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788B1 - 관악기의 조리개 - Google Patents

관악기의 조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788B1
KR100961788B1 KR1020070128948A KR20070128948A KR100961788B1 KR 100961788 B1 KR100961788 B1 KR 100961788B1 KR 1020070128948 A KR1020070128948 A KR 1020070128948A KR 20070128948 A KR20070128948 A KR 20070128948A KR 100961788 B1 KR100961788 B1 KR 100961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ortion
main contact
diaphragm
lead
aper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8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1932A (ko
Inventor
유우섭
박상영
Original Assignee
유우섭
박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우섭, 박상영 filed Critical 유우섭
Priority to KR1020070128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788B1/ko
Publication of KR20090061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2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a locking element, e.g. pin, ball or pushbutton, engaging in a hole in the wall of at least one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5Noble metals, i.e. Ag Au, Ir, Os, Pd, Pt, Rh, R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드와 접촉하여 눌러주기 위하여 리드의 표면 기울기에 대응하는 완만한 호 형상의 접촉면을 가지며 조리개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접촉부와 조리개의 하면 일부에 상기 주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된 조리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주접촉부가 상기 조리개 본체의 개방부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의 조리개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의 분리 가능한 주접촉부의 양 측면과 리드접촉부의 개방부의 양 측면에 레일을 형성하여 다른 결속장치 없이 간편하게 주접촉부를 착탈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관악기, 조리개, 은, 접촉돌기, 당초문양, 레일

