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894B1 -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894B1
KR100964894B1 KR1020070137562A KR20070137562A KR100964894B1 KR 100964894 B1 KR100964894 B1 KR 100964894B1 KR 1020070137562 A KR1020070137562 A KR 1020070137562A KR 20070137562 A KR20070137562 A KR 20070137562A KR 100964894 B1 KR100964894 B1 KR 100964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power generating
generating means
concret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776A (ko
Inventor
김동역
허전
Original Assignee
어영자
김숙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영자, 김숙미 filed Critical 어영자
Priority to KR102007013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89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6Solidifying concrete, e.g. by application of vacuum before hard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그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발생하는 기포나 수포 등 다양한 결함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 형태로 된 작업관의 하단에 광폭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날개를 장착하고, 그 회전날개는 유압이나 공압 또는 엔진이나 구동모터 등을 이용한 동력발생수단 및 기어 결합구조 또는 케이블에 의해 상기한 회전날개의 날개축이 회전되게 구성하며, 상기 작업관과 나란한 공급호스에는 시멘트공급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시멘트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굳지 않은 콘크리트 타설부의 일정 부위를 광폭의 블레이드로 된 회전날개의 회전을 통해 효율적으로 교반 및 혼합시켜주면서도,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시멘트를 통해 그 회전날개에 의한 교반 및 혼합부가 더욱 고른 혼합 교반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것이며, 작업 대상이나 시공처의 규모에 따라 다양한 동력발생장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외표면에 발생하는 기포나 수포에 의한 표면 불량을 제거하는 동시에 재료의 분리에 의해 발생하는 구조적 취약성과 색상의 차이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동력발생수단, 회전날개

Description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Device for removing faults of concrete surface}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타설 과정에서 그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발생하는 기포나 수포 등 다양한 결함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동력발생부와 동력전달부를 통해 회전하는 광폭의 회전날개와, 그 회전날개의 일측으로부터 이격 배출되는 시멘트 배출노즐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믹서트럭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혼합물을 현장으로 운반하고, 굳지 않은 콘크리트 혼합물을 미리 시공된 거푸집에 타설하며 일정기간 콘크리트 혼합물의 양생기간을 거쳐 축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 혼합물의 타설시 시공하고자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 및 수밀성과 더불어 콘크리트 표면의 미려함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된 콘크리트용 진동기(바이브레이터)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의 콘크리트용 진동기는 동력발생부의 회전력을 케이블 등을 이용한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진동봉 하단에 마련된 진동부의 무수한 떨림이 발생되게 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혼합물의 타설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와 수포 및 재료분리에 의한 구조적 취약성과 재료 혼합률 저하에 의한 색상차이 등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콘크리트용 진동기는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진동봉을 삽입하여 이를 조정할 수 없으므로 다짐작업이 부실하게 이루어지고, 콘크리트용 진동기의 진동만으로는 거푸집 표면의 기포 및 수포는 물론 분리된 재료들의 혼합 불량으로 인한 구조적 취약성과 색상 차이 등을 합리적으로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용 진동기를 이용한 다짐공정 및 기포와 수포 제거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기포와 수포들이 오히려 응집되어 거푸집 표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그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 결함을 심화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 형태로 된 작업관의 하단에 광폭의 블레이드를 갖는 회전날개를 장착하고, 그 회전날개는 유압이나 공압 또는 엔진이나 구동모터 등을 이용한 동력발생수단 및 기어 결합구조 또는 케이블에 의해 상기한 회전날개의 날개축이 회전되게 구성하며,
