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714B1 -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714B1
KR100964714B1 KR1020080048063A KR20080048063A KR100964714B1 KR 100964714 B1 KR100964714 B1 KR 100964714B1 KR 1020080048063 A KR1020080048063 A KR 1020080048063A KR 20080048063 A KR20080048063 A KR 20080048063A KR 100964714 B1 KR100964714 B1 KR 100964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rtition plate
tubular body
toilet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910A (ko
Inventor
고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08004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714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03D1/35Flushing valves having buoyanc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는, 양변기의 물저장탱크에 물을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벽체의 내부에 매설된 물 공급관에 접속되고, 상기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1유로와는 선택적으로 소통되고 상기 물저장탱크의 내부와는 항상 소통되는 제2유로를 가지는 관형몸체; 상기 관형몸체의 제1유로와 제2유로를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관형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로와 소통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2유로와 소통되는 제2관통공을 가지는 구획판; 하면이 상기 구획판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구획판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그 구획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2유로로 소통하는 소통공간을 가지며, 상기 구획판에 대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관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를 가지는 슬라이딩 유니트; 및 상기 관형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몸체와, 일측은 상기 커버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유니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슬라이딩 유니트에 결합되며 끝단측에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과 접촉되는 부력통이 마련되어 있는 회전바를 가지는 커버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48063
양변기, 관형몸체, 슬라이딩 유니트, 커버 유니트, 구획판

Description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Washing-water control valve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구성 및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단수시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의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530)는, 물저장탱크 내부에 배치되는 중공통(540), 상기 중공통(54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엔드캡(550), 상기 엔드캡(5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레버(560) 및 상기 중공통(540)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570)을 구비한다.
상기 중공통(540)의 하단부에는 물이 공급되는 물 공급관(미도시)이 연결되고, 그 내부에는 유입관(541)에 의해 구획되는 하부챔버(542)와 상부챔버(543)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통(540)에는 상기 상부챔버(543)와 물저장탱크를 소통시키는 유출관(544)이 마련된다. 상기 유출관(544)은 상기 하부챔버(542)와 상부챔버(543)를 순차로 경유한 물이 상기 물저장탱크에 공급되게 한다.
상기 엔드캡(550)은 상기 중공통(54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상부챔버(543)를 형성한다. 즉, 상기 유입관(541)과 엔드캡(550) 사이에는 상부챔버(543)가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엔드캡(550)에는 상기 상부챔버(543)와 물저장탱크를 연통시키는 압력공(55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엔드캡(5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레버(560)는 그 일단에 부력체(560a)가 결합되고 그 타단이 수위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압력공(550a)을 개폐시킨다.
한편, 상기 중공통(540)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관(541)에 안착되는 다이아프램(570)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이아프램(570)은 지지체(571)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중공통(54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다이아프램(570)은 상기 압력공(550a)의 개방시 상기 물의 공급압력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하부챔버(542)와 유출관(544)을 소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중공통(540)과 회동레버(560)는 상기 하부챔버(542)로 유입된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 측으로 유출되게 하는데, 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엔드캡(550)의 상부에 형성된 압력공(550a)을 회동레버(560)가 폐쇄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챔버(542)측과 압력공(550a)측의 수압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다이아프램(570)이 상기 유입관(541)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챔버(542)에 유입된 물은 상기 유입관(541)을 통과하지 못하고 하부챔버(542)에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통(54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은 지지체(571)에 형성된 구 멍들(571a,571b) 및 엔드캡(550)에 형성된 구멍들(550a,550b)을 통해 상기 중공통(540)의 하단부와 상기 엔드캡(550)의 상단부 사이에 마련되는 모든 공간에 채워져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배출시키면,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레버(560)가 회전하여 상기 압력공(550a)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압력공(550a)측보다 상기 하부챔버(542)측의 수압이 상대적으로 높게 되어, 상기 다이아프램(570)이 상기 유입관(541)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하부챔버(542)에 유입된 물이 상부챔버(543)를 경유하여 유출관(544)을 통해 상기 물저장탱크(510) 측으로 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다이아프램(570)은 고무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반복적인 탄성변형 및 물과의 지속적인 마찰 등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은 부품의 교체비용을 증가시키며 교체시점에서 일정시간동안 양변기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어 제품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570)을 지지하는 지지체(571)는 고무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다이아프램(570)과 같은 단점을 가짐으로써 결국 제품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낳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챔버(542) 측으로 유입되는 물은 보통 배관의 노후 등으로 발생하는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마련인데, 이러한 이물질은 상기 고무재질의 다이이프램(570)을 마모시켜서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여 제품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낳게 된다.