Description

관악기의 조리개{LIGATURE OF WIND INSTRUMENT}
본 발명은 조리개의 하면 일부에 레일 또는 홈이 형성된 개방부를 두어 조리개 본체와 분리 가능한 주접촉부를 삽입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관악기의 조리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조리개의 소재를 은으로 하고 양 측면에 균일한 개방부(103)를 두었으며, 리드(reed)를 고정하는 부분에 접촉돌기(104)를 형성하여 구성한 관악기의 조리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 제10-0445857호의 '관악기 마우스피스용 체결물'에 개시된 체결물은 리드부의 외면과 접촉하는 쐐기부재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조임나사를 이용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실시예로서 4개의 돌출부를 가진 쐐기부재를 들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쐐기부재를 사용한 종래기술은 착탈할 때마다 조임나사와 홈부를 맞춰 끼워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각 결속용 부재가 분리되어 있어 분실의 위험도 높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쐐기부재상에 나있는 4개의 돌출부는 크기가 작고 끝이 뾰족하여 강한 힘으로 체결물을 조이는 경우 표면이 약한 리드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리드와 쐐기부재의 전면이 직접 닿는 경우도 발생하여 음의 진동을 막아 음질을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음의 진동은 리드의 중심축에서 벗어날수록 활발하기 때문에 상기 종래 기술에 개시된 돌출부는 쐐기부재상의 최외곽에 위치하여 리드의 진동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기술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8-032833호의 '관악기 취부에 리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물'에 개시된 체결물의 소재는 클램프(clamp) 형태의 탄성 소재로써 금속, 합금, 또는 플라스틱 재료이다.
그러나 관악기의 음향학적 정설에 따르면 체결부의 소재로써 금속이나 합금을 사용하는 경우 연주시 음이 거칠고 강한 금속성 소리가 난다는 단점이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의 경우에는 둔탁한 소리가 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종래기술은 체결물의 테두리에 의해 리드의 둥근 외면을 감싸도록 하고 별개의 바아를 결속시켜 리드를 길이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아를 결속시키는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 리드와 접촉하는 면이 넓어지기 때문에 연주시 리드와 마우스피스(mouthpiece)의 진동을 막아 음색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의 체결물의 좌우측의 개방부는 테두리와 이음부를 제외하고 모두 개방된 형태가 되어 연주시 테두리와 접촉하는 면과 접촉하지 않는 개방부에서의 음이 진동하는 정도가 달라 음색이 고르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체결하기 위한 상기의 체결물을 조리개라고 명명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개로부터 분리 가능한 주접촉부와 조리개 하면의 개방부에 레일 돌기 또는 레일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주접촉부를 착탈할 수 있는 조리개를 얻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개의 소재를 음의 전도율이 높은 은으로 하고 조리개 양 측면에 다수의 곡선형 개방부가 형성된 조리개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악기의 조리개는, 리드와 접촉하여 눌러주기 위하여 리드의 표면 기울기에 대응하는 완만한 호 형상의 접촉면을 가지며 조리개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접촉부와 조리개의 하면 일부에 상기 주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된 조리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주접촉부가 상기 조리개 본체의 개방 부에 삽입 및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의 조리개이다.
종래의 주접촉부는 조리개의 하면을 구성하고 리드와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조리개와 일체를 이루고 있는 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주접촉부는 조리개 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언제든지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주접촉부와 조리개의 하면 일부의 개방부는, 주접촉부의 양 측면에 레일 홈(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개 본체의 하면 일부의 개방부 양측면에는 레일 돌기(또는 레일 홈)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레일 홈에 상기 레일 돌기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주접촉부가 상기 조리개 본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조리개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분리 가능한 주접촉부를 조리개에 결속시키기 위한 별도의 결속장치가 필요 없게 되어 주접촉부를 조리개 본체의 개방부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거나 빼냄으로써 간편하게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리드와 접촉하는 접촉돌기의 형태가 다양한 주접촉부를 사전에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주접촉부의 접촉면은 4개의 접촉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의 조리개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4개의 접촉돌기를 형성함으로써 리드와 주접촉부의 전면이 닿는 것을 방지하여 음의 진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보다 풍부한 음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의 접촉돌기의 접촉면은 리드의 표면 기울기에 대응하는 호 형상의 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의 조리개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리드의 표면 기울기와 접촉돌기의 접촉면을 일치시킴으로써 리드의 손상을 막고 리드가 조리개의 주접촉부에 정확히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의 뾰족한 돌기가 조이는 힘에 의해 리드의 표면을 파고들어 손상시킬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을 개선하였다.
또한 여기서 상기 조리개 본체의 양 측면에 있어서는 다수의 곡선형 개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조리개이다. 나아가 상기 곡선형 개방부는 당초문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리개 양 측면의 개방부의 무늬를 균일하게 골고루 분포시켜 조리개와 접촉하는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진동을 고르게 함으로써 조리개 양 측면의 테두리를 제외한 전면이 개방된 종래의 체결물보다 고른 음질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당초문양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개방부의 고른 분포를 실현함과 동시에 관악기의 심미감을 더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상기의 조리개 본체에 있어서는 그 재질이 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조리개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은 외의 다른 금속이나 플라스틱 또는 가죽소재와는 달리 은은 음의 전도율이 좋아서 관악기의 마우스피스와 리드의 진동에서 발생하는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분리 가능한 주접촉부의 양 측면과 조리개의 하면 일부에 형성된 개방부의 양 측면에 레일 홈 또는 레일 돌기를 형성하여 다른 결속장치 없이 간편하게 주접촉부를 착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관악기의 조리개 소재를 은으로 하고 조리개 양 측면에 다수의 곡선형 개방부를 골고루 분포시켜 구성하였으므로 음 전도율을 높이고 음의 진동을 균일하게 발생시켜서 보다 개선된 음질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각 도면에 붙여진 도면부호는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다른 도면이라도 동일한 부호로 표기된 것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1(a)는 본 발명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주접촉부(101)에 레일 홈(108)이 형성되어 있고 조리개 본체의 개방부(102)의 양 측면에 레일 돌기(107)가 형성되어 있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1(a)를 통하여 레일 돌기(107) 또는 레일 홈(108)이 형성되어 있는 관악기의 조리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a)에서의 주접촉부(101)는 조리개와 일체화된 종래의 주접촉부와는 달리, 조리개 본체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조리개 본체는 주접촉부(101)가 끼워져 들어갈 레일 돌기(107) 또는 레일 홈(108)이 형성된 조리개 하면의 개방부(102)와 조리개의 양 측면을 연결하는 이음부(도2의 201참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1(a)에서 주접촉부(101)의 홈(108)은 정확히 조리개 하면의 개방부(102)에 돌출된 레일 돌기(107)와 일치한다. 