜서, 제1,2체결구(124, 240) 간의 맞물림을 통해 광케이블고정부재(100)과 연결관(200)이 제 위치에 정확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광케이블고정부재(100)와 연결관(200)이 제1,2체결구(124, 240)에 의해 제 위치에 서로 접하면, 상호 간의 결속은 주지, 관용의 체결수단적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 예로서, 광케이블고정부재(100)와 연결관(200)의 접합부를 용접해 연결할 수도 있고, 광케이블고정부재(100) 및 연결관(200)의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시켜서 이들을 감싸는 너트(미도시)를 이용해 체결할 수도 있으며, 광케이블고정부재(100)와 연결관(200)이 서로 접하는 말단 둘레에 플랜지(미도시)를 형성시킨 후 플랜지를 관통하는 핀 또는 볼트로 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링커(230)는 광케이블(20)을 기계적 및 광학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20)은 통상적인 광라인(21) 이외에 한 쌍의 지지심(22)이 보강된다.
상기 지지심(22)은 광라인(21)을 중심으로 서로 나란하면서 대향하게 배치되고, 그 직경은 지지심(22) 보다 크게 형성된 것으로, 이렇게 배치된 광라인(21) 및 지지심(22)은 피복(23)으로 둘러싸여 보호된다.
결국, 광라인(21)은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의 지지심(22)에 의해 외력으로부터 충격을 보호받음은 물론, 일정 곡률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힘에 저항해 광라인(21)을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20)을 연결하기 위한 링커(230)는 광라인(21)의 연결부분을 감싸 보호하는 하우징(231)과; 광라인(21)을 광학적으로 연결하며 하우징(231)에 내설되는 공지,공용의 연결튜브(232)와; 지지심(22)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며 하우징(231)에 내설되는 체결수단(2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수단(233)은 지지심(22)을 수용하면서 악력으로 감싸 고정하는 것으로, 시공시 다양한 체결수단으로 지지심(22)을 고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연결튜브(232)는 두 개의 광섬유를 광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공지,공용의 연결수단으로, 당업계에서는 광섬유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튜브(232)가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과감하게 생략한다.
이렇게 형성된 광케이블(20)은 광라인(21)과 한 쌍의 지지심(22)이 일렬로 배치되므로, 광케이블(20)의 단면은 일축이 상대적으로 긴 직면 모습을 이룬다.
본 발명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골격프레임(210)에 내설되는 링커(230)가 단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도록 해서, 연결관(200)에 관통 고정된 다수 개의 광케이블(20)이 자체적으로 구조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다수 개의 광케이블(20)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구조적인 지지력은 더욱 향상된다.
이외에도, 골격프레임(210)의 말단을 연결해 감싸면서 외력에 지지하는 외곽프레임(220)은 골격프레임(210)과 더불어 다수 개의 광케이블(20)을 현 위치에 절대적으로 고정하므로, 외력이 연결관(200)에 가해지더라도 연결관(200) 전체가 광케이블(20)과 더불어 이동하고, 이로 인해 연결튜브(232)에 의한 광라인(21) 간의 연결상태는 그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100')의 외면에는 제1,2베어링부재(300,300')가 각각 설치되며, 설치된 제1,2베어링부재(300,300')의 외면으로 제1,2보호관(400,400'; 이하‘보호관’)이 설치된다.
상기 제1,2보호관(400,400')은 제1,2베어링부재(300,30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 100')의 둘레면과 이격배치되어, 내부에 완충을 위한 공극이 형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1,2보호관(400,400')은 탄성 복원력을 갖추고 있는 합성수재로서, 제1,2베어링부재(300,300')을 매개로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10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1,2보호관(400,400')은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100')로 외력, 예를 들면, 포크레인과 같은 굴착수단이 충격을 가할 경우 1차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2보호관(400,400')에 포크레인과 같은 굴착수단이 가해지게 되면, 제1,2보호관(400,400')은 제1,2베어링부재(300,300')에 의해 쉽게 회전되기 때문에 포크레인삽은 제1,2보호관(400,400')의 외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고, 따라서, 포크레인삽이 제1,2보호관(400,400')의 외면에 걸리지 않고 회피되므로, 광케이블(20)의 연결상태가 포크레인의 삽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포크레인삽이 상기 제1,2보호관(400,400')의 외면을 타격할 경우 제1,2보호관(400,400')은 내측으로 압착되었다가 내부의 공기층(미도시)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탄성 복원되도록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100':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 110: 완충구
110a: 삽입홈 110b: 걸림홈 120: 커버
120a: 제1편 120b: 제2편 121: 반원부
122: 팽창부재 123: 힌지 124: 제1체결구
200: 연결부재 210: 골격프레임 211: 삽입구
220: 외곽프레임 230: 링커 231: 연결튜브
232: 체결수단 240: 제2체결구 20: 광케이블
300,300': 제1,2베어링부재
400.400': 제1,2보호관

