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808B1 - 전자 장치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808B1
KR100965808B1 KR1020080007391A KR20080007391A KR100965808B1 KR 100965808 B1 KR100965808 B1 KR 100965808B1 KR 1020080007391 A KR1020080007391 A KR 1020080007391A KR 20080007391 A KR20080007391 A KR 20080007391A KR 100965808 B1 KR100965808 B1 KR 100965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ower amplifier
output signal
filter
delay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7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0548A (ko
Inventor
리종 주
조지 만카루세
마이클 코리건
전 슈
켄트 니커슨
Original Assignee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70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0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1Tuned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6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including re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7Structural details of sub-circuits of 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7/1741Comprising typical LC combinations, irrespective of presence and location of additional resistors
    • H03H7/1775Parallel LC in shunt or branch pa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17Structural details of sub-circuits of frequency selective networks
    • H03H7/1741Comprising typical LC combinations, irrespective of presence and location of additional resistors
    • H03H7/1783Combined LC in series pat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0Time-d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3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ing auxiliary mounted passive components or auxiliary substances
    • H05K1/0231Capacitors or dielectric subst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3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ing auxiliary mounted passive components or auxiliary substances
    • H05K1/0233Filters, inductors or a magnetic substa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05K1/0248Skew reduction or using delay li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71A filter circuit coupled to the output of a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21Use of a microprocessor in an amplifier circuit or its control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9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output circuit of an amplifying stage comprising an LC-networ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8Magnetic details
    • H05K2201/083Magnetic materials
    • H05K2201/086Magnetic materials for inductive purposes, e.g. printed inductor with ferrite co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66Transis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ransmitters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쇠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장치용의 송신 회로에서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가 제공된다. 이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PCB)과;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전력 증폭기와; 출력 신호용의 전력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PCB 상에서 구현되는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는 제1 필터링 스테이지, 지연 요소 및 고조파 필터를 포함한다. 지연 요소는 고조파 필터와 출력 단자 사이에 위치되고, 지연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0 오옴율 컴포넌트를 통하여 출력 신호에 타이밍 지연을 제공한다. 또한, 고조파 필터는 출력 신호의 1차 고조파를 감쇠시키는 주파수 차단점을 가진 저역 통과 필터이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FREQUENCY TRANSMISSIONS IN AN ELECTRONIC DEVICE}
본 명세서에 기술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고조파 레벨을 줄이기 위해 전자 장치의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한 피송신 라디오 주파수(RF)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 및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무선 휴대용 이동 통신 장치는 모바일 사용자가 자신의 책상에서 멀리 있는 동안에도 이메일, 기업 데이터(corporate data) 및 오거나이저 정보(organizer information) 등의 정보 및 통신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장치들은 다른 장치와 무선 송신을 이용하여 빈번하게 통신한다. 이러한 송신은 내부 증폭기에 의해 발생되고 장치의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하여 송신된다. 특정의 법규가 무선 장치의 송신 태양(transmission aspect)을 규정하는 것은 공통 필요조건이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장치에 있어서, 연방 통신 위원회(FCC)는 이러한 송신의 전기적 특성을 규정한다. 일련의 FCC 규정은 이러한 송신에 의해 발생된 고조파의 진폭에 대한 제한을 부여한다. 기존 통신 장치에서의 송신 회로는 기본 송신 주파수 주변에서 큰 신호 고조파를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고조파는 FCC 규정에 부합하지 않는 추가의 라디오 주파수 잡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력 증폭기로부터 라디오 주파수 잡음이 발생되게 하는 3가지의 주요 원인, 즉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에 존재하는 신호 고조파, 전력 증폭기의 출력과 그 관련 출력 회로 간의 전력 및/또는 임피던스 미스매치(mis-match)에 기인하여 발생된 고조파 및/또는 잡음, 및 전력 증폭기를 전원(예를 들면,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의 배터리)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PCB) 상의 회로 트레이스를 통하여 입력 전력 회로에서 누설되고 배터리를 통하여(예를 들면, 배터리의 케이스를 통하여) 장치로부터 방사되는 신호로부터 발생된 라디오 주파수 송신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결함을 해결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필요하다.
제1 태양에서, 무선 통신 장치용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 회로의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가 제공된다. 이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PCB)과; 통신 장치의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전력 증폭기와; 출력 신호용의 전력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PCB에서 구현되는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는 제1 필터링 스테이지, 지연 요소 및 고조파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에서, 지연 요소는 고조파 필터와 출력 단자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지연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0 오옴율(ohm-rated) 컴포넌트를 통하여 출력 신호에서 타이밍 지연을 제공한다. 또한, 고조파 필터는 출력 신호의 1차 고조파를 감쇠시키는 주파수 차단점(cut-off point)을 가진 저역 통과 필터일 수 있다.
전자 회로에서, 지연 요소는 0 오옴 컴포넌트일 수 있다.
전자 회로에서, 지연 요소는 회로의 필터 요소의 컴포넌트를 대체할 수 있다.
전자 회로에서, 고조파 필터는 지연 요소가 대체한 필터 요소를 구현할 수 있다.
전자 회로에서, 필터링 스테이지는 5 GHz 주파수 대역과 같은 특정 주파수 대역 주변 신호들을 감쇠시키는 노치 필터(notch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회로에서, 필터링 스테이지는 5 GHz 주파수 대역과 같은 특정 주파수 대역 위의 신호들을 감쇠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회로에서, 지연 요소는 필터 요소의 컴포넌트 대신에 인덕터를 사용함으로써 회로의 필터 요소를 대체할 수 있다.
