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463B1 - 치과용 근관충전재 - Google Patents

치과용 근관충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463B1
KR100961463B1 KR1020090009923A KR20090009923A KR100961463B1 KR 100961463 B1 KR100961463 B1 KR 100961463B1 KR 1020090009923 A KR1020090009923 A KR 1020090009923A KR 20090009923 A KR20090009923 A KR 20090009923A KR 100961463 B1 KR100961463 B1 KR 100961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
mark
root canal
displayed
mar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슈어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슈어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슈어덴트
Priority to KR1020090009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463B1/ko
Priority to US12/701,179 priority patent/US2010020347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4Means for controlling working depth, e.g. supports or boxes with depth-gauging means, stop positioners or files with adjustably-mounted 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과용 근관충전재가 개시된다. 개시된 치과용 근관충전재는, 치아 근관에 먼저 삽입되는 선단이 가늘고 반대측의 두부로 갈수록 점차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선단부터 상기 두부까지 테이퍼로 형성되고, 상기 근관에 정확한 치수의 길이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 일측에 작업 길이가 표시된 근관충전재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치수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두부에 테이퍼 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퍼 마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선단측으로 상기 작업 길이가 표시된 작업 길이 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직경 치수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직경 치수에 해당되는 칼라가 상기 테이퍼 마크 및 상기 작업 길이 마크가 동일한 하나의 칼라로 표시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치과용 근관충전재 몸체에 근관충전재의 크기 및 작업 길이를 구분할 수 있는 치수를 모두 표시할 수 있어 치과 작업이 수월하며, 근관충전재의 제조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치과용 근관충전재, 작업 길이, 테이퍼

Description

치과용 근관충전재{DENTAL FILLING MATERIAL}
본 발명은 치과용 근관충전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모든 크기 구분 치수와 작업 길이를 근관충전재에 모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개선된 치과용 근관충전재에 관한 것이다.
근관충전재는 충치에 의한 치아의 부식이 치수(齒髓)에 이르게 되어 치아의 신경 및 모세혈관을 제거할 경우, 그 공동 신경관부, 즉 치근관을 기밀적으로 충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과용 충전 치료재이다.
이와 같은 근관충전재를 이용한 충전시술은 임상치료의 기초로서, 이러한 근관충전이 완벽하게 행하여지지 않을 경우에는 그 근관 내부에 사강(死腔)을 갖게되어 근단부위의 치주조직에 장애를 주게됨으로써 심한 경우 발치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는 등 처치 후의 임상 경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과용 근관충전재 및 치료재에는 그 용도 및 재질에 따라 고무수지류의 일종인 가타퍼차 포인츠(gutta percha points), 은재의 실버포인츠 및 지재로된 페이퍼 포인츠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근관충전재 등의 형상은 통상, 그 선단이 가늘고 그 반대측의 두부로 갈수록 점차 큰 직경을 가지는 침상(針狀) 또는 콘(cone)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인 근관충전재의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충전재는 근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길이가 표시(length mark)가 된 몸체와, 상기한 바와 같이 두부에 착색잉크가 도장된 착색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은 형상으로 된 근관충전재들은 치아 근관의 크기(직경)에 따라 알맞은 규격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그 선단의 직경이 보통 0.05mm의 미소한 차이를 두고 여러 단계의 치수를 갖도록 다양한 규격으로 제품화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세분화된 규격을 가지는 치과용 충전재 등은 그 치수를 육안으로 판별하기가 불가능하므로, 이를 제품화하며 규격별로 포장함에 있어서는 소정 개수의 근관충전재가 담겨지는 단위포장 용기나 박스에 그 치수를 표시하고, 이에 부가하여 이들 각 단위용기나 박스에 정해진 식별용 색채(color code) 즉, 홍색, 청색, 녹색, 흑색, 백색, 또는 황색 등의 색상이 인쇄된 라벨 등을 부착함으로써 사용하고자 하는 근관충전재의 규격을 보다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품의 수용용기 또는 박스의 구분에 의한 치수 표시방법은 미소한 규격 차이를 가지는 근관충전재들이 그 취급 사용되는 도중에 각기 다른 규격의 근관충전재와 함께 섞일 경우, 그 치수의 구별 및 재분류가 거의 불가능하게 되어 이를 잘못 사용할 경우에는 정확한 치수를 갖는 충전재의 사용이 요구되는 치아의 근관충전 및 치료에 완벽을 기할 수 없게 됨으로써, 처치후의 임상경과에 상기한 바와 같은 장해 요인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미소한 차이를 갖는 근관충전재의 두부에 선정된 규격표시용 착색부를 직접 구비하게 함으로써 각기 다른 치수를 가지는 근관충전재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한 치과용 근관충전재가 고안(1987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245호)된 바 있다.
