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998B1 -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998B1
KR100962998B1 KR1020030012672A KR20030012672A KR100962998B1 KR 100962998 B1 KR100962998 B1 KR 100962998B1 KR 1020030012672 A KR1020030012672 A KR 1020030012672A KR 20030012672 A KR20030012672 A KR 20030012672A KR 100962998 B1 KR100962998 B1 KR 100962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olymer
acid
shampoo composition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7207A (ko
Inventor
박지영
강철상
남윤성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30012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9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77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20Lighting for medical use
    • F21W2131/202Lighting for medical use for denti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발 또는 두피에 유용한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을 그 내부에 담지시킨 입자크기 50∼200nm의 고분자 나노구조체,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이온 폴리머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고분자 나노구조체, 샴푸 조성물, 양이온 폴리머, 모발유효성분, 양쪽성 계면활성제

Description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Sampoo composition containing polymeric nanostructure}
도 1은 초산 토코페롤을 함유하는 고분자 나노구조체의 입경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초산 토코페롤의 모발 흡착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모발의 인장강도 측정 결과이다(A: 비교예 1, B: 실시예 1, C: 실시예 2, D: 실시예 3).
본 발명은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모발 영양성분의 모발 흡착, 침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발 영양성분을 함유한 나노구조체,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양이온 폴리머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샴푸는 두피 및 모발의 오염을 제거하고 모발을 청결하고 아름답게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발용 화장품으로서, 세정을 위한 목적 이외에 빗질의 용이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윤기부여 및 모발 표면의 마찰 저하, 정전기 방지, 모발보호 등의 부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잦은 퍼머와 염색, 헤어 드라이의 사용, 자외선 등에 의해 손상된 모발과 두피를 가진 인구가 증가하면서 손상모발에 유효성분을 공급하여 손상 모발을 회복하고자 하는 시도와 함께 샴푸에 있어서도 그 효과에 대한 기대가 증대되고 있다. 이들 샴푸의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실리콘, 탄화수소유, 지방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컨디셔닝제와 혼합하고, 음이온성 세제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그러나 많은 컨디셔닝 샴푸는 샴푸 처리동안 모발 상에 충분한 침착을 제공하지 못한다. 세제 계면활성제는 모발 및 두피에 오일 및 오물을 제거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므로 컨디셔닝 성분의 침착을 방해할 수 있고, 세정하는 동안 침착된 컨디셔닝제를 이탈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침착되는 것을 방해받은 다량의 컨디셔닝제는 샴푸 처리동안 헹구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모발 컨디셔닝 성능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샴푸의 본래 기능인 세정력은 물론 모발 유효성분의 개선된 모발 침착을 제공하고, 같은 농도로 사용시 개선된 컨디셔닝 기능을 가지도록 한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코어-쉘 형태를 지니는 양친성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샴푸 조성물에 모발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고분자 나노구조체가 샴푸 조성물에 콜로이드상으로 안전하게 존재하면서, 그 내부에 모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모발 흡착능력도 우수한 특성을 지닐 수 있도록 다양한 재료들을 연구한 결과, 폴리에틸렌이민과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동시에 친수성 블록으로 사용하면서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인 폴리 ε-카프로락톤을 소수성 블록으로 사용하는 고분자 나노구조체가 매우 효과적으로 다양한 모발 영양성분을 함유할 수 있음을 알아내고, 이러한 나노구조체가 모발에 흡착할 때에 모발 영양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모발에 공급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고분자 나노 구조체의 모발 점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양이온성 치환제로 개질되는 셀룰로스성 또는 구아 중합체 등의 양이온 폴리머를 함유시킴으로써 개선된 모발 컨디셔닝 성능, 특히 헹굼시 젖은 모발에 컨디셔닝 효과를 주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성분과 조합하여 사용시 모발에 나노구조체의 침착을 개선시키는데 있어 특히 효과적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양이온 폴리머는 높은 농도 또는 비교적 높은 양이온 전하 밀도로 사용될 경우 배합물 중 다른 물질과의 상용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바람직하지 않은 기름기 있는 모발 느낌을 생성시키고, 건조시킬 때 모발에 더러움을 느끼게 할 수 있으므로 세제와의 적절한 혼합비가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모발 