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195B1 -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195B1
KR100963195B1 KR1020090089516A KR20090089516A KR100963195B1 KR 100963195 B1 KR100963195 B1 KR 100963195B1 KR 1020090089516 A KR1020090089516 A KR 1020090089516A KR 20090089516 A KR20090089516 A KR 20090089516A KR 100963195 B1 KR100963195 B1 KR 100963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sludge treatment
unit
plates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양원
Original Assignee
(주)오에치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에치케이 filed Critical (주)오에치케이
Priority to KR102009008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the arrival of the mixture to be filtered and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d mixture are situat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판들 사이에서 유동 운동하는 유동판들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통형 구조의 스크린 구조물로 구성하는 제1슬러지 처리부와,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에 대하여 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제1슬러지 처리부를 통과한 슬러지를 처리하고, 고정판들 사이에서 유동 운동하는 유동판들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통형 구조의 스크린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2슬러지 처리부와, 내부로 슬러지가 통과하도록 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와 제2슬러지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제1슬러지 처리부와 제2슬러지 처리부를 분해하여 간편하게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89516
농축, 탈수, 고정판, 유동판, 분리, 연결, 스페이서, 스크린, 슬러지

Description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Moving-plates type sludge disposal device having separable structure}
본 발명은 하폐수 처리시에 발생하는 슬러지를 농축하거나 탈수 처리하는 슬러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러지 처리 장치는 슬러지 농축기와 슬러지 탈수기가 있는데, 슬러지 농축기는 탈수 설비 전단계에 설치하여 슬러지에 함유된 전고형분(TS, total solid) 함유율을 높이기 위한 장치이고, 슬러지 탈수기는 농축기를 통과한 슬러지에 기계적 압력을 가하여 압착, 탈수하여 슬러지와 수분을 분리해내는 장치이다.EH
이러한 슬러지 처리 장치의 슬러지 농축 및 탈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고, 최근에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장치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는 크게 스크류를 이용하여 유동판을 움직이면서 슬러지를 처리하는 방식과 편심축을 이용하여 유동판을 움직이면서 슬러지를 처리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도 1은 편심축을 이용한 슬러지 처리 장치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슬러지 처리 장치는, 케이싱(3)이 복수로 나누어져 일체로 조립되어 구성되고, 케이싱(3)내에는 고정판(10)과 유동판(12)이 고정판축(20)과 유동판축(22)에 각각 끼워짐으로써 원통 구조를 이루며, 고정판(10)과 유동판(12)의 조립체의 내부 원통 공간부(14)에는 스크류(30)가 설치된다.
고정판(10)이 끼워지는 고정판축(20)은 양측단부가 케이싱(3)에 고정 결합되며, 유동판(12)이 끼워진 유동판축(22)도 양측단부가 케이싱(3)에 지지되게 결합되는데, 이 유동판축(22)은 편심축(40)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 운동할 수 있도록 케이싱(3)에 결합된다.
특히, 상기 고정판(10)들 사이에는 유동판(12)이 유동 운동하는 동시에 여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간극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미도시)가 구비된다.
편심축(40)은 앞측에 동력전달을 위한 기어(42)가 설치되고, 이 케이싱(3)에 설치된 베어링(44)들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편심축(40)은 유동축(22)의 외측 근접부에 각각 설치되고, 특히 중심축부와 다른 축심을 갖는 캠역할을 하는 편심축부(40a)가 형성되며, 이 편심축부(40a)와 유동축(22)간에는 편심전달부재(46)가 설치되어 편심축(40)이 회전시 근접 설치된 유동축(22)이 유동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된다.
도 1에서 참조 번호 47은 구동 모터이고, 48은 편심축(40)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나타낸다.
