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009B1 -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8009B1 KR100968009B1 KR1020080022377A KR20080022377A KR100968009B1 KR 100968009 B1 KR100968009 B1 KR 100968009B1 KR 1020080022377 A KR1020080022377 A KR 1020080022377A KR 20080022377 A KR20080022377 A KR 20080022377A KR 100968009 B1 KR100968009 B1 KR 1009680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diment
- main body
- opening
- drying
- filt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정화 처리함에 있어, 오·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침사물을 효과적으로 분리/제거할 수 있는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침사지 및 유량조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침사물 및 부유물을 여과 및 건조시키는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에 있어서, 상·하부측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침사물 투입공간부(12)을 갖는 본체(10)와; 본체(10)의 하부측에 힌지(32a,32b))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여과망조립체(40)가 구비된 개폐수단(30a,30b)과; 본체(10) 및 개폐수단(30a,30b)에 연결되어 침사물(S)을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사물 이동/배출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에 의해 침사물의 함유량이 높은 오·폐수를 충분히 여과 및 건조시킨 상태로 수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침사물에 대한 이동 및 배출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된다.
침사물, 여과, 건조, 오·폐수, 개폐수단, 와이어, 중력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로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정화 처리함에 있어, 오·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침사물을 효과적으로 여과/건조시킨 후 간편하게 수거할 수 있는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의 하수 관로 및 폐수 관로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오·폐수에는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은 침사물이 혼합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혼합물은 필터링을 거쳐 부유물을 제거시킨 후, 침전실에서 침전시킨 다음, 화학처리 또는 미생물처리 등과 같은 정화 작업을 거쳐 정화된 물은 방류하고 침사물은 별도로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하수처리장의 침전조 바닥에 쌓여있는 침사물을 제거시킬 때, 통상 포크레인을 이용하거나 연속 순환 이동되는 바스켓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침사물을 퍼올린 다음 이를 일정한 배출장소로 이송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에서와 같이 포크레인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퍼올린 침사물을 공사현장이나 건조장의 바닥위에 그대로 쌓아 놓고 자연 건조시켜서 수거하기 때문에, 함수율이 높은 침사물이 충분히 건조되지 못한 상태로 운반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침사물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외부로 흘러나오면서 주변의 작업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등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또한, 이와 같이 침사물이 충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운반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운반 도중에 오염물질이 도로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도시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바스켓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바닥에 침전된 침사물을 긁어 모아 컨베이어의 바스켓에 담아주어야 하는데, 실제 침전조의 바닥면에 넓게 퍼져 침전된 침사물을 긁어 모으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당히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 제공되고 있는 침사물 분리 및 제거장치들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대형화되어 있어서, 장치를 설치하는데 따른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한 구조로 인해서 장치의 유지관리에 따른 보수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장치의 설치면적이 커져서 도심의 지하철이나 전력구 등과 같이 공간이 비좁은 도심 터널현장에서는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확보가 상당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공사현장이나 도심터널 등과 같은 곳에서 발생되는 침사물 함유량이 높은 오·폐수 등을 처리함에 있어, 오·폐수 중에 함유된 침사물을 자연 중력식으로 충분히 여과 및 건조시킨 후 간편하게 이동/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둘째, 여과된 침사물을 충분히 건조시킨 후 이동/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작업현장에서 오염원이 발생되지 않는 위생적인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장치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설치비용을 절감시키는 한편 장치의 공간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넷째, 장치의 세척 및 교체사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유지관리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침사지 및 유량조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침사물 및 부유물을 여과 및 건조시키는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에 있어서,
상·하부측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침사물 저장공간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하부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여과망조립 체가 구비된 개폐수단과;
본체 및 개폐수단과 연결되어 침사물을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사물 이동/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에 의하면,
첫째, 건설현장이나 도심터널 등에서 발생되는 오·폐수를 본체의 여과망조립체를 통해서 충분히 여과 및 건조시킨 상태로 수거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본체와 하부측 개폐수단에 연결된 침사물 이동/배출수단에 의해 침사물에 대한 이동 및 배출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다.
둘째, 여과된 침사물을 충분히 건조시킨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작업현장에서 오염원이 발생되지 않고 보다 위생적인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장치의 구조가 간소화됨에 따라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장치의 공간확보가 용이하다.
