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614B1 -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 Google Patents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614B1
KR100965614B1 KR1020080095683A KR20080095683A KR100965614B1 KR 100965614 B1 KR100965614 B1 KR 100965614B1 KR 1020080095683 A KR1020080095683 A KR 1020080095683A KR 20080095683 A KR20080095683 A KR 20080095683A KR 100965614 B1 KR100965614 B1 KR 100965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frame
hammer
key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6445A (ko
Inventor
김진문
Original Assignee
김진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문 filed Critical 김진문
Priority to KR102008009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614B1/ko
Publication of KR20100036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6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2Keyboards;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조립이 용이하고 다양한 규격의 전자건반악기를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고, 완성된 전자건반악기의 제품 균일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프레임(1)은,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하고; 상하 일정 폭을 가지고 횡으로 길게 형성된 전자건반악기(2)의 상하고정판(2a)에 각각 고정되는 일정길이(L1)의 상부고정틀(10a)과 하부고정틀(10b); 상기 상하부고정틀(10a, 10b)의 사이를 개별 건반(3)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G)으로 분할하면서 상하로 연결하여, 다수의 건반조립부(KA)를 형성하는 건반조립틀(20)들; 상기 건반조립틀(20)들을 횡으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틀(30); 각각의 상기 건반조립부(KA)의 상기 상부고정틀(10a)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건반(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건반힌지부(40)들; 각각의 상기 건반힌지부(4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건반조립틀(20)들에 형성되고, 눌리는 상기 건반(3)에 의해 가압 및 회동하는 해머(4)의 회동축(4a)을 회동 가능하게 받혀주는 해머축받이(50)들; 및 상기 하부고정틀(10b)과 이에 근접한 상기 건반조립틀(20)에 걸쳐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건반(3)들의 타단을 받쳐주고, 상기 건반(3)들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는 가이드(71)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건반플랫폼(70); 을 일체로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Integrated Keyboard Frame for Electronic Keyed Instrument}
본 발명은 전자건반악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건반을 비롯한 각종 건반 관련 부품들이 조립되는 전자건반악기의 건반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관련 부품들의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다양한 규격의 전자건반악기를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완성된 전자건반악기의 제품 균일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통적인 어쿠스틱(acoustic) 악기들의 음향을 전자장치를 사용하여 생성시키는 전자악기들이 널리 개발되었으며, 대표적인 건반악기인 피아노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현의 소리가 아닌 전자 음향으로 연주를 하는 전자피아노(또는 디지털피아노, 전자오르간 등)가 널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는 힘에 의해 해머가 현을 타격하도록 하여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연주를 하는 것이지만, 전자피아노는 각 건반에 대응하는 디지털 전자음을 미리 전자회로에 저장하여 두고 건반을 누르면 해당 전기접점이 연결되어 대응하는 음향이 발생하도록 하는 원리로 연주를 한다.
또한, 어쿠스틱 피아노는 건반을 누르면 댐퍼를 통해 해머가 현을 치는 것이기 때문에 해머로부터 건반을 통해 연주자의 손에 전달되는 독특한 느낌(일반적으로 '터치감'이라 한다)이 있고, 이런 터치감은 피아노 연주에 있어서 매우 익숙해져 있는 중요한 요소 중에 하나가 되었다.
전자피아노는 건반을 눌러 전기접점을 연결하면 음향이 발생하는 원리이기 때문에 해머나 댐퍼와 같은 구성이 불필요하고, 따라서 그로부터 느껴지는 터치감이 어쿠스틱 피아노와 다를 수밖에 없으나, 전자피아노에서도 전통적인 어쿠스틱 피아노를 통해 익숙해진 터치감과 유사한 터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많은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그 대표적인 것의 하나가, 소리를 내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은 해머를 어쿠스틱 피아노와 같이 건반에 연계 설치함으로써 건반을 누를 때 해머의 중량감이 건반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가지는 전자피아노는, 정해진 수의 건반(예, 88키, 76키 및 61키 등)을 구축하는 것에 필요한 건반 관련 부품들이, 그 골격을 이루는 건반프레임에 조립된다.
건반프레임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91708호(2003. 10. 11. 공고)의 '전자피아노등의 건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68483호(2007. 10. 18. 공고)의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 결합장치' 등이 있다.
