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615Y1 - 협잡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협잡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615Y1
KR200344615Y1 KR20-2003-0038460U KR20030038460U KR200344615Y1 KR 200344615 Y1 KR200344615 Y1 KR 200344615Y1 KR 20030038460 U KR20030038460 U KR 20030038460U KR 200344615 Y1 KR200344615 Y1 KR 200344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suspended matter
waste water
out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3-0038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6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61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61Positive-displacement pumps; Screw feeders; Trough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협잡물 처리장치는 폐수가 투입되는 제1탱크와 침사된 협잡물을 분리하기 위한 제2탱크를 상호 연통하게 하고, 상기 제2탱크의 침사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협잡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초기에 투입되는 폐수 내의 부유물을 분리하는 스크린분리기(3)가 폐수가 투입되는 제1탱크(1)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분리기(3)에 의해 분리된 부유물을 압축하여 외부로 배출함과 더불어 부유물에 함유된 폐수를 제1탱크(1)로 배출하는 스크류프레스(4)가 스크린분리기(3)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제2탱크(2) 내의 폐수에 섞여있는 침사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5)가 상기 제2탱크(2) 내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탱크(2) 내에서 상기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5)에 의해 이송된 침사를 외부로 배출함과 더불어 침사에 함유된 폐수를 상기 제2탱크(2)로 배출하는 침사스크류프레스(6)가 상기 제2탱크(2)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스크린분리기로 폐수 내의 부유물을 분리하기 때문에 부유물의 처리 속도를 증대하면서 부유물의 분리 능력을 향상하게 되며, 부유물과 모래에 함유된 폐수를 다시 제1탱크, 제2탱크로 리턴하기 때문에 하수 등에 섞여있는 부유물과 모래 등의 협잡물을 용이하게 분리 배출하게 되며, 부유물과 모래에 함유된 폐수의 양을 줄이기 때문에 하수 등에 섞여있는 협잡물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하게 되는 등이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협잡물 처리장치{SEPARATOR OF REMNANT IN WASTEWATER}
본 고안은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 등에 섞여있는 협잡물에 따라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협잡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이나 가정에서 발생되는 쓰레기의 침출수, 하수, 오수 및 분뇨 등은 많은 양의 협잡물을 함유하고 있어 그대로 매립 처리하게 되면 토양을 오염하게 되어, 하수 등에 섞여있는 모래, 협잡물 등과 같은 잔존물을 별도로 분리 처리한 뒤, 정화설비로 정화되어 하천 등으로 방류하여 환경의 오염을 줄이게 된다.
여기서 하수 등에 섞여있는 협잡물을 협잡물 처리장치로 처리하게 되는 바, 종래의 협잡물 처리장치는 제20-1999-16933호로 출원하여 등록되었으며, 이는 제1탱크와 제2탱크를 일체로 구성한 뒤, 스크류 형상의 부유물제거기에 구비된 탈수부로 부유물을 여과하여 부유물을 퇴출함과 더불어 탈수된 부유물을 제1탱크로 유입하고, 제1탱크로 유입된 폐수는 제2탱크로 유입되어 수평스크류와 이송스크류에 의해 제2탱크 내의 모래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협잡물 처리장치는 스크류 형상의 부유물제거기에 폐수를 투입할 때, 부유물제거기에 구비된 탈수부가 폐수의 진행 방향을 가로막기 때문에 폐수를 처리하는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탈수부의 구멍을 통하여 많은 양의 부유물이 그대로 제1탱크와 제2탱크에 유입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유물의 분리 능력을 향상하기 위하여 탈수부의 구멍을 좁게 하면 부유물제거기로 부유물을 처리하는 능력을 향상되나 폐수의 처리 속도가 매우 느려지는 것이다.