상기 착색부에 착색잉크와 치구장치를 이용하여 착색하는 치구장치 및 표시방법이 1987년 특허출원 제000212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착색부에 별도의 착색잉크 및 별도의 치구장치를 이용해야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번거롭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결국 제조원가(또는 제조비용)가 상승되는 요인이 된다.
다른 한편으로, 근관충전재의 길이 표시는 몸체에 표시되는데, 이를 통상 작업 길이(work length)라 하며, 이 길이 표시가 1998년 특허출원 제044744호, 1998년 특허출원 제037719호 등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 길이 표시 방법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며, 이에 따라 제조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침상 또는 콘 형태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는 상기 몸체에 길이(length) 표시, 두부인 착색부의 칼라 종류로 굵기(지름) 표시를 한다.
또한 침상 또는 콘 형태의 근관충전재의 테이퍼(taper)를 알아야만 하나, 이 테이퍼 표시를 할 수 없으며, 현재로서는 이러한 모든 표시(작업 길이, 직경, 테이퍼 치수)를 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하나의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몸체에 작업 길이 치수, 직경(굵기) 치수, 및 테이퍼 치수를 모두 표시하여 치과 작업을 향상시키고, 제조가 간단해 지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치과용 근관충전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과용 근관충전재는, 치아 근관에 먼저 삽입되는 선단이 가늘고 반대측의 두부로 갈수록 점차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선단부터 상기 두부까지 테이퍼로 형성되고, 상기 근관에 정확한 치수의 길이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 일측에 작업 길이가 표시된 근관충전재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치수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두부에 테이퍼 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퍼 마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선단측으로 상기 작업 길이가 표시된 작업 길이 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직경 치수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직경 치수에 해당되는 칼라가 상기 테이퍼 마크 및 상기 작업 길이 마크가 동일한 하나의 칼라로 표시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치과용 근관충전재 몸체에 근관충전재의 크기(테이퍼 및 직경 치수) 및 작업 길이를 구분할 수 있는 치수를 모두 표시할 수 있어 치과 작업시 근관충전재의 치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작업이 수월하며, 근관충전재를 담는 케이스에 별도의 표시를 하지 않아도 되고, 두부의 별도의 착색부를 표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근관충전재의 제조공정을 단순하게 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22에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일반적인 치과용 근관충전재는 전술한 도 1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특징적인 구성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10)는, 치아 근관에 먼저 삽입되는 선단이 가늘고 반대측의 두부로 갈수록 점차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선단부터 두부까지 테이퍼로 형성되고, 치아 근관에 정확한 치수의 길이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15) 일측에 작업 길이가 표시된다.
이러한 근관충전재(10)는, 침상 또는 콘 형태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원통 크기를 나타내는 직경 치수, 테이퍼 정도를 나타내는 테이퍼 치수, 및 삽입되는 깊이를 알기 위한 작업 길이 치수라는 3가지 치수 표시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10)는, 근관충전재(10)의 직경 치수를 구분하기 위해 몸체(15)에 테이퍼 치수를 나타내는 테이퍼 마크(Φ)와, 작업 길이가 표시된 작업 길이 마크(WL)가 동일한 하나의 칼라(C)로 표시된다.