전자 회로에서, 지연 요소는 트랙과 회로 간의 전기 연결을 완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0 오옴 컴포넌트를 삽입함으로써 회로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PCB의 교호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회로는 전력 증폭기를 증폭기의 배터리에 연결하는 전원 연결 회로의 PCB의 트랙에서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신호 송신을 감소시키기 위한 커패시터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전자 회로에서, 일련의 커패시터들은 전원 연결 회로에서 하이 필터 초크(high filter choke)와 전력 증폭기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는 2 GHz 주파수 대역 이상의 신호들을 감쇠시키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전자 회로에서, 커패시터들은 전원 연결 회로에서 하이 필터 초크와 배터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는 2 GHz 주파수 대역 이상의 신호들을 감쇠시키기 위한 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연 요소는 충분한 길이를 가져서 타이밍 지연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길이를 가로지르는 신호에 전파 지연을 제공하는 PCB 내의 트랙일 수 있다.
또한, 회로에서, 회로의 입력 지점(input point)은 전력 증폭기의 출력의 전 력 및 임피던스 특성을 수용하도록 동조될 수 있다.
제2 태양에서, 무선 통신 장치용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 회로의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출력 신호용의 제1 필터링 스테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1 필터링 스테이지 다음에 출력 신호용의 고조파 필터를 제공하는 단계와; 고조파 필터 다음에 출력 신호용의 출력 스테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출력 신호에 시간 지연을 부여하여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소시키도록 고조파 필터 앞에 출력 신호용의 전용 지연 요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회로에서, 고조파 필터는 출력 신호의 1차 고조파를 감쇠시키는 주파수 차단점을 가진 저역 통과 필터이다.
상기 방법에서, 지연 요소는 0 오옴 컴포넌트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지연 요소는 회로의 필터 요소 컴포넌트를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전력 증폭기를 증폭기의 배터리에 연결하는 전원 연결 회로에서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신호의 송신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다른 태양에서 설명하는 회로의 특징들을 또한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태양에서, 상기 태양들의 집합 또는 부분 집합의 각종 조합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전력 증폭기에서 발생한 피송신 라디오 주파수(RF) 신호의 송신 출력을 제어 및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고조파 레벨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단지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실시예는 무선 장치의 RF 송신 모듈의 출력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RF 송신은 기본 주파수 주변의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소시키도록 제어된다. 실시예는 장치의 안테나에 공급되기 전에 RF 송신용의 출력 신호에 타이밍 지연을 도입하기 위해 RF 송신의 출력 회로에서 지연 요소를 사용한다.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지연은 출력 신호의 진폭을 유지하면서 출력 신호에 시간 지연을 도입하고, 이것은 출력 신호의 기본 주파수에 관한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의 설명 및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에 관한 특정 실시예를 단지 예로서 제공한다. 이 예들은 설명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 및 그 원리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부분들은 명세서 및 도면 전체를 통하여 각각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여기에서 제공된다. 먼저, 실시예를 포함한 장치의 일반적인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에, 실시예의 회로의 예시적인 특징들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도면 부호 10으로 총괄적으로 표시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일반적인 특징을 도시한 것이다. 장치(10)는 셀폰을 구비한 고급형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의 기능을 가진 컴퓨팅 플랫폼에 기초를 둔 것이고, 이메일, SMS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한 무선 통신을 수신 및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는 스마트 전화기, 데스크탑 컴퓨터, 페이저 또는 전화 설비를 갖춘 랩탑 등의 다른 전자 장치의 구성 설계 및 기능에 기초를 둘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10)는 하우징(12), LCD(14), 스피커(16), LED 표시기(18), 트랙볼(20), ESC("escape") 키(22), 키패드(24), 및 이어 버드(ear bud)(26)와 마이크로폰(28)으로 구성된 전화 헤드셋을 구비한다. 트랙볼(20)과 ESC 키(22)는 장치(10)에 추가 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화살표(A) 방향의 경로를 따라 내측으로 눌러질 수 있다. 하우징(12)은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는 임의의 적당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장치(10)의 모든 컴포넌트들을 내장(house) 및 유지하도록 적당히 형성될 수 있다.
