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711B1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711B1
KR100964711B1 KR1020100024898A KR20100024898A KR100964711B1 KR 100964711 B1 KR100964711 B1 KR 100964711B1 KR 1020100024898 A KR1020100024898 A KR 1020100024898A KR 20100024898 A KR20100024898 A KR 20100024898A KR 100964711 B1 KR100964711 B1 KR 100964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ischarge
wastewater
cas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은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나오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나오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나오엠
Priority to KR102010002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treatment with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treatment with ultrasonic wa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러지가 혼합된 폐수가 공급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슬러지가 혼합된 폐수를 수용하고 하부와 측면에 장착되는 진동소자들에서 발생된 초극단파를 이용하여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시키는 공급분리수단과, 슬러지와 분리된 폐수를 상기 공급분리수단에서 공급받아 정화시킨 후 배출하는 여과수단과, 상기 공급분리수단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슬러지를 공급받아 응집제와 혼합시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분리수단은 상부가 개방되는 공급케이스와, 상기 공급케이스에 높낮이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개폐밸브와 여과망이 구비된 상부 배출부 및 하부 배출부와, 상기 공급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고 적층되는 슬러지를 배출수단에 전달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된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THE SLUDGE DEHYDRATOR WHICH USES MICROWAVE}
본 발명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나 오수 등에 포함된 슬러지를 극초단파를 발생하는 진동소자를 이용하여 분리하고 폐수는 자연물질을 이용한 여과수단을 통해 정화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슬러지 탈수장치로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89469호(공개일;2004년 10월 21일)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89469호에 개시되어 있는 슬러지 농축 탈수장치는 외부 케이싱과, 가동원판과 고정원판의 사이에 틈새를 갖도록 교대로 반복적으로 적층되며 외부 케이싱의 내부에 원통이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슬러지 농축 탈수장치는 외부 케이싱의 내부로 공급되는 슬러지 및 응집제를 교반기로 교반하여 플럭 및 탈리액을 형성하고, 탈리액을 가동원판과 고정원판의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원통의 내부로 유도하여 외부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해서 슬러지를 농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슬러지 농축 탈수장치는 고정원판의 방사상 외면에 접촉하여 원판의 둘레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틈새에 끼워지는 일부 플럭을 제거하는 회전바가 교반기와 동일방향 및 동일 회전수로 회전하도록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슬러지 농축 탈수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대형이어서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콜로이드 상태의 부유물을 응집시켜서 처리수와 슬러지를 분류해서 탈수할 때에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폐수나 오수 등에 포함된 슬러지를 극초단파를 발생하는 진동소자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슬러지와 분리된 폐수를 자연물질로 이루어진 여과수단을 통해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폐수와 분리된 슬러지에 응집제를 혼합한 이송교반기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슬러지가 혼합된 폐수가 공급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공급되는 슬러지가 혼합된 폐수를 수용하고 하부와 측면에 장착되는 진동소자들에서 발생된 초극단파를 이용하여 폐수와 슬러지를 분리시키는 공급분리수단과, 슬러지와 분리된 폐수를 상기 공급분리수단에서 공급받아 정화시킨 후 배출하는 여과수단과, 상기 공급분리수단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슬러지를 공급받아 응집제와 혼합시켜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분리수단은 상부가 개방되는 공급케이스와, 상기 공급케이스에 높낮이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개폐밸브와 여과망이 구비된 상부 배출부 및 하부 배출부와, 상기 공급케이스의 하부에 장착되고 적층되는 슬러지를 배출수단에 전달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된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폐수나 오수 등에 포함된 슬러지를 극초단파를 발생하는 진동소자를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러지와 분리된 폐수를 자연물질로 이루어진 여과수단을 통해 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수와 분리된 슬러지에 응집제를 혼합한 이송교반기를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구성하는 공급분리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구성하는 상부 배출부 및 하부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구성하는 여과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구성하는 배출수단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구성하는 배출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10)는 슬러지(S)가 혼합된 폐수(W)가 공급되는 호퍼(20)와, 슬러지(S)가 혼합된 폐수(W)를 상기 호퍼(20)를 통해 공급받는 공급분리수단(30)과,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의 하부와 측면에 장착되고 슬러지(S)와 폐수(W)를 분리하는 진동소자(40)들과, 슬러지(S)와 분리된 폐수(W)를 상기 공급분리수단(30)에서 공급받아 정화시킨 후 배출하는 여과수단(50)과,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슬러지(S)를 공급받아 응집제(M)와 혼합시켜 배출하는 배출수단(60) 등으로 구성된다.