한편, 아파트와 같이 많은 수의 양변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수시 양변기의 오물수용통(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물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물저장탱크(510)의 수위가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압력공(550a)이 개방됨으로써, 상기 다이어프램(570)이 상기 유입관(541)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물저장탱크(510)에 저장되어 있는 물이 상기 유입관(541)을 통해 상기 하부챔버(542) 측으로 역류하게 되고, 역류된 물은 배관의 내부에 잔류되어 있다가 단수가 해제되어 예컨대 세면대(미도시) 측의 밸브를 개방시키는 경우에 그 세면대 측으로 배출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오물수용통의 냄새 제거 및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부 가정에서는 상기 물저장탱크(510)에는 청색 계통의 빛깔을 가지는 액상의 청결제를 물에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결국 상기 청결제가 첨가된 물이 상기 세면대 측으로 역류하게 되어 민원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내구성 및 동작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물저장탱크에 수용된 물이 세면대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변기의 물저장탱크에 물을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벽체의 내부에 매설된 물 공급관에 접속되고, 상기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를 가지며, 상기 제1유로와는 선택적으로 소통되고 상기 물저장탱크의 내부와는 항상 소통되는 제2유로를 가지는 관형몸체; 상기 관형몸체의 제1유로와 제2유로를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관형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로와 소통되는 제1관통공과 상기 제2유로와 소통되는 제2관통공을 가지는 구획판; 하면이 상기 구획판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구획판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그 구획판에 설치되며, 상기 제2유로로 소통하는 소통공간을 가지며, 상기 구획판에 대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관통공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를 가지는 슬라이딩 유니트; 및 상기 관형몸체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몸체와, 일측은 상기 커버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유니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슬라이딩 유니트에 결합되며 끝단측에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과 접촉되는 부력통이 마련되어 있는 회전바를 가지는 커버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 세척수 조절밸브는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부품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1슬라이딩부재가 상하방향으로의 승강은 방지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부품의 변형 등에 의한 동작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수시에도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세면대 측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는 관형몸체(1)와 구획판(2)과 슬라이딩 유니트(3)와 커버 유니트(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관형몸체(1)는 양변기의 물저장탱크(미도시)에 세척수(이하 '물'이라 한다)를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벽체의 내부에 매설된 물 공급관(미도시)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관형몸체(1)는 상기 물 공급관과 소통되어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11)와, 상기 제1유로(11)와는 선택적으로 소통되고 상기 물저장탱크의 내부(A) 와는 항상 소통되어 있는 제2유로(12)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2유로(12)가 상기 제1유로(11)와 선택적으로 소통된다 함은 필요에 따라 소통되거나 소통방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슬라이딩 유니트(3)가 상기 구획판(2)의 제1관통공(21)을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유로(11)와 제2유로(12)의 소통이 방지되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상기 제1유로(11)와 제2유로(12)가 서로 소통되는 것이다.
상기 구획판(2)은 상기 관형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관형몸체(1)의 제1유로(11)와 제2유로(12)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획판(2)과 상기 관형몸체(1)의 내측벽 사이에는 수밀유지를 위한 패킹부재(P)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획판(2)은 상기 제1유로(11)와 수통되는 제1관통공(21)과 상기 제2유로(12)와 소통되는 제2관통공(22)을 가진다. 즉, 상기 제1관통공(21)을 통해 상기 제1유로(11)에 유입된 물이 상기 구획판(2)의 유동공간 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관통공(22)을 통해 상기 유동공간에 유입된 물이 상기 제2유로(12)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획판(2)은, 상기 슬라이딩 유니트(3)와의 반복적인 마찰로 인한 내구성 저하 현상을 현저히 제거할 수 있도록 세라믹 재질의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 유니트(3)는 상기 구획판(2)에 대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슬라이딩부재(31)와 제2슬라이딩부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는 하면이 상기 구획판(2)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구획판(2)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그 구획판(2)에 설치되어서, 좌우이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슬라이딩부재(31)는 상기 제2유로(12)로 소통하는 소통공간(310)을 가지며, 상기 제1관통공(2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311)를 가진다. 