더우기 종래의 협잡물 처리장치는 제2탱크에 구비된 이송스크류로 모래를 그대로 이송하기 때문에, 모래와 함께 폐수가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유물의 처리 속도를 증대하면서 부유물의 분리 능력을 향상함과 더불어 모래와 함께 이송되는 폐수를 다시 탱크로 리턴함으로써 하수 등에 섞여있는 부유물과 모래 등의 협잡물을 용이하게 분리 배출함과 더불어 하수 등에 섞여있는 협잡물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폐수가 투입되는 제1탱크와 침사된 협잡물을 분리하기 위한 제2탱크를 상호 연통하게 하고, 상기 제2탱크의 침사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협잡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초기에 투입되는 폐수 내의 부유물을 분리하는 스크린분리기가 폐수가 투입되는 제1탱크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부유물을 압축하여 외부로 배출함과 더불어 부유물에 함유된 폐수를 제1탱크로 배출하는 스크류프레스가 스크린분리기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제2탱크 내의 폐수에 섞여있는 침사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가 상기 제2탱크 내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탱크 내에서 상기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침사를 외부로 배출함과 더불어 침사에 함유된 폐수를 상기 제2탱크로 배출하는 침사스크류프레스가 상기 제2탱크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협잡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협잡물 처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협잡물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협잡물 처리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협잡물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제1,2탱크
3 : 스크린분리기
4 : 스크류프레스
5 :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
6 : 침사스크류프레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협잡물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협잡물 처리장치는 하수, 오수, 분뇨 및 쓰레기 침출수 등으로부터 모래, 씨앗, 스컴 등과 같은 협잡물을 분리 배출하고, 협잡물이 분리된 폐수는 별도로 구비된 폐수 정화처리장치로 정화 처리하게 된다.
상기 협잡물 처리장치는 폐수가 투입되는 제1탱크(1)와 침사된 협잡물을 분리하기 위한 제2탱크(2)를 상호 연통하게 하고, 상기 제2탱크(2)의 침사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협잡물 처리장치는 폐수가 투입되는 제1탱크(1)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스크린분리기(3), 상기 스크린분리기(3)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스크류프레스(4), 상기 제2탱크(2) 내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5), 상기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5)의 출구측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탱크(2)에 삽입 설치되는 침사스크류프레스(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분리기(3)는 초기에 투입되는 폐수 내의 부유물을 분리하게 되며, 이는 상호 나란하게 이격된 다수의 스크린로터(3a)의 둘레면에 폐수의 부유물이 걸치고, 상기 스크린로터(3a)의 출구측에 맞물리도록 상호 나란하게 이격된 다수의 분리판(3b)에 의해 상기 스크린로터(3a)에 걸려있는 부유물이 상기 분리판(3b)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스크류프레스(4)에 투입되고, 상기 스크린로터(3a)와 분리판(3b)이 모터(3c)에 의해 동력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프레스(4)는 상기 스크린분리기(3)에 의해 분리된 부유물을 압축하여 외부로 배출함과 더불어 부유물에 함유된 폐수를 상기 제1탱크(1)로 배출하게 되는 바, 이는 모터(4a)의 동력으로 회전되는 스크류(4b)를 보유하여 상기 스크린분리기(3)에서 유출되는 부유물을 압축하여 최종적으로 부유물에 남아있는 폐수를 짜내면서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5)는 모터(5a)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5b)가 상기 제2탱크(2)의 내부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2탱크(2) 내의 폐수에 섞여있는 침사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침사스크류프레스(6)는 상기 제2탱크(2) 내에서 상기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5)에 의해 이송된 침사를 외부로 배출함과 더불어 침사에 함유된 폐수를 짜내서 상기 제2탱크(2)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사스크류프레스(6)는 모터(6a)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6b)가 본체(6c)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다수의 여과공(6d)을 부유한 여과부재(6e)가 상기 본체(6c)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재(6e)의 여과공(6d)를 통과한 폐수를 상기 제2탱크(2)로 안내하는 폐수안내부재(6f)가 상기 여과부재(6e)의 둘레면을 감싸서 상기 본체(6c)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6b)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여과부재(6e)의 내부를 지나가는 침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6g)가 상기 폐수안내부재(6f)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여과부재(6e)의 여과공(6d)의 크기는 폐수의 통과를 허용할 정도의 크기이면서 침사의 통과를 방해하는 크기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한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모래, 씨앗, 스컴 등과 같은 협잡물이 함유된 폐수를 제1탱크(1)의 입구를 통하여 스크린분리기(3)에 투입하면 스크린로터(3a)의 간격보다 큰 입경을 보유한 부유물이 스크린분리기(3)의 스크린로터(3a)의 원주상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스크린로터(3a)를 통과한 폐수가 제1탱크(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로터(3a)의 둘레면에 걸쳐진 부유물이 스크린분리기(3)의 잔존물분리판(3b)에 의하여 분리되어 스크류프레스(4)로 투입된다.
