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314B1 -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314B1
KR100967314B1 KR1020080075600A KR20080075600A KR100967314B1 KR 100967314 B1 KR100967314 B1 KR 100967314B1 KR 1020080075600 A KR1020080075600 A KR 1020080075600A KR 20080075600 A KR20080075600 A KR 20080075600A KR 100967314 B1 KR100967314 B1 KR 10096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user data
radio frames
base st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4114A (ko
Inventor
히데아키 타카하시
노리유키 마에다
šœ지 미우라
히로미츠 아사쿠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90014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선 기지국(10)은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중화부(13)와, 2 개의 캐리어상의 복수의 서브캐리어로부터 복수조의 서브캐리어를 선택하여, 복수조의 서브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고,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 사용자 데이터와 제어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하여 설정하는 채널 할당 제어부(14)와, 2 개의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부(16)를 구비하고,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에서의 모든 서브 채널을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해당 영역에만 제어 데이터를 격납하고,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영역상에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Figure R1020080075600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서브캐리어, 무선 프레임

Description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RADIO BASE STATION, MOBIL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캐리어 신호를 복수의 직교하는 서브캐리어로 분할함으로써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의 사이에서의 다원 접속을 실현하는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통신방식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하기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OFDMA를 사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식으로서는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하는 2 개의 방식을 들 수 있다. 도 22a에 도시하는 방식에서는 1 개의 무선 기지국의 각 섹터 S1, S2, S3에 같은 주파수대의 서브캐리어가 할당되고, 도 22b에 도시하는 방식에서는 주파수대가 논리적으로 3 개의 세그멘트로 분할되고, 분할된 각각의 세그멘트에 속하는 서브캐리어가, 인접하는 각각의 섹터 S1, S2, S3에 할당된다.
또한, 1 개 무선 기지국에 대응하는 셀 C1을 외측영역 A1과 내측영역 A2로 분할하여, 다른 셀과의 간섭이 적은 내측영역 A2에는 전송 가능한 모든 서브캐리어를 할당하고, 다른 셀과의 간섭이 큰 외측영역 A1에는 세그멘트 분할한 일부의 서브캐리어를 할당하는 채널 할당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1 및 도 23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80286호
비특허문헌 1 : "IEEE Standard for Local and metropolitan area networks Part16 : Air Interface for Fixed and Mobile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Amendment 2 : Physical and Medium Access Control Layers for Combined Fixed and Mobile Operation in Licensed Bands and Corrigendum 1", IEEE Std, February 2006
상기 방식 중, 각 섹터에 같은 주파수대의 서브캐리어를 할당하는 방식에서는 전송 가능한 전 대역을 사용하는 것으로 스루풋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반면, 인접 셀과의 간섭이 크고, 셀의 경계에서의 통신 품질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주파수대를 세그멘트 분할하는 방식에서는 인접 셀과의 간섭이 작다고 하는 이점이 있지만, 스루풋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IEEE 802.16e에 준거한 OFDMA를 사용하는 경우는 무선 프레임 내의 제어 신호인 DL-MAP, UL-MAP의 데이터 길이가 이동국의 사용자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사용자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스루풋의 저하의 문제가 현저해진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할당 방식은 내측영역에서는 모든 주파수대를 할당함으로써 스루풋의 저하를 막고자 하는 것이지만, 무선 프레임 내의 사용자 데이터부를 셀의 외측영역과 내측영역에서 시간적으로 2분할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스루풋의 개선량이 그만큼 크지 않다.
여기에서, 이러한 OFDMA를 사용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수의 캐리어에 속하는 서브캐리어를 할당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는 복수의 캐리어의 각각이 3분할된 세그멘트에 대응하여 서브캐리어가 설정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2 개의 캐리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6 분할된 세그멘트에 속하는 서브캐리어가, 인접하는 각 섹터에 6 개의 섹터마다 공간적으로 되풀이하여 할당된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캐리어를 증가시킴으로써 인접하는 섹터간의 간섭을 작게 할 수 있지만, 사용자 데이터의 스루풋이 사용자수의 증가에 따라서 저하되는 경향은 여전히 남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셀간 간섭의 저감 및 최대 스루풋의 향상을 실현하여, 주파수 공간의 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무선 기지국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에 의해서 복수의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기지국에서, 다중화된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중화수단과, 제 1 캐리어상에서 복수의 분산된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을 복수조 생성하고, 제 1 캐리어와는 다른 제 2 캐리어상에서 복수의 분산된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을 복수 생성하고, 제 1 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프레임, 및 제 2 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고,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 사용자 데이터와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설정하는 채널 할당 제어수단과,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모든 서브 채널을 무선 신호의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에 할당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에만 제어 데이터를 격납하고,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영역상에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무선 기지국에 의하면, 적어도 2 개의 캐리어상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조의 서브캐리어가 선택되고, 그 복수조의 서브캐리어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이 구성되고, 그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 사용자 데이터와 그 사용자 데이터의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가 설정되고, 그 2 개의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가 이동국을 향하여 송신된다. 이때,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 채널이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제어 데이터는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에 격납되고, 사용자 데이터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을 걸친 모든 서브 채널상에 격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셀간의 간섭에 기인하는 이동국 측에서의 제어 데이터의 결핍을 방지하여 사용자 데이터에 관한 수신 품질을 확보하는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를 2 개의 무선 프레임의 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시의 스루풋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 중에 제어 데이터의 격납처의 영역을 특정하는 제 1 격납처 정보를 설정하는 동시에, 제어 데이터 중에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격납처 정보, 및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의 유무를 나타내는 격납 종별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널 할당 제어수단을 구비하면, 무선 기지국이 이동국에 대하여, 제 1 격납처 정보에 의해서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의 분할 영역에서의 제어 데이터의 격납처를 통지하고, 제 2 격 납처 정보 및 격납 종별 정보에 의해서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 및 격납처의 무선 프레임을 통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동국측에서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 채널의 범위로부터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확실히 추출할 수 있다.
또,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 중에 제어 데이터의 격납처의 영역을 특정하는 제 1 격납처 정보를 설정하는 동시에, 제어 데이터 중에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격납처 정보, 및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처의 무선 프레임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식별하는 캐리어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널 할당 제어수단을 구비하면, 3 개 이상의 주파수대가 각각 다른 무선 프레임에 할당되는 경우나, 시분할 다중방식(Time Division Duplex; TDD) 및 주파수 분할다중방식(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에 있어서, 상승 방향과 하강 방향에서 다른 주파수 대역폭이 할당되는 경우에도, 이동국측에서 무선 프레임 내로부터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확실히 추출할 수 있다.
