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061B1 -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감지장치 - Google Patents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3061B1
KR100963061B1 KR1020080026402A KR20080026402A KR100963061B1 KR 100963061 B1 KR100963061 B1 KR 100963061B1 KR 1020080026402 A KR1020080026402 A KR 1020080026402A KR 20080026402 A KR20080026402 A KR 20080026402A KR 100963061 B1 KR100963061 B1 KR 100963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clear fuel
fuel
core
acoustic signal
da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891A (ko
Inventor
김태준
황두성
이규일
최윤동
박진호
정운수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26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06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8Marking the faulty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1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using acoustic emission techniqu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21C17/102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the sensitive element being part of a fuel element or a fuel 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핵연료의 건전성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핵연료 감지장치는 핵연료와 액체를 수납하되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는 노심, 노심의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되 노심으로부터 핵연료를 인출하는 캐스크, 캐스크에 장착되되, 핵연료가 인출 시에 발생되는 음향 신호음을 감지하는 음향센서 및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얻은 주파수 값이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지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핵연료의 손상유무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즉각적으로 확인 가능하여 핵연료의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검사 비용이 절감되며, 운전성도 크게 향상된다.
핵연료, 집합체, 튜브, 노심, 손상, 기포, 주파수, 위치

Description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NUCLEAR FUEL DAMAGE SENSING UNIT AND NUCLEAR FUEL DAMAGE SENS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노심으로부터 핵연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핵연료의 튜브 손상 유무 및 손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은 우라늄과 같은 물질의 핵으로부터 막대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발전이다. 원자핵이 분열되거나 융합될 때 발생되는 원자력 에너지를 천천히 발산시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가압 경수로, 가압 중수로, 고속로 등 다양한 형태의 원자로가 이용되고 있으며, 액체 금속(예를 들어, 액체 소듐)을 냉각재로 이용하는 고속 증식로(Fast Breeder Reactor)로서 소듐 냉각 고속로(Sodium Cooled Fast Reactor; SFR)가 개발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핵연료는 핵연료봉 형태로 공급되며, 여러 개의 핵연료봉들은 묶음 단위로 구성된 핵연료 집합체의 형태로 노심에 공급된다. 상기 노심에서는 상기 핵연료들에 의해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 막대한 양의 열이 발생한다.
한편, 상기 핵연료봉은 펠렛과 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튜브는 상기 펠렛의 외측면을 둘러싼다. 그런데 이러한 튜브는 충격에 약하여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기존에는 핵연료의 건전성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경수로 핵연료의 경우에는 모든 사용후핵연료를 노심에서 모두 인출하고 난 후에 초음파 및 육안검사를 통하여 튜브의 손상을 검사하였다. 그러나 모든 핵연료를 노심에서 꺼내어 일일이 검사를 해야 했기 때문에 핵연료를 검사시간이 많이 요구되고 있으며, 실제 가동시간은 줄어들어 운용효율이 낮아지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심으로부터 핵연료를 인출하는 경우에 인출과 동시에 핵연료로부터 발생하는 음향 신호음을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핵연료의 튜브 손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심으로부터 인출되는 핵연료에서 손상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는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핵연료의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가동 및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은 인출부, 감지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액체와 함께 노심에 저장된 핵연료의 튜브 손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상기 노심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노심으로부터 상기 핵연료를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캐스크 및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캐스크는 상기 핵연료를 내부에 수납하거나, 또는 상기 핵연료의 일부를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캐스크와 결합하여 상기 캐스크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송유닛은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체인, 벨트 또는 링크 장치와 같은 동력 전달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인출부에 장착되어 상기 핵연료가 상기 노심으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발생하는 음향 수신음을 감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감지부는 상기 인출부에 부착되어 상기 인출부의 인출 속도 등을 감지하는 속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 신호음은 상기 핵연료의 튜브가 손상된 경우에 생성되는 기포가 상기 액체의 표면에서 터지면서 발생하는 신호음이다. 그리고,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은 상기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핵연료는 봉(rod)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핵연료봉이 여러 개 집합된 핵연료 집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는 핵연료와 액체를 수납하되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는 노심, 상기 노심의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핵연료를 상기 노심으로부터 인출하는 캐스크, 상기 캐스크에 장착되되 상기 핵연료가 인출 시에 발생되는 음향 신호음을 감지하는 음향센서 및 상기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얻은 주파수 값이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지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핵연료의 손상 감지장치는 상기 캐스크에 부착되어 상기 핵연료가 인출되는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향센서는 상기 속도센서가 영점 조정되는 시점에 구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핵연료의 인출속도와 상기 음향 신호음의 주파수 값이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 시간을 기초로 하여 상기 튜브의 손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체와 함께 노심에 저장된 핵연료의 튜브 손상유무를 파악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방법은 상기 노심으로 액체를 채우는 단계, 인출부를 상기 노심으로 접근하는 단계, 상기 노심으로부터 핵연료를 인출하는 단계, 상기 핵연료가 인출되면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음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얻은 주파수 값이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핵연료의 인출속도와 주파수 분석결과 상기 음향 신호음의 주파수 값이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 시간을 기초로 하여 상기 튜브의 손상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심으로부터 핵연료를 인출하는 캐스크에 음향센서를 장착하여 핵연료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핵연료의 손상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캐스크의 인출속도 및 음향센서를 통해 얻은 주파수 값이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 시점의 시간을 이용하여 핵연료의 손상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핵연료는 핵연료 집합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핵연료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감지부와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100)는 노심(110), 인출부(120), 감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노심(110)은 핵연료 집합체(102)를 수납하고, 상기 핵연료가 핵분열을 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노심(110)에는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가 핵분열 결과 발생한 열을 흡수하기 위한 냉각수가 흘러 들어와서 배출된다. 상기 노심(110)에는 상기 냉각수가 들어오기 위한 냉각수 입구(112) 및 배출 을 위한 냉각수 출구(114)가 형성된다.