상기 스크류프레스(4)에 투입된 부유물은 스크류프레스(4)에 의해 압축되어 외부로 배출되며, 부유물 내의 폐수는 제1탱크(1)로 유입되며, 상기 제2탱크(1)로 유입된 폐수는 제2탱크(2)로 흐르게 된다.
상기 제2탱크(2)에 유입된 폐수에는 다량의 침사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 폐수 내의 침사는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5)에 의해 제2탱크(2) 내의 한쪽으로 이송되어 모이게 되며, 상기 제2탱크(2) 내의 한쪽에 모여있는 침사는 침사스크류프레스(6)에 의해 외부로 이송된다.
물론 상기 제2탱크(2)에서 침사가 모이는 곳은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음이 바람직하며, 상기 침사스크류프레스(6)의 입구가 이곳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아무튼 상기와 같이 제2탱크(2)의 침사는 한쪽으로 모이게 되며, 한쪽으로 모여진 침사는 침사스크류프레스(6)에 의해 상측을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되기 직전, 침사에 함유된 폐수가 여과부재(6e)의 여과공(6d)을 통과하여 폐수안내부재(6f)를 통하여 제2탱크로 리턴된다.
물론 침사는 침사스크류프레스(6)에 구비된 배출구(6g)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협잡물 처리장치는 스크린분리기로 부유물을 쉽게 분리하게 된다.
또한 부유물에 섞여있는 폐수를 부유물과 함께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다시 제1탱크로 리턴함과 더불어 침사에 함유된 폐수도 제2탱크로 리턴하여 협잡물이 제거된 폐수만을 외부로 분리 배출하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에 의한 협잡물 처리장치는 폐수 내에 함유된 협잡물을 단계적으로 용이하게 분리 처리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협잡물 처리장치는 스크린분리기로 폐수 내의 부유물을 분리하기 때문에 부유물의 처리 속도를 증대하면서 부유물의 분리 능력을 향상하게 되며, 부유물과 모래에 함유된 폐수를 다시 제1탱크, 제2탱크로 리턴하기 때문에 하수 등에 섞여있는 부유물과 모래 등의 협잡물을 용이하게 분리 배출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부유물과 모래에 함유된 폐수의 양을 줄이기 때문에 하수 등에 섞여있는 협잡물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분리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폐수가 투입되는 제1탱크와 침사된 협잡물을 분리하기 위한 제2탱크를 상호 연통하게 하고, 상기 제2탱크의 침사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협잡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초기에 투입되는 폐수 내의 부유물을 분리하는 스크린분리기(3)가 폐수가 투입되는 제1탱크(1)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분리기(3)에 의해 분리된 부유물을 압축하여 외부로 배출함과 더불어 부유물에 함유된 폐수를 제1탱크(1)로 배출하는 스크류프레스(4)가 스크린분리기(3)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제2탱크(2) 내의 폐수에 섞여있는 침사를 한쪽 방향으로 이송하는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5)가 상기 제2탱크(2) 내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탱크(2) 내에서 상기 침사이송스크류컨베이어(5)에 의해 이송된 침사를 외부로 배출함과 더불어 침사에 함유된 폐수를 상기 제2탱크(2)로 배출하는 침사스크류프레스(6)가 상기 제2탱크(2)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크린분리기(3)는 상호 나란하게 이격된 다수의 스크린로터(3a)의 둘레면에 폐수의 부유물이 걸치고, 상기 스크린로터(3a)의 출구측에 맞물리도록 상호 나란하게 이격된 다수의 분리판(3b)에 의해 상기 스크린로터(3a)에 걸려있는 부유물이 분리되어 상기 스크류프레스(4)에 투입되고, 상기 스크린로터(3a)와 분리판(3b)이 모터(3c)에 의해 동력 회전되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침사스크류프레스(6)는 모터(6a)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6b)가본체(6c)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다수의 여과공(6d)을 부유한 여과부재(6e)가 상기 본체(6c)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여과부재(6e)를 통과한 폐수를 제2탱크(2)로 안내하는 폐수안내부재(6f)가 상기 여과부재(6e)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상기 본체(6c)와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6e)의 내부를 지나가는 침사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6g)가 상기 폐수안내부재(6f)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협잡물 처리장치.
