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22에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일반적인 치과용 근관충전재는 전술한 도 1을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특징적인 구성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10)는, 치아 근관에 먼저 삽입되는 선단이 가늘고 반대측의 두부로 갈수록 점차 큰 직경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선단부터 두부까지 테이퍼로 형성되고, 치아 근관에 정확한 치수의 길이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해 몸체(15) 일측에 작업 길이가 표시된다.
이러한 근관충전재(10)는, 침상 또는 콘 형태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므로, 원통 크기를 나타내는 직경 치수, 테이퍼 정도를 나타내는 테이퍼 치수, 및 삽입되는 깊이를 알기 위한 작업 길이 치수라는 3가지 치수 표시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10)는, 근관충전재(10)의 직경 치수를 구분하기 위해 몸체(15)에 테이퍼 치수를 나타내는 테이퍼 마크(Φ)와, 작업 길이가 표시된 작업 길이 마크(WL)가 동일한 하나의 칼라(C)로 표시된다.
예컨대, 도 2의 (B)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크기 순서에 따라 테이퍼 마크(Φ) 및 작업 길이 마크(WL)에 표시된 칼라(C)가 흑색, 녹색, 청색, 적색, 황색, 흰색 등의 칼라 순서로 이루어지게 하고, 그 이상의 직경 크기가 필요한 경우, 상기 칼라(C1∼C9)를 순서를 반복하여 표시된다.
즉, 각각의 칼라, C1, C2, C3, C4, C5, C6, C7, C8, 및 C9 순서대로 직경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정해진다. 이 직경은 통상 규격에 의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칼라(C1∼C9)를 보면, 그 칼라에 해당되는 근관충전재의 직경 치수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 치수를 표시하기 위해 두부 일측에 테이퍼 마크(Φ)가 표시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테이퍼 마크(Φ)의 치수는, 근관충전재의 두부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Φ)의 크기에 따라 구분된다. 이러한 테이퍼 마크(Φ)에서 테이퍼 치수는 테이퍼 마크(Φ)의 크기 차이 또는/및 개수에 따라 0.01, 0.02, 0.04로 구분된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충전재(10a)가 0.02의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일정 폭(또는 높이)으로 된 제1테이퍼마크(12)를 표시(마 킹)하면 된다. 그리고 근관충전재(10b)가 0.03의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1테이퍼마크(12) 1개와 제1테이퍼마크(12)의 대략 절반 폭을 갖는 제2테이퍼마크(13)를 일정 거리를 두고 표시하면 된다.
그리고 0.04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0c)의 경우에는, 제1테이퍼마크(12) 2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하면 된다.
또한 0.05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0d)의 경우에는, 제1테이퍼마크(12) 2개와 제2테이퍼마크(13) 1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표시하면 된다.
그리고 0.06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0e)의 경우에는, 제1테이퍼마크(12) 3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0.07 테이퍼의 근관충전재(10f)도 표시하면 된다.
또한 0.08 테이퍼 치수의 근관충전재(10g)의 경우에는 제1테이퍼마크(12)보다 폭을 크게 한 제3테이퍼마크(14) 하나를 0.04 테이퍼(치수)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3테이퍼마크(14) 2개를 근관충전재(10g)의 두부에 표시하면, 이 근관충전재(10g)는 0.08 테이퍼를 이루어진 것으로 된다.
그리고 0.10 테이퍼 치수를 갖는 근관충전재(10h)의 경우에는 제3테이퍼마크(14)와 제2테이퍼마크(13)를 섞어 조합하여 표시하면 되고, 0.12 테이퍼 치수를 갖는 근관충전재(10i)의 경우에도 제3테이퍼마크(14) 3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 표시하면 된다.