도 1에 예시된 슬러지 처리 장치는 편심축(40)이 유동판(12)에 직접 결합되 지 않고, 유동판(12)의 바깥쪽에 별도로 위치되어 있으나, 편심축(40)이 유동판(12)에 직접 끼워진 구성을 갖는 슬러지 처리 장치도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슬러지 처리 장치는, 용량이 대용량화 되어감에 따라 전체적인 크기 및 길이가 커지고 있지만, 모두 하나의 고정축 또는 편심축 등에 연결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점검 및 보수가 필요할 경우에 전체를 분해하여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실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성 및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농축부(제1슬러지 처리부)와 탈수부(제2슬러지 처리부)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간편하게 분해하여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실행할 수 있고, 장치의 유지 보수비용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는, 고정판들 사이에서 유동 운동하는 유동판들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통형 구조의 스크린 구조물로 구성하는 제1슬러지 처리부와,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에 대하여 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제1슬러지 처리부를 통과한 슬러지를 처리하고, 고정판들 사이에서 유동 운동하는 유동판들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통형 구조의 스크린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2슬러지 처리부와, 내부로 슬러지가 통과하도록 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와 제2슬러지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의 고정판들을 연결하는 고정축과 상기 제2슬러지 처리부의 고정판들을 연결하는 고정축은 서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 및 제2슬러지 처리부의 유동판들을 연결하여 유동 운동시키는 편심축은 하나 의 축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연결부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는 슬러지 속에 함유된 여액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농축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슬러지 처리부는 상기 농축부를 통과한 슬러지 속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는 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 통체와, 이 연결 통체의 양쪽에 구비되어 제1슬러지 처리부와 제2슬러지 처리부에 각각 조립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의 연결 통체에는,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와 제2슬러지 처리부의 상측에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1 및 제2슬러지 처리부를 청소할 수 있는 세척 파이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의 고정판들 사이에는, 상기 유동판들이 유동 운동함과 아울러 여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간극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들이 구비되되, 이 스페이서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간극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형 구조를 갖는 가변형 스페이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는, 농축부(제1슬러지 처리부)와 탈수부(제2슬러지 처리부)가 직렬로 연결되면서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간편하게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실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슬러지(또는 폐수) 처리 장치가 대용량화 되어감에 따라, 탈수부가 슬러지 내압 등에 의해 관리 필요성이 높아지게 되는바, 탈수부를 농축부와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탈수부의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할 경우에, 농축부로부터 분리한 후에 간편하게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실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가인 슬러지 처리 장치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부품을 교체함으로써 유지 보수비용을 줄여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슬러지 인입부 및 농축부와 탈수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등에 드레인 밸브가 설치되기 때문에 스크린 구조물 내에 잔존하는 슬러지 등의 청소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린 구조물의 상부에 세척 파이프가 설치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스크린 구조물의 상부에 쌓인 슬러지 등의 퇴적물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다. 참고로 도 2에서 스크린 구조물(100)을 구성하는 고정판(120), 유동판(130), 스페이서(150) 등의 적층 구조를 도시함에 있어, 도시의 편의를 위해 일부분만 나타내었고, 나머지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는, 농축부(101)(102)와 탈수부(105)가 함께 구성된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2의 우측으로부터 슬러지 인입부(110), 제1농축부(101), 제2농축부(102), 연결부(104), 탈수부(105), 슬러지 배출부(117) 순으로 배치된다.
제1농축부(101), 제2농축부(102), 탈수부(105)는 고정판(120)과 유동판(130)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의 스크린 구조물(100)을 구성하고, 연결부(104)는 제2농축부(102)와 탈수부(105)를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는, 슬러지 인입부(110)로 유입된 폐수 및 슬러지가 제1농축부(101), 제2농축부(102)를 통과할 때 슬러지에 포함된 여액을 대부분 걸러내고, 탈수부(105)를 통과할 때 대부분의 수분을 제거한 후에, 슬러지 배출부(117)를 통해서, 고형화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도 2에서 참조 번호 160은 구동 모터이고, 참조 번호 170은 상기 제1농축부(101), 제2농축부(102), 연결부(104), 탈수부(105) 내에 길게 삽입되어 슬러지를 슬러지 인입부(110) 쪽에서 슬러지 배출부(117) 쪽으로 이동시키는 스크류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 번호 125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할 고정판(120)들을 상호 고정 시키는 고정축을 나타내고, 참조 번호 135는 상기 구동모터(160)의 회전력에 전달받아 유동판(130)을 유동시키는 편심축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 부분을 도면을 참조하여 차례로 설명한다.
