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244B1 - 눈금이 새겨진 근관치료용 면봉 - Google Patents

눈금이 새겨진 근관치료용 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244B1
KR100334244B1 KR1019997003585A KR19997003585A KR100334244B1 KR 100334244 B1 KR100334244 B1 KR 100334244B1 KR 1019997003585 A KR1019997003585 A KR 1019997003585A KR 19997003585 A KR19997003585 A KR 19997003585A KR 100334244 B1 KR100334244 B1 KR 100334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ab
pointed
indicators
root can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2774A (ko
Inventor
루이 브이. 3세 해리슨
Original Assignee
루이 브이. 3세 해리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 브이. 3세 해리슨 filed Critical 루이 브이. 3세 해리슨
Publication of KR20000052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2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2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40Implements for surgical treatment of the roots or nerves of the teeth; Nerve needle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he roots
    • A61C5/44Means for controlling working depth, e.g. supports or boxes with depth-gauging means, stop positioners or files with adjustably-mounted handles

Abstract

뾰족한 흡수용 면봉에는 깊이 표시 눈금이 제공된다. 이들 눈금은 치근관을 처치하는 동안에 면봉의 끝 부분이 치근관에 삽입되는 깊이가 후속하는 면봉이 치근관 내에 삽입될 때마다 신속히 그리고 정확히 측정될 수 있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눈금이 새겨진 근관치료용 면봉{GRADUATED ENDODONTAL SWAB}
선진국에서는 구강위생에 대한 공공교육을 강화하고, 상수도에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첨가제를 첨가하고, 치아 소독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해 충치가 점점 줄어들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충치의 발생을 곧바로 알아차렸을 때에는, 충치가 에나멜(치아의 단단한 외피)을 침투하였지만 상아질(펄프 및 신경 조직과 대치된 석회질 부분) 내로는 아주 근소하게 침투한 상태이기 때문에, 치아의 손상된 조직을 소독한 후에 합성 재료(예컨대, 치과용 아말감)로 메움으로써 쉽게 치아를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충치가 침투하여 손상된 상아질을 제거하면 형성되는) 충치 구멍을 충전재로 메우게 되면 치아 치료를 마쳤다고 말하게 된다.
충치의 진행이 인접한 내층, 예컨대 신경 및 혈관을 포함하는 펄프층에까지 미치기 되면, 계속 진행되는 충치를 저지하기 위한 소정의 치료는 '치근관'에 대해 행해지게 된다. 충치가 펄프층에까지 미치게 되면, 염증이 생기거나 치아가 죽게 될 수도 있다. 펄프층이 충치의 영향을 받게 되면 보통 치근의 끝부분에서 농양이 발생하게되며, 이것이 혈관을 통해 신체의 다른 부분에도 미치게 되어 염증, 이차 농양 또는 다른 질병을 야기하게 될 수도 있다. 근관치료는, 펄프층이 손상된 직후에 행해지면, 치아의 농양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농양이 발생한 후에는 치아를 빼내지 않고도 염증을 제거할 수 있다. 펄프층을 제거하는 것은 치아의 신경 및 모세혈관을 포함하는 살아있는 조직을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처치에는 치근까지 뻗어 있는 치아의 중공의 관상 부분을 소독하고 턱뼈에 고정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치근관을 포함하여 치아를 완전히 소독한 후에, 중공의 관상 부분은 (통상적으로 미생물을 파괴하고 상처를 빨리 아물게 하는 약물을 포함하는) 기밀 밀봉재로 채워지고, 나머지 충치 구멍은 아말감이나 그와 유사한 재료로 채워진다.