넷째, 개폐수단에 설치되는 여과망조립체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줌으로써, 장치의 세척작업 및 교체사용이 용이하고, 파손에 의한 유지관리 및 보수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의 개폐수단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의 개폐수단이 닫혀진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조립체의 분해사시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의 설치 및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침사물 여과/건조장치(A)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내부에 오·폐수 투입공간부(12)을 갖는 본체(10)와, 본체(10)의 하부측에 힌지(32a,32b)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수단(30a,30b)과, 본체(10) 및 개폐수단(30a,30b)에 연결되어 침사물(S)을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사물 이동/배출수단(20)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개폐수단(30a,30b)의 내측 중앙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침사물 여과망조립체(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첨부된 도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하부측으로 개방된 직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제작되고, 일측면에 오버플로우(1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10)의 양측 하단에는 본체(10)의 하부측 개방부(12a)를 개폐단속하는 개폐수단(30a,30b)이 설치된다.
개폐수단(30a,30b)은 첨부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본체(10)의 양측 하단에 각각 한 쌍의 힌지(32a,32b)로 결합되고, 후술 될 침사물 이동/배출수단(20)에 의해서 각각 내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개폐수단(30a,30b)은 자중에 의해서 본체(10)의 좌·우 양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10) 및 개폐수단(30a,30b)은 내구성이 우수한 주철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수단(30a,30b)이 좌·우 양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기재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폐수단(30a,30b)이 본체(10)의 전·후 또는 좌·우 어느 한 쪽에만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으로만 개폐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체(10) 및 개폐수단(30a,30b)에 연결되는 침사물 이동/배출수단(2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후면 상부측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부측 연결고리(22a,22b)와, 양단이 각각 상부측 연결고리(22a,22b)에 연결/고정되는 한 쌍의 배출용 와이어(24a,24b) 및 양측 개폐수단(30a,30b)의 단부면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하부측 연결고리(26a,26b)와, 양단이 각각 본체(10)의 상부측 연결고리(22a,22b)를 통해서 하부측 연결고리(26a,26b)에 연결/고정되는 한 쌍의 이동용 와이어(28a,28b)로 구성되어 진다.
이때, 상부측 연결고리(22a,22b)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고리를 구비하여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측 연결고리(26a,26b) 또한 양측 개폐수단(30a,30b)의 일측 단부면에서 각각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상부측에 고정되는 상부측 연결고리(22a,22b)는 본체(10)의 전·후방향으로 상호 대응되게 설치하고, 양측 개폐수단(30a,30b)에 고정되는 하부측 연결고리(26a,26b)는 본체(10)의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응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후 한 쌍의 배출용 와이어(24a,24b) 및 이동용 와이어(28a,28b)는 각각 샤클 등과 같은 연결구(29a,29b)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 크레인(미도시됨) 등과 같은 견인장치를 이용한 이동 및 배출작업시 견인장치의 케이블고리(100)를 각 연결구(29a,29b)에 선택적으로 걸어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개폐수단(30a,30b)에 조립설치되는 여과망조립체(40)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 프레임으로 제작되고 내측에 격자형태의 지지대(42a)가 고정 설치된 조립틀(42)과, 조립틀(42) 상부측으로부터 그물망(44)과 여과망(46)이 순차적으로 조립되어 용접 구성된다.
이때, 전술한 그물망(44)은 얇은 압연강판을 가늘고 길게 절개하여 그물눈을 형성하고, 그것을 양쪽에서 잡아 늘려서 그물눈이 다이어몬드 형상을 갖도록 한 보강재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여과망(4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메쉬 등과 같 은 철망으로 제작되며, 여과율을 높이기 위해서 적어도 두 장 이상의 여과망(46)이 겹쳐지도록 용접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부호 "16"은 본체(10)의 하부측 단부면을 가로질고 고정설치되는 연결봉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상태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침사물 여과/건조장치(A)는 침사물(S)의 함유량이 높은 터널 폐수처리장이나 건설현장 등지에 설치되어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은 침사물(S)을 효과적으로 여과 및 건조시킨 상태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침사지(200)와 유량조(300)에 쌓여 있는 침사물(S)을 포크레인(미도시됨) 등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직접 본체(10) 내부로 투입시킨 후 여과 및 건조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가 유입되는 침사지(200) 및 유량조(30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본체(10)의 투입공간부(12) 내로 유입되는 오·폐수를 본체(10)의 하부측에 마련된 여과망조립체(40)를 통해서 여과/건조시킨 후 폐기처리 하게 된다.