특히, 도 6 내지 도 11의 경우에는 제2테이퍼마크(13)와 제3테이퍼마크(14)의 표시 순서를 바꾸어 표시하여도 된다. 즉, 도 2 내지 도 5의 표시와는 다르게 상기 제2테이퍼마크(13)와 제3테이퍼마크(14)의 표시 순서를 바꾼 경우에도 같은 테이퍼 치수로 보고 읽으면 된다.
또한 테이퍼 마크(Φ)의 치수 표시를 다른 방법으로 표시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전술한 표시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도 12의 근관충전재(1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 폭으로 정한 하나의 제4테이퍼마크(21)를 갭(g)을 두고 두부에 표시한다. 그러면, 테이퍼 치수를 나타내는 최소 치수인 0.02를 나타낸다.
그리고 0.03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10b)의 경우에는, 두부에 제4테이퍼마크(21)와 제4테이퍼마크(21)보다 조금 작은 폭의 제5테이퍼마크(22)를 0.01로 정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근관충전재(110b)는 0.03 테이퍼 치수를 갖게 된다.
또한 0.04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10c)의 경우에는, 두부에 제4테이퍼마크(21)와 제5테이퍼마크(22) 크기의 중간 정도의 제6테이퍼마크(23) 2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근관충전재(110c)는 0.04 테이퍼 치수를 갖게 된다.
그리고 0.05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10d)의 경우에는, 두부에 제6테이퍼마크(23) 2개와 제5테이퍼마크(22) 1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3개를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근관충전재(110c)는 0.05 테이퍼 치수를 갖게 된다.
또한 0.06 테이퍼 치수로 이루어진 근관충전재(110e)의 경우에는, 두부에 제 6테이퍼마크(23) 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갖는 제7테이퍼마크(24) 3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근관충전재(110e)는 0.06 테이퍼 치수를 갖게 된다.
그리고 0.07 테이퍼 치수인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근관충전재(110f)의 두부에 제7테이퍼마크(24) 3개와 제5테이퍼마크(22) 1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한다. 그러면, 상기 근관충전재(110f)는 0.07 테이퍼 치수를 갖게 된다.
또한 0.08 테이퍼 치수를 갖는 근관충전재(110g)의 경우에도 제7테이퍼마크(24) 4개를 일정 간격을 두고 표시하면 된다.
그리고 0.10의 테이퍼 치수를 갖는 근관충전재(110h)와 0.12의 테이퍼 치수를 갖는 근관충전재(110i)의 경우에는 폭이 상대적으로 큰 제8테이퍼마크(25)와 이에 비해 폭이 작은 제9테이퍼마크(26)를 조합하여 나타낸다. 즉, 상기 제8테이퍼마크(25) 하나가 0.02 테이퍼 치수를 나타내고, 제9테이퍼마크(26) 하나는 0.01 테이퍼 치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 13의 근관충전재(120a∼120i) 및 도 14의 근관충전재(130a∼130i)에도 적용한다.
마찬가지로, 도 15 및 도 16의 근관충전재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테이퍼마크의 크기에 차이를 많이 두고 테이퍼 치수를 표시한 실시예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근관충전재(140a)의 0.02 마크(31)와 두 번째 근관충전재(140b)의 0.03 마크(3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차이가 많이 난다.
그리고 테이퍼 치수가 점차로 커지는 경우에는 세 번째 이하의 근관충전 재(140c∼140i)의 0.02 마크(33,34,35,36)의 크기를 점차 줄여가면서 표시한다. 이는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며, 이를 도 16의 근관충전재(150a∼150i)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의 테이퍼 치수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충전재(160a∼170i)의 두부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Φ)의 개수와 작업 길이 마크(WL)(11)의 개수를 곱한 값으로 구분된다.
즉, 아래의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식 1]
테이퍼 치수 = 테이퍼 마크(Φ)의 개수 × 작업 길이 마크(WL)(11)의 개수
이때, 테이퍼 마크(Φ) 하나의 값은 0.01이다.