즉, 상기 소통공간(310)은 상기 제2유로(12)와 항상 소통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개폐부(311)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관통공(21)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게 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제1관통공(21)이 폐쇄된 경우에는 상기 제1유로(11)에 유입된 물이 상기 제2유로(12) 측으로 배출될 수 없게 되고, 도 4와 같이, 상기 제1관통공(21)이 개방된 경우에는, 상기 제1유로(11)에 유입된 물이 상기 소통공간(310)을 통해 상기 제2유로(12) 측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유로(12) 측에 배출된 물은 상기 물저장탱크의 내부(A)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는 상기 구획판(2)과의 반복적인 마찰로 인한 내구성 저하 현상을 현저히 제거할 수 있도록 세라믹 재질의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32)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와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제1슬라이딩부재(31)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32)는 상기 커버 유니트(4)의 커버몸체(41)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커버몸체(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바(42)의 회전력을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32)에 형성된 삽입 홈(321)에 상기 회전바(42)의 결합턱(421b)이 삽입되고,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32)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바(4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결합턱(421b)이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32)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가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제, 상기 커버 유니트(4)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 유니트(4)는 커버몸체(41)와 회전바(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몸체(41)는 상기 관형몸체(1)의 상측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관형몸체(1)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재(F)가 상기 관형몸체(1)에 체결됨으로써 그 관형몸체(1)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바(42)는 상기 커버몸체(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바(42)는 제1회전부(421)와 제2회전부(422)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바(42)는 상기 제1회전부(421)를 통해 일측(421a)이 상기 커버몸체(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슬라이딩 유니트(3)의 제2슬라이딩부재(32)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타측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32)의 삽입홈(321)에 결합되는 결합턱(421b)이 마련되어 있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바(42)는 끝단(422a)에 부력통(423)이 마련되어 있는 제2회전부(42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바(42)는 상기 제1회전부(421)와 제2회전부(4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별도로 성형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2회전부(422)의 다른 끝단(422b)과 상기 커버몸체(41)의 사이에는 탄성부재(5)가 배치된다. 상기 탄성부재(5)는 상기 제2회전부(422)의 다른 끝단(422b)을 탄성가압함으로써 상기 부력통(423)과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과 의 접촉력을 크게 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탄성부재(5)로 압축코일 스프링이 채용되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작동원리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관형몸체(1)가 접속되어 있는 물 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관형몸체(1)의 제1유로(11)에 수용된다. 도 3와 같은 상태에서는 구획판(2)의 제1관통공(21)이 제1슬라이딩부재(31)의 개폐부(311)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제1유로(11)와 제2유로(12)는 서로 소통되지 않는다. 따라서,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양변기에 용변을 본 후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제2회전부(422)의 끝단(422a)에 마련되어 있는 부력통(423)이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부력통(423)의 하강시에는 상기 제2회전부(422)의 다른 끝단(422b)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5)에 의해 상기 제2회전부(422)가 도 4와 같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회전부(422)가 회전되면 제2회전부(422)와 함께 제1회전부(421)가 커버몸체(41)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회전부(421)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턱(421b)이 제2슬라이딩부재(32)를 이동시킨다.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32)가 이동되면, 제1슬라이딩부재(31)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32)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의 개폐부(311)가 상기 구획판(2)의 제1관통공(21)을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유로(11)는 상기 제1관통공(21) 및 제1슬라이딩부재(31)의 소통공간(310)을 통해 상 기 제2유로(12)와 소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11)에 유입된 물은 상기 제2유로(12)를 통해 물저장탱크의 내부(A)로 유입되어서, 부력통(423)을 도 3과 같은 위치로 되돌려 놓게 된다.
여기까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가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는 달리 다이어프램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는 방식이 아닌 제1슬라이딩부재(31)가 좌우로 이동되는 구조가 채용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에 비해 내구성 및 동작특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채용된 제1슬라이딩부재(31)는 종래기술에 채용된 다이어프램과는 달리 탄성변형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고 단순히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물의 공급 및 차단 작용을 할 수 있게 되어서, 제품의 내구성 및 동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갑작스런 단수시에도 상기 구획판(2)의 제1관통공(21)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갑작스런 단수현상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유로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종래기술의 문제점, 즉 상기 물이 세면대(미도시) 측으로 역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유로(11)와 제2유로(12) 간의 선택적은 소통은 제1슬라이딩부재(31)가 구획판(2)에 대해 상대이동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제1슬라이딩부 재(31)의 이동시에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와 구획판(2) 간의 잦은 마찰이 발생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와 구획판(2)이 각각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서 부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회전부(422)를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5)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구획판(2)의 제1관통공(21)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의 동작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관형몸체 11:제1유로