Claims (1)

  1.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광케이블(20)이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는 삽입홈(110a)과, 삽입홈(110a)과 삽입홈(110a)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110b)으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완충구(110)와, 곡면형상의 반원부(121)와, 반원부(121)의 내면에 배치 고정되고 내부에는 기체가 유입되는 가요성 및 탄성 재질의 팽창부재(122)로 구성된 제1,2편(120a, 120b)이, 힌지(123)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완충구(110)를 감싸 고정하는 커버(120)로 구성된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 100')와;
    광케이블(20)이 관통되도록 삽입구(211)가 마련된 골격프레임(210)과, 골격프레임(210)의 말단을 따라 연결되고, 양측면이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 100')와 체결되는 외곽프레임(220)과, 골격프레임(210)의 삽입구(211)에 설치되어 광케이블(20)을 상호 연결하는 링커(230)로 구성된 연결관(200)과;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 100')의 완충구(110) 외면 양단부에 설치되는 제1,2베어링부재(300,300')와;
    제1,2베어링부재(300,300')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제1,2광케이블고정부재(100, 100')의 둘레면과 이격배치되어, 내부에 완충을 위한 공극이 형성된 제1,2보호관(400,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

KR1020100042135A 2010-05-04 2010-05-04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 KR10096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35A KR100968197B1 (ko) 2010-05-04 2010-05-04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135A KR100968197B1 (ko) 2010-05-04 2010-05-04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197B1 true KR100968197B1 (ko) 2010-07-06

Family

ID=4264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135A KR100968197B1 (ko) 2010-05-04 2010-05-04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1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1229A (zh) * 2018-05-03 2019-03-15 国网浙江省电力公司衢州供电公司 一种加强型光缆及其地下敷设方法
CN112835162A (zh) * 2021-01-23 2021-05-25 常熟高通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光纤带光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084A (ko) * 2002-06-03 2003-12-11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연마 패드 및 복층형 연마 패드
KR200394084Y1 (ko) 2005-05-30 2005-09-01 제일설계(주) 건축물의 배전용 내설관
JP2007104749A (ja) 2005-09-30 2007-04-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防護管
KR100873875B1 (ko) 2008-08-29 2008-12-19 제일엔지니어링 (주) 지중케이블 보호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084A (ko) * 2002-06-03 2003-12-11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연마 패드 및 복층형 연마 패드
KR200394084Y1 (ko) 2005-05-30 2005-09-01 제일설계(주) 건축물의 배전용 내설관
JP2007104749A (ja) 2005-09-30 2007-04-19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防護管
KR100873875B1 (ko) 2008-08-29 2008-12-19 제일엔지니어링 (주) 지중케이블 보호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1229A (zh) * 2018-05-03 2019-03-15 国网浙江省电力公司衢州供电公司 一种加强型光缆及其地下敷设方法
CN112835162A (zh) * 2021-01-23 2021-05-25 常熟高通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光纤带光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1687C2 (ru) Многоволоконный опт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CN101006376B (zh) 具有对准和键合机构的光纤插座和插头组件
CN105683795A (zh) 加固的光纤连接器和连接系统
ES2793930T3 (es) Tapón de puerto auto-acoplable
CN102520489B (zh) 一种光纤连接器及其装配方法
CN202453542U (zh) 光纤连接器
EP0029601B1 (en) Optical fiber cable termination assembly
EP2734881B1 (en) Fiber optic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having a fiber locking mechanism
KR100968197B1 (ko) 광통신케이블 보호용 접속단자 케이스
US20130209042A1 (en) Optical Fiber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Strain Relief
US6431216B1 (en) Protective tube assembly
KR100967922B1 (ko) 지중매설형 통신 광케이블의 연결용 어댑터와 이를 이용한 내진 포설공법
US20140140670A1 (en) Small-diameter high bending-resistance fiber optic cable
CN108693605A (zh) 墙后式光学连接器
US20070092187A1 (en) Optical fiber cable with strategically placed filler rods
RU2502098C1 (ru) Волоконно-опт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байонетного типа
CN206090829U (zh) 弓形条板组成的梁、柱抗震节点构件
KR100906057B1 (ko) 인텔리전트 피그의 하드웨어 거치구조
KR20210000178A (ko) 해저 통신 케이블용 접속함체
EP2788792B1 (en) Rope-tension system for a marine seismic cable
KR100972151B1 (ko) 광통신 단자함의 인출케이블 단선방지용 인입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광선로 시공법
KR20210042601A (ko) 다중 케이블 보호관
JP2014013309A (ja) 多心光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多心光コネクタ
CN203431310U (zh) 管路固定装置
CN106193296A (zh) 弓形条板组成的梁、柱抗震节点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