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503B1 -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503B1
KR100962503B1 KR1020030083348A KR20030083348A KR100962503B1 KR 100962503 B1 KR100962503 B1 KR 100962503B1 KR 1020030083348 A KR1020030083348 A KR 1020030083348A KR 20030083348 A KR20030083348 A KR 20030083348A KR 100962503 B1 KR100962503 B1 KR 10096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ma correction
correction voltage
voltage
gamma
neg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9653A (ko
Inventor
송병찬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503B1/ko
Publication of KR20050049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9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96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마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중간 계조들이 출력되는 분압회로의 감마보정전압노드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최상위 감마보정전압을 발생하는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 상기 중간 계조들이 출력되는 상기 분압회로의 감마보정전압노드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최하위 감마보정전압을 발생하는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 상기 최상위 감마보정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에 공급하기 위한 제1 감마조정부; 및 상기 최하위 감마보정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에 공급하기 위한 제2 감마조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GAMMA-CORRECTION CIRCUIT}
도 1은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단위 화소를 등가적으로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는 통상적인 감마보정회로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감마보정회로에서 감마기준전압들 사이의 감마보정전압들을 발생하기 위한 분압회로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감마보정회로에 의해 발생되는 감마보정전압들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감마보정회에 의해 발생되는 감마보정전압들에 의한 콘트라스트비의 개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감마보정회에 의해 발생되는 감마보정전압들에 의한 콘트라스트비의 개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감마보정회에 의해 발생되는 감마보정전압 들에 의한 콘트라스트비의 개선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1, 81, 111 : 외부전원
52A, 52B, 53A, 53B, 82A, 82B, 112A, 112B : 감마 조정부
53 내지 60, 83 내지 86, 113 내지 116 : 감마보정전압노드
본 발명은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간계조 구간의 감마보정전압의 변화를 유도하지 않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표시영상의 표시품질을 높이도록 한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소자는 비디오신호에 따라 액정셀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하여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액정셀마다 스위칭소자가 형성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타입의 액정표시소자는 스위칭소자의 능동적인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동영상 구현에 유리하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소자에 사용되는 스위칭소자로는 도 1과 같이 주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한다)가 이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액정표시소자는 디지털 입력 데이터를 감마보정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라인(DL)에 공급함과 동시에 스캔펄스를 게이트라인(GL)에 공급하여 액정셀(Clc)을 충전시킨다.
TF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L)에 접속되며,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에 접속된다. 그리고 TFT의 드레인전극은 액정셀(Clc)의 화소전극과 스토리지 캐패시터(Cst)의 일측 전극에 접속된다.
액정셀(Clc)의 공통전극에는 공통전압(Vcom)이 공급된다.
스토리지 캐패시터(Cst)는 TFT가 턴-온될 때 데이터라인(DL)으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전압을 충전하여 액정셀(Clc)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캔펄스가 게이트라인(GL)에 인가되면 TFT는 턴-온(Turn-on)되어 소스전극과 드레인전극 사이의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라인(DL) 상의 전압을 액정셀(Clc)의 화소전극에 공급한다. 이 때 액정셀(Clc)의 액정분자들은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계에 의하여 배열이 바뀌면서 입사광을 변조하게 된다.
이 액정표시소자의 구동회로는 디지털 입력 데이터를 감마보정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데이터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 이하, "IC"라 한다)와, 스캔펄스를 발생하기 위한 게이트 IC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은 통상적인 감마보정회로를 보여준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감마보정회로는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과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를 구비한다. 디지털 입력 데이터의 비트수가 6[bits]로 가정할 때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는 외부전원(21)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다수의 저항들(RP1 내지 RP4)로 분압하여 5 개의 정극성 감마기준전압들(GH0, GH15, GH31, GH47, GH63)을 발생하며,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는 외부전원(21)로부터 공급되는 외부전원을 다수의 저항들(RN1 내지 RN4)로 분압하여 5 개의 부극성 감마기준전압들(GL0, GL15, GL31, GL47, GL63)을 발생한다. 이 감마기준전압(GH0, GH15, GH31, GH47, GH63, GL0, GL15, GL31, GL47, GL63)은 표현하고자 하는 전체 계조를 5 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각 단계에 해당하는 감마보정전압이다.
