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929B1 -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929B1
KR100961929B1 KR1020070138692A KR20070138692A KR100961929B1 KR 100961929 B1 KR100961929 B1 KR 100961929B1 KR 1020070138692 A KR1020070138692 A KR 1020070138692A KR 20070138692 A KR20070138692 A KR 20070138692A KR 100961929 B1 KR100961929 B1 KR 100961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ke
signal
signals
controll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8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0617A (ko
Inventor
박영주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8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92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5Arrangements in which pulses are delivered at different times at several outputs, i.e. pulse distribu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1Means for detecting failure or malfunction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초기신호 발생시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생성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각 장치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작동을 안정화시켜 오작동 또는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자동차, 안정화, 웨이크 업

Description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System for controlling initial action of motor vehicle devic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에 장착된 장치의 초기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초기 작동의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장치, 예를 들면 구동 장치, 시동 장치, 제동 장치 및 전장품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차량에 장착되는 장치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장치의 초기작동시 작동 제어신호를 감지하지 못하여 각 장치가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많은 소자들을 구비한 제어 장치가, 장시간 수면상태에 있다가 갑자기 발생된 웨이크 업(wake up)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여 활성화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자동차의 전자장치가 무선통신 방식으로 초기작동 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무선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에 장착된 장치의 작동 제어시, 작동이 되지 않거나 오작동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각 장치의 초기작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장착된 장치의 초기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 작동시 각 장치의 초기작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자동차에 장착된 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에 있어서 초기신호 발생시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및 생성된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각 장치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는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 연속해서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콘트롤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이크 업 신호를 정상 신호로 인식하여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콘트롤러부는 생성된 웨이크 업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자동차에 장착된 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초기신호 발생시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웨이크 업 신호를 자동차의 각 장치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에 장착된 장치의 초기작동을 안정화시키는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즉 자동차의 다양한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초기신호 발생시,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하여 각 장치의 웨이크 업 신호 인식률을 높일 수 있으므로, 각 장치의 오작동을 줄이거나 미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무선환경 내에서 동작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전자장치에 있어서도 각 장치의 웨이크 업 신호의 인식률이 향상되어 각 장치의 초기작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생성된 웨이크 업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복수의 장치와 연동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 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1)은 자동차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자동차 장치는 자동차에 장착된 모든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구동 장치, 시동 장치, 제동 장치 및 전장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부연하면 구동 장치는 엔진 시동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장치로서 엔진 제어 유닛, 자동 브레이크 장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동 장치는 엑셀, 브레이크, 기어 변속 장치일 수 있다.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장품은 실내등, 제동등, 도어잠금 장치, 비상등, 라디오 등, 전조등, 안개등, 와이퍼, 도어, 방향 지시등, 도어 그라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자동차에 장착되는 장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자동차에 장착되는 다양한 장치의 예가 가능하다.
제어 시스템(1)의 신호 생성부(10)는 자동차에 장착된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초기신호 발생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wake up)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는 각 웨이크 업 신호간에 구별 가능한 최소한의 간격을 형성하며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신호간의 간격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신호 생성부(10)에서 생성되는 웨이크 업 신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에서 후술한다.