상기 작업관과 나란한 공급호스에는 시멘트공급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시멘트가 배출되게 하되, 그 공급호스의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된 배출노즐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는, 광폭의 블레이드로 된 회전날개의 회전을 통해 굳지 않은 콘크리트 타설부를 효율적으로 교반 및 혼합시켜주면서도,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시멘트를 통해 그 회전날개에 의한 교반 및 혼합부가 더욱 고른 혼합 교반 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것이며, 작업 대상이나 시공처의 규모에 따라 다양한 동력발생장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외표면에 발생하는 기포나 수포에 의한 표면 불량을 제거하는 동시에 재료의 분리에 의해 발생하는 구조적 취약성과 색상의 차이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측면 전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 타설부에 집어넣을 수 있도록 된 파이프 형태의 작업관(1)을 구비하고 있고, 그 작업관(1)과 나란하게 형성된 별도의 공급호스(41)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작업관(1)의 선단부에는 플렉시블관(4)에 의해 연결된 동력발생수단(20)이 위치함으로써, 상기한 플렉시블관(4)에 의해 그 작업관(1)의 편리한 이동 및 작업이 가능한 것이며. 그 동력발생수단(20)으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작업관(1)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날개(2)(2')를 고도의 회전력으로 연속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의 상기 동력은 별도의 다양한 형태의 동력발생수단(20)을 통해 상기한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묽은 상태의 콘크리트 타설부라 할지라도 광폭의 블레이드로 된 회전날개(2)(2')에는 상당한 저항력이 발생하므로 그 회전날개(2)(2')가 고정되는 날개축(3)은 비교적 고도의 회전력을 제공받아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공급호스(41)의 하단에는 횡방향의 배출노즐(42)이 형성되어 있고 그 배출노즐(42)에 연속하여 형성된 배출공(43)(43')을 통해서는 시멘트물이 배출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시멘트물은 별도의 시멘트공급펌프(40)로부터 그 공급호스(41)를 통해 제공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공급호스(41)를 통해 시멘트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그 회전날개(2)(2')가 고도의 회전 토오크를 갖고 굳지 않은 콘크리트 타설부 내에서 회전하므로 시멘트물과 그 회전력에 의해 거푸집(100)와 철근(101)의 사이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표면 작업부는 균일하고 안정적인 혼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시멘트물이 작업부에 추가로 혼합되면 회전날개(2)(2')에 의 해 혼합부의 점도를 떨어트려 그 회전날개(2)(2')의 회전 상태가 양호하도록 하고, 여타 콘크리트 부위에 비해 콘크리트 강도가 뛰어나므로 해당의 작업부는 저렴한 비용으로 더욱 우수한 강도를 확보하게 됨은 물론 회전날개(2)(2')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혼합률이 크게 향상되므로 기포 및 수포 등의 제거와 동시에 재료의 고른 혼합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발생수단(20)을 고압의 에어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셔(21)로 구성하고, 상기한 에어컴프레셔(21)로부터 제공되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받아 회전하는 에어 라쳇트 렌치(31)를 작업관(1)의 하단에 장착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상기한 에어컴프레셔(21)와 에어 라쳇트 렌치(31)는 공압호스(3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에어컴프레셔(21)의 구동을 통해 제공되는 고압의 공기는 상기한 에어 라쳇트 렌치(31)의 회전부(33)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한 회전부(33)에는 회전날개(2)(2')의 날개축(3)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한 회전날개(2)(2')가 에어컴프레셔(21)의 작동과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된다.
(실시예 2)