또,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 내의 특정한 시간 영역에 제어 데이터를 격납하고,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중의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내의 특정한 시간 영역에도, 사용자 데이터를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무선 프레임 내의 빈 영역을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무선 리소스의 유효 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복수의 이동국마다의 하강 방향의 통신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통신 품질을 만족시키는 이동국을 송신처로 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내의 특정한 시간 영역에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널 할당 제어수단을 구비하면, 캐리어간의 간섭이 생길 가능성이 적은 송신처에 대하여 무선 프레임 내의 빈 영역을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유지하면서, 무선 리소스의 유효 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내의 특정한 시간 영역에 사용자 데이터가 격납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 전력이, 소정의 통신 품질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특정한 시간 영역 이외의 시간 영역에 격납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 전력과 비교하여 작아지도록 제어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의 캐리어간의 간섭이 저감되고, 이동국측에서 무선 프레임 내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더욱 확실히 추출할 수 있다.
또,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중의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내에도, 제어 데이터를 더욱 분산하여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채널 할당 제어수단을 구비하면, 제어 데이터를 주파수 대역에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이 증대하여도 사용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과, 무선 신호 중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분리하는 채널 할당 해석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채널 할당 해석수단은 사용자 데이터를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영역상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이동국측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도, 2 개의 무선 프레임의 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시의 스루풋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국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에 의해서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국에서, 제 1 캐리어상에서 분산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군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무선 프레임과, 제 1 캐리어와는 다른 제 2 캐리어상에서 분산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군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으로부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와, 다중화된 사용자 데이터를 분리하는 채널 할당 해석수단을 구비하고, 채널 할당 해석수단은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모든 서브 채널군을 무선 기지국의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자기 기기(自機)에 대응하는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해당 영역만으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분리하고,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영역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동국에 의하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고, 그 무선 신호에는 2 개의 캐리어상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군을 갖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이 포함되고, 그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 사용자 데이터와 그 사용자 데이터의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수신된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의 전 서브 채널군의 중의 대응 영역으로부터 제어 데이터가 분리되고,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의 전 서브 채널군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분리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셀간의 간섭에 기인하는 이동국측에서의 제어 데이터의 결핍을 방지하여 사용자 데이터에 관한 수신 품질을 확보하는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를 2 개의 무선 프레임의 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시의 스루풋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술한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을 갖는다.
또는,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은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에 의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이, 다중화된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중화 스텝과, 무선 기지국이, 제 1 캐리어상에서 복수의 분산된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을 복수조 생성하고, 제 1 캐리어와는 다른 제 2 캐리어상에서 복수의 분산된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을 복수 생성하고, 제 1 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프레임, 및 제 2 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고,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 사용자 데이터와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설정하는 채널 할당 제어 스텝과, 무선 기지국이,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과, 이동국이, 무선 신호를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스텝과, 이동국이,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으로부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와, 다중화된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채널 할당 해석 스텝을 구비하고, 채널 할당 제어 스텝에서는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모든 서브 채널을 무선 신호의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에 할당하여,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에만 제어 데이터를 격납하고,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영역상에 격납하고, 채널 할당 해석 스텝에서는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의 어느 하나에서의 자기 기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만으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분리하고, 또한 사용자 데이터를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영역상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면, 적어도 2 개의 캐리어상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군을 포함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이 구성되고, 그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 사용자 데이터와 그 사용자 데이터의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가 설정되고, 그 2 개의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가 이동국을 향하여 송신된다. 이때,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 채널이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제어 데이터는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에 격납되고, 사용자 데이터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에 걸친 모든 서브 채널상에 격납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이동국에 의해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의 분할된 서브 채널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제어 데이터가 분리되고,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서브 채널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분리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셀간의 간섭에 기인하는 이동국측에서의 제어 데이터의 결핍을 방지하여 사용자 데이터에 관한 수신 품질을 확보하는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를 2 개의 무선 프레임의 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시의 스루풋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셀간 간섭의 저감 및 최대 스루풋의 향상을 실현하여, 주파수 공간의 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무선 기지국(10) 및 이동국(30)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무선 기지국(10)과 복수의 이동국(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IEEE 802.16e에 준거한 직교 주파수 다원 접속(OFDMA : 0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을 사용하여, 무선 기지국(10)과 이동국(30)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이다. OFDMA는 송신 캐리어의 전 대역을 주파수축상에서 서브캐리어로 분할하여, 무선 신호를 복수의 협대역의 서브캐리어의 다 발로서 전송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의 1종이다. 송신 캐리어의 대역폭으로서는 예를 들면 5 MHz, 10 MHz, 20 MHz가 선택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주파수 대역으로서 서로 다른 2 개의 캐리어(예를 들면, 중심 주파수가 2.550 MHz에서 대역폭이 10 MHz인 캐리어와, 중심 주파수가 2.560 MHz에서 대역폭이 10 MHz인 캐리어)가 허용되어 있다.
우선, 무선 기지국(10) 및 이동국(3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10)은 오류 정정 부호화부(111 내지 11N), 변조부(121 내지 12N), 다중화부(다중화수단)(13), 채널 할당 제어부(채널 할당 제어수단, 채널 할당 해석수단)(14), OFDM 신호 생성부(15), 송수신부(송신수단, 수신수단)(16), OFDM 신호 검출부(17), 분리부(18), 복조부(191 내지 19N), 및 오류 정정 복호부(201 내지 20N)를 갖고 있다.
복수의 이동국(30)에 송신하는 대상의 송신 정보(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각각은 오류 정정 부호화부(111 내지 11N)에 의해서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가 실시되고, 각각의 오류 정정 부호화부(111 내지 11N)로부터 출력된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 후의 용장화(冗長化) 비트 정보는 변조부(121 내지 12N) 및 다중화부(13)를 경유하여 시분할 다중된 사용자 데이터로서 생성된다. 다중화부(13)로부터 출력된 사용자 데이터는 채널 할당 제어부(14)에 의해서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상세한 것은 후술함)로 설정되고, 이들 무선 프레임은 OFDM 신호 생성부(15)에 의해서 OFDMA용 무선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그 무선 신호는 송수신부(16)에 의해서 외부의 이동국(30)을 향하여 OFDMA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여기에서, 무선 기지국(10)은 이동국(30)과 무선 통신 가능한 에어리어인 셀마다 배치되어, 셀 내의 3 개의 섹터에 대하여 따로따로의 무선 신호를 송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이동국(30)으로부터 무선 기지국(10)을 향하여 송신된 수신 정보(업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설정된 2 개의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는 OFDMA를 사용하여 송수신부(16)에 의해 섹터마다 수신된다. 수신된 무선 신호는 OFDMA 신호 검출부(17)에 의해서 검출됨으로써, 무선 신호로부터 2 개의 무선 프레임이 추출된다. 그리고, 채널 할당 제어부(14)에 의해, 2 개의 무선 프레임 중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시분할 다중된 데이터로 분리된 후, 그 데이터는 분리부(18)에 의해 각각의 이동국(30)으로부터의 사용자 데이터로 분리된다. 그리고, 각각의 사용자 데이터는 복조부(191 내지 19N)에 의해서 복조된 후, 오류 정정 복호부(201 내지 20N)에 의해서 오류 정정 복호 처리가 실시되어 각각의 이동국(30)으로부터의 수신 정보로 복원된다.