콘트롤러부(15)는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생성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20)를 제어한다. 액츄에이터(20)는 실제로 자동차에 장착된 각 장치를 작동시킨다. 예를 들면 액츄에이터(20)는 액츄에이터(20)와 연동되는 구동 장치, 시동 장치, 제동 장치 및 전장품 중 어느 하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때 웨이크 업 신호는 자동차의 각 장치를 정지(stop) 모드에서 런(run)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초기 제어신호이다. 각 장치는 웨이크 업 신호에 기초하여 정지 모드에서 런 모드로 변경되어 활성화(active)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콘트롤러부(15)는 신호 생성부(10)에서 생성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정상 신호로 인식하여 액츄에이터(20)를 제어한다. 즉,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잘못된 신호로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정상 신호로 감지하여 이에 따른 액츄에이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생성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웨이크 업 신호를 인식한 경우에도, 이를 정상 신호를 인식하여 액츄에이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호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도, 나머지 감지된 적어도 하나의 신호에 따라 자동차에 구비된 각 장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연속된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가 발생된 경우, 콘트롤러부(10)가 이 중 하나의 웨이크 업 신호만 감지한 때에도, 나머지 감지된 하나의 웨이크 업 신호에 의해 각 장치를 동작시키는 액츄에이터(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시스템(1)이 무선환경 내에서 동작되는 경우,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에 기초하여 자동차의 각 장치의 초기작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무선환경 내에서 발생된 웨이크 업 신호는 송신 또는 수신이 미약하여 콘트롤러부(10)의 웨이크 업 신호 인식률이 낮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은 무선 형태의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발생시키므로, 콘트롤러부(10)의 웨이크 업 신호 인식률을 향상시켜 자동차의 각 장치의 초기작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장착되는 키 이모빌라이저(key immobilizer)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키의 기계적인 일치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통신되는 암호코드가 키와 차량이 일치하는 경우에만 시동이 걸리도록 하는 무선장치이다.
이때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제어신호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한 개의 웨이크 업 신호만 생성된 경우, 웨이크 업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 장치의 오작동 또는 미작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무선환경에서 작동되는 장치는 키 이모빌라이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다양한 무선장치에 적용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나아가 콘트롤러부(15)는 각 액츄에이터를 통해 각 액츄에이터와 연동된 각 장치의 초기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자동차에 구비된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여 이와 연동된 복수의 장치 초기작동을 통합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1)의 신호 생성부(10)는 도 2와 같이 연속된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때 각 웨이크 업 신호는 상호 구별 가능한 최소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연속된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 사이의 간격 d는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속된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 사이의 간격 d는 약 10~100msec 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의 파형도이다.
도 2가 연속된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 시스템(1)에 대한 도면인 것에 비하여, 도 3은 세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발생할 때의 웨이크 업 신호의 파형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1)의 신호 생성부(10)는 연속된 세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도 2와 마찬가지로, 각 웨이크 업 신호는 상호 구별 가능한 최소 간격을 형성하며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된 웨이크 업 신호 사이의 간격 d는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10~100msec일 수 있다. 한편 신호 생성부(10)가 발생하는 연속된 웨이크 업 신호는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두 개 또는 세 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외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1)은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웨이크 업 신호를 발생시킴에 따라 콘트롤러부(15)가 웨이크 업 신호를 인식하지 못하는 오류율을 낮추거나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각 장치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20)를 정확히 초기 구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 시스템(1a)의 구성도이다.
도 1의 제어 시스템(1)이 각 제어 시스템(1)과 연관된 각 액츄에이터(20)를 제어하는 것에 비하여, 도 4의 통합 제어 시스템(1a)은 복수의 액츄에이터(20a, 20b,…, 20n)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통합 제어 시스템(1a)은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생성된 웨이크 업 신호를 기초로 복수의 액츄에이터(20a, 20b,…, 20n)를 통합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통합 제어 시스템(1a)은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통신 라인을 통해 복수의 액츄에이터(20a, 20b,…, 20n)에 전송함에 따라 복수의 액츄에이터(20a, 20b,…, 20n)와 연동된 자동차의 복수의 장치를 동작시킨다.
자동차에 장착된 정속 주행장치를 예를 들면, 통합 제어 시스템(1a)의 콘트롤러부(15a)는 신호 생성부(10)를 통해 생성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기초로 정속 주행장치, 기어 변속장치, 트랜스미션 장치, 속도 제어장치 및 브레이크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정속 주행장치는 자동차의 현재 주행속도와 경사 유무에 따라 자동차의 일정한 속도의 주행을 유지시키는 장치이며, 속도 제어장치는 스로틀 클러치 등을 제어하여 자동차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여기서 통합 제어 시스템(1a)은 복수의 액츄에이터(20a, 20b,…, 20n)를 제어하는 웨이크 업 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아니라,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한 번 발생시켜 복수의 액츄에이터(20a, 20b,…, 20n)에 분주하여 제공하므로, 자동차의 각 장치와 연동된 복수의 액츄에이터(20a, 20b,…, 20n)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에 장착된 복수의 액츄에이터(20a, 20b,…, 20n)를 일일이 제어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복수의 액츄에이터(20a, 20b,…, 20n)의 동작제어 처리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통합 제어 시스템(1a)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외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시스템(1)은 자동차에 구비된 각 장치를 작동시키는 초기신호 발생시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한다(S100). 이때 각 웨이크 업 신호는 상호 구별 가능한 최소 간격을 유지하며 연속적으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 간격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웨이크 업 신호를 정상신호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생성된 웨이크 업 신호를 자동차의 각 장치를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에 인가한다(S110). 나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이크 업 신호를 정상 신호로 인식하여 액츄에이터(20)를 제어한다(S120).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에 장착된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1)은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자동차의 각 장치의 초기작동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속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에 의해, 특히 무선환경과 같은 신호의 입출력이 미비하여 신호 인식률이 낮은 경우에도, 웨이크 업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각 장치의 오작동 또는 미작동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의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신호의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 시스템 1a : 통합 제어 시스템
10 : 신호 생성부 15 : 콘트롤러부
20 : 액츄에이터