치근관을 적절히 소독하는 일은 큰 노력을 요하는 일로서, 치근관을 완전하게 소독 및 살균을 하지 않으면 '죽은 구멍'이 생겨날 수도 있다. '죽은 구멍'이란 나머지 다른 조직을 부패시키는 구멍으로서, 또다른 질병이나 염증을 야기하며, 이로 인해 주변의 치주 조직을 포함하여 손상된 치아 내에서 그리고 손상된 치아에 인접한 부분에서 충치가 더욱 더 심해지고, 지지하는 뼈는 손상되며, 궁극적으로는 치아를 잃어버리게 될 수도 있다. '치근관'의 완전한 처치는 그 조직 및 하부의 펄프층에 구멍을 뚫고 흡출을 함으로써 충치가 생긴 상아질을 제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치근 내의 치근관의 구멍 내에 포함된 모세혈관 및 신경을 먼저 느슨하게 하고, 폭이 좁은 줄로 긁어낸다. 그런 다음 치근관을 소독하고,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사용하여 말린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치근관을 적절히 소독하기 위해서는, 치근관의 구멍 전체를 관찰하고, 긁어내고, 소독하고, 건조하여야 한다. 소독 및 건조 단계에 후속하여, 약물을 치근관 전체에 미칠 수 있도록 주입한다. 충치가 펄프층 내의 상아질에까지 침투하면, 여러 가지 미생물 및 박테리아가 치근관 전체에 신속히 스며들게 된다. 치근관을 건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것과 동일한 형태의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사용하여 치근관 전체에 약물을 주입할 수도 있다. 이 흡수용 면봉은 일반적으로 약물에 담궈진후에 치근관 내에 놓여지게 된다.
가능한 한 무균 상태로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치근관을 치료하지 않으면 안된다. 수술 중에 한 다스 이상의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사용하는 것은 흔한 일이다. 면봉을 사용할 때마다, 치과의사는 적절한 소독 및 건조가 행해지고 소정의 깊이까지 약물이 주입되었는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치근관 내로 들어간 면봉의 끝 부분의 깊이를 측정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치과 의사는 구멍 뚫기, 긁어내기 및 채우기에서 사용하는 특수 제작된 기구를 사용하여 (가지 및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치근관의 깊이를 측정하거나, 어금니의 경우 여러 개의 치근관의 깊이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치근관을 치료할 때 뾰족한 흡수용 면봉이 전체 치근관의 선택적인 치료에 따라 정해진 깊이로 되풀이해서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이 창안되기 전까지는, 소정의 측정 수단을 갖춘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절개된 치근관의 사전 설정된 깊이로 확실히 그리고 선택적으로 삽입하는데에는 이용할 수 없었다.
치과 의사들은 수년간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사용해 왔다. 종이로 된 뾰족한 흡수용 면봉은 특수한 형태의 종이 또는 그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는 합성 재료로 형성된다. 종래의 종이로 된 뾰족한 흡수용 면봉은 치근관 또는 펄프 구멍 내에 존재하는 삼출액을 흡수하기 위한 심지 작용을 하여야 한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종이로 된 뾰족한 흡수용 면봉은 약물을 흡수하여 치근관의 선택된 부위에 약물을 주입할 수 있어야 한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면봉은 치근관의 작은 구멍 내로 삽입될 수 있을 만큼 단단해야 하지만, 치근관의 경로를 따라 진입할 수 있을 만큼 유연하여야 한다. 품질이 뛰어난 적절한 종이로 된 면봉은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강도를 갖기 때문에 치근관에 대해 치료가 행해질 때 끝 부분의 조작에 견딜 수 있다. 종이 면봉이 삼출액 또는 약물에 흠뻑 적셔지더라도 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 강도는 지속되어야 한다.
미국 특허 제 2,846,927 호에는 마닐라삼의 섬유판으로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만드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바에 따르면 면봉은 삼각형 판으로부터 고정된 단부에서 동작 단부 또는 끝 부분으로 가면서 직경이 약간 감소하는 가늘고 길며 둥근 축으로 단단히 감기게 된다.
특수하게 제작된 종이 면봉은 치근관 내로 약물을 주입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미국 특허 제 5,104,322 호는 종이로 된 면봉의 끝 부분의 직경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색으로 구분된 머리부를 갖춘 치근관 밀봉재 및 소독제에 관한 것이다. 이 특허는 본 발명이 관련된 밀봉재로서 활용되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과 (본 발명의 뾰족한 흡수용 면봉의 주요 용도인) 소독제로서 활용되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구별하고 있다. 특허된 발명에 있어서는 직경이 0.15 mm 내지 1.4 mm인 면봉의 머리부에 색으로 구분하여 표기하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뾰족한흡수용 면봉은 대략 28 내지 30 mm의 길이로 제작된다.