슬러지(S)가 혼합된 폐수(W)가 공급되는 호퍼(20)는 내부가 관통형성되면서 하부를 향할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슬러지(S)가 혼합된 폐수(W)를 상기 호퍼(20)를 통해 공급받는 공급분리수단(30)은 상부가 개방되는 공급케이스(31)와, 상기 공급케이스(31)에 높낮이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상부 배출부(32) 및 하부 배출부(33)와, 상기 공급케이스(31)의 하부에 장착되는 슬러지 배출부(3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케이스(31)에 높낮이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상부 배출부(32) 및 하부 배출부(33)는 내부에 폐수(W)의 공급과 차단을 위해 개폐밸브(32a,33a)와 이물질 등이 여과수단(5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여과망(32b, 33b)이 각각 장착된다.
이때, 상기 상부 배출부(32)나 하부 배출부(33) 중 하나는 제거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상부 배출부(32) 및 하부 배출부(33)는 슬러지(S)와 분리된 폐수(W)를 위치에 따라 개폐작동시켜 여과수단(50)에 폐수(W)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급케이스(31)의 하부에 장착되는 슬러지 배출부(34)는 폐수(W)와 분리된 슬러지(S)를 배출수단(6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상기 슬러지 배출부(34)는 공급케이스(31)의 하부 여러 곳에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의 하부와 측면에 장착되고 슬러지(S)와 폐수(W)를 분리하는 진동소자(40)는 초극단파를 발생하는 공지된 진동소자 중 택일하여 선택되고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슬러지(S)와 분리된 폐수(W)를 상기 공급분리수단(30)에서 공급받아 정화시킨 후 배출하는 여과수단(50)은 여과 케이스(51)와, 상기 여과 케이스(51)에 내부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제 1 여과부(52), 제 2 여과부(53), 제 3 여과부(54)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 케이스(51)의 구성은 상부에 공급분리수단(30)을 통해 공급되는 폐수(W)를 전달받는 폐수 공급공(51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정화를 마친 폐수(W)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공(51b)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높낮이 간격을 두고 상부 지지돌기(51c), 중간부 지지돌기(51d), 하부 지지돌기(51e)들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여과 케이스(51)의 폐수 공급공(51a)은 상부 배출부(32) 및 하부 배출부(33)와 연결되는 연결배관(80)을 통해 폐수(W)를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 케이스(51)의 내면에 순차적으로 장착되는 상부 지지돌기(51c), 중간부 지지돌기(51d), 하부 지지돌기(51e)는 여과 케이스(51)의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되, 상기 상부 지지돌기(51c), 중간부 지지돌기(51d), 하부 지지돌기(51e)는 제 1 여과부(52)의 제 1 지지판(52a)과, 제 2 여과부(53)의 제 2 지지판(53a)과, 제 3 여과부(54)의 제 3 지지판(53a)이 여과 케이스(51)와 일체로 형성시에는 삭제된다.