영양성분을 함유할 수 있고 모발 흡착 성능이 뛰어난 양친성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이온성 점착 중합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로서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동시에 샴푸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코아세르베이트 상을 형성하기 유리하도록 하여, 샴푸 도포 또는 헹굼시 모발 표면에 나노구조체의 점착능력을 향상시켜 모발에 영양성분을 공급하는 능력이 개선된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모발 영양성분의 모발 흡착, 침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모발 영양성분을 함유한 나노구조체,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1종 이상의 양이온 폴리머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 중량%의 고분자 나노 구조체, 0.01∼5 중량%의 양이온 폴리머, 1∼50 중량%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 및 10 중량% 미만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샴푸 조성물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의 필수 원소 및 한정물뿐만 아니라 그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포제, 세정제, 컨디셔닝제제, pH 조절제, 펄화제, 방부제, 향료, 점도 조절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샴푸 조성물은 모발 유효 성분을 함유한 양친성 고분자 나노 구조체를 샴푸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0 중량%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나노구조체는 양이온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이민과 비이온성이면서 친수성 고분자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친수기 블록으로 지니고, 생분해성이면서 소수성 고분자인 폴리 ε-카프로락톤을 소수기 블록으로 지닌 공중합체이다.
상기 나노구조체는 생리활성 유효성분을 포집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입자크기는 50∼300nm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수용액 내에서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만들 경우 사용하는 유기용매는 아세톤,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메틸에틸케톤,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메탄올, 에탄올, 에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헥산 및 페트롤리움 에테르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 ε-카프로락톤은 -(CH2CH2CH2CH2CH2COO)n-의 화학식(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을 지닌 선형구조의 고분자로서, 생분해성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널리 사용되고, 물에 녹지 않는 소수성 고분자이다.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형성하기에 적합한 분자량은 폴리 ε-카프로락톤에 결합하는 친수성 고분자의 구조와 분자량에 의존하며, 대체로 1,000∼100,000 Da인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이민은 -(CH2CH2NH)n-의 화학식(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을 가지는 고분자로서, 그 구조에 따라 선형(linear) 고분자와 가지형(branched) 고분자가 있는데, 고분자 회합체의 형성은 그 구조에 상관없이 형성시킬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이민의 분자량은 생분해성 폴리 ε-카프로락톤의 분자량에 의존해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지는 바, 대체로 2,000 Da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CH2CH2O)n-의 화학식(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을 지닌 고분자로서 수용성이며 비이온성이다. 우수한 생체적합성으로 인해 의료용 고분자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베지클의 상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분자량도 생분해성 폴리 ε-카프로락톤의 분자량에 의존해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지는 바, 대체로 5,000 Da 이하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나노구조체 내부에 포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생리활성 유효성분으로는 고분자내에 가용화 될 수 있는 유용성 성분이어야 하는 것 외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나노미립자 내부에 포집하는 생리활성 유효성분의 종류 및 함량은 목적과 경우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생리활성 유효성분으로는 대황, 제네스틴, 헤스페리틴, 헤스페리딘, 카테킨, 이소플라본, 다나졸(danazol), 할로페리돌(haloperidol), 퓨로세미드(furosemid), 이소 소르비드 디니트레이트(isosorbide dinitrate), 클로람페니콜(chloramfenicol), 설파메토사졸(sulfamethoxazole), 카페인(caffeine), 시메티딘(cimethidine), 소듐 디클로페낙(diclofenac Na), 조효소 Q10(coenzyme Q10),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프로비타민 D3 및 그의 유도체, 우르솔산(ursolic acid), 올레아놀린산(oleanolic acid), 로스마린산(rosmarinic acid), 18-베타 감초산(18 beta-glycyrrhetinic acid), 글라브리딘(glabridin), 알레우리틱산(aleuritic acid), 폴리페놀(polyphenol), 에스큘린(esculin),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튜메릭산(turmeric acid),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 테트라 하이드로큐르큐미노이드(tetra hydrocurcuminoid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베타-카로틴(beta carotene),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파네솔(farnesol),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리놀레산(linoleic acid), 감마 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비네아트롤(vineatrol), 깅코 빌로바(ginkgo biloba), 트리클로산(triclosan), 미녹시딜(minoxidil), 천연정유, 세라마이드, 스핑고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양이온 폴리머는 양이온성 질소 함유 부분, 예를 들면 4차 암모늄 또는 양이온성 양성자가 첨가된 아미노 부분을 함유한다. 