즉, 침사물(S)이 함유된 오·폐수가 본체(10)의 투입공간부(12) 내로 유입되면, 유입된 오·폐수가 본체(10)의 하부측에 마련된 여과망조립체(40)를 통과하면서 침사물(S)이 여과된 상태로 수분(H)과 분리된다. 이렇게 여과/분리된 침사물(S) 은 본체(10)의 투입공간부(12) 내에 잔류하게 되고, 여과망(46)을 통해 분리된 수분(H)은 하부측 침사조(200) 및 유량조(300)에 수집되어 정화 처리된다.
이때, 본체(10)의 바닥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여과망조립체(40)로 구성되어 통풍이 원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침사물(S)이 본체(10)의 투입공간부(12) 내에서 충분히 여과/건조된 상태로 보관되어 진다.
이렇게 하여 침사물(S)이 여과/건조된 상태가 되면, 크레인 등과 같은 견인장치를 이용하여 침사물(S)이 보관된 본체(10)를 상부측으로 들어올린 후 운반차량의 적재함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본체(10)의 이동 작업은 첨부된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견인장치의 케이블고리(100)를 이동용 와이어(28a,28b)의 연결구(29b)에 걸어서 들어올린 후 이동시켜 주면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이동용 와이어(28a,28b)가 견인장치의 승각작동에 따라 상부측으로 들어올려 지면, 본체(10)의 상부측 연결고리(22a,22b)를 통해 하부측 개폐수단(30a,30b)가 연결된 이동용 와이어(28a,28b)가 상부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하부측 개폐수단(30a,30b)이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견인장치의 계속적인 상승작동에 따라 이동용 와이어(28a,28b)가 상부측으로 계속 당겨지게 되면서 본체(10)를 들어올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체(10)를 일정한 높이로 상승시킨 후 견인장치를 조정하여 운반차량의 적재함으로 이동시킨 후, 적재함의 상부측에 안착시켜 주면 침사물(S)에 대한 이동작업이 완료된다.
이후, 작업자가 크레인의 케이블고리(100)를 이동용 와이어(28a,28b)의 연결구(29b)에서 해제시킨 다음, 본체(10)의 상부측에 마련된 배출용 와이어(24a,24b)의 연결구(29a)에 걸어서 침사물(S)에 대한 배출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침사물 배출작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의 케이블고리(100)를 배출용 와이어(24a,24b)의 연결구(29a)에 걸어서 본체(10)를 상부측으로 들어올려 주면 되는데, 이때 본체(10)는 배출용 와이어(24a,24b)에 의해 수평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하부측 개폐수단(30a,30b)은 자중에 의해 양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본체(10)의 하부측 개방부(12a)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체(10)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던 침사물(S)이 하부측 개방부(12a)를 통해 운반차량의 적재함으로 배출되면서, 침사물(S)에 대한 처리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침사물에 대한 이동 및 배출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크레인을 조정하여 본체(10)를 다시 오·폐수가 유입되는 침사지(200) 및 유량조(300)의 상부측에 설치하여 주면 된다.