장치(10)의 컴포넌트들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장치(10)는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연결(CDMA) 시스템, CDMA 2000 시스템, 셀룰러 디지털 패킷 데이터(CDPD) 시스템 및 시분할 다중 연결(TDMA) 시스템과 같은 임의의 공지된 무선 전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 전화 통화를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른 무선 전화 시스템으로는 블루투스, 및 음성을 지원하는 802.11a, 802.11b, 802.11g 등과 같은 많은 형태의 802.11 무선 광대역이 있다. 장치(10)는 800, 900, 1800 및 1900 MHz 주파수 방송 대역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역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 능력을 제공하는 쿼드 밴드(quad-band) 호환 장치이다. 다른 실시예는 회로 교환식 전화 통화를 시뮬레이트할 수 있는 보이스 오버 IP(Voice over IP; VoIP)형 스트리밍 데이터 통신을 포함한다. 이어 버드(26)는 전화 통화 및 다른 사운드 메시지를 듣기 위해 사용되고, 마이크로폰(28)은 장치(10)에 말을 하거나 사운드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10)의 기능 컴포넌트들이 개략적으로 제공된 개략도(200)이다. 기능 컴포넌트들은 일반적으로 전자적, 구조적 또는 전자 기계적 장치들이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202)는 장치(10)와 관련된 거의 모든 데이터, 송신, 입력 및 출력을 수신 및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2)는 개략적으로, 키패드(24) 및 다른 내부 장치와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2)는 바람직하게 장치(10) 및 그 컴포넌트들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2)에 대한 예시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로는 인텔 코포레이션의 데이터 950(상표명) 계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6200 계열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있음, 모두 이용 가능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2)는 각종 입력 및 출력 핀에 대한 일련의 전기 연결을 통하여 장치(10)의 다른 요소들에 연결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2)는 각종 장치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는 IRQ 입력 라인을 갖는다. IRQ 라인에서 검출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그 신호에 반응하는 적당한 인터럽트 펌웨어가 제공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2) 외에, 장치(10)의 다른 내부 장치들이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장치로는 디스플레이(14), 스피커(16), 키패드(24), 통신 서브시스템(206),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08), 보조 I/O 장치(210), 직렬 포트(212), 마이크로폰(28)용의 마이크로폰 포트(214), 플래시 메모리(216)(데이터 영구 기억용),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18), 클럭(220) 및 기타 장치 서브시스템(도시 생략됨) 등이 있다. 장치(10)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이 있는 양방향 라디오 주파수(RF) 통신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치(10)는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바람직하게 플래시 메모리(216) 등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읽기 전용 메모리(ROM) 등의 다른 유형의 메모리 장치 또는 유사한 기억 요소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특수 장치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 부분들이 RAM(218) 등의 휘발성 기억장치에 임시적으로 로드될 수 있다. 이동 장치에 의해 수신된 통신 신호는 RAM(218)에 또한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2)는, 운영 체제 기능 외에, 장치(10)상에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음성 통신 모듈(222A) 및 데이터 통신 모듈(222B)과 같이 총괄적으로 애플리케이션 222로서 표시되고 장치의 기본 동작을 제어하는 일련의 소프트웨어(또는 펌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제조 중에 장치(10)에 인스톨될 수 있고 또는 그 후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서 개인 정보 관리자(PIM)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모듈(222N)과 같은 추가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제조 중에 인스톨될 수 있고, 또는 그 후에 장치(10)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각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데이터는 플래시 메모리(216)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은 통신 서브시스템(206) 및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08)을 통하여 수행된다. 종합적으로, 서브시스템(206, 208)은 장치(10)에 의해 처리되는 모든 통신 기술에 대한 신호 레벨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각종 애플리케이션(222)은 추가로 통신을 처리하고 등록(log)하기 위한 동작 제어를 제공한다. 통신 서브시스템(206)은 수신기(224), 송신기(226), 및 수신 안테나(228)와 송신 안테나(230)로 도시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한다. 또한, 통신 서브시스템(206)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232) 및 국부 발진기(LO)(234) 등의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 서브시스템(206)의 특정 설계 및 구현은 장치(10)가 동작하고자 의도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면, 장치(10)의 통신 서브시스템(206)은 모비텍스(Mobitex)(상표명), 데이터 TAC(DataTAC)(상표명) 또는 범용 패킷 라디오 서비스(GPRS) 이동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하고, 또한 고급형 이동 전화 서비스(AMPS), 시분할 다중 연결(TDMA), 코드 분할 다중 연결(CDMA), CDMA 2000, 개인 통신 서비스(PCS),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 등과 같은 임의의 각종 음성 통신 네트워크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분리형이든 일체형이든 상관없이 다른 유형의 데이터 및 음성(전화) 네트워크가 또한 장치(1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 통신 서브시스템(206)은 순간 메시징(IM) 시스템, 텍스트 메시징(TM) 시스템 및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시스템을 포함한 각종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른 장치와 통신하는 능력을 장치(10)에 제공한다.
DSP(232)는, 통신 신호를 처리 외에, 수신기(224) 및 송신기(226)에 대한 제어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수신기(224)와 송신기(226)에서 통신 신호에 인가된 이득은 DSP(232)에서 구현되는 자동 이득 제어 알고리즘을 통하여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텍스트 메시지 또는 웹 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 신호는 통신 서브시스템(206)에 의해 처리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02)에 입력으로서 제공된다. 그 다음에, 수신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2)에 의해 추가로 처리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02)는 디스플레이(14) 또는 보조 I/O 장치(210)에 대한 출력을 발생할 수 있다. 장치 사용자는 또한 키패드(24), 트랙볼(20) 및/또는 기타의 다른 보조 I/O 장치(210), 예를 들면, 터치패드, 라커 스위치, 트랙볼 또는 어떤 다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이메일 메시지 등의 데이터 항목을 구성할 수 있다. 구성된 데이터 항목은 그 다음에 통신 서브시스템(206)을 거쳐 통신 네트워크(140)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서브시스템(206)은 또한 그 원격 시스템의 통신 범위를 벗어나는 때를 검출할 수 있다.
음성 통신 모드에서, 장치(10)의 전체 동작은 데이터 통신 모드와 대략 유사하지만, 수신 신호가 스피커(16)에 출력되고 송신용 신호가 마이크로폰(28)에 의해 발생된다는 점이 다르다. 음성 메시지 기록 서브시스템과 같은 다른 음성 또는 오디오 I/O 서브시스템이 또한 장치(10)상에 구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디스플레이(14)가 예컨대 통화 상대방의 아이덴티티, 음성 통화 기간, 또는 기타의 음성 통화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음성 통신 모드에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208)은 장치(10)와 다른 근접 시스템 또는 장치(이 장치들은 반드시 동일한 장치일 필요는 없다) 사이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은 적외선 장치와 관련 회로 및 컴포넌트들, 또는 유사하게 인에이블되는 시스템 및 장치와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블루투스(상표명)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서브시스템(208)은 송신기(226)에 연결되어 그 신호의 물리적 송신을 제공할 수 있다.
