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237B1 - 난방파이프의 고정수단을 갖고 진동음 분산을 위한난방매트 - Google Patents

난방파이프의 고정수단을 갖고 진동음 분산을 위한난방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237B1
KR100965237B1 KR1020070134252A KR20070134252A KR100965237B1 KR 100965237 B1 KR100965237 B1 KR 100965237B1 KR 1020070134252 A KR1020070134252 A KR 1020070134252A KR 20070134252 A KR20070134252 A KR 20070134252A KR 100965237 B1 KR100965237 B1 KR 100965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mat
vibration
floo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6625A (ko
Inventor
진봉율
Original Assignee
한국스마트플로어(주)
진봉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스마트플로어(주), 진봉율 filed Critical 한국스마트플로어(주)
Priority to KR102007013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2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6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뜬구조에 사용되는 난방설치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은 직경을 갖는 난방파이프를 설치할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현재 난방파이프를 난방설치용 매트에 장착하여 설치하는 것이 있으나 이러한 것은 단지 장착을 위한 목적과 하중으로의 충격방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의 단점이 진동에 의한 충격음의 분산이 불가능하여 결국 하층으로의 진동이 전달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난방매트의 상측에서 전달되는 진동음을 분산토록 함으로서 최소의 진동음이 하층으로 전달토록 하고, 동시에 난방배관의 고정의 용이성과 고정된 상태에서 별도의 열전도판을 사용치 아니하고 바로 마감매트나 바닥재를 시공토록 함으로서 저렴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난방매트. 뜬 바닦구조. 작은 직경의 파이프. 진동을 분산.