도8은 예시적인 종래 건반프레임의 개략도이고, 도9는 도8의 종래 건반프레임이 적용된 전자피아노의 개략도이다.
도8과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자피아노(100)는 건반프레임(110)을 중심으로 각종 부품들이 조립되는바, 일반적으로 건반프레임(110)은 관련 부품을 조립할 수 있는 가로조립면(111)이 일정 높이에 형성되도록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한다.
도시된 건반프레임(110)의 가로조립면(111)에는, 그 좌측으로부터, 건반(101)을 회동 가능하게 조립하기 위한 건반힌지부(120), 음향발생을 위한 회로기판(131)과 건반(101)에 의해 가압되는 전기접점(132)을 장착하기 위한 기판장착부(130), 및 해머(102)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해머브래킷(140) 등이 순차로 조립되어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가로조립면(111)의 좌측은 아래로 절곡된 세로지지부(112)에 의해 지지되고, 그 우측은 U자형 절곡부(113)에 의해 지지되는 바, U자형 절곡부(113)는 해머(102)의 상하 회동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전자피아노(100)는, 건반프레임(110)과는 별도로 제작된 건반힌지부(120), 기판장착부(130) 및 해머브래킷(140) 등의 연결 부속들을 건반프레임(110)에 일일이 조립한 후에, 이들 건반힌지부(120), 기판장착부(130) 및 해머브래킷(140) 등에 다시 건반(101), 해머(102), 회로기판(131), 전기접점(132)등을 조립하는 구조이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조립에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결과로 조립된 전자피아노(100)의 품질 균일화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피아노(100)는 다양한 건반규격(88키, 76키 및 61키 등)에 대하여 그에 맞는 건반프레임을 개별적으로 설계하여야 하는 불편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피아노로 대표되는 전자건반악기에 관련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반, 회로기판, 해머 등 각종 건반 관련 부품들을 보다 용이하고 균일하게 조립할 수 있는 건반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반, 회로기판, 해머 등의 건반 부품들을 건반프레임에 조립함에 있어서, 이들 부품들을 별도의 연결부속 없이 바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작업이 매우 편리한 일체형 건반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건반악기의 건반프레임을 형성함에 있어서, 정해진 개수(예, 12개)의 건반과 그 관련부품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장착되는 일체형 건반프레임을 제공함으로써, 유닛화된 몇 개의 건반프레임들을 연설하면 구축하고자 하는 규격(88키, 76키 및 61키 등)의 전체 전자건반악기를 균일한 품질과 규격으로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일체형 건반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은,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반프레임은, 상하부고정틀, 건반조립틀들, 보강틀(들), 건반힌지부들, 해머축받이들, 및 건반플랫폼을 일체로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고정틀은, 상하 일정 폭을 가지고 횡(가로)으로 길게 형성된 전자건반악기의 상하고정판에 각각 고정되며 일정 길이를 가진다.
상기 건반조립틀은, 상기 상하부고정틀의 사이를 개별 건반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분할하면서 상하로 연결하여 다수의 건반조립부를 형성한다.
상기 보강틀은, 상기 건반조립틀들을 횡(가로)으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한다.
상기 건반힌지부는 각각의 상기 건반조립부의 상기 상부고정틀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건반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해머축받이는, 각각의 상기 건반힌지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건반조립틀들에 형성되고, 눌리는 상기 건반에 의해 가압 및 회동하는 해머의 회동축을 회동 가능하게 받혀준다.