예컨대, 도 2의 (B)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크기 순서에 따라 테이퍼 마크(Φ) 및 작업 길이 마크(WL)에 표시된 칼라(C)가 흑색, 녹색, 청색, 적색, 황색, 흰색 등의 칼라 순서로 이루어지게 하고, 그 이상의 직경 크기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칼라(C1∼C9)를 순서를 반복하여 표시된다.
즉, 각각의 칼라, C1, C2, C3, C4, C5, C6, C7, C8, 및 C9 순서대로 직경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정해진다. 이 직경은 통상 규격에 의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칼라(C1∼C9)를 보면, 그 칼라에 해당되는 근관충전재의 직경 치수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 치수를 표시하기 위해 두부 일측에 테이퍼 마크(Φ)가 표시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테이퍼 마크(Φ)의 치수는, 근관충전재의 두부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Φ)의 크기에 따라 구분된다. 이러한 테이퍼 마크(Φ)에서 테이퍼 치수는 테이퍼 마크(Φ)의 크기 차이 또는/및 개수에 따라 0.01, 0.02, 0.04로 구분된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충전재(10a)가 0.02의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정 폭(또는 높이)으로 된 제1테이퍼마크(12)를 표시(마 킹)하면 된다. 그리고 근관충전재(10b)가 0.03의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테이퍼마크(12) 1개와 제1테이퍼마크(12)의 대략 절반 폭을 갖는 제2테이퍼마크(13)를 일정 거리를 두고 표시하면 된다.
그리고 0.04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0c)의 경우에는, 제1테이퍼마크(12) 2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하면 된다.
또한 0.05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0d)의 경우에는, 제1테이퍼마크(12) 2개와 제2테이퍼마크(13) 1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표시하면 된다.
그리고 0.06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0e)의 경우에는, 제1테이퍼마크(12) 3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0.07 테이퍼의 근관충전재(10f)도 표시하면 된다.
또한 0.08 테이퍼 치수의 근관충전재(10g)의 경우에는 제1테이퍼마크(12)보다 폭을 크게 한 제3테이퍼마크(14) 하나를 0.04 테이퍼(치수)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3테이퍼마크(14) 2개를 근관충전재(10g)의 두부에 표시하면, 이 근관충전재(10g)는 0.08 테이퍼를 이루어진 것으로 된다.
그리고 0.10 테이퍼 치수를 갖는 근관충전재(10h)의 경우에는 제3테이퍼마크(14)와 제2테이퍼마크(13)를 섞어 조합하여 표시하면 되고, 0.12 테이퍼 치수를 갖는 근관충전재(10i)의 경우에도 제3테이퍼마크(14) 3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표시하면 된다.
특히, 도 6 내지 도 11의 경우에는 제2테이퍼마크(13)와 제3테이퍼마크(14)의 표시 순서를 바꾸어 표시하여도 된다. 즉, 도 2 내지 도 5의 표시와는 다르게 상기 제2테이퍼마크(13)와 제3테이퍼마크(14)의 표시 순서를 바꾼 경우에도 같은 테이퍼 치수로 보고 읽으면 된다.
또한 테이퍼 마크(Φ)의 치수 표시를 다른 방법으로 표시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한 표시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도 12의 근관충전재(1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 폭으로 정한 하나의 제4테이퍼마크(21)를 갭(g)을 두고 두부에 표시한다. 그러면, 테이퍼 치수를 나타내는 최소 치수인 0.02를 나타낸다.
그리고 0.03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10b)의 경우에는, 두부에 제4테이퍼마크(21)와 제4테이퍼마크(21)보다 조금 작은 폭의 제5테이퍼마크(22)를 0.01로 정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근관충전재(110b)는 0.03 테이퍼 치수를 갖게 된다.
또한 0.04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10c)의 경우에는, 두부에 제4테이퍼마크(21)와 제5테이퍼마크(22) 크기의 중간 정도의 제6테이퍼마크(23) 2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근관충전재(110c)는 0.04 테이퍼 치수를 갖게 된다.
그리고 0.05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10d)의 경우에는, 두부에 제6테이퍼마크(23) 2개와 제5테이퍼마크(22) 1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3개를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근관충전재(110c)는 0.05 테이퍼 치수를 갖게 된다.