양이온 폴리머의 평균 분자량은 10,000,000∼5000 Da, 바람직하게는 약 100,000 Da 이상, 1,500,000 Da 이하이다. 또한 중합체의 양이온성 전하밀도는 일반적으로 pH 3∼9, 바람직하게는 pH 4∼7인 샴푸 조성물에서 0.2∼7 meq/g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meq/gm 이상, 2 meq/gm 미만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양이온 폴리머의 예로는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알킬 및 디알킬 아크릴아미드, 알킬 및 디알킬 메타크릴아미드, 알킬 아크릴레이트,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카프로락톤 및 비닐 피롤리돈 등의 수용성 간격 단량체; 및 양이온성의 양성자가 첨가된 아민 또는 4차 암모늄 관능기를 갖는 비닐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양이온성 구아검 유도체 및 양이온성 셀룰로스 유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기포 및 세정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 활성제,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세정 계면활성제,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과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1종 이상 혼합하거나, 또는 음이온성과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의 pH에서 음이온성인 결합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소듐 라우레스 설페이트를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5 중량%, 바람직하게는 5∼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코암포아세테이트,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 라우로암포아세테이트, 라우로암포디아세테이트 및 이들 혼합물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유량은 전체 조성물 중 총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지방족 라디칼이 직쇄 또는 분지쇄이고, 이때 지방족 치환체 중 하나가 탄소수 약 8∼18이고, 하나가 음이온성 수용성기로서, 예를 들면 카르복시, 설포네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포네이트를 함유하는 지방족 4차 암모늄, 포스포늄, 설포늄 화합물의 유도체로서 널리 개시되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코카미도프포필 베타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컨디셔닝 제제로는 디메치콘 베이스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양이온 폴리머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며, 그 함유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pH 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펄화제로는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글라이콜모노스테아레이트, 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 메틸이소티아졸리논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점도 조절제로는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 카마이드엠이에이(CME), 코카마이드디이에이(CDE), 소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샴푸 조성물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참고예 1] 초산 토코페롤을 함유하고 있는 고분자 나노 구조체의 제조
유효성분으로 비타민 E 유도체인 초산 토코페놀이 담지된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폴리 ε-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이민/폴리에틸렌옥사이드 공중합체는 각 고분자 성분을 고온에서 용융시킨 뒤, 축합반응을 통해 제조하였다. 60g의 폴리 ε-카프로락톤 (공급사: 알드리치, 분자량 80,000Da), 10g의 폴리에틸렌이민(공급사: 알드리치, 가지형, 분자량 600Da), 30g의 아미노프로필폴리프로필렌글리콜-블럭-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aminopropyl polypropylene glycol-block-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공급사: 플루카, 분자량 1,900Da)을 100℃로 가온하여, 용융시킨 뒤 9시간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시키는 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폴리에틸렌이민과 아미노프로필폴리프로필렌글리콜-블럭-폴리에틸렌 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교반기가 장착되어 있는 반응기에 넣고 온도를 100℃로 올렸다. 이어서, 50-100 rpm의 속도로 교반하며 폴리 ε-카프로락톤을 서서히 넣어주면서 균질한 교반이 가능하게 하였다. 반응이 끝난 고분자를 용융된 상태에서 보관용기에 주입한 뒤, 상온으로 식히면 왁스타입의 고체 생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다음, 상기에서 얻은 공중합체 9g과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g을 50㎖의 아세톤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50mM의 HCl을 함유한 90㎖의 삼차 증류수에 서서히 넣고 교반하였다. 그 후, 아세톤을 화학후드에서 12시간동안 증발시켜 제거하여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표 1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 의한 모발 샴푸 조성물의 각 성분의 조성비를 정리한 것이다. 각 조성물의 조성비는 중량% 이다.