상기 건반플랫폼은, 상기 하부고정틀과 이에 근접한 건반조립틀에 걸쳐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건반들의 타단을 받쳐주고, 상기 건반들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건반프레임은, 상기 건반힌지부들과 상기 해머축받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보강틀에 형성되어, 상기 건반 또는 상기 해머에 의해 눌려지는 전기접점이 구비된 회로기판을 고정하는 기판고정구; 및 상기 상부고정틀에 인접한 상기 보강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해머와 협력하여 상기 건반의 터치감과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을 상기 건반과의 사이에 고정하는 스프링 고정구; 를 일체로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전기접점은 고무커버로 덮여 보호되고, 상기 기판고정구에는 상기 고무커버의 양단을 눌러 상기 고무커버를 상기 회로기판에 밀착시킴으로써 이물이 상기 전기접점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누름테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프레임은, 건반, 회로기판, 해머 등의 건반 관련 부품들을 건반프레임에 조립함에 있어서, 별도의 연결부속 없이 이들 부품들을 건반프레임에 바로 조립할 수 있어, 그 조립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균일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결과로 조립된 전자건반악기의 품질 균일성과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은, 정해진 다수(예, 12개)의 건반과 그 관련부품들이 하나의 유닛으로 장착되는 일체형 건반프레임이므로, 유닛화된 몇 개의 건반프레임들을 연설하면 구축하고자 하는 규격(88키, 76키 및 61키 등)의 전체 전자건반악기를 균일한 규격으로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건반악기의 건반프레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건반프레임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반프레임(1)은, 전자피아노와 같은 전자건반악기(2: 이하, "전자피아노"인 것으로 한다)에 있어서 전체의 전자건반악기를 구축하는 것에 관련된 부품들인 건반(3, 3a, 3b), 해머(4) 및 회로기판(5) 등을 조립하기 위한 기본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이다.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1)은,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과 같은 고강도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1)은 여러 개의 건반(3)을 조립하도록 일체형 유닛으로 되어 있다.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구체예는, 하나의 건반프레임(1)에 7개의 백건(3a)과 5개의 흑건(3b)으로 이루어진 총 12개의 건반(3)을 장착할 수 있는 유닛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지만, 하나의 건반프레임(1)으로 조립할 수 있는 건반의 수는 적절한 범위 내에서 가감될 수 있다. 다만 1개의 건반프레임(1)에 조립되는 건반(3)의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그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져 사출성형 과정에서 변형 등이 유발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건반의 수가 지나치게 적으면 전체 건반으로 조립하는 공정이 번잡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1)을 도1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은 12개의 건반을 장착할 수 있는 유닛으로 한 경우에, 88개 건반을 가지는 전자피아노(2: 전자건반악기)를 구축하는 것을 예로 들면, 도1의 건반프레임(1)을 7개 연설한 후에, 여기에 도1의 건반프레임(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지만 건반 3개를 장착할 수 있도록 변형한 1개의 건반프레임과 건반 1개를 장착할 수 있도록 변형한 1개의 건반프레임을 각각 양단에 추가로 연설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반프레임(1)에 의하면, 전자피아노의 다양한 규격(예, 88키, 76키 및 61키 등)에 대하여, 일정 개수(예, 12개)의 건반을 장착할 수 있도록 유닛화된 건반프레임(1)을 적절한 수(예, 7개)만큼 연설하고, 모자라는 건반에 대해서는 모자라는 개수의 건반을 장착할 수 있도록 변형한 건반프레임을 추가로 연설함으로써 구축할 수 있으며, 이때 건반의 개수를 줄인 변형 건반프레임은 기본 건반프레임의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하면 되고 별도의 금형을 제작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1)은,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일정 폭을 가지고 가로로 길게 형성된 전자건반악기(2)의 하우징에서 그 상변과 하변을 따라 길게 장착되어 구조적인 강도를 제공하는 상하고정판(2a) 사이에 삽입 및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1)은 전체적으로 일체형 단일의 부재이지만, 구조 및 기능적으로는, 골격으로 기능하는 상하부고정틀(10, 10a, 10b), 건반조립틀(20) 및 보강틀(30, 30a, 30b)을 포함하고, 조립구조로 기능하는 건반힌지부(40), 해머축받이(50), 기판고정구(60), 건반플랫폼(70) 및 스프링고정구(80) 등을 포함한다.
상하부고정틀(10), 즉 상부고정틀(10a)과 하부고정틀(10b)은,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하고정판(2a) 사이에 끼워져 예를 들어 나사(11)의 조립과 같은 통상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상하부고정틀(10)에는 나사(11)의 체결을 위한 나사공(12)들과 돌기(13)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도1 참조), 상기 돌기(13)들은 대응하는 위치의 상하고정판(2a)에 형성된 구멍(도면부호 생략)에 삽입됨으로써 상하부고정틀(10)과 상하고정판(2a)의 조립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유닛화된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1)에서 상부고정틀(10a)과 하부고정틀(10b)는 일정 개수(예, 12개)의 건반을 장착할 수 있는 규격화된 일정 길이(L1: 도3 참조)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전자피아노(2)에서 건반(3)의 각도는 예를 들어 4°와 같이 사용자에 따라 선호되는 각도가 있는바,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1)에 의하면, 상하고정판(2a)에 대한 상하부고정틀(10)의 조립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건반(3)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상하고정판(2a)에 상하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부고정틀(10a)과 하부고정틀(10b)의 사이는, 상기 건반조립틀(20)들에 의해 연결된다. 즉, 건반조립틀(20)들은 상하부고정틀(10, 10a, 10b)의 사이에 연결되되, 인접한 다른 건반조립틀(20)과의 간격(G: 도3 참조)은 개별 건반(3)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을 가지며, 이로써 인접한 2개의 건반조립틀(20)과 해당 부분의 상하부고정틀(10)에 의해 구획되는 각각의 공간은 각각의 건반(3)이 조립 및 설치되는 건반조립부(KA: 도3 참조)를 형성한다.