슬러지 인입부(110)는 화학 처리를 시행한 폐수 또는 슬러지가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전체적으로 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부에 슬러지 유입구(112)가 위치되고, 측면은 제1농축부(101)로 안쪽으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또한 슬러지 인입부(110)의 한 쪽 끝단에는 스크류 축(171)을 지지하는 베어링 지지체(113)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내부 청소를 위한 드레인 밸브(115)가 설치된다.
제1농축부(101), 제2농축부(102), 탈수부(105)를 구성하는 스크린 구조물(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농축부(101), 제2농축부(102), 탈수부(105)의 기본 구성은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함께 설명하고, 다른 구성 부분에 대해서만 추가로 설명한다.
제1농축부(101), 제2농축부(102), 탈수부(105)는,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스크린 구조물(100)을 이루게 되는데, 도 2의 상세도를 참조하면,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 링 구조를 갖는 고정판(120)과 유동판(130)이 교대로 배치되고, 고정판(120)과 고정판(120) 사이에는 유동판(130)이 움직일 수 있도록 스페이서(150)가 배치된다.
그리고, 고정판(120)들은 고정축(125)을 통해서 상호 고정되고, 유동판(130)들은 편심축(135)에 끼워진 상태에서 편심축(135)의 회전에 따라 고정판(120)들 사이에서 유동하면서 고정판(120)과의 틈새로 슬러지가 끼지 않도록 하면서 슬러지에 함유된 여액의 배출을 돕게 된다.
이와 같은 고정판(120)과 유동판(130)을 포함한 스크린 구조물(10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고정판(120)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120)은 내부에 스크류(170)가 위치되는 동시에 슬러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링형 구조로 형성되고, 외측에는 3곳에 120도 간격으로 축 고정부(12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물론 축 고정부(122)에는 고정축(125)이 끼워지는 홀(123)이 형성되어 고정축(125)이 관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축 고정부(122)의 개수 및 간격, 그리고 그 형상은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고정축(1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축형 구조로 형성되고 양단부에 고정 너트(127)를 체결할 나사부(12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축(12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스크린 구조물(100)의 양쪽에 위치된 사이드 판(140)에 고정 너트(127)들이 체결함으로써 고정판(120)들을 연속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유동판(130)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역시 링형 구조로 형성되고, 양 쪽에는 편심축(135)이 끼워지도록 축 관통부(132)가 형성된다. 이때 축 관통부(132)는 상기 고정판(120)의 고정축(125)과 편심축(135)이 상호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유동판(130)의 상부 양쪽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도 6은 편심축(135)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편심축(135)은 2중 축 구조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예시한다. 즉, 편심부(137)가 구비되어 편심운동을 발생시키는 편심주축(136)과, 이 편심주축(136)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유동판(130)의 축 관통부(132)에 삽입되어 편심주축(136)의 편심 운동력을 전달하는 편심 부싱(138)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2중축 구조를 갖는 편심축(135)은 편심주축(136)이 직접 유동판(130)의 축 관통부(132)에 접촉하지 않고 편심 부싱(138)을 통해서 접촉하기 때문에 유동판(130)에 편심 운동을 전달할 때 편심 부싱(138)이 베어링 기능을 함으로써 미끄럼 마찰을 최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동판(130)과 편심축(135) 사이의 마모 발생을 최소화하여 유동판(130)이 보다 원활하게 유동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편심주축(136)과 편심 부싱(138) 사이의 마찰 저항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편심주축(136)과 편심 부싱(138) 사이에 베어링(139)을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편심축(135)을 구동하는 장치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구동 모터(160)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축(171)에 상기 편심축(135)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세트를 설치한다. 도면에서 기어 세트는 스크류 축(171)에 구비된 메인 기어(161)와 이 기어(161)에 치합되어 편심주축(136)을 회전시키는 편심 기어(163)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 예시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편심 기어 대신에 캠 기어를 설치하여, 캠 기어의 움직임에 의해 편심주축(136)이 편심 운동을 하면서 편심 운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서 참조 번호 165는 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들을 나타낸다.