다음에, 채널 할당 제어부(14)의 기능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의 캐리어상의 각각에서 송수신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을, 그 무선 프레임 내에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송신처 섹터마다 설정한다. 도 3a에는 채널 할당 제어부(14)가 설정하는 1 개의 무선 프레임의 시간축 상 및 주파수축 상에서의 데이터 배열을 개념적으로 도시한다.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동 도면에 도시하는 서브 채널 논리 번호(Subchannel Logical Number)마다 소정의 기준으로 복수조 S, S+1, S+2,···의 서브 채널을 할당하여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무선 기지국(10)이 전송 가능한 2 개의 주파수 대역의 캐리어 중 어느 하나의 캐리어상에 있어서 주파수축상에 분산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묶음으로써, 복수조의 서브캐리어군을 선택한다. 그리고, 그 복수조의 서브캐리어군마다 서브 채널 논리 번호로 식별되는 서브 채널을 생성하고, 그 서브 채널에 의해서 구성되는 무선 프레임을 생성한다.
또,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 및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정보를 할당하기 위한 데이터 영역을 다중화하여 설정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무선 프레임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이동국(30)에 송신하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다운링크부 DL과 이동국(30)으로부터 무선 기지국(10)에 송신하는 데이터를 격납하는 업링크부 UL로 시간적으로 분리하여 할당한다. 이 다운링크부 DL에는 수신측에서 무선 프레임의 동기를 취하기 위한 프리앰블부 Dp, 무선 프레임에서의 섹터마다의 데이터 판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부 DC, 및 복수의 이동국(30)을 향한 사용자 데이터를 격납하는 사용자 데이터부 DU1가 배열된다. 도 3b에는 무선 프레임의 제어 데이터부 DC의 시간축상 및 주파수축상에서의 데이터 배열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데이터부 DC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섹터마다 사용하는 서브 채널을 특정하기 위한 프레임 컨트롤 헤더(FCH) DC1, FCH로 지정된 서브 채널 중의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 영역을 나타내는 DL-MAP, UL-MAP 등의 맵핑(mapping) 정보 DC2를 포함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의 캐리어로서 주파수가 다른 2 개의 캐리어 Sp1, Sp2가 허용되어 있는 경우는 섹터마다의 주파수 분할 할당 방식으로서 PUSC(Pertial Usage of Sub Channels)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캐리어 Sp1, Sp2상에서 분산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6 개의 논리적 그룹인 서브캐리어군 f11 내지 f16 및 서브캐리어군 f21 내지 f26으로 분할한다(도 4 참조). 또,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서브캐리어군 f11 내지 f16으로부터 서브캐리어군을 2 개씩 선택하여, 각각의 2 개의 서브캐리어군을 특정한 셀 내의 3 개의 각 섹터 S01, S02, S03에 할당한다(도 5 참조). 마찬가지로,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서브캐리어군 f21 내지 f26 중으로부터 2 개의 서브캐리어군을 선택하여, 각각의 2 개의 서브캐리어군을, 서브캐리어군 f11 내지 f16를 할당한 셀에 인접하는 셀 내의 3 개의 각 섹터 S04, S05, S06에 할당한다. 이렇게 하여,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의 인접 셀 내의 6 개의 섹터마다 2 개의 캐리어 Sp1, Sp2상의 모든 서브 채널군을 반복 할당하 도록 동작한다.
그래서,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각각의 캐리어 Sp1, Sp2상에서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에 설정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를,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여 설정한다. 무선 프레임 F1는 서브캐리어군 f11 내지 f16에 할당된 서브 채널에 의해 구성되는 무선 프레임이고, 무선 프레임 F2는 서브캐리어군 f21 내지 f26에 할당된 서브 채널에 의해 구성되는 무선 프레임이다. 이때,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송신처 섹터에 대하여 할당한 캐리어 Sp1, Sp2에 대응하는 1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에만, 시분할 다중에 의해 제어 데이터부 DC를 설정한다.
도 6 및 도 7은 채널 할당 제어부(14)가 송신처 섹터 S01 내지 S06마다 대응하여 설정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의 데이터 배열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예를 들면,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송신처 섹터 S01에 대응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를 작성하는 경우는 제어 데이터부 DC를 캐리어 Sp1상의 무선 프레임 F1 내의 서브캐리어군 f11, f14의 영역으로 설정한다(도 6a). 이때,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제어 데이터부 DC를 설정할 때는 다중화부(13)로부터 출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프레임 컨트롤 헤더 DC1, DL-MAP, UL-MAP 등을 포함하는 맵핑 정보 DC2의 사이즈를 어림한 후, 격납처의 영역의 용량을 결정하고, 제어 데이터부 DC와 사용자 데 이터부 DU1의 단락의 시간적 위치를 구한다. 그리고,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프리앰블부 Dp 내에 프레임 컨트롤 헤더 DC1의 설정 위치를 지정하는 정보를 매립하여, 프레임 컨트롤 헤더 DC1 중에 송신처 섹터에 할당된 영역에 속하는 서브캐리어군을 특정하는 정보(제 1 격납처 정보)를 매립하는 것으로, 이동국(30)측에서의 제어 데이터부 DC의 추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제어 데이터부 DC를 설정한 후에, 다중화부(13)로부터 출력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에 포함되는 모든 서브 채널 S상에 영역이 정해진 사용자 데이터부 DU1에, 시분할 다중에 의해서 격납한다. 여기에서, 무선 프레임 F2에서의 사용자 데이터부 DU1의 시간적인 설정 위치는 무선 프레임 F1과 동일해지도록 설정한다. 또,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에 있어서 사용자 데이터부 DU1에 대하여 시간적으로 후속하는 설정 위치에 업링크부 UL을 할당한다. 이 업링크부 UL은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모든 서브 채널상에 있어서 할당되고, 이동국(30)으로부터 무선 기지국(10)에 대하여 송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를 격납하기 위한 제어 신호부 DCT와,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격납하기 위한 사용자 데이터부 DU2가, 시간적으로 구분되어 설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송신처 섹터 S02 및 송신처 섹터 S03에 대응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를 설정할 때에, 각각, 제어 데이터부 DC를 캐리어 Sp1상의 무선 프레임 F1 내의 서브캐리어군 f12, f15 및 서브캐리어군 f13, f16의 해당 영역에만 설정하는 한편, 사용자 데이터를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모든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영역에 격납 가능하도록 사용자 데이터부 DU1, DU2를 설정한다(도 6b 내지 6c). 또,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송신처 섹터 S04, S05, S06에 대응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를 작성하는 경우는 각각, 제어 데이터부 DC를 캐리어 Sp2상의 무선 프레임 F2 내의 서브캐리어군 f21, f24, 서브캐리어군 f22, f25, 및 서브캐리어군 f23, f26의 해당 영역에만 설정하는 한편, 사용자 데이터를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모든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영역에 격납 가능하도록 사용자 데이터부 DU1, DU2를 설정한다(도 7a 내지 7c).