12개의 건반(3)이 장착되는 예인 도시된 건반프레임(1)에 있어서는 12개의 건반조립부(KA)를 형성하기 위해 13개의 건반조립틀(20)들이 각각의 간격(G)을 유지하면서 상하부고정틀(10)의 사이를 상하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보강틀(30)들은,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고정틀(10) 사이에 길게 신장되어 있는 건반조립틀(20)들 사이를 횡으로 연결하여 줌으로써 본 발명 건반프레임(1)의 구조적 강도를 강화하는 것과 함께, 이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부 부품의 조립을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보강틀(30)은 건반프레임(1)이 그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적당한 간격과 적당한 개수로 형성할 수 있으며, 건반(3)과 해머(4)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 바람직하게 건반조립틀(20)들의 저부에 횡으로 형성한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구체예는, 상하부고정틀(10) 사이에 3개의 보강틀(30)을 형성하되, 그 중에 상부고정틀(10a)에 인접한 2개의 보강틀(30a, 30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5)의 장착을 위한 기판고정구(60)를 적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한 예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반프레임(1)은, 비록 그 소재가 플라스틱 합성수지지만, 유리섬유로 강화된 고강도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하는 한편,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고정틀(10), 다수의 건반조립틀(20) 및 다수의 보강틀(30)이 전체적으로 견고한 격자형의 골격을 형성함에 따라, 지속적인 연주와 오랜 기간의 사용에도 쉽게 변형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므로, 매우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전자건반악기를 구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1)에 일체화된 관련 부품의 조립구조들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건반힌지부(40)는, 도1, 도2 및 도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예를 들어 힌지핀 구조로서, 각각의 건반조립부(KA)의 상부고정틀(10a)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여기에는 건반(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7개의 백건(3a)과 5개의 흑건(3b)이 그 배치순서에 따라 12개의 건반힌지부(40)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건반(3)과 건반힌지부(40)의 구체적인 힌지결합구조는 기존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 등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해머축받이(50)는,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4)의 회동축(4a)을 회동 가능하게 받쳐주는 축받이로서,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힌지부(4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건반조립틀(20)들에 형성되며,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건반조립틀(20)의 상측에 오목한 요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6과 도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해머(4)는 그 회동축(4a)을 중심으로 건반(3)에 의해 가압되는 상측의 작용부(4b)와 해머(4)의 회동에 하중을 가하는 하측의 중량부(4c)를 구비한다. 건반(3)을 누르면 건반이 해머(4)의 작용부(4b)를 가압하여 해머축받이(50)에서 회동축(4a)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때 중량부(4c)의 하중에 건반에 전달되어 터치감으로 느껴지게 된다.
도6에 도시된 구체예에서 회동축(4a)은, 하나의 축이 12개의 해머(4)의 전체에 걸쳐 삽입됨으로써 1개의 축이 12개 해머(4)의 공통 회동축으로 사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해머(4)의 중량부(4c)에는 천공구멍(4d)의 크기를 달리함으로써 해머의 하중(터치감)을 다르게 할 수 있고, 해머(4)의 중량부(4c)의 아래에는 쿠션부재(4e: 도7 참조)를 부착하여 중량부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고정구(60)는 전자피아노(2)에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회로기판(5)과 건반(3)을 누를 때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전기접점(5a)을 장착하기 위한 조립구조이다(도7 참조).