치은염의 영향을 받은 부위의 깊이와 치아에 인접한 손상된 잇몸의 골질 손실에 의해 생성된 구멍의 깊이를 측정하기 위한 눈금이 새겨진 치주 기구와 관련한 특허는 다수 공지되어 있다. 이들 기구는 대부분 면봉이 질환과 관련된 골질 손실을 조사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에, 면봉이 병든 치주 영역 내로 삽입될 때 면봉의 접촉이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 5,423,677호, 제 5,096,420 호, 제 5,000,683 호, 제4,768,952 호 및 제 4,340,069 호는 이들 특수하게 제작된 기구의 실례들이다.
본 발명은 근관치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러한 근관치료에 있어서 치근관 수술 시에 면봉으로 사용되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를 포함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치아 구조 및 사용 시에 본 발명이 삽입되는 치근관을 보인 치아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뾰족한 흡수용 면봉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3-3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치과 의사가 기구의 끝 부분의 삽입 깊이를 쉽게 알 수 있도록 기구의 축 위에 깊이 눈금을 새긴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치근관의 수술 중에 소정의 치료를 행하기 위하여 끝 부분이 사전 설정된 깊이까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뾰족한 흡수용 면봉의 사용 중에 치과 의사가 치근관의 최대 깊이까지 확실한 치료를 할 수 있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면봉의 끝 부분의 깊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읽을 수 있도록 면봉에 눈금이 새겨진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더욱 확실히 이해될 수 있도록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치아(이하, '어금니'라 칭한다)의 내부를 단면도로 보인 것이다. 치아(2)는 잇몸(4) 내에 삽입 고정되어 있고, 턱뼈(6)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치아(2)의 치근(10) 둘레에서 외피를 형성하는 치주막(8)이 치아(2)를 둘러싸고 있다. 턱뼈의 표면에서, 치주막은 1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잇몸에 몰입되어 있다. 치아(2)는 치아(2)의 단단한 외부를 형성하는 에나멜(14)을 포함하고 있다. 에나멜은 대부분 칼슘으로 이루어져 있다. 에나멜(14) 아래에는 치아의 핵심을 이루며 일반적으로 석회 조직, 칼슘 및 인으로 구성된 상아질(16)이 놓여있다.
치아(2)의 중심 구조는 신경, 통상적으로는 펄프(18)이다. 펄프(18)는 신경, 림프, 혈관 및 섬유 조직을 포함하고 있다. 펄프(18)는 펄프관(24)을 통해 치근(10) 내로 치아의 길이의 약 75% 까지 연장되는 펄프관 (또는 치근관)(20)을 통해 생명 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 펄프관은 치근(10)의 끝 부분에서 꼭대기 구멍(26)에서 종료되며, 그를 통해 신경, 혈관 및 림프가 신체 내의 각각의 시스템과 연결된다. 펄프 공동의 내층은 원래의 기능이 상아질을 생성하는 것이지만 치아의 손상 또는 충치에 의해 다시 활성화되어 이차적인 상아질 보호층을 생성하기 시작하는 조치세포 층이다. 펄프관의 구성 및 크기 속성을 이해하면, 관내의 모든 연질 조직 및 그 안에 포함된 미생물을 모두 제거하고 건조하여 관의 성공적인 밀봉 및 고정화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더 확실히 이해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뾰족한 흡수용 면봉(30)(일반적으로 종이로 된 면봉로 지칭된다)으로서 실현된다. 뾰족한 흡수용 면봉은 끝 부분(32)에서 머리 단부(34)까지의 거리가 28 내지 30 mm이고, 존슨 앤드 존슨(Johson & Johson), 코크(Caulk), 커(Kerr), 및 다이덴트(Dident)등의 다수의 제조업체에서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뾰족한 흡수용 면봉은 면봉(30)의 축(40) 위에 상하로 배치된 표시기(38)를 갖춘 깊이 눈금(36)을 포함하고 있다. 표시기는 염료나 잉크로 표시하는 방법, 축(40)의 표면에 자국을 내거나 조각을 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종래에 알려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면봉(30) 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눈금(36)은 격리된 제 1 및 제 2 그룹(42a,42b)으로 면봉(30) 위에 배치된 깊이 표시기(38)로 이루어져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기(38)는 18, 19, 및 20 mm와 끝 부분(32)에서 관측되는 22 및 24 mm의 깊이(또는 특정 표시기 아래의 면봉의 동작 길이)를 나타내는 위치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해되겠지만, 치근관을 처치하는 동안 구강은 처치 부위로부터 파편 및 액체를 빨아내기 위한 흡입관과, 처치의 부산물로부터 입의 나머지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치아 둘레에 배치하는 프레임 및 고무 댐과, 처치에 사용되는 치과 의사의 손가락 및 기구를 포함하는 장비 및 기구로 인해 매우 혼잡해진다. 제 1 및 제 2 그룹(42a, 42b)으로 나뉜 표시기(38)를 갖춘 눈금(36)을 제공함으로써, 면봉(30)의 끝 부분(32)의 깊이의 결정이 더욱 쉽게 관측된다.
