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230B1 - 혼합주 제조용 술잔 - Google Patents

혼합주 제조용 술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230B1
KR101094230B1 KR1020090117586A KR20090117586A KR101094230B1 KR 101094230 B1 KR101094230 B1 KR 101094230B1 KR 1020090117586 A KR1020090117586 A KR 1020090117586A KR 20090117586 A KR20090117586 A KR 20090117586A KR 101094230 B1 KR101094230 B1 KR 101094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ylinder
wine glass
glass
liqu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059A (ko
Inventor
이지아
Original Assignee
이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아 filed Critical 이지아
Priority to KR102009011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2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04Means for mixing or for promoting flow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1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 B65D7/2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wall construction or by connections between walls with double walls, e.g. double end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주 제조용 술잔에 관한 것으로서, 초보자도 쉽고 용이하게 혼합주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술잔은, 맥주를 따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술잔본체(10)와; 상기 술잔본체(10) 보다 작은 크기를 이루며, 소주를 따르기 위해 구비되는 소형잔(30)과; 상기 소형잔(30)을 안내하기 위해 술잔본체(10) 내부에 일정 높이로 구비된 안내실린더(20)와; 상기 안내실린더(20)의 하부측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된 다수의 통공(21);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혼합주, 맥주, 소주, 제조, 술잔, 컵

Description

혼합주 제조용 술잔{A WINE GLASS FOR BLENDING LIQUOR MAKING}
본 발명은 술을 음용하기 위한 술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술자리에서 맥주와 소주를 혼합시켜 제조하는 혼합주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술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자리에서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술을 마시게 되며, 술을 좋아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술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소주와 맥주를 섞은 이른바 "혼합주"를 마시는 경우가 있다.
이때, 혼합주 제조를 위한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어지게 되는데, 주로 크기가 상이한 2개의 술잔(맥주잔과 소주잔)을 준비하여 먼저 맥주잔에는 맥주를 따르고, 작은 소주잔에는 소주를 따른 후 소주잔을 맥주잔에 넣은 상태로 2종류의 술이 혼합되도록 하여 혼합주를 음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혼합주를 제조함에 있어 소주잔을 맥주잔에 넣음에 따라 맥주가 흘러넘치게 되어 탁자에 술이 고여지게 되고, 소주잔이 너무빨리 내려앉게 되면 맥주잔 바닥면과 부딪혀서 깨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소주잔이 내부에 들어있는 맥주잔을 기울여서 마시게 되면, 혼합주를 마시는 과정에서 점차 맥주잔의 기울임 각도가 증가되어짐에 따라 소주잔이 맥주잔을 따라 미끄러져서 잔 밖으로 이탈되거나 음용자의 얼굴에 닿게 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혼합주 제조에 있어서의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초보자도 누구나 쉽게 혼합주를 제조할 수 있는 술잔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맥주를 따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술잔본체와; 상기 술잔본체 보다 작은 크기를 이루며, 소주를 따르기 위한 소형잔과; 상기 소형잔을 안내하기 위해 술잔본체 내부에 일정 높이로 구비된 안내실린더와; 상기 안내실린더의 하부측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룸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혼합주 제조용 술잔은, 초보자도 쉽고 용이하게 혼합주를 제조할 수 있게 되며, 안내실린더를 따라 승하강 유동이 이루어지는 소형잔을 통해 술자리를 더욱 즐겁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혼합주의 음용시 소형잔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어 보다 편리한 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용 술잔의 구조를 도 1 및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상부가 개방된 술잔본체(10) 내부에는 일정 높이의 안내실린더(20)가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안내실린더(20) 내에 삽입되어질 수 있는 소형잔(30)이 구비되어진다.
특히, 안내실린더(20)는 중단에 내경(D)이 증가된 볼록부(20a)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부에는 다수의 통공(21)이 관통 형성되어져 있고, 안내실린더(20) 하부는 하단측으로 갈수록 내경(d)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을 이룸으로서 소형잔(30)이 안내실린더(20)의 하부 바닥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호 충격에 따른 파손발생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소형잔(30)은 상하 유동시 중심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 무게를 이루는 중량부(31)가 하부에 구비되어져 있으며, 소형잔(30) 역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술잔을 이용한 혼합주 제조과정을 도 3 내지 도 8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소형잔(30)을 안내실린더(20) 내부에 삽입시켜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 안내실린더(20) 하단부는 내경(d)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감소되는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소형잔(30)은 안내실린더(20) 바닥면과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술잔본체(10)의 외곽측에 도 4에서와 같이 맥주를 서서히 따르게 되면, 점차 맥주의 수위가 상승되어지면서 안내실린더(20)의 통공(21)을 통해 안내실린더(20) 내부로 유입되는 맥주의 부력에 의해 소형잔(30)이 점차 상승되어지게 되고, 맥주를 일정 수위까지 따름에 따라 소형잔(30)은 도 5에서와 같이 안내실린더(20) 상부까지 상승된 상태를 이르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승된 소형잔(30)에 소주를 부으면 소주가 거의 찰때쯤 자체 무게에 의해 실린더(20)를 따라 하강하면서 도 6에서와 같이 가라앉게 되어 소주와 맥주가 섞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7은 이와 같이 제조가 완료된 혼합주를 마시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술잔본체(10)의 기울기가 점차 기울어짐에 따라 내부의 소형잔(30)이 안내실린더(20)를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되어지게 되나, 이동 과정에서 중단의 볼록부(20a)에서 걸려짐으로서 더이상 이동이 중단되게 된다.
즉, 이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d)이 증가된 볼록부(20a) 구간에서 소형잔(30)이 걸려짐으로서 외부로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되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술잔을 이용하면 쉽고 용이한 혼합주 제조가 이루어짐은 물론, 혼합주의 음용시 소형잔(30)에 의한 불편이 해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술잔본체(10)내에 다수개의 안내실린더(20)를 구비시킴으로서, 맥주와 소주 뿐만 아니라, 막걸리, 콜라 등 다양한 여러종류의 술을 동시에 혼합하여 음용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 내게 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방식 안내실린더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실린더(20)와 술잔본체(10)를 분리형 구조로 이룸과 함께 안내실린더(20)의 하단부 및 이와 대응되는 술잔본체(10)의 바닥면에는 상호 나사치합에 따른 착탈이 가능하도록 나사부(22,12)를 형성시킨 것이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는 안내실린더(20)를 분리하여 술잔본체(10)를 일반 맥주컵으로 사용하고, 혼합주를 제조코자 하는 경우에만 안내실린더(20)를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나사부(22,12)는 유리재질이 아닌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술잔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도면상에서는 안내실린더의 설치 갯수가 1개 또는 3개로 표시되어져 있으나, 이러한 설치갯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주를 혼합하는 소형잔(30) 없이 안내실린더(20)에 레드와인을 부으면 디켄터겸용 와인잔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데, 마실때는 잔을 기울여 가장자리로 마시게 되므로 가운데 안내실린더(20)에 모이는 불순물이 실린더 내부에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혼합주 제조용 술잔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술잔의 소주잔 분리상태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술잔의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술잔에 맥주를 일부 부었을 때의 단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술잔에 맥주를 채웠을 때의 소주잔 부상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술잔에 소주를 부었을 때의 소주잔 침전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술잔을 이용한 혼합주 음용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술잔의 기울림 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응용예에 따른 술잔 외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탈방식 술잔본체의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착탈방식 술잔 본체의 분리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착탈방식 술잔 본체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술잔본체 12,22 : 나사부
20 : 안내실린더 20a: 볼록부
21 : 통공 30 : 소형잔
31 : 중량부