한편, 핵분열 결과 발생한 열을 흡수하고, 상기 핵분열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상기 액체는 물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100)는 상기 노심(1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를 인출시 방사능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용기부(150) 및 상기 제1 용기부(15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노심(110)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돔 형태의 제2 용기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부(120)는 상기 노심(1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를 상기 노심(110)으로부터 인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부(120)는 캐스크(122) 및 이송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캐스크(122)는 내측에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스크(122)의 수용공간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캐스크(122)와 결합하여 상기 캐스크(122)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체인, 벨트 또는 링크 등의 동력 전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130)는 음향센서(132) 및 속도센서(13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향센서(132)는 상기 캐스크(122)의 외측면에 부착된다. 도 1에서는 상기 음향센서(132)가 캐스크(122)의 하측부에 부착되나, 그 부착위치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향센서(132)는 상기 캐스크(122)에 의해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가 상기 노심(110)으로부터 인출될 때,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음을 감지한다.
상기 속도센서(134)는 상기 캐스크(122)에 부착되어 상기 캐스크(122)의 현재 속도를 감지한다. 도 1에서는, 상기 속도센서(134)가 상기 캐스크(122)의 상측면에 부착되나, 그 부착된 위치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속도센서(134)는 영점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캐스크(122)가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를 인출하기 위해 이송하는 경우에 그 이송속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음향센서(132) 및 속도센서(134)가 1개로 구성되나, 그 개수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센서와 속도센서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캐스크의 외측면에서 위에서 아래로 일정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130)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통해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의 손상유무 또는 손상위치 등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음향센서(132)는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가 인출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음향 신호음을 상기 제어부(140)로 송신하고, 상기 속도센서(134)도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의 이송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140)로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이러한 송신된 정보들을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상기 핵연료의 손상 유무 및 손상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를 노심(110)으로부터 인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노심(110) 및 제1 용기부(150)에 액체를 채운다. 이는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를 인출하는 동안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로부터 방사선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액체(105)는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가 반응하는 경우에는 제1 액면(106)을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의 손상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제1 용기부(150)에 액체(105)를 충진한다. 충진된 후에 상기 액체(105)는 제2 액면(108)을 유지한다. 상기 액체(105)를 제1 용기부(150)에 충진함으로써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를 상기 노심(110)으로부터 인출할 때에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의 방사선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핵연료의 튜브 손상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도이고, 도 4는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음향 신호음의 시간에 대한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상된 튜브를 포함하는 핵연료 집합체(102)를 인출하기 전에 속도센서(134)를 이용하여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의 최초 위치를 영점 조정한다. 그리고, 이때의 시간을 t0라 한다. 이어 캐스크(122)를 이용하여 상측 방향으로 v의 속도로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를 인출한다. 상기 캐스크(122)의 측면에 부착된 음향센서(132)는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가 인출되면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음을 지속적으로 감지한다.
상기 캐스크(122)에 의해 상기 핵연료 집합체(102)가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튜브의 손상지점(103)이 제2 액면(108)에 도착하면, 기포가 발생하고, 이어 상기 기포는 터지면서 음향 신호음을 발생한다. 상기 음향센서(132)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송신한다.
상기 기포가 발생되어 터지는 시간을 t1이라 하면, 상기 t1이 경과되는 경우에 감지된 음향 신호음의 주파수가 급격하게 변화한다. 상기 제어부(140)는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밴드와 상기 기포가 터지면서 발생한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얻은 주파수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음향 신호음이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fc)을 초과하면 상기 핵연료의 튜브가 손상되었음을 알려준다.
여기서, 상기 속도센서(134)에 의해 감지된 상기 인출부(120) 및 핵연료 집합체(102)의 인출속도와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 음향 신호음이 발생한 시간인 t1을 통해 상기 튜브의 손상위치를 알 수 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다.