상기 상부 지지돌기(51c)에 장착되는 제 1 여과부(52)는 내부에 제 1 관통공(52b)들이 형성된 제 1 지지판(52a)과 상기 제 1 지지판(52a)의 상부에 적층되는 돌맹이(52c)들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 1 여과부(52)는 상부 지지돌기(51c)에 제 1 지지판(52a)을 장착한 후 상기 제 1 지지판(52a)의 상부에 돌맹이(52c)들을 적층하여 하부로 낙하는 폐수(W)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부 지지돌기(51d)에 장착되는 제 2 여과부(53)는 상기 제 1 관통공(52b)보다 작은 제 2 관통공(53b)이 내부에 형성된 제 2 지지판(53a)과 상기 제 2 지지판(53a)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돌맹이(52c)들보다 작은 자갈(53c)들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 2 여과부(53)는 중간부 지지돌기(51d)에 제 2 지지판(53a)을 장착한 후 상기 제 2 지지판(53a)의 상부에 자갈(53c)들을 적층하여 하부로 낙하되는 폐수(W)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하부 지지돌기(51e)에 장착되는 제 3 여과부(54)는 상기 제 2 관통공(53b)보다 작은 제 3 관통공(54b)이 내부에 형성된 제 3 지지판(54a)과 상기 제 3 지지판(54a)의 상부에 쌓이는 모래(54c)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 3 여과부(54)는 하부 지지돌기(51e)에 제 3 지지판(54a)을 장착한 후 상기 제 2 지지판(54a)의 상부에 모래(54c)들을 적층하여 하부로 낙하되는 폐수(W)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슬러지(S)를 공급받아 응집제(M)와 혼합시켜 배출하는 배출수단(60)은 배출케이스(61)와, 상기 배출케이스(61)의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판(62)들과, 상기 경사판(62)과 경사판(62) 사이에 위치하는 응집제 공급기(63)와, 상기 경사판(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교반기(64)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케이스(61)의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판(62)은 상기 슬러지 배출부(34)를 통해 전달되는 슬러지(S)를 연속해서 하부로 전달하면서도 이송교반기(64)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장착된다. ㅇ때, 상기 경사판(62)의 개수는 장소와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경사판(62)과 경사판(62) 사이에 위치하는 응집제 공급기(63)는 상기 경사판(62)을 따라 이동하는 슬러지(S)에 응집제(M)를 공급하여 슬러지(S)를 고체입자로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경사판(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이송교반기(64)는 슬러지(S)와 응집제(M)의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케이스(61)의 상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공(65)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65)에는 필터망(70)이 탈·부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즉, 상기 필터망(70)은 슬러지 배출부(34)를 통해 낙하되는 슬러지(S) 중 크기가 큰 슬러지(S)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슬러지(S)가 혼합된 폐수(W)가 공급되는 호퍼(2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호퍼(20)의 하부로 상부가 개방되는 공급케이스(31)와, 상기 공급케이스(31)에 높낮이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개폐밸브(32a,33a)와 여과망(32b, 33b)이 구비된 상부 배출부(32) 및 하부 배출부(33)와, 상기 공급케이스(31)의 하부에 장착되고 적층되는 슬러지를 배출수단(60)에 전달하는 개폐밸브(34a)가 구비된 슬러지 배출부(34)로 이루어진 공급분리수단(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의 하부 및 측면으로 진동소자(40)들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의 일측으로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을 통해 공급되는 폐수(W)를 전달받는 폐수 공급공(51a)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정화를 마친 폐수(W)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공(51b)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높낮이 간격을 두고 상부 지지돌기(51c), 중간부 지지돌기(51d), 하부 지지돌기(51e)들이 형성되는 여과 케이스(51)와, 상기 상부 지지돌기(51c)에 장착되고 내부에 제 1 관통공(52b)들이 형성된 제 1 지지판(52a)과 상기 제 1 지지판(52a)의 상부에 적층되는 돌맹이(52c)들로 이루어진 제 1 여과부(52)와, 상기 중간부 지지돌기(51d)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관통공(52b)보다 작은 제 2 관통공(53b)이 내부에 형성된 제 2 지지판(53a)과 상기 제 2 지지판(53a)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돌맹이(52c)들보다 작은 자갈(53c)들로 이루어진 제 2 여과부(53)와, 상기 하부 지지돌기(51e)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관통공(53b)보다 작은 제 3 관통공(54b)이 내부에 형성된 제 3 지지판(54a)과 상기 제 3 지지판(54a)의 상부에 쌓이는 모래(54c)로 이루어진 제 3 여과부(54)로 이루어진 여과수단(5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의 하부로 배출케이스(61)와, 상기 배출케이스(61)의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판(62)들과, 상기 경사판(62)과 경사판(62) 사이에 위치한 배출케이스(61)에 장착되고 경사판(62)을 통해 전달되는 슬러지(S)에 응집제(M)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기(63)와, 상기 경사판(62)의 하부에 위치하고 슬러지(S)와 응집제(M)의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교반기(64)로 이루어진 배출수단(60)을 장착하면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10)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슬러지(S)가 혼합된 폐수(W)는 상기 호퍼(20)를 거쳐 상기 공급케이스(31)의 내부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케이스(31)의 내부에 수용된 슬러지(S)가 혼합된 폐수(W)는 공급케이스(31)의 하부 및 측면에 장착되는 진동소자(40)들에서 발생되는 초극단파를 통해서 슬러지(S)와 분리하게 된다.