따라서 주접촉부(101)를 상기 레일 돌기(107)에 맞춰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 넣으면 도3에서와 같은 주접촉부(101)를 가진 조리개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도1의 109는 완전히 끼워진 주접촉부(101)와 조리개 하면의 개방부(102)의 종단면도이다.
한편 상기와는 반대로 주접촉부(101)에 레일 돌기가 돌출되어 있고 조리개 하면의 개방부(102)에는 레일 홈이 형성되어 있는 변형예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도1(b)는 주접촉부(101)의 종단면도이다. 110은 접촉돌기(104)의 접촉면으로서 리드의 둥근 외면의 기울기에 대응하도록 호 형상의 면을 이루고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주접촉부(101)를 조리개 하면의 개방부(102)에 끼우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리개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주접촉부(101)를 조리개에 끼운 후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고정시키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주접촉부(101)를 조리개 하면의 개방부(도1의102)에 형성되어 있는 레일 돌기(도1의107)에 밀어서 완전히 끼워 넣는다. 이 때 조임쇠(105)는 느슨하게 풀어 놓아 조리개의 직경을 넓혀 놓는 것이 조립의 편의상 바람직하다. 또한 조리개의 상부내경은 하부내경보다 작기 때문에 관악기에 조리개를 체결하는 경우 내경이 작은 쪽이 위로 향하도록 체결한다.
이 후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적소에 끼우고 조임쇠(105)를 조여 리드를 완전히 고정시킨다. 리드가 완전히 고정되면 조이는 힘에 의해 주접촉부(101)는 조리개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주접촉부(101)를 조리개 하면의 개방부(102)에 완전히 고정시키면 도4의 주접촉부(101)의 부분평면도와 일치하게 된다.
도2에서는 주접촉부(101)를 조리개의 위에서 아랫방향으로 끼우고 있으나 이와 반대구조로서 아래에서 위로 끼우는 방법을 상정할 수 있다. 다만 아랫방향에서 끼우는 방법은 주접촉부(101)가 연주 도중에 밑으로 빠질 수도 있기 때문에 위에서 아래로 끼우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레일 구조의 조리개에 의하면 언제든지 주접촉부(101)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리드와 접촉하는 접촉돌기(104)의 형태가 각각 다른 주접촉부(101)를 사전에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은을 소재로 하고 조리개의 양 측면에 개방부(103)가 다수의 곡선형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주접촉부(101)에 4개의 접촉돌기(104)가 나 있는 관악기 조리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의 사시도는 도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주접촉부(101)를 조리개 본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한 후의 그림이다.
이하 조리개에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끼우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3에서 클램프 방식의 조리개의 본체에 분리 가능한 주접촉부(101)를 삽입한 후 마우스피스와 리드를 적소에 끼우고 조임쇠(105)로 조이면 조리개의 주접촉부(101)에 돌출된 4개의 접촉돌기(104)가 리드의 둥근 외면을 압착하여 리드를 단단히 고정시킨다.
상기 접촉돌기(104)의 끝은 리드의 둥근 외면에 맞도록 호 형상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리드를 손상시키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연주자가 조리개를 리드와 함께 완전히 마우스피스에 고정시킨 후 관악기를 조립하여 연주하면 음 전도율이 좋은 은으로 제작된 조리개의 양 측면에 좁고 미세하게 골고루 분포된 다수의 곡선형 개방부(103)에서는 음이 고르게 진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103)는 당초문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초문양은 미관상 고급스러움을 더할 뿐 아니라 좁고 미세한 무늬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도4의 (a)는 본 발명의 관악기 조리개의 하면을 구성하는 주접촉부(101)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의 부분도는 주접촉부(101)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조리개 본체에 삽입된 후의 조리개의 하면을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접촉부(10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의 (a)를 보면, 주접촉부(101)에 리드와 접촉하는 4개의 접촉돌기(104)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쐐기부재가 외곽 모서리 부분에 4개의 돌출부를 가진 것과는 달리 주접촉부(101)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가깝게 접촉돌 기(104)를 형성한 것이다. 리드에서의 음의 진동은 리드의 외곽으로 갈수록 활발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중심축에 가깝게 접촉돌기(104)를 위치시킴으로써 리드의 진동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풍부한 음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4의 (b)는 주접촉부(101)를 정면에서 바라본 종단면도이다. 110을 보면 접촉돌기(104) 끝이 납작하되 리드의 둥근 외면과 일치하도록 호 형상의 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기의 호 형상의 면은 조리개가 리드의 둥근 외면에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리드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관악기 조리개의 좌우측면도이다. 조리개 양 측면의 개방부(103)는 좌우 대칭이며 당초문양이다. 음을 고르고 넓은 범위에서 진동시키기 위해 상기 개방부(103)는 조리개의 양 측면이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넓어지는 비율과 같은 비율로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개방부(103)의 외곽에는 조이는 힘을 지탱하기 위한 테두리(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에 있어서 분리 가능한 주접촉부(101)에 레일 홈(108)이 형성되어 있고 조리개 본체의 개방부(102)의 양 측면에 레일 돌기(107)가 형성되어 있는 사 시도이다.
도1(b)는 주접촉부(101)의 종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있어서 주접촉부(101)를 조리개 하면의 개방부(102)에 끼우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조리개의 저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있어서 은을 소재로 하고 조리개의 양 측면에 개방부(103)가 다수의 곡선형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주접촉부(101)에 4개의 접촉돌기(104)가 나 있는 관악기 조리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의 (a)는 본 발명의 관악기 조리개의 하면을 구성하는 주접촉부(101)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4의 (b)는 주접촉부(101)를 정면에서 바라본 종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관악기 조리개의 좌우측면도이다.