KR20-2003-0038460U 2003-12-10 2003-12-10 협잡물 처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344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460U KR200344615Y1 (ko) 2003-12-10 2003-12-10 협잡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460U KR200344615Y1 (ko) 2003-12-10 2003-12-10 협잡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615Y1 true KR200344615Y1 (ko) 2004-03-16

Family

ID=4942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460U Expired - Fee Related KR200344615Y1 (ko) 2003-12-10 2003-12-10 협잡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61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654B1 (ko) 2004-12-17 2006-11-10 박성덕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KR101192856B1 (ko) 2010-12-31 2012-10-18 (주)엔탑스 하폐수의 협잡물 처리기
JP2021062357A (ja) * 2019-10-11 2021-04-22 株式会社industria 微細物除去システム及び微細物除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654B1 (ko) 2004-12-17 2006-11-10 박성덕 하수 및 오수 처리장의 침사처리시스템
KR101192856B1 (ko) 2010-12-31 2012-10-18 (주)엔탑스 하폐수의 협잡물 처리기
JP2021062357A (ja) * 2019-10-11 2021-04-22 株式会社industria 微細物除去システム及び微細物除去装置
JP7432888B2 (ja) 2019-10-11 2024-02-19 株式会社industria 微細物除去システム及び微細物除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7388B1 (ko) 응집을 이용한 폐수중의 슬러지 분리장치
KR200344615Y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100797564B1 (ko) 진공흡입식 스컴제거장치
CN210559728U (zh) 一种工业污水处理用固液分离装置
CN112456742A (zh) 一种淤泥处理系统及方法
KR20120091553A (ko) 폐수처리용 고액분리장치, 스크루 탈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0724778B1 (ko) 오폐수처리장치
KR100986634B1 (ko) 오폐수 전처리장치
CN110950505A (zh) 一种智能模块化水处理设备
CN205740574U (zh) 撬装式含油污水处理装置
CN112243393A (zh) 固体废物的有机物生成高质量分解物的厌氧分解
KR100303255B1 (ko) 협잡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346465Y1 (ko)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KR101066444B1 (ko) 미세 협잡물 처리장치
CN211570297U (zh) 一种工业废水过滤吸附处理装置
CN212222719U (zh) 一种清洗液自动过滤处理设备
KR0155031B1 (ko) 토사 및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CN219636111U (zh) 一种具有预分离功能的污水固液输送组件
KR200256320Y1 (ko)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
KR200256319Y1 (ko) 폐수의 잔존물 분리장치
CN215559591U (zh) 一种用于有机废水的电絮凝除污系统
KR101885134B1 (ko) 폐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JP3759811B2 (ja) 屎尿・浄化槽汚泥からの除砂装置と同装置を備えた屎尿・浄化槽汚泥処理設備
KR200220293Y1 (ko) 축산농가의 배출물 여과장치
KR20040065196A (ko) 분뇨, 하수, 축산 폐수 등의 전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1210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30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121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3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209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