또,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제어 데이터부 DC 내의 맵핑 정보 DC2에 포함되는 DL-MAP에, 이동국(30)에 대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제 2 격납처 정보)와, 무선 프레임 F1, F2 내에서의 이동국(30)에 대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유무를 나타내는 격납 종별 정보를 미리 설정하고, 이들 정보에 의해 이동국(30)측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영역을 특정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DL-MAP에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 X와,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서의 격납 데이터 사이즈(Δt, ΔS)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설정하는 동시에, DL-MAP에 무선 프레임 F1, F2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유무를 나타내는 격납 종별 정보 Frequency를 설정한다. 도 8은 채널 할당 제어부(14)가 설정하는 DL-MAP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격납 종별 정보 Frequency는 무선 프레임 F1, F2 내에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있고,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 F2 내에만 사용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는(도 9a), 격납 종별 정보 Frequency="1"로 설정되고, 무선 프레임 F1, F2의 양쪽에 사용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 경우는(도 9b), 각 사용자 데이터에 대하여 도 8의 격납 종별 정보가 설정되고, 격납 종별 정보 Frequency="O" 및 격납 종별 정보 Frequency="1"의 정보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DL-MAP를 설정하여 이동국(30)에 통지하는 것으로, 이동국(30)에 송신하는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프레임 F2 내에만 격납하여 송신하거나(도 9a), 무선 프레임 F2, F2의 양쪽에 격납하여 송신하거나 하여도(도 9a), 이동국(30)측에서 그 데이터를 안전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제어 데이터부 DC 내의 맵핑 정보 DC2에 포함되는 UL-MAP에도,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영역을 나타내는 정보와, 무선 프 레임 F1, F2 내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유무를 나타내는 격납 종별 정보를 미리 설정하고, 이들 정보에 의해 이동국(30)측에서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영역을 특정 가능하게 한다. 도 10은 채널 할당 제어부(14)가 설정하는 UL-MAP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격납 종별 정보 Frequency는 무선 프레임 F1, F2 내에 사용자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도시하고 있다.
또,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캐리어 Sp1, Sp2의 중심 주파수를 사용자 데이터부 DU1상에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 DCD(DL Channel Descriptor) 및 UCD(UL Channel Descriptor)에 사용하여 기록함으로써, 이동국(30)에 2 개의 캐리어 Sp1, Sp2를 특정시킨다. 도 11a는 채널 할당 제어부(14)가 설정하는 UCD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b는 채널 할당 제어부(14)가 설정하는 DCD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UCD 및 DCD에는 2 개의 캐리어 Sp1, Sp2의 중심 주파수를 격납하기 위한 메인 주파수 Main frequency, 및 서브 주파수 Sub frequency의 격납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2로 이동하여, 이동국(30)은 송수신부(수신수단)(31), OFDM 신호 검출부(32), 채널 할당 해석부(채널 할당 해석수단)(33), 복조부(34), 오류 정정 복호부(35), 오류 정정 부호화부(36), 변조부(37), 및 OFDM 신호 생성부(38)를 갖고 있다.
송수신부(31)는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2 개의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OFDMA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 신호는 OFDM 신호 검출부(32)에 의해서 검출됨으로써, 무선 신호로부터 2 개의 무선 프레임이 추출된다. 추출된 2 개의 무선 프레임 중으로부터, 채널 할당 해석부(33)에 의해서 제어 데이터부 DC가 추출된 후, 그 제어 데이터부 DC가 해석됨으로써, 또한 무선 프레임 중으로부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추출된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터는 복조부(34)에 의해서 복조된 후, 오류 정정 복호부(35)에 의해서 오류 정정 복호 처리가 실시되어 이동국(30) 앞으로의 정보로 복원된다.
무선 기지국(10)에 송신하는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는 오류 정정 부호화부(36)에 의해서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가 실시되고, 오류 정정 부호화부(36)로부터 출력된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 후의 용장화 비트 정보는 변조부(37)에 의해서 데이터 변조 처리가 실시된다. 변조부(37)로부터 출력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는 채널 할당 해석부(33)에 의해서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 설정되고, 이들 무선 프레임은 OFDM 신호 생성부(38)에 의해서 OFDMA용 무선 신호로 변환되고, 그 무선 신호는 송수신부(31)에 의해서 외부의 무선 기지국(10)을 향하여 OFDMA를 사용하여 송신된다.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OFDM 신호 검출부(32)로부터 출력된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를, 다음과 같이 서브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해석한다. 즉,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서브 채널 논리 번호마다 무선 기지국(10)과 같은 기준으로 서브 채 널을 할당한다. 상세하게는 무선 기지국(10)의 캐리어 신호의 2 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캐리어상에 분산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로부터, 복수조의 서브캐리어군 f11 내지 f16, f21 내지 f26을 선택한다(도 4). 그리고, 그 복수조의 서브캐리어군마다 서브 채널 논리 번호로 식별되는 서브 채널을 할당하여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를 해석한다.
그 후,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의 어느 하나부터 프리앰블부 Dp를 판독하고, 그 프리앰블부 Dp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부 DC의 프레임 컨트롤 헤더 DC1(도 3b)를 추출한다. 그리고, 프레임 컨트롤 헤더 DC1에 포함되는 제 1 격납처 정보에 기초하여, 자기 기기가 위치하는 섹터에 할당된 무선 프레임 내의 2 개의 서브캐리어군으로 구성되는 영역을 특정하여, 무선 프레임 F1, F2의 어느 하나부터 그 영역을 분할한다. 예를 들면, 이동국(30)이 섹터 S1에 위치하는 경우는, 무선 프레임 F1로부터 서브캐리어군 f11, f14를 포함하는 영역을 분할한다(도 6a). 그리고,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분할한 영역으로부터 DL-MAP 및 UL-MAP를 포함하는 맵핑 정보 DC2를 추출한다. 그 후,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DL-MAP 및 UL-MAP의 각각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 X 및 격납 데이터 사이즈(Δt, ΔS)를 나타내는 정보와,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유무를 나타내는 격납 종별 정보 Frequency의 부분을 판독한다.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이들 정보로부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및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에서의 격납 영역을 특정하는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가 설정되는 무선 프레임 F1, F2를 판단한다.