즉, 슬러지(S)가 혼합된 폐수(W)는 연속적으로 가해지는 초극단파를 통해 슬러지(S)와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슬러지(S)와 분해된 폐수(W)는 상부 배출부(32)나 하부 배출부(33)를 거쳐 연결배관(80)을 통과한 후 상기 여과수단(50)의 여과 케이스(51)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폐수(W)에 혼합된 이물질은 상부 배출부(32)나 하부 배출부(33)에 구비된 여과망(32b, 33b)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 케이스(51)에 공급되는 폐수(W)는 제 1 여과부(52), 제 2 여과부(53), 제 3 여과부(54)를 순차적으로 거쳐 폐수 배출공(51b)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상기 폐수(W)는 제 1 여과부(52)의 돌맹이(52c)들과, 제 2 여과부(53)의 자갈(53c)들과, 제 3 여과부(54)의 모래(54c)를 거치면서 정화된 후 하부로 낙하되어 폐수 배출공(51b)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폐수(W)와 분리된 슬러지(S)는 슬러지 배출부(34)를 통해 배출수단(60)의 배출케이스(61)에 전달된 후, 상기 배출케이스(61)의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판(62)들을 거쳐 하부에 이송된 다음, 상기 이송교반기(6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슬러지(S)는 경사판(62)과 경사판(62) 사이에 위치한 응집제 공급기(63)를 통해 공급되는 응집제(M)와 혼합되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고체덩어리로 형성된 후 회전작동하는 이송교반기(64)의 회전작동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의 연속작동을 통해 슬러지와 폐수를 분리한 후 상기 폐수와 슬러지를 각각 여과수단과 배출수단을 통해 정화와 고체화한 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20 : 호퍼,
30 : 공급분리수단, 31 : 공급케이스,
32 : 상부 배출부, 33 : 하부 배출부,
34 : 슬러지 배출부, 40 : 진동소자,
50 : 여과수단, 51 : 여과 케이스,
52 : 제 1 여과부, 53 : 제 2 여과부,
54 : 제 3 여과부, 60 : 배출수단,
61 : 배출케이스, 62 : 경사판,
63 : 응집제 공급기, 64 : 이송교반기,
S : 슬러지, W : 폐수.

Claims (5)

  1. 슬러지(S)가 혼합된 폐수(W)가 공급되는 호퍼(20)와, 상기 호퍼(20)를 통해 공급되는 슬러지(S)가 혼합된 폐수(W)를 수용하고 하부와 측면에 장착되는 진동소자(40)들에서 발생된 초극단파를 이용하여 폐수(W)와 슬러지(S)를 분리시키는 공급분리수단(30)과, 슬러지(S)와 분리된 폐수(W)를 상기 공급분리수단(30)에서 공급받아 정화시킨 후 배출하는 여과수단(50)과,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의 하부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슬러지(S)를 공급받아 응집제(M)와 혼합시켜 배출하는 배출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은 상부가 개방되는 공급케이스(31)와, 상기 공급케이스(31)에 높낮이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개폐밸브(32a,33a)와 여과망(32b, 33b)이 구비된 상부 배출부(32) 및 하부 배출부(33)와, 상기 공급케이스(31)의 하부에 장착되고 적층되는 슬러지를 배출수단(60)에 전달하는 개폐밸브(34a)가 구비된 슬러지 배출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단(50)은,
    상기 공급분리수단(30)을 통해 공급되는 폐수(W)를 전달받는 폐수 공급공(51a)이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에는 정화를 마친 폐수(W)를 배출하는 폐수 배출공(51b)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높낮이 간격을 두고 상부 지지돌기(51c), 중간부 지지돌기(51d), 하부 지지돌기(51e)들이 형성되는 여과 케이스(51)와,
    상기 상부 지지돌기(51c)에 장착되고 내부에 제 1 관통공(52b)들이 형성된 제 1 지지판(52a)과 상기 제 1 지지판(52a)의 상부에 적층되는 돌맹이(52c)들로 이루어진 제 1 여과부(52)와,
    상기 중간부 지지돌기(51d)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관통공(52b)보다 작은 제 2 관통공(53b)이 내부에 형성된 제 2 지지판(53a)과 상기 제 2 지지판(53a)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돌맹이(52c)들보다 작은 자갈(53c)들로 이루어진 제 2 여과부(53)와,
    상기 하부 지지돌기(51e)에 장착되고 상기 제 2 관통공(53b)보다 작은 제 3 관통공(54b)이 내부에 형성된 제 3 지지판(54a)과 상기 제 3 지지판(54a)의 상부에 쌓이는 모래(54c)로 이루어진 제 3 여과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60)은,
    배출케이스(61)와,
    상기 배출케이스(61)의 내부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경사판(62)들과,
    상기 경사판(62)과 경사판(62) 사이에 위치한 배출케이스(61)에 장착되고 경사판(62)을 통해 전달되는 슬러지(S)에 응집제(M)를 공급하는 응집제 공급기(63)와,