세개의 표시기가 42a에서와 같이 제 1 그룹(예시된 실시예에서는 1 밀리미터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 배치되어 있고 두개의 표시기가 42b에서와 같이 제 2 그룹(예시된 실시예에서는 2 밀리미터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 배치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끝 부분(32)의 깊이의 결정 요인으로서 눈금(36) 상의 특정 표시기(38)의 깊이 값을 관측하고 구별하는 것이 쉽게 이루어진다. 제 1 그룹(42a)의 깊이 표시기(38)는 1 밀리미터 단위로 증분되기 때문에, 이 제 1 그룹은 2 밀리미터 단위로 증분되는 제 2 그룹(42b)과 쉽게 구별된다. 이와 유사하게, 각각의 그룹 내의 깊이 표시기(38)의 수는 두개 또는 세개로 제한되기 때문에 (즉, 그 수가 다르기 때문에), 눈금(34) 상의 관련 표시기(38)의 구별 및 관의 깊이의 실제적인 측정이 쉽게 이루어진다.
표시기의 값을 달리하거나 조합을 달리하여 구성하여도 이것은 본 발명의 범에 기재하는 특허청구의 범주에 속하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본 발명의 뾰족한 흡수용 면봉을 사용하게 되면 치과 의사가 치근관 내로 면봉(30)을 삽입할 때마다 치근관의 깊이를 신속히 그리고 정확히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치근관을 효과적으로 소독, 건조 및 피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서 개시한 실시예 및 피복 제거 방법은 여러 가지로 변형,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여러 가지로 변형 및 변경이 가해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정신 및 이하에 기재하는 특허청구의 범주에 속하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Claims (10)

  1. 치근관을 소독하기 위한 뾰족한 흡수용 면봉으로서,
    끝 부분 및 머리 부분에서 종료하며, 상기 머리 부분에서 상기 끝 부분으로 가면서 직경이 감소되는 축 부분과,
    상기 축 위에 배치되며, 상기 끝 부분에 대해 상기 축 위에 사전 설정된 거리를 나타내는 상기 축 상에 새겨진 표시기를 갖춘 깊이 눈금으로 구성된 뾰족한 흡수용 면봉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제 1 그룹으로 된 다수의 표시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그룹의 표시기 각각은 상기 끝 부분에 대해 동일한 증분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눈금은 제 2 그룹으로 된 다수의 표시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그룹의 표시기 각각은 상기 끝 부분에 대해 동일한 증분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룹의 표시기는 상기 제 1 그룹의 표시기의 간격의 적어도 두배에 해당되는 증분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는 상기 축 상에 형성된 선이며, 상기 축에 대해 직각을 이루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은 상기 축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은 상기 축 상에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은 상기 축 상에 새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룹의 표시기는 상기 축의 끝 부분으로부터 18, 19, 및 20mm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세개의 표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그룹의 표시기는 상기 축의 끝 부분으로부터 22 및 24mm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개의 표시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뾰족한 흡수용 면봉.