Claims (6)

  1. 자동차에 구비된 비작동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작동 시작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들을 신호 생성부를 통하여 생성하는 단계;
    컨트롤러부가 상기 웨이크 업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정상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정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부가 장치를 작동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가 웨이크 업 신호를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부가 적어도 두 개의 연속적인 신호를 감지하면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를 미리 설정된 간격에 따라서 연속해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들은 복수로서, 이들 각각을 작동시키는 복수의 엑츄에이터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부가 장치를 작동시작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부가 복수의 엑츄에이터를 일괄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장치들을 작동시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5. 자동차에 구비된 비작동 상태의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작동 시작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웨이크 업 신호들을 생성하는 신호 생성부;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웨이크 업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면 상기 웨이크 업 신호가 정상으로 판단하는 컨트롤러부; 및
    상기 컨트롤러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장치를 작동시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부는 상기 생성된 웨이크 업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KR1020070138692A 2007-12-27 2007-12-27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KR100961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692A KR100961929B1 (ko) 2007-12-27 2007-12-27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8692A KR100961929B1 (ko) 2007-12-27 2007-12-27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617A KR20090070617A (ko) 2009-07-01
KR100961929B1 true KR100961929B1 (ko) 2010-06-10

Family

ID=4132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8692A KR100961929B1 (ko) 2007-12-27 2007-12-27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79213B (zh) * 2019-12-25 2022-04-29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网络管理的控制器电源智能切换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0617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3577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on-vehicle devices when vehicle is about to be submerged in flooded area
CN103144574A (zh) 用于车辆的制动信号控制系统及其方法
CN100564117C (zh) 用于操作刹车系统、特别是汽车停车制动器的方法和装置
US10309534B2 (en) Control device in a motor vehicle having an electronically controllable automatic transmission in the application case of a car wash
US9710985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7446648B2 (en) Passive activation vehicle system alert
JP2008546254A (ja) 受動認証時の信号感度制御
JP2010076509A (ja) 電源監視装置
US20060142992A1 (en) Power window device
EP2033858B1 (en) Burglarproof device of a vehicl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herefor
KR100961929B1 (ko) 자동차에 구비된 장치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이의 초기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
KR20210003336A (ko)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151714A1 (en) Vehicle control system with suppression of wiper noise
KR100765831B1 (ko) 차량 도난 방지 시스템의 시동장치
EP2858862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US76598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 driver of a hybrid electric vehicle that the vehicle is in a drive state
JP2008278431A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3523096B2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CN110341698A (zh) 一种汽车控制方法及汽车
CN100534838C (zh) 利用已装设后的车辆防盗器再控制车辆其它设备的方法及其装置
EP4001019A1 (en) In-vehicle power supply system
EP4049905A1 (en) Vehicle with smart key system
KR100324920B1 (ko) 수동변속 자동차의 충돌 회피장치
JP2018052172A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2003212067A (ja) 車両用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