또한, 감마보정회로는 도 3과 같이 이웃하는 감마기준전압들을 15 개 또는 16 개의 저항들이 직렬 접속된 분압회로로 분압하여 디지털 입력 데이터에서 표현 가능한 각 계조의 감마보정전압들(GH0 내지 GH63, GL0 내지 GL63)을 발생한다.
감마보정전압의 조정 즉, 감마튜닝(Gamma tuning)은 감마기준전압(GH0, GH15, GH31, GH47, GH63, GL0, GL15, GL31, GL47, GL63)을 조정하는 것에 의존한다. 감마기준전압(GH0, GH15, GH31, GH47, GH63, GL0, GL15, GL31, GL47, GL63)이 셋팅되면, 그 사이의 감마보정전압들은 분압회로의 입력전압이 결정되므로 감마기준전압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정된다.
감마보정전압은 사람이 화상을 볼 때의 시각인지특성에 따른 자극치에 대하여 대수함수적으로 느끼는 것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각 계조 단계에 해당하는 밝기 즉, 빛의 투과율을 T라 하고 계조단계를 G라 할때, 각 계조단계와 그 밝기와의 관계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3044168662-pat00001
여기서, k는 비례상수이고
Figure 112003044168662-pat00002
(Gamma)는 1보다 큰 상수로 나타내고자 하는 실물과 화면의 느낌이 맞도록 정해진다. 액정표시소자의
Figure 112003044168662-pat00003
값은 2∼4이다. 액정특성과 사람의 시각인지특성을 고려할 때, 액정표시소자의 최적
Figure 112003044168662-pat00004
값은 2.2로 알려져 있다.
도 4는
Figure 112003044168662-pat00005
값이 2.2인 감마커브로서 도 2 및 도 3의 감마보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감마보정전압 대 디지털 데이터의 계조를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디지털 데이터의 계조값은 16진수(HEX)로 표기되었다.
그런데 표시영상의 선명도 즉, 콘트라스트비를 높이기 위하여 최상위 감마기준전압(GH63, GL63)과 최하위 감마기준전압(GH0, GL0)을 조정하면 그 감가기준전압들(GH63, GL63, GH0, GL0)의 조정값에 영향을 받아 중간 계조 구간의 감마보정전압들(GH1 내지 GH62, GL1 내지 GL62)이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하여, 도 2와 같은 감마보정회로를 이용하여 콘트라스트비를 높이게 되면 중간계조 구간에 해당하는 감마보정전압들의 최적화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계조 구간의 감마보정전압의 변화를 유도하지 않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를 높일 수 있도록 한 표시영상의 표시품질을 높이도록 한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감마보정회로는 중간 계조들의 감마보정전압을 발생하는 분압회로; 상기 중간 계조들이 출력되는 상기 분압회로의 감마보정전압노드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최상위 감마보정전압을 발생하는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 상기 중간 계조들이 출력되는 상기 분압회로의 감마보정전압노드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최하위 감마보정전압을 발생하는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 상기 최상위 감마보정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에 공급하기 위한 제1 감마조정부; 및 상기 최하위 감마보정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에 공급하기 위한 제2 감마조정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감마보정회로는 중간 계조들의 감마보정전압을 발생하는 분압회로; 상기 중간 계조들이 출력되는 상기 분압회로의 감마보정전압노드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최상위 감마보정전압과 최하위 감마보정전압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감마보정전압노드; 및 상기 감마보정전압노드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감마조정부를 구비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는 정극성 감마보정전압들(GH0 내지 GH63)을 발생하기 위한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와, 부극성 감마보정전압들(GL0 내지 GL63)을 발생하기 위한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와, 정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H63)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1 정극성 감마조정부(52A)와, 정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H0)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2 정극성 감마조정부(52B)와, 부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L63)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1 부극성 감마조정부(53A)와, 부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L0)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제2 부극성 감마조정부(53B)를 구비한다.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는 외부전원(51)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1'의 정극성 감마보정전압과 계조 '62'의 정극성 감마보정전압을 직렬로 접속된 다수의 저항들(RP1 내지 RP4)로 분압하여 계조 '1'과 계조 '62' 사이의 중간계조 구간의 정극성 감마보정전압들(GH1 내지 GH62)을 발생한다. 또한,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는 이웃한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54)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53)를 통해 계조 '63'의 정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H63)을 발생하고 마찬가지로, 이웃한 제3 감마보정전압노드(56)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4 감마보정전압노드(55)를 통해 계조 '0'의 정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H0)을 발생한다. 다시 말하여,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는 이웃한 제2 감마보정전압 노드(54)와 저항을 통해 접속되지 않고 제1 정극성 감마조정부(52A)로부터 계조 '63'에 해당하는 정극성 전압이 공급되는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53)를 통해 정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H63)을 발생하고 이웃한 제3 감마보정전압노드(56)와 저항을 통해 접속되지 않고 제2 정극성 감마조정부(52B)로부터 계조 '0'에 해당하는 정극성 전압이 공급되는 제4 감마보정전압노드(55)를 통해 정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H0)을 발생한다.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는 외부전원(51)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1'의 부극성 감마보정전압과 계조 '62'의 부극성 감마보정전압을 직렬로 접속된 다수의 저항들(RN1 내지 RN4)로 분압하여 계조 '1'과 계조 '62' 사이의 중간계조 구간의 부극성 감마보정전압들(GL1 내지 GL62)을 발생한다. 