Description

난방파이프의 고정수단을 갖고 진동음 분산을 위한 난방매트{A mat for heating use}
본 발명은 다층건물에서 하층으로의 충격음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뜬구조에 사용되는 난방파이프의 설치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지고, 작은 직경을 갖는 난방파이프를 설치할 경우에 사용되어 시공의 편의성과 진동음의 전달을 분산토록 한 것이다.
현재 콘크리트로 시공치 아니하는 바닥난방의 설치를 위한 난방파이프의 고정을 위한 매트로는 대부분 난방파이프의 고정을 위한 수단만이 형성되어지고, 그 상측으로 열전도판을 깔아줌으로서 시공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하층으로의 충격음 전달이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다층건물에서는 시공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시공되는 하층으로의 진동음 방지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는 난방파이프의 고정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고, 그 사이로는 충격음 흡수를 위한 이격공간부를 형성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것의 단점이 반드시 열전도판을 사용하여야 하고 따라서 이러 한 열전도판과 난방매트와의 이격되어짐에 의하여 보행시 낳은 소음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또한 난방매트에 형성되는 이격공간부는 상층에서 하층으로 전달되는 진동음을 차단하지 못하고 단지 상층에서 발생되는 소리음만을 흡수토록 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질적인 충격에 의한 진동음의 제거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선은 난방매트의 상측에서 전달되는 진동음을 분산토록 함으로서 최소의 진동음이 하층으로 전달토록 하고, 동시에 난방배관의 고정의 용이성과 고정된 상태에서 별도의 열전도판을 사용치 아니하고 바로 마감매트나 바닥재를 시공토록 함으로서 저렴하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막힌구조의 받침부와 그 사이로 난방배관의 고정을 위한 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막힌구조의 받침부 하층으로는 격판에 의한 육각형의 격실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상기 상측의 막힌구조의 받침부로 인한 별도의 열전도판의 사용이 불필요하며 동시에 막힌구조의 받침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은 그 하층의 서로 공유하게 되는 격벽의 육각형 격실구조로 인하여 진동음을 분산토록 하게 됨으로서 진동음의 전달이 하층으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측으로의 막힌구조의 받침부로 인하여 별도의 열전도판이 불필요하고, 동시에 바로 바닥면의 시공이 가능하게 되며 동시에 그 하층으로 형성된 공유하게 되는 격벽에 의한 육각형의 격실이 진동음의 분산을 하게 됨으로 하층으로의 전동음의 전달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하 일실시예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외관을 나타낸 외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이면을 나타낸 이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막힌구조의 받침부와 배관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매트(10)의 구조는 상측으로 일정한 높이와 간격으로 배열된 막힌구조의 받침부(11)를 갖고 그 간격 사이로 난방파이프(20)가 끼워져 고정되어지는 고정수단이 형성되며, 상기 막힌구조의 받침부(11) 하층으로는 서로 공유하게 되는 격벽(18)에 의하여 육각형의 격실(19)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막힘구조로 된 받침부(11)의 상측으로 매트(21)가 얹혀지는 것이고 하층으로 형성된 격벽(18)에 의하여 육각형의 격실(19)은 상측의 막힘구조의 받침부(11)에 가해지는 하중 및 충격과 이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여러 방향으로 산란 반사해서 분산되도록 함과 동시에 막힘구조의 받침부(11)의 보강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육각형의 격실(19)은 일정한 직경의 난방매트(10)가 연결요소에 의하여 다수 개가 연결될 경우에 서로 육각형의 형상이 유지되게 연결되어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난방매트(10)의 연결요소는 결합돌부(16)와 결합요부(17)로 형성되어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결합돌부(16)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결합요부(17)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16)와 결합요부(17)는 난방매트(10)의 일측면에 동시에 형성되거나 결합돌부(16)와 결합요부(17)로 나뉘어 한쪽 측면은 결합돌부(16)가 형성되고 다른 측면은 결합요부(17)로 형성되어 상기 난방매트(10)의 사방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난방매트(10)를 결합시 어느 방향에서나 난방매트(10)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결요소 즉, 결합돌부(16)와 결합요부(17)로 인해 난방매트(10)의 다수 개를 신속하고 쉽게 연결하여 바닥에 깔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언급한 연결요소를 결합돌부(16)와 결합요부(17)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연결요소로 형성된 결합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힌구조의 받침부(11) 중앙에는 난방매트(10)를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바닥으로부터 일정 공간 뜨게 고정할 때 난방매트(10) 하단에 부착되는 목재(22)나 콘크리트 바닥(23)에 직접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멍(15)을 형성하여 못이나 나사 등으로 박음하여 목재(22)나 바닥(23)에 고정토록 한 것이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막힌구조로 된 받침부(11)의 서로 대응되는 사방으로 형성된 고정수단은 끼워진 난방파이프(20)가 걸려지도록 걸림턱(12)이 형성된 것이고 상기 걸림턱(12)은 상단이 만곡되게 형성되어 난방파이프(20)를 끼울 때 만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걸림턱(12)에 걸려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막힘구조로 된 받침부(11)의 사방으로 형성된 걸림턱(12)의 난방 파이프(20)가 끼워지는 동일선상으로 파이프 지지간(13)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고 난방파이프(20)의 폭과 동일한 간격을 갖도록 파이프 끼움부(14)가 십자형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난방파이프(20)가 가로나 세로 어느 방향으로도 끼움이 가능토록 하면서 걸림턱(12)과 걸림턱(12)의 중간부분에 형성되어 난방파이프(20)가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매트(10)는 바닥의 평수만큼 사방 측면으로 형성된 연결요소로 쉽고 빠르게 결합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난방파이프(20)의 끼움도 막힌구조로 된 받침부(11)의 사방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걸림턱(12)에 의하여 쉽게 끼움방식으로 고정토록 하고 받침부(11)의 상측으로 매트(21)를 깔아 시공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막힌구조의 받침부(11) 하층으로 서로 공유되도록 격벽(18)이 연결되어 육각형의 격실(19)이 형성되어 상측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 및 충격과 이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이 서로 공유된 육각형의 격실(19)로 산란하게 반사되어 분산되어짐으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외관을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이면을 나타낸 이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매트의 일부분을 확대한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요소에 의해 난방매트가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난방매트가 바닥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난방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난방매트 11: 받침부
12: 걸림턱 13: 파이프 지지간
14: 파이프 끼임부 15: 고정구멍
16: 결합돌부 17: 결합요부
18: 격벽 19: 육각형 격실
20: 난방파이프 21: 매트
22: 목재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막힌구조를 갖는 받침부(11)와 그 간격 사이로 난방파이프(20) 고정수단이 형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막힌구조의 받침부(11) 하층으로는 서로 공유하게 되는 격벽(18)에 의하여 육각형의 격실(19)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육각형의 격실(19)은 난방매트(10)의 결합돌부(16)와 결합요부(17)로 형성되어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결합돌부(16)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된 결합요부(17)에 끼워지게 형성되는 연결요소에 의하여 연결될 경우에 서로 육각형의 형상이 유지되게 연결되어지며, 상기 받침부(11)의 중앙에는 바닥 뜬 구조의 난방매트(10) 시공시 하단으로 부착되는 목재(22)나 바닥(23)에 직접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멍(15)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파이프의 고정수단을 갖고 진동음 분산을 위한 난방매트.
  4. 삭제
  5. 삭제
KR1020070134252A 2007-12-20 2007-12-20 난방파이프의 고정수단을 갖고 진동음 분산을 위한난방매트 KR100965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252A KR100965237B1 (ko) 2007-12-20 2007-12-20 난방파이프의 고정수단을 갖고 진동음 분산을 위한난방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4252A KR100965237B1 (ko) 2007-12-20 2007-12-20 난방파이프의 고정수단을 갖고 진동음 분산을 위한난방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625A KR20090066625A (ko) 2009-06-24
KR100965237B1 true KR100965237B1 (ko) 2010-06-22