휴대용 이동 통신 장치의 모든 전자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은 전원(236)이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236)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236)은 단일 배터리 팩, 특히 충전식 배터리 팩이다. 전원 스위치(도시 생략됨)는 장치(10)에 "온/오프" 스위치를 제공한다. 전원 인터페이스(도시 생략됨)는 전원(236)에 대하여 장치(10)의 컴포넌트들의 액세스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상기 요소들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원(236)으로부터의 전력은 송신기(226)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한 장치(1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에 제공된다. 배터리(236)로부터의 전압은 장치(10)의 컴포넌트들이 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장치(10)의 전압 조절기(도시 생략됨)에 제공될 수 있다. 전원 스위치를 기동시키면, 애플리케이션(222)이 장치(10)를 턴온시키도록 개시된다. 전원 스위치를 차단하면, 애플리케이션(222)이 장치(10)를 턴오프시키도록 개시된다. 장치(10)에 대한 전력은 또한 다른 장치 및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2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제, 장치(10)로부터의 RF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 대한 태양들이 상세한 설명으로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송신기(226)의 더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226)는 RF 송수신기(310)에 신호를 전송하고 RF 송수신기(3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전력 증폭기(300)를 포함한다. DSP(232)로부터 송수신기(310)를 통해 송신기(226)에 제공된 신호는 궁극적으로 아날로그 라디오 신호로 변환되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아날 로그 라디오 신호는 안테나(230)를 통해 무선 신호로서 변조 및 송신된다. 송신기(226)로부터 DSP(232)에 제공된 신호는 DSP(232)에 의해 제공된 신호의 변조에 관한 동작 신호를 포함한다. 송신기(226)에서, DSP(232)로부터의 신호는 전력 증폭기(300)에 제공된다. 예시적인 전력 증폭기는 6037R2 프리스케일(상표명)이다. 상기 배경 기술 설명 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치않은 라디오 주파수 잡음의 양에서의 하나의 요인(factor)은 전력 증폭기(300)에 대한 송신기(226)의 전기적 매칭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 증폭기(300)는 만일 송신기(226)가 증폭기(300)의 출력에 대하여 약 50 오옴 부하로서 나타나면 더 적은 추가 잡음을 생성할 것이다.
다음 컴포넌트들은 증폭기(300)에 의해 발생되고 안테나(230)를 통해 송신되는 출력 신호의 출력 경로에 제공된다. 먼저, 전력 증폭기(300)로부터의 미가공(raw) 출력이 전압 신호를 가진 아날로그 신호로서 필터 모듈(302)에 제공되고, 상기 필터 모듈(302)은 미가공 신호의 일부 초기 필터링을 제공한다. 필터 모듈(302) 뒤에서, (필터링된) 신호는 출력 레벨의 감쇠없이 출력 신호의 시간 지연을 기능적으로 제공하는 지연 요소(304)에 제공된다. 출력 신호가 지연된 후, 출력 신호는 고조파 필터(306)에 제공된다. 고조파 필터(306)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 범위 외측의 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해 출력 신호를 추가로 형상짓는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신호를 지연시키는 것은 고조파 필터(306)가 신호를 추가로 형상짓기 전에 지연 요소(304)가 출력 신호에서 추가적인 고조파 감쇠를 제공한다.
고조파 필터(306)의 출력은 출력 신호용의 어떤 주파수 매칭 회로를 제공하는 안테나 매칭 모듈(308)에 제공된다. 모듈(308)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안테 나(230)에 제공되고, 안테나(230)는 아날로그 신호를 장치(10)로부터 방송되는 무선 라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것과 다른 모듈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로서, 필터 요소(302)와 지연 요소(304)는 전력 증폭기(300)의 출력으로부터의 위치 순서에 있어서 스위칭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고조파 필터(306)의 요소들 및 지연 요소(304)는 전력 증폭기(300)의 출력으로부터의 위치 순서에 있어서 스위칭될 수 있다. 다른 추가적인 모듈들이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선택된 모듈들이 송신기(226)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임의 구성에서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고조파 필터(306)에 제공된 회로들과 같이, 고조파의 실질적인 필터링을 제공하는 요소들 전의 컴포넌트들의 체인에 지연 요소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서 송신기(226)의 블록도에 도시된 요소에 대한 상세한 구성이 총괄적인 도면 부호 400으로 도시되어 있다. 송신기(226)의 물리적인 구현으로서, 그 컴포넌트 및 회로들은 전형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PCB) 상에 제공된다.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PCB는 회로 컴포넌트들을 탑재 및 고정하기 위한 기판을 제공한다. 회로 내의 컴포넌트들 간 전기 연결은 연결 컴포넌트들의 관련 단자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PCB 내에 매립된 도전성 트랙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특정 위치들이 회로의 컴포넌트들 용으로 제공되고, 그 위치들은 PCB 상의 실크 스크린 내의 임의의 회로 참조 식별자와 함께 아우트라인(outline)으로 빈번하게 보여진다. PCB에서, PCB 표면상의 도전성 패드는 회로 컴포넌트들의 단자들과 정렬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패드는 접촉점을 트랙의 단자들에 제공한다. 