또,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제어 데이터부 DC를 해석한 후,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모든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부 DU1로부터, 이동국(30)을 향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부(24)에 출력한다. 이 때,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사용자 데이터부 DU1 중의 이동국(30)을 향한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 영역을, 맵핑 정보 DC2에 포함되는 DL-MAP로부터 특정할 수 있다. 그 한편,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제어 데이터부 DC를 해석함으로써,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사용자 데이터부 DU2에서의 이동국(30)용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영역을 결정한다. 그리고,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변조부(37)로부터 출력된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사용자 데이터부 DU2의 해당 영역에 격납함으로써 무선 프레임 F1, F2를 설정하여, OFDM 신호 생성부(38)에 출력한다.
다음에,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무선 기지국(10) 및 이동국(30)을 포함 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하는 동시에, 아울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이동국(30)을 향하여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3은 이동국(30)으로부터 무선 기지국(10)을 향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무선 기지국(10)에 있어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동국(30)에 송신해야 하는 송신 정보가 수신되면, 무선 기지국(10)의 오류 정정 부호화부(111 내지 11N)에 의해, 그 정보에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다(스텝 SO1).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에 의해 생성된 용장화 비트 정보는 변조부(121 내지 12N)에 의해 변조 처리가 실시된 후(스텝 S02), 또 다중화부(13)에 의해 데이터 다중화 처리가 이루어져, 시분할 다중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로서 생성된다(스텝 S03).
다음에,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의 캐리어로부터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여 2 개의 서브캐리어군을 선택한다(스텝 S04). 그리고,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다중화부(13)로부터 출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데이터부 DC의 사이즈를 어림한다(스텝 S05). 또,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 무선 프레임 F1, F2의 어느 하나에 할당된 제어 데이터부 DC 내에, 프레임 컨트롤 헤더 DC1 및 맵핑 정보 DC2를 격납 한다(스텝 S06). 제어 데이터부 DC를 설정 후,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의 모든 서브 채널상에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격납한다(스텝 S07). 이와 같이 하면, OFDM 신호 생성부(15)에 의해 OFDMA용 무선 신호가 생성되고, 그 무선 신호는 송수신부(16)에 의해서 이동국(30)을 향하여 송신된다(스텝 S08).
이것에 대하여, 이동국(30)의 송수신부(31)에 의해서 무선 신호가 수신되고, 이 무선 신호는 OFDM 신호 검출부(32)에 의해서 검출됨으로써, 무선 신호로부터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가 추출된다(스텝 S09).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이 무선 프레임 F1, F2의 어느 하나부터, 프리앰블부 Dp, 제어 데이터부 DC 내의 프레임 컨트롤 헤더 DC1, 및 맵핑 정보 DC2를 순차적으로 추출한다(스텝 S1O). 그 후,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맵핑 정보 DC2의 DL-MAP를 해석함으로써,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모든 서브 채널에 전개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부 DU1로부터 추출한다(스텝 S11).
이렇게 하여 추출된 사용자 데이터는 복조부(34)에 의해서 시분할 다중된 데이터로부터 용장화 비트 정보로서 복조된다(스텝 S12). 그리고, 용장화 비트 정보가, 오류 정정 복호부(35)에 의해 오류 정정 복호 처리가 실시되고, 원래의 정보로 복원된다(스텝 S13). 마지막으로, 이 정보에 대하여 이동국(30) 내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의해 원하는 처리를 할 수 있다(스텝 S14).
도 13으로 이동하여, 이동국(30)에 있어서 무선 기지국(10)에 송신해야 하는 송신 정보가 발생하면, 이동국(30)의 오류 정정 부호화부(36)에 의해, 그 정보에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가 실시된다(스텝 S21). 오류 정정 부호화 처리에 의해 생성된 용장화 비트 정보는 변조부(37)에 의해 변조 처리가 실시됨으로써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로서 생성된다(스텝 S22).
다음에,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2 개 무선 프레임 F1, F2의 제어 데이터부 DC 내에 격납된 맵핑 정보 DC2기초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2 개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격납 영역을 특정한다(스텝 S23). 그리고, 채널 할당 해석부(33)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의 모든 서브 채널상에 할당된 사용자 데이터부 DU2의 해당 영역에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격납한다(스텝 S24). 그 후, OFDM 신호 생성부(38)에 의해 OFDMA용 무선 신호가 생성되고, 그 무선 신호는 송수신부(31)에 의해서 무선 기지국(10)을 향하여 송신된다(스텝 S25).
이것에 대하여, 무선 기지국(10)의 송수신부(16)에 의해서 무선 신호가 수신되고, 이 무선 신호는 OFDM 신호 검출부(17)에 의해서 검출됨으로써, 무선 신호로부터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가 추출된다(스텝 S26).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이동국(30)으로부터의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모든 서브 채널에 전개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부 DU1로부터 분리한다(스텝 S27).
이렇게 하여 추출된 사용자 데이터는 복조부(191 내지 19N)에 의해서 시분할 다중된 데이터로부터 용장화 비트 정보로서 복조된다(스텝 S28). 그리고, 용장화 비트 정보가, 오류 정정 복호부(201 내지 20N)에 의해 오류 정정 복호 처리가 실시되고, 원래의 정보로 복원된다(스텝 S29). 복원된 정보는 무선 기지국(10)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 전송 등의 각종 처리가 실시된다(스텝 S30).