Claims (5)

  1. 맥주를 따를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술잔본체(10)와;
    상기 술잔본체(10) 보다 작은 크기를 이루며, 소주를 따르기 위해 구비되는 소형잔(30)과;
    상기 소형잔(30)을 안내하기 위해 술잔본체(10) 내부에 일정 높이로 구비되되, 중단에는 내경(D)이 증가된 볼록부(20a)가 형성된 안내실린더(20)와;
    상기 안내실린더(20)의 하부측 둘레를 따라 관통 형성된 다수의 통공(21);
    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 제조용 술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실린더(20)의 하부는 내경(d)이 하단측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 제조용 술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형잔(30) 하부에는 안내실린더(20)를 따라 상하 유동시 중심을 잡아주기 위해 일정 중량을 갖는 중량부(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 제조용 술잔.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실린더(20)는 술잔본체와 착탈 가능한 구조를 이룸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 제조용 술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내실린더(20)의 하단부 및 이와 대응되는 술잔본체(10)의 바닥면에는 상호 나사치합에 따른 착탈이 가능하도록 나사부(2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주 제조용 술잔.
KR1020090117586A 2009-12-01 2009-12-01 혼합주 제조용 술잔 KR101094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86A KR101094230B1 (ko) 2009-12-01 2009-12-01 혼합주 제조용 술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86A KR101094230B1 (ko) 2009-12-01 2009-12-01 혼합주 제조용 술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59A KR20110061059A (ko) 2011-06-09
KR101094230B1 true KR101094230B1 (ko) 2011-12-14

Family

ID=44395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586A KR101094230B1 (ko) 2009-12-01 2009-12-01 혼합주 제조용 술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23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376U (ko) * 1985-02-12 1986-08-21
KR200334863Y1 (ko) * 2003-07-04 2003-12-01 김태영 양주잔과 언더락스잔을 셋팅하는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4376U (ko) * 1985-02-12 1986-08-21
KR200334863Y1 (ko) * 2003-07-04 2003-12-01 김태영 양주잔과 언더락스잔을 셋팅하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59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4744B2 (en) Drinkware
US20080290102A1 (en) Aeration Wine Glass
US7543717B2 (en) Bouquet enhancing wineglass
US7975872B2 (en) Aerating wine glass
US10196190B2 (en) Domed cup lid for holding an inverted can or bottle
EP1591046A1 (en) A Glass with the drinking plane not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ontainer
US20160242583A1 (en) Drinking vessel
KR101094230B1 (ko) 혼합주 제조용 술잔
JP3139932U (ja) 異種ビール混合用グラス
CN204049048U (zh) 带隔舱的多功能茶杯
JP3169840U (ja) 飲用容器
CN207707705U (zh) 一种新型玻璃艺术酒具
CN201775401U (zh) 无沫啤酒杯
KR20080100741A (ko) 혼합주 제조기
CN202574745U (zh) 一种防泼洒酒瓶
CN201743396U (zh) 黄酒盛酒器
KR200493052Y1 (ko) 컵 뚜껑
CN203388631U (zh) 消沫啤酒杯
CN201160731Y (zh) 隔层式多功能杯
JP3199908U (ja) ガラス製コップ
CN210581966U (zh) 一种不锈钢隔油壶
KR20170140746A (ko) 액체 흐름 방지 머그컵
CN208447320U (zh) 醒酒装置
CN207613572U (zh) 一种设置双壶嘴且壶盖设置双气道的双腔体壶
KR20120102409A (ko) 주류 및 음료 혼합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