회로의 컴포넌트들을 PCB상에 조립할 때, 제조 라인에서 자동화 "픽앤 플레이스"(pick and place) 삽입 기계가 회로의 관련 컴포넌트들과 함께 로드될 수 있고, 컴포넌트들을 PCB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삽입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회로의 일부 컴포넌트들은 표면 탑재 패키지이고 다른 컴포넌트들은 스루홀(through-hole) 컴포넌트가며, 또다른 컴포넌트들은 PCB 상의 적당한 위치에 수동 삽입을 요구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이 일련의 표준형 패키지 사이즈로 제공되기 때문에, 회로 내 의도된 컴포넌트의 위치에 다른 컴포넌트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의 필터 모듈(302)이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이 모듈은 전력 증폭기(300)의 출력에 부착된 출력 회로의 전력 및 임피던스 매칭을 제공한다. 회로의 입력 지점의 임피던스와 전력 특성의 동조(tuning)는 증폭기의 출력의 정확한 특성과 매칭하지 않을 수 있다. 필터 모듈의 하나의 부분은 노치 필터이다. 필터는 커패시터(402), 저항기(404), 인덕터(408) 및 커패시터(410)를 포함하고, 5 GHz 주변의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노치 필터를 제공한다. 커패시터(402)는 모듈(302) 내의 다른 컴포넌트가고, RF 커플링 및 DC 블록킹을 위해 증폭기(300)의 출력과 직렬로 배치된다. 저항기(404)는 모듈(302)의 또다른 컴포넌트가고 전력 증폭기의 RF 안정화를 위해 접지에 대한 분로(shunt)로서 작용한다. 모듈(302)의 부품들이 적절히 구현되어 증폭기(300)의 전력 및 임피던스 신호 매칭을 제공하기 때문에, 모듈(302)의 컴포넌트들은 증폭기(300)의 출력에 가능한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 필터(406)의 출력은 지연 요소(304)에 제공된다. 회로(400)에서, 지연 요소(304)는 회로 템플릿(circuit template)으로서, 및 노치 필터(406)로부터의 출력에 직렬로 배치된 저항기(414)와 상기 저항기(414)의 각 단자에서 그라운드에 대한 분로로서 제공된 커패시터(416, 418)를 포함하는 제2 저역 통과 필터(412)로서 제공된다. 지연 요소(304)의 출력은 인덕터(420)에 제공되고, 인덕터(420)는 부정 방전(errant discharge)이 전력 증폭기(300)에 도달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안테나(430)로부터 수신된 부정 방전에 대한 정전기 보호 컴포넌트으로서 작용한다. 그래서, 인덕터(420)는 안테나(430)에 가능한 근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지연 요소(304)는 선택된 전기적으로 중성인 컴포넌트으로 저역 통과 필터(412)의 컴포넌트들을 대체함으로써 구현된다. 특히, 지연 요소(304)는 장치(10)의 PCB에서 저항기(414)의 위치에 0 오옴 컴포넌트를 설치하고 커패시터(416, 418)의 위치에 컴포넌트들을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구현된다. 그래서, 지연 요소(304)에 의해 제공되는 지연은 필터(406)의 출력을 0 오옴 컴포넌트를 통하여 인덕터(420)에 연결하는 장치(10)의 PCB 상의 트랙을 통하여 출력 신호가 가로지르는데 걸리는 전파 시간(propagation time)이다. 일 실시예에서, 0 오옴 저항기의 물리적 패키지는 "0402" 사이즈 컴포넌트가다. 0 오옴 컴포넌트를 포함한 임의의 0 오옴율 컴포넌트가 장치(414)의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고, 특정 구현예에서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장치(10)의 PCB의 트랙들이 특수하게 구현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연 요소(304)는 인덕터(426)와 스위치 커넥터(422) 사이에 위치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연 요소(304)(또는 그 등가물)는 증폭기(300)의 출력과 필터(424)(또는 그 등가물)의 입력 사이의 어디에든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연 시간의 양은 PCB에서 전력 증폭기(300)와 필터(304) 간 연결에서 트랙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단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연량은 PCB에서 전력 증폭기(300)와 PCB의 필터(304) 간 연결에서 트랙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연장될 수 있다. 트랙 길이의 연장은 트랙에 위치된 일련의 0 오옴 저항기를 가짐으로써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0 오옴 저항기는 지연 요소(304)의 지연 시간의 일부로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신호 타이밍 전파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0 오옴 저항기 대신에 또는 0 오옴 저항기에 덧붙여서 인덕터를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덕터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출력 신호의 위상을 변경한다. 그래서 인덕터의 사용은 지연 요소(304)의 별개의 회로 및 타이밍 파라미터에 대하여 적당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연은 저역 통과 필터(412)의 컴포넌트들에 설치된 기능성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기능성 저역 통과 필터는 전력 증폭기(300)의 출력의 파라미터에 의해 요구되는 저역 통과 필터의 일부를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저역 통과 필터의 사용은 출력 신호의 위상에 영향을 줄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필터(412)에 컴포넌트들을 설치하기 위해 특수 동작 파라미터를 가진 고역 통과, 대역 통과 또는 노치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추가의 트랙 또는 회로가 PCB에 제공될 수 있고, 지연 요소(304)의 신호 경로에 선택적으로 브릿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별도의 병렬 트랙이 PCB에 제공될 수 있는데, 제1 갭 연결점이 저항기(414)와 커패시터(418)의 공통 단자의 물리적 접합부에 또는 그 부근에 제공되고 제2 갭 연결점이 저항기(414)와 커패시터(416)의 공통 단자의 물리적 접합부에 또는 그 부근에 제공될 수 있다. 