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134B1 -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 Google Patents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134B1
KR100965134B1 KR1020080027521A KR20080027521A KR100965134B1 KR 100965134 B1 KR100965134 B1 KR 100965134B1 KR 1020080027521 A KR1020080027521 A KR 1020080027521A KR 20080027521 A KR20080027521 A KR 20080027521A KR 100965134 B1 KR100965134 B1 KR 100965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anter
wine
outer housing
person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222A (ko
Inventor
이지아
Original Assignee
이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아 filed Critical 이지아
Priority to KR102008002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13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0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combined with removal of precipitate or added materials, e.g. adsorption material
    • C12H1/06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by irradiation, vibrations
    • C12H1/063Separation by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에 관한 것으로서, 도자기와 같은 예술적 미관을 감상할 수 있는 동시에 휴대가 간편하여 와인잔에 직접 올려놓고 와인에 포함된 잔유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토록 하여 디켄터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디켄터는, 와인잔(1)의 상부에 안착 가능하도록 구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내부에 유입된 와인을 와인잔으로 낙하시키기 위해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는 외부하우징(10)과; 상기 외부하우징(10) 내부에 구성되어지되, 상부에는 와인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구(2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와인에 포함된 침전물의 분리를 위한 다수의 미세통공(22)이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디켄터(2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디켄터, 와인, 도자기, 세라믹, 개인용

Description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A PORTABLE TYPE DECANTER}
본 발명은 디켄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된 와인 병 밑에 남아있는 세디먼트(Sediment) 라고 부르는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는 디켄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래된 와인일수록 저장 및 숙성과정에서 침전물이 생길 수 있다. 이때, 디켄터에 와인을 조심스래 따라주면 침전물과 와인을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인의 순도나 색이 탁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종래 디켄터는 대부분 유리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와인을 옮긴 후 대략 30~40분 정도를 기다려야 하며, 일부 고가 와인의 경우는 3시간 이상을 디켄터에 보관 후 음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디켄터의 보관시간이 증가되어짐에 따라 와인 고유의 맛과 향이 없어지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디켄터는 깨지기 쉬운 유리재질로서 보관 및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휴대가 사실상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유리에 비해 내구성을 갖는 도자기 재질로 디켄터를 제작함과 함께 휴대가 용이한 구조를 이루어 개인용으로 와인잔위에 직접 올려놓고 바로 와인에 함유된 침전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디켄터를 제공함으로서, 디켄터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와인잔의 상부에 안착 가능하도록 구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내부에 유입된 와인을 와인잔으로 낙하시키기 위해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는 외부하우징; 상기 외부하우징 내부에 구성되어지되, 상부에는 와인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와인에 포함된 침전물의 분리를 위한 다수의 미세통공이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디켄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외부하우징은 내부디켄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투시공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디켄터는 외부하우징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디켄터는, 크기의 소형화에 따른 휴대성 및 개인용은 물론 재질을 기존의 유리재에서 도자기재로 변경함으로서 내구성이 향상되어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와인잔에 직접 사용이 가능한 구형의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를 받지않고 쉽게 설치 및 사용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디켄터의 외표면에는 유약에 의한 다양한 자기의 문양이 표현되어짐으로서 예술성이 가미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켄터의 특징적인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통상의 도자기 제작과정을 통해 세라믹재질로 제작되어진 외부하우징(10)과 내부디켄터(20)로 구성되어진다.
그중 외부하우징(10)은 와인잔(1) 위에 직접 안착되어질 수 있도록 구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상의 투시공(11)이 다수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와 함께 외표면에는 유약을 이용하여 기존의 백자, 청자 등에 표현되는 전통그림이 표현되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디켄터(20)는 상부에 와인을 투입할 수 있도록 유입구(21)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하부에는 투입된 와인이 통과되는 과정에서 불순물 내지는 침전물이 걸러질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통공(22)이 형성되어져 있고, 상단에는 걸림턱(23)이 형성됨으로서 외부하우징(10)에 걸려진 상태로 상호 분리가 가능한 구조 를 이루도록 하였다.
한편, 사용 후 디켄터를 받쳐놓을 수 있도록 받침대(30)를 별도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0은 뚜껑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 디켄터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디켄터는 컴팩트한 크기 및 디자인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며 레스토랑이나 카페에서 와인을 주문한 후 자신이 휴대한 디켄터를 사용하여 개인용으로 어디서나 와인 디켄팅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먼저, 본 발명의 디켄터를 와인잔(1)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와인을 내부디켄터(20)의 유입구(21)를 통해 투입시키게 되면, 투입된 와인은 내부디켄터(20) 내부에서 침전물이 걸러진 후 다수의 미세통공(12)을 통해 배출되어 와인잔(1)으로 낙하되어지게 된다.
즉, 유입구(21)를 통해 투입된 와인은 미세통공(12)을 통해 통과되는 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기 때문에 내부디켄터(20) 내에서 일시적으로 머무르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와인에 포함되어져 있는 불순물은 미세통공(12)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내부에 침전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는 외부하우징(10)에 형성되어져 있는 투시공(11)을 통해 와인이 내부에서 디켄팅 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유입구(21)를 통해 투입하는 와인의 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함께, 와인이 디켄팅 되는 것을 기다리는 동안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외부하우징(10)을 감상할 수 있기 때문에, 기다리는 동안에도 전통 도자기예술을 느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통해 적절한 량의 와인이 디켄터에서 걸러진 후 와인잔(1)에 담기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켄터를 별도의 받침대(30) 위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고순도의 와인을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휴대가 간편한 본 발명의 개인용 디켄터에 의해 어디서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고순도의 와인을 음용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사용 과정에서 디켄터 외관을 통해 나타나는 도자기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1석2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사용 후에는 내부디켄터(20)를 외부하우징(10)과 분리하여 세척시킴으로서 내부에 걸러진 불순물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켄터의 외관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0)의 하부에 별도의 미세통공(12)을 추가적으로 형성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미세통공(12) 구조를 통하여 내부디켄터(20)에서 1차적으로 불순물 제거가 이루어진 와인이 외부하우징(10) 하부의 미세통공(12)을 다시한번 통과하면서 2차적인 불순물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서 와인의 정제순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디켄터 외관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0) 하부에 유동방지턱(13)을 형성하여 와인잔(1) 입구에 걸려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보다 안정적인 디켄터의 안착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몇가지 실시예 및 응용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디켄터 구조 또는 형상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내부디켄터(20)가 외부하우징(10)과 분리되는 구조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는 필요에 따라 일체형 구조로 제작되어질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디켄터가 와인잔에 안착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디켄터와 와인잔 분리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디켄터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디켄터의 와인잔 안착시 단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 디켄터를 받침대에 올려놓은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켄터의 외관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켄터의 외관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디켄터의 외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와인잔 10 : 외부하우징
11 : 투시공 12 : 미세통공
13 : 유동방지턱 20 : 내부디켄터
21 : 유입구 22 : 미세통공
23 : 걸림턱 30 : 받침대
40 : 뚜껑