Claims (7)

  1. 리드와 접촉하여 눌러주기 위하여 리드의 표면 기울기에 대응하는 완만한 호 형상의 접촉면(110)을 가지며 조리개 본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주접촉부(101)와;
    조리개의 하면 일부에 상기 주접촉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방부(102)가 형성된 조리개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주접촉부(101)가 상기 조리개 본체의 개방부(102)에 삽입 및 결합되되, 상기 주접촉부(101)의 양 측면에는 레일 홈(또는 돌기)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개 본체의 하면 일부의 개방부(102) 양측면에는 레일 돌기(또는 레일 홈)가 형성되어 상기 레일 홈에 상기 레일 돌기가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주접촉부(101)가 상기 조리개 본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조리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접촉부(101)의 접촉면에는 4개의 접촉돌기(10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조리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104)의 접촉면은 리드의 표면 기울기에 대응하는 호 형상의 면(110)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조리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본체의 양 측면에는 다수의 곡선형 개방부(10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조리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 개방부(103)는 당초문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조리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본체는 재질이 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악기 조리개.
KR1020070128948A 2007-12-12 2007-12-12 관악기의 조리개 KR100961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948A KR100961788B1 (ko) 2007-12-12 2007-12-12 관악기의 조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8948A KR100961788B1 (ko) 2007-12-12 2007-12-12 관악기의 조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932A KR20090061932A (ko) 2009-06-17
KR100961788B1 true KR100961788B1 (ko) 2010-06-07

Family

ID=4099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8948A KR100961788B1 (ko) 2007-12-12 2007-12-12 관악기의 조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7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264B2 (ja) 2013-08-09 2017-08-16 ヤマハ株式会社 管楽器用ベル、管楽器及び縁輪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5838A (en) 1987-03-23 1988-05-24 Johnson Conrad O Reed holding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US4941385A (en) 1989-05-22 1990-07-17 Johnson Conrad O Tone plate and clamping device for a musical instrument mouthpiece
WO1999067773A1 (en) 1998-06-23 1999-12-29 Consoli Music Systems, Inc. Ligature for the mouthpiece of a woodwind musical instrum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5838A (en) 1987-03-23 1988-05-24 Johnson Conrad O Reed holding device for musical instruments
US4941385A (en) 1989-05-22 1990-07-17 Johnson Conrad O Tone plate and clamping device for a musical instrument mouthpiece
WO1999067773A1 (en) 1998-06-23 1999-12-29 Consoli Music Systems, Inc. Ligature for the mouthpiece of a woodwind musical instru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932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09755B1 (en) A microphone mounting apparatus
US9631652B2 (en) Clip-on mounting assembly for musical instruments
US3763736A (en) Electrical pickup for guitar and combination
US6124536A (en) Bridge mechanism for the acoustic guitar
US7655852B2 (en) Single reed woodwind musical instrument mouthpiece apparatus and method
US9728175B2 (en) Interchangeable pickup system for an electr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JP2006163382A (ja) リガチャ
JP2010276786A (ja) シンバルホルダ及びシンバルスタンド
JP2005513578A (ja) 単一の音栓リードを有する楽器用のマウスピース組立体
EP3826002A1 (en) Electric string instrument
KR100961788B1 (ko) 관악기의 조리개
US20050066791A1 (en) String instrument chinrest pad system
US20190221198A1 (en) Finger Connecting Flute Attachment
KR102100507B1 (ko) 목관악기용 리가춰
JP5281248B2 (ja) 木管楽器用リガチャー
US6818814B2 (en) Bridge for guitars
KR200453252Y1 (ko) 섹소폰용 마우스피스
US6606392B2 (en) Speaker device
KR100902129B1 (ko) 리드의 장력을 조절하는 리가쳐
WO2017217606A1 (ko) 섹소폰 마우스피스의 리드 누름 보조기구
JP7272085B2 (ja) 楽器用の効果付与具
JP7418769B1 (ja) シングルリード向け木管楽器用リガチャー
JPH10299727A (ja) 締め付けバンド
KR101386383B1 (ko) 리드몸체진동부를 형성한 리가츄어
JP6690330B2 (ja) マウスピース及び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