Family

ID=4099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252A KR100965237B1 (ko) 2007-12-20 2007-12-20 난방파이프의 고정수단을 갖고 진동음 분산을 위한난방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23797A (zh) * 2013-08-19 2013-12-04 苏州市佳腾精密模具有限公司 一种地垫
EP2933396B1 (en) * 2014-04-15 2019-09-18 Ramin Tabibnia Elevated paver support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424Y1 (ko) * 1999-07-09 2000-02-15 천열에너지주식회사 난방용온수관의시공판
KR100656921B1 (ko) * 2005-11-14 2006-12-14 주식회사 한국티알 조립식 난방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424Y1 (ko) * 1999-07-09 2000-02-15 천열에너지주식회사 난방용온수관의시공판
KR100656921B1 (ko) * 2005-11-14 2006-12-14 주식회사 한국티알 조립식 난방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625A (ko)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4365B2 (en) Heating floor system
JP6409137B2 (ja) 床材
KR101437337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및 시공방법
KR100965237B1 (ko) 난방파이프의 고정수단을 갖고 진동음 분산을 위한난방매트
KR101128873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1208475B1 (ko) 건축용 마루 바닥재
KR100698848B1 (ko) 바닥패널
JP6006551B2 (ja) 建物
KR100967792B1 (ko) 이동식 주택용 욕실 바닥재
KR20200048175A (ko) 층간소음 방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온돌
KR100744973B1 (ko) 건축물 조립식 바닥패널
KR101855586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 바닥구조
KR102023091B1 (ko) 바닥패널 고정구
KR100750478B1 (ko) 층간 차음형 난방 시스템
KR101305239B1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KR101105627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1272061B1 (ko) 층간소음방지 천장패널
KR20230171516A (ko) 건식 벽체 보강대용 면진 장치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WO2006137641A1 (en) Noise and vibration absorption unit
JP6788449B2 (ja) 建物
KR200144289Y1 (ko) 조립식 난방배관용 방음온돌패널
KR100858343B1 (ko) 이중 바닥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바닥 난방 시스템
JP3229488U (ja) フロアタイル
KR200398407Y1 (ko) 바닥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