12:제2유로 2:구획판
21:제1관통공 22:제2관통공
3:슬라이딩 유니트 31:제1슬라이딩부재
310:소통공간 311:개폐부
32:제2슬라이딩부재 321:삽입홈
4:커버 유니트 41:커버몸체
42:회전바 421:제1회전부
421a:일측 421b:결합턱
422:제2회전부 422a:끝단
422b:다른 끝단 423:부력통
5:탄성부재 A:물저장탱크의 내부
F:고정부재 P:패킹부재

Claims (4)

  1. 양변기의 물저장탱크에 물을 공급하여 줄 수 있도록, 벽체의 내부에 매설된 물 공급관에 접속되고, 상기 물이 유동하는 제1유로(11)를 가지며, 상기 제1유로(11)와는 선택적으로 소통되고 상기 물저장탱크의 내부(A)와는 항상 소통되는 제2유로(12)를 가지는 관형몸체(1);
    상기 관형몸체(1)의 제1유로(11)와 제2유로(12)를 구획할 수 있도록 상기 관형몸체(1)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유로(11)와 소통되는 제1관통공(21)과 상기 제2유로(12)와 소통되는 제2관통공(22)을 가지는 구획판(2);
    하면이 상기 구획판(2)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구획판(2)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그 구획판(2)에 설치되며, 상기 제2유로(12)로 소통하는 소통공간(310)을 가지며, 상기 구획판(2)에 대해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관통공(21)을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311)를 가지는 슬라이딩 유니트(3); 및
    상기 관형몸체(1)의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몸체(41)와, 일측(421a)은 상기 커버몸체(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딩 유니트(3)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그 슬라이딩 유니트(3)에 결합되며 끝단(422a)측에 상기 물저장탱크에 저장된 물과 접촉되는 부력통(423)이 마련되어 있는 회전바(42)를 가지는 커버 유니트(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니트(3)는:
    상기 소통공간(310)과 개폐부(311)를 가지는 제1슬라이딩부재(31)와,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 및
    상기 커버몸체(41)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31)와 함께 슬라이딩 가능하게 그 제1슬라이딩부재(31)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재(3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2) 및 제1슬라이딩부재(31)는, 각각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42)는 상기 슬라이딩 유니트(3)에 결합되는 결합턱(421b)을 가지는 제1회전부(421)와 상기 제1회전부(421)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부력통(423)이 끝단(422a)에 마련되어 있는 제2회전부(422)를 구비하며,
    상기 부력통(423)을 상기 물에 접촉되는 방향으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회전부(422)의 다른 끝단(422b)과 상기 커버몸체(41)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회전부(422)의 다른 끝단(422b)을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KR1020080048063A 2008-05-23 2008-05-23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KR100964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063A KR100964714B1 (ko) 2008-05-23 2008-05-23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063A KR100964714B1 (ko) 2008-05-23 2008-05-23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910A KR20090121910A (ko) 2009-11-26
KR100964714B1 true KR100964714B1 (ko) 2010-06-21

Family

ID=4160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063A KR100964714B1 (ko) 2008-05-23 2008-05-23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7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7769U (ko) 1979-03-24 1980-10-01
JPS5958277A (ja) 1982-09-28 1984-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三方弁
JPH08144347A (ja) * 1994-11-21 1996-06-04 Inax Corp 便器洗浄用の切換弁
JP2001165347A (ja) 1999-12-03 2001-06-22 Toa Seisakusho:Kk 浮玉式切換弁およびその切換弁をそなえた雨水利用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7769U (ko) 1979-03-24 1980-10-01
JPS5958277A (ja) 1982-09-28 1984-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磁三方弁
JPH08144347A (ja) * 1994-11-21 1996-06-04 Inax Corp 便器洗浄用の切換弁
JP2001165347A (ja) 1999-12-03 2001-06-22 Toa Seisakusho:Kk 浮玉式切換弁およびその切換弁をそなえた雨水利用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910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8843B (zh) 马桶注水阀的防逆流装置
JP4657316B2 (ja) 再循環水を使用する開閉可能な双子タンク型洗浄水容器
EP1554440A1 (en) Water savable flush toilet
US10844585B2 (en) Sanitary-ware flushing system
CN112554290A (zh) 一种水箱排量的控制结构及马桶
CN110306635B (zh) 一种改善噪音的冲洗控制系统及方法
CN109098243A (zh) 一种带有简易冲刷装置的马桶及马桶冲洗方法
KR101970460B1 (ko) 절수형 변기
KR100964714B1 (ko) 양변기의 세척수 조절밸브
CN208965663U (zh) 一种带有简易冲刷装置的马桶
KR101111624B1 (ko) 절수형 양변기
KR100408076B1 (ko) 절수용 변기
KR20110044050A (ko) 물절약형 좌변기
JPH11256652A (ja) 節水型水洗便器兼用簡易水洗便器
CN202124909U (zh) 柱塞三通阀蓄水冲刷装置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KR20110119152A (ko) 양변기용 급수 전환 볼탭
CN216195223U (zh) 一种提高冲刷性能的马桶排水装置
JP2015505345A (ja) 水槽がない超節水及び騒音低減型洋式便器
KR200439371Y1 (ko) 물 절감 좌변기
KR20050000186A (ko) 변기 시스템
CN108517931B (zh) 一种水箱的双排量控制机构
KR102035340B1 (ko) 잔수배출장치
KR100742589B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용 물덮개
KR20110003865U (ko)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