KR1019997003585A 1996-10-23 1997-10-23 눈금이 새겨진 근관치료용 면봉 KR100334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36,340 1996-10-23
US08/736,340 US5833458A (en) 1996-10-23 1996-10-23 Graduated endodontal swab
US08/736,340 1996-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2774A KR20000052774A (ko) 2000-08-25
KR100334244B1 true KR100334244B1 (ko) 2002-05-02

Family

ID=24959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3585A KR100334244B1 (ko) 1996-10-23 1997-10-23 눈금이 새겨진 근관치료용 면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833458A (ko)
EP (1) EP0964656B1 (ko)
KR (1) KR100334244B1 (ko)
AT (1) ATE305272T1 (ko)
AU (1) AU4989097A (ko)
CA (1) CA2269226C (ko)
DE (1) DE69734291T2 (ko)
ES (1) ES2248843T3 (ko)
WO (1) WO199801719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463B1 (ko) 2009-02-06 2010-06-08 주식회사슈어덴트 치과용 근관충전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726A (ko) * 1998-09-12 1998-12-05
US6264471B1 (en) * 1999-03-08 2001-07-24 Howard Martin Length control marked gutta-percha cones and method of insertion
US7713063B2 (en) * 2001-05-03 2010-05-11 Lee Charles Q Dental training device
US6988894B2 (en) 2001-05-03 2006-01-24 Lee Charles Q Dental training device
US6672873B2 (en) * 2001-07-04 2004-01-06 Gregory Rubin Implement and method for determining presence of moisture in a root canal
US6482009B1 (en) * 2001-07-04 2002-11-19 Gregory Rubin Root canal testing implement and method
US7204874B2 (en) 2001-10-24 2007-04-17 Pentron Clinical Technologies, Llc Root canal filling material
US7750063B2 (en) 2001-10-24 2010-07-06 Pentron Clinical Technologies, Llc Dental filling material
US7303817B2 (en) 2001-10-24 2007-12-04 Weitao Jia Dental filling material
US7172562B2 (en) * 2002-11-22 2007-02-06 Mckinley Laurence M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measuring and evaluating the enlargement of a foramen
US20080076090A1 (en) * 2006-09-22 2008-03-27 Kristopher Pfotenhauer Method and apparatus for graduated endodontic pliers
US7845424B1 (en) 2007-05-08 2010-12-07 Miller Peter C Packaged residential fire sprinkler pump system
US8342351B2 (en) 2007-08-03 2013-01-01 Terry J. Hobbs, SR. Cap for caulking cartridge or similar container
US10543060B2 (en) 2015-12-03 2020-01-28 Ormco Corporation Fluted endodontic file
USD842474S1 (en) 2017-10-20 2019-03-05 Ormco Corporation Endodontic fi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3511U (ja) * 1983-10-26 1985-05-23 平野 洋二 目盛付根管治療器具
KR890003274A (ko) * 1987-07-31 1989-04-13 죤 디이 델 폰리 Soic타입 전자 부품들을 저장하는 매거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6927A (en) * 1954-10-25 1958-08-12 Johnson & Johnson Method of making absorbent dental point
US2927056A (en) * 1958-09-23 1960-03-01 Loyola University Sterilizing and antiseptic compositions
CH624294A5 (ko) * 1977-11-17 1981-07-31 Polydent Sa
JPS54149295A (en) * 1978-05-15 1979-11-22 Kiyoshi Hasegawa Pulp canal length measuring device
US4457710A (en) * 1979-08-03 1984-07-03 Inventive Technology International Dental instrument
US4340069A (en) 1979-10-17 1982-07-20 Yeaple Corporation Force-sensitive probe and method of use
SE419400B (sv) * 1980-10-31 1981-08-03 Axelsson P A T Tandlekarinstrument for undersokning av tandfesteforlust eller tandsten
US4462802A (en) * 1983-01-13 1984-07-31 Akio Sekiya Dental root marking and measuring instrument for endodontic surgery
GB8307716D0 (en) * 1983-03-21 1983-04-27 Dentsply Ltd Periodontal probes
GB2139898B (en) * 1983-05-09 1986-08-06 Donald James Highgate Deformable polymeric compositions
US4768952A (en) 1986-12-03 1988-09-06 Bernard Loewenthal Dental probe