L = v(t1 - t0) - S0
이다.
여기서, L[m]은 핵연료의 상면으로부터 튜브의 손상 부위까지의 거리이고, v[㎧]는 핵연료의 인출속도이며, t1[sec]은 주파수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된 경과시간이며, t0[sec]는 최초 위치에서의 시간이며, S0[m]는 제2 액면에서 핵연료의 상 면까지의 거리이다. 물론, 상기 수학식1은 음파의 속도(v음파)가 상기 인출속도(v)에 비해 상당히 크다는 가정하에 성립된다.
한편, 상기 속도센서를 사용하는 대신, 위치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인출부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위치센서는 빛을 방사하는 방사부 및 상기 방사부로부터 방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핵연료 손상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노심으로부터 인출하고자 하는 핵연료 집합체 집합체를 선정한다(S1). 다음, 상기 선정된 핵연료 집합체를 캐스크를 이용하여 인출한다(S2). 상기 캐스크는 상기 노심의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핵연료 집합체를 인출하기 전에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최초 인출위치를 영점 조정한다(S3). 즉, 상기 인출하고자 하는 핵연료 집합체의 최초 위치를 파악해둔다.
다음, 상기 캐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핵연료 집합체를 인출하는 동안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인출 속도를 적절히 조절한다(S4). 여기서,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인출속도를 측정한다(S5).
한편,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최초 인출위치를 영점 조절할 때, 음향센서를 작동한다(S6). 다음, 상기 캐스크에 의해 상기 핵연료 집합체가 상측 방향으로 인출되는 동안 발생되는 음향 신호음을 측정한다(S7). 여기서, 상기 음향 신호음을 가지고 기포의 특성을 분석한다(S8). 그리고, 핵연료 집합체의 튜브가 손상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주파수 값인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미리 설정해둔다(S9).
다음, 제어부에서 상기 음향 신호음을 측정하여 주파수 분석을 실시한다(S10). 이어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계산한다(S11). 제어부에는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설정해 둔다(S12). 여기서,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은 핵연료 집합체가 손상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최소의 주파수 값을 의미한다.
다음, 상기 음향 신호음으로부터 주파수 분석한 결과 얻은 주파수 값이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S13). 만약, 기 입력된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보다 크다면 상기 핵연료 집합체는 손상되었다고 판단한다(S14).
한편,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인출속도와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이 나오는 시간을 측정한다(S15). 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손상 위치를 계산한다(S16).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핵연료 집합체의 튜브 손상 유무 및 손상 위치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튜브의 손상 유무만을 파악하도록 구성 및 방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감지부와 제어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핵연료의 튜브 손상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도이다.
도 4는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음향 신호음의 시간에 대한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핵연료 손상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핵연료 손상 감지장치 102: 핵연료 집합체
103: 손상지점 103: 액체
120: 인출부 122: 캐스크(cask)
130: 감지부 132: 음향센서
134: 속도센서 140: 제어부

Claims (10)

  1. 액체와 함께 노심에 저장된 핵연료의 튜브 손상유무를 파악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에 있어서,
    상기 핵연료를 상기 노심으로부터 인출하는 인출부;
    상기 인출부에 부착되어 상기 핵연료의 인출 시에 발생하는 음향 신호음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산출한 주파수 값이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지를 파악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은 상기 핵연료의 튜브가 손상된 경우에, 상기 튜브의 손상된 부위로 인해 생성된 기포가 상기 액체의 표면에서 터지면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산출되는 주파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핵연료를 내측에 수납하는 캐스크; 및
    상기 캐스크를 상하로 이송하는 이송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4. 핵연료와 액체를 수납하되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는 노심;
    상기 노심의 상측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노심으로부터 상기 핵연료를 인출하는 캐스크;
    상기 캐스크에 장착되되, 상기 핵연료가 인출 시에 발생되는 음향 신호음을 감지하는 음향센서; 및
    상기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얻은 주파수 값이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지를 파악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핵연료의 손상 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은 상기 핵연료의 튜브가 손상된 경우에, 상기 튜브의 손상된 부위로 인해 생성된 기포가 상기 액체의 표면에서 터지면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얻은 주파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의 손상 감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크에 부착되어 상기 핵연료의 인출되는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향센서는 상기 속도센서가 영점 조정되는 시점에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의 손상 감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핵연료의 인출속도와 상기 음향 신호음의 주파수 값이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 시간을 기초로 하여 상기 튜브의 손상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의 손상 감지장치.