연결점의 갭은 각 지점에 0 오옴 저항기를 설치함으로써 브릿지될 수 있다. 별도의 병렬 트랙은 추가의 회로 또는 상기 추가 회로용으로 내부에 제공된 패드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병렬 트랙의 일단부가 하나의 접합 지점에 연결되고 병렬 트랙의 다른 단부가 다른 접합 지점에 대한 갭 연결점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트랙의 길이를 가로지르는 전압에 대한 공지의 신호 전파 지연을 부여하는 송신기(226) 회로의 임의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연결점의 일부로서 PCB에 특수한 트랙이 놓여질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지연 요소 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그 등가물에 의해 제공되는 것에 필적하는 지연을 제공할 수 있다. 트랙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고조파 필터 앞의 컴포넌트들 사이의 지연 요소를 위하여 임의의 적당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지연 요소(304)로부터, 출력 고조파 필터(306)의 다음 스테이지는 스위치 커넥터(422)와 고조파 필터(306)로 구성된다. 스위치 커넥터(422)는 출력 신호가 고조파 필터(306)로 가는 길목에서 스위치 커넥터(422)를 횡단할 때 출력 신호에 대해 추가의 지연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 커넥터는 스위치를 통상의 폐쇄 상태로부터 선택적으로 "개방"시켜서 테스트 중에, 제조 중에 또는 수리 중에 장치의 출력에서 RF 신호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고조파 필터(306)는 인덕터(426)와 커패시터(428)로 구성된 저역 통과 필터(424)이다. 커패시터(428)는 인덕터(426)의 각 단자에 위치되어 각각 그라운드에 대한 분로를 제공한다. 저역 통과 필터(424)의 출력은 필터(306)의 출력이고, 인테나 커넥터(430)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저역 통과 필터는 DC로부터 2 GHz까지의 통과 대역을 제공한다. 저역 통과 필터는 DCS 대역(1747 MHz) 및 PCS 대역(1880 MHz)에서 신호의 제2 및 제3 고조파를 나타내는 3.4 GHz 이상의 고조파를 감쇠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4의 요소들의 특정 값들은 다른 주파수의 신호들을 통과시키거나 선택된 주파수 범위의 신호들을 감쇠시키게끔 각종 주파수들을 동조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PCB 트랙은 송신기(226)의 출력 회로에서의 컴포넌트들에 제공될 수 있다. 그래서, 지연 요소(304)는 전용의 캘리브레이트 지연 컴포넌트으로 대체되고 커패시터(416, 418)용의 패드는 제거될 수 있다.
도 5a는 종래의 RF 송신 회로의 예시적인 출력 실수 및 허수 컴포넌트의 스미스 플롯(Smith plot)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도 4의 회로로부터 실수 및 허수 출력 컴포넌트의 스미스 플롯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와 비교할 때, 도 5b의 차트는 824 MHz의 제3 고조파인 2.472 GHz에서 마크 5의 위치가 지연 회로 때문에 크게 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 증폭기(300) 주변의 추가적인 필터링 컴포넌트를 참조번호 600으로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배경기술 설명 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치않은 라디오 주파수 송신 소스는 PCB 상의 연결 트랙을 통해 전력 증폭기(300)로부터 그 전원 배터리로 방출되는 누설 송신이다. 필터는 이러한 원치않은 잡음 송신을 감소시키는데 일조하여 배터리(236) 등의 배터리를 통하여 전력 증폭기(300)의 출력 신호에 부여된 잡음 및 추가적인 고조파의 양을 감소시킨다. 실시예의 동작 파라미터에 있어서, 필터링은 2 GHz 이상의 신호를 감쇠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300)는 송수신기에 의해 제공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증폭기(300)의 전원 전압은 배터리(236)로부터 발생한다. VBat 신호(602)와 VReg 신호(604)로 표시된 2개의 전원이 제공된다. VBat는 고전류인 3.8 볼트 DC 전원이다. VReg는 장치(10)의 내부 전압 조절기(도시 생략됨)에 입력되는 저전류 전압으로서 2.7 볼트 DC 전원이다.
VBat 신호(602)는 증폭기(300)의 저대역(LB) 및 고대역(HB) 전력 입력 핀의 최종 및 구동 전압 입력 단자에 페라이트 비드(606)를 통하여 전력 증폭기(300)에 제공된다. 비드(606)는 증폭기(300)로부터 VBat로 방사하는 고주파수 신호를 흡수하는 고에너지 초크를 제공하는 인덕터이다. 임의의 등가의 고주파수 초크를 사용하여도 좋다. 페라이트 비드(606)는 VBat(604)와 전력 증폭기(300) 사이의 각 전력 트랙에 직렬로 배치된다. 비드(606A)는 HB 전력 신호와 VBat 사이에 위치된다. 배터리를 LB 전력 라인에 연결하는 PCB 트랙에서, 한 세트의 비드(606B, 606C)가 제공되는 필터링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회로에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 세트(608A, 608B)는 비드(606)의 출력과 증폭기(300)의 입력 핀 사이에 위치된다. 커패시터(608A)는 0.01 ㎌ 및 1000 pF이다. 커패시터(608B)는 33 pF 및 0.01 ㎌이다. 커패시터(608A, 608B)는 VBat 신호(602)를 궁극적으로 증폭기(300)에 연결하는 PCB의 트랙을 따라 방사하는 증폭기(300)로부터 누설되는 피드백 고조파를 필터링한다.
커패시터(610)는 10 pF의 명목값(nominal value)을 가지며 비드(606)의 입력 단자와 VBat 신호(602) 사이에서 비드(606)의 입력측에 위치된다. 커패시터(610)는 또한 증폭기(300)로부터 라디오 주파수 고조파를 필터링하도록 작용한다.