또한 0.06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10e)의 경우에는, 두부에 제 6테이퍼마크(23) 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갖는 제7테이퍼마크(24) 3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근관충전재(110e)는 0.06 테이퍼 치수를 갖게 된다.
그리고 0.07 테이퍼 치수인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근관충전재(110f)의 두부에 제7테이퍼마크(24) 3개와 제5테이퍼마크(22) 1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근관충전재(110f)는 0.07 테이퍼 치수를 갖게 된다.
또한 0.08 테이퍼 치수를 갖는 근관충전재(110g)의 경우에도 제7테이퍼마크(24) 4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하면 된다.
그리고 0.10의 테이퍼 치수를 갖는 근관충전재(110h)와 0.12의 테이퍼 치수를 갖는 근관충전재(110i)의 경우에는 폭이 상대적으로 큰 제8테이퍼마크(25)와 이에 비해 폭이 작은 제9테이퍼마크(26)를 조합하여 나타낸다. 즉, 상기 제8테이퍼마크(25) 하나가 0.02 테이퍼 치수를 나타내고, 제9테이퍼마크(26) 하나는 0.01 테이퍼 치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 13의 근관충전재(120a∼120i) 및 도 14의 근관충전재(130a∼130i)에도 적용한다.
마찬가지로, 도 15 및 도 16의 근관충전재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테이퍼마크의 크기에 차이를 많이 두고 테이퍼 치수를 표시한 실시예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근관충전재(140a)의 0.02 마크(31)와 두 번째 근관충전재(140b)의 0.03 마크(3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차이가 많이 난다.
그리고 테이퍼 치수가 점차로 커지는 경우에는 세 번째 이하의 근관충전 재(140c∼140i)의 0.02 마크(33,34,35,36)의 크기를 점차 줄여가면서 표시한다. 이는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며, 이를 도 16의 근관충전재(150a∼150i)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의 테이퍼 치수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충전재(160a∼170i)의 두부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Φ)의 개수와 작업 길이 마크(WL)(11)의 개수를 곱한 값으로 구분된다.
즉, 아래의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식 1]
테이퍼 치수 = 테이퍼 마크(Φ)의 개수 × 작업 길이 마크(WL)(11)의 개수
이때, 테이퍼 마크(Φ) 하나의 값은 0.01이다.
특히, 도 17 및 도 18에서, 테이퍼 마크(Φ)를 나타내는 테이퍼 마크(Φ)(51,52,61,62)의 크기와 관계없이 이를 0.01로 하고, 여기에 작업 길이 마크(WL)(11)의 개수를 곱하면 된다. 이를 참고하여 예컨대, 도 17에서 첫 번째 근관충전재(160a)의 경우에는 0.01×2 =0.02이다. 따라서 상기 근관충전재(160a)는 0.02 테이퍼 치수를 갖는다.
다른 예로, 도 18의 마지막 근관충전재(170i)의 경우에는 테이퍼 마크(Φ)인 테이퍼 마크(Φ)(62)가 2개이고, 작업 길이 마크(WL)(11)의 줄 수가 6개이므로, 0.02 × 6이 되므로, 상기 근관충전재(170i)의 테이퍼 치수는 0.12이다.