이상 설명한 무선 기지국(10) 및 이동국(30)에 의하면, 2 개의 캐리어상의 각각에 있어서 복수조의 서브캐리어가 선택되고, 그 복수조의 서브캐리어로부터 생성된 복수의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가 구성되고, 그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에 사용자 데이터와 그 사용자 데이터의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가 설정되고, 그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가 이동국(30)을 향하여 송신된다. 그때,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서브 채널이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제어 데이터는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에 격납되고, 사용자 데이터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에 걸친 모든 서브 채널상에 격납 가능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이동국(30)에 의해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무선 신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분할된 서브 채널의 해당 영역으로부터 제어 데이터가 분리되고,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모든 서브 채널로부터 사용자 데이터가 분리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셀간의 간섭에 기인하는 이동국측에서의 제어 데이터의 결핍을 방지하여 사용자 데이터에 관한 수신 품질을 확보하는 동시에, 사용자 데이터를 2 개의 무선 프레임의 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시의 스루풋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무선 기지국(10)이 이동국(30)에 대하여,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분할 영역에서의 제어 데이터의 격납처를 통지하고, 그 제어 데이터에 의해서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 및 격납처의 무선 프레임 F1, F2를 통지하기 때문에, 이동국(30)측에서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 내의 서브 채널의 범위로부터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확실히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무선 기지국(10)은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의 중으로부터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더욱 분리하기 때문에, 이동국(30)측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할 때에도,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의 대역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시의 스루풋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무선 기지국(10)의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의 모든 서브 채널상에 있어서, 이동국(30)으로부터 무선 기지국(10)에 대하여 송신되는 각종 제어 신호를 격납하기 위한 제어 신호부 DCT를 할당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네트워크 접속의 요구 처리(Initial Ranging)시에 이동국(30)측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신호나, 적응 변조 처리를 위해서 이동국(30)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 품질 정보, 오류 정정 처리를 제어하기 위해서 이동국(30)으로부터 송신되는 제어 정보 등을, 2 개의 주파수 대역에 분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종 제어 처 리의 지연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송수신하는 무선 신호에 할당되는 캐리어로서 2 개의 주파수대의 캐리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3 개 이상의 캐리어를 사용하여, 각각의 캐리어마다 생성된 서브 채널을, 3 개 이상의 무선 프레임에 할당하여도 좋다. 그 때, 채널 할당 제어부(14)에 의해서 맵핑 정보 DC2에 설정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는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유무를 나타내는 격납 종별 정보 대신에, 격납처의 무선 프레임에 대응하는 송신 캐리어를 식별하는 캐리어 식별 정보를 설정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미리 이동국(30)에 대하여 제어 신호 DCD, UCD를 송신함으로써, 무선 프레임에 관한 속성 정보를 통지하여 둔다. 도 14는 채널 할당 제어부(14)에 의해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 DCD, UCD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어 신호 DCD, UCD에는 제어 신호 DCD, UCD가 송신된 송신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Frequency", 이 송신 캐리어 이외의 캐리어수 "No. other RF carriers", 제어 신호 DCD, UCD의 송신 캐리어 이외의 캐리어에 대응하는 무선 프레임의 속성 정보 Data1이 설정된다. 이 속성 정보 Data1은 캐리어수만큼 반복 설정되어 있고, "1", "2", "3" 등의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캐리어 식별 정보 "RF Carrier index", 캐리어의 중심 주파수 "Frequency", 캐리어의 대역폭 "Bandwidth", 무선 프레임에 할당되는 서브캐리어수 "FFT size", 무선 프레임의 시간축상의 길이 "Frame length", 및 무선 프레임 내의 다운링크부 DL과 업링크부 UL의 심벌수의 비 "No. OFDMA symbols"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맵핑 정보 DC2에 포함되는 DL-MAP 및 UL-MAP에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처의 무선 프레임에 대응하는 송신 캐리어를 식별하는 캐리어 식별 정보 "RF Carrier index"를 매립한다. 도 15는 DL-MAP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데이터 항목 "RF Carrier index"에 의해,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되는 무선 프레임에 할당되는 캐리어가 특정되고, 데이터 항목 "OFDMA symbol offset", "Subchannel offset"에 의해,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도 9a의 x0)가 특정되고, 데이터 항목 "No. OFDMA symbols"에 의해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 영역의 시간축상의 길이(도 9a의 Δt0)가 특정되고, 데이터 항목 "No. subchannels"에 의해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 영역에 할당되는 서브 채널수(도 9a의 ΔS0)가 특정된다. 도 16의 UL-MAP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데이터 항목 "RF Carrier index"에 의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되는 무선 프레임에 할당되는 캐리어가 특정되고, 데이터 항목 "Offset Duration"에 의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가 특정되고, 데이터 항목 "Duration"에 의해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 영역의 사이즈가 특정된다.
이와 같이 캐리어 식별 정보를 DL-MAP, UL-MAP으로 설정함으로써, 3 개 이상의 주파수대 Sp11, Sp12, Sp13이 각각 별도의 무선 프레임에 할당되는 경우(도 17a)에 도, 이동국(30)과 무선 기지국(10)간에서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확실히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프레임에 할당되는 주파수대 Sp21, Sp22, Sp23이 이산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경우(도 17b)나, 주파수대 Sp31, Sp33의 대역폭이 다른 경우(도 17c)나, 상승 방향 및 하강 방향에서 각각 다른 주파수대 Sp41 및 주파수대 Sp42, Sp43이 할당되는 경우(도 17(d))에도, 제어 데이터와 사용자 데이터를 확실히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에 사용자 데이터를 설정할 때에, 제어 정보가 할당되지 않은 무선 프레임의 제어 데이터부 DC에 대응하는 시간 영역 내에도, 사용자 데이터를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송신처 섹터 S01 내지 S03의 각각에 대하여, 도 18a 내지 1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구성의 무선 프레임 F1, F2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프레임 F1에서의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군 f11, f14의 시간 영역 Δtc에 제어 데이터부 DC를 설정하고, 송신처 섹터 S01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군 f11, f14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F2의 시간 영역 Δtc에 대응하는 영역 DU3에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설정한다. 마찬가지로, 송신처 섹터 S02에 대응 하는 서브캐리어군 f12, f15를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F2의 시간 영역 Δtc에 대응하는 영역 DU3에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설정하고, 송신처 섹터 S03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군 f13, f16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F2의 시간 영역 Δtc에 대응하는 영역 DU3에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무선 프레임 F2 내의 빈 영역을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무선 리소스의 유효 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 이때,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무선 프레임 F2의 영역 DU3에 사용자 데이터를 설정할 때는 이동국(30)에 직전에 송부되는 무선 프레임 중의 DL-MAP 등의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이동국(30)에 데이터 할당의 변경을 통지한다. 그 결과, 이동국(30)측에서 불필요한 영역 DU3을 버퍼링하여 둘 필요가 없어져, 사용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이동국(30)을 향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영역 DU3에 설정하는지의 여부를, 미리 이동국(30)마다 취득된 하강 방향의 통신 품질 정보, 및 이동국(30)에 제공되어 있는 통신 서비스의 종별에 기초하여, 이하의 기준에 의해서 판단한다. 상세하게는 이동국(30)마다 측정된 수신 캐리어 신호대 간섭 잡음비(CINR : Carrier to Interference and Noise Ratio)가 소정치 이상이고, 소정의 통신 품질을 만족시킨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이동국(30)을 송신처로 하는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영역 DU3에 설정한다. 또는 상 기 조건에 덧붙여, 또는 상기 조건 대신에, 이동국(30)에 제공되어 있는 통신 서비스가 음성 통신 등의 저속의 고정 레이트의 통신 서비스라고 특정된 경우에, 해당하는 이동국(30)을 송신처로 하는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영역 DU3에 설정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캐리어간의 간섭이 생길 가능성이 적은 송신처에 대하여 무선 프레임 내의 빈 영역을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의 수신 품질을 유지하면서, 무선 리소스의 유효 이용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채널 할당 제어부(14)에 의해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가 상기 영역 DU3에 설정된 경우에는, 영역 DU3 내의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 전력이, 소정 CINR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다른 시간 영역에 설정되는 사용자 데이터부 DU1, DU2의 송신 전력과 비교하여 작아지도록 제어되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제어 데이터부 DC를 수신할 때의 캐리어간의 간섭이 저감되고, 이동국(30)측에서 무선 프레임 내로부터 제어 데이터를 더욱 확실히 추출할 수 있다.