커패시터(612)는 100 ㎌의 명목값을 가지며 동일한 트랙 상에서 커패시터(610) 부근에 위치된다. 상대적으로 높은 값이 증폭기(300)로부터 제2의 고조파를 걸러내도록 선택된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다른 필터 회로 및 다른 커패시터 값이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필터의 목표 주파수는 목표의 기본 송신 주파수 및 그 고조파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회로에 있어서, 필터들은 장치(10)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2 GHz 대역폭 범위 부근에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쿼드 대역 통신을 제공하며, 이것은 800, 900, 1800 및/또는 1900 MHz 주파수 대역의 임의의 송신 주변에서 발생된 제2, 제3, 제4 및 기타의 고조파를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송신 대역 및/또는 다른 고조파용으로 다른 필터링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쇠시키는 방법이 여기에서 설명한 회로의 필터링 및 지연 컴포넌트에 필적하는 필터링 및 지연 단계를 구현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뒤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다. 당업자라면, 비록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하지는 않았다 하더라도,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전술한 실시예를 여러 가지로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라디오 주파수(RF) 송신 모듈을 가진 전자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의 RF 송신 모듈과 특정 내부 컴포넌트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장치의 RF 송신 모듈의 블록도.
도 4는 도 3의 RF 송신 모듈의 개략도.
도 5a는 종래의 시스템의 전력 증폭기의 출력에 나타나는 원래 임피던스의 스미스 차트를 보인 도.
도 5b는 지연 요소가 도 3의 송신 모듈에 추가된 경우에 전력 증폭기의 출력에 나타나는 임피던스의 스미스 차트를 보인 도.
도 6은 도 2의 RF 송신 모듈에 관한 추가 회로의 개략도.

Claims (20)

  1. 무선 통신 장치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 회로에서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자 회로로서,
    상기 통신 장치용의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전력 증폭기와;
    제1 필터링 스테이지, 지연 요소 및 고조파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신호를 위해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회로 - 상기 제1 필터링 스테이지는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에 연결되며 상기 지연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지연 요소는 상기 고조파 필터에 연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지연 요소는 상기 고조파 필터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 단자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연 요소는 상기 출력 신호에 타이밍 지연을 제공하며,
    상기 고조파 필터는 상기 출력 신호의 1차 고조파를 감쇠시키는 주파수 차단점을 가진 저역 통과 필터인 것인, 전자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요소는 0 오옴 컴포넌트인 것인, 전자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PCB)에서 구현되고,
    상기 회로는 상기 제1 필터링 스테이지와 상기 고조파 필터 사이의 필터 요소용 컴포넌트를 위한 위치를 가지며,
    상기 지연 요소는 상기 위치에 놓여지게 되고,
    상기 필터 요소를 위한 제1 컴포넌트와 제2 컴포넌트를 상기 위치의 각 측면(side)에 위치되도록 유지하는 것인, 전자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조파 필터는 지연 요소로 대체된 상기 필터 요소를 구현하는 것인, 전자 회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링 스테이지는 5 GHz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를 포함한 것인, 전자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요소는 상기 필터 요소의 컴포넌트 대신에 인덕터를 사용하여 상기 회로의 필터 요소를 대체하는 것인, 전자 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PCB)에서 구현되고, 상기 지연 요소는, 상기 트랙과 상기 회로 간의 전기적 연결을 완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0 오옴 컴포넌트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회로에 연결되는 상기 PCB 내의 교호 트랙(alternative track)을 포함하는 것인, 전자 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PCB)에서 구현되고, 상기 회로는, 전력 증폭기를 상기 전력 증폭기용 배터리에 연결하는 전원 연결 회로의 PCB 내의 트랙들에 상기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신호의 송신을 감소시키기 위해 커패시터들을 더 포함하는 것인, 전자 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들의 세트가 하이 필터 초크(high filter choke)와 상기 전력 증폭기 사이에서 상기 전원 연결 회로 내에 위치되는 것인, 전자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들의 세트는 2 GHz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하는 것인, 전자 회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들의 제2 세트가 상기 하이 필터 초크와 배터리 사이에서 상기 전원 연결 회로 내에 위치되는 것인, 전자 회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의 제2 세트는 2 GHz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감쇠시키는 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하는 것인, 전자 회로.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의 입력 지점은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의 전력 및 임피던스 특성을 수용하도록 동조되는 것인, 전자 회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인쇄 회로 기판(PCB)에서 구현되고, 상기 지연 요소는, 상기 타이밍 지연을 제공하기 위해 신호가 그 길이를 가로지르기 위한 전파 지연을 제공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상기 PCB 내의 트랙인 것인, 전자 회로.
  16. 무선 통신 장치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 회로에서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전력 증폭기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필터링 스테이지에 상기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출력 신호에 시간 지연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제1 필터링 스테이지로부터 지연 요소에 상기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지연 요소로부터 고조파 필터에 상기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고조파 필터는 상기 출력 신호의 1차 고조파를 감쇠시키는 주파수 차단점(frequency cut-off point)을 가진 저역 통과 필터인 것인, 고조파 감소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요소는 0 오옴 컴포넌트인 것인, 고조파 감소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요소는 상기 회로의 필터 요소의 컴포넌트를 대체하는 것인, 고조파 감소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를 상기 전력 증폭기용 배터리에 연결하는 전원 연결 회로에서 상기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신호의 송신을 필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고조파 감소 방법.
  20. 무선 통신 장치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 회로에서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고조파를 감소시키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내지 제11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 회로를 구비한 무선 통신 장치.