그리고 도 19 내지 도 21의 경우에도 전술한 도 16과 같은 방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테이퍼 마크(Φ)인 테이퍼 마크(Φ)(71∼88)의 상대 크기에 따라 0.01 또는 0.02로 하고, 그 표시된 개수로 계산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크기가 2개 또는 그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 0.02씩 계산하고, 서로 상이한 마크가 섞어 있으면 큰 것은 0.02, 작은 것은 0.01로 계산하면 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 마크(Φ)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선단측으로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된다. 이러한 작업 길이 마크(WL)(11)는 16mm∼27mm까지 표시 가능하고, 1mm, 2mm, 3mm, 4mm 간격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28mm 길이를 갖는 근관충전재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근관충전재(10a∼10i), 도 4의 근관충전재(30a∼30i), 도 6의 근관충전재(50a∼50i)의 경우에는, 16mm~21mm까지 1mm 간격으로 6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근관충전재(20a∼20i), 도 5의 근관충전재(40a∼40i), 도 9의 근관충전재(80a∼80i)의 경우에는, 16mm~20mm까지 1mm 간격으로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근관충전재(60a∼60i)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20mm, 및 21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의 근관충전재(70a∼70i), 및 도 12의 근관충전재(110a∼110i), 도 14 내지 도 16의 근관충전재(130a∼130i, 140a∼140i, 150a∼150i)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및 20mm의 4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근관충전재(80a∼80i)의 경우에는 16mm, 17mm, 18mm, 19mm, 및 20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의 근관충전재(90a∼90i), 도 11의 근관충전재(100a∼100i), 및 도 21의 근관충전재(200a∼200i)경우에는 16mm, 17mm, 18mm, 및 20mm의 4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근관충전재(120a∼120i)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20mm, 및 21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에 있어서, 근관충전재(160a)의 경우에는 16mm 및 18mm의 2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60b)의 경우에는 16mm, 18mm, 및 19mm의 3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근관충전재(160c,160g)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및 20mm의 4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60d)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20mm, 및 22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근관충전재(160e,160i)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20mm, 21mm, 및 22mm의 6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60f)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20mm, 21, 22, 및 23mm의 7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근관충전재(160h)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20mm, 및 21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에 있어서, 근관충전재(170a)의 경우에는 16mm 및 19mm의 2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70b)의 경우에는 16mm, 17mm, 및 19mm의 3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근관충전재(170c,170g)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및 20mm의 4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70d)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20mm, 및 22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근관충전재(170e,170i)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20mm, 21mm, 및 22mm의 6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70f)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20mm, 21, 22, 및 23mm의 7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근관충전재(170h)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20mm, 및 21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11, 및 도 17, 도 18,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충전재의 두부 최상부로부터 일정 갭(g; gap)을 두고 테이퍼 마크(Φ)의 표시 기준이 되거나, 도 12 내지 도 16, 및 도 19의 경우에는 상기 작업 길이 마크(WL)(11)로부터 일정 갭(g)을 두고 테이퍼 마크(Φ)의 표시 기준이 된다.
상기에서 갭(g)의 폭 크기 결정은, 전자의 경우에는 테이퍼 치수를 나타내는 테이퍼 마크(Φ)의 표시 상태에 따라 결정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작업 길이 마크(WL)(11) 표시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일반적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작용 설명은 전술한 설명을 참 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적인 작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치과용 근관충전재는 그 형태상 3가지 치수가 필요하다. 즉, 직경 치수, 테이퍼 치수, 및 작업 길이 치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는, 상기한 3가지 표시를 모두 근관충전재(10a∼200i)에 표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 직경 치수는 몸체(15)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Φ) 및 작업 길이 마크(WL)의 칼라(C1∼C9)에 따라 구분한다. 예컨대, 직경 크기 순서에 따라 흑색, 녹색, 청색, 적색, 황색, 흰색 등의 칼라 순서로 이루어지게 하고, 그 이상의 직경 크기가 필요한 경우, 상기한 칼라를 순서를 반복하여 이루어지게 하면 된다. 따라서 몸체(15)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Φ) 및 작업 길이 마크(WL)의 칼라(C1∼C9)에 따라 규격화된 치수를 적용하면 쉽게 근관충전재(10a∼200i)의 직경 크기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칼라(C1∼C9)는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고, 규격화된 크기 구분의 수에 따라 더할 수도 있다. 즉, 도면에서 표시되지 않은 칼라 예컨대, C10, C11, ...등으로 확대할 수도 있다.