    상기 경사판(62)의 하부에 위치하고 슬러지(S)와 응집제(M)의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외부로 배출하는 이송교반기(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케이스(61)의 상부에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공(65)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65)에는 낙하되는 슬러지(S) 중 크기가 큰 슬러지(S)를 여과할 수 있도록 필터망(70)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KR1020100024898A 2010-03-19 2010-03-19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KR10096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98A KR100964711B1 (ko) 2010-03-19 2010-03-19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98A KR100964711B1 (ko) 2010-03-19 2010-03-19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4711B1 true KR100964711B1 (ko) 2010-06-21

Family

ID=42370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98A KR100964711B1 (ko) 2010-03-19 2010-03-19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7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734B1 (ko) 2013-12-27 2014-02-20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 오니 탈수 건조 장치
US10800690B2 (en) 2016-09-26 2020-10-13 Wilmac, Inc. Portable liquid recovery system with optional preliminary processor and feed
JP7153182B2 (ja) 2019-09-30 2022-10-14 株式会社石垣 凝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濃縮装置一体型脱水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735A (ko) * 2003-12-10 2005-06-16 박재광 하폐수의 유기성슬러지 처리공정 및 그 설비
KR100928277B1 (ko) * 2009-07-24 2009-11-24 김상혁 대량의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급속건조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슬러지 급속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735A (ko) * 2003-12-10 2005-06-16 박재광 하폐수의 유기성슬러지 처리공정 및 그 설비
KR100928277B1 (ko) * 2009-07-24 2009-11-24 김상혁 대량의 슬러지를 처리하기 위한 급속건조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한 슬러지 급속건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734B1 (ko) 2013-12-27 2014-02-20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 오니 탈수 건조 장치
US10800690B2 (en) 2016-09-26 2020-10-13 Wilmac, Inc. Portable liquid recovery system with optional preliminary processor and feed
JP7153182B2 (ja) 2019-09-30 2022-10-14 株式会社石垣 凝集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濃縮装置一体型脱水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6026B1 (en) Recovery device and recovery method for recovering specific material from sludge
CA2909523C (en) Dynamic dewatering system
KR100964711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슬러지 탈수장치
US3570670A (en) Apparatus for treating muddy water
CN106830594B (zh) 污泥处理系统
US7318527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organic material from inorganic material
US6926465B1 (en) Remediation system
KR20090093772A (ko) 하수 종합 전처리장치
CN101952015A (zh) 废水处理设备和处理废水的方法
CN108409073A (zh) 通沟污泥处理方法
JP3146280B2 (ja) 濁水処理装置
US3317047A (en) Sewage disposal system
KR100729952B1 (ko)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용 여과 스크린
JP2007021303A (ja) 汚水浄化装置
KR100574674B1 (ko) 스크류식 고액 분리장치
KR20020096274A (ko) 준설토의 모래선별 및 세척수 정수시스템
JP2000342991A (ja) 細粒化処理方法
KR200313445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CN112243393B (zh) 固体废物的有机物生成高质量分解物的厌氧分解
JP2007021304A (ja) 汚水浄化装置
KR100403796B1 (ko) 협잡물 종합처리이송방법
JP2004025129A (ja) スクリュー式濾過脱水装置
KR101094321B1 (ko) 연속여과방식을 이용한 준설토의 토질개량방법
JPH11333208A (ja) 泥水処理装置
JP2002331395A (ja) スクリュープレス式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