또,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제어 데이터부 DC를 무선 프레임 F1, F2에 설정할 때는, 2 개의 무선 프레임 F1, F2에 동일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제어 데이터부 DC를 설정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채용하여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는,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채용하는지의 여부를, 제어 신호 DCD, UCD에 의해서 미리 이동국(30)에 통지하여 둔다. 도 19는 채널 할당 제어부(14)에 의해서 송신되는 제어 신호 DCD, UCD의 데이터 구성 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어 신호 DCD, UCD에는 각 무선 프레임에 할당된 캐리어를 식별하는 캐리어 식별 정보 "RF Carrier index"에 대응하여, 그 무선 프레임에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채용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프래그 정보"Freq. Div. Support"가 설정된다.
또한,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송신처 섹터마다 할당되는 제어 데이터부 DC용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내에도 제어 데이터를 분산하여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채널 할당 제어부(14)는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량이 증대하여, 송신처 섹터 S01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부 DC 내에 설정되는 제어 데이터 사이즈가 커진 경우에는 제어 데이터부 DC를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F2 내의 동일 시간 영역 DC3에도 DL-MAP 등의 제어 데이터를 추가하여 설정한다(도 20). 이것에 의해, 제어 데이터를 주파수 대역으로 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데이터의 트래픽이 증대하여도 사용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캐리어의 전환의 타이밍은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이동국(30)에 하행의 제어 정보에 의해서 미리 통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기지국(10)으로부터 이동국(30)에 직전에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부 DC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 DL-MAP나, 사용자 데이터부 DU1 내로 설정되는 하강 방향의 제어 정보 Sub-DL-MAP에 의해서, 캐리어 전환 타이밍이 통지된다. 도 21은 이 경 우에 DL-MAP에 설정되는 정보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전환처 캐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캐리어 식별 정보 "RF Carrier index"와, 이 DL-MAP가 전송된 시각을 기준으로 한 전환 타이밍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 "Switching Time"이 관련지어져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DL-MAP를 수신함으로써, 이동국(30)이 무선 프레임으로부터 자국(自局) 앞으로의 제어 정보를 확실히 취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무선 기지국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이동국의 개략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채널 할당 제어부가 작성하는 무선 프레임의 시간축상 및 주파수축상에서의 데이터 배열을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서브 채널의 분할 후의 이미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의 무선 기지국의 주변의 섹터의 배치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6은 도 1의 채널 할당 제어부가 송신처 섹터마다 대응하여 설정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의 데이터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1의 채널 할당 제어부가 송신처 섹터마다 대응하여 설정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의 데이터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1의 채널 할당 제어부가 설정하는 DL-MAP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1의 채널 할당 제어부가 2 개의 무선 프레임 내에 설정하는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1의 채널 할당 제어부가 설정하는 UL-MAP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의 채널 할당 제어부가 설정하는 UCD 및 DCD의 데이터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을 향하여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3은 이동국으로부터 무선 기지국을 향하여 업링크 사용자 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시퀀스도.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채널 할당 제어부에 의해서 송신되는 DCD, UCD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채널 할당 제어부에 의해서 설정되는 DL-MAP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채널 할당 제어부에 의해서 설정되는 DL-MAP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의 송신 캐리어의 분포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채널 할당 제어부가 송신처 섹터마다 대응하여 설정하는 2 개의 무선 프레임의 데이터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채널 할당 제어부에 의해서 송신되는 DCD, UCD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채널 할당 제어부가 설정하는 무선 프레임의 데이터 배열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채널 할당 제어부에 의해서 설정되는 DL-MAP의 데이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섹터마다의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종래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 기지국 13 : 다중화부
14 : 채널 할당 제어부 15, 17 : OFDM 신호 생성부
16 : 송수신부 18 : 분리부

Claims (11)

  1.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에 의해서 복수의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
    다중화된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중화수단,
    제 1 캐리어상에서 복수의 분산된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을 복수조 생성하고, 상기 제 1 캐리어와는 다른 제 2 캐리어상에서 복수의 분산된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을 복수 생성하고, 상기 제 1 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프레임, 및 상기 제 2 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설정하는 채널 할당 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모든 상기 서브 채널을 상기 무선 신호의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에 할당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에만 상기 제어 데이터를 격납하고,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상기 영역상에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 중에 상기 제어 데이터의 격납처의 상기 영역을 특정하는 제 1 격납처 정보를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데이터 중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격납처 정보, 및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의 유무를 나타내는 격납 종별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 중에 상기 제어 데이터의 격납처의 상기 영역을 특정하는 제 1 격납처 정보를 설정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데이터 중에 상기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제 2 격납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격납처의 상기 무선 프레임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식별하는 캐리어 식별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상기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 내의 특정한 시간 영역에 상기 제어 데이터를 격납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중의 상기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특정한 시간 영역에도,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상기 복수의 이동국마다의 하강 방향의 통신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통신 품질을 만족시키는 상기 이동국을 송신처로 하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특정한 시간 영역에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특정한 시간 영역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가 격납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 전력이, 소정의 통신 품질을 만족시키는 범위에서, 상기 특정한 시간 영역 이외의 시간 영역에 격납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 전력과 비교하여 작아지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중의 상기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무선 프레임 내에도, 상기 제어 데이터를 더욱 분산하여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및
    상기 무선 신호의 중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분리하는 채널 할당 해석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채널 할당 해석수단은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상기 영역상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기지국.