그런데, 기존의 근관충전재의 몸체는 특정 칼라(예컨대, 살색 또는 연분홍색)로 이루어지고, 두부에 직경에 맞는 칼라를 도장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하였고,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 몸체 전부를 직경 치수를 나타내는 칼라로 이루 어지게 한 것이므로,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 치수는 근관충전재(10a∼200i)의 두부에 테이퍼 마크(Φ)를 표시하여 테이퍼 마크(Φ)의 상대 크기에 따라 0.01, 0.02, 0.04로 정하고, 테이퍼 마크(Φ)의 개수를 곱하면 테이퍼 치수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테이퍼 치수를 알 수 있는 다른 방법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 마크(Φ)의 개수에 작업 길이 마크(WL)(11)의 개수를 곱하면 쉽게 테이퍼 치수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테이퍼 마크(Φ) 하나의 값은 0.01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21에서 표시된 테이퍼 치수와는 다른 규격의 치수를 갖는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충전재(210a∼210i)의 테이퍼 마크(Φ)의 크기 및 개수를 보고, 이미 정해진 규격(X-F∼X-L)의 테이퍼 치수를 적용하면 근관충전재(210a∼210i)의 테이퍼 치수를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 마크(Φ)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규격(X-F∼X-L) 정해진 테이퍼 치수를 순서대로 적용하면 그에 해당되는 테이퍼 치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관충전재(10a∼210i)의 두부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Φ)로 근관충전재(10a∼210i)의 테이퍼 치수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치과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길이 마크(WL)(11)는 몸체 중간 부분에 가는 줄(또는 선)로 표시하며, 통상 많이 사용하는 치수인 16mm∼24mm 내에서 필요한 길이로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에는 근관충전재의 크기 및 작업 길이를 구분할 수 있는 치수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의 (B)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210i. 근관충전재
11. 작업 길이 마크
12∼14. 테이퍼 마크
15. 몸체

Claims (9)

  1. 치아 근관에 먼저 삽입되는 선단이 가늘고 반대측의 두부로 갈수록 점차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선단부터 상기 두부까지 테이퍼로 형성되고, 상기 근관에 정확한 치수의 길이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 일측에 작업 길이가 표시된 근관충전재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치수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두부에 테이퍼 마크가 표시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퍼 마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선단측으로 상기 작업 길이가 표시된 작업 길이 마크가 표시되고,
    상기 직경 치수를 구분하기 위해 상기 직경 치수에 해당되는 칼라가 상기 테이퍼 마크 및 상기 작업 길이 마크가 동일한 하나의 칼라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길이 마크는 16mm∼27mm까지 1mm, 2mm, 3mm, 또는 4mm 간격으로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부 최상부로부터 일정 갭을 두고 상기 테이퍼 마크가 표시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길이 마크로부터 일정 갭을 두고 상기 테이퍼 마크가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마크의 치수는, 상기 두부에 표시된 각 마크의 폭 크기 및 각 마크의 개수에 따라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마크가 한 개가 표시된 경우에는 상기 테이퍼 마크는 테이퍼가 0.02를 나타내고,
    상기 테이퍼 마크가 동일 크기로 2개 또는 그 이상 표시된 경우에는 상기 각 마크는 테이퍼가 0.02 또는 0.04를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마크가 2개 또는 그 이상 표시되어 있을 때,
    상기 테이퍼 마크의 크기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큰 테이퍼 마크는 0.02 또는 0.04, 작은 테이퍼 마크는 0.01을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 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마크의 치수는, 상기 두부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의 개수와 상기 작업 길이 마크의 개수를 곱한 값으로 구분되고,
    이때, 상기 테이퍼 마크 1개의 치수는 0.01을 나타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9. 삭제
KR1020090009923A 2009-02-06 2009-02-06 치과용 근관충전재 KR100961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23A KR100961463B1 (ko) 2009-02-06 2009-02-06 치과용 근관충전재
US12/701,179 US20100203471A1 (en) 2009-02-06 2010-02-05 Dental filling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9923A KR100961463B1 (ko) 2009-02-06 2009-02-06 치과용 근관충전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463B1 true KR100961463B1 (ko) 2010-06-08

Family

ID=4236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923A KR100961463B1 (ko) 2009-02-06 2009-02-06 치과용 근관충전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203471A1 (ko)