특히, 도 17 및 도 18에서, 테이퍼 마크(Φ)를 나타내는 테이퍼 마크(Φ)(51,52,61,62)의 크기와 관계없이 이를 0.01로 하고, 여기에 작업 길이 마크(WL)(11)의 개수를 곱하면 된다. 이를 참고하여 예컨대, 도 17에서 첫 번째 근관충전재(160a)의 경우에는 0.01×2 =0.02이다. 따라서 상기 근관충전재(160a)는 0.02 테이퍼 치수를 갖는다.
다른 예로, 도 18의 마지막 근관충전재(170i)의 경우에는 테이퍼 마크(Φ)인 테이퍼 마크(Φ)(62)가 2개이고, 작업 길이 마크(WL)(11)의 줄 수가 6개이므로, 0.02 × 6이 되므로, 상기 근관충전재(170i)의 테이퍼 치수는 0.12이다.
그리고 도 19 내지 도 21의 경우에도 전술한 도 16과 같은 방법으로 나타낸 것이다. 즉, 테이퍼 마크(Φ)인 테이퍼 마크(Φ)(71∼88)의 상대 크기에 따라 0.01 또는 0.02로 하고, 그 표시된 개수로 계산한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크기가 2개 또는 그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 0.02씩 계산하고, 서로 상이한 마크가 섞어 있으면 큰 것은 0.02, 작은 것은 0.01로 계산하면 된다.
또한 도 2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 마크(Φ)와 일정 간격을 두고 선단측으로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된다. 이러한 작업 길이 마크(WL)(11)는 16mm∼27mm까지 표시 가능하고, 1mm, 2mm, 3mm, 4mm 간격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서는, 28mm 길이를 갖는 근관충전재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의 근관충전재(10a∼10i), 도 4의 근관충전재(30a∼30i), 도 6의 근관충전재(50a∼50i)의 경우에는, 16mm~21mm까지 1mm 간격으로 6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근관충전재(20a∼20i), 도 5의 근관충전재(40a∼40i), 도 9의 근관충전재(80a∼80i)의 경우에는, 16mm~20mm까지 1mm 간격으로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의 근관충전재(60a∼60i)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20mm, 및 21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8의 근관충전재(70a∼70i), 및 도 12의 근관충전재(110a∼110i), 도 14 내지 도 16의 근관충전재(130a∼130i, 140a∼140i, 150a∼150i)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및 20mm의 4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의 근관충전재(80a∼80i)의 경우에는 16mm, 17mm, 18mm, 19mm, 및 20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의 근관충전재(90a∼90i), 도 11의 근관충전재(100a∼100i), 및 도 21의 근관충전재(200a∼200i)경우에는 16mm, 17mm, 18mm, 및 20mm의 4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3의 근관충전재(120a∼120i)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20mm, 및 21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에 있어서, 근관충전재(160a)의 경우에는 16mm 및 18mm의 2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60b)의 경우에는 16mm, 18mm, 및 19mm의 3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근관충전재(160c,160g)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및 20mm의 4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60d)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20mm, 및 22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근관충전재(160e,160i)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20mm, 21mm, 및 22mm의 6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60f)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20mm, 21, 22, 및 23mm의 7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근관충전재(160h)의 경우에는 16mm, 18mm, 19mm, 20mm, 및 21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에 있어서, 근관충전재(170a)의 경우에는 16mm 및 19mm의 2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70b)의 경우에는 16mm, 17mm, 및 19mm의 3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근관충전재(170c,170g)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및 20mm의 4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70d)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20mm, 및 22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근관충전재(170e,170i)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20mm, 21mm, 및 22mm의 6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고, 근관충전재(170f)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20mm, 21, 22, 및 23mm의 7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근관충전재(170h)의 경우에는 16mm, 17mm, 19mm, 20mm, 및 21mm의 5개의 작업 길이 마크(WL)(11)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11, 및 도 17, 도 18,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충전재의 두부 최상부로부터 일정 갭(g; gap)을 두고 테이퍼 마크(Φ)의 표시 기준이 되거나, 도 12 내지 도 16, 및 도 19의 경우에는 상기 작업 길이 마크(WL)(11)로부터 일정 갭(g)을 두고 테이퍼 마크(Φ)의 표시 기준이 된다.