또한,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는 이웃한 제7 감마보정전압노드(60)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8 감마보정전압노드(59)를 통해 계조 '63'의 부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L63)을 발생하고 마찬가지로, 이웃한 제6 감마보정전압노드(58)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5 감마보정전압노드(57)를 통해 계조 '0'의 부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L0)을 발생한다. 다시 말하여,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는 이웃한 제7 감마보정전압노드(60)와 저항을 통해 접속되지 않고 제1 부극성 감마조정부(53A)로부터 계조 '63'에 해당하는 부극성 전압이 공급되는 제8 감마보정전압노드(59)를 통해 부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L63)을 발생하고 이웃한 제6 감마보정전압노드(58)와 저항을 통해 접속되지 않고 제2 부극성 감마조정부(53B)로부터 계조 '0'에 해당하는 부극성 전압이 공급되는 제5 감마보정전압노드(57)를 통해 부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L0)을 발생한다.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로부터 발생되는 정극성 감마보정전압들(GH0 내지 GH63)은 액정셀(Clc)의 공통전극에 공급되는 공통전압(Vcom)보다 높은 전압들이다.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로부터 발생되는 부극성 감마보정전압들(GL0 내지 GL63)은 액정셀(Clc)의 공통전극에 공급되는 공통전압(Vcom)보다 낮은 전압들이다.
제1 정극성 감마조정부(52A)는 외부전원(5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 전압(V1)을 조정하여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의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53)에 공급한다.
제2 정극성 감마조정부(52B)는 외부전원(5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전압(V2)을 조정하여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의 제4 감마보정전압노드(55)에 공급한다.
제1 부극성 감마조정부(53A)는 외부전원(5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4 전압(V4)을 조정하여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의 제8 감마보정전압노드(59)에 공급한다.
제2 부극성 감마조정부(53B)는 외부전원(5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3 전압(V3)을 조정하여 정극성 부마보정전압 발생부(NGMA)의 제5 감마보정전압노드(57)에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가 적용된 액정표시장치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각각에 대한 콘트라스트비를 도 6 및 도 7을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 다. 도 6은 액정셀(Clc)에 인가되는 전압(V)이 높을수록 투과율(T)이 낮아지는 노멀리 화이트 모드의 투과율(T) 대 전압(V) 커브이며, 도 7은 액정셀(Clc)에 인가되는 전압(V)이 높을수록 투과율(T)이 높아지는 노멀리 블랙 모드의 투과율(T) 대 전압(V) 커브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중간계조 구간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감마조정부(52A, 52B, 53A, 53B)의 조정에 의해 최상위 계조의 감마보정전압이 독립적으로 상승 가능하고 최하위 계조의 감마보정전압이 독립적으로 상승 가능하므로 콘트라스트비가 종래에 비하여 더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어두운 영상을 더 어둡게 그리고 밝은 영상을 더 밝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선명한 표시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는 이웃한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84)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83)를 통해 정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H63)을 발생하는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와, 이웃한 제4 감마보정전압노드(86)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3 감마보정전압노드(85)를 통해 부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L63)을 발생하는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와, 정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H63)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정극성 감마조정부(82A)와, 부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L63)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부극성 감마조정부(82B)를 구비한다.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는 외부전원(81)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0'의 정극성 감마보정전압과 계조 '62'의 정극성 감마보정전압을 다수의 저항들(RP1 내지 RP4)이 직렬로 접속된 분압회로를 통해 분압하여 정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H63)을 제외한 나머지 계조들의 정극성 감마보정전압들(GH0 내지 GH62)을 발생한다. 또한,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는 이웃한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54)와 저항을 통해 접속되지 않고 정극성 감마조정부(82A)로부터 계조 '63'에 해당하는 정극성 전압이 공급되는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83)를 통해 정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H63)을 발생한다.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는 외부전원(81)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0'의 부극성 감마보정전압과 계조 '62'의 부극성 감마보정전압을 다수의 저항들(RN1 내지 RN4)이 직렬로 접속된 분압회로를 통해 분압하여 부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L63)을 제외한 나머지 계조들의 부극성 감마보정전압들(GL0 내지 GL62)을 발생한다. 또한,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는 이웃한 제4 감마보정전압노드(86)와 저항을 통해 접속되지 않고 부극성 감마조정부(82B)로부터 계조 '63'에 해당하는 부극성 전압이 공급되는 제3 감마보정전압노드(85)를 통해 부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L63)을 발생한다.