조 성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10 10 10 10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세틸알코올 0.6 0.6 0.6 0.6
코카마이드 MEA 0.5 0.5 0.5 0.5
암모늄라우릴셀페이트 6 6 3 3
구아 히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클로라이드
- 0.15 0.15 0.15
폴리쿼터늄-10 0.1 0.15 0.15 0.15
실리콘 0.5 0.5 0.5 0.5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0.2 0.2 1.0 1.0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 - - 4.0 4.0
향료 1.0 1.0 1.0 1.0
방부제 0.03 0.03 0.03 0.03
구연산 1.0 10 1.0 1.0
초산토코페롤 0.2 - 0.2 -
초산토코페롤 나노구조체
(초산토코페롤 10% 함유)
- 2.0 - 2.0
희석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유효성분으로 초산 토코페롤을 함유한 고분자 나노구조체가 배합된 샴푸 조 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표 1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샴푸 제조방법에 따라 샴푸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동적 광산란에 의한 입자 크기 측정
상기 참고예 1에서 얻은 공중합체 25㎎을 0.5㎖의 아세톤에 균일하게 분산시킨 후, 10㎖의 삼차증류에서 서서히 넣고 교반하였다. 그런다음, 아세톤을 화학후드에서 12시간동안 증발시켜 제거한 후, 동적광산란 측정법(Dynamic Light Scattering, DLS, Zetasizer 3000HS, Malvern, UK 이용)을 이용하여 평균입자직경을 측정하였다. 이때, 고분자 베지클의 농도는 0.6㎎/㎖, 온도 25℃, 90°의 산란각으로 고정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한 초산토코페롤 함유 고분자 나노 구조체의 입자크기는 50∼250nm로 다소 넓은 분포를 보였다.
[시험예 2] 초산토코페롤 모발 흡착량 측정
모발 적용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샴푸 조성물의 모발 흡착량을 측정하였다. 길이 20cm, 2g의 트레스를 5% 라우릴 황산나트륨 용액에 5분간 침적시키고, 흐르는 물에 헹군 후, 25℃, 상대습도 50%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그 후, 샴푸 조성물 10% 용액에 트레스를 5분간 침적시키고 흐르는 물에 30초간 헹군 후 25℃, 상대습도 40%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각 트레스의 모발 샘플 2g을 절취하여 30㎖의 메탄올에 분산시킨 뒤, 30분간 음파 분쇄(sonication)하여 비타민 E 아세테이트를 추출한 뒤에 0.45㎛ 시린지 필터(syringe filter)로 거른 뒤, 트레스를 5분간 침적시키고 흐르는 물에 30초간 헹군후 25℃, 상대습도 40%의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하였다. 이렇게 준비한 각 트레스의 모발 샘플 2g을 절취하여 30㎖의 메탄올에 분산시킨 뒤, 30분간 음파분쇄하여 비타민 E 아세테이트를 추출한 뒤에 0.45㎛ 시린지 필터로 거른 뒤, HPLC로 분석하였다. 측정 기기는 HP 1100 시리즈, 휴렛-패커드(Hewlett-Packard)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2와 같이 초산 토코페롤을 함유한 고분자 나노구조체, 양이온 폴리머 및 소듐코코암포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실시예 3이 가장 많은 초산 토코페롤의 흡착량을 보여주었고, 실시예 1과 같이 동일한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더라도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은 샘플은 훨씬 적은 흡착량을 보였다.
이는 샴푸 제조시 동량의 초산토코페롤을 사용하더라도 샴푸에 바로 사용하는 것보다 고분자 나노 구조체에 담지시켜 사용하는 것이 훨씬 우수한 모발흡착효과를 가지며, 또한 단순 음이온 계면활성제 베이스 보다 양쪽성 계면 활성제를 혼용하고 양이온 폴리머의 함량이 많은 것이 모발 흡착량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모발 인장 강도 측정
참고예 1,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고분자 나노구조체 및 샴푸를 이용하여 모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정상모 트레스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샴푸 5g을 모발 트레스에 도포한 후 일정하게 흐르는 이온수에 10회 세척하였다. 세척한 모발 트레스를 항온, 항습(상대습도 : 40%, 온도 : 25℃) 조건에서 24hr이상 방치하여 충분히 건조하였다. 충분히 건조된 트레스에서 80±10㎛의 굵기를 가지는 머리카락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머리카락을 인스트론(Instron, 모델: 4443)을 이용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여 모발의 파괴점(breaking point)을 기록하였다. 8∼10개의 머리카락으로 실험한 후 평균치의 파괴점(breaking point)을 데이타로 나타낸 것이 도 3이다.