  8. 액체와 함께 노심에 저장된 핵연료의 튜브 손상유무를 파악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심으로 액체를 채우는 단계;
    인출부를 상기 노심으로 접근하는 단계;
    상기 노심으로부터 핵연료를 인출하는 단계;
    상기 핵연료가 인출되면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음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분석하여 얻은 주파수 값이 기 설정된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은 상기 핵연료의 튜브가 손상된 경우에 생성되는 기포가 상기 액체의 표면에서 터지면서 발생하는 음향 신호음을 주파수 부석하여 얻은 주파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에 포함되는지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핵연료의 인출속도와 주파수 분석결과 상기 음향 신호음이 상기 특정 주파수 밴드의 피크값을 초과하는 시간을 기초로 하여 상기 튜브의 손상위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핵연료 손상 감지방법.
KR1020080026402A 2008-03-21 2008-03-21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감지장치 KR100963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402A KR100963061B1 (ko) 2008-03-21 2008-03-21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402A KR100963061B1 (ko) 2008-03-21 2008-03-21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91A KR20090100891A (ko) 2009-09-24
KR100963061B1 true KR100963061B1 (ko) 2010-06-14

Family

ID=4135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402A KR100963061B1 (ko) 2008-03-21 2008-03-21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0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83A1 (ko) * 2020-07-07 2022-01-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사용후 핵연료봉의 초음파 검사 방법 및 핵연료 집합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840Y1 (ko) * 2017-10-11 2020-01-1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핵연료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596B1 (ko) * 1980-09-24 1983-11-16 프라마톰 연료집합체용 음향 및 초음파 검사방법
JPH06109888A (ja) * 1992-09-28 1994-04-22 Nuclear Fuel Ind Ltd 核燃料集合体の破損燃料棒検出方法
KR100270724B1 (ko) 1992-03-26 2000-11-01 로빈 엘. 포이에르바허 음향 에너지 주파수 감쇠를 이용하여 파손된 핵연료봉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2214384A (ja) 2001-01-18 2002-07-31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クレーン自動位置決め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596B1 (ko) * 1980-09-24 1983-11-16 프라마톰 연료집합체용 음향 및 초음파 검사방법
KR100270724B1 (ko) 1992-03-26 2000-11-01 로빈 엘. 포이에르바허 음향 에너지 주파수 감쇠를 이용하여 파손된 핵연료봉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6109888A (ja) * 1992-09-28 1994-04-22 Nuclear Fuel Ind Ltd 核燃料集合体の破損燃料棒検出方法
JP2002214384A (ja) 2001-01-18 2002-07-31 Mitsubishi Heavy Ind Ltd 燃料クレーン自動位置決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183A1 (ko) * 2020-07-07 2022-01-13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사용후 핵연료봉의 초음파 검사 방법 및 핵연료 집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891A (ko) 2009-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45245A (en) Method and equipment for detecting deflective nuclear fuel rods
CA109133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efective fuel rods
US5078957A (en) Incore instrumentation system for a pressurized water reactor
KR102542254B1 (ko) 핵연료 어셈블리의 침투 검사에 의한 밀봉 검증 장치 및 방법
US3878040A (en) Failed fuel detector
KR20180115337A (ko) 초음파 스펙트럼 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실시간 원자로 냉각 시스템 붕소 농도 모니터
JP2007064635A (ja) 原子炉状態監視装置および原子炉状態監視方法
KR100963061B1 (ko) 핵연료 손상 감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핵연료 손상감지장치
US20020075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nuclear reactor fuel assemblies
US7774149B2 (en) Water leakage-acoustic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in steam generator of sodium-cooled fast reactor using standard deviation by octave band analysis
US39837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defective fuel rods in a reactor fuel assembly
JP2001004782A (ja) 原子炉停止時に燃料集合体における核燃料の故障をその場で検出するための燃料集合体機械的流れ制限装置
KR102372548B1 (ko) 방사능의 측정에 의해 핵분열 생성물을 검출하기 위한 분석 장치
US3964964A (en) Identification of failed fuel element
EP2283487B1 (en) Method comprising measurement on fuel channels of fuel assemblies for boiling water reactors
JP6591770B2 (ja) 非常時における原子炉内の温度測定装置、溶融状態検出装置及び水位計測装置
JP5726688B2 (ja) 破損燃料検査装置及び方法
KR20140064959A (ko) 봉 위치 검출 장치 및 방법
US5118463A (en) Process and device for detecting unsealed fuel pencils in a fuel assembly by means of ultrasonics
JP4909278B2 (ja) 沸騰水形原子炉の燃料集合体における燃料棒の漏れ検査方法
US441048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acoustic and ultrasonic detection of defective nuclear reactor fuel assemblies
EP0684612B1 (en) Leak-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individual leaking nuclear fuel rod having radioactive material leaking therefrom
RU2186429C2 (ru) Способ перегрузки и контроля герметичности тепловыделяющей сборки реактора с жидким теплоносителе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H0634788A (ja) 燃焼度測定装置
KR830002596B1 (ko) 연료집합체용 음향 및 초음파 검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