US5165895A (en) * 1988-05-19 1992-11-24 You Moo C Method and means for forming dental root canal sealer with dimension indicating code
US5104322A (en) * 1988-05-19 1992-04-14 You Moo C Dental root canal sealer with dimension indicating code
US5016659A (en) * 1990-04-02 1991-05-21 Mas Eduardo M Compact mouth and breath freshener apparatus
US5000683A (en) * 1990-05-10 1991-03-19 Brock David L Periodontal probe
US5096420A (en) 1990-12-03 1992-03-17 Bernard Loewenthal Periodontal probe
US5423677A (en) * 1993-11-04 1995-06-13 Brattesani; Steven J. Periodontal probe tip and method for us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3511U (ja) * 1983-10-26 1985-05-23 平野 洋二 目盛付根管治療器具
KR890003274A (ko) * 1987-07-31 1989-04-13 죤 디이 델 폰리 Soic타입 전자 부품들을 저장하는 매거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463B1 (ko) 2009-02-06 2010-06-08 주식회사슈어덴트 치과용 근관충전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17194A2 (en) 1998-04-30
DE69734291D1 (de) 2006-02-09
WO1998017194A3 (en) 1998-07-02
ATE305272T1 (de) 2005-10-15
KR20000052774A (ko) 2000-08-25
EP0964656A2 (en) 1999-12-22
CA2269226A1 (en) 1998-04-30
US6004133A (en) 1999-12-21
EP0964656A4 (en) 2001-03-14
ES2248843T3 (es) 2006-03-16
DE69734291T2 (de) 2006-06-29
US5833458A (en) 1998-11-10
CA2269226C (en) 2003-04-01
AU4989097A (en) 1998-05-15
EP0964656B1 (en)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244B1 (ko) 눈금이 새겨진 근관치료용 면봉
US4592728A (en) Periodontal lavage delivery system
Torabinejad et al. Dye leakage of four root end filling materials: effects of blood contamination
De Moor et al. Laser induced explosive vapor and cavitation resulting in effective irrigation of the root canal. Part 2: evaluation of the efficacy
Cruse et al. A historic review of endodontics, 1689–1963, part 1
US5178537A (en) Dental instrument
HEUER The biomechanics of endodontic therapy
US20070072153A1 (en) Photo-sterilization
Fróes et al. Smear layer influence on the apical seal of four different obturation techniques
Johnson et al. Cleaning and shaping
ALAÇAM Scanning electron microscpe study comparing the effecacy of endodontic irrigating systems
Peeters et al. Measurement of pressure changes during laser-activated irrigant by an erbium, chromium: yttrium, scandium, gallium, garnet laser
Gandhi et al. Clinical assessment of various obturating techniques for primary teeth: A comparative study
Crane A practicable root-canal technic
Laky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photon induced photoacoustic streaming for removal of calcium hydroxide in endodontic treatment
Kesler et al. Histological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examination of root canal after preparation with Er: YAG laser microprobe: a preliminary in vitro study
Williams et al. In‐vitro measurement of apieally extruded irrigant in primary molars
Rud et al. Operative procedures in periapical surgery with contemporaneous root filling
Boyd Basic endodontic therapy
Ricci et al. Apical seal of teeth obturated by the laterally condensed gutta-percha, the thermafil plastic and thermafil metal obturator techniques after post space preparation
Vergauwen et al. Investigation of coronal leakage of root fillings after smear layer removal with EDTA or Er, Cr: YSGG laser through capillary flow porometry
ATE14668T1 (de) Instrument zur behandlung des wurzelkanals eines zahnes.
Thomas Penetration of phenol in tooth structure
Lumley et al. Practical clinical endodontics
RU2788901C1 (ru) Маркер для диагностики патологических и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реакций слизистой оболочки рта и коррекции ортопедических конструкц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