상기에서 갭(g)의 폭 크기 결정은, 전자의 경우에는 테이퍼 치수를 나타내는 테이퍼 마크(Φ)의 표시 상태에 따라 결정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작업 길이 마크(WL)(11) 표시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일반적인 치과용 근관충전재의 작용 설명은 전술한 설명을 참 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적인 작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치과용 근관충전재는 그 형태상 3가지 치수가 필요하다. 즉, 직경 치수, 테이퍼 치수, 및 작업 길이 치수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는, 상기한 3가지 표시를 모두 근관충전재(10a∼200i)에 표시한 것이다.
우선, 상기 직경 치수는 몸체(15)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Φ) 및 작업 길이 마크(WL)의 칼라(C1∼C9)에 따라 구분한다. 예컨대, 직경 크기 순서에 따라 흑색, 녹색, 청색, 적색, 황색, 흰색 등의 칼라 순서로 이루어지게 하고, 그 이상의 직경 크기가 필요한 경우, 상기한 칼라를 순서를 반복하여 이루어지게 하면 된다. 따라서 몸체(15)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Φ) 및 작업 길이 마크(WL)의 칼라(C1∼C9)에 따라 규격화된 치수를 적용하면 쉽게 근관충전재(10a∼200i)의 직경 크기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칼라(C1∼C9)는 하나의 예에 지나지 않고, 규격화된 크기 구분의 수에 따라 더할 수도 있다. 즉, 도면에서 표시되지 않은 칼라 예컨대, C10, C11, ...등으로 확대할 수도 있다.
그런데, 기존의 근관충전재의 몸체는 특정 칼라(예컨대, 살색 또는 연분홍색)로 이루어지고, 두부에 직경에 맞는 칼라를 도장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공정이 복잡하였고,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상 몸체 전부를 직경 치수를 나타내는 칼라로 이루 어지게 한 것이므로,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테이퍼 치수는 근관충전재(10a∼200i)의 두부에 테이퍼 마크(Φ)를 표시하여 테이퍼 마크(Φ)의 상대 크기에 따라 0.01, 0.02, 0.04로 정하고, 테이퍼 마크(Φ)의 개수를 곱하면 테이퍼 치수를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테이퍼 치수를 알 수 있는 다른 방법은,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이퍼 마크(Φ)의 개수에 작업 길이 마크(WL)(11)의 개수를 곱하면 쉽게 테이퍼 치수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테이퍼 마크(Φ) 하나의 값은 0.01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21에서 표시된 테이퍼 치수와는 다른 규격의 치수를 갖는 경우에는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관충전재(210a∼210i)의 테이퍼 마크(Φ)의 크기 및 개수를 보고, 이미 정해진 규격(X-F∼X-L)의 테이퍼 치수를 적용하면 근관충전재(210a∼210i)의 테이퍼 치수를 알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퍼 마크(Φ)의 크기 및 개수에 따라 규격(X-F∼X-L) 정해진 테이퍼 치수를 순서대로 적용하면 그에 해당되는 테이퍼 치수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관충전재(10a∼210i)의 두부에 표시된 테이퍼 마크(Φ)로 근관충전재(10a∼210i)의 테이퍼 치수를 쉽게 알 수 있으므로 치과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 길이 마크(WL)(11)는 몸체 중간 부분에 가는 줄(또는 선)로 표시하며, 통상 많이 사용하는 치수인 16mm∼24mm 내에서 필요한 길이로 표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근관충전재에는 근관충전재의 크기 및 작업 길이를 구분할 수 있는 치수를 모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