도 7은 스페이서(15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고정판 및 유동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원형 링 구조로 형성되어, 고정판(120)의 축 고정부(122)들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판(120)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고정판(120)들 사이에서 유동판(130)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스페이서(150)는 대략 와셔형 구조로 형성되어, 고정판(120) 사이사이에서 고정축(125)에 끼워져 조립된다(도 2 상세도 참조).
일반적으로, 도 7에서와 같은 평면형 구조를 갖는 스페이서(150)를 사용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스크린 구조물(100)의 일부 구간 또는 전체 구간에 처리 대상물의 성상에 따라 여액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변형 스페이서(150A)를 적용할 수 있다.
가변형 스페이서(150A)에 관하여 설명한다.
가변형 스페이서(150A)는 기본적으로 고정판(120)들 사이의 간격(또는 간극)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은 가변형 스페이서(150A)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에 도시된 스페이서(150)와는 달리 접시형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한 스크린 구조물(100)을 통해 농축 및 탈수되는 슬러지의 성상에 따라 고정판(1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슬러지 농축 효율 및 탈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농축부(101), 제2농축부(102), 탈수부(105)가 차례로 구성된 경우에는 제1농축부(101)에 가변형 스페이서(150A)를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1농축부(101)에서 슬러지 인입부(110)를 통해서 유입된 슬러지에 함유된 대부분의 물이 배출되는데, 이때 오수, 폐수, 축산, 침출수 등의 슬러지의 성상의 특이성 또는 다양한 성질의 폴리머에 따라, 제1농축부(101)에서 수분이 배출되는 간극을 조절함으로써 제1농축부(101)의 최적의 수분 배출 조건을 설정하여 전체적으로 슬러지 처리 장치의 최적의 성능 달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고정판(120)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해 두께가 다른 스페이서(150)를 교체하여 사용하였지만, 고정판(120) 사이의 스페이서(150)를 교체하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투입됨과 아울러, 효과적으로 간극을 조절하기도 쉽지 않았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가변형 스페이서(150A)를 사용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가변형 스페이서(150A)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고정판(120) 사이의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와 도 10에서와 같이, 고정판(120)들 사이에 접시형 구조를 갖는 가 변형 스페이서(150A)를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축(125) 양단부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127)의 체결 위치(조임량)를 변화시키게 되면(도 2 참조), 가변형 스페이서(150A)가 압축되거나 벌어지기 때문에 간편하게 고정판(120)들 사이의 간격을 원하는 간격만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상대적으로 작은 간극(G1) 상태로 조절된 구조를 보여주고, 도 10은 상대적으로 큰 간극(G2) 상태로 조절된 구조를 보여준다.