정극성 감마조정부(82A)는 외부전원(8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1 전압(V1)을 조정하여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의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83)에 공급한다.
부극성 감마조정부(82B)는 외부전원(8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4 전압(V4)을 조정하여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의 제3 감마보정전압노드(85)에 공급한 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가 적용된 액정표시장치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각각에 대한 콘트라스트비를 도 9 및 도 10을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액정셀(Clc)에 인가되는 전압(V)이 높을수록 투과율(T)이 낮아지는 노멀리 화이트 모드의 투과율(T) 대 전압(V) 커브이며, 도 10은 액정셀(Clc)에 인가되는 전압(V)이 높을수록 투과율(T)이 높아지는 노멀리 블랙 모드의 투과율(T) 대 전압(V) 커브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중간계조 구간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감마조정부(82A, 82B)의 조정에 의해 최상위 계조의 감마보정전압이 독립적으로 상승 가능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콘트라스트비가 더 높은 표시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를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는 이웃한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114)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113)를 통해 정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H0)을 발생하는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와, 이웃한 제4 감마보정전압노드(116)와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3 감마보정전압노드(115)를 통해 부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L0)을 발생하는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와, 정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H0)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정극성 감마조정부(112A)와, 부극성 최상위 감마보정전압(GL63)을 독립적으로 조정하기 위한 부극성 감마조정부(112B)를 구비한다.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는 외부전원(111)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1'의 정극성 감마보정전압과 최상위 계조 '63'의 정극성 감마보정전압을 다수의 저항들(RP1 내지 RP4)이 직렬로 접속된 분압회로를 통해 분압하여 정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H0)을 제외한 나머지 계조들의 정극성 감마보정전압들(GH1 내지 GH63)을 발생한다. 또한,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는 이웃한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114)와 저항을 통해 접속되지 않고 정극성 감마조정부(112A)로부터 계조 '0'에 해당하는 정극성 전압이 공급되는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113)를 통해 정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H0)을 발생한다.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는 외부전원(111)으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1'의 부극성 감마보정전압과 최상위 계조 '63'의 부극성 감마보정전압을 다수의 저항들(RN1 내지 RN4)이 직렬로 접속된 분압회로를 통해 분압하여 부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L0)을 제외한 나머지 계조들의 부극성 감마보정전압들(GL1 내지 GL63)을 발생한다. 또한,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NGMA)는 이웃한 제4 감마보정전압노드(116)와 저항을 통해 접속되지 않고 부극성 감마조정부(112B)로부터 계조 '0'에 해당하는 부극성 전압이 공급되는 제3 감마보정전압노드(115)를 통해 부극성 최하위 감마보정전압(GL0)을 발생한다.
정극성 감마조정부(112A)는 외부전원(11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2 전압(V2)을 조정하여 정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의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113)에 공급한다.