도 6의 도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발생수단(20)을 고압의 유체를 제공하는 유압순환펌프(22)로 구성하고, 그 유압순환펌프(22)로부터 제공되는 유체의 압력을 회전날개(2)(2')의 회전력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작업관(1)의 하단에 장착된 유압모터(34)를 채택한 것으로서, 상기한 유압모터(34)는 유압호스(35)에 의해 상기한 유압순환펌프(22)와 연결되어 있어 이를 통해 고압의 유체가 전달되면 그 유압모터(34)의 유압축(36)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유압축(36)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날개(2)(2')의 날개축(3)이 유압축(36)과 동시에 회전을 하게 되므로 결국 상기한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3)
도 7의 도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발생수단(20)을 고도의 운동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엔진(23)으로 구성하고, 그 동력발생수단(20)의 운동에너지는 작업관(1) 내측에 삽입되는 케이블(37)과 케이블(37) 하단의 회전핀(37')에 의해 전달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회전핀(37')에는 웜(38)을 형성하고, 그 웜(38)과 대응하는 웜휠(39)은 회전날개(2)(2')의 날개축(3)에 형성함에 따라, 상기한 엔진(23)이 구동하여 그 회전 운동에너지는 케이블(37)로 전달되므로 상기한 케이블(37)의 회전 및 작업관(1)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회전핀(37')이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회전핀(37')에 형성된 웜(38)은 날개축(3)의 웜휠(39)과 기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회전핀(37')의 회전력은 결국 회전날개(2)(2')를 갖는 날개축(3)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4)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발생수단(20)을 작업관(1)의 하단에 직접 내장된 구동모터(24)로 구성하고, 상기한 구동모터(24)는 외부로부터 전원 접속되어 그 구동모터(24)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24)의 모터축(25)이 회전되고, 그 모터축(25)이 회전함에 따라 모터축(25)에 직접 결합된 날개축(3)을 통해 상기한 회전날개(2)(2')가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모터축(25)는 구동모터(24)로부터 양측으로 인출된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 이들 모터축(25)에 상기한 날개축(3)을 결합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측면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작동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제1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제2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제3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의 제4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작업관 2,2' : 회전날개
3 : 날개축 4 : 플렉시블관
20 : 동력발생수단 21 : 에어컴프레셔
22 : 유압순환펌프 23 : 엔진
24 : 구동모터 25 : 모터축
31 : 에어 라쳇트 렌치
32 : 공압호스 33 : 회전부
34 : 유압모터 35 : 유압호스
36 : 유압축 37' : 회전핀
38 : 웜 39 : 웜휠
40 : 시멘트공급펌프 41 : 공급호스
42 : 배출노즐 43,43' : 배출공
100 : 거푸집 101 : 철근

Claims (5)

  1. 파이프 형태로 된 작업관(1)의 하단에는 회전 가능한 날개축(3) 상에 분할 형성된 회전날개(2)(2')를 형성하고, 그 작업관(1)의 선단에는 플렉시블관(4)에 의해 연결된 별도의 동력발생수단(20)을 장착하여, 상기 동력발생수단(20)으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날개(2)(2')가 회전되게 하고,
    상기한 작업관(1)의 외부 일측에는 작업관(1)과 나란한 공급호스(41)를 형성하고, 그 공급호스(41)의 선단에는 시멘트공급펌프(40)를 연결 형성하며, 공급호스(41)의 하단에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배출공(43)(43')을 갖는 배출노즐(42)을 구비하여, 그 배출공(43)(43')을 통해 시멘트가 토출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동력발생수단(20)은 에어컴프레셔(21)로 구성하고 작업관(1)의 하단에는 에어 라쳇트 렌치(31)를 장착하되,