한편, 개폐수단(30a,30b)에 설치된 여과망조립체(40)는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세척 및 교체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여과망(46) 또는 그물망(44)이 막히거나 파손되더라도 이에 따른 유지관리 및 보수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러 종류의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수중에 떠다니는 부유물과, 흙이나 모래 등과 같이 수중에 가라앉는 침사물로 구분되어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과망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건조장치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투입공간부
12a : 하부측 개방부 14 : 오버플로우
20 : 침사물 이동/배출수단 22a,22b : 상부측 연결고리
24a,24b : 배출용 와이어 26a,26b : 하부측 연결고리
28a,28b : 이동용 와이어 29a,29b : 연결구
30a,30b : 개폐수단 32a,32b : 힌지
40 : 여과망조립체 42 : 조립틀
44 : 그물망 46 : 여과망
200 : 침사지 300 : 유량조
A : 침사물 여과/건조장치
Claims (9)
- 침사지 및 유량조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침사물을 여과 및 건조시키는 침사물 여과/건조장치로서,상·하부측으로 개방되고 내부에 침사물 투입공간부(12)을 갖고 일측면에는 오버플로우(14)가 더 설치되는 본체(10);상기 본체(10)의 하부측에 힌지(32a,32b)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서 좌·우 양방향으로 개방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 격자형태의 지지대(42a)가 고정 설치된 조립틀(42)과;상기 조립틀(42)의 상부측으로부터 그물망(44)과 여과망(46)이 순차적으로 용접되어 구성되어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 여과망조립체(40)가 구비된 개폐수단(30a,30b);상기 본체(10) 및 개폐수단(30a,30b)에 연결되어 침사물(S)을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상기 본체(10)의 전·후면 상부측에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상부측 연결고리(22a,22b);양단이 상기 상부측 연결고리(22a,22b)에 연결/고정되어 연결구(29a)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배출용 와이어(24a,24b);상기 개폐수단(30a,30b)의 일측 단부면에 각각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고리가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 설치되는 하부측 연결고리(26a,26b); 및상기 본체(10)의 상부측 연결고리(22a,22b)를 통해서 상기 하부측 연결고리(26a,26b)에 연결/고정되어 연결구(29b)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용 와이어(28a,28b)로 구성된 침사물 이동/배출수단(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2377A KR100968009B1 (ko) | 2008-03-11 | 2008-03-11 |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2377A KR100968009B1 (ko) | 2008-03-11 | 2008-03-11 |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7314A KR20090097314A (ko) | 2009-09-16 |
KR100968009B1 true KR100968009B1 (ko) | 2010-07-07 |
Family
ID=4135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2377A KR100968009B1 (ko) | 2008-03-11 | 2008-03-11 |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800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4411B1 (ko) * | 2020-10-23 | 2021-10-01 | (주)보선워터텍 | 섬유볼을 활용한 이동식 상수도관 세척폐수 처리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6184U (ja) * | 1993-03-31 | 1994-10-25 | 合資会社南部製作所 | 容 器 |
JP2707969B2 (ja) * | 1994-03-31 | 1998-02-04 | 株式会社ダイフク | 箱形パレット |
-
2008
- 2008-03-11 KR KR1020080022377A patent/KR10096800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76184U (ja) * | 1993-03-31 | 1994-10-25 | 合資会社南部製作所 | 容 器 |
JP2707969B2 (ja) * | 1994-03-31 | 1998-02-04 | 株式会社ダイフク | 箱形パレ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7314A (ko) | 2009-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0567B1 (ko) | 유동상 여재를 이용한 여과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우수 정화장치 | |
KR101196653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KR101214553B1 (ko) | 합류식 하수 월류수 처리시스템 | |
KR20100020867A (ko) | 경사판 여과형을 이용한 도로의 친환경적 비점오염 제거장치 | |
WO2012163308A2 (es) | Planta modular integrada, multifuncional para separar sólidos, aceites e hidrocarburos y tratar las aguas residuales industriales petroleras | |
KR20130137963A (ko) | 초기빗물 배제장치 | |
KR100562168B1 (ko) |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 |
KR20140062658A (ko) | 무동력 수질관리시설과 청소시설이 내장된 빗물저류탱크 | |
KR101334884B1 (ko) | 미세공극을 갖는 투수성/흡수성 경량기포 콘크리트 여재를 이용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저감시설 | |
KR100767754B1 (ko) |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 |
KR100985827B1 (ko) | 협잡물 제거장치 | |
KR102260279B1 (ko) | 무동력 드럼형 저류조 세척장치 | |
KR100968009B1 (ko) | 자가 중력식 침사물 여과 및 건조장치 | |
KR100927631B1 (ko) |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 |
KR101358438B1 (ko) |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수처리 시설 | |
KR101177714B1 (ko) |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 |
KR20100122373A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
CN109763554B (zh) | 一种生物滞留设施入流口结构 | |
KR200446515Y1 (ko) | 방사형 초기우수처리장치 | |
KR101652669B1 (ko) | 비점오염 저감장치 | |
KR102139984B1 (ko) | 비점오염 처리용 여재 교체형 침투도랑 | |
KR100693281B1 (ko) | 담수호의 침전 슬러지 및 퇴적오니 제거 시스템 | |
WO2017044028A1 (en) | Device for dewatering and purification of sludge or dredged material | |
KR101997195B1 (ko) | 이물질 거름팬부를 구비한 하수구 맨홀 장치 | |
KR101264490B1 (ko) | 초기우수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