또한 도 11은 고정판(120)들 사이에 한 쌍의 가변형 스페이서(150A)를 서로 마주하게 설치한 구조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변형 스페이서(150A)에 대하여, 접시형 구조를 갖는 와셔형 스페이서(150)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두 고정판(120)들 사이에서 탄성을 가지면서 간극(G)을 조절하고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례로, 스페이서(150)에 돌출된 다수의 탄성 돌기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와셔가 아닌 부분적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판 스프링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 다양한 공지의 스프링 구조물을 이용하여 가변형 스페이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가변형 스페이서(150A)를 이용한 고정판(120) 사이의 간극(G) 조절은,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한 후에 시운전 하는 과정에서, 처리 폐수 및 슬러지, 그리고 폴리머 등의 특성을 감안하여 고정 너트(127; 도 2 참조)의 조임량을 변화시키면서 적절하게 조절하여 세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농축부(101)에만 적용한 구성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제2농축부(102) 또는 탈수부(105) 등에 함께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상기 제1농축부(101), 제2농축부(102), 탈수부(105)로 연결되는 스크린 구조물(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부(117; 도 2 참조) 쪽으로 밀어내는 스크류(170)를 보여준다.
통상의 스크류(170)와 같이 스크류 축(171)과 스크류 날개(173)로 이루어지고,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판(130)의 유동 운동을 편심축(13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편심축(135)이 아닌 스크류 날개(173)의 접촉에 의해 유동판(130)이 편심 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 및 도 14는 상기한 제2농축부(102)와 탈수부(105) 사이의 연결부(104)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연결부(10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 통체(181)와, 이 연결 통체(181)의 양쪽에 구비되어 제2농축부(102)와 탈수부(105)에 조립되는 플랜지부(183)가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 통체(181)는 그 내경이 고정판(120)과 유동판(130)의 내경의 크기와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부(183)는, 도 14를 참고하면, 원판형 링 구조로 형성되는데, 고정축(125)들이 통과하는 홀(184)들이 형성되고, 상부 양쪽에는 편심축(135)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삭제된 부분(186)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농축부(102)와 탈수부(105)를 연결부(104)를 이용하여 연결되게 구성하는 이유는, 슬러지(또는 폐수) 처리 장치가 대용량화 되어감에 따라, 탈수부(105)가 슬러지 내압 등에 의해 관리 필요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농축부와 분리하여 구성함으로써, 탈수부(105)의 점검 및 관리가 필요할 경우에, 상기 연결부(104)를 통해 농축부로부터 분리한 후에 간편하게 점검 및 유지 보수를 실행하기 위해서이다.
이는 슬러지 처리 장치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에 보수 및 부분 교체가 필수적인 바, 본 발명에서와 같이 농축부와 탈수부 사이에 연결부(104)를 구성함으로써 고가인 장비의 분해 점검의 용이성을 높임과 아울러, 경제성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도 2를 참고하면, 제2농축부(102)와 탈수부(105)의 고정축(125)은 서로 완전히 분리된 구조로 배치하고, 편심축(135)은 중간 부분에 커플러(166) 등을 이용하여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통체(181)의 하부 쪽에 드레인 밸브(115)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 밸브(115)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러지 인입부(1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 밸브(115)의 설치 이유는, 슬러지 처리 장치를 운용함에 있어서 점검 및 기타 사유로 인하여, 농축부(101)(102) 또는 탈수부(105)로 이루어진 스크린 구조물(100) 내부에 쌓여 있는 슬러지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이때 종래에는 압력판(168)을 열고 내부 슬러지를 일부 배출한 후에, 스크류(170)를 역회전시켜 나머지 내부 슬러지를 배출함으로써 슬러지 배출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스크린 구조물(100)의 시작 부분 또는 중간부분에 드레인 밸브(115)를 설치하는 경우에 드레인 밸브(115)를 통해 슬러지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점검 시간이 단축되고 내부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드레인 밸브(115)와 함께, 농축부 및 탈수부(105)로 이루어진 스크린 구조물(100)의 상부에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구조물(100)을 청소할 수 있는 세척 파이프(200)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세척 파이프(200)는 주 공급관(201)과, 이 주 공급관(201)에서 