Claims (6)

  1. 와인잔(1)의 상부에 안착 가능하도록 구형상을 이루는 가운데 내부에 유입된 와인을 와인잔으로 낙하시키기 위해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는 외부하우징(10);
    상기 외부하우징(10) 내부에 구성되어지되, 상부에는 와인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구(2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와인에 포함된 침전물의 분리를 위한 다수의 미세통공(22)이 형성되어져 있는 내부디켄터(20);
    상기 내부디켄터(20)에서 1차 분리된 침전물을 2차로 분리시키기 위해 외부하우징(10) 하부에 형성된 다수의 미세통공(12);
    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10)은 내부디켄터(20)의 상황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다수의 투시공(11)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디켄터(20)는 외부하우징(10)과 착탈이 가능하도록 걸림턱(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10) 및 내부디켄터(20)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10) 하부에는 와인잔 입구에 걸려져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턱(13)이 하향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KR1020080027521A 2008-03-25 2008-03-25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KR10096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521A KR100965134B1 (ko) 2008-03-25 2008-03-25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521A KR100965134B1 (ko) 2008-03-25 2008-03-25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222A KR20090102222A (ko) 2009-09-30
KR100965134B1 true KR100965134B1 (ko) 2010-06-23

Family

ID=41359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521A KR100965134B1 (ko) 2008-03-25 2008-03-25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688B1 (ko) 2018-12-21 2020-01-29 이명재 기능 개선형 와인 디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2696A2 (en) * 2011-08-11 2013-02-14 KONOPKA, Zenon Liquid aera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00A (ja) * 1989-06-13 1991-01-24 Daikin Ind Ltd ターボ圧縮機のディフューザ
US20070256568A1 (en) 2006-05-03 2007-11-08 Peter Joseph Nudi Wine Decant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00A (ja) * 1989-06-13 1991-01-24 Daikin Ind Ltd ターボ圧縮機のディフューザ
US20070256568A1 (en) 2006-05-03 2007-11-08 Peter Joseph Nudi Wine Decant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688B1 (ko) 2018-12-21 2020-01-29 이명재 기능 개선형 와인 디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222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2901B2 (en) Device for use in beverage containers
KR100965134B1 (ko) 도자기 재질로 이루어진 개인용 디켄터
CN204654723U (zh) 一种新型油水分离勺
KR200445547Y1 (ko) 디켄터
CN104382439A (zh) 一种泡茶杯
KR20130000940U (ko) 두 가지 음료를 담는 컵
JP3215556U (ja) 飲料用容器
KR101094230B1 (ko) 혼합주 제조용 술잔
McRae et al. fallen angel: the consumption of religion through american cocktail culture
KR102070688B1 (ko) 기능 개선형 와인 디켄터
CN203872925U (zh) 一种苦丁茶生产干燥装置
KR20210013884A (ko) 펄과 얼음을 분리하는 컵
JP2018057487A (ja) グラス
CN201055208Y (zh) 茶杯
CN205321974U (zh) 一种滞留残渣的杯子
CN208973532U (zh) 一种陶瓷快速醒酒器
CN208551615U (zh) 一种多用途陶瓷纸巾盒
CN208941589U (zh) 一种具有过滤功能的陶瓷茶杯
JP7113655B2 (ja) 飲料成分の抽出方法
JP3207923U (ja) 徳利
KR200398655Y1 (ko) 찻잔세트
CN203000256U (zh) 泡解品承盛容器
CN205162626U (zh) 一种手持式摇杯
KR100843359B1 (ko) 이중벽으로 형성된 잔
KR20120007044U (ko) 음료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