상기 도 3을 살펴보면, 초산토코페롤 나노 구조체를 함유하고 있는 샴푸(실시예 1, 실시예 3)가 일반 초산토코페롤을 함유한 샴푸(비교예 1, 실시예 2)에 비해 파괴점(breaking point)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 폴리머가 혼용된 샴푸(실시예 2, 실시예 3)가 음이온 계면활성제만을 사용한 샴푸(실시예 1, 비교예 1)보다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초산 토코페롤을 함유한 나노 구조체가 모발에서의 표면 흡착은 물론 모발에 침투하여 모발 강도를 증대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샴푸 제형 속에 포함된 양쪽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 폴리머가 나노구조체의 흡수를 촉진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부여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조성별 사용 품질 시험 결과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샴푸를 대상으로 20∼30세 여성 50명으 로 구성되는 품평단(panel)에 2주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설문 항목에 7점 척도로 답하게 하는 심플 모나딕 시험법(simple monadic test)을 통하여 사용 품질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설 문 항 목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1. 기포가 잘 나고 기포 느낌이 좋다 5.6 5.7 5.4 5.5
2. 헹굼시 느낌이 좋고 손가락 통과가 잘된다 4.8 3.9 5.0 4.9
3. 반건조시 빗질이 쉽고 부드럽다 5.5 5.6 5.5 5.6
4. 건조후 모발 손질이 쉽고 부드럽다 5.2 5.4 5.2 5.4
5. 건조후 모발의 촉촉함이 오래간다 4.8 5.2 4.9 5.5
6. 건조후 모발의 광택이 느껴진다 4.0 4.2 4.0 4.5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함유한 50∼200nm의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제형내에 일정량 함유함으로써 모발에 유효성분의 흡수를 보다 증진시키며, 1종 이상의 양이온 폴리머와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코아세르베이트상의 형성을 촉진, 증대시켜 나노구조체의 모발 점착성을 증대시키므로 모발 유효성분의 점착량을 늘려 모발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폴리에틸렌이민과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동시에 친수성 블록으로 하고, 폴리 ε-카프로락톤을 소수성 블록으로 하여 제조되고, 그 내부에 생리활성 유효성분을 포집시킨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로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0 중량%의 고분자 나노구조체; 0.01∼5 중량%의 양이온 폴리머; 1∼50 중량% 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 및 10 중량% 미만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또는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체의 입자 크기가 50∼300nm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쇼듐 라우레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라우로 암포아세테이트, 라우로 암포 디아세테이트, 코코암포아세테이트 및 코코암포디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며; 쯔비터 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베타인 계면활성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가 양이온성 셀룰로즈 유도체 및 양이온성 구아 검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구조체에 포집되는 생리활성 유효성분은 대황, 제네스틴, 헤스페리틴, 헤스페리딘, 카테킨, 이소플라본, 다나졸(danazol), 할로페리돌(haloperidol), 퓨로세미드(furosemid), 이소소르비드 디니트레이트(isosorbide dinitrate), 클로람페니콜(chloramfenicol), 설파메토사졸(sulfamethoxazole), 카페인(caffeine), 시메티딘(cimethidine), 소듐 디클로페낙(diclofenac Na), 조효소 Q10(coenzyme Q10),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프로비타민 D3 및 그의 유도체, 우르솔산(ursolic acid), 올레아놀린산(oleanolic acid), 로스마린산(rosmarinic acid), 18-베타 감초산(18 beta-glycyrrhetinic acid), 글라브리딘(glabridin), 알레우리틱산(aleuritic acid), 폴리페놀(polyphenol), 에스큘린(esculin),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튜메릭산(turmeric acid),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s), 테트라 하이드로큐르큐미노이드(tetra hydrocurcuminoids), 센텔라 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 베타-카로틴(beta carotene),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파네솔(farnesol),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리놀레산(linoleic acid), 감마 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비네아트롤(vineatrol), 깅코 빌로바(ginkgo biloba), 트리클로산(triclosan), 미녹시딜(minoxidil), 천연정유, 세라마이드 및 스핑고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에 생리활성 유효성분이 함유된 고분자 나노구조체의 모발 흡착성을 증대하거나 모발 인장 강도를 증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샴푸 조성물.