KR (1) KR1009614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1773A1 (ko) * 2014-01-25 2015-07-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관 크기 측정기구
KR101953889B1 (ko) * 2012-12-28 2019-03-04 주식회사 다이다덴트 식별 표시가 구비된 치과용 로터리 파일
WO2019083118A1 (ko) * 2017-10-26 2019-05-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식된 근관 충전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6027774A2 (pt) 2014-06-12 2017-08-15 Colgate Palmolive Co Sistema de instrumentos de cuidado oral empacotado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244B1 (ko) 1996-10-23 2002-05-02 루이 브이. 3세 해리슨 눈금이 새겨진 근관치료용 면봉
US20030219699A1 (en) 2002-05-22 2003-11-27 Howard Martin Stepped root canal plugger
US7021936B2 (en) 2002-12-27 2006-04-04 Kenneth Koch Integral gutta percha core/cone obturation techniqu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4322A (en) * 1988-05-19 1992-04-14 You Moo C Dental root canal sealer with dimension indicating code
US5498158A (en) * 1994-02-14 1996-03-12 Wong; Nelson J. Color-coded endodontic cutting instruments and color-code system and method
US5855479A (en) * 1994-02-14 1999-01-05 Wong; Nelson J. Step-back eliminating tapered dental cutting instruments for improved root canal treatment and method
US6206695B1 (en) * 1994-02-14 2001-03-27 Nelson J. Wong Step-back eliminating tapered dental cutting instruments for improved root canal treatment and method
US6264471B1 (en) * 1999-03-08 2001-07-24 Howard Martin Length control marked gutta-percha cones and method of insertion
US20040058298A1 (en) * 2002-09-25 2004-03-25 Dennis Brava Self centering endodontic files
EP1843714A1 (en) * 2005-02-04 2007-10-17 Dentsply DeTrey GmbH Dental device for use in the obturation of a root ca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244B1 (ko) 1996-10-23 2002-05-02 루이 브이. 3세 해리슨 눈금이 새겨진 근관치료용 면봉
US20030219699A1 (en) 2002-05-22 2003-11-27 Howard Martin Stepped root canal plugger
US7021936B2 (en) 2002-12-27 2006-04-04 Kenneth Koch Integral gutta percha core/cone obturation techniqu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889B1 (ko) * 2012-12-28 2019-03-04 주식회사 다이다덴트 식별 표시가 구비된 치과용 로터리 파일
WO2015111773A1 (ko) * 2014-01-25 2015-07-3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관 크기 측정기구
WO2019083118A1 (ko) * 2017-10-26 2019-05-02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표식된 근관 충전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3471A1 (en) 201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463B1 (ko) 치과용 근관충전재
US6605049B1 (en) Marking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devices
TWI584790B (zh) Tampons for sanitary napkins
US6290678B1 (en) High contrast syringe
US11160646B2 (en) Root canal apex locator
JP2011227514A (ja) レーザ彫刻識別マークを有する物品
US7097454B1 (en) Endodontic gutta-percha point with working length marks
US5104322A (en) Dental root canal sealer with dimension indicating code
US6354835B1 (en) Tooth shade guide
US20170119506A1 (en) Reference member for determining a position of an implant analog
US5732721A (en) Dental floss with a pressure sensitive material
CN109620455A (zh) 一种基于模式识别算法实时测量牙周袋深度的装置
JP3124215U (ja) 歯科用シリンジ
US10864060B1 (en) Root canal filling material marker
CN212308101U (zh) 一种带力量控制的牙周探针
KR19990007716A (ko) 작업길이를 표시한 근관 충전용 거타 퍼차 포인트
KR101372387B1 (ko) 근관 크기 측정기구
KR890003274Y1 (ko) 규격표시용 착색부를 가지는 치과용 근관충전재
AU2002364606A1 (en) Impl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of moisture in a root canal
SU700051A3 (ru) Инструмент дл получени полых изделий гидроэкструзией
JP2921949B2 (ja) 注入器
CN209770577U (zh) 一种实时测量牙周袋深度的装置
CN111388127A (zh) 一种带力量控制的牙周探针
CN206534720U (zh) 车针直径测量尺
CN212281750U (zh) 一种引导肩台预备的牙科测量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