도7에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에서, 전기접점(5a)은 해머(4)의 작용부(4b)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건반(3)에 의해 눌려지는 해머(4)에 의해 전기접점(5a)이 가압되도록 한 예인바, 이를 위해 본 구체예에서 기판고정구(60)는 건반힌지부(40)들과 해머축받이(50)들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형성된 2개의 보강틀(30a, 30b)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7의 구체예의 경우, 기판고정구(60)는, 걸림편(61), 피스(62) 및 피스공(63)을 구비한다.
걸림편(61)은 2개의 보강틀(30) 중에 한쪽 보강틀(30a)에 L자형으로 형성되어 회로기판(5)의 일단을 끼울 수 있게 한 구조이고, 피스(62)와 피스공(63)은 다른 쪽 보강틀(30b)에 형성되며 회로기판(5)에 형성된 구멍(5b)과 피스공(63)에 피스(62)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서, 이런 기판고정구(60)에 의해 건반조립틀(20)의 저면에 회로기판(5)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회로기판(5)의 전기접점(5a)을 탄성의 고무커버(5c)로 덮어 보호함으로써 전기접점(5a)이 외부의 이물로 오염되거나 수분 유입에 따라 쇼트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기판고정구(60)에는 고무커버(5c)의 양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누름테(64)를 형성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누름테(64)에 의해 고무커버(5c)의 양변이 회로기판(5)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이 전기접점(5a)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기접점(5a)이 해머(4)가 아닌 건반(3)에 의해 눌리는 구조가 채용될 경우에 기판고정구(60)도 그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면 된다.
상기 건반플랫폼(70)은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건반(3)의 타단을 받쳐주는 평평한 부분으로서, 도1, 도2, 도5, 도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고정틀(10b)과 이에 근접한 건반조립틀(20)에 걸쳐 평평하게 형성되어 눌린 건반(3)을 받쳐준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플랫폼(70)에는 회동되는 건반(3)의 상하 이동을 안내함으로써 건반(3)이 좌우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건반(3)의 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가이드(71)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건반플랫폼(70)에는 쿠션부재(72: 도5 참조)를 부착하여 건반(3)이 건반플랫폼(70)에 접할 때 그 충격을 완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1)이 적용된 전자건반악기(2)에서, 건반(3)의 복원력과 터치감은 기본적으로 해머(4)에 의해 제공되지만, 도6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3)의 회동 경로 아래 건반프레임(1)과의 사이에 탄성스프링(6)을 장착함으로써 건반(3)을 누를 때는 반발탄성을 가하여 해머(4)와 협력하여 터치감을 제공하고 건반(3)이 복귀할 때는 해머(4)의 하중에 탄성력을 더하여 건반 복귀력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된 구체예에서는, 상부고정틀(10a)에 인접한 보강틀(30b)의 상측에 스프링고정구(80)를 돌출 형성하고 있는바(도3 참조), 스프링고정구(80)와 건반(3) 사이에 탄성스프링(6)이 장착함으로써, 해머(3)와 협력하여 건반(3)의 터치감과 복원력을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프레임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프레임의 측면도,
도3과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프레임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프레임이 적용된 전자건반악기의 부분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프레임이 적용된 전자건반악기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건반프레임의 적용된 전자건반악기의 작동도,
도8은 예시적인 종래 건반프레임의 개략도,
도9는 도8의 종래 건반프레임이 적용된 전자피아노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건반프레임 2: 전자건반악기(전자피아노)
2a: 상하고정판 3, 3a, 3b: 건반, 백건, 흑건
4: 해머 4a: 회동축
4b: 작용부 4c: 중량부
4d: 천공구멍 4e: 쿠션부재
5: 회로기판 5a: 전기접점
삭제
5c: 고무커버 6: 탄성스프링
10, 10a, 10b: 상하부고정틀 11: 나사
12: 나사공 13: 돌기
20: 건반조립틀 30, 30a, 30b: 보강틀
40: 건반힌지부 50: 해머축받이
60: 기판고정구 61: 걸림편
62: 피스 63: 피스공
64: 누름테 70: 건반플랫폼
71: 가이드 72: 쿠션부재
80: 스프링고정구 KA: 건반조립부

Claims (3)

  1. 플라스틱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하고;
    상하 일정 폭을 가지고 횡으로 길게 형성된 전자건반악기(2)의 상하고정판(2a)에 각각 고정되는 일정길이(L1)의 상부고정틀(10a)과 하부고정틀(10b);
    상기 상하부고정틀(10a, 10b)의 사이를 개별 건반(3)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G)으로 분할하면서 상하로 연결하여, 다수의 건반조립부(KA)를 형성하는 건반조립틀(20)들;
    상기 건반조립틀(20)들을 횡으로 연결하여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틀(30, 30a, 30b);
    각각의 상기 건반조립부(KA)의 상기 상부고정틀(10a)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건반(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건반힌지부(40)들;
    각각의 상기 건반힌지부(4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건반조립틀(20)들에 형성되고, 눌리는 상기 건반(3)에 의해 가압 및 회동하는 해머(4)의 회동축(4a)을 회동 가능하게 받혀주는 해머축받이(50)들; 및