KR1020030012672A 2003-02-28 2003-02-28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KR100962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672A KR100962998B1 (ko) 2003-02-28 2003-02-28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672A KR100962998B1 (ko) 2003-02-28 2003-02-28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207A KR20040077207A (ko) 2004-09-04
KR100962998B1 true KR100962998B1 (ko) 2010-06-10

Family

ID=37363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672A KR100962998B1 (ko) 2003-02-28 2003-02-28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29510A (ja) * 2017-08-08 2020-10-08 ベーイプシロンカー ヘミ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ター ハフトゥング アミン官能性化合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333B1 (ko) * 2004-09-30 2007-05-21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수-안정화된 egcg 캡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0733B1 (ko) * 2005-12-13 2007-07-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두피케어용 샴푸 조성물
KR100917673B1 (ko) * 2007-12-06 2009-09-18 주식회사 솔레오 카페인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20220075131A (ko) 2020-11-27 2022-06-07 주식회사 케이피티 헤어 트리트먼트 비드를 함유한 샴푸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샴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5852A (ja) 1985-11-26 1987-06-08 Nok Corp 徐放性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法
KR100676266B1 (ko) 2000-12-08 2007-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체 세정 조성물 내에서 마이크로 스피어의 제조방법,마이크로 스피어 및 이를 함유하는 세정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25852A (ja) 1985-11-26 1987-06-08 Nok Corp 徐放性マイクロカプセルの製造法
KR100676266B1 (ko) 2000-12-08 2007-01-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인체 세정 조성물 내에서 마이크로 스피어의 제조방법,마이크로 스피어 및 이를 함유하는 세정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29510A (ja) * 2017-08-08 2020-10-08 ベーイプシロンカー ヘミ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ター ハフトゥング アミン官能性化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207A (ko) 200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15450B1 (en) Aqueous hair cleansing agent
EP0951898B1 (en)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s
KR102066476B1 (ko) 개선된 침적 특성을 가진 조성물 및 개선된 침적 특성을 가진 개인 관리 조성물의 제조 방법
US8541010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double-shell nano-structure
CA2266723C (en) Liqui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which contain a lipophilic skin moisturizing agent comprised of relatively large droplets
DE112017002170T5 (de) Haarstärkende Zusammensetzung und ein Kit zur Stärkung von Haaren
DE102015223196A1 (de) Mittel und Verfahren zur Reinigung und/oder zur Pflege geschädigter keratinischer Fasern
DE102007040001A1 (de) Neue zwitterionische Verbindungen enthaltende Formulierungen und deren Verwendung
KR100962998B1 (ko) 고분자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샴푸 조성물
KR20040062379A (ko) 자기회합성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난용성물질을 포집시켜 제조한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EP1244420A1 (de) Haut- und haarpflegemittel
EP1758541B1 (fr) Comp0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 polyorganosiloxane et ses utilisations
MX2011000321A (es) Composicion acondicionadora de cabello comprendiendo tres clases de silicones.
MX2013002047A (es) Composicion acondicionadora de cabello.
KR100681705B1 (ko) 지방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EP4065079A1 (de)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s farberhalts von gefärbtem keratinischem material, insbesondere menschlichen haaren
WO2020254012A1 (de) Verfahren zum färben von keratinischem material mit premix aus aminosilikon und farbgebender verbindung
US20200188256A1 (en) Transparent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bis-(isostearoyl/oleoyl isopropyl) dimonium methosulfate
DE102018221973A1 (de) Haarkonditionierungssprühbehandlung
RU2813139C2 (ru) Кондиционирующ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волос
DE19727903C1 (de) Nicht-auszuspülendes Haarpflegemittel
KR100744946B1 (ko) 저농도의 친유성 계면활성제 및 셀룰로오스 알킬 에테르를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20040033117A (ko)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GB2307407A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ceramide and a silicone carrier
KR20170062961A (ko) 폴리페놀계 유효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