분기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각각의 세척 분사구(2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세척 분사구(205)는 스크린 구조물(100)의 상부 양측에 유동판(130)에서 편심축(135)이 끼워지는 축 관통부(132)가 돌출되어 있어 이 돌출된 부분의 상부에 슬러지가 쌓이게 되므로, 돌출된 부분쪽으로 집중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양쪽으로 분기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세척 파이프(200)는 상기 드레인 밸브와 함께 본 발명의 슬러지 처리 장치의 청소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스크린 구조물(100)의 끝단부에는 슬러지 배출부(117)가 구비되는데, 이때 슬러지 배출부(117)를 통해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대부분의 수분이 탈수되어 어느 정도 고형화된 상태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농축 및 탈수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슬러지 처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농축 장치나 탈수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슬러지 처리 장치의 일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축을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판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축을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를 보인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스페이서의 일례를 보인 정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간극 조절 상태를 보인 일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간극 조절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스페이서를 이용한 간극 조절 상태를 보인 또 다른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의 플랜지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에 세척 파이프가 설치된 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Claims (6)

  1. 고정판들 사이에서 유동 운동하는 유동판들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통형 구조의 스크린 구조물로 구성하는 제1슬러지 처리부와,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에 대하여 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제1슬러지 처리부를 통과한 슬러지를 처리하고, 고정판들 사이에서 유동 운동하는 유동판들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통형 구조의 스크린 구조물을 구성하는 제2슬러지 처리부와, 내부로 슬러지가 통과하도록 통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와 제2슬러지 처리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의 고정판들을 연결하는 고정축과 상기 제2슬러지 처리부의 고정판들을 연결하는 고정축은 서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 및 제2슬러지 처리부의 유동판들을 연결하여 유동 운동시키는 편심축은 하나의 축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연결부 내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의 고정판들 사이에는, 상기 유동판들이 유동 운동함과 아울러 여액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간극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들이 구비되되, 이 스페이서들 중 적어도 일부는 간극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형 구조를 갖는 가변형 스페이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는 슬러지 속에 함유된 여액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농축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슬러지 처리부는 상기 농축부를 통과한 슬러지 속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통형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 통체와, 이 연결 통체의 양쪽에 구비되어 제1슬러지 처리부와 제2슬러지 처리부에 각각 조립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연결 통체에는, 슬러지를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밸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슬러지 처리부와 제2슬러지 처리부의 상측에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1 및 제2슬러지 처리부를 청소할 수 있는 세척 파이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6. 삭제
KR1020090089516A 2009-09-22 2009-09-22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KR100963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516A KR100963195B1 (ko) 2009-09-22 2009-09-22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9516A KR100963195B1 (ko) 2009-09-22 2009-09-22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195B1 true KR100963195B1 (ko) 2010-06-14