부극성 감마조정부(112B)는 외부전원(111)으로부터 공급되는 제3 전압(V3)을 조정하여 부극성 감마보정전압 발생부(PGMA)의 제3 감마보정전압노드(115)에 공급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감마보정회로가 적용된 액정표시장치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 각각에 대한 콘트라스트비를 도 12 및 도 13을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액정셀(Clc)에 인가되는 전압(V)이 높을수록 투과율(T)이 낮아지는 노멀리 화이트 모드의 투과율(T) 대 전압(V) 커브이며, 도 13은 액정셀(Clc)에 인가되는 전압(V)이 높을수록 투과율(T)이 높아지는 노멀리 블랙 모드의 투과율(T) 대 전압(V) 커브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중간계조 구간이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감마조정부(112A, 112B)의 조정에 의해 최하위 계조의 감마보정전압이 독립적으로 하강 가능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콘트라스트비가 더 높은 표시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감마조정부(52A, 52B, 53A, 53B, 82A, 82B, 112A, 112B)는 가변저항과 연산 증폭기가 조합된 전압조정회로로 구현 가능하며 가변저항의 저항값 조절을 통해 최상위 계조의 감마보정전압(GH63, GL63) 또는 최하위 계조의 감마보정전압(GH0, GL0)을 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는 최상위 계조에 해당하는 감마보정전압과 최하위 계조에 해당하는 감맙보정전압을 중간계조 구간의 감마보정전압의 변화를 유도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조정하여 콘트라스트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4)

  1. 중간 계조들의 감마보정전압을 발생하는 분압회로;
    상기 중간 계조들이 출력되는 상기 분압회로의 감마보정전압노드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최상위 감마보정전압을 발생하는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
    상기 중간 계조들이 출력되는 상기 분압회로의 감마보정전압노드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최하위 감마보정전압을 발생하는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
    상기 최상위 감마보정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제1 감마보정전압노드에 공급하기 위한 제1 감마조정부; 및
    상기 최하위 감마보정전압을 조정하여 상기 제2 감마보정전압노드에 공급하기 위한 제2 감마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
  2. 삭제
  3. 중간 계조들의 감마보정전압을 발생하는 분압회로;
    상기 중간 계조들이 출력되는 상기 분압회로의 감마보정전압노드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최상위 감마보정전압과 최하위 감마보정전압 중 어느 하나를 발생하는 감마보정전압노드; 및
    상기 감마보정전압노드에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기 위한 감마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
  4. 삭제
KR1020030083348A 2003-11-22 2003-11-22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 KR10096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348A KR100962503B1 (ko) 2003-11-22 2003-11-22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3348A KR100962503B1 (ko) 2003-11-22 2003-11-22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653A KR20050049653A (ko) 2005-05-27
KR100962503B1 true KR100962503B1 (ko) 2010-06-15

Family

ID=3866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3348A KR100962503B1 (ko) 2003-11-22 2003-11-22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5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2429B2 (en) 2014-01-20 2015-12-01 Samsung Display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6854B2 (ja) * 2006-10-25 2012-05-2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パネルドライバ
KR101806406B1 (ko) 2010-12-29 2017-1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계조 전압 생성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908A (ja) * 2001-02-23 2002-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応用機器
KR20020095979A (ko) * 2001-06-18 2002-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0908A (ja) * 2001-02-23 2002-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応用機器
KR20020095979A (ko) * 2001-06-18 2002-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02429B2 (en) 2014-01-20 2015-12-01 Samsung Display Co., Lt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9653A (ko) 2005-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4714B1 (en) Display device, liquid crytal monitor, liquid crystal television receiver, and display method
JP427851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駆動方法
JP4439171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93786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0777705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361621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852003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06004424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for determining gray level in dynamic capacitance compensation on LCD, and method for correcting gamma of LCD
KR20030003065A (ko)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동 방법,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이를 장착한 모니터
US20050057457A1 (en) Current driver and display device
KR20090015375A (ko) 구동장치,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구동방법
KR20060058019A (ko) 제어 가능한 그레이 스케일 회로를 갖는 디스플레이
KR20220127183A (ko)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8207929B2 (en) Source driver
US10902766B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brightness enhancement in display module
JPH11202299A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962503B1 (ko)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정회로
US6680755B2 (en) Adjustable biased gamma-correction circuit with central-symmetry voltage
JP2006276114A (ja) 液晶表示装置
KR100508038B1 (ko) 계조 전압을 조절하는 액정 표시 장치용 구동회로
KR100864978B1 (ko) 액정표시소자의 감마보상방법 및 장치
KR20080020093A (ko) 감마 전압 발생 회로 및 이를 구비한 액정 표시 모듈
KR101097585B1 (ko) 액정표시장치용 전압 발생 회로 및 이를 이용한액정표시장치
KR100971389B1 (ko) 감마 기준 전압 발생 회로
JPH0362017A (ja) カラー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