    상기 하부고정틀(10b)과 이에 근접한 상기 건반조립틀(20)에 걸쳐 평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건반(3)들의 타단을 받쳐주고, 상기 건반(3)들의 좌우 요동을 방지하는 가이드(71)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건반플랫폼(70);
    을 일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힌지부(40)들과 상기 해머축받이(50)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보강틀(30a, 30b)에 형성되어, 상기 건반(3) 또는 상기 해머(4)에 의해 눌려지는 전기접점(5a)이 구비된 회로기판(5)을 고정하는 기판고정구(60); 및 상기 상부고정틀(10a)에 인접한 상기 보강틀(30b)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해머(4)와 협력하여 상기 건반(3)의 터치감과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6)을 상기 건반(3)과의 사이에 고정하는 스프링고정구(80)들; 을 일체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5)의 상기 전기접점(5a)은 고무커버(5c)로 덮여 보호되고, 상기 기판고정구(60)에는 상기 고무커버(5c)의 양단을 눌러 상기 고무커버(5c)를 상기 회로기판(5)에 밀착시킴으로써 이물이 상기 전기접점(5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누름테(6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KR1020080095683A 2008-09-30 2008-09-30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KR100965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683A KR100965614B1 (ko) 2008-09-30 2008-09-30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683A KR100965614B1 (ko) 2008-09-30 2008-09-30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445A KR20100036445A (ko) 2010-04-08
KR100965614B1 true KR100965614B1 (ko) 2010-06-23

Family

ID=4221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683A KR100965614B1 (ko) 2008-09-30 2008-09-30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6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3943B2 (ja) * 2018-06-27 2022-05-24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KR102159444B1 (ko) 2019-01-16 2020-09-23 허맹오 전자건반 악기의 건반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666A (ja) * 1987-10-01 2000-12-15 Yamaha Corp 鍵盤装置
JP2004205766A (ja) * 2002-12-25 2004-07-22 Yamaha Corp 鍵盤構造
JP2007025588A (ja) * 2005-07-21 2007-02-01 Yamaha Corp 鍵盤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7666A (ja) * 1987-10-01 2000-12-15 Yamaha Corp 鍵盤装置
JP2004205766A (ja) * 2002-12-25 2004-07-22 Yamaha Corp 鍵盤構造
JP2007025588A (ja) * 2005-07-21 2007-02-01 Yamaha Corp 鍵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6445A (ko) 2010-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9946B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RU23472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лавиатуры
US7514613B2 (en) Keyboard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US8110732B2 (en)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US20070295193A1 (en) Keyboard apparatus of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US20130074683A1 (en)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and mounting structure of let-off imparting member for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EP0051398A1 (en) Action for electronic piano
CN107393758B (zh) 一种无凸起按挚的薄型开关
KR100965614B1 (ko) 전자건반악기의 일체형 건반프레임
US20020038595A1 (en) Keyboard device for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KR101594887B1 (ko) 복귀특성이 강화된 건반악기용 건반구조
JP2013145275A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4901559B2 (ja) ピアノ鍵盤のシフト装置及びピアノ鍵盤のシフト装置の調整方法
JP2009075403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JP3841728B2 (ja) ハンマーおよび鍵盤装置
JP2550101Y2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に於けるストッパ調節装置
JP5829875B2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2016061960A (ja) 鍵盤装置
JP7443123B2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7416189B2 (ja) 鍵盤楽器
JP2013076816A (ja) 電子鍵盤楽器のレットオフ付与部材の取付構造
JP2019056781A (ja) 鍵盤装置
US20230317038A1 (en) Keyboard device for keyboard instrument
JP2013145273A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KR102159444B1 (ko) 전자건반 악기의 건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