Family

ID=42369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9516A KR100963195B1 (ko) 2009-09-22 2009-09-22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19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0929A (zh) * 2011-04-14 2012-10-17 上海神工环保股份有限公司 分离型结构移动式污泥处理装置
KR101220320B1 (ko) 2012-11-19 2013-01-21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스크린바의 선별교체가 가능한 저속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WO2013037435A1 (de) * 2011-09-15 2013-03-21 Röhren- Und Pumpenwerk Bauer Ges.M.B.H. Pressschneckenseparator mit mischschnecke
KR101432269B1 (ko) 2014-06-02 2014-08-22 (주)오에치케이 분리형 구조의 u형 유동판식 슬러지 농축기
KR101446107B1 (ko) 2014-08-12 2014-10-08 (주)오에치케이 슬러지 농축장치
KR101602769B1 (ko) 2016-01-04 2016-03-14 주식회사 이앤에프 다중 원판 고액 분리 장치
KR102170145B1 (ko) 2019-06-13 2020-10-27 주식회사 이앤에프 고정링 커버를 구비한 다중 원판 고액 분리 장치
KR20240109575A (ko) 2023-01-04 2024-07-11 주식회사 제주환경원 스크류프레스 탈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716A (ja) 1984-10-11 1986-05-08 Kaname Miura 動的ろ過装置
KR100578047B1 (ko) 2004-05-14 2006-05-11 전근식 오,폐수 슬러지 처리기의 구조
KR100714417B1 (ko) * 2006-06-09 2007-05-04 주식회사 유천엔지니어링 다중원판 외통회전식 스크류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KR100814361B1 (ko) * 2007-04-02 2008-03-18 (주)오에치케이 슬러지 처리장치의 유동판 구동용 편심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716A (ja) 1984-10-11 1986-05-08 Kaname Miura 動的ろ過装置
KR100578047B1 (ko) 2004-05-14 2006-05-11 전근식 오,폐수 슬러지 처리기의 구조
KR100714417B1 (ko) * 2006-06-09 2007-05-04 주식회사 유천엔지니어링 다중원판 외통회전식 스크류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KR100814361B1 (ko) * 2007-04-02 2008-03-18 (주)오에치케이 슬러지 처리장치의 유동판 구동용 편심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0929A (zh) * 2011-04-14 2012-10-17 上海神工环保股份有限公司 分离型结构移动式污泥处理装置
WO2013037435A1 (de) * 2011-09-15 2013-03-21 Röhren- Und Pumpenwerk Bauer Ges.M.B.H. Pressschneckenseparator mit mischschnecke
KR101220320B1 (ko) 2012-11-19 2013-01-21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스크린바의 선별교체가 가능한 저속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KR101432269B1 (ko) 2014-06-02 2014-08-22 (주)오에치케이 분리형 구조의 u형 유동판식 슬러지 농축기
KR101446107B1 (ko) 2014-08-12 2014-10-08 (주)오에치케이 슬러지 농축장치
KR101602769B1 (ko) 2016-01-04 2016-03-14 주식회사 이앤에프 다중 원판 고액 분리 장치
KR102170145B1 (ko) 2019-06-13 2020-10-27 주식회사 이앤에프 고정링 커버를 구비한 다중 원판 고액 분리 장치
KR20240109575A (ko) 2023-01-04 2024-07-11 주식회사 제주환경원 스크류프레스 탈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195B1 (ko) 분리형 구조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KR100963198B1 (ko) 가변형 스페이서를 갖는 유동판식 슬러지 처리 장치
KR101049965B1 (ko) 회전형 유동판 슬러지 탈수장치
CN101712524A (zh) 一种采用变径轴的叠螺式污泥脱水机
KR101183555B1 (ko) 드럼형 슬러지 농축기
KR101545681B1 (ko)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CN211601348U (zh) 一种新型离心脱水机
KR101823408B1 (ko) 스크류 프레스형 슬러지 탈수기
KR101446107B1 (ko) 슬러지 농축장치
WO2015004707A1 (ja) 処理対象物濃縮装置
CN201250164Y (zh) 一种螺旋挤压式污泥脱水机
CN113694605A (zh) 一种用于皮革加工的污水处理设备
KR101833183B1 (ko) 더블 드럼형 탈수농축기
KR100714417B1 (ko) 다중원판 외통회전식 스크류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KR101254766B1 (ko) 슬러지 탈수장치
KR102036796B1 (ko) 고형물 탈수장치
KR100845457B1 (ko) 스윙운동 전달 성능이 향상된 탈수장치
JP2013158739A (ja) 処理対象物濃縮装置
KR100814361B1 (ko) 슬러지 처리장치의 유동판 구동용 편심축
JP2005230852A (ja) スクリュープレス脱水装置
KR100836513B1 (ko) 스윙링 구동수단의 내구성과 운동성을 향상시킨 스크류식탈수장치
JP3936569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
JPH1133316A (ja) スクリュー式固液分離装置
KR20190137662A (ko) 농축액 이송장치를 구비한 드럼식 원심 농축기
KR200424856Y1 (ko) 다중원판 외통회전식 스크류타입의 슬러지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