  9.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에 의해서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국에 있어서,
    제 1 캐리어상에서 분산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군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 1 캐리어와는 다른 제 2 캐리어상에서 분산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군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와, 다중화된 상기 사용자 데이터 를 분리하는 채널 할당 해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채널 할당 해석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모든 상기 서브 채널군을 상기 무선 기지국의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자기 기기(自機)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해당 영역만으로부터 상기 제어 데이터를 분리하고,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상기 영역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10.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에 의해서 복수의 이동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기지국과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에 의해서 상기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이동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다중화된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중화수단,
    제 1 캐리어상에서 복수의 분산된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을 복수조 생성하고, 상기 제 1 캐리어와는 다른 제 2 캐리어상에서 복수의 분산된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을 복수 생성하고, 상기 제 1 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프레임, 및 상기 제 2 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설정하는 채널 할당 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채널 할당 제어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모든 상기 서브 채널을 상기 무선 신호의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에 할당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에만 상기 제어 데이터를 격납하고,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상기 영역상에 격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 1 캐리어상에서 분산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군으로 이루어지는 제 1 무선 프레임과, 상기 제 1 캐리어와는 다른 상기 제 2 캐리어상에서 분산된 복수의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군으로 이루어지는 제 2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와, 다중화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분리하는 채널 할당 해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채널 할당 해석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모든 상기 서브 채널군을 상기 무선 기지국의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자기 기기(自機)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무선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해당 영역만으로부터 상기 제어 데이터를 분리하고,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상기 영역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무선 기지국과 이동국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에 의해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다중화된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다중화 스텝,
    상기 무선 기지국이 제 1 캐리어상에서 복수의 분산된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을 복수조 생성하고, 상기 제 1 캐리어와는 다른 제 2 캐리어상에서 복수의 분산된 서브캐리어를 묶은 서브 채널을 복수 생성하고, 상기 제 1 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제 1 무선 프레임, 및 상기 제 2 캐리어로부터 생성된 서브 채널을 포함하는 제 2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 상기 사용자 데이터와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상기 사용 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설정하는 채널 할당 제어 스텝,
    상기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스텝,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스텝, 및
    상기 이동국이,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에서의 사용자 데이터의 설정에 관한 제어 데이터와, 다중화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추출하는 채널 할당 해석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채널 할당 제어 스텝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에서의 모든 상기 서브 채널을 상기 무선 신호의 송신처 섹터마다의 영역에 할당하고,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송신처 섹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에만 상기 제어 데이터를 격납하고,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상기 모든 상기 영역상에 격납하고,
    상기 채널 할당 해석 스텝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의 어느 하나에서의 자기 기기에 대응하는 해당 영역만으로부터 상기 제어 데이터를 분리하고, 또한 상기 사용자 데이터를 상기 제 1 및 제 2 무선 프레임 내의 모든 상기 영역상에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080075600A 2007-08-03 2008-08-01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방법 KR100967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03463 2007-08-03
JP2007203463 2007-08-03
JP2008148413A JP2009060582A (ja) 2007-08-03 2008-06-05 無線基地局、移動局、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JP-P-2008-00148413 2008-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114A KR20090014114A (ko) 2009-02-06
KR100967314B1 true KR100967314B1 (ko) 2010-07-07

Family

ID=40332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600A KR100967314B1 (ko) 2007-08-03 2008-08-01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9060582A (ko)
KR (1) KR100967314B1 (ko)
CN (1) CN1013600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5586A1 (en) * 2009-02-05 2010-08-05 Infineon Technologies Ag Multiband-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00952B2 (en) 2009-04-03 2013-03-1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a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48601B2 (en) 2009-08-21 2014-09-3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arrier activation
US8848623B2 (en) 2009-08-21 2014-09-3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hannel timing offset
EP2905914B1 (en) 2012-10-04 2018-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receiving downlink signal by considering antenna port relationshi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7011689A (ja) * 2015-06-19 2017-01-12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送信方法、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CN115211039B (zh) * 2020-02-27 2023-09-01 哲库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操作通信设备的方法、通信设备以及非瞬时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261A (ko) * 2003-11-19 2005-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 셀룰러 시스템에서의자원 공간 분할, 물리 채널 할당 및 전력 할당 방법
KR20050122756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랜덤 접속 채널을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40513A (ko) * 2005-10-12 2007-04-17 엘지노텔 주식회사 오에프디엠에이 시스템에서의 부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US20070177494A1 (en) 2006-01-31 2007-08-02 Kabushiki Kaisha Toshib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radio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0333B1 (ko) * 2004-06-15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소프트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8139557B2 (en) * 2005-09-30 2012-03-2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base station apparatus and system to avoid preamble interfere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8261A (ko) * 2003-11-19 2005-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직교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기반 셀룰러 시스템에서의자원 공간 분할, 물리 채널 할당 및 전력 할당 방법
KR20050122756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향링크 랜덤 접속 채널을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70040513A (ko) * 2005-10-12 2007-04-17 엘지노텔 주식회사 오에프디엠에이 시스템에서의 부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US20070177494A1 (en) 2006-01-31 2007-08-02 Kabushiki Kaisha Toshiba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radio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0081B (zh) 2012-03-14
KR20090014114A (ko) 2009-02-06
JP2009060582A (ja) 2009-03-19
CN101360081A (zh)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676B1 (ko)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방법
EP1946508B1 (en) Method and devices for using flexible bandwidth in OFDMA-based cognitive radio systems
KR100902499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 통신 장치 및 방법
KR100967314B1 (ko) 무선 기지국, 이동국,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방법
US8861549B2 (en) Multiple compatible OFDM systems with different bandwidths
EP2023561A1 (en) Wireless base station, mobile st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520346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の通信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の通信方法
JP461205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単一周波数を用いた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963513B1 (ko)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의 프레임 구성 장치 및 방법
KR102354217B1 (ko) 무선 통신 기지국 장치 및 제어 채널 배치 방법
KR100867317B1 (ko)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전송 오버 헤드를 줄이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101304114B1 (ko) 제어채널의 자원 매핑 방법
JP5156334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WO2007021139A1 (en) Dynamic resource allocation method based on frequency reuse partitioning for ofdma/fdd system, and frame transmission method therefor
KR100930047B1 (ko) 다중 채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채널 할당 장치 및방법
CN101965747B (zh) 频分复用方式的下行链路集中式和分布式复用
CN101808411B (zh) 通信系统中控制信道的资源映射方法和装置
US8493930B2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used in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switching method
EP1978691B1 (en) Wireless base station, mobile st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1402249B1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버스트 할당 장치 및 방법
CN101494637B (zh) 用于WiMAX演进系统的终端接入方法及帧结构
KR20080080892A (ko)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101203869B1 (ko) 다양한 대역폭 능력의 단말기 지원을 위한 다중 반송파전송 방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