    그 에어컴프레셔(21)는 공압호스(32)에 의해 작업관(1) 하단의 에어 라쳇트 렌치(31)와 연결되게 하며, 상기한 회전날개(2)(2')의 날개축(3)은 에어 라쳇트 렌치(31)의 회전부(33)에 결합되게 하여, 상기 동력발생수단(20)인 에어컴프레셔(21)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압에 의해 에어 라쳇트 렌치(31)의 회전부(33)가 회전되면 이 에 의해 회전날개(2)(2')가 동시에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동력발생수단(20)은 유압순환펌프(22)로 구성하고 작업관(1)의 하단에는 유압모터(34)를 장착하되, 유압순환펌프(22)와 유압모터(34)는 유압호스(35)로 연결되고, 회전날개(2)(2')의 날개축(3)은 상기한 유압모터(34)의 유압축(36)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발생수단(20)인 유압순환펌프(22)로부터 제공되는 유체압에 의해 유압모터(34)가 작동하면 이에 의해 회전날개(2)(2')가 동시에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동력발생수단(20)은 엔진(23)으로 구성하고 작업관의 하단에는 회전핀(37')을 장착하되, 엔진(23)과 회전핀(37')은 케이블(37)에 의해 연결되고, 회전핀(37')에는 웜(38)을 형성하며, 회전날개(2)(2')의 날개축(3)에는 상기한 웜(38)과 기어 결합되는 웜휠(39)을 형성하여, 상기 동력발생수단(20)인 엔진(23)으로부터 제공되는 회전력은 케이블(37)로 전달되어 케이블(37) 하단의 회전핀(37')과 회전날개(2)(2')의 날개축(3)이 연동하여 동시에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 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동력발생수단(20)은 작업관(1) 하단 내측에 고정 장착된 구동모터(24)로 이루어지고, 그 구동모터(24)의 모터축(25)에는 회전날개(2)(2')의 날개축(3)을 축방향으로 연결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가된 구동모터(24)의 작동을 통해 상기한 회전날개(2)(2')가 회전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KR1020070137562A 2007-12-26 2007-12-26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KR100964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62A KR100964894B1 (ko) 2007-12-26 2007-12-26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562A KR100964894B1 (ko) 2007-12-26 2007-12-26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76A KR20090069776A (ko) 2009-07-01
KR100964894B1 true KR100964894B1 (ko) 2010-06-23

Family

ID=4132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562A KR100964894B1 (ko) 2007-12-26 2007-12-26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8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20B1 (ko) * 2019-03-25 2019-11-21 (주)아이에이치피엠 콘크리트 다짐용 교반기의 동력전달기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233A (ja) 1997-08-08 1999-03-05 Yamato Boring Kk 攪拌槽内の硬化材攪拌方法及び装置
JP2000120268A (ja) 1998-10-16 2000-04-25 Ohbayashi Corp 吹付けコンクリートにおける粉塵拡散抑制装置
JP2005163479A (ja) 2003-12-05 2005-06-23 Gns:Kk 樹脂注入ホース
KR100778247B1 (ko) 2006-11-30 2007-11-22 김동항 사면 및 심층 작업이 가능한 광폭의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2233A (ja) 1997-08-08 1999-03-05 Yamato Boring Kk 攪拌槽内の硬化材攪拌方法及び装置
JP2000120268A (ja) 1998-10-16 2000-04-25 Ohbayashi Corp 吹付けコンクリートにおける粉塵拡散抑制装置
JP2005163479A (ja) 2003-12-05 2005-06-23 Gns:Kk 樹脂注入ホース
KR100778247B1 (ko) 2006-11-30 2007-11-22 김동항 사면 및 심층 작업이 가능한 광폭의 콘크리트 바이브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776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02899B (zh) H形搅拌桩设备的一种用法
KR102028565B1 (ko) 몰타르 연속 믹서기
CN105781114B (zh) 一种真空抽气与吸水相结合的插入式混凝土振捣器
CN214006572U (zh) 一种建筑混凝土加工喷射机
KR100964894B1 (ko) 콘크리트 표면 결함 제거장치
JP5015558B2 (ja) 繊維補強セメント系地盤改良工法
KR100566524B1 (ko) 물 공급통로가 형성된 아암샤프트를 갖는 콘크리트 믹서
CN213034944U (zh) 一种建筑施工用砂浆搅拌设备
CN108999185A (zh) 高压旋喷同径旋搅机构及复合劲桩一体机
JP2007169892A (ja) ルーロー機構による回転ロッド型矩形縦孔掘削作業機
JP2011058282A (ja) ソイルセメント柱構築装置
CN113211631A (zh) 一种混凝土搅拌装置和方法
JP2009057748A (ja) 浅層地盤改良用攪拌機、浅層地盤改良機、浅層地盤改良システム、浅層地盤改良工法及び汚染土壌改良工法
KR200266265Y1 (ko) 직동식 콘크리트 혼합용 팬 믹서
JP4516977B2 (ja) 地中杭の形成装置及び形成方法
KR200416650Y1 (ko) 연약지반용 굴착기능을 갖는 교반장치
JP4234312B2 (ja) 回転圧入式杭、回転圧入式杭の埋設方法並びに回転圧入式杭の根固め方法
CN216760347U (zh) 一种混凝土储存斗装置
CN218715420U (zh) 一种裂缝修补设备
JP3665028B2 (ja) 地盤改良用掘削撹拌装置
CN107761533A (zh) 道路切缝填缝机
JP3731669B2 (ja) 地盤改良システム及び工法
CN214925666U (zh) 一种预制板加工用快速成型装置
KR101783980B1 (ko) 복수의 로드와 기어 박스의 동시 회전이 가능한 천층용 교반장치
KR200266675Y1 (ko) 교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