KR1020080007391A 2007-01-25 2008-01-24 전자 장치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방법 KR1009658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1211. 2007-01-25
EP07101211A EP1950883A1 (en) 2007-01-25 2007-01-25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harmonics of a power ampl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0548A KR20080070548A (ko) 2008-07-30
KR100965808B1 true KR100965808B1 (ko) 2010-06-24

Family

ID=3817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7391A KR100965808B1 (ko) 2007-01-25 2008-01-24 전자 장치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3) EP2161835B1 (ko)
JP (2) JP4740965B2 (ko)
KR (1) KR100965808B1 (ko)
CN (1) CN101257316B (ko)
AU (1) AU2008200343C1 (ko)
CA (1) CA2618244C (ko)
MX (1) MX20080011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65642B2 (en) * 2009-05-13 2012-04-2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data-rate-dependent power amplifier bias
CN101789796A (zh) * 2009-08-10 2010-07-28 上海闻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抑制移动终端谐波信号的滤波电路以及方法
CN103095111A (zh) * 2011-10-31 2013-05-08 成都高新区尼玛电子产品外观设计工作室 射频pa电源的滤波电路
CN102832906B (zh) * 2012-08-17 2016-04-20 中国电力科学研究院 基于印刷电路板的时钟延时控制方法
TWI568203B (zh) * 2012-08-31 2017-01-21 Yong-Sheng Huang Harmonic Suppression Method of Radio Frequency Circuits
GB2524271B (en) * 2014-03-18 2016-04-27 Orolia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ireless transmissio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es
US10615475B2 (en) * 2017-01-31 2020-04-07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Two-port, three-port and four-port non-reciprocal devices with sequentially switched delay lines (SSDL)
CN113552603B (zh) * 2021-07-22 2023-08-04 山东大学 一种基于导航接收机时钟链路的匹配及谐波抑制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727A (ko) * 2001-01-17 2002-07-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전력 증폭기
JP2002368553A (ja) 2001-06-08 2002-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増幅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送信装置
KR20030062692A (ko) * 2002-01-18 2003-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 증폭 모듈
JP2006197056A (ja) 2005-01-12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増幅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送信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460348A (ko) * 1942-06-23
US6081161A (en) * 1998-05-18 2000-06-27 Omnipoint Corporation Amplifier with dynamatically adaptable supply voltage
JP3888785B2 (ja) * 1998-09-28 2007-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高周波電力増幅器
JP2000349514A (ja) * 1999-06-01 2000-1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トランジスタの整合回路および高周波電力増幅器
US6304129B1 (en) * 1999-10-08 2001-10-16 Ericsson Inc. Compensation circuit and method for a power transistor
EP1156582A3 (en) * 2000-05-16 2004-04-28 Nokia Corporation Transmitter/receiver chain impedance optimization
JP4340026B2 (ja) * 2001-06-21 2009-10-07 京セラ株式会社 高周波モジュール
US6683512B2 (en) * 2001-06-21 2004-01-27 Kyocera Corporation High frequency module having a laminate board with a plurality of dielectric layers
JP3874241B2 (ja) * 2001-07-27 2007-01-3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電子部品および設計方法
US20030079900A1 (en) * 2001-10-25 2003-05-01 Hahn Scott D. Adjustable line length
JP3874285B2 (ja) * 2002-10-25 2007-01-31 日立金属株式会社 高周波部品及び高周波モジュール並びにこれらを用いた通信機
US7159203B2 (en) * 2004-07-22 2007-0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fferential delay-l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727A (ko) * 2001-01-17 2002-07-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신전력 증폭기
JP2002368553A (ja) 2001-06-08 2002-12-20 Mitsubishi Electric Corp 高周波増幅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送信装置
KR20030062692A (ko) * 2002-01-18 2003-07-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력 증폭 모듈
JP2006197056A (ja) 2005-01-12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増幅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送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18244C (en) 2014-10-28
JP2008182703A (ja) 2008-08-07
EP2161835A1 (en) 2010-03-10
CN101257316B (zh) 2013-02-27
AU2008200343C1 (en) 2011-01-20
JP5318899B2 (ja) 2013-10-16
AU2008200343B2 (en) 2010-06-10
EP1950883A1 (en) 2008-07-30
EP2161835B1 (en) 2013-08-14
CN101257316A (zh) 2008-09-03
MX2008001147A (es) 2009-02-24
AU2008200343A1 (en) 2008-08-14
CA2618244A1 (en) 2008-07-25
JP4740965B2 (ja) 2011-08-03
EP2284991B1 (en) 2013-04-03
KR20080070548A (ko) 2008-07-30
EP2284991A1 (en) 2011-02-16
JP2011155677A (ja) 201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808B1 (ko) 전자 장치의 라디오 주파수 송신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방법
EP1795024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reduced interference from the keyboard into the radio receiver
CN102545945B (zh) 具有减小rf电感的天线接触件的移动无线通信设备
US77876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RF immunity of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CA2578312A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reduced interfering energy into audio circuit and related methods
US87235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adio frequency transmissions from an electronic device
US8971971B2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including a self-contained rechargeable battery pack with filter and related methods
JPWO2005083893A1 (ja) アイソレーショントラップ回路、アンテナスイッチモジュール、及び送信回路
JP2008503137A (ja) 電子装置の音声信号経路とインターフェイスし、この音声信号経路に関してesd及び無線信号を拒絶する受動処理デバイス
JPH11312987A (ja) インピーダンス安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高周波モジュール
JP2008288662A (ja) スイッチ共用器とこれを用いたモジュール部品及び電子機器
JP4904319B2 (ja) 高スペクトル純度ワイヤレスシステム
JP6525055B2 (ja) 電源回路
CN108258421B (zh) 非线性组件、电路板结构及电子装置
KR20110133193A (ko) 무선 송수신 장치
KR2005001345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노이즈 주파수 성분 제거장치
KR20150002684U (ko) 전자파 저감 장치 및 그를 위한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